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777A - 제빙기 - Google Patents

제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777A
KR20160088777A KR1020150056176A KR20150056176A KR20160088777A KR 20160088777 A KR20160088777 A KR 20160088777A KR 1020150056176 A KR1020150056176 A KR 1020150056176A KR 20150056176 A KR20150056176 A KR 20150056176A KR 20160088777 A KR20160088777 A KR 20160088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ice tray
ice
cooling memb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준동
김종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
Publication of KR2016008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2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 H05B3/28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non-flexible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Abstract

직냉식 제빙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이젝터;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밀착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외부에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제빙기{ICE MAK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직냉식 제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 부재에 히터를 구비한 직냉식 제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 및 음식물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을 구비한다. 이때,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한 제빙기가 설치된다.
제빙기의 제빙 방식은 제빙기로 냉장고 내의 냉기를 공급하여 강제 대류로 트레이를 냉각시켜서 얼음을 제조하는 간냉식과, 제빙기에서 얼음을 제조하는 공간인 트레이에 냉매관을 직접 접촉시켜서 얼음을 제조하는 직냉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직냉식은 제빙 매카니즘이 비교적 간단하고 냉각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의 직냉식 제빙기에서는 아이스 트레이에 얼어 있는 얼음이 이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히터로서 U자 형상의 시즈 히터(Sheath Heater)를 주로 사용하였다. 시즈 히터의 총 지름은 대략 6~8 mm이고, 그 내부에 대략 1 mm 두께에 해당하는 발열체(대략 0.1 mm 두께의 열선이 중심의 절연재 상에 권선된 형태임)과 그 주변에 대략 3~4 mm의 두께로 절연 분말이 충진된다. 따라서, 열선에 비해서 절연 분말의 충진 두께가 두꺼워서 열선에서 발생되는 열의 전달 거리가 멀게 된다. 그래서, 시즈 히터 외부로 열이 전달되기 위해서는 열선이 고온이 되어야 하며, 열선에서 고온이 발생되도록 하기 위하여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또한 시즈 히터는 아이스 트레이에 U자 형상으로 선접촉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 열 전달 효율이 떨어지며, 히터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는 부분까지 열을 전달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과 전력이 소모된다. 이때, 히터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가 과하게 가열되기 때문에, 이빙 이후의 제빙 싸이클에서 아이스 트레이를 제빙 온도로 다시 냉각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로 인해 제빙 시간이 길어진다. 또한, 종래의 시즈 히터는 시즈 히터의 과열 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온도 퓨즈와 시즈 히터 간의 연결이 복잡하고, 시즈 히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 구조가 복잡하여 해당 구성들 간의 조립 및 결합이 어렵다.
또한, 히터의 온도를 매우 높게 올려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히터와 접촉하는 아이스 트레이를 구성하는 소재가 고온을 견딜 수 있는 금속 등의 소재로 한정된다.
그리고, 아이스 트레이와 냉매관 주변에 많은 성에가 생성되고 이빙 과정에서 성에가 녹아서 뭉쳐진 얼음이 발생하는 등 신뢰성 문제가 발생하고, 제빙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3655호(2011.01.13)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수 부재에서 배수되는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하는 제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충분한 저항값을 확보한 히터를 포함하는 제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히터에서 아이스 트레이로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아이스 트레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냉장고의 다른 부분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히터에 하나의 접속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체 제빙 공정에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제빙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히터의 온도를 고온까지 올릴 필요가 없어서 아이스 트레이의 소재를 플라스틱으로 할 수 있는 제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냉각 부재를 수용하는 냉각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부재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의 밀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부재로서 형성되고,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상기 제 2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조립 구조로 형성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부에 상기 제 1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수납 구조로 형성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냉각 부재를 수용하는 냉각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부재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의 밀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의 일측에 끼워지는 클립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상기 제 2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조립 구조로 형성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냉각 부재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밀착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인서트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방열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부재는 히터 커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 중 일 측에 과열을 방지하는 차단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면상 히터일 수 있다.
상기 면상 히터 내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배수 부재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코드 히터일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및 병렬 중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박스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배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플라스틱의 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냉각 부재를 수용하는 냉각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부재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의 밀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상기 제 2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조립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연결되거나, 직렬 및 병렬 중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부에 상기 제 1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수납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연결되거나, 직렬 및 병렬 중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냉각 부재를 수용하는 냉각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부재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의 밀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의 일측에 끼워지는 클립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상기 제 2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조립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연결되거나, 직렬 및 병렬 중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선상의 발열체가 다수회 구부러져서 다열 배치된 형태의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면상 히터와 같이 아이스 트레이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히면서도 히터의 저항값을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를 위해 별도의 DC 전원 공급 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일반 가정용 AC 전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밀착 부재를 통해 히터를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시킴으로써, 히터에서 아이스 트레이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를 얇게 제조하여 히터의 열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히터를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고, 히터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의 온도를 고온까지 올릴 필요가 없어서, 아이스 트레이의 소재를 플라스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여 제빙기의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수 부재 내에 제 2 히터를 배치함으로써, 배수 부재에서 배수되는 물이 냉기에 의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를 코드 히터 또는 면상 히터로 형성함으로써,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의 저항값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히터에서 아이스 트레이로의 열 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적은 열량 및 짧은 가동 시간으로도 아이스 트레이의 내측면에 얼어붙은 얼음을 녹일 수 있게 된다.
