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3498A -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 케이스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3498A
KR20140073498A KR1020147006324A KR20147006324A KR20140073498A KR 20140073498 A KR20140073498 A KR 20140073498A KR 1020147006324 A KR1020147006324 A KR 1020147006324A KR 20147006324 A KR20147006324 A KR 20147006324A KR 20140073498 A KR20140073498 A KR 20140073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ing
metal case
housing
plate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시쿠니 콘도
노리츠구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에이에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3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02B6/426Details of housings mounting, engaging or coupling of the package to a board, a frame or a pane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74Electrical aspects
    • G02B6/4277Protection agains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e.g.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측판부의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고 메탈케이스를 고착함으로써 그 메탈케이스의 덜컹거림을 억제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서는 광전송로 관련부재의 접속상태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게다가 고품질의 전송 특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탈케이스(14)에는 측판부(14b)의 자유단측에 결합 오목부(142)를 설치하는 한편, 암형 커넥터 하우징(13)에는 메탈케이스(14)의 측판부(14b)와 대응하는 측면부(13b)에, 결합 오목부(142)와 결합하는 결합 볼록부(130)를 마련하고, 그 결합 볼록부(130)에는 결합 오목부(142)와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측판부(14b)가 측면부(13b)에서 옆쪽으로 분리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130a)를 마련하였다.

Description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 케이스 {OPTICAL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AND METAL CASE FOR 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제어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 등의 정보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파이버 케이블용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차량 내에서의 제어신호, 영상신호, 음성신호 등의 통신 정보량의 증대에 수반하여 정보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전송로로 기존의 메탈 케이블를 대신하여 예를 들면 광파이버 케이블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관련 부재(광 전송로 관련 부재)로서의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을, 광 전송로 관련 부재로서의 공지의 FOT(Fiber Optical Transceiver) 등에 접속하는 것으로서, 광 전송로 관련 부재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을 피복하는 금속제의 케이스(메탈케이스)를 구비한 광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중,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상면부(천판부) 및 측판부에 의해 단면 문형(門形)으로 형성된 금속제의 실드 상부뚜껑(메탈케이스)으로 하우징을 피복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측판부에 마련한 걸림 손톱(係止爪)을 하우징의 측면부에 형성한 오목부에 걸리게 함으로써 실드 상부뚜껑을 하우징에 고정 장착한다.
그러나, 하기 특허문헌 1에서는, 전술된 걸림 손톱을 측판부의 중심부에 마련하기 때문에, 실드 상부뚜껑을 장착할 때에는 걸림 손톱이 마련된 측판부의 자유단(自由端)측을 바깥쪽으로 밀어 젖혀야 했다. 이와 같이 측판부의 자유단측을 바깥쪽으로 밀어 젖히면, 측판부의 소성 변형에 의해 걸림 손톱을 오목부에 적절하게 걸리게 할 수 없어져 실드 상부뚜껑에 덜컹거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특개평8-33986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측판부의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고 메탈 케이스를 고정 장착함으로써, 해당 메탈케이스의 덜컹거림을 제어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서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의 접속상태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고, 게다가 고품질의 전송 특성을 오랜 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을 피복하는 메탈케이스를 구비하며, 그 메탈케이스를, 천판부 및 측판부에 의해 단면 문형으로 형성한 광 커넥터로서, 상기 메탈케이스에는, 상기 측판부의 자유단측에 결합 오목부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탈케이스의 측판부와 대응하는 측면부에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결합 볼록부를 마련하고, 그 결합 볼록부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와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가 상기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메탈케이스의 측판부의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아도 하우징의 결합 볼록부를 결합 오목부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고 메탈 케이스를 하우징에 장착할 수 있어서 메탈케이스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메탈케이스를 고정 장착한 뒤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결합 볼록부와 결합 오목부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측판부가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분리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를 마련함으로써, 측판부의 덜컹거림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메탈케이스 전체의 덜컹거림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메탈케이스의 덜컹거림을 억제함에 따라, 하우징과 메탈 케이스를 더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커넥터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의 접속상태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게다가 고품질의 전송 특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로 관련 부재는, 예를 들면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이나 FOT 등의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관련 부재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분리 규제부를, 상기 측면부에서 분리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 오목부를 결합 볼록부에 끼워 넣을 때, 측판부가 살짝 바깥 옆쪽으로 어긋나 있었다 하더라도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분리 규제부를 따라서 결합 오목부의 테두리부를 가이드함으로써, 그 테두리부를 결합 볼록부의 소정 위치에 원활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결합 오목부의 삽입시에, 결합 볼록부, 결합 오목부에 예기치 않은 방향의 부하가 걸리고, 이들을 변형시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메탈케이스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상기 결합 볼록부의 상기 자유단측 단부와 맞물려서, 그 결합 볼록부의 빠짐을 규제하는 계합(係合) 규제부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 볼록부가 결합 오목부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과 메탈케이스를 더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유단측 단부(端部)란, 상기 결합 볼록부가 결합 오목부에서 빠져나올 때 빠져나오는 쪽에 위치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결합 오목부에서 상기 천판부를 향해 연장되는 노치부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 오목부를 측판부의 연장 방향으로 용이하게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계합(係合) 규제부를 마련한 구성이어도, 결합 오목부의 확장에 의해 결합 볼록부를 결합 오목부에 쉽게 끼워 맞출 수 있다.
