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357A -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357A
KR20150146357A KR1020140138809A KR20140138809A KR20150146357A KR 20150146357 A KR20150146357 A KR 20150146357A KR 1020140138809 A KR1020140138809 A KR 1020140138809A KR 20140138809 A KR20140138809 A KR 20140138809A KR 20150146357 A KR20150146357 A KR 20150146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ice tray
ice
tray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to PCT/KR2014/00970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194706A1/ko
Priority to US15/112,185 priority patent/US10274240B2/en
Priority to CN201490001359.4U priority patent/CN206420209U/zh
Priority to PCT/KR2014/011857 priority patent/WO2015194718A1/ko
Priority to US15/516,032 priority patent/US10267551B2/en
Publication of KR2015014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3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Abstract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이젝터의 위치 및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및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되는 면상 히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ICE MAKER AND REFRIGERATOR WITH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상 히터를 구비한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구비한다. 이때,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빙기(10)는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면에 히터(27)를 구비한다. 히터(27)는 제빙이 완료되는 경우, 아이스 트레이(11)의 내측면과 단단히 결합되어 있는 얼음을 살짝 녹여주어 얼음이 이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히터(27)는 주로 U자 형상의 시즈 히터(Sheath Heater)를 사용하였다.
여기서, 히터(27)가 아이스 트레이(11)의 하부에서 U자 형상으로 선접촉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 열 전달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히터(27)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부분까지 열을 전달하여 아이스 트레이(11) 내의 얼음을 녹이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모되게 된다. 이때, 히터(27)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11)가 과하게 가열되기 때문에, 이빙 이후의 제빙 싸이클에서 아이스 트레이(11)를 제빙 온도로 다시 냉각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로 인해 제빙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시즈 히터는 시즈 히터의 과열 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온도 퓨즈와 시즈 히터 간의 연결이 복잡하고, 시즈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해당 구성들 간의 조립 및 결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6147호(2010.10.29)
본 발명의 실시예는 히터에서 아이스 트레이로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제빙 공정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제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되는 면상 히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 및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전극 패드가 마련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접속부의 일단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상기 제어 박스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제1부 및 면상 히터 제2부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상기 면상 히터 제1부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 사이에 외부로 노출되는 냉기 접촉 구간; 및 상기 면상 히터 제1부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의 발열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 히터 제1부의 일단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의 일단은 상기 전원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면상 히터 제1부의 타단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의 타단은 상호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제1부 및 면상 히터 제2부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상기 면상 히터 제1부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 사이에 외부로 노출되는 냉기 접촉 구간; 및 상기 면상 히터 제1부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의 발열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접속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박스의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어 박스 내에서 상기 전원 접속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접속부와 대응되는 측에 배치되며,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1차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2차적으로 밀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및 상기 면상 히터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면상 히터를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시키는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하여 상기 면상 히터를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시키는 히터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압박부는, 일측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면상 히터 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면상 히터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압박부는, 단열 특성, 절연 특성, 쿠션 특성, 열전도 특성, 및 탄성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수납부의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과 접촉하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 수납부의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과 접촉하는 면은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히터 압박부의 양측이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 고정되어 상기 면상 히터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면상 히터 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마련되는 탄성 부재일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면상 히터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되어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면상 히터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는 히터 커버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면상 히터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히터 커버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사이에 냉기 이동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중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면상 히터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중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2 면상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면상 히터 및 상기 제2 면상 히터 사이에 마련되는 히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히터 커버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면상 히터 및 상기 제2 면상 히터를 압박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히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히터 수납부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할 수 있다.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면상 히터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면상 히터와 상기 히터 압박부 사이에 마련되는 내열 부재 또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 및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에 마련되는 단열 부재, 절연 부재, 쿠션 부재, 내열 부재, 및 열전도 부재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폴리이미드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 또는 열전도 분말을 포함하는 접착 페이스트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접속부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메탈 PCB,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의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속부는, 상기 면상 히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발열체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전원 접속부에 마련되고, 상기 발열체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제1-1 전극 패드; 및 상기 전원 접속부에 마련되고, 상기 발열체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제1-2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1 전극 패드 또는 상기 제1-2 전극 패드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부분이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제1-1 전극 패드 또는 상기 제1-2 전극 패드의 이격된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전원 차단부는, 온도 퓨즈 또는 바이메탈일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의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속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면상 히터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면상 히터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고, PCB, 메탈 PCB,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금속 박막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박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체는, 0 초과 0.5 mm 이하 두께의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어 박스 내에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젝터의 회전 위치, 상기 이젝터의 동작 시간,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면상 히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의 외피는, 전자선 조사로 가교 처리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의 외측에는 상기 면상 히터를 감싸며 수축 튜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면상 히터를 관통하는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의 하면에서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절연 부재의 일측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밀착되고, 상기 발열체의 일단은 상기 전원 접속부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상기 전원 접속부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발열 밀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단,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타단,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발열 밀도가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발열 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폐루프 형태 또는 일부가 개방된 루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박스의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어 박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면상 히터와 대응되는 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격벽 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상기 면상 히터의 몸체보다 상기 일측으로 더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단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단면부에 상기 전원 차단부와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전원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는, DC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면접촉하여 마련되므로, 아이스 트레이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면상 히터에서 아이스 트레이로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적은 열량 및 짧은 가동 시간으로도 아이스 트레이의 내측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면상 히터의 타면에 단열 부재를 마련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의 외측으로 새어나가는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착 부재 또는 히터 압박부를 통해 면상 히터를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시킴으로써, 면상 히터에서 아이스 트레이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면상 히터를 박형으로 제조하여 면상 히터의 열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면상 히터를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고, 면상 히터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젝터의 회전 위치 또는 이젝터의 동작 시간 경과에 따라 제1 면상 히터 및 제2 면상 히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의 내주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녹이는데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면상 히터를 PCB 또는 메탈 PCB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여 모듈형으로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회로를 통해 전원 차단부 및 온도 센서 등을 전원 접속부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제어 박스에 마련된 커넥터와 접속하도록 함으로써, 면상 히터의 전원 공급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고,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를 커넥터에 용이하게 접속(즉, 원터치 접속이 가능) 또는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됨으로써, 제어 박스 내의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원 차단부 및 온도 센서 등을 면상 히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서로 인접하여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용 제빙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있어서, 히터 수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에 히터 압박부가 형성되는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 압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 압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 압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 커버에 히터 압박부가 마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제어 박스 내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에서 전원 접속부의 상하 장변에 각각 요홈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서 A-A' 부분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면상 히터가 제어 박스 내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전원 차단부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 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 이젝터(104), 히터 수납부(106), 면상 히터(108), 및 제어 박스(110)를 포함한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빙 공간을 가진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제빙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분리된 각 제빙 공간은 이젝터 핀(104-2)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주면은 이젝터 핀(104-2)이 회전하여 얼음을 이빙할 수 있도록 이젝터 핀(104-2)의 길이에 대응하는 반경을 가지는 반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젝터(104)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젝터(104)는 제어 박스(108) 내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이젝터 축(104-1) 및 이젝터 축(104-1)에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 핀(104-2)을 포함한다. 이젝터 핀(104-2)은 이젝터 축(104-1)을 중심으로 소정 방향(예를 들어,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게 된다.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수납부(106)는 면상 히터(108)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수납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히터 수납부(106)에서 면상 히터(108)가 장착되는 면(즉, 수납홈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곡선으로 마련된다. 그런데, 곡선 형상의 면에 면상 히터(108)를 장착하게 되면 면상 히터(108)의 발열체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히터 수납부(106)에서 면상 히터(108)가 장착되는 면을 평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면상 히터(108)의 발열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히터 수납부(106-1) 및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2 히터 수납부(106-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일측면은 이젝터 핀(104-2)의 홈 위치(즉, 시작 위치)와 대응되는 측면을 말하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타측면은 상기 일측면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측면을 말한다.