또한, 히터의 절연용 피복의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히터를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고, 히터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어서, 히터에서 아이스 트레이로 전달되는 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수 부재에 유도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냉장고의 다른 부위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냉장고 전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 간을 제 3 히터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접속부를 통해 복수의 위치에 배치되는 히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서, 전원 연결이 복잡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 하부의 히터 및 냉각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 하부의 히터 및 냉각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 하부의 제 1 히터 및 냉각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 하부의 제 1 히터 및 냉각 부재의 배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부재의 단면도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의 단면도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와 냉각 부재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 및 제어 박스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상 히터의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면상 히터가 아이스 트레이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저면도
이하, 도 1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는 제빙기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 이젝터(104), 히터(150), 제어 박스(110) 및 냉각 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빙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제빙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분리된 각 제빙 공간은 이젝터 핀(104-2)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주면은 이젝터 핀(104-2)이 회전하여 얼음을 이빙할 수 있도록 이젝터 핀(104-2)의 길이에 대응하는 반경을 가지는 반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이빙 히터는 고온까지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02)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면 녹을 염려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150)의 온도가 플라스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저온일 경우에도 충분히 이빙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02)를 플라스틱 소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아이스 트레이(102)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금속 소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플라스틱 소재의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측에 금속 소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젝터(104)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젝터(104)는 제어 박스(108) 내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이젝터 축(104-1) 및 이젝터 축(104-1)에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 핀(10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 핀(104-2)은 이젝터 축(104-1)을 중심으로 소정 방향(예를 들어,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히터(15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히터(15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마련되게 될 수 있다. 히터(15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히터(150)는 소정 면적에 걸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50)는 코드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50)를 구성하는 절연막의 두께는 0 초과 1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150)를 구성하는 절연막의 두께를 얇게 제조함으로써 적은 열 용량으로도 충분한 열이 아이스 트레이(102)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히터(150)의 열 용량을 적게 함으로써, 히터(150)를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히터(150)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히터(150)는 예를 들어,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는, 히터(150)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히터(15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어 박스(110) 내의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어 박스(110) 내의 전원 차단부 및 온도 센서(미도시됨) 등을 히터(1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서로 인접하여 아이스 트레이(102)에 장착시킬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U자 형상의 관으로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밀착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인서트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히터(150)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며, 아이스 트레이(102)와는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냉기를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그 내부에 냉매가 존재하는 금속소재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박스(11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와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에는 제빙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박스(110)에는 이젝터(10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빙 모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에는 이빙 모터(미도시) 및 면상 히터(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이젝터(104)의 회전 위치 또는 이젝터(104)의 동작 시간 경과에 따라 히터(150)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아이스 트레이(102)가 기설정된 제빙 온도(즉,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완빙되는 온도)에 도달하면, 히터(1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를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기 시작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의 위치가 히터(150)를 지나는 경우, 히터(150)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을 녹이는데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어부(미도시)는 위치 센서(미도시)를 통해 이젝터(104)의 홈 위치를 확인한 후 이빙 모터(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수를 누적하여 연산함으로써, 현재 이젝터(104)의 위치(즉, 이젝터 핀(104-2)의 회전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제어부(미도시)가 히터(150)를 모두 온(ON) 시킨 후, 이젝터(104)가 히터(150)를 지났을 때 히터(150)를 오프(OFF)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히터(15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어부(미도시)가 이젝터(104)의 위치에 따라 히터(150)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를 회전시킨 후 경과 시간에 따라 히터(15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부착된 히터(150) 및 냉각 부재(180)를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시키기 위하여 밀착 부재(112)가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밀착 부재(112)는 히터(150) 및 냉각 부재(180)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히터(150) 및 냉각 부재(180)가 아이스 트레이(102)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착 부재(112)는 히터(150) 및 냉각 부재(180)를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시키는 밀착부(112-1), 밀착부(112-1)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밀착부(112-1)를 지지하는 지지부(112-2) 및 지지부(112-2)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112-3)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112-1)가 히터(150) 및 냉각 부재(180)를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시킴으로써, 히터(150)에서 발생되는 열과 냉각 부재(18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아이스 트레이(102)로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밀착 부재(112)는 히터(150) 및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히터(15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히터 커버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밀착 부재(112)는 후술하는 드레인(drain) 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밀착 부재(112)의 소재는 아이스 트레이(102)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 지거나 플라스틱과 금속이 결합된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히터(150)를 아이스 트레이(102)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밀착 부재(112)와 더불어 접착 부재(미도시됨)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102)의 히터(150)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용부(102-1)가 형성되어, 히터(150)가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되는 것을 국대화할 수 있으며, 히터(150)에서 발생되는 열이 아이스 트레이(102)로 보다 용이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수용부(102-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측면 상에 히터(150)의 양측으로 형성된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수용부(102-1)의 높이는 히터(150)의 절반 이상의 부분이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측면과 수용부(102-1)의 하단 사이에 포함되도록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히터(150)에서 발생되는 열의 대부분이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의 히터(150) 및 냉각 부재(18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의 히터(150) 및 냉각 부재(180)의 배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배치되는 히터(150)는 일체의 선 형상을 다수 회 구부려서 다열(多列)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히터(150)를 다열 배치된 열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저항체의 단면적을 줄임과 동시에 저항체의 길이를 늘일 수 있기 때문에, 히터(150)의 저항을 높일 수 있다. 그에 따라서, 히터(150)에 공급되는 전압을 직류로 할 필요 없이,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류(예를 들어, 110V 또는 220V)를 직접 히터(150)에 적용할 수 있다. 히터(150)의 저항이 높기 때문에, 가정용 교류 전원을 사용하더라도 소비되는 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50)의 소비 전력은 60 W 이하일 수 있다.
