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4795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4795A
KR20140074795A KR1020130016318A KR20130016318A KR20140074795A KR 20140074795 A KR20140074795 A KR 20140074795A KR 1020130016318 A KR1020130016318 A KR 1020130016318A KR 20130016318 A KR20130016318 A KR 20130016318A KR 20140074795 A KR20140074795 A KR 20140074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ice tray
ice
protrusion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이경수
채원영
이정우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PCT/KR2013/00963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92329A1/ko
Priority to CN201390000975.3U priority patent/CN204806755U/zh
Priority to US14/651,180 priority patent/US20160003514A1/en
Publication of KR20140074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7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04Producing ice by using stationary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제빙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 수납부, 및 연질의 외피 또는 탄성력을 갖는 외피를 구비하여 히터 수납부 내에 밀착되어 수납되고,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기{ICEMAK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빙 시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한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구비한다. 이때,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히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제빙기(10)는 아이스 트레이(11), 이젝터(13), 제어부(15), 측면 가이드(17), 아이스 뱅크(19), 급수관(21), 급수컵(23), 만빙 레버(25), 및 히터(27)를 포함한다.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기(10)에 있어서, 아이스 트레이(11)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빙 공간을 가진다. 아이스 트레이(11)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제빙 공간을 복수 개로 분리시킬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1)는 급수관(21) 및 급수컵(23)을 통해 물(즉, 제빙수)을 공급받는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110) 내의 제빙 공간에 수용된 물은 제빙실(미도시)의 냉기에 의해 제빙된다.
제빙이 완료되면, 제어부(15)는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부에 설치된 히터(27)를 동작시켜 아이스 트레이(11)를 가열한다. 그러면, 아이스 트레이(11)의 내측면에 얼어붙은 얼음이 살짝 녹으면서 얼음을 용이하게 이빙시킬 수 있게 된다. 히터(27)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5)는 모터(미도시)를 구동시켜 이젝터(1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젝터(13)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는 이젝터 축(13-1) 및 이젝터 축(13-1)에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 핀(13-2)을 포함한다. 모터(미도시)가 이젝터 축(13-1)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젝터 핀(13-2)이 이젝터 축(13-1)과 함께 회전하면서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1)와 분리시켜 상부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젝터 핀(13-2)에 의해 밀어 올려진 얼음은 아이스 트레이(11)의 일측에 형성된 측면 가이드(17)를 타고 내려와 아이스 뱅크(19)에 수용된다.
도 3은 도 1에서 A-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히터(27)는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부면에서 아이스 트레이(11)와 결합하여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히터(27)는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부면에서 연장된 연장부(11-1)와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부면에 형성된 코킹부(29) 사이에 결합되게 된다.
종래의 제빙기(10)는 히터(27)로 U 자형의 시즈 히터(Sheath Heater)를 주로 사용하였다. 시즈 히터(27)는 발열선(41), 발열선(41)을 감싸며 형성되는 산화 마그네슘(MgO) 파우더(44), 및 산화 마그네슘 파우더(44)를 감싸며 형성되는 금속 파이프(47)로 이루어진다. 이때, 시즈 히터(27)는 직경이 약 6 ~ 8 mm로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히터(27)로 U자형의 시즈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아이스 트레이(11)와 접촉되는 면적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히터(27)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부분까지 열을 전달하여 아이스 트레이(11)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히터(27)가 동작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면, 제빙기(10)가 장착된 제빙실의 전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19)로 이빙시킨 후, 다시 제빙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할 때 아이스 트레이(11)를 제빙 온도로 냉각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로 인해, 한 싸이클(Cycle)의 제빙 공정을 완료하기 까지 걸리는 전체 제빙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제빙 공정에 소비되는 전력 소모가 많아지게 된다.
