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928A -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928A
KR20140071928A KR1020130149668A KR20130149668A KR20140071928A KR 20140071928 A KR20140071928 A KR 20140071928A KR 1020130149668 A KR1020130149668 A KR 1020130149668A KR 20130149668 A KR20130149668 A KR 20130149668A KR 20140071928 A KR20140071928 A KR 20140071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undle
sheet
image
uni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미 키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71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4/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by discontinuous stitching with filamentary material, e.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00Collating or gathering sheets combined with processes for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or signatures or for interposing inserts
    • B42C1/12Machines for both collating or gathering and 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the sheets or sign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G03G15/6541Binding sets of sheets, e.g. by stapling, glueing
    • G03G15/6544Details about the binding means or proced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2/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by stitching with filamentary material, e.g. textile threads
    • B42B2/02Machines for stitching with 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5/00Preparing the edges or backs of leaves or signatures for bind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31Stitch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919Special copy medium handling apparatus
    • G03G2215/00936Bookb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제1 시트 다발을 제2 시트 다발로 덮음으로써 제본물을 생성할 때 외관이 좋은 제본물을 생성 가능한 인쇄 시스템. 판정 유닛은, 접어진 제1 시트 다발에 의해 접어진 제2 시트 다발을 덮음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시트들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제어 유닛은,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본 발명은, 분책처리, 가운데 매기(saddle stitching)처리, 및 재단 처리등의 제본 처리에 대한 상세설정이 가능한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간이 제본 처리에서는, 시트(sheet) 다발의 중앙을 스테이플 하고, 그것을 반접어서 제본을 행하는 가운데 매기 제본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방법은, 잡지등의 제본에 사용된다. 가운데 매기로 제본 가능한 상한 매수는, 후처리장치의 능력에 의해 결정된다. 후처리장치의 능력을 초과하는 매수로 이루어진 제본을 행하기 위해서는, 후처리장치의 상한 매수를 각각 초과하지 않는 섹션들로 상기 시트를 분책해서 제본하고, 그 섹션들 모두를 한층 더 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을, 분책 제본이라고 부른다.
더욱이, 제본 처리후에 시트의 두께로 인해 일어나는 페이지마다의 화상 편차를 방지하기 위해서 화상형성 위치를 미리 조정하고, 제본 처리후의 인쇄물(제본물)의 가장자리를 일치하기 위해서 재단 폭이 고정된 각 섹션을 트리밍하는 방법이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1119호(JP 2007-1119A) 참조).
한편, 복수매의 시트를 매지 않고 배포된 둘로 접은 인쇄물(광고지)도 많이 존재한다. 매기를 행하지 않고 한번에 접을 수 있는 상한 매수는, 후처리장치의 능력에 의해 정해진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가 지정한 매수이하의 시트 혹은 후처리장치가 접을 수 있는 상한 시트를 각각 포함하는 다발로 복수매의 시트를 자동적으로 분할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68134호(JP 2010-168134A) 참조). 또한, 최근에는, 매지 않은 상태에서도 복수매의 시트를 한데 모아서 재단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후처리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그렇지만, 가운데 매기 제본을 대상으로 삼은 JP 2007-1119A의 방법에서는, 가운데 매기를 행하지 않고 분할된 시트 다발에 대하여, 페이지마다의 화상 편차를 방지하기 위해서 화상형성 위치를 조정할 수 없고, 제본 처리후 상기 시트 다발을 재단해서 인쇄물을 형성할 수는 없다. 즉, 가운데 매기 제본 처리의 경우에는, 가운데가 매어진 복수의 시트 다발(섹션)을 포개기(stacking) 처리에 의해 그대로 포개므로, 다발마다 같은 재단 폭으로 트리밍 함으로써 시트의 가장자리가 일치된다. 한편, 가운데 매기를 하지 않고 배포된 둘로 접은 광고지는, 오퍼레이터가 분할 처리한 외측의 다발 내에 내측의 다발을 삽입하도록 형성(삽입처리)되므로, 상기 다발들이 같은 재단 폭으로 트리밍되면, 각각의 다발들의 가장자리 위치가 벗어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시트 다발을 제2 시트 다발로 덮어서 제본물(인쇄물)을 생성할 경우에, 외관이 좋은 제본물을 생성할 수 있는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접어진 제2 시트 다발을 접어진 제1 시트 다발로 덮음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시트들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인쇄 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접어진 제2 시트 다발을 접어진 제1 시트 다발로 덮음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시트들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국면은,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접어진 제2 시트 다발을 접어진 제1 시트 다발로 덮음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시트들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코드; 및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하는 코드를 포함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가운데 매기를 행하지 않고 분할된 시트 다발에 대하여, 페이지마다의 화상 편차를 방지하기 위한 화상형성 위치조정 및 제본 처리후의 인쇄물의 재단 위치조정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재단 처리후의 복수의 시트 다발을 오퍼레이터가 삽입처리해서 제본하는 경우에도, 페이지상의 화상위치와 각 시트 다발의 재단 위치의 편차를 방지하여, 가장자리가 일치된 인쇄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인쇄 시스템을 구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3은, 도 1의 인쇄 시스템을 구성하는 후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4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주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다.