또한, 히터(150)를 다열 대치된 열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열선 간에 단락(short)이 발생하더라도 히터(150)의 저항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터(150)를 형성하는 열선의 일단 및 타단은 전원 공급을 위해서, PCB 상의 패턴 또는 리드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50)의 일단 및 타단은 땜납, 압착 및 용접 중 하나에 의해 PCB 상의 패턴 또는 리드선과 연결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히터(150)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며 냉동 사이클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가 그 내부를 이동하여 냉기가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냉각 부재(180)는 히터(150)와 겹치지 않도록 히터(15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히터(150)의 배치와 겹치지만 않다면 냉각 부재(18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냉각 부재(180)의 양단이 히터(150)의 양단과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도 3에서와 같이, 냉각 부재(180)의 양단이 히터(150)의 양단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15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터(150)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히터(150)는 열선(152)이 섬유 부재(151)의 주위를 감고 있는 권선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선(152)의 길이를 충분히 늘일 수 있어서 히터(150)의 저향을 높일 수 있다. 섬유 부재(151)는 유리 섬유(fiber glass) 다발일 수 있다. 히터(150)를 구성하는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는 모두 구부릴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서, 섬유 부재(151) 주위를 열선(152)이 권선 형태로 감고 있는 상태의 히터(150)를 다수 회 구부려서 다열 배치할 수 있다.
섬유 부재(151)와 섬유 부재(152) 주위에 권선 형태로 감겨 있는 열선(152)은 절연막(153)에 의해 둘러 싸여 절연될 수 있다. 절연막(153)은 전자선 조사에 의해 가교(cross link) 처리되어 코팅된 가교 절연부재일 수 있으며, 특히 절연부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절연막(153)으로서 실리콘, 테프론(Teflon),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마이카(Mica)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연막(153)을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의 주위에 형성하는 방법으로 다음의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하다. 첫 번째로,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절연튜브 내에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을 삽입한 후에 절연튜브를 수축시켜서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에 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에 절연 물질로 코팅 처리를 하여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 주위에 절연막(15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과 함께 절연 물질을 압출하여 섬유 부재(151) 및 열선(152) 주위에 절연막(15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테이핑(taping), 직조(weaving)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절연막(153)의 두께를 1 mm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히터(150)의 열 용량을 작게 할 수 있으며, 히터(150)를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히터(150)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에에서는 히터(150)가 절연막(153)의 두께가 얇은 코드 히터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히터(150')가 절연 필름(108-1, 108-2)에 의해 절연되는 열선(150')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 필름(108-1, 108-2)에 의해서 히터(150')에서 발생되는 열이 아이스 트레이(102)에 면 접촉이 가능하여 면상 히터와 유사하게 작용할 수 있다. 히터(150')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다수회 구부려서 다열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히터(150')를 구성하는 저항체의 단면적을 줄임과 동시에 저항체의 길이를 늘일 수 있어서, 히터(150')의 저항을 높일 수 있다.
절연 필름(108-1, 108-2)은 히터(150')의 상하측 중 적어도 하나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절연 필름(108-1, 108-2)은 실리콘, 테프론(Teflon),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히터(150')가 높은 온도로 상승하거나 외부 충격이 가해져도 히터(150')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연 필름(108-1, 108-2)은 그 이외의 다양한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108-3)가 아이스 트레이(102) 측에 형성되어 절연 필름(108-1, 108-2)과 히터(150')가 아이스 트레이(102)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 부재(108-3)는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접착 부재(108-3)는 열전도 분말을 포함하는 접착 페이스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히터(150)를 아이스 트레이(102)와 접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히터(150)에서 발생하는 열을 아이스 트레이(102)로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착 부재(108-3) 자체가 절연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절연 필름(108-1, 108-2) 대신 접착 부재(108-3)가 절연 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절연 필름(108-1, 108-2)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밀착 부재(112)는 히터(150')가 위치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히터(150')가 아이스 트레이(102)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착 부재(112)의 용도는 앞선 실시예와 같으며, 도 6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밀착 부재(112)가 냉각 부재(112)도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빙기(100)에 있어서,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 공간(102a)을 포함하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형성된 밀착 부재(112)는 히터(150) 및 냉각 부재(180)를 아이스 트레이(102) 측에 밀착시키는 역할 뿐만 아니라 냉각 부재(180)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수집하여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부재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냉각 부재(180)의 주변 및 이와 인접한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는 성에가 생성되어 착상될 수 있는데, 히터(150)의 동작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열이 가해지면 냉각 부재(180) 및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착상되었던 성에도 녹을 수 있다. 녹은 성에는 물이 되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떨어질 수 있는데, 밀착 부재(112)의 베이스(112-3) 내로 떨어질 수 있다. 베이스(112-3) 내로 떨어진 물은 베이스(112-3)를 따라서 흘러서 배수부(112-4)에 도달할 수 있다. 배수부(112-4)에 도달한 물은 제빙기(100) 외부로 배출되어 자연스럽게 증발될 수 있다.