그리고, 히터(27)는 발열선(41)으로부터 아이스 트레이(11)까지의 열 전달 거리(약 3 ~ 4 mm)가 길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1)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고전력(예를 들어, 145 W)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전력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히터(27)는 직경이 약 6 ~ 8 mm로 크게 형성되면서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부면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부에 형성되는 에어 덕트(미도시)로부터 냉기가 공급되는 경우, 히터(27)가 냉기에 직접 노출될 뿐만 아니라, 냉기에 노출되는 면적이 크기 때문에 히터(27)의 온도 상승이 늦어지게 되고, 열 손실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히터(27)는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장부(11-1)와 코킹부(29) 사이에서 코킹부(29)에 형성된 돌기(29-1)에 의해 코킹(Caulking)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히터(27)의 코킹된 부위가 찌그러지면서 파손될 위험이 있게 된다.
또한, 히터(27)의 외주면은 강질의 금속 파이프(47)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히터(27)를 아이스 트레이(11)와 밀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그로 인해 히터(27)에서 아이스 트레이(11)로의 열 전달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빠른 시간에 아이스 트레이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면서 전력 소모 및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히터를 구비한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 수납부; 및 연질의 외피 또는 탄성력을 갖는 외피를 구비하여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 밀착되어 수납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히터와 아이스 트레이가 직접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고, 아이스 트레이의 전 영역에 걸쳐 히터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빙기가 장착된 제빙실의 전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로 이빙시킨 후, 다시 제빙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할 때 아이스 트레이를 제빙 온도로 냉각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한 싸이클(Cycle)의 제빙 공정을 완료하기 까지 걸리는 전체 제빙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제빙 공정에 소비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터와 아이스 트레이를 밀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열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는 열 전달 거리가 짧기 때문에, 저전력으로도 아이스 트레이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어 히터 자체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서 히터를 지지함으로써, 히터가 히터 수납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터를 히터 수납부 내에 밀폐시킴으로써, 아이스 트레이로 냉기가 공급되더라도 냉기가 히터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히터가 냉기로 인해 온도 상승이 늦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는 히터 수납부의 한 쌍의 돌기부 중 어느 하나의 돌기를 길게 형성함으로써, 히터의 동작이 오프된 경우, 아이스 트레이가 냉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 줄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아이스 트레이를 제빙 온도로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를 일측 또는 타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히터가 히터 수납부 내에 밀착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히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서 A-A'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에 히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가 히터 수납부에 수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가 히터 수납부에 수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히터 지지부에서 지지 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와 종래 기술에 따른 히터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히터 수납부가 형성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4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 이젝터(104), 히터(106), 아이스 뱅크(108), 및 가이드부(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젝터(104)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이젝터 축(104-1) 및 이젝터 축(104-1)에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 핀(104-2)을 포함한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빙 공간을 가진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제빙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분리된 각 제빙 공간은 이젝터 핀(104-2)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는 히터(106)를 수납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 수납부(12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히터 수납부(12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121-1) 및 한 쌍의 돌기부(121-1)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홈(121-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터 수납부(121)는 히터(106)를 수납할 수 있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 수납부(121)는 별도의 돌기부 없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납홈 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젝터(104)는 제빙이 완료된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108)로 이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이젝터 축(104-1)이 일정 방향(도 4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젝터 핀(104-2)이 이젝터 축(104-1)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이젝터 핀(104-2)에 의해 밀어 올려진 얼음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측부에 형성된 가이드부(110)를 타고 아이스 뱅크(108)로 낙하하게 된다.
히터(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히터 수납부(121)에 수납된다. 예를 들어, 히터(106)는 한 쌍의 돌기부(121-1) 사이에 형성된 수납홈(121-2)에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다. 히터(106)는 발열부(106-1) 및 발열부(106-1)를 감싸며 형성되는 절연부(106-2)를 포함한다.