게다가, 결합 오목부를 측판부의 연장 방향으로 넓히는 경우에는, 결합 오목부(메탈케이스)를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리고자 하는 반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측판부의 자유단측을 바깥쪽으로 밀어 젖히는 경우에 비해 메탈 케이스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노치부의 단부에, 그 노치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개구부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 오목부를 확장했을 때, 노치부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천판부 및 측판부에 의해 단면 문형으로 형성한 메탈케이스에 의해 피복되는 광 커넥터용 하우징으로서, 상기 메탈케이스의 측판부와 대응하는 측면부에 상기 메탈케이스를 설치한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결합 볼록부를 마련하고, 그 결합 볼록부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와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가 상기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메탈 케이스의 측판부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아도 결합 볼록부를 결합 오목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고 메탈 케이스를 하우징에 고착할 수 있어서 메탈 케이스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메탈 케이스를 고착한 뒤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결합 볼록부와 결합 오목부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측판부가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를 마련함으로써, 측판부의 덜컹거림을 확실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메탈 케이스 전체의 덜컹거림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메탈 케이스의 덜컹거림을 억제함에 따라, 하우징과 메탈 케이스를 더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커넥터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의 접속 상태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고, 게다가 고품질의 전송 특성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분리 규제부를 상기 측면부에서 이간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메탈케이스의 결합 오목부를 결합 볼록부에 끼워 넣을 때, 메탈케이스의 측판부가 살짝 바깥쪽으로 벗어나 있다고 하더라도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분리 규제부를 따라서 결합 오목부의 테두리부를 가이드 함에 따라 그 테두리부를 결합 볼록부의 소정의 위치에 원활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결합 오목부의 삽입시에 결합 볼록부, 결합 오목부에 예기치 않은 방향의 부하가 걸려서 이들을 변형시키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피복하는 광 커넥터용 메탈 케이스로서, 천판부 및 측면부에 의해 단면 문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의 자유단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 마련한 결합 볼록부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측판부의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아도 하우징의 결합 볼록부를 결합 오목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고 메탈케이스를 하우징에 고정 장착할 수 있어서 메탈 케이스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메탈 케이스를 고착한 뒤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결합 볼록부와 결합 오목부와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측판부가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를 마련함에 따라, 측판부의 덜컹거림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메탈케이스 전체의 덜컹거림을 더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메탈케이스의 덜컹거림을 억제함에 따라 하우징과 메탈 케이스를 더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광 커넥터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의 접속 상태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고, 게다가 고품질의 전송 특성을 장기간 동안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상기 결합 볼록부 의 상기 자유단측 단부와 맞물려서, 그 결합 볼록부의 빠짐을 규제하는 계합 규제부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 볼록부가 결합 오목부에서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과 메탈케이스를 더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유단측 단부(端部)란, 결합 볼록부가 결합 오목부에서 빠져나올 때 빠지는 쪽에 위치하는 단부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결합 오목부에서 상기 천판부를 향해 연장되는 노치부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 오목부를 측판부의 연장 방향으로 용이하게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계합 규제부를 마련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결합 오목부의 넓힘에 의해 결합 볼록부를 결합 오목부에 용이하게 끼워 맞출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결합 오목부를 측판부의 연장 방향으로 넓히는 경우에는 결합 오복부(메탈케이스)를 원래의 형상대로 되돌리려는 반력이 발생하므로 측판부의 자유단측을 바깥쪽으로 밀어 젖히는 경우에 비해 메탈케이스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노치부의 단부에, 그 노치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개구부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 오목부를 넓혔을 때 노치부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측판부의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젖히지 않고 메탈케이스를 고착함으로써, 그 메탈케이스의 덜컹거림을 억제하여 강도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서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의 접속 상태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게다가 고품질의 전송 특성을 오랜 기간 유지시킬 수 있는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과 FOT의 접속에 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수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암형 커넥터로 삽입시 선단측에서 수형 커넥터를 본 정면도이고,
도 4는 암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을 삽입할 때 삽입 측에서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본 정면도이고,
도 7은 메탈케이스를 암형 커넥터 하우징에 고착하는 공정에 관한 설명도이고,
도 8은 메탈케이스의 결합 오목부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 볼록부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메탈케이스를 결합시킨 상태의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피 가이드 요철부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가이드 요철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메탈케이스의 결합 오목부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 볼록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메탈케이스의 결합 오목부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 볼록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의 메탈케이스의 결합 오목부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 볼록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아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은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과 FOT(Fiber Optical Transceiv er)(3)의 접속에 관한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수형(雄型) 커넥터(10A)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3은 암형(雌型) 커넥터(10B)로 삽입할 때 선단측에서 수형 커넥터(10A)를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암형 커넥터(10B)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13)의 평면도를 나타내며, 도 6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10A)을 삽입시 삽입측에서 암형 커넥터 하우징(10B)을 본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메탈 케이스(14)를 암형 커넥터 하우징(13)에 고착하는 공정에 관한 설명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메탈케이스(14)의 결합 오목부(142)와 암형 커넥터 하우징(13)의 결합 볼록부(130)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9는 메탈케이스(14)를 결합시킨 상태의 암형 커넥터(10B)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11)의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와 암형 커넥터 하우징(13)의 가이드 요철부(131L,131R)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11은 수형 커넥터(10A)와 암형 커넥터(10B)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낸다.
