KR20080069629A - 언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언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9629A
KR20080069629A KR1020087012398A KR20087012398A KR20080069629A KR 20080069629 A KR20080069629 A KR 20080069629A KR 1020087012398 A KR1020087012398 A KR 1020087012398A KR 20087012398 A KR20087012398 A KR 20087012398A KR 20080069629 A KR20080069629 A KR 20080069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actuating
unlocking
spr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002B1 (ko
Inventor
하인츠 야코부스
알렉산더 바인가르트
Original Assignee
하이닥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닥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이닥 일렉트로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69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9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0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021/132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 B60R2021/134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movable from a retracted to a protection position
    • B60R2021/135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movable from a retracted to a protection position automatically during an accid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61Spr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2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11Magn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68Keep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051Using a powered device [e.g., motor]
    • Y10T70/7057Permanent mag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Special Wing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자석(12)을 구비하는, 록킹 상태에 있는 제어부(10)을 해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언록킹 장치로서, 상기 작동 자석은 코일 바디(14) 및/또는 상기 작동 자석(12)의 하우징 내에 안내되고, 또한 작동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이동 가능하고 작동 위치에서 언록킹 경로(22)를 제어 장치(24)를 위해 해제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록킹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작동부(16)에 의해 상기 제어 장치(24)를 거쳐 언록킹되고, 제어하려는 상기 제어부(10)를 위해 이동 경로(32)를 해제하는 언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록킹부(30)는 상기 작동 자석(12)의 상기 하우징부(28) 내에 안내되고, 상기 하우징부 상에서 블록킹부(48)를 이용해서 상기 제어부(10)의 해제에 상응하는 언록킹 위치로 유지되고 상기 제어부(10)의 바람직하지 않은 재록킹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부, 제어 장치, 록킹부, 작동부, 클램핑 스프링

Description

언록킹 장치{UNLOCKING DEVICE}
본 발명은, 코일 바디 및/또는 작동 자석의 하우징부 내에 안내되는 작동 자석을 구비하는, 록킹 상태에 있는 제어부를 개방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언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언록킹 장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이동 가능하고 작동 위치에서 제어 장치를 위한 언록킹 경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작동부에 의해 제어 장치를 통해 언록킹되고, 제어하려는 제어부를 위한 이동 경로를 해제한다.
이러한 언록킹 장치는 여러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술적 부재의 트리거 과정을 계획대로 그리고 확실히 구현하는 것이 중요한 곳에서, 작동 자석들을 포함한 언록킹 장치들이 선호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작동 자석이 거친 일상적 작동, 예컨대 진동 또는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경험상 작동이 신뢰성 있게 보장되도록 사용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언록킹 장치에 의해, 특히 차량의 영역에서 안전 기술과 관련한 부재들이 언록킹되어, 오버 롤 바의 형태로, 시트 이용자의 뒷 머리와 머리 지지부의 머리 충돌 면 사이에서 자유 충돌 거리를 감소시키기 위해, 충돌시 전방으로 이동하는 헤드 지지부의 형태로 작동한다.
