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2800A -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2800A
KR20140072800A KR1020130141638A KR20130141638A KR20140072800A KR 20140072800 A KR20140072800 A KR 20140072800A KR 1020130141638 A KR1020130141638 A KR 1020130141638A KR 20130141638 A KR20130141638 A KR 20130141638A KR 20140072800 A KR20140072800 A KR 20140072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ference image
frame
frame images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루 오쿠다
타케쉬 마추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092,23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152765A1/en
Priority to EP13195829.0A priority patent/EP2741489A3/en
Priority to CN201310653125.XA priority patent/CN103856715B/zh
Publication of KR20140072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2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촬영장치(1)는 촬영부(10), 입력부, 기준화상 설정부 및 화상 합성부를 갖는다. 촬영부(10)는 파노라마 영상 P1의 생성을 위해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 F1~F5를 촬영한다. 입력부는 촬영부(10)에 의한 연속 촬영중에
사용자 U1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한다. 기준화상 설정부는 입력부가 사용자U1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했을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되어 있는 프레임 영상 F3을 기준영상 KF로서 설정한다. 영상 합성부는 기준영상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화상 KF(F3)의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 P1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 Imaging device }
본 발명은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통상의 사진보다도 폭넓은 촬영이 가능한 이른바 파노라마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파노라마 촬영 시 카메라를 스윙하고 스윙 중에 촬영한 영상을 합성함으로서 통상의 사진보다도 스윙 방향으로 폭이 넓은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파노라마 영상에 관해 다양한 개발이 이루지고 있다. 파노라마 영상 촬영 시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를 파노라마 영상 안의 폭 방향의 임의의 위치에 넣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면, 파노라마 영상에 있어서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를 화면의 중앙에 넣기 위해서는 해당 피사체의 측면 방향으로부터 카메라의 스윙을 시작하여 피사체를 시야에 넣은 후 스윙 개시로부터 동일한 양만큼 스윙할 필요가 있다.
의도한 피사체를 파노라마 영상의 임의의 위치에 넣기 위해 스윙량을 나타내는 카메라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사전에 사용자는 파노라마 영상의 어느 위치에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를 넣을지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파노라마 영상의 촬영을 위해 스윙을 시작하고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가 시야에 들어간 시점부터 소정의 버튼을 입력(押下;Button Down)하면 버튼이 입력된 시점부터 카메라는 피사체가 촬영된 것을 감지하게된다. 카메라는 스윙 개시로부터 버튼이 입력된 시점까지의 화상의 폭과 미리 지정된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의 위치를 고려하여 나머지 스윙량을 계산하고 디스플레이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보여주게된다.
특허문헌 1: 특개 2012-105122호 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피사체가 배치된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으나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가 반드시 선명하게 표시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파노라마 영상을 형성할 때 카메라 스윙중에 촬영된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기 때문이다. 당연히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파사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프레임 영상 사이의 이어 붙이기로 인해 생기는 일그러짐이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에도 나타나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러면,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를 원하는 위치에 촬영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중요한 피사체가 선명하게 촬영되지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를 선명하게 파노라마 영상 안에 남기는 촬영장치 및 촬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영장치는 촬영부, 입력부 기준영상 설정부 및 영상 합성부로 구성된다. 촬영부는 파노라마 영상의 생성을 위해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촬영한다. 입력부는 촬영부에 의한 연속 촬영중에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는다. 기준영상 설정부는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았을 때,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으로서 설정한다. 영상 합성부는 기준영상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기준영상의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방법은 촬영단계, 입력단계, 기준영상 설정단계, 영상 합성단계로 구성된다. 촬영단계는 파노라마 영상의 생성을 위해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촬영한다. 입력단계는 촬영단계에 있어서의 연속 촬영중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입력받는다. 기준영상 설정단계는 입력단계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지시를 입력받았을 때에 촬영단계에 있어서 촬영되어 있는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으로서 설정한다. 영상 합성단계는 기준영상 설정단계에 있어서 설정된 기준영상의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 촬영 중에 사용자로부터 기준영상의 지정이 입력되면 지정된 기준영상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 생성 처리를 수행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를 선명하게 남기며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는 제1 실시형태의 처리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파노라마 영상이 생성되고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파노라마 영상이 생성되고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프레임 영상 및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용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기준영상의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합성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7은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는 제2 실시형태의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측거(測距;measurement of distance)위치에 기초하여 표시용 영상에 있어서의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에 실패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파노라마 영상의 기준영상 및 합성범위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수치 비율은 설명의 사정상 과장되어 있으며 실제의 비율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장치로서의 카메라(1)는 촬영부(10), 표시부(20), 조작부(30), 자세 검출부(40), 기록 미디어(50) 및 제어부(60)로 구성된다.
