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512A -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 및 대응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 및 대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512A
KR20140073512A KR1020147008663A KR20147008663A KR20140073512A KR 20140073512 A KR20140073512 A KR 20140073512A KR 1020147008663 A KR1020147008663 A KR 1020147008663A KR 20147008663 A KR20147008663 A KR 20147008663A KR 20140073512 A KR20140073512 A KR 20140073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tuner
local oscillator
signal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325B1 (ko
Inventor
마르끄 루슈꼬프
끌로드 푸끄
앙또니 쁘장
Original Assignee
톰슨 라이센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톰슨 라이센싱 filed Critical 톰슨 라이센싱
Publication of KR20140073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02Details
    • H04J1/12Arrangements for reducing cross-talk between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9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by improving strong signal performance of the receiver when strong unwanted signals are present at the receiver in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ise Elimination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적어도 제1 튜너(101)와 제2 튜너(102)를 포함하는 멀티-튜너 수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튜너(101)는 제1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제1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튜너(101)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1 로컬 발진기(1016)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튜너(102)는 제2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제2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튜너(102)는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2 로컬 발진기(1026)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가 상기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고, 복조기는 상기 제2 튜너(102)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 및 대응 방법{SIGNAL RECEPTION MULTI-TUNER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본 발명은 수개의 튜너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기 장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튜너들간의 혼선 감축에 관한 것이다.
멀티-튜너 수신기들은 특히, 예를 들어, 지상 및 위성 전송 채널들을 통한 수개의 시청각 프로그램의 수신에 이용된다.
튜너들 각각은 신호를 복조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 주파수 대역 내의 신호 반송파 주파수의 선택을 가능하게 해준다.
멀티-튜너 수신기의 입력 아키텍처가 어떻든 간에, 유의미한 단점이 존재한다. 전자기 방출은 튜너들 간에 존재하고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혼선(crosstalk)이라고 알려져 있다.
혼선의 문제는 구체적으로 2개의 튜너가 LO(로컬 발진기)라 불리는 동일한 변환 주파수에 동조할 때 발생한다. 튜너 출력들 각각에 개별적으로 연결된 복조기들은 입력 신호의 저전력 레벨에서 뚜렷한 성능 감소를 겪는다.
특허 출원 WO2011005382A2(명칭 "Apparatus and methods for minimizing phase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tuners solutions"으로 공개됨)는 제1 튜너의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가 제2 튜너의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와 같거나 근접한지 여부, 또는 로컬 발진기 주파수들 중 하나와 다른 로컬 발진기의 고조파 주파수 간에 간섭을 유도할 수 있는 관계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2개의 이웃하는 튜너들 간의 혼선을 구체적으로 제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간섭이 예상되는 경우, 튜너 로컬 발진기들 중 어느 하나로 고정 주파수 오프셋이 생성된다.
이러한 방법은 튜너 아웃고잉(outgoing)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이용된 복조 회로들이 튜너 주파수가 채널의 이론적인 주파수에 완벽하게 맞추어지지 않을 때도 정상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사실에 바탕을 두고 있다.
정의된 채널에 동조하였을 때, 고조파를 이웃 튜너에 분산하는 튜너의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 오프셋은 고조파가 상당히 감소하게 해주며 회로의 유형이 혼선 현상에 기여할 때 2개의 이웃 튜너들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기술은 구현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현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해주면서, 멀티-튜너 전자 장치의 적어도 두 개의 튜너들 간의 혼선을 줄여서 종래 기술의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극복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본 발명은 적어도 제1 튜너, 제2 튜너 및 복조기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제1 튜너는 제1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제1 변환 주파수(translated frequency)로 변환할 수 있게 적응되어 있고, 제1 튜너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1 로컬 발진기를 포함하고, 제2 튜너는 제2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제2 변환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게 적응되어 있고, 제2 튜너는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2 로컬 발진기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도,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continually time variable offset frequency)의 합과 같고, 복조기는 제2 튜너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할 수 있게 적응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튜너와 제2 튜너는 동일 유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수신된 제2 신호의 심볼 주파수의 의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삼각 파형에 따라 가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연속 레벨들로 가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벨들 각각은 고정 시간(locking time)의 4 배 초과의 지속기간을 가지며, 고정 시간은 제2 로컬 발진기의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의 프로그래밍과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의 제2 로컬 발진기에 의한 전달(delivery) 간의 최대 시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레벨들 각각은 상기 고정 시간의 10배 미만의 지속기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레벨들 각각에 의해 유도된 주파수의 점프(jump)와 상기 레벨들 각각의 지속기간 간의 관계는 초당 7 kHz보다 적거나 같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제1 튜너와 제2 튜너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에서 신호 수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고, 이 방법은:
- 제1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제1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 제1 튜너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1 로컬 발진기를 포함함 - ;
- 제2 수신 신호의 주파수를 제2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 - 제2 튜너는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2 로컬 발진기를 포함함 - 를 포함하고,
- 이 방법은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가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2 튜너로부터의 제2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복조 단계는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를 복조기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고 있는 다음의 설명을 읽으면 본 발명은 보다 잘 이해되고 다른 특정 특징부 및 장점도 잘 드러날 것이다.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튜너 수신 시스템을 보여주고 있다.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2개의 튜너를 가진 수신기/디코더 유형 수신 장치를 보여주고 있다.