면상 히터(108)는 히터 수납부(106)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마련되게 된다.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소정 면적에 걸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박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상 히터(108)의 두께는 0 초과 1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면상 히터(108)의 두께의 하한은 면상 히터(108)를 구성하는 발열체 및 절연 부재 등의 재질에 따라 당업자의 수준에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를 박형으로 제조하여 면상 히터(108)의 열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면상 히터(108)를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면상 히터(108)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면상 히터(108)는 예를 들어,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상 히터(108)는 발열체(108a), 절연 부재(108b), 및 전원 접속부(108c)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108a)는 면상 히터(108)의 전 면적에 걸쳐 마련되어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체(108a)는 지그 재그 형태로 면상 히터(108)의 전 면적에 걸쳐 마련될 수 있다. 발열체(108a)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박막, 백금 박막, 텅스텐 박막, 니켈 박막 등의 금속 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열체(108a)는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탄소 나노 플레이트 등을 박막 코팅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발열체(108a)의 두께는 0 초과 0.5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체(108a)의 두께의 하한은 발열체의 재질에 따라 당업자의 수준에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절연 부재(108b)는 발열체(108a)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절연 부재(108b)는 폴리이미드 또는 그래핀(Graphen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체(108a)가 높은 온도로 상승하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발열체(108a)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 부재(108b)는 그 이외의 다양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 부재(108b)는 필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 부재(108b)는 발열체(108a)의 일면에서 발열체(108a)를 감싸며 마련되는 제1 절연 부재 및 발열체(108a)의 타면에서 발열체(108a)를 감싸며 마련되는 제2 절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는 면상 히터(108)의 종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메탈 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에는 발열체(108a)의 양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패드(108c-1)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에서 발열체(108a)가 연결되는 전극 패드(108c-1) 부분에는 전극 패드(108c-1)를 감싸며 절연 부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는 제어 박스(110) 내에 마련되는 커넥터(110a)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접속부(108c)의 전극 패드(108c-1)가 커넥터(110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는 커넥터(110a)를 통해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원 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발열체(108a)에 인가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공급부(미도시)는 제어 박스(110) 내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빙기(100)가 장착되는 냉장고의 다른 부분(예를 들어, 냉장고 제어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면상 히터(108)는 히터 수납부(106) 내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에 접착되어 밀착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제1 히터 수납부(106-1)에 수납되어 장착되는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히터 수납부(106-2)에 수납되어 장착되는 제2 면상 히터(10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상 히터(108-1)의 일면(즉, 아이스 트레이(102)와 대면하는 면)에는 제1 접착 부재(11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면상 히터(108-1)는 제1 접착 부재(112-1)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제2 면상 히터(108-2)의 일면(즉, 아이스 트레이(102)와 대면하는 면)에는 제2 접착 부재(11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면상 히터(108-2)는 제2 접착 부재(112-2)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112-1) 및 제2 접착 부재(112-2)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접착 부재(112-1) 및 제2 접착 부재(112-2)는 열전도 분말을 포함하는 접착 페이스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를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에서 발생하는 열을 아이스 트레이(102)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의 타면에는 각각 제1 단열 부재(114-1) 및 제2 단열 부재(114-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단열 부재(114-1) 및 제2 단열 부재(114-2)는 각각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에서 발생하는 열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에서 발생하는 열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측으로 전달되는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제1 단열 부재(114-1) 및 제2 단열 부재(114-2)의 표면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면접촉하여 마련되므로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로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적은 열량 및 짧은 가동 시간으로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측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를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양측면에 마련하고,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의 타면에 제1 단열 부재(114-1) 및 제2 단열 부재(114-2)를 마련함으로써,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를 통해 열기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측 전체 영역으로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저면부에는 냉기 접촉 구간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제1 면상 히터(108-1)와 제2 면상 히터(108-2) 사이의 영역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냉기 접촉 구간은 아이스 트레이(102)가 제빙실 내의 냉기와 접촉하는 영역으로,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가 빠른 시간 내에 제빙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가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하여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주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살짝 녹여주면, 이젝터(104)가 회전하여 얼음을 아이스 뱅크(미도시)로 이빙시키게 된다. 그 후, 아이스 트레이(102) 내로 제빙수를 공급하여 제빙 공정을 다시 수행하게 된다. 이때, 냉기 접촉 구간을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가 제빙실 내의 냉기와 접촉하는 영역을 확보하여 줌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가 빠른 시간 내에 제빙 온도에 도달하도록 하며, 그로 인해 전체 제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제어 박스(11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와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에는 제빙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박스(110)에는 이젝터(10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빙 모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에는 이빙 모터(미도시) 및 면상 히터(108)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이젝터(104)의 회전 위치 또는 이젝터(104)의 동작 시간 경과에 따라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빙 온도(즉,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완빙되는 온도)에 도달하면,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를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기 시작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의 위치가 제1 면상 히터(108-1)를 지나는 경우(즉, 이젝터(104)가 냉기 접촉 구간에 접어드는 경우), 제1 면상 히터(108-1)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을 녹이는데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제어부(미도시)는 위치 센서(미도시)를 통해 이젝터(104)의 홈 위치를 확인한 후 이빙 모터(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수를 누적하여 연산함으로써, 현재 이젝터(104)의 위치(즉, 이젝터 핀(104-2)의 회전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제어부(미도시)가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를 모두 온(ON) 시킨 후, 이젝터(104)가 제1 면상 히터(108-1)를 지났을 때 제1 면상 히터(108-1)를 오프(OFF)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미도시)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가 기 설정된 제빙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제1 면상 히터(108-1)만 동작시키고, 이젝터(104)가 제1 면상 히터(108-1)를 지났을 때 제1 면상 히터(108-1)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2 면상 히터(108-2)를 온 시킬 수도 있다. 또는, 이젝터(104)가 제1 면상 히터(108-1)를 지났을 때 제1 면상 히터(108-1)를 오프시키고, 이젝터(104)가 제2 면상 히터(108-2)를 지나기 전(즉, 이젝터(104)가 냉기 접촉 구간에 위치하는 동안)에 제2 면상 히터(108-2)를 온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어부(미도시)가 이젝터(104)의 위치에 따라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를 회전시킨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는 면상 히터(108)의 일면에 접착 부재(112)가 마련되고 면상 히터(108)의 타면에 단열 부재(114)가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면상 히터(108)의 타면에는 절연 필름이 밀착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면상 히터(108)의 타면에는 쿠션 기능, 열 전도 기능, 내열 기능, 및 절연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밀착 부재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면상 히터(108)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면접촉하여 마련되므로,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면상 히터(108)에서 아이스 트레이(102)로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적은 열량 및 짧은 가동 시간으로도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측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면상 히터(108)의 타면에 단열 부재(114)를 마련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측으로 새어나가는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면상 히터(108)를 박형으로 제조하여 면상 히터(108)의 열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면상 히터(108)를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고, 면상 히터(108)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젝터(104)의 회전 위치 또는 이젝터(104)의 동작 시간 경과에 따라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주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녹이는데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 있어서, 히터 수납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히터 수납부(106-1)를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히터 수납부(106-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수납 돌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 히터 수납부(106-1)는 제1 면상 히터(108-1)의 양측이 제1 히터 수납부(106-1)의 내벽에 안착되도록 제1 면상 히터(108-1)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제1 면상 히터(108-1)가 장착되는 면을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면상 히터(108-1)가 장착되는 면은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아이스 트레이(102)의 원래 형상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제1 면상 히터(108-1)의 발열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 면상 히터(108-1)의 일면에는 제1 접착 부재(112-1)가 마련되어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착될 수 있다. 제1 면상 히터(108-1)의 타면에는 제1 단열 부재(114-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히터 수납부(106-1)는 제1 접착 부재(112-1)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1 면상 히터(108-1)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히터 압박부(116) 및 탄성 부재(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는 히터 수납부(106)가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수납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히터 수납부(106)에서 면상 히터(108)가 장착되는 면(즉, 수납홈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히터 수납부(106)가 면상 히터(108)를 수납하는 수납홈의 형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수납 돌기부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히터 압박부(116)는 면상 히터(108)의 타측에서 면상 히터(108)를 압박하여 면상 히터(108)가 아이스 트레이(102)에 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히터 압박부(116)는 면상 히터(108)의 전체 면적을 압박하도록 면상 히터(108)의 전체 면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히터 압박부(116)는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면상 히터(10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의 일면(즉, 면상 히터(108)와 대면하는 면)에는 단열 부재(114)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8)는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히터 수납부(106)의 상측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는 탄성 부재(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8)는 히터 압박부(116)가 면상 히터(108)를 압박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 부재(118)는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히터 압박부(116)에 탄성력을 제공해준다.