촬영부(10)는 피사체를 촬영하고 영상(영상 데이터)을 생성한다. 촬영부(10)는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연속하는 복수의 영상(프레임 영상)을 생성한다. 촬영부(10)는 피사체를 결상(結像)하는 광학계(11)와 광학계(11)에 의해 결상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CMOS 센서(12)로 구성된다. 광학계(11)는 줌용 광학 소자, 조리개 및 포커스용 광학 소자를 가지며 이들은 드라이버(13, 14, 15)를 통해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CMOS 센서(12)는 TG(타이밍 컨츠롤러)(16)를 통해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표시부(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나 유기 EL 디스플레이이며 영상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20)는 카메라(1)의 본체(미도시)의 배면에 위치하며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된 피사체에 의해 검출된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부(20)는 표시부 드라이버(68)를 통해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조작부(30)는 셔터 버튼, 상하좌우 키, 전원 스위치 및 모드 다이얼 등이있며 사용자로부터 각종 지시를 입력받게 된다. 또한, 조작부(30)는 표시부(20)의 디스플레이상에 터치 패널 방식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자세 검출부(40)는 카메라(1)의 움직임 및 기울기 등의 위치 변화를 검출한다. 예를 들면 자세 검출부(40)는 자이로 센서 등의 각속도 센서가 이용된다. 또한, 검출부(40)로서 가속도 센서나 지자기 센서가 이용될 수도 있다. 자세 검출부(40)는 카메라(1)의 위치 변화의 검출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어부(60)에 공급한다.
기록 미디어(50)는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 미디어(50)는 카메라(1)에탈착(揷脫) 가능하게 구성되고, 촬영부(10)에 의해 피사체를 촬영하여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를 기록한다. 미디어 컨트롤러(69)를 통해 이루어진 기록 미디어(50)로의 영상 데이터의 기록 및 기록 미디어(50)로부터의 영상 데이터의 삭제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부(60)는 CPU(61), VRAM(62), SDRAM(63), EEPROM(64), 영상 입력 컨트롤러(65), 영상신호 처리 회로(66), 압축 처리 회로(67), 표시부 드라이버(68), 및 미디어 컨트롤러(69)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들은 버스를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CPU(61)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각 부의 제어나 각종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 VRAM(62) 및 SDRAM(63)는 작업영역으로서 일시적으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한다. EEPROM(64)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영상 입력 컨트롤러(65)는 CMOS 센서(1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불러들여 SDRAM(63)에 기록(write)한다. 영상신호 처리 회로(66)는 영상촬영 중의 프레임 영상 데이터로부터 표시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표시용 영상 생성 처리 등의 각종 영상 처리를 실행한다.
압축 처리 회로(67)는 영상 데이터의 압축 처리를 실행한다. 표시부 드라이버(68)는 표시부(20)를 제어한다. 미디어 컨트롤러(69)는 기록 미디어(50)에 대한 영상 데이터의 기록 및 영상 데이터의 제거를 제어한다.
또한, CPU(61)는 EEPROM(6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입력부, 기준화상 설정부, 화상 합성부 및 비율 기억부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입력부는 촬영중에 사용자로부터 기준영상을 지정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받는다. 기준영상 설정부는 조작부(30)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았을 때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되어 있는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으로서 설정한다. 영상 합성부는 기준영상의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비율 기억부는 표시용 영상을 생성할 때 촬영중의 프레임 영상으로부터 삭제하는 일정한 비율을 기억한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카메라(1)는 상술한 구성요소 이외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혹은 상술한 구성요소 중의 일부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카메라(1)는 파노라마 영상 생성을 위한 복수의 프레임 영상의 연속 촬영중에 사용자로부터 기준영상의 지정이 입력되고 지정된 기준영상의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 생성 처리를 수행한다.
도 2는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는 제1 실시 형태의 처리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의 흐름도에 도시된 알고리즘은 카메라(1)의 EEPROM(64)에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되어 있으며, CPU(61)에 의해 실행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0)의 셔터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파노라마 영상의 생성을 개시한다(단계 S101).
카메라(1)는 촬영부(10)를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연속하여 생성하면서 촬영부(10)가 촬영하여 얻은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는 표시용 영상을 표시부(20)에 표시한다(단계 S102). 여기서, 사용자가 카메라(1)를 스윙하거나 직선 이용시킴으로써 카메라(1)는 일정한 방향을 따라 연속한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1)는 사용자가 적절히 카메라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표시부(20)에 이동방향 등을 나타내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는 연속 영상을 수행하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프레임 영상을 촬영한다. 또는, 카메라(1)는 자세 검출부(40)로부터 취득한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1)의 자세나 위치가 일정량 변화할 때마다 촬영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1)는 촬영된 프레임 영상을 해석함으로써 카메라(1)의 자세나 위치의 변화를 검출하고 카메라(1)의 자세나 위치가 일정량 변화할 때마다 촬영할 수도 있다. 카메라(1)는 촬영된 프레임 영상을 SDRAM(63)에 기억한다. 연속 영상 처리에 대해 상세히는 후술한다.
카메라(1)는 입력부에 사용자에 의한 기준영상을 설정하기 위한 지시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3).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지시는 영상 전의 포커스 맞추기에 이용되는 조작인 셔터 버튼의 반 누름(half push)이나 터치 패널에 대한 터치에 의해 수행된다. 또는 사용자에 의한 지시는 촬영중의 카메라(1)에 진동을 부여하여 촬영의 방해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음성인식에 의한 조작으로서 수행되어도 좋다.