도 5는, 도 4의 주 제어부의 기능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블록도다.
도 6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출력 잡(job) 관리부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7은, 도 2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묘화처리부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8a는 도 2의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의 외관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도 8a의 키 입력부의 외관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1의 인쇄 시스템에 의해 실행된 인쇄물(분할 제본)을 형성하기 위해서 시트 다발의 재단처리와 삽입 처리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b는 도 1의 인쇄 시스템에 의해 실행된 인쇄물(분책 제본)을 형성하기 위해서 시트 다발의 재단처리와 포개기 처리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인쇄 제본 처리의 기본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S1207에 있어서의 화상 레이아웃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는, 도 10의 단계S1210에 있어서의 피니싱(finishing)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a는, 도 12의 단계S1408에 있어서의 재단량 조정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재단량 조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는, 후처리장치의 능력을 초과하는 재단량이 지정되었을 경우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는, 산출된 재단량이 화상을 인쇄하지 않는 영역인 여백을 초과하였을 경우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의 니어 라인 피니셔(near-line finisher)를 조작하는 작업 지시서의 작성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7a∼도 17f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본 인쇄 처리를 설정하기 위한 조작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도 18c는, 프린트 잡을 작성하기 위한 도 1에 나타낸 호스트 컴퓨터에 표시된 조작 화면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 시스템(75)은, 네트워크(74)를 통해 프린트 서버(71) 및 호스트 컴퓨터(72,73)에 접속되어 있다.
프린트 서버(71)는, 인쇄 시스템(75)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잡의 상황을 감시하고, 실행중의 인쇄 잡의 일시 정지나 그 정지된 인쇄 잡의 재개가 가능하고, 인쇄 잡의 설정 변경이나 복제, 이동 및 삭제 가능하다. 호스트 컴퓨터(72,73)는, 인쇄 시스템(75)에 공급된 인쇄 잡을 작성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인쇄 시스템(75)을 구성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다.
그 도시된 화상형성장치는, 4D컬러계의 디지털 복합기이며, 스캐너부(201), 레이저 노광부(501), 감광 드럼(502)을 구비한 작상부(image forming unit)(503), 정착부(504), 급지/반송부(505), 및 이 부들을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로 구성된다.
스캐너부(201)에서는, 원고대에 두어진 원고를 조명해서 원고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그 판독된 원고화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해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레이저 노광부(501)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빔을 등각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 다면경(폴리곤 미러)(501a)에 입사시켜, 폴리곤 미러(501a)에서 반사된 주사 빔을 감광 드럼(502)에 조사한다.
작상부(503)에서는, 감광 드럼(502)을 회전시켜, 대전기에 의해 그 감광 드럼들을 대전시키고, 레이저 노광부(501)에 의해 감광 드럼(502) 위에 형성된 잠상을 토너로 현상하고, 그 토너 상(image)을 시트에 전사한다. 한층 더, 작상부(503)는, 전사되지 않고 감광 드럼(502) 위에 남은 미소 토너를 회수한다. 이렇게, 작상부(503)는, 전자사진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4개의 현상 유닛(현상 스테이션)에 의해 화상을 형성한다. 4개의 현상 유닛은 시안(C), 마젠타(M), 옐로(Y) 및 블랙(K)의 순서로 정렬되고, 시안의 작상시작으로부터 소정시간경과 후에, 마젠타, 옐로 및 블랙의 작상동작을 순차로 실행한다. 이 타이밍 제어에 의해, 시트 위에 색 미스레지스트레이션(misregistration)이 없는 풀컬러 토너 상이 전사될 수 있다.
정착부(504)는, 롤러, 벨트, 및 할로겐 히터와 같은 열원을 구비하고, 작상부(503)에 의해 시트 위에 전사된 토너 상을 열과 압력에 의해 용융하여서 정착시킨다.