발열부(106-1)는 전압이 인가되면 열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발열부(106-1)는 일반적인 열선(예를 들어, 니켈-크롬선 또는 구리-니켈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열부(106-1)는 열선에 유리 섬유가 감기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유리 섬유에 열선을 감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연부(106-2)는 히터(106)의 외피를 이루는 부분으로, 발열부(106-1)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절연부(106-2)는 연질의 절연 재질 또는 탄성력을 갖는 절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부(106-2)는 PVC, 실리콘, 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는 플렉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지므로, 히터(106)를 히터 수납부(121) 내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와 밀착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히터(106)로는 예를 들어, 코드 히터(Cord Heater)가 있을 수 있으나, 히터(106)의 종류가 코드 히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히터(106)로 코드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코드 히터는 플렉서블하고 직경을 작게(예를 들어, 2 ~ 4mm)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히터(106)를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형성할 때, 히터(106)와 아이스 트레이(102)가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히터(106)를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지그 재그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히터(106)와 아이스 트레이(102)가 접촉하는 면적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전체 영역에 걸쳐 히터(106)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히터(106)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지그 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히터(106)를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촘촘하게 배치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스파이럴 형태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히터 수납부(121)가 히터(106)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터 수납부(121)가 일정 간격마다 단절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히터(106)로 코드 히터를 사용하면, 히터(106)와 아이스 트레이(102)가 직접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할 수 있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전 영역에 걸쳐 히터(106)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02)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빙기(100)가 장착된 제빙실의 전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므로,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아이스 뱅크(108)로 이빙시킨 후, 다시 제빙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할 때 아이스 트레이(102)를 제빙 온도로 냉각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한 싸이클(Cycle)의 제빙 공정을 완료하기 까지 걸리는 전체 제빙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제빙 공정에 소비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터(106)는 발열부(106-1)로부터 아이스 트레이(102)까지의 열 전달 거리(약 1 ~ 2 mm)가 짧기 때문에, 저전력(예를 들어, 50 W)으로도 아이스 트레이(102)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어 히터(106) 자체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에 히터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히터의 말단에 리드선이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면, 히터(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형성된 히터 수납부(121)에 수납된다. 이때, 히터(106)의 말단은 전원의 공급을 위해 리드선(127)의 일단과 연결된다. 리드선(127)의 타단은 전원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히터(106)의 말단과 리드선(127)의 타단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몰딩부(125)를 통해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여기서, 몰딩부(125)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형성된 몰딩 수납홈(123)에 수납된다. 몰딩 수납홈(123)은 히터 수납부(121)의 수납홈(121-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몰딩 수납홈(123)은 몰딩부(125)가 몰딩 수납홈(123) 내에 수납되었을 때, 몰딩부(125)의 좌우로 여유 공간이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의 길이가 기준치 보다 조금 짧거나 길게 제작되더라도,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몰딩 수납홈(123) 내에서 몰딩부(125) 좌우에 존재하는 여유 공간은 히터(106)의 길이 오차에 따른 완충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가 히터 수납부에 수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a)를 참조하면, 수납홈(121-2)의 상단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수납홈(121-2)의 하단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106)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수납홈(121-2)과 히터(106)의 단면 형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 경우, 히터(106)의 상단 부분이 수납홈(121-2)의 상단과 접촉하여 히터(106)의 전체 면적 중 약 1/2이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촉하게 된다.