사용자로부터의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3:NO), 카메라(1)는 단계 S105의 처리로 진행된다. 사용자로부터의 지시가 입력된 경우(단계 S103:YES), 카메라(1)는 기준화상 설정부로서 사용자 지시를 입력한 시점부터 촬영부(10)에 의해 촬영되어 있는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으로서 설정한다(단계 S104). 여기서, 단계 S104에 있어서, 카메라(1)는 촬영부(10)에 의해 새롭게 프레임 영상을 촬영하고 새롭게 촬영한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으로서 설정할 수도 있다. 카메라(1)는 설정한 기준영상을 SDRAM(63)에 저장한다. 기준영상 설정 처리에 대해 후술하는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카메라(1)는 프레임 영상의 연속 촬영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된다(단계 S105).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30)의 셔터 버튼 등을 입력함으로서, 연속 촬영의 종료를 판단하게 된다. 또는, 연속 촬영의 종료는 연속 촬영의 시작으로부터의 소정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소정의 시간에도달함으로써 판단될 수도 있다. 카메라(1)의 자세나 위치의 변화량은 소정의 양에 도달함으로써 판단되어질 수도 있다. 연속 촬영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단계 S105:NO), 카메라(1)는 단계 S102로 되돌아가 프레임 영상의 촬영을 계속하게 된다. 연속 촬영이 종료된 경우(단계 S105:YES), 카메라(1)는 단계 S106의 처리로 진행된다.
카메라(1)는 단계 S102에서 영상 합성부에의해 촬영된 복수의 프레임 영상과 단계 S104에서 설정된 기준영상에 기초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게된다(단계 S106). 카메라(1)는 기준영상을 파노라마 영상이 생성된 시점부터, 그 주위에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게된다. 파노라마 영상 생성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부분에서 상세히설명한다.
단계 S106에서 카메라(1)는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표시부(20)의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107). 카메라(1)는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을 SDRAM(63) 또는 기록 미디어(50)에 저장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108).
다음으로 도 2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각 처리에 대해 구체적인 동작의 예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파노라마 영상의 생성 처리를 수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A)~(C)는 파노라마 영상의 연속 촬영 처리를 수행하는 모습을 위에서 바라 본 개략도이다. (A)는 프레임 영상의 연속 촬영을 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B)는 연속 촬영 중에 기준영상을 설정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C)는 연속 촬영을 종료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D)는 기준영상의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연속 촬영 처리 및 기준영상 설정 처리]
우선, 도 2의 단계 S102 및 단계 S104에 도시하는 연속 촬영 처리 및 기준영상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U1은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카메라(1)의 셔터 버튼을 입력하여 프레임 영상의 촬영을 개시한다. 촬영이 개시되면, 카메라(1)는 프레임 영상 F1을 촬영하고 SDRAM(63)에 저장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U1은 카메라(1)를 화살표 방향으로 스윙하면서 연속 촬영을 수행하고 인물 등의 가상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프레임 영상에 들어가는 위치에서 셔터 버튼을 반 입력하게된다. 카메라(1)는 프레임 영상 F1에 이어서 프레임 화상 F2 및 F3을 촬영하고 SDRAM(63)에 저장한다. 또한, 카메라(1)는 프레임 영상 F3을 촬영한 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한 지시를 입력받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 영상 F3을 기준영상 KF로서 설정하게된다. 카메라(1)는 F3이 기준영상 KF인 취지를 SDRAM(63)에 저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해서 사용자 U1은 카메라(1)를 화살표 방향으로 스윙하고 촬영을 종료하고자 하는 위치에서 셔터 버튼을 입력하여 연속 촬영을 종료하게된다. 카메라(1)는 촬영 종료까지 촬영한 프레임 영상 F4, F5를 SDRAM(63)에 저장한다.
[파노라마 영상 합성 처리]
다음으로, 도 2의 단계 S106에 도시된 파노라마 영상 합성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1)는 도 (A)~(C)의 공정에 있어서 SDRAM(63)에 저장된 기준영상 KF(F3)와 프레임 영상 F1, F2, F4, F5에 기초하여 파노라마 영상 P1의 합성을 수행한다.
우선, 단계(1)에서 카메라(1)는 기준영상 KF(F3)를 파노라마 영상의 베이스가 되는 원(原)영상으로서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2)에서 카메라(1)는 기준영상 KF를 촬영하기 직전에 촬영된 프레임 영상 F2를 원영상으로서 설정한 기준영상 KF의 좌측에 합성하게된다. 기준영상 KF와 프레임 영상 F2가 겹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준영상 KF의 영상이 남도록 기준영상 KF를 우선하여 합성을 수행하게된다. 단계(3) 에서 카메라(1)는 단계(2)에서 합성된 영상의 좌측에 프레임 영상 F1을 합성한다. 여기서도 기준영상 KF와 프레임 영상 F1이 겹치는 부분이 있으며 기준영상 KF의 영상이 남도록 기준영상 KF를 우선하여 합성을 수행한다.