급지/반송부(505)는, 시트 카세트나 페이퍼 데크 등의 시트 수납고(505a)를 하나 이상 가진다. 그 후, 급지/반송부(505)는, 프린터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하나의 시트 수납고(505a)에 수납된 복수의 시트로부터 한장의 시트를 분리하여, 작상부(503)에 반송한다. 반송된 시트에는, 4개의 현상 유닛에 의해 각 색의 토너 상이 전사되고, 최종적으로 풀컬러 토너 상이 그 시트 위에 형성된다. 시트의 양면에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정착부(504)를 통과한 시트를, 재차, 작상부(503)에 반송하는 양면 반송 경로(506)에 이끈다.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프린터 제어부는, 화상형성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통신하고, 그 주 제어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제어를 실행한다. 한층 더, 프린터 제어부는, 스캐너부(201), 레이저 노광부(501), 작상부(503), 정착부(504) 및 급지/반송부(505)의 상태를 관리하고, 그 부 전체가 서로 조화되어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이 부들을 제어한다.
다음에, 화상형성장치의 전원 오프 상태로부터 동작이 시작가능한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각 부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투입되면, 프린터 제어부는, 스캐너부(201), 레이저 노광부(501), 작상부(503), 정착부(504), 및 급지/반송부(505)의 준비 동작의 시작을 지시한다. 그리고, 프린터 제어부는, 화상형성장치 전체를 관리하는 주 제어부와의 통신이 개시될 때까지 기다린다. 주 제어부와의 통신이 확립하면, 상기 제어부는 사양을 상호 교환한다. 그 후에, 그 준비 동작이 종료해 화상형성 동작이 가능하게 되면, 프린터 제어부는, 동작 가능상태를 주 제어부에 통지한다.
프린터 제어부는, 주 제어부에 대하여, 각 부의 상태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급지/반송부(505)는, 시트 수납고(505a)에 격납된 시트의 사이즈, 시트의 잔량(적재량), 구동부의 동작 상태(가능한가 고장인가)를 검지하고, 이것들의 검지된 결과를 상기 주 제어부에 통지한다. 또한, 작상부(503)는, 토너 수용기의 토너 잔량을 통지한다.
다음에, 화상형성장치가 동작 시작가능한 시점부터, 주 제어부로부터 동작 지시의 통지에 따라 실행되는 일련의 프린트 동작이 종료할 때까지의 각 부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주 제어부는, 동작 시작 코맨드를 프린터 제어부에 통지한다. 동작 시작 코맨드를 수신하는 경우, 프린터 제어부는, 레이저 노광부(501), 작상부(503), 급지/반송부(505) 및 정착부(504)에 프린트 동작의 시작을 지시한다. 레이저 노광부(501)는, 폴리곤 미러(501a)를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을 시작한다. 그 후, 작상부(503)는, 감광 드럼(502)을 회전해서, 감광 드럼(502)을 대전한다. 정착부(504)는, 정착 히터를 온 하고, 정착 롤러를 토너가 시트에 정착되는 정착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그 후, 급지/반송부(505)는, 구동 모터를 반송가능한 상태로 한다.
각 부의 동작 준비가 갖추어지면, 프린터 제어부는, 주 제어부에 준비 완료 통지를 한다. 준비 완료 통지를 수신할 때, 주 제어부는, 페이지 단위로 프린트 동작을 지시한다. 주 제어부는, 예를 들면 10쪽 인쇄물 20부를 인쇄하는 인쇄 잡에 대한 200쪽의 프린트 동작을 지시한다. 프린트 동작의 지시를 수신할 때, 프린트 제어부는, 급지/반송부(505)에 급지를 지시한다.
급지/반송부(505)는, 시트가 공급가능하면, 시트를 한 장 반송하고, 시트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면 시트의 도착을 프린트 제어부에 통지한다. 만약 시트 수납고(505a)에 시트가 없는 경우, 급지 불가능한 취지를 프린트 제어부에 통지한다. 또한, 급지/반송부(505)는, 반송 경로상의 시트의 다중 이송 상태를 검지하는 다중 이송 검지 센서, 시트의 두께를 검지하는 두께 검지 센서등을 가질 경우가 있다. 이것들의 센서가 다중 이송 상태나 이상을 검지하면, 급지/반송부(505)는, 급지 동작 및 반송 동작을 중단하고, 프린트 제어부에 이상(anomaly)을 통지한다. 상기 이상의 통지를 받은 프린트 제어부는, 주 제어부에 동작 중단의 이유, 장치내에 잔류하고 있는 시트의 위치등을 통지한다.