히터 압박부(116)를 잡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측 방향(도 5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히터 수납부(106)에 면상 히터(108)를 위치시킨다. 이때, 탄성 부재(11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측 방향(도 5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히터 압박부(116)를 놓으면 히터 압박부(116)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면상 히터(108)의 타면을 압박하게 된다. 이 경우,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도 면상 히터(108)를 아이스 트레이(102)에 밀착시켜 열 전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는, 탄성 부재(118)가 히터 수납부(106)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 부재(118)는 히터 수납부(106)의 하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에 히터 압박부가 형성되는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8)는 면상 히터(108)의 상측에서 면상 히터(108)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는 탄성 부재(118)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면상 히터(108)의 전체 면적을 압박하도록 면상 히터(108)의 전체 면적과 대응하여 마련될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부재(118)는 면상 히터(108)의 상측에서 면상 히터(10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하여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는 복수 개의 탄성 부재(118)들과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히터 압박부(116)는 면상 히터(108)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 구간마다 면상 히터(108)를 압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 압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마련되는 수납 돌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소정 간격(예를 들어, 면상 히터(108)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 이격되는 한 쌍의 수납 돌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히터 수납부(106)는 면상 히터(108)의 양측이 히터 수납부(106)의 내벽에 안착되도록 면상 히터(108)와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히터 압박부(116)의 양측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히터 수납부(106)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면상 히터(108)의 타면을 압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로는 예를 들어, 판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의 일면 또는 면상 히터(108)의 타면에는 단열 부재(114)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히터 수납부(106)가 수납 돌기부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히터 수납부(106)는 수납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 압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부(141) 및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마련되는 히터 커버(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41)는 이젝터(104)가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경우, 이빙된 얼음을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마련되는 아이스 뱅크(미도시)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14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부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커버(14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구비하며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커버(143)와 아이스 트레이(102)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냉기가 이동할 수 있다. 히터 커버(143)는 면상 히터(108)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 히터 압박부(116-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면상 히터(108-1)를 압박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히터 압박부(116-1)는 가이드부(141)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연장되고, 제1 면상 히터(108-1)의 타면을 압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면상 히터(108-1)와 제1 히터 압박부(116-1) 사이에 단열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히터 압박부(116-2)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2 면상 히터(108-2)를 압박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2 히터 압박부(116-2)는 히터 커버(143)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연장되고, 제2 면상 히터(108-2)를 압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2 면상 히터(108-2)와 제2 히터 압박부(116-2) 사이에 단열 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히터 압박부(116-1)가 가이드부(141)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제2 히터 압박부(116-2)가 히터 커버(143)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 히터 압박부(116-1) 및 제2 히터 압박부(116-2)가 모두 히터 커버(143)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히터 커버(14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서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 커버(143)와 아이스 트레이(102) 사이의 공간으로 냉기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히터 압박부(116-1) 및 제2 히터 압박부(116-2)는 히터 커버(143)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면상 히터(108-1) 및 제2 면상 히터(108-2)를 압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 압박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발열체(108a) 및 절연 부재(108b)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는 히터 수납부(106)에 수납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의 일면은 아이스 트레이(102)와 대면하여 마련된다. 면상 히터(108)의 일면은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촉하여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상 히터(108)와 아이스 트레이(102)의 사이에 접착 부재(예를 들어, 접착 필름 등)가 마련될 수도 있다. 히터 압박부(116)는 히터 커버(143)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연장되어 면상 히터(108)의 타면을 압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는 히터 수납부(106)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히터 압박부(116)에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돌기(116a)가 마련될 수 있다. 압박 돌기(116a)는 히터 압박부(116)에서 면상 히터(108) 측으로 돌출되고, 면상 히터(108)의 타면을 압박하게 된다. 압박 돌기(116a)의 종단은 면상 히터(108)의 타면과 면접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박 돌기(116a)는 사다리꼴 형상 또는 정사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박 돌기(116a)는 삼각형 또는 반원형 등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발열체(108a) 및 절연 부재(108b)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수납홈의 형태로 마련되는 히터 수납부(106) 내에 수납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는 히터 커버(143)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연장되어 면상 히터(108)의 타면을 압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와 히터 압박부(116) 사이에는 밀착 부재(142)가 마련될 수 있다. 밀착 부재(142)는 예를 들어, 필름 형태의 절연 부재 또는 내열 부재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쿠션 부재(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 등)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히터 커버에 히터 압박부가 마련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면에 형성된 히터 수납부(106)에 수납될 수 있다. 히터 수납부(106)는 반원호 형상의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중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부에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수납부(106)에서 면상 히터(108)와 대면하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영역은 평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커버(14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3-1), 베이스 플레이트(143-1)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143-2), 베이스 플레이트(143-1)의 타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143-3), 및 베이스 플레이트(143-1)의 중심부에서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연장되는 지지 플레이트(14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 압박부(116)는 지지 플레이트(143-4)에서 면상 히터(108)를 압박하며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는 면상 히터(108)와 대응하도록 지지 플레이트(143-4)에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지지 플레이트(143-4)와 제1 측면 플레이트(143-2) 사이에 제1 냉기 이동 유로(S1)가 마련되고, 지지 플레이트(143-4)와 제2 측면 플레이트(143-3) 사이에 제2 냉기 이동 유로(S2)가 마련되게 된다.
도 10의 (b)는 히터 커버(14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히터 커버(14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43-1), 베이스 플레이트(143-1)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143-2) 및 베이스 플레이트(143-1)의 타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14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히터 압박부(116)는 히터 수납부(106)(또는 면상 히터(108))와 대응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43-1) 부분이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돌출되어 면상 히터(108)를 압박하면서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압박부(116)와 제1 측면 플레이트(143-2) 사이에 제1 냉기 이동 유로(S1)가 마련되고, 히터 압박부(116)와 제2 측면 플레이트(143-3) 사이에 제2 냉기 이동 유로(S2)가 마련되게 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발열체(108a), 절연 부재(108b), 및 전원 접속부(108c)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또는 메탈 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에는 제1 전극 패드(121), 전원 차단부(123), 및 절연층(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패드(121)는 발열체(108a)의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 전극 패드(121-1) 및 제1-1 전극 패드(121-1)와 이격하여 마련되고 발열체(108a)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 전극 패드(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 패드(121)는 제어 박스(110) 내에 마련되는 커넥터(110a)에 접속될 수 있다. 제1-2 전극 패드(121-2)는 발열체(108a)의 타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커넥터(110a)에 접속되는 부분이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23)는 제1-2 전극 패드(121-2)의 상호 이격된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1 전극 패드(121-1)가 상호 이격하여 마련되고, 전원 차단부(123)가 제1-1 전극 패드(121-1)의 상호 이격된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될 수도 있다. 전원 차단부(123)는 발열체(108a)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발열체(108a)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 차단부(123)는 예를 들어, 온도 퓨즈 또는 바이메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별도의 온도 센서 없이도 전원 차단부(123)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 차단부(123)는 발열체(108a)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발열체(108a)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상 히터(108)를 PCB 또는 메탈 PCB로 이루어지는 전원 접속부(108c)를 포함하여 모듈형으로 마련함으로써, 간단한 구조 및 회로를 통해 전원 차단부(123)를 전원 접속부(108c)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절연층(125)은 전원 접속부(108c) 상에서 발열체(108a), 전극 패드(121), 및 전원 차단부(123)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절연층(125)은 발열체(108a), 전극 패드(121), 및 전원 차단부(123)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절연층(125)은 전극 패드(121) 중 커넥터(110a)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마련되지 않게 된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에는 제2 전극 패드(131) 및 온도 센서(133)가 마련될 수 있다. 온도 센서(133)는 면상 히터(108)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3)는 제2 전극 패드(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전극 패드(131)는 제어 박스(110) 내에 마련되는 커넥터(110a)에 접속된다. 온도 센서(133)는 측정한 온도 정보를 커넥터(110a)를 통해 제어부(미도시)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면상 히터(108)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발열체(108a)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 차단부(123)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전원 차단부(123)는 스위치 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온도 센서(13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면상 히터(108)의 외피는 전자선 조사로 가교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상 히터(108) 중 절연 부재(108b)에 별도의 절연층이 형성되고, 상기 절연층에 전자선 조사로 가교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절연 부재(108b)가 전자선 조사로 가교 처리된 EVA(Ethylene Vinyl Acetate) 또는 PE(Polyeth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절연 부재(108b)가 PE(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절연 부재(108b)에 가속 전자선을 조사하면 폴리에틸렌 체인(PE Chain)에서 H 이온이 해리되면서 라디칼이 생성되며, 라디칼들의 결합에 의해 가교가 진행되게 된다. 이때, 폴리에틸렌은 라디칼의 결합에 의해 망상 구조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절연 부재(108b)의 내열 온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면상 히터(108)의 취성(脆性)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면상 히터(108)의 외피는 수축 튜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상 히터(108) 중 절연 부재(108b)를 감싸며 수축 튜브를 마련할 수 있다. 또는, 절연 부재(108b)로 수축 튜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축 튜브는 전자선 조사로 가교 처리된 수축 튜브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마련된 히터 수납부(106)에 수납되어 장착될 수 있다.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에는 면상 히터(108)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 접속부(108c)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접속부(108c)의 일측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전원 접속부(108c)의 타측은 제어 박스(미도시)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의 타측은 제어 박스(미도시) 내부로 삽입되어 제어 박스(미도시) 내의 커넥터와 접속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일체의 PCB 또는 메탈 PC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전원 접속부(108c)만 PCB 또는 메탈 PCB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발열체(108a)도 전원 접속부(108c)에서 연장된 PCB 또는 메탈 PCB 상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절연 부재(108b)는 상기 연장된 PCB 또는 메탈 PCB 상에서 발열체(108a)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제어 박스 내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는 제어 박스(110)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의 내부에는 이젝터 축(104-1)을 회전시키는 이빙 모터(23)가 마련될 수 있다. 이빙 모터(23)와 이젝터 축(104-1)은 일련의 기어들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의 내부에는 제빙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보드(25)가 마련될 수 있다. 메인 보드(25)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인 보드(25)에는 커넥터(110a)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는, 메인 보드(25)에 커넥터(110a)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110a)는 전원을 공급하는 별도의 인쇄회로기판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어 박스(110)의 하우징(21)에는 관통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22)은 하우징(21)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와 대면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는 관통공(22)으로 삽입되어 커넥터(110a)에 접속되게 된다. 즉,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접속부(108c)의 일측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장착되고, 전원 접속부(108c)의 타측은 제어 박스(110)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전원 접속부(108c)의 돌출된 타측이 관통공(22)으로 삽입되어 커넥터(110a)에 접속되게 된다. 커넥터(110a)에는 전원 접속부(108c)의 전극 패드(108c-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미도시)가 마련된다. 면상 히터(108)는 별도의 리드 선(또는 인출 선) 없이 커넥터(110a)와 직접 접속되게 된다.