기준영상 KF의 촬영 전에 촬영된 프레임 영상의 합성이 종료되면 카메라(1)는 단계(4)에서 기준영상 KF를 촬영한 직후에 촬영된 프레임 영상 F4를 단계(3)에 있어서 합성된 영상의 우측(기준화상 KF의 우측)에 합성하게된다. 기준영상 KF와 프레임 영상 F4가 겹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준영상 KF의 영상이 남도록 기준영상 KF를 우선하여 합성을 수행한다. 이어서, 단계(5)에서 카메라(1)는 단계(4)에서 합성된 영상의 우측에 프레임 영상 F4를 합성한다. 여기서도, 기준영상 KF와 프레임 영상 F5가 겹치는 부분이 있으며 기준영상 KF의 영상이 남도록 기준영상 KF를 우선하여 합성을 수행하게된다. 단계(5)의 처리가 종료되면 파노라마 영상 P1이 완성된다. 카메라(1)는 파노라마 영상 P1을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하고, SDRAM(63) 또는 기록 미디어(50)에 저장하게된다.
도 4는 도 3과 동일한 파노라마 영상 생성 처리가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기준영상 KF가 지정되는 위치만이 다르다.
도 3에서 촬영범위의 중앙에 상당하는 프레임 영상 F3을 기준영상 KF로서 설정했으나, 도 4에 있어서는 촬영범위의 중앙이 아닌 프레임 영상 F4을 기준영상 KF로서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1)는 도 3의 경우와 동일하게 기준영상 KF로서 설정된 프레임 영상 F4를 기준으로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을 수행하게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에 있어서 카메라(1)는 기준영상 KF(F4)를 파노라마 영상이 기초가된 원영상으로 설정하게된다. 다음으로 단계(2)~(5)에서 도 3의 경우와 동일하게 프레임 영상 F3, F2, F1, F5의 순서대로 합성 처리를 수행한다. 이로 인해, 파노라마 영상 P2가 완성된다. 카메라(1)는 파노라마 영상 P2를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하고 SDRAM(63) 또는 기록 미디어(50)에 저장한다.
[표시용 영상]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U1이 손에 든 카메라(1)를 옆으로 스윙하여 연속 촬영을 수행하는 경우 촬영된 프레임 영상은 손떨림에 의해 종방향으로 어긋나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 결과, 도 3(D)에 도시된 처리에 의해 기준영상을 남기면서 일정한 방향을 따라 연속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려고 하면 프레임 영상이 어긋난 부분에 대해서는 영상이 촬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어긋난 부분이 빠진 파노라마 영상이 생성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를 파노라마 영상 안에 남길 수 있으나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한 선명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여 촬영된 프레임 영상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교차하는 수직 방향(height direction)의 상하를 일정한 비율로 삭제한 영상을 표시용 영상으로 표시부(2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표시용 영상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를 남기면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한 선명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된다. 후술하는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표시용 영상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프레임 영상 및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용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에 있어서, (A)는 촬상부(10)에 의해 촬영되는 프레임 영상(100)을 나타내고 (B)는 촬영된 프레임 영상(100)과 표시영역(110)과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촬영된 프레임 영상(100)은 일정한 방향으로 교차하는 수직 방향의 상하를 일정한 비율로 삭제한 표시영역(110)과 해당 표시영역(110)에 포함되지 않고 삭제된 비표시영역(120)으로 구성된다. 표시영역(110)은 표시용 영상으로서 표시부(20)에 표시된다. 비표시영역(120)은 표시부(20)에는 표시되지 않으나 프레임 영상(100)의 일부로서 SDRAM(63)에 저장된다.
다음으로 표시용 영상과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과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기준영상의 표시영역에 기초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합성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에 있어서 (A)는 연속 촬영된 프레임 영상 F61~F65와 각 프레임 영상의 표시영역(110)을 나타내고 (B)는 기준영상 KF(F63)의 표시영역(110)에 기초하여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범위(130)를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 (C)는 합성범위(130)에 따라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 P3을 나타낸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촬영된 프레임 영상 F61~F65는 촬영범위가 상하로 어긋나 있다. 또한, 프레임 영상 F63이 기준영상 KF로서 설정되어 있다. 촬영범위의 어긋남은 영상 해석에 의해 얻어지는 각 프레임 영상에 있어서의 특징점끼리의 위치 비교나 자세 검출부(40)로부터 얻어지는 촬영중의 카메라(1)의 자세나 위치의 변화에 관한 정보의 해석 등의 일반적인 파노라마 영상 합성방법에 의해 판단된다.