시트가 정상적으로 반송되어, 특정 위치에 도달한 취지의 통지를 받은 프린트 제어부는, 그 통지에 따라 작상부(503)에 작상의 시작을 지시한다. 이 타이밍 제어에 의해, 시트 위에 토너 상이 전사될 수 있다. 한편, 정착부(504)는, 정착 롤러의 온도를 감시하고, 적절한 정착온도가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시트가 열을 크게 빼앗길 때, 정착 롤러의 온도가 저하한다. 이 경우, 정착부(504)는, 정착 롤러의 온도 저하를 프린트 제어부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받은 프린트 제어부는, 시트의 반송 간격을 넓게 하여, 정착 롤러의 온도가 특정 온도이하로 강하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래도 정착 롤러의 온도가 복귀하지 않을 경우, 프린트 제어부는, 일단 동작을 중단하고, 정착 롤러의 온도가 적절한 온도로 복귀한 후, 동작을 재개한다.
프린트 제어부는, 모든 시트의 배출이 완료하면, 동작 정지를 각 부에 지시하고, 각 부로부터의 동작 정지 통지를 받을 때 주 제어부에 동작 종료를 통지한다. 이때,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시트 수납고를 이용하지만, 기기 구성에 따라서는 3개이상의 시트 수납고를 연결해서 사용하여도 된다.
도 3은, 도 1의 인쇄 시스템을 구성하는 후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본 처리 기능을 갖는 후처리장치(인라인 피니셔)는, 도 2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의 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내의 정착부(504)로부터 배출된 시트는, 후처리장치에 반송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장치는, 샘플 트레이(602)와 스택 트레이(603)를 가지고, 인쇄 잡의 종류나 배출된 시트의 매수에 따라, 배출처의 트레이를 바꾼다. 이때, 시트를 복수의 통(bin)에 분배하는 통 소트 방식과, 전자 소트 기능을 사용하여 전후방향으로 통(또는 트레이)을 쉬프트시켜서 인쇄 잡마다 출력 시트를 분배하는 쉬프트 소트 방식이 있다. 전자 소트 기능은 콜레이션이라고 불린다. 주 제어부가 대용량의 메모리를 가질 경우, 상기 메모리를 버퍼로서 이용하여, 버퍼링된 쪽순서로부터 배출순서를 변경하는 콜레이션 기능으로 전자 소트 기능을 서포트한다. 한편, 그룹 기능은, 복수매의 시트를 쪽마다 분류하는데 사용된다.
출력해야 할 인쇄 잡에 대하여 스테이플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시트가 스택 트레이(603)에 배출되기 전에 시트를 인쇄 잡마다 처리 트레이(621)에 축적한다. 처리 트레이(621) 위에서는, 시트가 스테이플러(605)에 의해 묶인다. 그 후에, 시트의 다발이 스택 트레이(603)에 배출된다. 추가로, 상기 2개의 트레이에 이르는 경로상에서, 시트를 Z자 모양으로 접는 Z접기기(630)와, 파일용 시트에 2개(또는 3개)의 구멍을 뚫는 펀처(611)가 있고, 그들은 인쇄 잡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Z접기 처리가 설정된 인쇄 잡의 경우, Z접기기(630)는, 시트를 Z모양으로 접는다. 그 접힌 시트는, 스택 트레이(603)나 샘플 트레이(602)등의 배지 트레이에 배출된다. 게다가, 펀치 처리가 설정된 인쇄 잡의 경우, 펀처(611)는 그 시트에 구멍을 뚫는다. 구멍이 뚫린 시트는 배지 트레이에 배출된다.
인서터(inserter)(631)는, 인서트 트레이(609)에 세트된 시트를, 화상형성장치를 통과하지 않고 배지 트레이에 보낸다. 이에 따라, 후처리장치에 보내진 복수의 시트의 사이에, 인서터(631)에 세트된 시트를 인서트할 수 있다. 인서트 트레이(609)에는, 페이스업(faceup) 상태로 시트가 세트되어, 픽업 롤러에 의해 최상부의 시트로부터 순차적으로 급송된다. 인서터(631)로부터의 시트는, 그대로 스택 트레이(603) 또는 샘플 트레이(602)에 반송함에 의해 페이스다운(facedown) 상태로 배출된다. 또한, 새들 스티처(saddle stitcher)(606)에 보낼 때는, 일단, 펀처(611)측에 시트를 보내준 후, 스위치백시켜서 새들 스티처에 보내주어, 페이스측을 맞춘다. 이때, 인쇄 잡에 대하여 오퍼레이터가 설정한 시트 처리 설정에 의거하여, 인서터(631)에 의해 인서트 처리의 실행 가부가 결정된다.