- 도 3a는 도 2에 기술된 수신 장치의 튜너 구조의 세부를 보여주고 있다.
- 도 3b는 도 3a의 튜너에 구현된 로컬 발진기 모듈 LO1 및 LO2의 세부를 보여주고 있다.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신기/디코더 장치의 제2 튜너의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 도 5는 도 3b에 관해서 도시된 로컬 발진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에 대한 본 설명에서, 표현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로 기술된 오프셋 주파수의 연속 변동은 간섭 현상(예를 들어, 혼선)이 2개의 튜너 간에 발생할 수 없도록 지속기간이 충분 짧은 연속 스텝들에 의해서 2개의 로컬 발진기 주파수 중 하나가, 적어도, 중앙값을 가운데 두고서 연속해서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이해된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연속 스텝들의 값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동일하다(단계들의 진폭은 일정하다).
일 실시 예의 변화에 따르면, 단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수개의 연속 값을 취할 수 있다.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는 가장 일반적으로 레지스터 내의 기록을 통해서 프로그램되므로, 연속 변동은 결과적으로 일련의 이산 값들에 대응한다. "연속 변동"은 간섭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에 충분히 긴 시간 기간 동안 동일 값을 보존하는 로컬 발진기 주파수와는 반대로 정의된다. 다른 말로, 본 발명의 맥락에서 표현되어 기술되는 주파수의 "연속 변동"은 간섭 현상이 나타날 수 없도록 기간(period)이 충분히 짧은 주기적인 변동에 대응한다.
유의해야 할 점은 또한, 고정 주파수와 가변 주파수의 합과 같은 주파수의 정의는 하나의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 관련된 변동을 다른 것에 관련해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이는 합이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의 각 리프로그래밍 전에 실행되어야만 하지만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로부터 정의된 고정 값을 가운데 두고(또는 그 위나 아래에서) 연속해서 가변한다는 것을 체계적으로 암시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도 2, 3a 및 3b에서, 도시된 모듈들은 물리적으로 구분가능한 유닛들에 대응할 수도 그렇지 않을 수 있는 기능 유닛들이다. 예들 들어, 이들 모듈 또는 이들 중 일부는 함께 엮여서 단일 컴포넌트가 될 수 있고, 또는 동일 소프트웨어의 기능들을 구성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일부 모듈들은 개별 물리적 엔티티들로 구성된다.
일반적이나 비-제한 방식으로, 본 발명은 2개의 튜너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이 동일한 중심 주파수로 반송될 때 이웃 튜너와의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 한 튜너의 로컬 발진기의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변동을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튜너들은 IF(중간 주파수)를 필요로 하지않는 위성 튜너이다.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는 수신된 신호의 전송 채널에 대응하는 공칭 주파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튜너가 중간 주파수를 이용할 때,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는 중간 주파수가 부가되는 공칭 주파수(전송 채널의 이론적인 주파수)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멀티-튜너 수신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위성 텔레비전 수신 장치(1)를 포함한다. 수신 장치는 2개의 독립 튜너를 포함하는 수신기/디코더이다. 튜너들은 각각 연결(3 및 4)을 통해서 2개의 위성 수신 안테나(2)에 연결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수신 장치(1)이다. 이 장치는 "전단"(108) 및 "후단"(109)을 포함한다. 명칭 "전단"은 한 세트의 특정 신호 수신 기능을 명시하고, 명칭 "후단"은 장치(1)의 상이한 파트들의 제어 로직 세트 및 코맨드는 물론이고, 수신된 신호의 디코딩 및 시청각 프로그램의 원상 회복을 위한 모든 다른 유용한 프로세스를 보장하는 기능 세트를 명시한다. 전단(108)은 멀티-튜너 유형이고 각각이 2개의 복조기(103 및 104)에 각자 연관된 2개의 튜너(101 및 102)를 갖고 있다. 입력 연결부(3 및 4)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들은 복조기(103 및 104)의 출력에서 디멀티플렉싱 및 디코딩을 실행하는 제어 및 처리 유닛(105)에 전달된다. 디코딩된 오디오 및 비디오 성분은 이후 출력 인터페이스 모듈(106)에 전송되고, 이 모듈은 처리 및 원상 회복(도시되지 않음) 장치 상에서 수신된 프로그램들을 원상 회복할 수 있게 신호들을 전달한다.