또한, 밀착 부재(112)의 내부 또는 하부에는 드레인 부재로서 역할을 하는 밀착 부재(112) 상에 성에 또는 얼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히팅 요소(미도시됨)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 부재(180)의 주변 및 인접한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생긴 성에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밀착 부재(112)에 흐르는 물이 주변의 냉기에 의해서 2차로 성에나 얼음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 부재(112)의 베이스(112-3)는 배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112-3)는 배수부(112-4) 측으로 내려가는 경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 및 냉각 부재(180) 주변의 성에가 그대로 제빙기(100) 하부에 위치하는 얼음 저장 용기(미도시됨)로 떨어지면 얼음이 서로 달라붙어서 뭉치게 되고, 냉장고 내의 다른 곳으로 떨어지면 해당 부위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지만, 밀착 부재(112)에 의해서 이러한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히터(150a)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히터(150a)는 섬유 부재(151), 섬유 부재(151)의 주위를 감고 있는 권선 형태의 열선(152), 섬유 부재(151)와 열선(152)을 둘러싸게 형성된 절연막(153) 이외에 절연막(153) 내부에 내부 절연막(1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절연막(154)의 재질과 형성 방법은 절연막(153)의 경우와 마찬가지 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b)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에 관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빙기(100b)는 히터(150b)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마련되는 대신, 밀착 부재(112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착 부재(112a)의 밀착부(112-1a)의 상부에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 내에 히터(150b)를 수용시킬 수 있다. 히터(150b)는 앞선 실시예의 히터(150, 150a)와 동일한 히터일 수 있다. 히터(150b)를 밀착 부재(112a) 측에 배치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에 별도의 수용부를 형성할 필요 없이, 히터(150b)를 아이스 트레이(102) 측에 밀착시켜서 히터(150b)에서 발생되는 열을 아이스 트레이(102)측으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히터(150b)가 밀착 부재(112a)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서, 히터(150b)에서 발생되는 열이 밀착 부재(112a)로 전달되는 것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밀착 부재(112a) 측에 발생되는 성에나 얼음을 녹여서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히터(150b)를 아이스 트레이(102)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밀착 부재(112a)와 아이스 트레이(102) 사이에 접착 부재(미도시됨)가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빙기(100)는 아이스 트레이(102), 이젝터(104), 히터(250), 제어 박스(110) 및 냉각 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제빙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격벽이 형성되어 제빙 공간을 복수 개의 공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분리된 각 제빙 공간은 이젝터 핀(104-2)과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의 내주면은 이젝터 핀(104-2)이 회전하여 얼음을 이빙할 수 있도록 이젝터 핀(104-2)의 길이에 대응하는 반경을 가지는 반원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이빙 히터는 고온까지 올라가야 하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02)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면 녹을 염려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히터(250)의 온도가 플라스틱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저온일 경우에도 충분히 이빙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스 트레이(102)를 플라스틱 소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아이스 트레이(102)의 열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아이스 트레이(102)를 금속 소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플라스틱 소재의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측에 금속 소재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젝터(104)는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젝터(104)는 제어 박스(108) 내의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이젝터 축(104-1) 및 이젝터 축(104-1)에 상호 이격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이젝터 핀(10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젝터 핀(104-2)은 이젝터 축(104-1)을 중심으로 소정 방향(예를 들어, 도 10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킬 수 있다.