광 커넥터(1)는 도 1에서와 같이 암수 한 쌍으로 결합 가능하게 구성하고, 자세하게는 수형 커넥터(10A)와, 그 수형 커넥터(10A)를 삽입해서 이것과 결합, 접속하는 암형 커넥터(10B)에 의해 구성된다.
광 커넥터(1)에 접속하는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은, 도 1에서와 같이, 광파이버 케이블(20)에 광파이버 단자(21)를 장착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더 자세하게는 광파이버의 선단을 소정의 길이 만큼 노출시키고, 이것을 광파이버 단자(21)를 구성하는 통체(筒體)의 페룰(22)에 통과시켜서 고정함으로써 구성된다.
암수 한 쌍 구성의 광 커넥터(10) 중 수형 커넥터(10A)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광파이버 단자(21)(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두 개의 삽통홀(11a)(도 3 참조)을 구비한 수지제의 수형 코넥터 하우징(11)(이하, 하우징(11)으로 생략 기재한다)과, 하우징(11)에 광파이버 단자(21)를 고정하기 위한 단자 고정부재(12)로 구성한다.
삽통홀(11a)은 두 개의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광파이버 단자(21))을 통과시키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광파이버 단자(21)의 페룰(22)을 이 삽통홀(11a)에 끼워 통과시킨 후 하우징(11)의 도시되지 않은 슬릿에 단자 고정부재(12)를 삽입하고, 삽통홀(11a)에 통과시킨 광파이버 단자(21)를 단자 고정부재(12)로 고정함으로써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을 수형 커넥터(10A)(하우징(11))에 조립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11)에서는 대향하는 양 외측 측면부(11b,11b)에, 암형 커넥터 (10B)로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를 배치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암형 커넥터로의 삽입방향을 Z방향으로 정의하면서 동시에 양 외측 측면부(11b,11b)의 평면 방향, 환언하면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를 구성하는 후술되는 볼록부(110a,110c), 오목부(110b,110d)의 병설 방향을 Y방향, 양 외측 측면부(11b)와 직교하는 방향, 즉, Y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X방향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10B)를 나타내는 도면에서는 수형 커넥터(10A)를 암형 커넥터 (10B)에 삽입했을 때 수형 커넥터(10A)의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X방향, Y방향, Z방향을 나타낸다.
하우징(11)에서는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의 형상을 비대칭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피 가이드 요철부(110L)를 두 개의 볼록부 (110a,110a)와 하나의 오목부(110b)에 의해 구성하는 한편, 피 가이드 요철부(110R)를 하나의 볼록부(110c)와 두 개의 오목부(110d,110d)에 의해 구성한다.
피 가이드 요철부(110L)에서는 볼록부(110a,110a)의 한쪽 면에 X방향으로 똑바로 연장되는 대향 수평면(110e,110e)을 구비하면서 동시에 다른 쪽 면에는 X방향에 대해 경사진 대향 경사면(110f,110f)을 구비한다.
한편, 피 가이드 요철부(110R)에서는, 볼록부(110c)의 양면에 X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대향 경사면(110g,110g)을 구비한다.
그리고,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에서는, 각 볼록부(110a,110c)의 폭이, 외측 측면부(11b)에서 X방향의 외측 방향을 향하면서 작아지도록 대향 경사면 (110f,110g)의 경사방향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 경사방향의 설정에 따라 각 오목부(110b,110d)의 폭이, 외측 측면부(11b)에서 X방향 외측 방향을 향할수록 커진다.