여기서, 연속 촬영시에 있어서 사용자U1이 촬영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 보고 있는 표시부(20)에는 프레임 영상의 표시영역(110)이 표시용 영상으로서 표시되고 있다. 사용자 U1은 기준영상 KF을 지정할 때에 있어서도 표시부(20)에 표시된 표시영역(110)을 보면서 지정한다. 즉, 사용자가 파노라마 영상이 남기고자 하는 영상은 기준영상 KF의 표시영역(110)에 표시되는 영상이다. 따라서, 기준영상 KF의 표시영역(110)을 남기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끊김 없이 연속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를 남기면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한 선명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1)는 기준영상 KF의 표시영역(110)을 남기면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한 선명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기준영상 KF의 높이에 맞춰 파노라마 영상 합성범위(130)를 결정하게된다. 여기서, 프레임 영상 F62의 상부나 프레임 영상 F64의 하부는 파노라마 영상 합성범위(130)에 포함되어 있으나 촬영범위의 어긋남에 의해 표시영역(110)에 있어서는 도중에 끊겨져 있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영상(100)은 표시영역(110)뿐 아니라 비표시영역(120)도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파노라마 영상 합성범위(130)에 포함된 영상은 전부 프레임 영상(100)의 일부로서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1)는 기준영상 KF의 표시영역(110)을 부분 기준영상 KFa로서 설정하고 프레임 영상(100)에 있어서 파노라마 영상 합성범위(130)에 포함되는 부분을 도 3(D)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의 카메라(1)에 의하면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의 촬영중에, 사용자로부터 기준영상 KF의 지정을 입력받고, 지정된 기준영상 KF의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 생성 처리를 수행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를 정학하게 남겨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는 기준영상 KF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교차하는 높이 방향의 상하를 삭제하여 표시부(20)에 표시된 부분을 부분 기준영상 KFa로 하고 부분 기준영상 KFa의 주변에 높이를 맞춘 다른 프레임 영상의 일부를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를 확실히 남기면서(도 6(C)의 점선 부분),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한 선명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표시부(20)에 있어서 확인한 부분 기준영상 KFa는 전체가 남기 때문에 파노라마 영상에 있어서 사용자가 가장 주목하는 부분이 사용자가 촬영시에 확인한 대로 되기 때문에, 사용자에 있어서 만족스러운 파노라마 영상을 얻을 수 있게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준영상 KF의 주변에 프레임 영상을 합성할 때, 기준영상 KF와 프레임 영상이 겹치는 부분에 대해서는 기준영상 KF의 영상이 남도록 기준영상 KF를 우선하여 합성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준영상 KF의 중심부에 대해서는 기준영상 KF의 영상이 남도록 우선하여 합성하고 기준영상 KF의 가장자리부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방법에 의해 자연스러운 파노라마가 되도록 다른 프레임 영상과 합성해도 좋다. 또은, 영상 해석에 의한 얼굴 인식 등에 기초하여 기준영상 KF 안에서 주요부분을 추출하고, 해당 주요부분의 영상이 남도록 우선하여 다른 프레임 영상과 합성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촬영된 프레임 영상은 전부 파노라마 영상으로서 합성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카메라(1)는 촬영의 타이밍이나 촬영시의 자세 등의 다양한 조건에 기초하여 촬영된 모든 프레임 영상 안에서 파노라마 영상 생성에 필요한 프레임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기준영상의 설정을 입력한 시점에서 촬영했던 프레임 영상에 대해서는 기준영상 KF가 되기 위해 프레임 영상으로서 선택된다. 또한, 연속 촬영의 간격이 큰 경우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기준영상의 지시를 입력한 시점에서 촬영했던 프레임 영상에 상당하는 것이 없으면 카메라(1)는 지시를 입력받은 시점에서 프레임 영상의 촬영을 수행해도 좋다. 카메라(1)는 지시를 접수한 시점에서 프레임 영상의 촬영을 수행해도 좋다. 카메라(1)는 촬영된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 KF로 설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프레임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사용자가 카메라(1)를 스윙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메라(1) 자신이 이동하기 위한 기구를 구비하고 일정한 방향에 따라 이동하면서 연속하는 프레임 영상을 촬영해도 좋으며 또는, 카메라(1)를 일정한 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차량 등에 탑재하여,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프레임 영상을 촬영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연속하는 프레임 영상의 촬영은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에 따라 수행하는 것으로서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연속하는 프레임 영상의 촬영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아래에서 위로, 위에서 아래로, 혹은 비스듬한 방향 등 일정한 방향이라면 어떠한 방향에 따라 수행되어도 좋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1)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하여 촬영된 프레임 영상에 대해 수직 방향의 상하를 일정한 비율로 삭제하여 표시용 영상으로서 표시용(20)에 표시함으로써 손떨림의 영향을 억제하여 사용자가 의도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고 있다. 그러나, 촬영하는 피사체와의 거리나 줌 배율의 설정상태 등에 의해 손떨림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다르다. 예를 들면, 근거리에 위치하는 인물을 촬영할 때는 표시용 영상에 있어서 피사체인 인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기 때문에 손떨림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표시용 영상의 범위 밖으로 벗어나기 쉽고 손떨림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커진다. 한편, 원거리에 위치하는 인물을 촬영할 때는 표시용 영상에 있어서 피사체인 인물이 차지하는 비율이 작기 때문에 손떨림이 있어도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표시용 영상의 범위 밖으로 벗어나기 어렵고 손떨림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작아진다. 이와 같이, 피사체와의 거리에 의해 손떨림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다르며 표시용 영상을 생성할 때에 프레임 영상의 수직 방향의 상하를 삭제하는 일정한 비율도 적절한 값이 다르다. 