이러한 언록킹 장치에서는 작동부 및 이동 가능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작 동 자석이 매우 작은 설치 공간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치가 공간 절약 방식으로 차량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공간 절약형 구조에 의해 상기 언록킹 장치는, 종래 기술에서는 경우에 따라 조작하기 힘든 케이블 또는 보든 케이블(bowden cable)이 긴 거리에 걸쳐 트리거 과정을 수행했던, 트리거 과정의 위치에 직접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록킹 장치들이 안전과 관련해서 사용되는 경우, 작동 안전성을 떨어뜨릴 위험이 있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관련 안전 장치가 활성화되는 트리거 과정 후, 작동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안전 장치 자체 또는 상기 안전 장치의 부품들이 재작동 실시 이전에 새로운 부품들로 교체되는 것이 많은 경우 필요하다. 다시 말해, 이미 활성화된 안전 장치가 출발 상태로 돌아갈 위험, 제어부가 언록킹 장치에 의해 다시 록킹 상태로 될 위험, 그리고 활성화 실시 후에 더 이상 작동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안전 장치가 다시 "활성화될 준비를 할(armed)"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할당 배치된 안전 장치의 작동 안전성을 상기와 같이 떨어뜨릴 위험이 방지된 언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전체적으로 포함하는 언록킹 장치에 의해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특수성은, 작동 자석의 하우징 내에 안내되는 록킹부를 위해 블록킹부가 제공되고, 상기 블록킹부는 록킹부를 제어부의 해제에 상응하는 언록킹 위치로 유지시키고 이로써 제어부의 의도하지 않은 재록킹을 방지하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블록킹부는 클램핑 스프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자유 스프링 단부들은, 록킹부가 클램핑 스프링에 의해 언록킹된 위치로 유지되는 블록킹 위치와, 제어부의 재록킹을 위해 록킹부가 해제되는 위치 간의 이동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부를 따라 안내된다. 이 경우, 배치는 바람직하게, 클램핑 스프링을 수동으로 블록킹 위치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클램핑 스프링은, 블록킹 위치에 있는 경우, 자유 스프링 단부들이 상기 단부들 사이에, 언록킹 위치에 있는 록킹부의 고정 클램핑을 위한 클램핑 갭을 형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용이하고 편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서, 하우징부에 경사 안내부들이 제공되고, 상기 경사 안내부들은, 클램핑 스프링이 블록킹 위치로부터 록킹부를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스프링 단부들을 위한 제어 면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 안내부들은 상기 단부들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려서 클랭핑 갭을 확장시키므로, 록킹부가 복귀를 위해 제어부를 록킹하는 위치로 해제된다.
하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위한 언록킹 장치가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더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주요 부품들의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는 록킹 상태에 있는 도 1의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언록킹 상태에 있는 도 1의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차단 래치를 포함하는 작동 자석의 평면 사시도, 및
도 5는 블록킹 소자가 장착된 장치의 하우징의 부분이다.
도 1의 사시도에는 제어부(10)용 언록킹 장치의 작동 자석(12)과 같은 가장 중요한 부재들이 도시된다. 작동 자석(12)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코일 와인딩을 구비한 코일 바디(14)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와인딩 내에 실린더형 또는 바 형태의 작동부(16)가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장된다. 일반적 전자석의 형태로 형성된 작동 자석(12)은, 코일 바디(14)에 커넥터(18)를 통해 전류가 공급되면, 작동부(16)가 내부로, 즉 도 2에 대한 관찰 방향으로 볼 때 후방 도면 평면의 방향으로 밀려지도록 설계된다. 코일 바디(14)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복귀 스프링은 작동부(16)가 작동 자석(12)의 전방 면을 포함해서 코일 바디(14)의 전방 면에 걸쳐 사전 지정 가능한 방식으로 돌출하도록, 작동부를 복귀시킬 수 있다. 작동부(16)는 제 1 축(2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 3에 도시된, 언록킹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작동부(16)가 작동 자석(12)에 의해 후방으로 밀리고, 이로써 제 1 축(2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회 경로(22)를 해제하고, 상기 선회 경로는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되고, 상기 선회 경로(22)를 따라 제어 장치(24)가 제 2 축(2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선회한다. 상기 제 2 축은 제 1 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상기 제 2 축(26)은 예컨대 선회 축 또는 선회 핀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제 2 축의 자유 단부들은 바람직 하게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하우징부(28)에 안내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듯이, 제어 장치(24)는 록킹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작동부(16)를 이용해서 제어 장치(24)를 통해 언록킹되고 제어하려는 제어부(10)를 위해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이동 경로(32)를 해제한다. 도 1 및 도 2는 제어부(10)를 위한 록킹된 위치에 관한 것이고, 록킹부(30)가 제어부(1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고 이렇게 록킹 위치로 유지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에 더 자세히 도시되듯이, 제어 장치(24)는 선회 레버(34)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 레버(34)는 이미 설명했듯이, 제 2 축(26)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하우징부(28) 내에 안내되고, 상기 하우징부는 간단한 도시를 위해 도 4에서 생략되었다. 선회 레버(34)의 하나의 자유 단부는 작동 자석(12)의 미작동 상태에서 작동부(16)와 접촉하고, 도 4에 따라, 작동부(16)가 작동 자석(12)의 코일 바디(14) 내로 삽입되고, 선회 레버(34)를 위해 선회 경로(22)를 해제한다. 작동부(16)가 뒤로 밀린 위치에서, 상기 작동부의 전방 면은 실질적으로 도 4의 관찰자를 향하는 코일 바디(14)의 정면과 함께 편평한 전방 면을 형성한다.