커넥터(110a)는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면상 히터(108)는 커넥터(110a)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즉, 커넥터(110a)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전원 접속부(108c)에 인가되어 발열체(108a)를 동작시키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는 장착 가이드부(148)가 마련될 수 있다. 장착 가이드부(148)는 제1 장착 가이드부(148-1) 및 제2 장착 가이드부(14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착 가이드부(148-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하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 장착 가이드부(148-1)는 하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내측에 가이드 홈이 마련되게 된다. 제2 장착 가이드부(148-2)는 제1 장착 가이드부(148-1)의 하측에서 제1 장착 가이드부(148-1)와 이역되어 마련된다. 제2 장착 가이드부(148-2)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고 상측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 장착 가이드부(148-2)는 상측으로 절곡됨에 따라 내측에 가이드 홈이 마련되게 된다. 제1 장착 가이드부(148-1) 및 제2 장착 가이드부(148-2)는 상하 대칭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장착 가이드부(148-1) 및 제2 장착 가이드부(148-2)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1 장착 가이드부(148-1) 및 제2 장착 가이드부(148-2) 중 적어도 하나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발열체(108a), 절연 부재(108b), 및 전원 접속부(108c)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108a) 및 절연 부재(108b)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마련된 히터 수납부(106)에 수납될 수 있다. 발열체(108a)는 전원 접속부(108c)에 형성되는 전극 패드(108c-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전원 접속부(108c)는 장착 가이드부(148)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접속부(108c)는 제1 장착 가이드부(148-1) 및 제2 장착 가이드부(148-2) 사이로 삽입되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원 접속부(108c)가 커넥터(110a)에 삽입되어 접속될 때, 제어 박스(110)와 아이스 트레이(102) 사이에는 패킹 부재(146)가 마련될 수 있다. 패킹 부재(146)는 관통공(22)을 밀폐시키며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원 접속부(108c)의 돌출된 타측이 관통공(22)으로 삽입되어 커넥터(110a)에 접속되는 경우, 패킹 부재(146)는 관통공(22)을 밀폐시키며 마련될 수 있다. 패킹 부재(146)는 전원 접속부(108c)의 커넥터(110a) 삽입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표면을 가지며 마련될 수 있다. 패킹 부재(146)에는 전원 접속부(108c)의 단부가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홀(146a)이 형성된다. 패킹 부재(146)는 전원 접속부(108c)가 커넥터(110a)에 접속되는 경우, 관통공(22)을 밀폐시킴으로써 제어 박스(110) 내부로 아이스 트레이(102)의 냉기 또는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는, 패킹 부재(146)를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킹 부재(146)는 관통공(22)의 형상에 따라 관통공(22)을 밀폐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접속부(108c)는 상하 장변들 각각에 형성된 요홈(147)을 구비하여 전원 접속부(108c)에 끼워진 패킹 부재(146)가 요홈(147)에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패킹 부재(146)는 삽입홀(146a)에 의해 전원 접속부(108c)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다. 이때, 패킹 부재(146)의 삽입홀(146a)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전원 접속부(108c)의 상하 장변들에 형성된 요홈(147)에 걸림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홀(146a)의 길이는 전원 접속부(108c)의 단면 길이보다 조금 짧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면상 히터(108)가 커넥터(110a)에 끼워질 때 또는 커넥터(110a)로부터 뽑아질 때 전원 접속부(108c) 상에서 패킹 부재(146)의 위치가 고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면상 히터(108)가 수리 등을 위해서 커넥터(110a)로부터 뽑아진 다음 다시 커넥터(110a)에 삽입되더라도, 패킹 부재(146)의 위치에 변화가 없으므로, 패킹 부재(146)가 관통공(22)을 정확하게 밀폐할 수 있다.
요홈(147)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전원 접속부(108c)의 상하 장변들(가장자리 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으나, 두 개중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며, 전원 접속부(108c)의 일 내지 양 표면에 그루브(groove)나 노치(notch)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절연층(125)은 패킹 부재(146)가 전원 접속부(108c)에 장착되는 위치보다 더 전원 접속부(108c)의 단부로 연장되어 마련됨으로써, 면상 히터(108)가 커넥터(110a)에 연결되었을 때, 전극 패드(108c-1)가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장착된 면상 히터(108)가 제어 박스(110) 내의 커넥터(110a)에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제빙기(100)의 조립 시 면상 히터(108)의 장착이 용이하고, 또한, 제빙기(100)의 사용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면상 히터(108)의 수리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히터 수납부(106)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히터 수납부(106)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단(즉, 제어 박스(110)와 대향하는 단)에서부터 아이스 트레이(102)의 타단 방향으로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히터 수납부(106)에는 면상 히터(108) 중 발열체(108a) 및 절연 부재(108b)가 수납될 수 있다. 또한, 히터 수납부(106)에는 면상 히터(108) 중 전원 접속부(108c)의 일부분이 수납될 수 있다. 히터 수납부(106)의 전원 접속부(108c)가 삽입되는 부분에는 히터 수납부(106)에서 연장되어 장착홈(15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접속부(108c)의 양측에는 장착홈(150)과 대응되는 돌기(1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면상 히터(108)는 전원 접속부(108c)의 커넥터(110a)로의 삽입 방향(또는 그 반대 방향)에 대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원 접속부(108c)는 결합 부재(127)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부재(127)는 볼트 또는 나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전원 접속부(108c)는 결합 부재(127)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와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27)는 전원 접속부(108c)를 관통하여 전원 접속부(108c)를 아이스 트레이(102)와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전원 접속부(108c)에는 삽입홀(129)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홀(129)은 전원 접속부(108c)의 두께 방향으로 전원 접속부(108c)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의 발열체(108a) 및 절연 부재(108b)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발열체(108a) 및 절연 부재(108b)의 일단부는 전원 접속부(108c)의 하부에서 전원 접속부(108c)에 의한 압박으로 아이스 트레이(102)와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108a)의 일단부는 삽입홀(129)로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된 후 전극 패드(108c-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발열체(108a) 및 절연 부재(108b)의 전 영역을 아이스 트레이(102)에 밀착시키면서 발열체(108a)와 전극 패드(108c-1)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절연층(미도시)은 외부로 노출된 발열체(108a) 및 전극 패드(108c-1)의 일부분을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전 영역이 PCB(Printed Circuit Board)(또는 메탈 PCB)(1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면상 히터(108)의 베이스 부재가 PCB(또는 메탈 PCB)(15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PCB(154)의 일면에 전극 패드(108c-1) 및 발열체(108a)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 패드(108c-1) 및 발열체(108a)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발열체(108a)를 0 초과 0.5mm 이하의 금속 박막으로 형성한 후, PCB(154)의 일면에 접착제(158)를 통해 접착시킬 수도 있다. PCB(154)의 일면에는 발열체(108a)를 감싸며 절연 부재(108b)가 마련될 수 있다. 전극 패드(108c-1)의 커넥터(110a)와 접속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된다. 면상 히터(108)의 발열체(108a)가 형성된 부분(즉, 커넥터(110a)와 접속되는 전극 패드(108c-1)를 제외한 부분)은 수축 튜브(156)로 감싸질 수 있다. 수축 튜브(156)는 전자선 조사로 가교 처리된 것일 수 있다. 면상 히터(108)에는 면상 히터(108)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127)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127)는 면상 히터(108)가 아이스 트레이(102)에 장착되는 경우, 면상 히터(108)를 아이스 트레이(102)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에 마련되는 전극 패드(108c-1)는 위치에 따라 폭 또는 면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패드(108c-1) 중 커넥터(110a)와 접속되는 부분은 아이스 트레이(102)와 장착되는 부분 보다 면적 또는 폭이 넓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드(108c-1)의 폭이 발열체(108a)의 폭보다 넓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19에서는 발열체(108a)와 연결되는 전극 패드(108c-1) 부분이 발열체(108a)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극 패드(108c-1)는 발열체(108a)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면상 히터(108)는 위치에 따라 발열 밀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즉, 면상 히터(108)는 단위 면적당 발열체(108a)의 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면상 히터(108)의 위치에 따라 발열 밀도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단에는 제어 박스(110)가 아이스 트레이(102)와 대향하여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타단부 상측에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로 제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6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발열 밀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상 히터(108) 중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단부 및 아이스 트레이(102)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발열 밀도(예를 들어, 발열체의 단위 면적당 밀도 등)가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단부에는 제어 박스(110)와 같은 구조물이 마련되고, 아이스 트레이(102)의 타단부에는 급수부(162)와 같은 구조물이 마련되므로, 면상 히터(108)를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를 가열하는 경우, 다른 구조물들로 열이 빠져나갈 수 있게 된다. 이에, 면상 히터(108) 중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단부 및 타단부와 대응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발열 밀도를 높게 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의 전 영역에서 얼음이 균일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면상 히터(108) 중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발열 밀도를 높게 하거나 낮게 할 수 있다.