제어 유닛(105)은 제어 버스(107)를 통해서 그리고 구성 레지스터 내의 기록을 통해서 다양한 모듈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구성 버스(107)는 직렬 버스 I2C(필립스에서 개발함) 또는 어드레스, 데이터 및 제어 라인을 포함하는 병렬 버스와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 버스 유형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튜너들(101 및 102)은 동일한 유형이다. 변형에 따르면, 튜너들은 상이한 유형이다. 수신된 신호(위성, 지상, 케이블로)와 전송 채널의 성질에 따른 튜너의 분류를 튜너 유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동일 유형의 튜너들은 동일 특성(예로 채널 폭과 같은)을 갖는 전송 채널들을 통해 전송된 동일 성질의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응된다. 예를 들어, 위성을 통한 전송 채널에 걸친 동조를 위해 적응된 튜너들을 포함하는 튜너는 "위성" 유형인 것으로 정의된다. 위성 전송 채널은 예를 들어 950 MHz 내지 2150 MHz의 주파수 대역에 속한다. 같은 이유로, 지상 디지털 텔레비전(TNT)의 보급을 위해 이용된 전송 채널 상의 동조를 위해 적응된 튜너들을 포함하는 튜너는 "지상" 유형인 것으로 정의된다.
튜너들(101 및 102)이 동일 유형이라 함은, 예를 들어, 튜너(101)가 "위성" 유형의 튜너이고 튜너(102)도 또한 "위성" 유형의 튜너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위성" 유형의 튜너(101)와 "지상" 유형의 튜너(102)의 예는 튜너들(101 및 102)이 상이한 유형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도 3a는 수신 장치(1)에 이용된 튜너(101 및 102)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2개의 튜너(101 및 102)는 동일하고 각각 950 내지 2150 MHz의 주파수 대역에 걸쳐서 위성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신호 수신을 전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장치(1)는, 예를 들어, 위성 튜너와 지상 튜너와 같은 2개의 상이한 튜너를 포함한다.
튜너(101)는 수신된 신호의 품질을 보존하면서 입력에서 양호한 신호 레벨을 보증하는 LNA(1010)(저잡음 증폭기)를 포함한다. 이후 이 신호는 신호에 대한 이득의 자동 조정을 실행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모듈(1011)에 의해 처리된다. 이후 이 신호는 필터링 모듈(1012)에 의해서 여과되고, 이 필터링 모듈은 튜너(101)의 중심 균형 주파수를 중심으로 주파수 대역을 여과하고 로컬 발진기의 제2 및 제3 고조파 문제의 배제를 실행하면서 튜너(101)의 광-대역 비-선형 특성이 개선되게 해준다. 이러한 필터는 때로 "이미지 채널 필터" 또는 "안티 H2 H3 필터"라 불린다. 이렇게 여과된 신호는 로컬 발진기(1016)를 포함하는 로컬 발진기 모듈(1013)에 전송되고, 로컬 발진기(1016)는 본 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 LO1이라 칭한다. 이후 이 신호는 위성 전송에 있어서의 디지털 변조를 위해 이용되는 성분 I 및 Q, 동-위상 성분 및 직교 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로컬 발진기(1016)로부터 2개의 개별 브랜치로의 신호와 혼합된다. 성분 I가 추출되게 해주는 제1 브랜치는 이 신호를 위상이 0°인 로컬 발진기 신호에 혼합하는 한편 성분 Q의 추출에 이용되는 제2 브랜치는 이 신호를 위상이 90°인 로컬 발진기 신호에 혼합한다. 이후 성분 I 및 Q 각각은 출력 모듈(1015)에 전송되기 전에 저역 필터링 모듈(1014)에 의해 여과된다. 출력 모듈은 성분 I 및 Q를 차등 포맷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이들을 포맷하며, 그래서 튜너 외부에 있는 복조 모듈(도시되지 않음)로의 전송 라인들에 도착할 수 있는 잡음 및 간섭에 대한 면역이 확실히 좋아진다. 게다가, 출력 모듈 그 자체는 또한 튜너(101)에 연계된 복조기로의 입력을 위해 성분 I 및 Q가 안전한 레벨로 전달될 수 있게 해주는 AGC를 포함하고 있다.
튜너(102)의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튜너(101)의 구조와 유사하다. 튜너(102)는 튜너(101)의 요소(1010 내지 1016)와 유사한 LNA 모듈(1020), AGC 모듈(1021), 필터링 모듈(1022), OL 모듈(1023), 저역 필터링 모듈(1024) 및 출력 모듈(1025)을 포함한다. 로컬 발진기 모듈(1023)은 로컬 발진기 LO2(1026)를 포함한다.
로컬 발진기 모듈(1016 및 1026)은 각각 로컬 발진기 주파수(중심 주파수라 불림) 구성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그래서, 제어 유닛(105)은 로컬 발진기 LO1 및LO2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값들을 모듈(1013 및 1023)의 레지스터들에 기록함으로써 그들 각자의 동조 관점에서 튜너(101 및 102)를 구성한다. 로컬 발진기의 레지스터에 전달될(로컬 발진기에 의해서) 주파수에 대응하는 값을 기록하는 것을 로컬 발진기의 프로그래밍이라 부른다.