그래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1)는 피사체와의 거리나 줌 배율의 설정상태 등의 촬영 조건에 따라 표시용 영상을 생성할 때의 프레임 영상의 수직 방향의 상하를 삭제하는 비율을 변경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1)의 구성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8은 측거(測距)위치에 기초하여 표시용 영상에 있어서의 표시영역을 결정하는 모습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며 도 9는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에 실패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의 흐름도에 도시되는 알고리즘은 카메라(1)의 EEPROM(64)에 프로그램으로서 기억되어 있으며 CPU(61)에 의해 실행된다. 도 8에 있어서, (A)는 측거위치가 먼 경우의 표시영역을 나타내고 (B)는 측거위치가 가까운 경우의 표시영역을 나타낸다. 도 9에 있어서, (A)는 연속 촬영된 프레임 영상 F91~F95와 각 프레임 영상의 표시영역(110)을 나타내고 (B)는 기준영상 KF(F93)의 표시영역(110)에 기초하여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범위(130)를 결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C)는 합성범위(130)에 따라 생성된 파노라마 영상 P4를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1)는 촬영부(10)를 제어하여 오토 포커스 기능에 의한 포커스 맞춤 시 등에 취득되는 카메라와 피사체와의 거리를 나타내는 측거정보와 줌의 배율을 나타내는 줌 배율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201).
계속해서, 카메라(1)는 단계 S201에 있어서 취득한 측거정보와 줌 배율정보에 기초하여 표시용 영상을 생성할 때에 프레임 영상의 수직 방향의 상하를 삭제하는 일정한 비율을 결정한다(단계 S202). 여기서, 카메라(1)는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거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피사체와의 거리가 클수록 일정한 비율을 작게 한다. 또한,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거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피사체와의 거리가 작을수록 일정한 비율로 커진다. 마찬가지로, 카메라(1)는 줌 배율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줌 배율이 작을수록 손떨림의 영향이 작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일정한 비율을 작게 한다. 또한, 줌 배율정보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줌 배율이 클수록 손떨림의 영향이 크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일정한 비율을 크게 한다. 측거정보 및 줌 배율정보에 따른 일정한 비율의 값은 예를 들면, 5%~40% 정도의 범위에서 적절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카메라(1)는 결정한 일정한 비율에 따라 표시용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20)에 표시하고 단계 S203의 처리로 진행된다.
계속해서, 단계 S203~단계 S208의 처리는 도 2에 있어서의 단계 S102~단계 S106의 처리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 S208에 있어서 파노라마 영상 합성을 수행한 후, 카메라(1)는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9). 성공여부 판단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영상의 상하에 있어서의 흔들림이 적고 사용자가 의도한 피사체인 부분 기준영상 KFa를 남기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한 선명한 파노라마 영상 P3을 생성할 수 있으면 성공이라 판단한다. 한편,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 영상의 상하에 있어서의 흔들림이 크고 도 9(B),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했을 때에 촬영되어 있지 않은 영역 E1이 생겨버리는 경우는 실패라고 판단한다.
합성이 실패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209:NO), 카메라(1)는 비율 기억부로서 단계 S202에서 결정한 일정한 비율을 크게 하도록 수정한다(단계 S210). 카메라(1)는 수정된 일정한 비율에 따라 표시용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부(20)에 표시하고 단계 S203의 처리로 돌아간다. 합성이 성공이라고 판단된 경우(단계 S209:YES), 카메라(1)는 단계 S208에 있어서 생성한 파노라마 영상을 표시부(2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게된다(단계 S211). 카메라(1)는 생성한 파노라마 영상을 SDRAM(63) 또는, 기록 미디어(50)에 저장하여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212).
이상과 같이, 제2 실시형태의 카메라(1)에 의하면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작을수록 표시용 영상을 생성할 때에 프레임 영상의 수직 방향의 상하를 삭제하는 일정한 비율을 크게 한다. 이로 인해,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작고 손떨림이 파노라마 영상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가 큰 경우에는 표시용 영상으로서 표시되는 좁은 범위와 프레임 영상으로서 촬영되는 넓은 범위와의 차가 커진다. 따라서, 손떨림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표시용 영상의 범위 밖으로 벗어난 경우라도 프레임 영상으로서 해당 피사체를 촬영해둘 수 있고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이 실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는 기준영상 KF 이외의 프레임 영상을 부분 기준영상 KFa의 높이로 한정하면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한 선명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 표시용 영상을 생성할 때에 프레임 영상의 수직 방향의 상하를 삭제하는 일정한 비율을 크게 한다. 이로 인해, 손떨림에 의해 촬영하고자 하는 피사체가 표시용 영상의 범위 밖으로 벗어난 경우라도 보다 확실하게 프레임 영상으로서 해당 피사체를 촬영해둘 수 있고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이 반복해서 실패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의 카메라(1)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파노라마 영상의 생성은 한번에 계속되는 연속 촬영에 의해 촬영된 일정한 방향으로 연속하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을 합성함으로써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의 종류에 따라 한번에 계속되는 연속 촬영에 의해 촬영 가능한 폭에 제한이 있으며 사용자가 의도한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카메라(1)는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과는 별도로 동일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을 더욱 촬영하고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으로부터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한다.