도 4에 따라, 선회 레버(34)가 미작동 상태로 도시되므로, 제어부(10)는 선회 레버(34)의 다른 단부 상에서 록킹 위치로 유지된다. 제어 장치(24)의 록킹부(30)는 클로(claw)- 또는 조우(jaw) 개구(36)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30)가 장치의 중심에서 중앙에, 즉 힘이 보상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므로써(도 1 참조), 상기 중심 배치를 보장할 수 있도록, 선회 레버(34)가 축방향 변위 위치(38)를 가진다. 이로써, 언록킹 과정을 위해 클로- 또는 조우 개구(36)가 선회 축(26)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즉 도 1 및 도 2의 록킹 위치로부터 도 3의 언록킹 위치로 선회한다.
특정 용도에서, 예컨대 제 2 축(26) 자체에 회전 스프링이 장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고, 이것은 작동부(16)가 코일 바디(14) 내로 삽입되면, 선회 레버를 선회 경로(22)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이 경우, 작동 자석(12)의 작동 상태에서 제어부(10)는, 에너지 저장부에 의해 선회 레버(34)에 대한 언록킹을 외부로부터 야기하며, 상기 선회 레버는 제 2 축(26)을 중심으로 언록킹 위치로 선회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10)에는 바람직하게는 이중 클램핑 스프링(40) 형태의 클램핑 스프링이 제공되고, 스프링 에너지 형태의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에너지는 언록킹된 상태에서, 제어부(10)가 이동 경로(32)를 따라 제어 장치(24)로부터 멀리 선회 가능하게 하고, 구체적으로 제 3 축(42)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 3 축은 제 1 및 제 2 축(20, 26)에 대해 평행으로 연장된다. 이중 클램핑 스프링(40) 형태의 제어부(10)의 고유 역학에 의해, 언록킹을 외부 제어식으로 실시하기 위해, 작동 자석(12)을 트리거시키기만 하면된다.
작동 자석(12)은 포트 형태로 형성되고, 링형 코일 바디(14)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 바디의 와인딩 단부들은 커넥터(18)에 상응하게 연결된다. 코일 바디(14)가 작동부(16)로서 편평한 실리더형 작동 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바는 링 형 코일 바디(14)에 대해 포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일 바디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장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되듯이, 선회 레버(34)의, 작동부(16)를 향하는 하나의 자유 단부는 래치형으로 가늘어지면서 굴곡을 가지고, 상기 굴곡은 작 동부(16)의 외주의 굴곡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맞추어진다(역시 도 2 참조). 상기 이중 클램핑 스프링(40)의 클램핑부(44)는 록킹 위치에서 제어 장치(24)의 록킹부(30) 내로 삽입되고, 이중 배치에 관련한 2 개의 원형 스프링들(46)이 제 3 축(42)을 중심에 갖는다.
도 3에 따라, 제어부(10)가 축(42)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복귀 선회하면, 클램핑부(44)가 클로- 또는 조우 개구(36) 내로 맞물리고 선회 레버(34)는 반시계 방향으로 도 4의 출발 위치로 선회한다. 작동 자석(12)에 오래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면, 작동부(16)가 예컨대 도시되지 않은 복귀 스프링의 영향하에서 벗어나서 그 외주가 선회 레버(34)의 내부 면에 다시 직접 닿는다. 상응하는 복귀 위치 과정에 걸쳐서 언록킹 장치가 다시 "활성화될 준비를"하게 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예컨대 안전 장치의 부품들(도시되지 않음) 또는 안전 장치 자체가 바뀌기 때문에 방지된다. 그러나, 이로써 클램핑부(44)가 록킹부(30) 및 그 클로- 및 조우 개구(36)와 의도치 않게 상응하게 맞물리게 될 가능성도 생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록킹부(30)는 도 3에 도시된 언록킹 위치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되는, 제어부(10)의 의도치 않은 재 록킹을 방지하는 블록킹부(48)가 사용된다.