히터(250) 중 제 1 히터(250-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히터(250-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주면과 면접촉하여 마련되게 될 수 있다. 제 1 히터(250-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 1 히터(250-1)는 소정 면적에 걸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1 히터(250-1)는 코드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히터(250-1)를 구성하는 절연막의 두께는 0 초과 1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히터(250-1)를 구성하는 절연막의 두께를 얇게 제조함으로써 적은 열 용량으로도 충분한 열이 아이스 트레이(102)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히터(250-1)의 열 용량을 적게 함으로써, 제 1 히터(250-1)를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 1 히터(250-1)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0에서는, 제 1 히터(250-1)가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제 1 히터(250-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향되어 마련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어 박스(110) 내의 인쇄회로기판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어 박스(110) 내의 전원 차단부 및 온도 센서(미도시됨) 등을 히터(2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서로 인접하여 아이스 트레이(102)에 장착시킬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U자 형상의 관으로서,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밀착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인서트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제 1 히터(250-1)와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며, 아이스 트레이(102)와는 직접적으로 접촉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냉기를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그 내부에 냉매가 존재하는 금속소재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 박스(11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서 아이스 트레이(102)와 결합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에는 제빙기(1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박스(110)에는 이젝터(10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이빙 모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제어 박스(110)에는 이빙 모터(미도시) 및 제 1 히터(250-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예를 들어, 이젝터(104)의 회전 위치 또는 이젝터(104)의 동작 시간 경과에 따라 히터(250)의 온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아이스 트레이(102)가 기설정된 제빙 온도(즉,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제빙수가 완빙되는 온도)에 도달하면, 제 1 히터(2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를 도 10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 내의 얼음을 이빙시키기 시작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의 위치가 제 1 히터(250-1)를 지나는 경우, 제 1 히터(250-1)를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얼음을 녹이는데 소요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어부(미도시)는 위치 센서(미도시)를 통해 이젝터(104)의 홈 위치를 확인한 후 이빙 모터(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펄스 신호수를 누적하여 연산함으로써, 현재 이젝터(104)의 위치(즉, 이젝터 핀(104-2)의 회전 위치)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제어부(미도시)가 제 1 히터(250-1)를 모두 온(ON) 시킨 후, 이젝터(104)가 제 1 히터(250-1)를 지났을 때 제 1 히터(250-1)를 오프(OFF)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 1 히터(250-1)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어부(미도시)가 이젝터(104)의 위치에 따라 제 1 히터(250-1)를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미도시)는 이젝터(104)를 회전시킨 후 경과 시간에 따라 제 1 히터(250-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박스(110)와 아이스 트레이(102)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빙기(100)에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위치하며,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부면에 생성되는 성에 및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배수 부재(212)는 아이스 트레이(102) 측에 위치하는 제 1 부(212-1)와 제 1 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부(212-2)로 구성되고, 제 1 부(212-1)와 제 2 부(212-2)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수 부재(212)의 폭은 아이스 트레이(102)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외부면에 생성되는 물을 수집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배수 부재(212)에 수집되는 물에 냉기가 접촉되면 배수 부재(212) 상에 얼음이 생성되어 적층될 수 있다. 그러면, 배수 부재(212)가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제빙기(100)의 하부에 얼음이 생겨서 제빙기(100)의 신뢰성이 하락되고 전체 제빙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배수 부재(212)의 내부에 위치하여, 배수 부재(212)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250-2)가 추가될 수 있다. 제 2 히터(250-2)는 배수 부재(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제 2 히터(250-2)는 소정 면적에 걸쳐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 2 히터(250-2)는 코드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히터(250-2)를 구성하는 절연막의 두께는 0 초과 1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히터(250-2)를 구성하는 절연막의 두께를 얇게 제조함으로써 적은 열 용량으로도 충분한 열이 배수 부재(212)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제 2 히터(250-2)의 열 용량을 적게 함으로써, 제 2 히터(250-2)를 빠른 시간 내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 2 히터(250-1)에 사용되는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배수 부재(212) 상의 물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제 2 히터(250-2)는 배수 부재(21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2 히터(250-2)는 배수 부재(212)를 이루는 제 1 부(212-1) 및 제 2 부(212-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 1 부(212-1)와 제 2 부(212-2)를 결합하기 전에 제 1 부(212-1)와 제 2 부(212-2) 사이에 제 2 히터(250-2)를 위치시킨 후에 제 1 부(212-1)와 제 2 부(212-2)를 결합할 수 있다.
배수 부재(212)의 일 측부에는 유도 구조(212c)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도 구조(212c)는 아이스 트레이(102)에 공급되는 물이 오버플로우(overflow)되어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넘치는 경우에 제빙기(100) 외부로 물이 낙하하여 냉장고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배수 부재(212), 특히 배수부(212b) 내부로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유도 구조(212c)는 배수 부재(212)의 배수부(212b)의 일 측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아이스 트레이(102)를 커버할 수 있다. 제 2 히터(250-2)는 유도 구조(212c) 내에도 배치되어서 유도 구조(212c)에 부착된 물이 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수 부재(212), 특히 제 1 부(212-1) 상에는 냉각 부재(180)를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하기 위한 밀착 부재(212a)가 형성될 수 있다. 밀착 부재(212a)는 냉각 부재(180)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밀착 부재(212a)는 제 1 부(212-1) 상에서 돌출된 돌기 형상일 수 있다. 밀착 부재(212a)가 냉각 부재(180)를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냉각 부재(180)에서 발생되는 냉기가 아이스 트레이(102)로 전달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에에서는 밀착 부재(212a)가 냉각 부재(180)를 밀착시키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이스 트레이(102)에 부착된 제 1 히터(250-1)를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밀착 부재(212a)가 제 1 히터(250-1)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밀착 부재(212a)는 금속 부재 또는 플라스틱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제 1 히터(250-1)를 아이스 트레이(102)에 밀착시키기 위해서 밀착 부재(212a)와 더불어 접착 부재(미도시됨)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102)의 냉각 부재(180)의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냉각 부재(180)를 수용하는 홈부(미도시됨)가 형성되어, 냉각 부재(180)가 아이스 트레이(102) 측으로 밀착되는 것을 극대화할 수 있다.