도 20의 (b)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면적(또는 발열 면적)을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아이스 트레이(102)의 전 영역에서 얼음이 균일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면상 히터(108)의 면적 또는 발열 면적을 위치에 따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면상 히터(108)의 면적이 좁은 영역에는 발열체(108a)의 밀도를 높게 하여 발열 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면상 히터(108)의 면적이 넓은 영역에는 발열체(108a)의 밀도를 낮게 하여 발열 밀도를 더욱 낮출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상 히터(108)의 면적이 좁은 영역에서 발열체(108a)의 밀도를 낮게 하고, 면상 히터(108)의 면적이 넓은 영역에서 발열체(108a)의 밀도를 높게 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면상 히터가 제어 박스 내의 커넥터에 접속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의 (a)는 제빙기를 밑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1의 (b)는 아이스 트레이의 일단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21의 (c)는 제어 박스의 내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일측면(도 21의 (b)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면)에서 제어 박스(110) 측으로 일단부가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일측면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면상 히터 제1부(164-1) 및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타측면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면상 히터 제2부(164-2)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면상 히터 제1부(164-1)와 면상 히터 제2부(164-2) 사이의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어 냉기 접촉 구간을 이룰 수 있다.
면상 히터 제1부(164-1)의 일단부 및 면상 히터 제2부(164-2)의 일단부는 전원 접속부(110c)에 연결된다. 이때, 면상 히터 제2부(164-2)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타측면에서 일측면으로 절곡되어 전원 접속부(110c)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상 히터(108)의 발열체(108a)는 전원 접속부(108c)에서 복수 개로 분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 제1부(164-1)의 타단부 및 면상 히터 제2부(164-2)의 타단부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면상 히터 제1부(164-1)의 타단부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절곡되어 면상 히터 제2부(164-2)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면상 히터 제2부(164-2)의 타단부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타측면에서 일측면으로 절곡되어 면상 히터 제1부(164-1)의 타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상 히터 제1부(164-1)의 타단부 및 면상 히터 제2부(164-2)의 타단부는 상호 이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면상 히터 제1부(164-1) 및 면상 히터 제2부(164-2)는 전원 접속부(108c)의 음극 및 양극의 전극 패드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에서 폐루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일부가 개방된 루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면상 히터(108)로 아이스 트레이(102)와의 접촉 면적(또는 발열 면적)을 넓히면서 냉기 접촉 구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 박스(110) 내에는 커넥터(110a)가 형성되는 인쇄회로기판(25)이 마련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은 제빙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된 메인 보드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25)은 제어 박스(110)의 하우징(21) 내에서 전원 접속부(108c)와 대응하는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21의 (c)에서 인쇄회로기판(25)은 하우징(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 치우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를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일측면에서 제어 박스(110) 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인쇄회로기판(25)을 제어 박스(110) 내에서 전원 접속부(108c)에 대응하는 측에 마련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5)을 별도로 연장하거나 그 크기 및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아도 전원 접속부(108c)와 접속되는 커넥터(110a)를 인쇄회로기판(25)에 마련할 수 있게 된다. 즉,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를 제빙기(102)의 외주면에서 제빙기(102)의 중심에 마련하게 되면, 전원 접속부(108c)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해 인쇄회로기판(25)의 해당 부분을 제어 박스(110)의 중심부 측으로 연장시켜야 한다. 이 경우, 인쇄회로기판(25)이 정형화된 형상을 벗어나게 되므로 인쇄회로기판(25)을 별도 설계하여야 하고, 인쇄회로기판(25)의 제조 후 남은 원자재를 재활용하기 어려워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를 제빙기(102)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게 마련하고, 인쇄회로기판(25)을 제어 박스(110) 내에서 전원 접속부(108c)에 대응하는 측에 마련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5)을 전원 접속부(108c)와 접속시키면서 인쇄회로기판(25)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전원 접속부(108c)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 일측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접속부(108c)는 도 21의 (b)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치우쳐 마련되기만 하면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발열체(108a) 및 전극 패드(108c-1)가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발열체(108a) 및 전극 패드(108c-1)는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체(108a)의 상면에는 제1 절연 필름(172-1)이 마련될 수 있다. 발열체(108a) 및 전극 패드(108c-1)의 하면에는 제2 절연 필름(172-2)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절연 필름(172-1) 및 제2 절연 필름(172-2)이 발열체(108a)를 감싸며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패드(108c-1)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제1 절연 필름(172-1) 및 제2 절연 필름(172-2)는 폴리이미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극 패드(108c-1)의 하면에 마련된 제2 절연 필름(172-2)의 하부에는 접착 부재(174) 및 지지 플레이트(176)가 순차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접착 부재(174)는 제2 절연 필름(172-2)과 지지 플레이트(176)를 접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전극 패드(108c-1) 및 전극 패드(108c-1)의 하부에 마련되는 구조물(즉, 제2 절연 필름(172-2), 접착 부재(174), 및 지지 플레이트(176))가 전원 접속부(108c)를 이루게 된다. 지지 플레이트(176)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상부에 마련된 구조물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플레이트(176)는 PCB, 메탈 PCB,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패드(108c-1)와 제2 절연 필름(172-2)의 일면 사이에 제1 접착 부재(174-1)가 마련되고, 제2 절연 필름(172-2)의 타면과 지지 플레이트(176) 사이에 제2 접착 부재(174-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접착 부재(174-1)를 통해 전극 패드(108c-1)와 제2 절연 필름(172-2)이 접착되고, 제2 접착 부재(174-2)를 통해 제2 절연 필름(172-2)과 지지 플레이트(176)가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174) 및 지지 플레이트(176)가 면상 히터(10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즉, 접착 부재(174) 및 지지 플레이트(176)가 발열체(108a) 측으로 연장되어 발열체(108a)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발열체(108a)의 일단은 지지 플레이트(176) 상부에서 제1-1 전극 패드(121-1)에 연결될 수 있다. 발열체(108a)의 타단은 지지 플레이트(176) 상부에서 제1-2 전극 패드(121-2)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플레이트(176)에는 제1-1 전극 패드(121-1) 및 제1-2 전극 패드(121-2) 사이에 구획부(178)가 마련될 수 있다. 구획부(178)는 지지 플레이트(176)에서 돌출되고 지지 플레이트(176)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지지 플레이트(17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획부(178)는 지지 플레이트(176)에서 홈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구획부(178)는 제1-1 전극 패드(121-1) 및 제1-2 전극 패드(121-2) 사이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구분(또는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의 사시도이고, 도 26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의 단면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전극 패드(108c-1)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상면에서 발열체(108a)와 연결될 수 있다. 전극 패드(108c-1)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상면에서 지지 플레이트(176)의 길이 방향(즉, 커넥터(110a)로 접속되는 방향)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176)의 종단까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극 패드(108c-1)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종단에서 지지 플레이트(176)의 하면으로 소정 길이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76)에는 전극 패드(108c-1)의 측부에 전극 패드(108c-1)를 따라 전극 패드 가이드부(184)가 마련될 수 있다. 