이하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중복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형태에 따른 카메라(1)의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카메라(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파노라마 화상의 기준영상 및 합성범위를 변경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에 있어서, (A)는 프레임 영상 F4가 기준영상 KF로 설정되고 일련의 프레임 영상 F1~F5의 촬영이 종료된 모습을 나타낸다. (B)는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 F6~F8의 촬영이 종료된 모습을 나타낸다. (C)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 F1~F5로부터 파노라마 영상 P5를 생성하고, 다른 프레임 영상 F6~F8을 기억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D)는 파노라마 영상 P5에 다른 프레임 영상 F6~F8을 합성하고, 새로운 파노라마 영상 P6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E)는 프레임 영상 F7을 기준영상 KF로 설정하고, 프레임 영상 F3~F8로부터 새로운 파노라마 영상 P7을 생성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0(A)~(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1)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 F1~F5와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 F6~F8의 촬영이 종료되면 일련의 프레임 영상 F1~F5로부터 파노라마 영상 P5를 생성하고 SDRAM(63)에 기억한다. 이때,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 F6~F8은 일련의 프레임 영상 F1~F5 및 파라미터 영상 P5와 함께 SDRAM(63)에 저장된다.
계속해서, 도 1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1)는 사용자로부터 지시에 기초하여 일련의 프레임 영상 F1~F5로부터 생성한 파노라마 영상 P5에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 F6~F8을 합성하고, 새로운 파노라마 영상 P6을 생성한다.
또한, 도 10(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파노라마 영상 P6의 생성 후, 사용자로부터의 추가적인 지시에 기초하여 일련의 프레임 영상 F1~F5의 일부인 프레임 영상 F3~F5와 다른 프레임 영상 F6~F8로부터, 새로운 파노라마 영상 P7을 생성한다. 그때, 프레임 영상 F7을 기준영상 KF로서 설정함으로써, 도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준영상 KF로서 설정된 프레임 영상 F7을 기준으로 파노라마 영상의 합성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1)에 있어서, 카메라(1)는 기준영상 KF(F7)를 파노라마 영상의 베이스가 되는 원영상으로서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계(2)~(6)에 있어서 도 3의 경우와 동일하게 프레임 영상 F6, F5, F4, F3, F8의 순번으로 합성 처리를 수행한다. 이로 인해, 파노라마 영상 P7이 완성된다. 카메라(1)는 파노라마 영상 P7을 표시부(20)에 표시하고 SDRAM(63) 또는 기록 미디어(50)에 저장한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형태의 카메라(1)에 의하면 기준영상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과는 별도로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을 더욱 촬영하고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과 합성한다. 이로 인해, 한번에 계속되는 연속 촬영에 의해 촬영 가능한 범위에 제한이 있는 환경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희망대로의 범위를 갖는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되는 임의의 프레임 영상 안에서 새로운 기준영상 KF를 설정하고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되는 임의의 프레임 영상을 새로운 기준영상 KF와 합성한다. 이로 인해, 카메라(1)는 임의의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 KF로 한 임의의 범위의 프레임 영상을 포함하는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피사체를 의도한 범위 내에 선명하게 남긴 파노라마 영상을 촬영 후에 언제든지 재생성할 수 있다.