제 1 히터(250-1) 및 제 2 히터(250-2)는 다중 절연된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용 피복을 다중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전체 절연용 피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단일층으로 절연하는 경우에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고르게 절연용 피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서 일부 구간에서는 절연용 피복이 지나치게 얇게 형성될 수 있어서, 어느 정도의 두께는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그에 반해, 절연용 피복을 다중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 1 절연 피복을 형성하였을 경우에 일부 구간에서 피복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제 2 절연 피복을 통해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히터(250-1)는 아이스 트레이(102) 일측에 인서트 사출 구조로 형성되거나 조립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 2 히터(250-2)는 배수 부재(212) 내에 인서트 사출 구조로 형성되거나 조립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의 제 1 히터(250-1) 및 냉각 부재(180)의 배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히터(250-1)는 일체의 선 형상을 다수 회 구부려서 다열(多列) 배치된 코드 히터일 수 있다. 제 1 히터(250-1)를 다열 배치된 열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저항체의 단면적을 줄임과 동시에 저항체의 길이를 늘일 수 있기 때문에, 제 1 히터(250-1)의 저항을 높일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제 1 히터(250-1)에 공급되는 전압을 직류로 할 필요 없이, 가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교류(예를 들어, 110V 또는 220V)를 직접 제 1 히터(250-1)에 적용할 수 있다. 제 1 히터(250-1)의 저항이 높기 때문에, 가정용 교류 전원을 사용하더라도 소비되는 전력을 낮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히터(250-1)의 소비 전력은 60 W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 1 히터(250-1)를 다열 배치된 열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인접하는 열선 간에 단락(short)이 발생하더라도 제 1 히터(250-1)의 저항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히터(250-1)를 형성하는 열선의 일단 및 타단은 전원 공급을 위해서, PCB 상의 패턴 또는 리드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히터(250-1)의 일단 및 타단은 땜납, 압착 및 용접 중 하나에 의해 PCB 상의 패턴 또는 리드선과 연결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제 1 히터(250-1)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며 냉동 사이클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가 그 내부를 이동하여 냉기가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냉각 부재(180)는 제 1 히터(250-1)와 겹치지 않도록 제 1 히터(250-1)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히터(250-1)의 배치와 겹치지만 않다면 냉각 부재(18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냉각 부재(180)의 양단이 제 1 히터(250-1)의 양단과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냉각 부재(180)의 양단이 제 1 히터(250-1)의 양단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a)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빙기(100a)에 사용되는 제 1 히터(250a-1) 및 제 2 히터(250a-2)는 면상 히터일 수 있다. 면상 히터는 그 내부에 발열체로서 금속 박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히터(250a-1) 및 제 2 히터(250a-2)의 두께는 0 초과 1mm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히터(250a-1) 및 제 2 히터(250a-2)의 두께의 하한은 발열체 및 절연 부재의 재질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 1 히터(250a-1) 및 제 2 히터(250a-2)를 박형으로 제조하여 열 용량을 작게 함으로써, 제 1 히터(250a-1) 및 제 2 히터(250a-2)를 빠른 시간 내에 기설정된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제 1 히터(250a-1) 및 제 2 히터(250a-2)는 다중 절연된 피복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용 피복을 다중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전체 절연용 피복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단일층으로 절연하는 경우에는 전체 길이에 대하여 고르게 절연용 피복을 형성하는 것이 어려워서 일부 구간에서는 절연용 피복이 지나치게 얇게 형성될 수 있어서, 어느 정도의 두께는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그에 반해, 절연용 피복을 다중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 1 절연 피복을 형성하였을 경우에 일부 구간에서 피복의 두께가 얇아지더라도 제 2 절연 피복을 통해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 구간에서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면상 히터 내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이 형성되어서, 아이스 트레이(102)에 인서트 사출 시에 아이스 트레이(102)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의 제 1 히터(250a-1) 및 냉각 부재(180)의 배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3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 1 히터(250a-1)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 부착되는 면상 히터일 수 있다. 제 1 히터(250a-1)의 단부는 전원 공급을 위해서, PCB 상의 패턴 또는 리드선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히터(250a-1)의 단부는 땜납, 압착 및 용접 중 하나에 의해 PCB 상의 패턴 또는 리드선과 연결될 수 있다.