나머지 기술에서는, foLO1은 로컬 발진기 LO1의 중심 주파수라 칭하고 foLO2는 로컬 발진기 LO2의 중심 주파수라 칭한다.
게다가 fLO1은 튜너(101)의 로컬 발진기 모듈(1016)에서 프로그래밍된 주파수라 불릴 수 있고 fLO2는 튜너(102)의 로컬 발진기 모듈(1026)에서 프로그래밍된 주파수라 불릴 수 있다.
기술된 실시 예의 경우인, 튜너들 O-IF(중간 주파수 없는 튜너들)를 이용하는 경우, 중심 주파수 foLO1 및 foLO2는 수신된 신호를 반송하는 전송 채널들의 주파수에 대응한다. 프로그래밍된 주파수들 fLO1 및 fLO2는 제어 버스(107)를 통해서, 제어 유닛(105)에 의해 로컬 발진기 모듈(1013 & 1023)의 레지스터들에 기록된 값들에 대응한다.
도 3b는 로컬 발진기 주파수 구성 레지스터(1017(LO1용))를 포함하는 로컬 발진기 모듈 LO1(1013)과 로컬 발진기 주파수 구성 레지스터(1027(LO2용))를 포함하는 LO2(1023)을 보여주고 있다.
레지스터(1017 및 1027)는 제어 버스(107)를 통해서 제어 및 처리 유닛(105)에 의해 구성된다.
도 4는 2개의 튜너(101 및 102)가 동일 주파수의 채널들에 의해 반송된 신호를 수신할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듈(1026)의 로컬 발진기 LO2의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fLO2의 변형을 보여주고 있다. 제어 유닛(105)은 수신된 채널들의 주파수들의 이퀄리티(equality)를 검출하고 간단히 혼선을 피하기 위해서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를 로컬 발진기 LO2의 주파수에 부가시킨다.
제2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에 부가되어, 오프셋 주파수를 생성하는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주파수 foLO2 및 fLO2의 절대값의 차, 또는 제2 튜너(튜너 102)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반송하는 전송 채널의 주파수와 제2 튜너(튜너 102)의 제2 로컬 발진기의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간의 차이다. 그래서, 제1 로컬 발진기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제2 로컬 발진기는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한다.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다.
유리하게도, 튜너들(101 및 102)의 로컬 발진기들의 발진 주파수는 서로 다르다. 이들 주파수의 이퀄리티에 관련된 또는 발진기의 주파수와 이웃 발진기의 주파수 내의 고조파의 근접에 관련된 혼선 현상이 방지되거나 줄어든다.
이와 같이, 고정 오프셋 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발진기 LO1 및 LO2의 주파수들의 이퀄리티에 의해 유도된 혼선에 관련된 성능의 감퇴를 평가할 필요가 없다.
채널들의 주파수들의 이퀄리티를 검출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수신 장치(1)의 사용자가 수신 중에 시청각 프로그램의 변경을 요청할 때와 같이 이들 주파수 중에서 한 주파수에 수정이 있을 때 실행된다.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fLO2의 변동은 연속 레벨들에 의해서 생성된다. 이들 레벨은 로컬 발진기 LO2의 로컬 발진기 주파수 구성 레지스터에 어떤 값의 각각의 새로운 기록 후의 fLO2의 주파수에서의 점프들에 대응한다.
로컬 발진기 LO2의 주파수의 변동은 그의 중심 주파수 foLO2를 중심으로 익스커션(excursion)을 실행한다. 이 변동은 로컬 발진기 LO2의 구성 레지스터(1027) 내의 연속 기록 엔트리(반복적)에 의해 실행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익스커션 리미트(excursion limits)는 하위 값이 fLO2MIN와 같고 상위 값이 fLO2MAX와 같게 정의된다,
여기서 fLO2MIN = foLO2 - k × lsb,
fLO2MAX = foLO2 + k × lsb,
여기서 k는 정수이다.
유리하게도, k는, 중심 주파수 foLO2에 관해서 fLO2의 주파수 내의 익스커션의 최대값이 위성 유형 튜너에 대한 채널의 심볼 주파수 fsym의 10% 미만이 되도록 정의된다.
lsb는 로컬 발진기 LO2의 구성 레지스터(1027)의 낮은 가중 비트의 수정에 의해서 유도된 주파수 변동에 대응하며, 이는 로컬 발진기 LO2의 PLL(Phase Lock Loop)의 기본 단계이다.
로컬 발진기 LO2가 튜너(102)의 로컬 발진기 모듈(1023)의 대응 레지스터(1027) 내의 기록으로부터, 프로그래밍된 주파수와 같은 주파수의 안정 신호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최대 응답 시간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그리고 이러한 제한을 감안하기 위해서, k의 수열(progression)은 바람직하게는 로컬 발진기 LO2의 위상 고정 루프의 최대 응답 시간의 적어도 4배와 같은 주기성 단위이다.