히터(106)와 수납홈(121-2)의 내벽 사이에는 밀착 유지 부재(131)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 유지 부재(131)는 히터(106)와 수납홈(121-2)의 내벽 사이에 빈 공간 또는 에어(Air)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밀착 유지 부재(131)는 히터(106)가 수납홈(121-2)의 내벽에 밀착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밀착 유지 부재(131)로는 예를 들어, 접착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를 수납홈(121-2)의 내벽에 밀착시키면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밀착 유지 부재(131)로 열 전도성 접착 부재를 사용하면, 히터(106)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로의 열 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홈(121-2) 하단에서 수납홈(121-2)의 내벽과 히터(106) 사이의 빈 공간에는 별도의 실링(Sealing) 부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의 열 손실을 줄이면서 히터(106)를 수납홈(121-2) 내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실링 부재(미도시)는 밀착 유지 부재(13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의 (b)를 참조하면, 수납홈(121-2)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히터(106)는 수납홈(121-2)과 대응되는 형태 즉,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히터(106)의 절연부(106-2)는 사출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수납홈(121-2)의 형태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히터(106)를 수납홈(121-2)에 삽입하면, 히터(106)의 전체 면적 중 약 3/4이 수납홈(121-2)과 접촉하게 되므로, 히터(106)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로의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터(106)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은 최소화하여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히터(106)는 수납홈(121-2)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히터(106)는 수납홈(121-2)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수납홈(121-2)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히터(106)의 절연부(106-2)를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절연 재질로 형성하면, 히터(106)를 압박하여 수납홈(121-2)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히터(106)를 수납홈(121-2)에 끼움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히터(106)가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된다. 그리고, 절연부(106-2)가 수납홈(121-2)의 내벽측으로 탄성력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구조물 없이도 히터(106)가 수납홈(121-2)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히터(106)가 사각형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c)를 참조하면, 수납홈(121-2)의 상단은 반원 형태로 형성되고, 수납홈(121-2)의 하단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106)는 수납홈(121-2)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납홈(121-2)과 히터(106)는 반원과 사각형의 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가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촉하는 면적은 넓히면서 히터(106)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은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히터(106)는 수납홈(12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a)에서는 히터(106)가 접착 방식을 통해 수납홈(121-2)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도 7의 (b) 및 (c)에서는 히터(106)가 끼움 결합 방식을 통해 수납홈(121-2)에 고정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히터(106)가 수납홈(121-2)에 고정되는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히터(106)는 끼움 결합 방식 및 접착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수납홈(121-2)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그 이외의 다양한 결합 방식을 사용하여 수납홈(12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가 히터 수납부에 수납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히터(106)의 외주면에는 보조 돌기(1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돌기(134)는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히터(106)를 수납홈(121-2)의 하부에 위치시킨 후 상부로 압박하면, 절연부(106-2)가 연질의 절연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조 돌기(137)가 수납홈(121-2)의 내벽에 의해 접혀져 히터(106)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삽입되게 된다. 히터(106)가 수납홈(121-2)에 삽입되면, 히터(106)는 보조 돌기(134)에 의해 수납홈(121-2) 내에 꽉 끼인 상태로 있게 되며, 그로 인해 히터(106)가 수납홈(121-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보조 돌기(134)가 한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개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수납홈(121-2) 내에는 보조 돌기(134)와 대응되는 보조 돌기 삽입홈(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히터(106)를 수납홈(121-2) 내에 삽입시키면, 보조 돌기(134)가 보조 돌기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면서 히터(106)를 고정 지지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형성되는 히터 지지부(112)를 더 포함한다. 히터 지지부(112)는 베이스 프레임(141) 및 베이스 프레임(141)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 리브(1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 리브(144)는 수납홈(121-2)(즉, 히터(106))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히터 지지부(112)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형성됨에 따라 히터(106)의 덮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히터 지지부(112)는 냉기를 아이스 트레이(102)로 공급하는 에어 덕트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 리브(144)들 사이의 공간이 냉기가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여기서는, 히터 지지부(112)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히터 지지부(112)의 형성되는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터 지지부(112)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지지 리브(144)의 말단에는 차폐부(147)가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147)는 지지 리브(144)의 말단에서 좌우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47)는 수납홈(121-2)의 입구를 막으며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히터(106)는 수납홈(121-2) 내에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있게 된다. 여기서는, 차폐부(147)가 지지 리브(144)의 말단에서 좌우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폐부(147)는 지지 리브(144)와 별개로 형성되어 지지 리브(144)의 말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