1 카메라
10 촬상부
20 표시부
30 조작부
40 자세 검출부
50 기록 미디어
60 제어부

Claims (12)

  1. 파노라마 영상 생성을 위해,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에 의한 연속 촬영중,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사용자로부터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으로 설정하는 기준영상 설정부;
    상기 기준영상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상기 기준영상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포함하는 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에 의해 촬영중인 상기 프레임 영상에 대해, 일정한 방향으로 교차하는 수직 방향(height direction)의 상하를 일정한 비율로 삭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더 가지며,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기준영상에 대해 상기 표시부가 표시한 부분을 부분 기준영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부분 기준영상의 주변에 상기 부분 기준영상의 높이로 한정된 다른 프레임 영상의 일부를 합성하여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상기 일정한 비율을 크게 하는 촬영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기준영상에 합성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준영상 이외의 상기 프레임 영상이 상기 부분 기준영상의 높이로 설정되면 상기 일정한 비율을 크게 하고 해당 일정한 비율을 저장하는 비율 저장부를 더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상기 기준영상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과는 별도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을 촬영하며,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상기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되는 임의의 상기 프레임 영상을 상기 기준영상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 설정부는,
    상기 영상 합성부에 의해 촬영된 상기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상기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상기 프레임 영상 중에서 하나의 프레임 영상의 선택 입력되면 선택된 프레임 영상을 새로운 기준영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상기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상기 프레임 영상을 상기 새로운 기준영상과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7. 파노라마 영상의 생성을 위해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복수의 프레임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단계;
    상기 촬영단계에 있어서의 연속 촬영중에 사용자로부터 지시를 입력받는단계;
    상기 입력받는 단계에 있어서 사용자로로부터 지시가 입력되면 상기 촬영단계에 있어서 촬영된 상기 프레임 영상을 기준영상으로서 설정하는 기준영상 설정단계;
    상기 기준영상 설정단계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준영상의 주변에 다른 프레임 영상을 합성하여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합성단계;를 더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에 있어서 촬영 중인 상기 프레임 영상에 있어서, 상기 일정한 방향으로 교차하는 수직 방향(height direction)의 상하를 일정한 비율로 삭제하여 표시용 영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표시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영상 합성단계는, 상기 기준영상에 대해 상기 표시단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부분을 부분 기준영상으로 하고 상기 부분 기준영상의 주변에 상기 부분 기준영상의 높이로 한정한 다른 프레임 영상의 일부를 합성하여 상기 파노라마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피사체까지의 거리가 짧을수록 상기 일정한 비율을 크게 하는 촬영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기준 영상에 합성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준영상 이외의 상기 프레임 영상이 상기 부분 기준영상의 높이로 한정되면 상기 일정한 비율을 크게 하고 해당 일정한 비율을 저장하는 비율 저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촬영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단계는,
    상기 기준영상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레임 영상과는 별도로 일정한 방향에 따라 연속하는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을 더 촬영하고,
    상기 영상 합성단계는,
    상기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상기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되는 임의의 상기 프레임 영상을 상기 기준영상과 합성하는 촬영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영상 설정단계는,
    상기 영상 합성단계에 있어서 촬영된 상기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상기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되는 임의의 상기 프레임 영상 중에서 하나의 프레임 영상의 선택이 입력되면 선택된 프레임 영상을 새로운 기준영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영상 합성단계는,
    상기 일련의 프레임 영상 및 상기 다른 일련의 프레임 영상에 포함된 임의의 상기 프레임 영상을 상기 새로운 기준영상과 합성하는 촬영방법.
KR1020130141638A 2012-12-05 2013-11-20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KR20140072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92,237 US20140152765A1 (en) 2012-12-05 2013-11-27 Imaging device and method
EP13195829.0A EP2741489A3 (en) 2012-12-05 2013-12-05 Imaging device and method
CN201310653125.XA CN103856715B (zh) 2012-12-05 2013-12-05 成像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6506A JP6249596B2 (ja) 2012-12-05 2012-12-05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JP-P-2012-266506 2012-12-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2800A true KR20140072800A (ko) 2014-06-13

Family

ID=5112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638A KR20140072800A (ko) 2012-12-05 2013-11-20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49596B2 (ko)
KR (1) KR2014007280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13B1 (ko) * 2019-06-12 2019-12-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카메라 영상 합성 시스템 및 선박용 카메라 교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6836A (ja) * 2014-10-07 2016-05-12 日本放送協会 撮像装置
JP7005324B2 (ja) * 2017-12-11 2022-01-2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9447A (ja) * 1998-04-02 1999-10-19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7672538B2 (en) * 2003-04-17 2010-03-02 Seiko Epson Corporation Generation of still image from a plurality of frame images
JP2005252739A (ja) * 2004-03-05 2005-09-15 Seiko Epson Corp 静止画像生成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10049313A (ja) * 2008-08-19 2010-03-04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347716B2 (ja) * 2009-05-27 2013-11-2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52142B2 (ja) * 2010-11-11 2015-01-14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013B1 (ko) * 2019-06-12 2019-12-04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카메라 영상 합성 시스템 및 선박용 카메라 교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12796A (ja) 2014-06-19
JP6249596B2 (ja) 2017-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3834B1 (ko)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화상처리프로그램과 촬영보조기재
US9549122B2 (en) Imaging apparatus, photographing guide displaying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70111574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W200833093A (en) Imaging apparatus, method of compensating for hand shake, and program
CN105592262A (zh) 摄像装置
US8593545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switched image capturing mode
JP6659148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120140036A (ko) 디지털 촬영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JP2014066995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19029998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EP2741489A2 (en) Imaging device and method
KR20140072800A (ko)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KR101538654B1 (ko) 손 떨림 보정 동작을 제어하는 디지털 촬영장치 및 이의제어방법
CN111742550A (zh) 一种3d影像拍摄方法、3d拍摄设备及存储介质
JP2013131905A (ja) 撮像装置
JP5724057B2 (ja) 撮像装置
US88378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19022026A (ja) 撮像装置
JP2007201570A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WO2011129036A1 (ja) 撮像装置および集積回路
JP670069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09171362A (ja) 撮影装置、撮影方法
JP2014215304A (ja) 撮像装置
JP2011259341A (ja) 撮像装置
JP2017112442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