블록킹부(48)도 클램핑 스프링(50)으로 구성되고,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자유 스프링 단부들(5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부(28)를 따라, 록킹부(30)를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를 더 명확히 하기 위해, 전방으로부터 바라본 도 5에는, 하우징부(28)의 벽의 일부가 생략되어 도시되므로, 클램핑 스 프링(50)이 록킹부(30)의 상부면에 작용하는 것이 명확하게 도시된다. 도 5에 도시된 위치에서, 클램핑 스프링(50)이 블록킹 위치에 있는 블록킹부로서 도시된다. 언록킹 과정이 트리거되면, 록킹부(30)가 상부로 꺾이고 스프링 단부들(52) 사이의 클램핑 갭 내로 들어간다.
스프링 단부들(52)은, 록킹부(30)의 일부가 도 3의 언록킹 위치로 유지되도록, 록킹부(30)의 일부를 상기 단부들 사이에 클램핑한다. 도 5에 대한 관찰 방향으로 볼 때, 손으로 클램핑 스프링(50)을 하부로 밀면, 자유 스프링 단부들(52)이 하우징부(28)의 경사 안내부들(54)을 따라 슬라이딩하므로, 록킹부를 다시 록킹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 단부들(52)은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어지고 록킹부(30)를 위해 선회 경로를 해제한다. 재언록킹 과정에서는 록킹부(30)가 상부로 꺾어지고 록킹부(30)를 위한 클램핑 갭을 재형성하면서 클램핑 스프링(50)을 이동시키고, 이로써 상기 록킹부는 다시 언록킹된 위치로 블록킹되고 의도치 않은 록킹 위치로 다시 선회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언록킹 장치는 다수의 적용예에 사용될 수 있고, 이중-클램핑 스프링 장치(40) 형태의 제어부(10) 대신, 단순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에컨대 오버 롤 바 시스템의 부분과 같은 다른 기술 부품들도 록킹부(30)의 클로- 또는 조우 개구(36)에 의해 유지되므로, 적용 범위는 임의로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치는, 특히, 레버를 통한 작동 제어가 선회 레버(34)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laims (4)

  1. 록킹 상태에 있는 제어부(10)를 해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언록킹 장치로서,
    작동 자석(12)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 자석은 코일 바디(14) 및/또는 상기 작동 자석(12)의 하우징부(28) 내에 안내되며,
    작동부(16)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이동 가능하고 작동 위치에서 제어 장치(24)를 위한 언록킹 경로(22)를 해제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록킹부(30)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작동부(16)에 의해 상기 제어 장치(24)를 통해 언록킹되고, 제어하려는 상기 제어부(10)를 위한 이동 경로(32)를 해제하는 언록킹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30)는 상기 작동 자석(12)의 상기 하우징부(28) 내에 안내되고, 상기 하우징부 상에서 블록킹부(48)에 의해 상기 제어부(10)의 해제에 상응하는 언록킹 위치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제어부(10)의 의도하지 않은 재록킹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킹부(48)는 클램핑 스프링(50)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램핑 스프링의 자유 스프링 단부들(52)은, 상기 록킹부(30)가 상기 클램핑 스프링(50)에 의해 언록킹 위치로 유지되는 블록킹 위치와, 상기 제어부(10)를 재록킹 하기 위해 상기 록킹부(30)가 해제되는 위치 간의 이동을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28)을 따라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블록킹 위치에서, 상기 클램핑 스프링(50)의 상기 자유 스프링 단부들(52)은, 상기 단부들 사이에 언록킹 위치에 있는 상기 록킹부(30)의 고정 클램핑을 위한 클램핑 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8) 상에 경사 안내부들(54)이 제공되고, 상기 경사 안내부들(54)은, 상기 클램핑 스프링(50)이 블록킹 위치로부터 상기 록킹부(30)를 해제하는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스프링 단부들(52)을 위한 제어면들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 안내부들이 상기 스프링 단부들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벌려서 클램핑 갭을 확장시키므로, 복귀를 위해 상기 록킹부(30)가 상기 제어부(10)를 록킹하는 위치로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록킹 장치.