히터(106)는 수납홈(121-2) 내에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지지 리브(144)들 사이의 공간으로 냉기가 공급되더라도 냉기가 히터(106)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로 냉기를 공급하면서도 히터(106)의 온도 상승이 늦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히터(106)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히터 지지부에서 지지 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지지 리브(144)의 말단은 히터(106)와 접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리브(144)는 히터(106)를 지지하게 되며, 그로 인해 히터(106)가 수납홈(121-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지지 리브(144)의 말단에는 차폐부(14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47)는 수납홈(121-2)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히터(106)와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를 지지하면서 히터(106)를 외부와 확실히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지지 리브(144)의 말단에는 차폐부(147)가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147)는 수납홈(121-2)의 입구를 막으며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147)에는 히터(106)와 접촉하는 지지 돌기(147-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차폐부(147)가 히터(106)와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줌으로써, 히터(106)로 인해 차폐부(147) 및 지지 리브(14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히터 지지부(112)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차폐부(147)가 히터(106)와 접촉하면 히터(106)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차폐부(147) 및 지지 리브(144) 등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차폐부(147)에 지지 돌기(147-1)를 형성하여 차폐부(147)가 히터(106)와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주면, 히터(106)에서 차폐부(147)로 전달되는 열을 줄일 수 있어 히터(106)로 인해 차폐부(147) 및 지지 리브(14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의 (d)를 참조하면, 차폐부(147)는 지지 리브(144)의 말단에서 좌우로 한 쌍의 돌기부(121-1)의 하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147)는 히터(106) 및 한 쌍의 돌기부(121-1)와 각각 접촉하며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냉기가 히터(106)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뿐만 아니라, 히터(106)로 인해 차폐부(147) 및 지지 리브(14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차폐부(147)를 지지 리브(144)의 말단에서 좌우로 한 쌍의 돌기부(121-1)의 하부까지 연장하여 형성하면, 차폐부(147)의 열을 아이스 트레이(102)로 발열할 수 있기 때문에, 차폐부(147) 및 지지 리브(14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의 (e)를 참조하면, 차폐부(147)는 한 쌍의 돌기부(121-1)의 하단을 감싸며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차폐부(147)가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힘으로써, 차폐부(147)의 열을 아이스 트레이(102)로 보다 신속하게 발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납홈(121-2) 내에서 수납홈(121-2)의 내벽과 히터(106) 사이의 빈 공간에는 실링 부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를 수납홈(121-2) 내에 밀봉하여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실링 부재(미도시)가 일종의 완충 역할을 하여 차폐부(147) 및 지지 리브(144)가 히터(106)에서 발생하는 열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히터 수납부(121)는 한 쌍의 돌기부(121-1)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수평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가 수납홈(121-2) 내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전 영역에 걸쳐 균등하게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121-1)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수평하게 돌출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측면에 형성되는 히터 수납부(121)는 한 쌍의 돌기부(121-1)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수평하게 돌출하도록 형성하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히터 수납부(121)는 한 쌍의 돌기부(121-1)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수직하게 돌출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전 영역에 걸쳐 히터(106)를 균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이면서 아이스 트레이(102)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와 종래 기술에 따른 히터의 성능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제1 시간(t1)이 걸리는데 반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히터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시키는데 제1 시간(t1)보다 긴 제2 시간(t2)이 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히터(106)를 코드 히터와 같은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히터(106)가 아이스 트레이(102)와 직접 접촉하는 면적을 넓히고, 히터(106)를 아이스 트레이(102)의 전 영역에 걸쳐 형성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히터 지지부(112)를 통해 냉기가 히터(106)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였기 때문이다.