다른 말로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로컬 발진기 LO2의 레지스터(1027) 내의 로컬 발진기 주파수 LO2의 새로운 값(따라서, 이전에 기록된 것에 대해 상이한 값임)의 기록에 의해 유도된 레벨들 각각에 대해서, 주파수 ΔfLO2 내의 점프 및 연속 레벨들 ΔtLO2의 지속기간이 있다.
지속기간 ΔtLO2는 루프(loop)를 해제(unlock)하는 리스크가 없도록 마진(margin)을 보존하는 동안 로컬 발진기 LO2의 위상 고정 루프의 최대 취득 시간(maximum acquisition time)에 가깝다. 로컬 발진기의 일반적인 최대 시간은 50 ms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라 ΔtLO2가 정의되고:
이 예에 따르면, ΔtLO2 = 4×50ms = 200ms이다.
유리하게도, 혼선 현상이 로컬 발진기 LO1 과 LO2 간에 발생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각 레벨은 위상 고정 루프의 최대 취득 시간의 10배 미만의 최대 지속기간을 갖는다:
ΔtLO2max = 10×50ms = 500ms
차(foLO2 - fLO2)의 절대값은 오프셋 주파수이다. 오프셋 주파수의 최대값은 튜너 유형(102)에 따라서 정의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오프셋 주파수의 최대값은 수신된 신호의 심볼 주파수의 함수이다.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튜너(102)는 "위성" 유형이고, 오프셋 주파수 │foLO2 - fLO2│은 수신된 신호의 심볼 주파수의 10% 미만이다. 변형에 따르면, 튜너(102)는 "지상" 유형이고 오프셋 주파수는 수신된 신호의 심볼 주파수의 5% 미만이다.
좀더 구체적으로,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튜너(102)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심볼 주파수에 의존한다. 특히, 오프셋 주파수의 최대값은 튜너(102)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심볼 주파수의 퍼센티지에 대응하는 선정의된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로컬 발진기 LO2의 레지스터(1027) 내의 새로운 값의 기록에 의해 유도된 주파수 ΔfLO2내의 점프와 2개의 연속 기록 간의 지속기간(한 레벨의 지속기간) 사이의 비율은 초당 7 kHz 미만이거나 같다.
F2가 레지스터 내의 기록 후의 LO2의 주파수 fLO2의 값이면, F1은 fLO2의 이전 값이고, ΔtLO2는 레지스터(1027) 내의 2개의 연속 기록 이벤트들 사이의 경과 시간(또는 한 레벨의 지속기간)이고,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2-F1)/ΔtLO2<= 7 kHz/s.
그래서 복조기(104)는 튜너(10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고정되게 유지된다.
fLO2의 변동에 대한 그래픽 표현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삼각파에 대응한다.
T는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하는 로컬 발진기의 프로그래밍된 값의 완전한 익스커션 기간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 익스커션은 중심 주파수 foLO2에 중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고정 값이 부가되는 중심 주파수 foLO2에 대응하는 주파수에 중심을 두고 있을 수 있다. 고정 값 내의 오프셋이 한 방향으로의 익스커션(k×lsb의 최대값)보다 크다면, 로컬 발진기 LO1 및 LO2의 주파수들의 시간 일치(punctual concordance)가 방지된다. 익스커션은 foLO1 및 foLO2가 동일한 값일 때 필요하다. 가변 오프셋 외에도 고정 오프셋의 추가는, 발진기 LO2의 중심 주파수 foLO2의 마진에 대한 최대 익스커션이 로컬 발진기 LO2의 주파수 내의 드리프트(drift)를 뒤따르는 제2 튜너(102)에 연관된 복조기의 용량 한계 내에 유지되는 경우에만 고려될 수 있다.
변형에 따르면, 주파수 fLO2의 변동의 파형은 반원 형태 또는 튜너(102) 및 복조기(104)가 수신된 신호에 고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조건에 양립하는 형태의 사인파이다.
예를 들어, 위성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복조가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는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 내의 최대 점프는 초당 7 kHz 정도이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튜너(102)에 연계된 복조기(104)에, 주파수 foLO2(로컬 발진기 LO2의 중심 주파수)와 fLO2(로컬 발진기 LO2의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간에 존재하는 오프셋을 나타내는 파라미터를 전송한다. 복조가 용이해질 수 있고 좀더 정밀하거나 좀더 신뢰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복조기(104)는 튜너(102)가 동조하는 채널의 주파수와 복조기의 입력에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 간의 오프셋 계산 모듈을 포함한다. 이 복조기는 튜너가 동조하는 채널 주파수의 값을 이용하여 이 오프셋을 계산하고, 이 주파수 그 자체는 각 재구성(reconfiguration)(예를 들어, 장치(1)의 튜너(102)에 관한 수신 채널의 변경과 같은) 시에 제어 유닛(105)에 의해 전송된다.