KR1020087012398A 2005-11-24 2006-10-24 언록킹 장치 KR1012540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510056816 DE102005056816A1 (de) 2005-11-24 2005-11-24 Ent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 Steuerteil
DE102005056816.5 2005-11-24
PCT/EP2006/010212 WO2007059835A1 (de) 2005-11-24 2006-10-24 Entriegel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629A true KR20080069629A (ko) 2008-07-28
KR101254002B1 KR101254002B1 (ko) 2013-04-12

Family

ID=374788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383A KR101254001B1 (ko) 2005-11-24 2006-10-24 제어 장치용 언로킹 장치
KR1020087012398A KR101254002B1 (ko) 2005-11-24 2006-10-24 언록킹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2383A KR101254001B1 (ko) 2005-11-24 2006-10-24 제어 장치용 언로킹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052179B2 (ko)
EP (2) EP1951545B1 (ko)
JP (2) JP5113073B2 (ko)
KR (2) KR101254001B1 (ko)
CN (2) CN101312849B (ko)
AT (2) ATE429361T1 (ko)
DE (3) DE102005056816A1 (ko)
WO (2) WO20070598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6310A1 (de) 2007-07-31 2009-02-05 Hydac Electronic Gmbh Sicherheitsvorrichtung
DE102007062080B4 (de) * 2007-12-21 2012-09-27 Hydac Electronic Gmbh Vorrichtung zum Aktivieren einer sicherheitstechnischen Einrichtung, insbesondere einer Insassenschutz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DE102010031881A1 (de) * 2010-07-21 2012-01-26 Hydac Electronic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sicherheitstechnisch relevante Bauteile
DE102011013255B4 (de) 2011-03-07 2024-01-04 Zf Airbag Germany Gmbh Entriegelungsvorrichtung
DE102011120188B4 (de) * 2011-12-05 2013-08-29 Audi Ag Notentriegelungseinrichtung für einenFahrzeug-Kofferraum
RU2620285C1 (ru) * 2015-12-15 2017-05-2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льян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повышенной безопасности
CN108973800B (zh) * 2017-06-02 2022-09-20 布罗泽汽车部件制造科堡有限公司 用于车辆座椅的锁紧装置
CN111098942B (zh) * 2018-10-26 2021-04-16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锁止机构、驾驶室后悬置锁止机构和车辆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3007A (en) * 1919-11-25 brunette
US971423A (en) * 1910-05-06 1910-09-27 Frank Walters Lock.
US1199199A (en) * 1916-02-25 1916-09-26 Universal Safety Lock Company Electrically-controlled hood-lock.