도 12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106)에서 사용되는 전력이 종래기술에 따른 히터에서 사용되는 전력보다 낮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106)는 열 전달 거리가 짧아 저전력으로도 아이스 트레이(102)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가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히터(106)를 사용하는 경우, 제빙실의 온도는 서서히 상승하되 온도의 상승폭이 크지 않은데 반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제빙실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서 온도의 상승폭도 큰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도 12의 (a) 및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106)는 아이스 트레이(102)를 기 설정된 온도까지 빠른 시간에 가열하면서 저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의 경우, 설명의 편의상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면이 위를 향하도록 나타내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히터 수납부(12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121-1) 및 한 쌍의 돌기부(121-1)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홈(1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102)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하나의 돌기는 다른 돌기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06)가 오프되었을 때, 아이스 트레이(102)의 냉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혀주어 아이스 트레이(102)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타측에 이르기까지 8개의 히터 수납부(121-① ~ 121-⑧)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8개의 히터 수납부(121)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 부분까지 제1 히터 수납부(121-①) 내지 제4 히터 수납부(121-④)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타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 부분까지 제5 히터 수납부(121-⑤) 내지 제8 히터 수납부(121-⑧)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히터 수납부(121-①) 내지 제4 히터 수납부(121-④)와 제5 히터 수납부(121-⑤) 내지 제8 히터 수납부(121-⑧)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 부분까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제1 히터 수납부(121-①) 내지 제4 히터 수납부(121-④)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제1 히터 수납부(121-①)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1 돌기(15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히터(106)의 직경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바라보았을 때, 히터(106)가 제1 히터 수납부(121-①) 내에 밀착되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히터 수납부(121-①)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제2 돌기(154)는 제1 돌기(151) 보다 긴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154)는 히터(106)가 동작되었다가 오프(OFF)된 경우, 히터(106)로 인해 가열된 아이스 트레이(102)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 시킨 후에는 다시 제빙수를 공급받아 얼음을 제조하여야 한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102)를 제빙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해서는 히터(106)로 인해 가열된 아이스 트레이(102)의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방출하여야 한다. 이에, 제2 돌기(154)를 제1 돌기(151)보다 긴 길이로 형성하여 아이스 트레이(102)가 냉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 줌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를 제빙 온도로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돌기(154)는 방열핀의 역할도 하게 된다.
여기서, 제1 히터 수납부(121-①)의 제2 돌기(154)는 제2 히터 수납부(121-②)의 제1 돌기(151)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1 히터 수납부(121-①)의 제2 돌기(154)를 제2 히터 수납부(121-②)의 제1 돌기(151) 보다 돌출하여 형성하면, 작업자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바라보았을 때, 히터(106)가 제2 히터 수납부(121-②) 내에 밀착되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제2 히터 수납부(121-②)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1 돌기(15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히터(106)의 직경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히터 수납부(121-①)의 제2 돌기(154)는 제2 히터 수납부(121-②)의 제1 돌기(151)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바라보았을 때, 히터(106)가 제2 히터 수납부(121-②) 내에 밀착되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 히터 수납부(121-②)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제2 돌기(154)는 제1 돌기(151) 보다 긴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돌기(154)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가 냉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혀 줌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의 방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 히터 수납부(121-②)의 제2 돌기(154)는 제3 히터 수납부(121-③)의 제1 돌기(151)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3 히터 수납부(121-③)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1 돌기(15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히터(106)의 직경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히터 수납부(121-②)의 제2 돌기(154)는 제3 히터 수납부(121-③)의 제1 돌기(151)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바라보았을 때, 히터(106)가 제3 히터 수납부(121-③) 내에 밀착되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3 히터 수납부(121-③)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제2 돌기(154)는 제1 돌기(151) 보다 긴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히터 수납부(121-③)의 제2 돌기(154)는 제4 히터 수납부(121-④)의 제1 돌기(151)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4 히터 수납부(121-④)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과 인접하게 형성된 제1 돌기(15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히터(106)의 직경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히터 수납부(121-③)의 제2 돌기(154)는 제4 히터 수납부(121-④)의 제1 돌기(151) 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바라보았을 때, 히터(106)가 제4 히터 수납부(121-④) 내에 밀착되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4 히터 수납부(121-④)에서 한 쌍의 돌기부(121-1) 중 제2 돌기(154)는 제1 돌기(151) 보다 긴 길이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5 히터 수납부(121-⑤) 내지 제8 히터 수납부(121-⑧)의 경우, 작업자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타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바라보았을 때, 히터(106)가 제5 히터 수납부(121-⑤) 내지 제8 히터 수납부(121-⑧) 내에 밀착되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돌기부(121-1)들이 형성되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빙기 102 : 아이스 트레이