변형에 따르면, 복조기(104)는 오프셋 값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도, 제어 유닛(105)은 주파수 foLO2(로컬 발진기 LO2의 중심 주파수)와 fLO2(로컬 발진기 LO2의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간의 차인 오프셋 주파수의 값을 기록한다.
다른 변형에 따르면, 제어 유닛(105)은 로컬 발진기 LO2의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fLO2를 복조기(104)의 레지스터에 기록한다. 그래서, 수신된 신호의 에너지 복원, 반송파 복원 및 복조의 알고리즘이 개선되고 복조에 특정된 처리 시간이 최적화된다.
도 5는 튜너(101 및 102)의 2개의 로컬 발진기에 대한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계 1은 예를 들어 수신 장치(1)의 스타트-업에 대응하는 초기화 단계이다. 로컬 발진기들은 제어되지 않으며 튜너들은 채널 주파수들 내로 동조되지 않는다.
단계 2는 제1 튜너에 의해 수신된 제1 신호의 주파수를 제1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에 관한 것이며, 제1 튜너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1 로컬 발진기를 포함한다.
단계 2에서, 그리고 수신 장치(1)의 튜너(101)에 의해 수신될 프로그램이 선택된 후에, 제어 유닛(105)은 로컬 발진기 LO1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값을 로컬 발진기 모듈(1013)의 레지스터(1017)에 기록한다. 튜너(101), 복조기(103) 및 좀더 넓게는 튜너(101)의 신호 수신을 위한 장치(1)에 유용한 다른 구성 레지스터가 구성된다.
변형에 따르면, 그리고 수신 장치(1)의 스타트-업의 경우에, 로컬 발진기 모듈 LO1의 레지스터(1017) 내의 프로그래밍된 값은 턴-오프되거나 대기 상태에 놓이기 전에, 튜너(101)에 의해 수신된 마지막 채널의 수신을 위해 이전에 프로그래밍된 로컬 발진기 주파수의 값에 대응할 수 있다.
단계 3은 제2 튜너에 의해 수신된 제2 신호의 주파수를 제2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제2 튜너는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2 로컬 발진기를 포함한다.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다.
단계 3에서, 장치(1)의 튜너(102)로 수신될 프로그램의 선택(예를 들어, 수신 장치(1)의 사용자에 의해)에 뒤이어, 제어 유닛은 튜너(102)로 수신될 신호를 반송하는 채널의 로컬 발진기 LO2의 발진기 주파수를 로컬 발진기 LO1의 주파수에 비교한다. 이들 주파수가 동일하면, 제어 유닛은 수신될 신호를 반송하는 전송 채널의 주파수에 따라서 로컬 발진기 모듈(1023)의 레지스터(1017)를 프로그램한 후 즉시 로컬 발진기 LO2의 주파수가 로컬 발진기 LO1의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이 되도록 로컬 발진기 LO2의 주파수의 연속 리프로그래밍 사이클을 시작한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 제어 유닛은 로컬 발진기 LO2의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fLO2가 수신될 채널에 대응하는 로컬 발진기 foLO2의 중심 주파수를 중심으로 변화할 수 있게 해주는 알고리즘에 따라서 루틴을 수행한다. 로컬 발진기 모듈(1023)의 레지스터(1027) 내에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fLO2의 변동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변동은 연속 레벨들에 의해 실행된다. 각 레벨의 지속기간은 ΔtLO2이고, 연관된 주파수 fLO2 내의 점프는 ΔfLO2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값 foLO2를 중심으로 하는 프로그래밍된 주파수 익스커션 fLO2는 로컬 발진기 주파수 foLO1과 foLO2의 이퀄리티가 있는 경우에만 생성된다.
변형에 따르면, 주파수 foLO2의 익스커션은 튜너(102)로 수신되는 신호를 반송하는 채널이 무엇이든 항상 생성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2개의 튜너(101 및 102) 각각은 연결(3 및 4)을 위한 입력을 포함한다.
변형 실시 예에 따르면, 수신 장치(1)는 신호 입력을 포함하고 연결(3 및 4)은 입력 신호를 2개의 연결(3 및 4)로 분리한 후에 설정된다.
앞서 기술된 본 발명은 위성 텔레비전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RF(무선 주파수) 전송 채널로 전송된 신호의 동조 및 추출의 기능을 구현하는 모듈들과 서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로컬 발진기 모듈을 포함하는 임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튜너들이 구별되는 집적 회로들에 있든 동일 집적 회로 내에 수용되어 있든, 모듈 내의 튜너나 특정 회로에 통합된 튜너들을 이용하는 경우에 아주 잘 적용된다.