전극 패드 가이드부(184)는 전극 패드(108c-1)들 사이 및 전극 패드(108c-1)의 일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전극 패드 가이드부(184)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표면에서 소정 높이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 패드 가이드부(184)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표면에서 전극 패드(108c-1)의 두께 이상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76)의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되는 전극 패드(108c-1)는 전원 접속부(108c)를 관통하는 결합 부재(18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에는 전원 접속부(108c)를 관통하는 관통공(180)이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180)은 지지 플레이트(176)의 상면에 마련되는 전극 패드(108c-1), 지지 플레이트(176), 및 지지 플레이트(176)의 하면에 마련되는 전극 패드(108c-1)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결합 부재(182)는 관통공(180)에 삽입되어 전극 패드(108c-1)를 지지 플레이트(176)에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부재(182)는 리벳, 볼트, 아일렛, 나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의 (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의 사시도이고, 도 27의 (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26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전극 패드(108c-1)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상면 일측에서 발열체(108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접속 부재(186)가 지지 플레이트(176)의 단부에 삽입되면서 전극 패드(108c-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금속 접속 부재(186)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금속 접속 부재(186)의 일단부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상면에서 전극 패드(108c-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금속 접속 부재(186)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길이 방향(즉, 커넥터(110a)로 접속되는 방향)을 따라 지지 플레이트(176)의 종단까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금속 접속 부재(186)는 지지 플레이트(176)의 종단에서 지지 플레이트(176)의 하면으로 소정 길이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금속 접속 부재(186)는 지지 플레이트(176)를 사이에 두고 상하 대칭으로 마련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76)의 상면 및 하면에 마련되는 금속 접속 부재(186)는 전원 접속부(108c)를 관통하는 결합 부재(18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금속 접속 부재(186)는 박막의 전극 패드(108c-1) 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금속 접속 부재(186)가 커넥터(110a)에 접속되는 경우, 박막의 전극 패드(108c-1)가 커넥터(110a)에 접속하는 경우에 비해 발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전원 차단부가 아이스 트레이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의 하면에는 제1-1 전극 패드(121-1) 및 제1-2 전극 패드(121-2)가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의 발열체(108a) 및 절연 부재(108b)의 단부는 전원 접속부(108c)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발열체(108a)는 전원 접속부(108c)에 마련된 삽입홀(129)을 통해 전원 접속부(108c)의 상면에서 전원 접속부(108c)의 하면으로 삽입될 수 있다.
발열체(108a)의 일단은 전원 접속부(108c)의 하면에서 제1-1 전극 패드(1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발열체(108a)의 일단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 결합 부재(182-1)가 전원 접속부(108c)의 상면에 위치하는 절연 부재(108b)에서부터 전원 접속부(108c)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182-1)는 절연 부재(108b) 및 발열체(108a)를 전원 접속부(108c)에 고정시키면서 발열체(108a)의 일단과 제1-1 전극 패드(121-1) 간의 전기적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발열체(108a)의 타단은 전원 접속부(108c)의 하면에서 제1-2 전극 패드(121-2)와 이격하여 마련될 수 있다. 발열체(108a)의 타단과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2 결합 부재(182-2)가 전원 접속부(108c)의 상면에 위치하는 절연 부재(108b)에서부터 전원 접속부(108c)를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182-2)는 절연 부재(108b) 및 발열체(108a)를 전원 접속부(108c)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결합 부재(182-2)는 전원 접속부(108c)의 하면에서 발열체(108a)의 타단과 접촉된다.
제1-2 전극 패드(121-2)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전원 접속부(108c)를 관통하며 제3 결합 부재(18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결합 부재(182-3)는 전원 접속부(108c)의 하면에서 제1-2 전극 패드(121-2)와 접촉된다.
한편, 아이스 트레이(102)의 단부면(즉, 제어 박스와 대향하는 면)에는 수납홈(19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홈(191)에는 전원 차단부(123)가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23)는 제1 연결부(193-1)에 의해 제2 결합 부재(18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23)는 제2 연결부(193-2)에 의해 제3 결합 부재(182-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 차단부(123)는 제1 연결부(193-1) 및 제2 연결부(193-2)에 의해 발열체(108a)의 타단과 제1-2 전극 패드(12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23)가 아이스 트레이(102)에 마련되는 경우, 별도의 온도 센서 없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또는 발열체(108a)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경우 발열체(108a)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전원 차단부(123)의 동작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전원 차단부(123)는 온도 퓨즈 또는 바이메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결합 부재(182-1, 182-2, 182-3)와 발열체(108a) 및 제1 전극 패드(121-1, 121-2)는 아크 용접 또는 전기 용접 등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는, 발열체(108a) 및 제1 전극 패드(121-1, 121-2)가 전원 접속부(108c)의 하면에 마련되고, 제1 연결부(193-1) 및 제2 연결부(193-2)가 제2 결합 부재(182-2) 및 제3 결합 부재(182-3)와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열체(108a) 및 제1 전극 패드(121-1, 121-2)가 전원 접속부(108c)의 상면에 마련되고, 제1 연결부(193-1) 및 제2 연결부(193-2)가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발열체(108a)의 타단 및 제1-2 전극 패드(12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연결부(193-1) 및 제2 연결부(193-2)는 아크 용접 또는 전기 용접 등을 통해 발열체(108a)의 타단 및 제1-2 전극 패드(121-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발열체(108a)의 일단이 제1 결합 부재(182-1)를 통해 제1-1 전극 패드(1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열체(108a)의 일단은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 아크 용접 또는 전기 용접 등을 통해 제1-1 전극 패드(12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전극 패드(121-1, 121-2)는 리드선(미도시)을 통해 제어 박스 내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 박스 내에는 커넥터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전원 접속부(108c)는 리드선(미도시)을 통해 제어 박스 내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에서 아이스 트레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102)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길이 방향을 따른 수직 단면도(도 29의 (a)) 및 평면도(도 29의 (b))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제 1 트레이(102a) 및 레진으로 형성된 제 2 트레이(10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트레이(102a)가 레진으로 형성되고, 제2 트레이(102b)가 금속 박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트레이(102a) 및 제2 트레이(102b)가 모두 레진 또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트레이(102a)와 제 2 트레이(102b) 사이에는 마련된 면상 히터(108)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트레이(102a)는 제 2 트레이(102b)의 내부에 포개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된 제 1 트레이(102a)에 대해서 레진으로 인서트 사출을 수행하여 제 2 트레이 (102b)를 형성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제 1 트레이(102a)는, 예를 들어 두께 0.5 mm 이하의 금속 박판을 프레스(드로잉)하여 형성되거나,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트레이(102a)는 단면이 반원형이고, 양 단부에 수직벽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트레이(102a)의 내부 공간은 복수의 격벽들(9)에 의해서 분할될 수 있다. 격벽(9)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격벽(9)의 중공 공간은 제 2 트레이(102b)에 형성된 절결부(18)를 통해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고, 이는 냉기가 제 1 트레이(102a)를 통해서 아이스 트레이(102)에 수용된 물에 더 잘 전달되도록 하여 결빙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 1 트레이(102a)의 외측 표면, 예를 들어 수직벽의 외측 표면에는 돌기(16)가 형성되고 제 2 트레이(102b)의 대응하는 홈(17)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홈(17)과 돌기(16)의 형성이 반대로 될 수도 있고, 양 트레이들(102a, 102b)에 홈(17)과 돌기(16)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의 형상은 원통형 또는 사각 기둥, 후크 모양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이에 대응하는 홈의 형상도 다양하게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제 1 트레이(102a)와 제 2 트레이(102b)의 결합력이 향상되고, 제 2 트레이(102b)가 제 1 트레이(102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대안으로 또는 추가하여, 제 1 트레이(102a)의 외측 표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요철은 제 1 트레이(102a)와 제 2 트레이(102b)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제 2 트레이(102b)가 제 1 트레이(102a)에서 이탈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 1 트레이(102a) 외측 표면의 요철은, 예를 들어 엠보싱 처리나 용사 처리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제 2 트레이(102b)는 제 1 트레이(102a)의 외측 표면을 감싸도록, 즉 제 1 트레이(102a)가 제 2 트레이(102b)의 내부에 포개지도록, 제 1 트레이(102a)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은, 예를 들어 제 1 트레이(102a)에 대해서 제 2 트레이(102b)를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에 의해서, 제 1 트레이(102a)가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더라도, 제 2 트레이(102a)에 의해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구조적 강성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 1 트레이(102a)와 제 2 트레이(102b) 사이에 배치될 면상 히터(108)를 제 1 트레이(102a)의 외측 표면에 접착대지에 의해서 예비 접착한 상태에서 사출을 진행할 수 있다. 제 2 트레이(102b)를 제 1 트레이(102a)에 대해서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제 1 트레이(102a)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돌기(16)에 대응하는 홈(17)은 자연스럽게 마련된다.