또한, 양 외측 측면부(11b,11b)를 접속하는 천면부(天面部)(11c)에는, 복수의 결합 손톱(111,112L,112R)을 배치하고 있으며, 천면부(11c)의 X방향 중앙부에 결합 손톱(111)을 배치하는 한편, 그 결합 손톱(111)을 중심으로 해서 대칭으로 두 개의 결합 손톱(112L,112R)을 배치한다.
또한, 천면부(11c)와 대향하는 저면부(11d)에는, 결합 손톱(112L,112R)과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 손톱(113L,113R)을 배치한다.
암형 커넥터(10B)는, 도 1, 및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10A)의 삽입을 허용하는 수지성의 암형 커넥터 하우징(13)(이후, 이를 하우징(13)으로 생략 표기한다)과, 그 하우징(13)을 피복하는 금속제의 메탈케이스 (14)에 의해 구성하고, 도시되지 않은 제어 기판에 탑재하는 두 개의 FOT(3)(도 1 참조)와, 각 FOT(3)에 대응해서 배치한 렌즈(4)(도 1 참조)와, 하우징(13)에 대한 FOT(3)의 위치를 배면 쪽에서 규제하는 스페이서(5)(도 1참조)를 구비한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10B)에서는 하우징(13)에 의해 FOT(3)를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FOT(3)는 발광소자, 수광소자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구성된 공지의 전자 부품이며, 이 FOT(3) 및 전술된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은, 모두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이다.
하우징(13)은, 도 4 내지 도 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의 삽입을 허용하는 삽입공간(13a)을 가지며, 그 삽입공간(13a)의 외측의 양 측면부(13b,13b)에는 각각 X방향의 외측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결합 볼록부(130)를 두 개씩 설치하는 한편, 삽입공간(13a)의 측벽을 구성하는 양 내측 측면부(13c,13c)에는, 도 4, 도 6에서와 같이 Z방향으로 연장해서 하우징(11)의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와 결합할 수 있는 가이드 요철부(131L,131R)를 마련한다.
또한, 양 측면부(13b,13b) 및 양 내측 측면부(13c,13c)를 접속하는 천면부(13d), 저면부(13e)에는 각각 하우징(11)의 결합 손톱(112L,112R,113L,113R)(도 2, 도 3참조)에 대응하는 결합홀(132L,132R,133L,133R)을 천공한다.
하우징(13)에서는, 결합 볼록부(130)에 있어서, 특히 도 4, 도 5에서와 같이 측면부(13b)에서 이간함에 따라 Z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평면에서 보아 테이퍼 형상의 분리 규제부(130a)를 마련한다.
한편, 하우징(13)과 함께 암형 커넥터(10B)를 구성하는 메탈케이스(14)는, 도 4에서와 같이 하우징(13)의 천면부(13c)에 대응하는 천판부(14a)와, 양 측면부(13b,13b)에 대응하는 양 측면부(14b,14b)에 의해 단면 문형을 이룬 금속제의 실드 케이스이며, 하우징(13)을 피복함으로써 FOT(3)를 전기적 노이즈의 영향으로부터 보호(씰링)하고, 그리고 하우징(13)에 고착해서 이것과 일체화시킴으로써, 하우징(13)을 보강해서 암형 커넥터(10A)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메탈케이스(14)에서는, 하우징(11)의 천면부(11c)(도 2, 도 3참조)에 배치한 결합 손톱(111)에 대응하는 결합홀(140)을 천공하면서 동시에 양 측판부(14b,14b)에는 상기 제어 기판에 형성한 걸림 홀에 삽입해서 메탈케이스(14)를 걸림, 고착하는 걸림 볼록부(141)와, 천판부(14a)를 향해서 오목해지는 결합 오목부(142)를 자유단측에 설치한다.
두 측판부(14b,14b)에는, 하우징(13)의 결합 볼록부(130)에 대응해서 결합 오목부를 두 개씩 마련한다. 그리고, 각 결합 오목부(142)의 자유단측의 테두리부에는 한 쌍의 계합 규제부(143,143)를 마련하는 한편, 천판부(14a)측 테두리부에는 그 천판부(14a)를 향해 연장되는 노치부(144)를 설치한다. 그리고, 노치부(144)의 단부에는 그 노치부(144)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개구부(145)를 설치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메탈케이스(14)를 하우징(13)에 고착하는 경우, 도 7중 두점 쇄선으로 나타내도록 우선 한 쌍의 계합 규제부(143,143)를 떼어놓도록 원형 개구부(145)를 중심으로서 결합 오목부(142)를 측판부(14b)의 평면 내에서 넓힌다. 그리고 이 결합 오목부(142)의 열린 상태를 유지한 채 이것을 하우징(13) 측의 결합 볼록부(130)에 끼워넣어 양자를 맞춘다.