변형에 따르면, 로컬 발진기 LO2의 주파수의 시간 가변은, 예를 들어, 사인파 변동 또는 랜덤한 변동과 같은 앞서 기술된 것과는 다른 파형에 대응한다. LO2의 주파수의 변동은 특히 데이터의 복원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튜너(102)에 연계된 복조기(104)의 특성과 그의 성능에 의해 제한된다. 특히, 이러한 제한은 일반적으로 각 레벨에 의해서 유도된 주파수 내의 점프와 각 레벨의 지속기간 간의 관계가 초당 7 kHz 미만이거나 같을 때 충족된다.
다른 변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멀티-튜너 수신기가 유용한, 무선-전화 또는 병렬로 수개의 RF 채널을 통한 임의 데이터의 수신과 같은 비-가청 응용을 위한 데이터의 수신에도 적용된다.
다른 변형에 따르면, 본 발명은 2개 초과의 튜너(예를 들어, 3, 4 또는 5개의 튜너)를 포함하는 멀티-튜너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의 수신에 적용된다. 이 경우에 튜너들의 로컬 발진기들의 주파수의 변동은 이들의 각 주파수가 서로 다른 식으로 나타난다.
다른 변형에 따르면, 제1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는 고정 주파수와 제1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고, 제2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는 제2 고정 주파수와 제2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다. 유리하게도, 제1 및 제2 고정 주파수는 값이 동일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값이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기술된 시스템에 적응된 방법에 적용된다. 이 방법은, 제1 실시 예에 따라서, 제1 로컬 발진기와 제2 로컬 발진기의 구성에 적응되고, 제2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는 제1 로컬 발진기의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제1 튜너(101), 제2 튜너(102) 및 복조기(104)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튜너는 수신된 제1 신호의 주파수를 제1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튜너(101)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1 로컬 발진기(1016)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튜너(102)는 수신된 제2 신호의 주파수를 제2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튜너(102)는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2 로컬 발진기(1026)를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가 상기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고, 상기 복조기(104)는 상기 제2 튜너(102)로부터의 신호를 복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너와 상기 제2 튜너는 동일한 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너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상기 수신된 제2 신호의 심볼 주파수에 의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너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삼각 파형에 따라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너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는 연속 레벨들에 의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들 각각은 고정 시간(locking time)보다 4배 긴 지속기간을 가지며, 상기 고정 시간은 상기 제2 로컬 발진기의 상기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의 프로그래밍과 상기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의 상기 제2 로컬 발진기에 의한 전달 사이의 최대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너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들 각각은 상기 고정 시간보다 10배 짧은 지속기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너 시스템.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들 각각에 의해 유도된 주파수의 점프와 상기 레벨들 각각의 지속기간 간의 비율은 초당 7 kHz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튜너 시스템.
  9. 적어도 제1 튜너(101) 및 제2 튜너(102)를 포함하는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호 수신 방법으로서,
    - 제1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제1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2) - 상기 제1 튜너는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1 로컬 발진기(1016)를 포함함 - , 및
    - 제2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를 제2 변환 주파수로 변환하는 단계(3) - 상기 제2 튜너는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제2 로컬 발진기(1026)를 포함함 -
    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로컬 발진기 주파수가 상기 제1 로컬 발진기 주파수와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의 합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2 튜너로부터의 상기 제2 신호를 복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조하는 단계는 상기 복조기에 상기 연속 시간 가변 오프셋 주파수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47008663A 2011-10-04 2012-09-25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 및 대응 방법 KR1019413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158928 2011-10-04
FR1158928A FR2980934A1 (fr) 2011-10-04 2011-10-04 Systeme multi-tuners de reception de signaux et methode correspondante
PCT/EP2012/068857 WO2013050272A1 (en) 2011-10-04 2012-09-25 Signal reception multi-tuner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512A true KR20140073512A (ko) 2014-06-16
KR101941325B1 KR101941325B1 (ko) 2019-01-22

Family

ID=4688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663A KR101941325B1 (ko) 2011-10-04 2012-09-25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 및 대응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325441B2 (ko)
EP (1) EP2764628B1 (ko)
JP (1) JP6014152B2 (ko)
KR (1) KR101941325B1 (ko)
CN (1) CN103843255B (ko)
FR (1) FR2980934A1 (ko)
TW (1) TWI597983B (ko)
WO (1) WO201305027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141A (ko) * 2002-08-23 2004-03-0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수신 장치
KR20070057269A (ko) * 2004-09-28 2007-06-04 마이크로튠 텍사스 엘. 피. 동조기들로부터 lo 관련 간섭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는시스템 및 방법