냉각 부재(180)는 제 1 히터(250a-1)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며 냉동 사이클에 의해 순환되는 냉매가 그 내부를 이동하여 냉기가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냉각 부재(180)는 제 1 히터(250a-1)와 겹치지 않도록 제 1 히터(250a-1)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히터(250a-1)의 배치와 겹치지만 않다면 냉각 부재(180)는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서는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냉각 부재(180)의 양단이 제 1 히터(250a-1)의 양단과 동일한 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냉각 부재(180)의 양단이 제 1 히터(250a-1)의 양단과 반대 측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수 부재(212)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배수 부재(212)의 유도 구조(212c, 212c')는 배수부(212b)의 양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4(a)는 배수 부재(212) 내에 제 2 히터(250-2)로서 코드 히터가 배치된 경우이며, 도 14(b)는 배수 부재(212) 내에 제 2 히터(250a-2)로서 면상 히터가 배치된 경우이다. 유도 구조(212c, 212c')를 배수 부재(212)의 배수부(212b)의 양 측부에 형성함으로써, 아이스 트레이(102)에서 오버플로우되는 물을 보다 확실하게 배수 부재(212)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제빙기(100)에 있어서, 얼음이 형성되는 제빙 공간(102a)을 포함하는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 부재(212)는 아이스 트레이(102)로부터 발생되는 물을 수집하여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부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배수 부재(212)는 제어 박스(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아래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수 부재(212)를 이와 같이 기울임으로써 제어 박스(110) 내로 물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수 부재(212) 내에 수집된 물을 기결정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의 성에가 그대로 제빙기(100) 하부에 위치하는 얼음 저장 용기(미도시됨)로 떨어지면 얼음이 서로 달라붙어서 뭉치게 되고, 냉장고 내의 다른 곳으로 떨어지면 해당 부위의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지만, 배수 부재(212)에 의해서 이러한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수 부재(212)는 제어 박스(110)에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있으며, 배수 부재(212) 내의 제 2 히터(250-2)의 제어 박스(110) 측 전원 접속부(미도시됨)도 제어 박스(110)와 힌지 운동이 가능하도록 접속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빙기(100)의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일측에 마련되어 아이스 트레이(102)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250a-1)와 배수 부재(212) 내에 위치하여 배수 부재(212)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250a-2)는 연결부(250a-3)에 의해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히터(250a-1), 연결부(250a-3) 및 제 2 히터(250a-2)는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250a-3)는 제 1 히터(250a-1)의 일측 및 제 2 히터(250a-2)의 일측 각각에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50a-3)는 제 1 히터(250a-1) 및 제 2 히터(250a-2)와 별개의 히터일 수 있다. 제 1 히터(250a-1), 제 2 히터(250a-2) 및 연결부(250a-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어서, 전체적으로 "ㄷ" 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 1 히터(250a-1), 제 2 히터(250a-2) 및 연결부(250a-3)는 면상 히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고, 제 1 히터(250a-1), 제 2 히터(250a-2) 및 연결부(250a-3)는 코드 히터를 다수 회 구부러져서 다열 배치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히터(250a-1), 제 2 히터(250a-2) 및 연결부(250a-3)가 직렬로 연결되기 때문에, 하나의 전원 접속부(미도시됨)에 의해 제 1 히터(250a-1), 제 2 히터(250a-2) 및 연결부(250a-3)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 접속부를 복수개 형성할 필요가 없어서 전원 연결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 접속부는 제 1 히터(250a-1) 또는 제 2 히터(250a-2)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 1 히터(250a-1)와 제 2 히터(250a-2)의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 접속부는 제 1 히터(250a-1)가 형성된 아이스 트레이(102) 측 및 제 2 히터(250a-2)가 형성된 배수 부재(212) 측 각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히터(250a-1), 제 2 히터(250a-2)는 연결부(250a-3)에 대해서 직렬 및 병렬 중 하나로 선택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전원 접속부에는 제 1 히터(250a-1) 및/또는 제 2 히터(250a-2)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 부재(미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 부재는 휴즈 또는 바이메탈일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102)와 냉각 부재(180)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는 냉각 부재(180)를 수용하기 위한 냉각 부재 수용부(102-1)가 형성될 수 있다. 냉각 부재 수용부(102-1)는 그 내부에 냉각 부재(1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냉각 부재(180)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의 돌기 형상일 수 있다. 냉각 부재 수용부(102-1)의 개수는 냉각 부재(180)가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밀착되는 형상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냉각 부재 수용부(102-1)의 일측에는 냉각 부재(180)의 하측의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102-2)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102-2)는 냉각 부재 수용부(102-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도 17에 따르면, 지지 부재(102-2)는 냉각 부재 수용부(102-1) 중 외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냉각 부재 수용부(102-1)에 형성된 지지 부재(102-2')가 냉각 부재 수용부(102-1)의 외측이 아닌 내측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의 하부에 냉각 부재(180)를 수용하기 위한 냉각 부재 수용부(102-1)가 형성되는 것은 앞선 실시예 들과 동일하지만, 냉각 부재 수용부(102-1)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부재(102-2, 102-2')가 형성되는 대신, 배수부(212)에 형성된 밀착 부재(212a)가 냉각 부재(18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밀착 부재(212a)의 양 측에는 가이드(212a-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12a-1)는 냉각 부재 수용부(102-1)를 감쌀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가져서 냉각 부재 수용부(102-1) 내에 수용된 냉각 부재(180)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102-2")는 탄성을 가지는 클립이 냉각 부재 수용부(102-1)의 일측을 사이에 두고 끼워지는 클립(clip)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트레이(102) 및 제어 박스(110)를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히터(250)는 코드 히터일 수 있다. 우선, 히터(250)를 거치하기 위한 히터 거치부를 준비한 후에 히터(250)를 히터 거치부와 조립할 수 있다(S1). 그 후, 히터 거치부와 조립된 히터(250)를 인서트 사출을 통해 히터(250) 상에 아이스 트레이(102)가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S2). 사출 공정 시에 아이스 트레이(102) 뿐만 아니라 제어 박스(110)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하여 아이스 트레이(102)와 제어 박스(11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S3).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간단한 공정으로 제빙기(100)를 형성할 수 있다.
히터(250)가 면상 히터일 경우에도 상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빙기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은 방식도 가능하다.