여기서, 결합 볼록부(130)의 삽입시에는 메탈케이스(14)에 있어서 결합 오목부(142)를 원래의 형상대로 되돌리려는 반력이 발생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분리 규제부(130a)를 따라서 결합 오목부(142)의 테두리부를 가이드함으로써 도 8중 두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부(14b)가 아주 조금 바깥쪽으로 벗어나 있다 하더라도, 상기 테두리부가 상기 반력의 작용에 의해 결합 볼록부(130)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위치결정에 의해 결합 오목부(142)와 결합 볼록부(130)가 소정의 위치관계에서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결합 오목부(142)와 결합 볼록부(130)를 결합시킴으로써 도 8, 도 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판부(14b)가 측면부(13b)에서 외측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분리 규제부(130a)로 규제하면서, 메탈케이스(14)를 하우징(13)에 고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하우징(13)에 메탈케이스(14)를 고착된 상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3)이 메탈케이스(14)에 의해 피복된다. 그리고, 계합 규제부(143,143)가, 결합 볼록부(130)의 상기 자유단측 단부, 바꿔 말하면, 결합 볼록부(130)가 결합 오목부(142)에서 빠져나갈 때 빠져나가는 쪽에 위치하는 단부와 맞물림으로써 결합 볼록부(130)의 빠짐이 규제된다.
그런데, 하우징(13)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두 개의 가이드 요철부(131L,131R)의 형상을 도 6에서와 같이 비대칭으로 형성하고 있으며, 가이드 요철부(131L)를 두 개의 오목부(131a)와 세 개의 볼록부(131b,131b,131c)에 의해 구성하는 한편, 가이드 요철부(131R)를 하나의 오목부(131d)와 두 개의 볼록부(131e,131e)에 의해 구성한다.
가이드 요철부(131L)에서는 볼록부(131c)를 사이에 둔 볼록부(131b,131b)의 양면에 X방향으로 똑바로 이어지는 수평면(131f)을 구비하여 볼록부(131b,131b)를 대략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중앙의 볼록부(131c)의 양면에는 X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131g,131g)을 구비한다.
또한, 가이드 요철부(131R)에서는 볼록부(131e)의 한쪽 면에 X방향으로 똑바로 이어지는 수평면(131h)을 구비하면서 동시에 다른 쪽 면에는 X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경사면(131i)을 구비한다.
그리고, 가이드 요철부(131L,131R)에서는 각 볼록부(131c,131e)의 폭이 내측 측면부(13c)에서 X방향의 내측 방향을 향하면서 작아지도록 경사면(131g,131i)의 경사방향을 설정하고 있으며, 이 경사방향의 설정에 따라 각 오목부(131a,131d)의 폭이 내측 측면부(13c)에서 X방향의 내측 방향을 향할수록 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11)(수형 커넥터(10A))을 하우징(13)(암형 커넥터 (10B))에 삽입할 경우,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피 가이드 요철부(110L, 110R)를 가이드 요철부(131L,131R)에 결합시키고, 이 결합 상태인 채로 하우징(11)을 가이드 요철부(131L,131R)를 따라 Z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이처럼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를 가이드 요철부(131L,131R)에 결합시킴으로써, 하우징(11)을 Z방향으로 가이드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이 Z방향으로의 가이드에 의해 삽입 공간(13a) 내의 소정 위치에 하우징(11)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수형 커넥터(10A)의 하우징(11)을, 암형 커넥터(10B)의 하우징(13)에 삽입함으로써, 도 11에서와 같이, 수형 커넥터(10A)를 암형 커넥터 (10B)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양 커넥터(10A,10B)를 접속함에 따라 하우징(11)에 조립한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광파이버 단자(21))을 FOT(3)에 접속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1에서는, 편의상, 메탈케이스(14)의 도시를 생략한다.
여기서, 수형 커넥터(10A)와 암형 커넥터(10B)의 접속 상태에서는, 하우징(11)의 결합 손톱(112L,112R,113L,113R)이, 대응하는 하우징(13)의 결합홀(132L, 132R,133L,133R)에 결합하고, 결합 손톱(111)이 메탈케이스(14)의 결합홀(140)에 결합하면서 동시에, 하우징(11)의, Z방향과 직교하는 평면방향(X방향 및 Y방향)의 위치가 도 10에서와 같이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 및 가이드 요철부(131L, 131R)에 의해 규제된다.