또한, 제 2 트레이(102b)에는, 제 1 트레이(102a)의 외측 표면, 예를 들어 바닥부의 외측 표면을 노출하는 복수의 절결부들(18)이 형성될 수 있다. 절결부들(18)은 제 1 트레이(102a)의 외측 표면, 특히 바닥부를 노출하며, 그 형태나 위치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냉기가 더 많이 필요한 부분, 예를 들어 양 단부에 인접한 바닥부의 외측 표면이 더 많이 노출되도록 절결부(18)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절결부(1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부와 격벽(9)의 중공 공간을 연통시켜 냉기가 격벽(9)의 중공 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냉기가 아이스 트레이(102)에 수용된 물에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결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 1 트레이(102a)와 제 2 트레이(102b) 사이에 배치된 면상 히터(108)는 제 2 트레이(102b)를 제 1 트레이(102a)의 외측 표면에 인서트 사출함으로써 삽입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제 2 트레이(102b)에 형성된 절결부(18)가 배치되는 영역과 다른 영역에 배치되어, 절결부(18)를 통해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게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전방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아이스 트레이(102) 부분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폭 방향으로의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밑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0을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101)이 형성될 수 있다. 각 격벽(101)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면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격벽(101)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폭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각 격벽(101)에는 제빙수 이동 유로(103)가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로 제빙수가 공급되는 경우, 공급된 제빙수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 전체에서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각 격벽(101)에는 제빙수 이동 유로(103)가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저면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면상 히터(108)는 격벽(101)이 마련된 측(즉, 제빙수 이동 유로(103)가 마련된 측과 반대의 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면상 히터(108)가 격벽(101)이 마련된 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됨으로써, 면상 히터(108)에서 발생하는 열이 격벽(101)으로 바로 전달되어 격벽(101)의 표면과 결합되어 있는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된다. 면상 히터(108) 전체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면상 히터(108)의 중심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단부면(즉, 제어 박스와 대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는 면상 히터(108)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가 면상 히터(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은 도 28에서 도시된 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이스 트레이(102)의 단부면에는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가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수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는 각각 연결부(예를 들어, 도 28에서 도면 부호 193-1, 193-2 등과 같은 연결부) 및 결합 부재(예를 들어, 도 28에서 도면 부호 182-1 내지 182-3 등과 같은 결합 부재)를 통해 면상 히터(108)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는 면상 히터(108)의 전원 접속부(108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단부면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는 부분에 서로 인접하여 장착될 수 있다.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면상 히터(108)보다 일측으로 더 편향되어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된 부분에 모여서 장착됨에 따라,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의 전기적 연결 구조를 간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1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면상 히터(108)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면상 히터(108)의 종단부에 마련되는 전원 접속부(108c)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면상 히터(108)의 몸체보다 일측으로 더 편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전원 접속부(108c)에는 발열체(108a)의 일단 및 타단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1 전극 패드(121-1) 및 제1-2 전극 패드(121-2)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108a)의 타단과 제1-2 전극 패드(121-2)는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차단부(12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원 차단부(123)의 제1 연결부(193-1)가 제2 결합 부재(182-2)에 의해 발열체(108a)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원 차단부(123)의 제2 연결부(193-2)가 제3 결합 부재(182-3)에 의해 제1-2 전극 패드(1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발열체(108a)의 타단과 제1-2 전극 패드(121-2)가 전원 차단부(123)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 접속부(108c)에는 온도 센서(133)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 패드(131)가 마련될 수 있다. 온도 센서(133)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133)는 도 28에 도시된 연결부(193) 및 결합 부재(182) 등을 통해 제2-1 전극 패드(131-1) 및 제2-2 전극 패드(13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원 접속부(108c)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면상 히터(108)의 몸체보다 일측으로 더 편향되어 마련됨으로써, 전원 차단부(123) 및 온도 센서(133)를 전원 접속부(108c)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면서 한 곳으로 몰아서 서로 이웃하여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전원 접속부(108c) 전체가 면상 히터(108)의 몸체보다 일측으로 더 편향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원 접속부(108c)의 중심이 면상 히터(108)의 중심보다 일측으로 더 편향될 수도 있다.
한편, 면상 히터(108)에는 DC 전원(예를 들어, 12V 등)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젝터(104)를 회전시키는 이빙 모터(미도시)에도 DC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면상 히터(108)와 이빙 모터(미도시)는 하나의 전원부를 통해 전원을 각각 공급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제빙기
101 : 격벽
102 : 아이스 트레이
103 : 제빙수 이동 유로
104 : 이젝터
104-1 : 이젝터 축
104-2 : 이젝터 핀
106 : 히터 수납부
106-1 : 제1 히터 수납부
106-2 : 제2 히터 수납부
108 : 면상 히터
108-1 : 제1 면상 히터
108-2 : 제2 면상 히터
108a : 발열체
108b : 절연 부재
108c : 전원 접속부
108c-1 : 전극 패드
110 : 제어 박스
110a : 커넥터
112-1 : 제1 접착 부재
112-2 : 제2 접착 부재
114 : 단열 부재
114-1 : 제1 단열 부재
114-2 : 제2 단열 부재
116 : 히터 압박부
118 : 탄성 부재
121 : 제1 전극 패드
121-1 : 제1-1 전극 패드
121-2 : 제1-2 전극 패드
123 : 전원 차단부
125 : 절연층
127 : 결합 부재
129 : 삽입홀
131 : 제2 전극 패드
133 : 온도 센서
141 : 가이드부
142 : 밀착 부재
143 : 히터 커버
143-1 : 베이스 플레이트
143-2 : 제1 측면 플레이트
143-3 : 제2 측면 플레이트
143-4 : 지지 플레이트
146 : 패킹 부재
146a : 삽입홀
147 : 요홈
148 : 장착 가이드부
148-1 : 제1 장착 가이드부
148-2 : 제2 장착 가이드부
150 : 장착홈
152 : 돌기
154 : PCB
156 : 수축 튜브
158 : 접착제
162 : 급수부
164-1 : 면상 히터 제1부
164-2 : 면상 히터 제2부
172-1 : 제1 절연 필름
172-2 : 제2 절연 필름
174 : 접착 부재
174-1 : 제1 접착 부재
174-2 : 제2 접착 부재
176 : 지지 플레이트
178 : 구획부
180 : 관통공
182 : 결합 부재
184 : 전극 패드 가이드부
186 : 금속 접속 부재

Claims (48)

  1.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되는 면상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
  2.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 및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판의 일면에 전극 패드가 마련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접속부의 일단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상기 제어 박스 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되는, 제빙기.
  3.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제1부 및 면상 히터 제2부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상기 면상 히터 제1부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 사이에 외부로 노출되는 냉기 접촉 구간; 및
    상기 면상 히터 제1부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의 발열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 히터 제1부의 일단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의 일단은 상기 전원 접속부에 연결되고, 상기 면상 히터 제1부의 타단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의 타단은 상호 연결되거나 분리되며,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되는, 제빙기.
  4.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일측 및 타측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제1부 및 면상 히터 제2부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상기 면상 히터 제1부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 사이에 외부로 노출되는 냉기 접촉 구간; 및
    상기 면상 히터 제1부 및 상기 면상 히터 제2부의 발열체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원 접속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일측 또는 타측에 마련되는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박스의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어 박스 내에서 상기 전원 접속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전원 접속부와 대응되는 측에 배치되며,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거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밀착되는, 제빙기.
  5.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본딩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1차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기구물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2차적으로 밀착되는, 제빙기.
  6.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이젝터의 위치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금속 박막의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는 면상 히터; 및
    상기 면상 히터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면상 히터를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시키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제빙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하여 상기 면상 히터를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시키는 히터 압박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히터 압박부는,
    일측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상기 면상 히터 측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면상 히터를 압박하는, 제빙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히터 압박부는,
    단열 특성, 절연 특성, 쿠션 특성, 열전도 특성, 및 탄성 특성 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가지는, 제빙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수납부의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과 접촉하는 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히터 수납부의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과 접촉하는 면은 경사지게 마련되는, 제빙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히터 압박부의 양측이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 고정되어 상기 면상 히터를 압박하는, 제빙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면상 히터 측으로 탄성력이 가해지도록 마련되는 탄성 부재인, 제빙기.