US2381633A (en) * 1941-10-15 1945-08-07 Young Leonard Weare Lock and fastening device
US2957721A (en) * 1958-01-13 1960-10-25 Security Storm Lock And Hardwa Striker device
US3325203A (en) * 1965-05-27 1967-06-13 Overhead Door Corp Sliding door lock
US4088354A (en) * 1976-10-07 1978-05-09 Litton Systems, Inc. Door locking mechanism for self-cleaning oven
JPH0541165Y2 (ko) * 1987-10-06 1993-10-19
GB2223058B (en) * 1988-09-21 1992-08-05 Yale Security Prod Ltd Electrically releasable door locking means
US5176417A (en) * 1991-10-16 1993-01-05 Applied Power Inc. Tilt cab latch
US5263347A (en) * 1992-09-21 1993-11-23 Allbaugh Mark E Remote control deadlock bolt for cars
CN1185512A (zh) * 1996-12-20 1998-06-24 美国3M公司 开关箱遥控锁
US6036241A (en) * 1998-03-11 2000-03-14 Maytag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an appliance door
AU4322699A (en) * 1998-05-29 1999-12-13 Slc Technologies, Inc. Retrofit electrical blocker for mechanical lock
DE19830407B4 (de) * 1998-07-08 2005-03-17 Thomas Magnete Gmbh Ver- und Entriegelungseinheit für ein Überrollschutzsystem
US6139073A (en) * 1998-08-31 2000-10-31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Lock assembly
US6290281B1 (en) * 1999-05-26 2001-09-18 Asc Incorporated Power latch for an automotive vehicle convertible roof system
DE19949944C1 (de) * 1999-10-16 2000-12-28 Ise Gmbh Haltevorrichtung für den Überrollkörper eines Überollschutzsystems
SE519101C2 (sv) * 2000-05-16 2003-01-14 Kongsberg Automotive Ab Anordning vid nackskydd för motorfordon
US7004517B2 (en) * 2000-11-01 2006-02-28 Southco, Inc. Latching device
DE10215054B4 (de) * 2002-04-05 2007-01-18 Keiper Gmbh & Co.K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US6712429B2 (en) * 2002-06-07 2004-03-30 Intier Automotive Inc. Lost motion dual disc seat recliner assembly
EP1572494B1 (de) * 2002-12-21 2007-08-29 KEIPER GmbH & Co. KG Crashaktive kopfstütze
US7416228B2 (en) * 2003-09-08 2008-08-26 Delta Consolidated Industries Container with adjustable rotary lock
DE102004017688B4 (de) * 2004-04-10 2010-02-11 Itw Automotive Products Gmbh & Co. Kg Kopfstütze für Automobilsit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9627A (ko) 2008-07-28
JP5113073B2 (ja) 2013-01-09
EP1951545B1 (de) 2009-04-22
CN101312850B (zh) 2010-09-15
JP4885974B2 (ja) 2012-02-29
KR101254002B1 (ko) 2013-04-12
US20090151403A1 (en) 2009-06-18
ATE429360T1 (de) 2009-05-15
ATE429361T1 (de) 2009-05-15
JP2009517259A (ja) 2009-04-30
DE502006003567D1 (de) 2009-06-04
EP1951545A1 (de) 2008-08-06
EP1951546B1 (de) 2009-04-22
US8052179B2 (en) 2011-11-08
EP1951546A1 (de) 2008-08-06
KR101254001B1 (ko) 2013-04-12
JP2009517566A (ja) 2009-04-30
US20090120146A1 (en) 2009-05-14
WO2007059834A1 (de) 2007-05-31
WO2007059835A1 (de) 2007-05-31
CN101312850A (zh) 2008-11-26
US8109544B2 (en) 2012-02-07
DE102005056816A1 (de) 2007-05-31
CN101312849B (zh) 2010-10-13
CN101312849A (zh) 2008-11-26
DE502006003566D1 (de)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9629A (ko) 언록킹 장치
JP6741760B2 (ja) 自動車ドア用ロック
US8066330B2 (en) Motor-vehicle headrest
US20170114574A1 (en) Activat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lock
US11639121B2 (en) Child safety seat
US20100270813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fully automatic function check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6437355B (zh) 车辆用门把手装置
JP4712590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100622495B1 (ko) 개인 아이디카드 시스템용 스티어링컬럼 록
JP594878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A2681212C (en) Door lock
US7724112B2 (en) Safety switch
KR20150106292A (ko) 후드래치장치
JP2007050815A (ja) 車両用シートのケーブル式作動装置
US8985628B2 (en) Adjusting device
JP2009214667A (ja) シフトロック装置
JP488184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KR20190099471A (ko) 차량용 폐쇄 장치
JP7327124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597814B1 (ko) 프리락 가스스프링
US20060201214A1 (en) Lock
CA2463984A1 (en) Igniter
CN218676909U (zh) 安全锁定装置
JP5954121B2 (ja) サイドロック装置
JP559478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