이때,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 가이드 요철부(131L,131R)에서는, 볼록부(131c,131e)의 경사면(131g,131i)이, 각각 볼록부(110a,110c)의 대향 경사면 (110f,110g)에 대향하고 서로 면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광 커넥터(1)의 암형 커넥터(10B)에 있어서, 메탈 케이스(14)의 측판부(14b)의 자유단측에 결합 오목부(142)를 설치함에 따라 측판부(14b)의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아도, 결합 볼록부(130)를 결합 오목부(142)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밀어 젖히지 않고 메탈케이스(14)를 하우징(13)에 고착할 수 있기 때문에, 메탈 케이스(14)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메탈케이스(14)를 고착된 뒤의 덜컹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결합 볼록부(130)와 결합 오목부(142)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측판부(4b)가 측면부(13b)에서 옆쪽으로 분리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130a)를 마련함으로써 측판부(14b)의 덜컹거림을 확실히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메탈 케이스(14) 전체의 덜컹거림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메탈케이스(14)의 덜컹거림을 억제함으로써, 하우징(13)과 메탈케이스(14)를 더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암형 커넥터(10B)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과 FOT(3)의 접속상태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으며, 게다가 고품질의 전송 특성을 오랜 기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 규제부(130a)를 측면부(13b)에서 이간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 오목부(142)를 결합 볼록부(130)에 끼워 넣을 때, 측판부(14b)가 살짝 바깥쪽으로 벗어나 있다 하더라도 테이퍼 형상을 이루는 분리 규제부(130a)를 따라서 결합 오목부(142)의 테두리부를 가이드 함에 따라 그 테두리부를 결합 볼록부(130)의 소정 위치에 원활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결합 오목부(142)의 삽입시에, 결합 볼록부(130), 결합 오목부(142)에 예기치 않은 방향의 부하가 걸려 이들을 변형시키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 볼록부(130)의 상기 자유단측 단부와 맞물려서 그 결합 볼록부(130)의 빠짐을 규제하는 계합 규제부(143)을 마련함에 따라 결합 볼록부(130)가 결합 오목부(142)로부터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3)과 메탈케이스(14)를 더 강고하게 일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결합 오목부(142)에서 천판부(14a)를 향해 연장되는 노치부(144)를 마련함에 따라, 결합 오목부(142)를 측판부(14b)의 평면 내에서 쉽게 넓힐 수 있다. 이 때문에 계합 규제부(143)를 마련한 구성이라 하더라도, 결합 오목부(142)의 넓힘에 의해 결합 볼록부(130)를 결합 오목부(142)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결합 오목부(142)를 측판부(14b)의 평면 내에서 넓히는 경우에는 결합 오목부(142)(메탈케이스(14))를 원래 형상대로 되돌리려고 하는 반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측판부(14b)의 자유단측을 바깥으로 열어젖히는 경우에 비해 메탈케이스(14)의 소성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노치부(144)의 단부에, 그 노치부(144)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개구부(145)를 마련함으로써 결합 오목부(142)를 넓혔을 때, 노치부(144)의 단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와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1)을 Z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요철부(131L,131R)를 구비함으로써, 하우징 (11,13)의 접속작업, 즉, 광 커넥터(1)의 접속작업의 작업성을 가이드 요철부 (131L,131R)에 따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가이드 요철부(131L,131R)에 경사면(131g,131i)을 구비하는 한편,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에 대향 경사면(110f,110g)을 구비함으로써, 도 10 중 두 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면(131g',131i')을 구비한 경우에 비해 경사면(131g,131i)과 대향 경사면(110f,110g)의 접촉 부위(여기에서는 접촉면적)를 늘릴 수 있다. 이 경우, 볼록부(131c,131e)에서의 X방향의 길이를 길게 설정하지 않아도 상기 접촉 부위(접촉면적)를 확보할 수 있어서 광 커넥터(1)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하우징(11)의 지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서 하우징(11)의 지지 강성을 확보함으로써 암수의 하우징(11,13)의 결합 상태를 안정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양자의 결합 위치 정밀도 의 향상을 도모하고, 나아가서는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과 FOT(3)의 위치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품질의 전송 특성을 오랜 기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요철부(131L,131R)를 구성하는 볼록부(131c,131e)의 폭이 내측 측면부(13c)에서 안쪽 방향을 향하면서 작아지도록 경사면(131g,131i)의 경사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볼록부(131c,131e)의 베이스부(基部)(내측 측면부(13c)측 단부)를 가장 두껍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하우징(11)의 삽입에 수반하여 볼록부(131c,131e)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두꺼운 베이스부에 의해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볼록부(131c,131e)의 경사면(131g,131i)에 하중 FL,FR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X방향, Y방향의 분력(分力) FLx, FLy, FRx, FRy가 발생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X방향의 분력 FLx, FRx를 내측 측면부(13c)에서 받아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하우징(11)의 삽입에 따라 경사면(131g,131i)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수평면(131g',31i')에 큰 하중이 걸린 경우에 비해 볼록부(131c,131e)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를 구성하는 볼록부(110a,110c)의 폭이 측면부에서 외측 방향을 향할수록 작아지도록, 대향 경사면(110f,110g)의 경사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볼록부(110a,110c)의 베이스부(외측 측면부(11b)측 단부)를 가장 두껍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하우징(11)의 삽입에 따라 볼록부(110a,110c)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두꺼운 