  14.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면상 히터와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고 마련되어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하는, 제빙기.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부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면상 히터를 압박하는, 제빙기.
  16.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는 히터 커버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면상 히터를 압박하는, 제빙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히터 커버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사이에 냉기 이동 유로를 구비하는, 제빙기.
  1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중 일측면에 마련되는 제1 면상 히터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중 타측면에 마련되는 제2 면상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서 상기 제1 면상 히터 및 상기 제2 면상 히터 사이에 마련되는 히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히터 커버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면상 히터 및 상기 제2 면상 히터를 압박하는, 제빙기.
  1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일측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측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 타측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히터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하는, 제빙기.
  2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히터 수납부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면서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하는, 제빙기.
  2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히터 압박부는,
    상기 면상 히터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을 압박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 돌기를 포함하는, 제빙기.
  2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면상 히터와 상기 히터 압박부 사이에 마련되는 내열 부재 또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2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의 일면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가 수납되는 히터 수납부; 및
    상기 히터 수납부 내에서 상기 면상 히터의 타면에 마련되는 단열 부재, 절연 부재, 쿠션 부재, 내열 부재, 및 열전도 부재 중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2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폴리이미드 접착제 또는 실리콘 접착제 또는 열전도 분말을 포함하는 접착 페이스트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접착되는, 제빙기.
  2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접속부는,
    PCB(Printed Circuit Board), 메탈 PCB,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제빙기.
  2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의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속부는,
    상기 면상 히터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거나 기 설정된 전류를 초과하는 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발열체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를 포함하는, 제빙기.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전원 접속부에 마련되고, 상기 발열체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제1-1 전극 패드; 및
    상기 전원 접속부에 마련되고, 상기 발열체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제1-2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1 전극 패드 또는 상기 제1-2 전극 패드는,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과 상기 커넥터와 접속되는 부분이 이격되어 마련되고,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제1-1 전극 패드 또는 상기 제1-2 전극 패드의 이격된 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마련되는, 제빙기.
  28.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온도 퓨즈 또는 바이메탈인, 제빙기.
  2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의 상기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속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면상 히터 중 적어도 하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전극 패드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3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면상 히터와 대응되는 길이로 마련되고, PCB, 메탈 PCB,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체는, 금속 박막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면에 접착되어 마련되는, 제빙기.
  3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박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열체는, 0 초과 0.5 mm 이하 두께의 금속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제빙기.
  3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제어 박스 내에 마련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젝터의 회전 위치, 상기 이젝터의 동작 시간,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면상 히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빙기.
  3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의 외피는,
    전자선 조사로 가교 처리되는, 제빙기.
  3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의 외측에는 상기 면상 히터를 감싸며 수축 튜브가 마련되는, 제빙기.
  3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면상 히터를 관통하는 결합 부재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스크류 결합되는, 제빙기.
  3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고, 상기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가 장착되어 고정되는 장착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3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의 하면에서 상기 발열체 및 상기 절연 부재의 일측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밀착되고, 상기 발열체의 일단은 상기 전원 접속부에 형성된 삽입홀을 통해 상기 전원 접속부의 상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
  3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발열 밀도가 다르게 형성되는, 제빙기.
  39. 청구항 38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단,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타단,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부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발열 밀도가 높게 마련되는, 제빙기.
  4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따라 발열 면적이 다르게 형성되는, 제빙기.
  4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폐루프 형태 또는 일부가 개방된 루프 형태로 마련되는, 제빙기.
  4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되는, 제빙기.
  4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제어 박스의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제어 박스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면상 히터와 대응되는 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되는, 제빙기.
  44.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마련되는 격벽 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되는, 제빙기.
  45.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의 전원 접속부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상기 면상 히터의 몸체보다 상기 일측으로 더 편향되어 마련되는, 제빙기.
  46. 청구항 45에 있어서,
    상기 제빙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단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전원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차단부; 및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단면부에 상기 전원 차단부와 인접하여 마련되고 상기 전원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제빙기.
  4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는,
    DC 전원을 공급받는, 제빙기.
  4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제빙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40138809A 2014-04-07 2014-10-15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50146357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09703 WO2015194706A1 (ko) 2014-06-20 2014-10-16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15/112,185 US10274240B2 (en) 2014-04-07 2014-10-16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CN201490001359.4U CN206420209U (zh) 2014-06-20 2014-10-16 制冰机
PCT/KR2014/011857 WO2015194718A1 (ko) 2014-06-20 2014-12-04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15/516,032 US10267551B2 (en) 2014-06-20 2014-12-04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5847 2014-06-20
KR1020140075847 2014-06-20
KR1020140083984 2014-07-04
KR20140083984 2014-07-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357A true KR20150146357A (ko) 2015-12-31

Family

ID=55129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809A KR20150146357A (ko) 2014-04-07 2014-10-15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267551B2 (ko)
KR (1) KR201501463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0361A1 (en) * 2017-09-20 2019-03-27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091033A (ko) * 2018-01-26 201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20149498A1 (ko) * 2019-01-16 202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972571A (zh) * 2018-10-02 2023-10-31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其控制方法
US20210356191A1 (en) * 2018-10-02 2021-11-18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WO2020071743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0071752A1 (ko) * 2018-10-02 202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2789470B (zh) * 2018-10-02 2023-09-22 Lg电子株式会社 冰箱及其控制方法
RU2022101439A (ru) * 2018-10-02 2022-02-08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Холодильник
CN115289761B (zh) * 2018-10-02 2023-11-14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131492B2 (en) 2019-12-11 2021-09-28 Midea Group Co., Ltd. Dual direction refrigerator ice maker
CN112629093B (zh) * 2021-03-09 2021-07-02 中国空气动力研究与发展中心低速空气动力研究所 一种薄膜热刀、模型表面的生长冰型的去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147A (ko) 2010-10-01 201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09300A1 (de) * 1981-03-11 1982-09-30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Elektrische kaffeemaschine
KR100565624B1 (ko) * 2003-09-25 2006-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제빙기용 이젝터의 회전 제어장치
JP4461857B2 (ja) 2003-12-03 2010-05-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製氷装置
KR100805226B1 (ko) 2005-11-24 2008-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면상발열히터 및 이를 포함하는 증기조리장치
KR100814686B1 (ko) 2006-09-25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KR20070094587A (ko) 2007-08-22 2007-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05959B1 (ko) * 2008-01-17 2014-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446790B1 (ko) 2012-11-27 2014-10-01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6147A (ko) 2010-10-01 201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60361A1 (en) * 2017-09-20 2019-03-27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032898A (ko) * 2017-09-20 2019-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0907873B2 (en) 2017-09-20 2021-02-02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1619434B2 (en) 2017-09-20 2023-04-04 Lg Electronics Inc. Ice mak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20190091033A (ko) * 2018-01-26 201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20149498A1 (ko) * 2019-01-16 2020-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9071A (ko) * 2019-01-16 2020-07-2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16863A1 (en) 2018-08-02
US10267551B2 (en) 201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6357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60004880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60004881A (ko) 면상 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
US10274240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20140074795A (ko) 제빙기
KR20160150394A (ko) 씨즈 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
US20180156515A1 (en) Icemaker
KR102339583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40067592A (ko) 제빙기
US11692754B2 (en) Ice maker heater assemblies
JP2013068048A (ja) 温水洗浄便座
KR20160088777A (ko) 제빙기
KR20160109816A (ko) 다이렉트 접속 방식 고효율 이빙 히터를 구비하는 제빙기
KR20160127541A (ko) 제빙기
ITMI950475U1 (it) Dispositivo di riscaldamento per vaporizzatori di insetticidi o profumi in formulazioni solide o liquide utilizzante un elemento
KR20060027467A (ko) 냉장고용 제빙용기
KR20180090240A (ko) 제빙기
KR20160078200A (ko) 이빙 히터를 구비하는 제빙기
KR102213215B1 (ko) 제빙기
KR20170032142A (ko) 제빙기
JP3680822B2 (ja) 電気湯沸かし器
KR102654376B1 (ko) 내부 온도 조절형 전자담배
JP6429313B2 (ja) ヒータユニット
CN216494698U (zh) 一种电热保温杯
FR2838972A1 (fr) Dispositif de commande du debit d'un gaz respirato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