104 : 이젝터 104-1 : 이젝터 축
104-2 : 이젝터 핀 106 : 히터
106-1 : 발열부 106-2 : 절연부
108 : 아이스 뱅크 110 : 가이드부
112 : 히터 지지부 121 : 히터 수납부
121-1 : 한 쌍의 돌기부 121-2 : 수납홈
123 : 몰딩 수납홈 125 : 몰딩부
127 : 리드선 131 : 밀착 유지 부재
134 : 보조 돌기
141 : 베이스 프레임 144 : 지지 리브
147 : 차폐부 147-1 : 지지 돌기
151 : 제1 돌기 154 : 제2 돌기

Claims (22)

  1.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 수납부; 및
    연질의 외피 또는 탄성력을 갖는 외피를 구비하여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 밀착되어 수납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코드 히터(Cord Heater)인, 제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지그 재그 또는 스파이럴 형태로 형성되는, 제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수납홈을 포함하며,
    상기 히터는, 상기 수납홈에 삽입되어 밀착되는, 제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수납홈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홈과 밀착되고, 다각형 및 다각형과 반원형이 조합된 형태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제빙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수납홈의 내벽과 상기 히터 사이에 형성되는 밀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유지 부재는,
    열 전도성 접착 부재인, 제빙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를 상기 수납홈 내에서 고정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 돌기를 포함하는, 제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는,
    상기 수납홈 내에 상기 보조 돌기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조 돌기가 삽입되는 보조 돌기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제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의 말단과 상기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리드선의 일단이 연결된 부위에 형성되는 몰딩부가 수납되는 몰딩 수납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몰딩 수납홈은, 상기 몰딩부의 좌우에 상기 히터의 길이 오차에 따른 완충 공간이 각각 형성되는, 제빙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서 상기 히터를 지지하는 히터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지지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히터와 접촉되어 상기 히터를 지지하는 지지 리브를 포함하는, 제빙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지지부는,
    상기 지지 리브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 수납부 내의 히터를 차폐시키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지지부는,
    상기 차폐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히터와 접촉하는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히터가 삽입되는 수납홈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수납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히터와 접촉되는, 제빙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히터가 삽입되는 수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빙기는, 상기 수납홈의 내벽과 상기 히터 사이의 빈 공간을 충진하며 형성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 및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가 삽입되는 수납홈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부는,
    상기 지지 리브의 말단에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에 접촉되어 상기 히터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상기 한 쌍의 돌기부를 통해 방열시키는, 제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수평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 및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히터가 삽입되는 수납홈을 포함하는, 제빙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서 상기 히터를 커버하며 충진되는 실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중 어느 하나의 돌기는 다른 하나의 돌기보다 길게 돌출되는, 제빙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는,
    반 원기둥 형상의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중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 또는 타측에 인접한 제1 돌기는 상기 히터의 직경과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되며,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중 제2 돌기는 상기 제1 돌기보다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빙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기부 중 제2 돌기는,
    이웃하는 상기 히터 수납부의 한 쌍의 돌기부 중 제1 돌기의 길이 이하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빙기.


KR1020130016318A 2012-12-10 2013-02-15 제빙기 KR2014007479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9639 WO2014092329A1 (ko) 2012-12-10 2013-10-28 제빙기
CN201390000975.3U CN204806755U (zh) 2012-12-10 2013-10-28 制冰机
US14/651,180 US20160003514A1 (en) 2012-12-10 2013-10-28 Ice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886 2012-12-10
KR20120142886 2012-12-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795A true KR20140074795A (ko) 2014-06-18

Family

ID=50934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318A KR20140074795A (ko) 2012-12-10 2013-02-15 제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316306A1 (ko)
KR (1) KR20140074795A (ko)
CN (1) CN204806754U (ko)
WO (1) WO2014092235A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16A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대창 다이렉트 접속 방식 고효율 이빙 히터를 구비하는 제빙기
WO2016148467A1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KR20160127541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KR20160148992A (ko) * 2015-06-17 2016-12-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CN106257214A (zh) * 2015-06-18 2016-12-28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冰箱的制冰机以及用于制冰机的制造方法