베이스부에 의해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볼록부(110a,110c)의 대향 경사면(110f,110g)에 하중이 입력되었을 때에는 X방향의 분력을 볼록부(131c,131e)와 마찬가지로 외측 측면부(11b)(도 3등 참조)에서 받아들이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하우징(11)의 삽입에 수반하여 대향 경사면(110f,110g)에 큰 하중이 걸리더라도, 수평면에 큰 하중이 걸린 경우에 비해 볼록부(110a,110c)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3)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 측면부(13c,13c)에 가이드 요철부(131L,131R)를 비대칭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하우징(11)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외측 측면부(11b,11b)에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를 비대칭으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11)을 하우징(13)에 삽입시의 적절한 방향을 비대칭으로 형성한 가이드 요철부(131L,131R),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의 형상을 근거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의 잘못된 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측면부(13c,13c), 외측 측면부(11b,11b)의 양쪽에 각각 가이드 요철부(131L,131R),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를 형성함으로써, 피 가이드 요철부(110L,110R)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X방향의 내측을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력 FLx', FRx'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하우징(11)(수형 커넥터(10A))의 X방향에서의 위치를 확실하게 규제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분리 규제부(130a)에 있어서, 테이퍼 형상의 부위를 단면 직선 형태의 평면으로 형성하였는데,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테이퍼 형상의 부위를 단면 다각 형상의 면이나 단면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리 규제부를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12(a)에서와 같이 단면 직사각형 모양의 분리 규제부 (230a)로도 좋다. 또한, 단면 직사각형 모양의 분리 규제부로 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12(b)에서와 같이 분리 규제부(330a)를 결합 볼록부(130)의 한쪽에만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 전술한 최초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결합 볼록부(130)와 결합 오목부가 결합했을 때의 양자간 마찰계수가 큰 경우에는 도 13에서 나타내는 메탈케이스(414)와 같이 계합 규제부(143)(도 4, 도 7 참조)를 반드시 마련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도 13에서 전술한 최초의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볼록부(131b,131b)로 하였지만, 도 14에서와 같이, 한쪽 면에 경사면(531f, 531f)을 구비한 볼록부(531b,531b)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도 14에서와 같이 오목부(531a, 531a)의 양쪽 면이 경사지게 되고, 대응하는 볼록부(510a,510a)에서는 그 양면에 대향 경사면(110f,510e)을 구비하게 된다. 덧붙여, 도 14에 있어서 전술한 최초의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경사면과 대향 경사면이 면 접촉하는 것에도 반드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5에서와 같이 경사면(131g), 대향 경사면(110f) 중 어느 한쪽(도 15에서는 경사면(110f))에, 복수의 접촉부(614,614,…)를 마련하고, 경사면(131g)과 대향 경사면(110f)을 선 접촉 또는 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덧붙여 도 15에 있어서 전술한 최초의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과 전술된 실시형태의 대응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광 전송로 관련 부재는,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2) 및 FOT(3)에 대응하고, 광 커넥터용 하우징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13)에 대응하여도,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광 커넥터
2; 단자가 구비된 광파이버 케이블
3; FOT
13; 암형 커넥터 하우징
14,414; 메탈케이스
14a; 천판부(天板部)
14b; 측판부
130; 결합 볼록부
130a, 230a, 330a; 분리 규제부
142; 결합 오목부
143; 계합 규제부
144; 노치부
145; 원형 개구부

Claims (11)

  1.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을 피복하는 메탈케이스를 구비하며,
    그 메탈케이스를, 천판부 및 측판부에 의해 단면 문형으로 형성한 광 커넥터로서,
    상기 메탈케이스에는 상기 측판부의 자유단측에 결합 오목부를 마련하는 한편,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메탈케이스의 측판부와 대응하는 측면부에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결합 볼록부를 마련하고,
    그 결합 볼록부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와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가 상기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를 마련한 광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규제부를 상기 측면부에서 이간함에 따라서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광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케이스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상기 결합 볼록부의 상기 자유단측 단부와 맞물려서 그 결합 볼록부의 빠짐을 규제하는 계합 규제부를 마련한 광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에서 상기 천판부를 향해 연장되는 노치부를 마련한 광 커넥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의 단부에, 그 노치부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개구부를 마련한 광 커넥터.
  6.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천판부 및 측판부에 의해 단면 문형으로 형성된 메탈케이스에 의해 피복되는 광 커넥터용 하우징으로서,
    상기 메탈케이스의 측판부와 대응하는 측면부에 상기 메탈케이스에 마련한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결합 볼록부를 마련하고,
    그 결합 볼록부에는, 상기 결합 오목부와의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가 상기 측면부에서 옆쪽으로 분리되는 것을 규제하는 분리 규제부를 마련한 광 커넥터용 하우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규제부를 상기 측면부에서 이간함에 따라 폭이 넓어지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광 커넥터용 하우징.