도 22를 참조하면, 아이스 트레이(102)에 형성되는 면상 히터(250a-1)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255a)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 사출을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면상 히터(250a-1)가 위치하도록 할 때에, 통공(255a)을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와 면상 히터(250a-1)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통공(255a)은 면상 히터(250a-1)의 일부가 제거된 형태일 수 있다. 도 23은 면상 히터(250a-1)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아이스 트레이(102)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면상 히터(250a-1) 뿐만 아니라 배수 부재(212) 내에 위치하는 면상 히터(250a-2)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제어 박스(110)와 아이스 트레이(10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그 외에, 배수 부재(2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100a : 제빙기
102 : 아이스 트레이
102-1 : 수용 홈
104 : 이젝터
104-1 : 이젝터 축
104-2 : 이젝터 핀
108-1, 108-2 : 절연 필름
108-3 : 접착 부재
110 : 제어 박스
112, 112a : 밀착 부재
112-1, 112-1a : 밀착부
112-2, 112-2a : 지지부
112-3, 112-3a : 베이스
150, 150', 150a, 150b : 히터
151 : 섬유 부재
152 : 열선
153 : 절연막
154 : 내부 절연막
180: 냉각 부재
212 : 배수 부재
212-1 : 제 1 부
212-2 : 제 2 부
212a : 밀착 부재
212b : 배수부
212c, 212c' : 유도 구조
250 : 히터
250-1, 250a-1 : 제 1 히터
250-2, 250a-2 : 제 2 히터
250a-3 : 연결부

Claims (18)

  1.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냉각 부재를 수용하는 냉각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부재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의 밀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탄성 부재로서 형성되고,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상기 제 2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조립 구조로 형성되는, 제빙기.
  2.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부에 상기 제 1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수납 구조로 형성되는, 제빙기.
  3.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냉각 부재를 수용하는 냉각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부재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의 밀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의 일측에 끼워지는 클립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상기 제 2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조립 구조로 형성되는, 제빙기.

  4.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부재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밀착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인서트되도록 형성되는, 제빙기.
  5.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방열 부재가 형성되는, 제빙기.
  6.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부재는 히터 커버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빙기.
  7.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는 접착 부재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밀착되는, 제빙기.
  8.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연결되는, 제빙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 중 일 측에 과열을 방지하는 차단 부재가 형성되는, 제빙기.
  10.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면상 히터인, 제빙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면상 히터 내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배수 부재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는, 제빙기.
  12.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코드 히터인, 제빙기.
  13.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및 병렬 중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
  14.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대향하여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이젝터를 구동시키는 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되는 제어 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박스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배수 부재 중 적어도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제빙기.
  15. 청구항 1 내지 3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금속, 플라스틱 또는 금속과 플라스틱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제빙기.
  16.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냉각 부재를 수용하는 냉각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부재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의 밀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상기 제 2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조립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연결되거나, 직렬 및 병렬 중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
  17.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 하부에 상기 제 1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수납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연결되거나, 직렬 및 병렬 중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
  18. 제빙수를 수용하는 구획된 공간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직접 냉기를 전달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 내에서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는 냉각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발생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 부재;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열을 공급하는 제 1 히터; 및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위치하고, 상기 배수 부재에 열을 공급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는 상기 냉각 부재를 수용하는 냉각 부재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냉각 부재의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의 밀착 상태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상기 냉각 부재 수용부의 일측에 끼워지는 클립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 부재 내에 상기 제 2 히터가 인서트 구조 또는 조립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는 직렬 연결되거나, 직렬 및 병렬 중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빙기.
KR1020150056176A 2015-01-16 2015-04-21 제빙기 KR201600887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027 2015-01-16
KR20150008027 2015-01-16
KR1020150047316 2015-04-03
KR20150047316 2015-04-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1269A Division KR20180090240A (ko) 2018-08-06 2018-08-06 제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777A true KR20160088777A (ko) 2016-07-26

Family

ID=56680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176A KR20160088777A (ko) 2015-01-16 2015-04-21 제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7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790A (ko) *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129607A (ko) * 2017-05-25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14838548A (zh) * 2018-11-16 2022-08-02 Lg电子株式会社 制冰机及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655A (ko)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3655A (ko) 2009-07-06 201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제빙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790A (ko) *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대창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180129607A (ko) * 2017-05-25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11428455B2 (en) 2017-05-25 2022-08-30 Lg Electronics Inc. Defros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CN114838548A (zh) * 2018-11-16 2022-08-02 Lg电子株式会社 制冰机及冰箱
CN114838548B (zh) * 2018-11-16 2024-03-08 Lg电子株式会社 制冰机及冰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73586A1 (en) Defrost heater using strip type surface heat emission element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nd defrost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074795A (ko) 제빙기
US2009004985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8539779B2 (en) Ice mak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KR20100120253A (ko) 냉장고
US11149995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50146357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GB2251295A (en) Evaporator defrost assembly
KR20160088777A (ko) 제빙기
KR20160150394A (ko) 씨즈 히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제빙기
KR20160004880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US20180156515A1 (en) Icemaker
KR102339583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1073323B2 (en) Evaporato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20180090240A (ko) 제빙기
US11525619B2 (en) Defros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2447836B1 (ko) 제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447834B1 (ko) 제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60078200A (ko) 이빙 히터를 구비하는 제빙기
JP4347200B2 (ja) 冷蔵庫
US11428455B2 (en) Defrost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KR102447835B1 (ko) 제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CN100356123C (zh) 电冰箱
KR20160109816A (ko) 다이렉트 접속 방식 고효율 이빙 히터를 구비하는 제빙기
JP3684176B2 (ja) 防爆型電気装置の自己制御型ヒ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