US20100054377A1 (en) * 2008-08-28 2010-03-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purious signal reduction in multi-mode digital navigation receiver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55266A1 (en) * 1997-01-15 1999-04-27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ulti-tuner receiver
US6625435B1 (en) * 2000-02-29 2003-09-23 Ericsson Inc. Frequency synthesis using a programmable offset synthesizer
GB0128553D0 (en) 2001-11-29 2002-01-23 Zarlink Semiconductor Ltd Tuner arrangement and set top box
KR100957257B1 (ko) 2002-04-08 2010-05-12 소니 주식회사 신호 수신 장치 및 신호 수신 회로
JP2004304442A (ja) * 2003-03-31 2004-10-28 Clarion Co Ltd 放送受信装置
US20040250284A1 (en) 2003-04-14 2004-12-09 Zhiwei Dong Methods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aseband filter passband frequency and local oscillator frequencies
US7599673B2 (en) * 2003-04-14 2009-10-06 Silicon Laboratories, Inc. Receiver architectures utilizing coarse analog tuning and associated methods
GB2402564B (en) * 2003-06-07 2006-04-05 Zarlink Semiconductor Ltd Multiple conversion tuner
US7034632B2 (en) 2004-05-12 2006-04-25 Broadcom Corporation Multi-tuner receivers with cross talk reduction
GB2414351B (en) * 2004-05-22 2006-04-12 Zarlink Semiconductor Ltd Tuner arrangement
US7634028B2 (en) 2004-05-27 2009-12-15 Silicon Laboratories Inc. Selecting clock frequencies for baseband devices
US7904024B2 (en) 2004-09-28 2011-03-08 Zora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eliminating or minimizing Lo-Related interference from tuners
JP4412165B2 (ja) * 2004-12-14 2010-02-10 ソニー株式会社 放送信号受信装置及び放送信号受信方法
JP5122483B2 (ja) 2006-02-02 2013-01-16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複数のチューナ受信器におけるクロストークを検出および防止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7532856B2 (en) * 2006-03-24 2009-05-12 Robert Eugene Stoddard Regenerative jammer with multiple jamming algorithms
US7620381B2 (en) * 2006-05-21 2009-11-17 Realtek Semiconductor Corp. Tri-state chopper for frequency conversion
KR20080049933A (ko) 2006-12-01 2008-06-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합 디지털 튜너 모듈
US8290447B2 (en) * 2007-01-19 2012-10-16 Wi-Lan Inc. Wireless transceiver with reduced transmit emissions
KR100911878B1 (ko) 2007-07-13 2009-08-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듀얼튜너
US8081929B2 (en) * 2008-06-05 2011-12-2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ptimal frequency planning for an integrated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receivers
US20100323635A1 (en) 2009-06-23 2010-12-23 Terry Steeper Apparatus and methods for minimizing phase interaction between multiple tuner solutions
JP2011082669A (ja) * 2009-10-05 2011-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8478220B2 (en) * 2010-03-16 2013-07-02 Rf Micro Devices, Inc. Discrete time polyphase mixer
US8290448B2 (en) * 2010-04-01 2012-10-16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minimizing performance loss in multiple tuner solu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141A (ko) * 2002-08-23 2004-03-0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데이터 수신 장치
KR20070057269A (ko) * 2004-09-28 2007-06-04 마이크로튠 텍사스 엘. 피. 동조기들로부터 lo 관련 간섭을 제거 또는 최소화하는시스템 및 방법
US20100054377A1 (en) * 2008-08-28 2010-03-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purious signal reduction in multi-mode digital navigation receiv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50272A1 (en) 2013-04-11
US20140247707A1 (en) 2014-09-04
KR101941325B1 (ko) 2019-01-22
TWI597983B (zh) 2017-09-01
JP2014531864A (ja) 2014-11-27
CN103843255A (zh) 2014-06-04
CN103843255B (zh) 2016-09-28
US9325441B2 (en) 2016-04-26
EP2764628B1 (en) 2018-12-26
FR2980934A1 (fr) 2013-04-05
EP2764628A1 (en) 2014-08-13
TW201322763A (zh) 2013-06-01
JP6014152B2 (ja)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601B2 (en) Broadcast receiver system
US20110075050A1 (en) Broadcast receiver system
US7230654B2 (en) Channel acquisition processing for a television receiver
US8503956B2 (en) Providing channel filtering in a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path
US20110075049A1 (en) Broadcast receiver system
KR101941325B1 (ko) 신호 수신 멀티-튜너 시스템 및 대응 방법
US20080253485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20070002972A1 (en) Cancellation of undesired portions of audio signals
KR101331663B1 (ko) 아날로그 및 디지털 위성파 겸용 튜너
WO2006119488A1 (en) An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ple channel receiver
JP2006522564A (ja) マルチ・チャンネル衛星放送信号の受信装置
JPH036194A (ja) 受信装置
JP2001119634A (ja) 衛星放送受信装置
JP2007318446A (ja) デジタル衛星放送受信モジュールおよびデジタル衛星放送受信機
JPH10304276A (ja) デジタル衛星放送用受信機
JPH11220669A (ja) 衛星放送受信用dbsチューナ
JP2003250099A (ja) 受信装置
JP2009094622A (ja) チューナ
JP2004364339A (ja) 受信装置
JP2004104768A (ja) 受信装置
JP2002027006A (ja) デジタル放送用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