  8. 광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 전송로 관련 부재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피복하는 광 커넥터용 메탈케이스로서,
    천판부 및 측면부에 의한 단면 문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측면부의 자유단측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부에 설치한 결합 볼록부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를 설치한 광 커넥터용 메탈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와 결합하는 상기 결합 볼록부의 상기 자유단측 단부와 맞물려서, 그 결합 볼록부의 빠짐을 규제하는 계합 규제부를 마련한 광 커넥터용 메탈케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오목부에서 상기 천판부를 향해 연장되는 노치부를 마련한 광 커넥터용 메탈케이스.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의 단부에, 그 노치부의 폭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개구부를 마련한 광 커넥터용 메탈케이스.
KR1020147006324A 2012-03-30 2013-03-25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 케이스 KR20140073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8765A JP5675686B2 (ja) 2012-03-30 2012-03-30 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及び光コネクタ用メタルケース
JPJP-P-2012-078765 2012-03-30
PCT/JP2013/058611 WO2013146697A1 (ja) 2012-03-30 2013-03-25 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及び光コネクタ用メタル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498A true KR20140073498A (ko) 2014-06-16

Family

ID=4925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324A KR20140073498A (ko) 2012-03-30 2013-03-25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48472A1 (ko)
EP (1) EP2833178A1 (ko)
JP (1) JP5675686B2 (ko)
KR (1) KR20140073498A (ko)
CN (1) CN104094147A (ko)
WO (1) WO20131466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0418A (ja) * 2012-03-30 2013-10-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コネクタ、光コネクタ用雄型コネクタハウジング、及び光コネクタ用雌型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D759594S1 (en) * 2013-11-15 2016-06-21 Fujikura Ltd. Optical receptacle housing
JP6579438B2 (ja) * 2015-11-24 2019-09-2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シールドケーブル
JP6402942B2 (ja) * 2015-12-11 2018-10-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JP6648086B2 (ja) * 2017-09-21 2020-02-14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3438Y2 (ja) * 1989-04-27 1997-11-05 日本エー・エム・ピー 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2914616B2 (ja) 1995-06-12 1999-07-05 ソニー株式会社 コネクタソケット
JPH11121092A (ja) * 1997-10-17 1999-04-30 Yaskawa Electric Corp コネクタ接続装置
US7118281B2 (en) * 2002-08-09 2006-10-10 Jds Uniphase Corporation Retention and release mechanisms for fiber optic modules
JP4297279B2 (ja) * 2005-02-03 2009-07-15 矢崎総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
CN101960348B (zh) * 2008-03-03 2013-03-27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连接器组件
JP2011028851A (ja) * 2009-07-21 2011-02-10 Yazaki Corp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これでコネクタハウジングが被蔽されて成るコネクタ
JP2011044303A (ja) * 2009-08-20 2011-03-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用ゴムブーツ
JP2011119533A (ja) * 2009-12-04 2011-06-16 Sumitomo Electric Device Innovations Inc 光トランシーバ
JP2011209683A (ja) * 2010-03-12 2011-10-20 Sumitomo Electric Device Innovations Inc 光トランシーバ
JP2012247622A (ja) * 2011-05-27 2012-12-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素子アセンブリおよび光デバイス
JP2012247621A (ja) * 2011-05-27 2012-12-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ケースおよび光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46697A1 (ja) 2013-10-03
US20140348472A1 (en) 2014-11-27
CN104094147A (zh) 2014-10-08
JP2013210416A (ja) 2013-10-10
EP2833178A1 (en) 2015-02-04
JP5675686B2 (ja)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3498A (ko) 광 커넥터, 광 커넥터용 하우징, 및 광 커넥터용 메탈 케이스
JP4278674B2 (ja) 電気コネクタ
JP3120354U (ja) ダイキャストアダプタ
EP2894500B1 (en) Optical connector
JP5614792B2 (ja) 分割コネクタ
US9116316B2 (en) Optical connector, male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and female connector housing for optical connector
JP2017010754A (ja) コネクタカバー
KR101503130B1 (ko) 전자부품
JP5697047B2 (ja) 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US11557863B2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10153578B2 (en) Connector structure
JP6273232B2 (ja) 光コネクタ
CN113891829B (zh) 车辆用空气动力部件和车辆
JP5705790B2 (ja) 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US10910757B2 (en) Connector having slidable locking cover
JP5705791B2 (ja) 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6247664B2 (ja) 光コネクタ
JP6367761B2 (ja) 光コネクタ
JP4291176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装置
US11404823B2 (en) Blind mate connector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reof
JP6574342B2 (ja) 光コネクタ
JP2014238949A (ja) コネクタ
JP3101293U (ja) 光ファイバー接続器
JP2008065314A (ja) 光モジュール
JP4492438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