KR20160149410A (ko) * 2015-06-18 2016-12-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9411A (ko) * 2015-06-18 2016-12-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010051A (ko) * 2018-11-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30010056A (ko) * 2018-11-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US11874045B2 (en) 2018-11-16 2024-01-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874042B2 (en) 2018-11-16 2024-01-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US11885550B2 (en) 2018-11-16 2024-01-30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913700B2 (en) 2018-11-16 2024-02-27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946683B2 (en) 2018-11-16 2024-04-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59686B2 (en) 2018-11-16 2024-04-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2235A (ko) * 2015-11-04 2017-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20210356191A1 (en) * 2018-10-02 2021-11-1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US11578904B2 (en) * 2018-11-16 2023-02-14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WO2020101384A1 (en) * 2018-11-16 2020-05-22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52539A (en) * 1974-11-18 1976-04-27 General Motors Corporation Water tray for clear ice maker
JP3852609B2 (ja) * 2003-09-16 2006-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製氷装置、冷蔵庫
KR100690672B1 (ko) * 2005-03-14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면상히터를 구비한 제빙기
KR20060009405A (ko) * 2006-01-12 2006-01-31 이재한 개량된 히터를 가지는 제빙기
JP2008057896A (ja) * 2006-08-31 2008-03-13 Nidec Sankyo Corp 製氷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製氷装置
KR101669420B1 (ko) * 2010-01-04 2016-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9816A (ko) * 2015-03-13 2016-09-21 주식회사 대창 다이렉트 접속 방식 고효율 이빙 히터를 구비하는 제빙기
WO2016148467A1 (ko) * 2015-03-13 2016-09-22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KR20160127541A (ko) * 2015-04-27 2016-11-04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KR20160148992A (ko) * 2015-06-17 2016-12-2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CN106257214A (zh) * 2015-06-18 2016-12-28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冰箱的制冰机以及用于制冰机的制造方法
KR20160149410A (ko) * 2015-06-18 2016-12-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9411A (ko) * 2015-06-18 2016-12-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257164A (zh) * 2015-06-18 2016-12-28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冰箱的制冰机以及制造制冰机的方法
KR20160149412A (ko) * 2015-06-18 2016-12-2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719710B2 (en) 2015-06-18 2017-08-01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Ice maker of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57121B2 (en) 2015-06-18 2018-01-0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Ice maker of refrigerato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10228178B2 (en) 2015-06-18 2019-03-12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Ice maker of refrig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30010051A (ko) * 2018-11-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30010056A (ko) * 2018-11-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30010050A (ko) * 2018-11-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30010052A (ko) * 2018-11-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KR20230010049A (ko) * 2018-11-16 2023-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US11874045B2 (en) 2018-11-16 2024-01-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874042B2 (en) 2018-11-16 2024-01-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for refrigerator
US11885550B2 (en) 2018-11-16 2024-01-30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913700B2 (en) 2018-11-16 2024-02-27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11946683B2 (en) 2018-11-16 2024-04-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53254B2 (en) 2018-11-16 2024-04-0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11959686B2 (en) 2018-11-16 2024-04-16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4806754U (zh) 2015-11-25
US20150316306A1 (en) 2015-11-05
WO2014092235A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4795A (ko) 제빙기
KR20160150394A (ko) 씨즈 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
US20160003514A1 (en) Icemaker
ES2550139T3 (es) Refrigerador
JP6054639B2 (ja) 冷蔵庫
CA2413540C (en) Defroster for evaporator of refrigerator
KR20150146357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70052235A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0902544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11197906B (zh) 制冰机及具有该制冰机的冰箱
KR20160004880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030094279A (ko) 냉장고
KR102339583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5839224B2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11525619B2 (en) Defros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20160088777A (ko) 제빙기
KR102380399B1 (ko) 냉장고
CN115031484B (zh) 制冰机及具有该制冰机的冰箱
CN111197890A (zh) 制冰机及冰箱
KR102213215B1 (ko) 제빙기
KR20180090240A (ko) 제빙기
JP6223704B2 (ja) 冷蔵庫
CN114061234A (zh) 冰箱
US11428455B2 (en) Defros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JP2010032152A (ja) 除霜装置付き冷却器と除霜装置付き冷却器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冷却器を備えた物品貯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