새들 스티처(606)는, 시트의 중앙부분을 2군데 묶은 후, 시트의 중앙부분을 롤러로 움켜잡으면서 시트를 반 접어서 북렛을 만드는 처리(제본 처리)를 행한다. 새들 스티처(606)로 제본된 시트는, 북렛 트레이(604)에 배출된다. 새들 스티처(606)에 의한 제본 처리등, 시트 처리의 실행 가부도, 인쇄 잡에 대하여 오퍼레이터가 설정한 시트 처리 설정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트리머(trimmer)(재단기)(640)는, 새들 스티처(606)에 의해 형성된 북렛을 롤러로 소정의 거리분만 보내고, 상기 북렛의 가장자리를 커터부(610)로 재단한다. 상기 북렛의 가장자리가 가지런히 잘리고, 그 북렛이 북렛 홀드부(641)에 격납된다. 이때, 트리머(640)에 의한 재단 처리의 실행 가부도, 인쇄 잡에 대하여 오퍼레이터가 설정한 시트 처리 설정에 의거하여 결정된다.
다음에, 후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제본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된 시트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반송되고, 경로 전환 플래퍼(flapper)(601)에 도달한다. 그 후, 경로 전환 플래퍼(601)는, 샘플 트레이(602)에의 반송로, 스택 트레이(603)에의 반송로, 및 북렛 트레이(604)에의 반송로 중에서 하나의 시트의 반송처 경로를 선택한다. 샘플 트레이(602)에 그 시트가 배출되는 경우에, 후처리장치가 처리할 수 없기 때문에, 그대로 시트가 배출된다. 스택 트레이(603)에 시트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처리 트레이(621)를 경유해서 배출된다. 이 처리 트레이(621)에 시트가 배출되는 경우, 상기 설정에 따라 스테이플러(605)가 스테이플 처리를 행하거나, 시트를 기기의 전후방향으로 쉬프트시킨다.
새들 스티처(606)는, 1세트분의 시트 다발의, 시트가 나중에 반접어지는 접는선상의 위치에서 묶는다. 새들 접기일 경우에, 이 가운데 매기가 생략되어, 시트 다발이 스토퍼(607)에 반송된다. 스토퍼(607)에 적재된 시트 다발은, 다발 반송 롤러쌍(608)에 의해 반송되고, 반으로 접어져, 북렛 트레이(604)에 배출된다.
새들 스티처(606)에 의해 반접어진 3매의 시트의 상태를 확대 원(650)에 도시하고 있다. 시트 다발의 중앙부가 스테이플 되므로, 그 시트 다발은, 다발 반송 롤러쌍(608)에 의해 반송되는중에도 안정하게 1개의 시트 다발로서 반송되어, 커터부(610)에서 재단된다. 한편, 가운데 매기를 실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시트들이 하나로 되지 않으므로, 매수나 시트의 평량이 증대할수록, 재단시의 정밀도를 유지하기 더 어렵게 된다.
도 4는, 화상형성장치의 주 제어부의 하드웨어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주 제어부(200)는, 화상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부(201)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판독과, 화상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 엔진부(202)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프린트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주 제어부(200)는, 네트워크(74)나 공중회선(204)을 통해, 화상정보나 디바이스 정보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CPU(205)는, 화상형성장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다. RAM(206)은, CPU(205)가 동작하기 위한 시스템 워크 메모리이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이기도 하다. 부트ROM(207)에는 시스템용 부트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208)는, 각종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나, 입력된 화상 데이터 등을 격납한다.
조작부I/F(209)는, 화상 데이터 등을 표시가능한 표시 화면을 가지는 조작부(210)에 접속되고, 그 조작부(210)에 대하여 조작 화면 데이터를 출력한다. 게다가, 조작부I/F(209)는, 조작부(210)에 의해 조작자가 입력한 정보를 CPU(205)에 전달한다.
네트워크I/F(211)는, 예를 들면 NIC(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거쳐서 네트워크(74)에 접속하고, 프린트 서버(71)나 호스트 컴퓨터(72)등의 외부장치와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의 설명은 1개의 네트워크I/F를 거쳐서 1개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구성을 나타내지만, 복수의 네트워크I/F를 사용해서 복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구성도 본 실시예에 포함된다. 모뎀(212)은, 공중회선(204)에 접속하고, 외부장치와 정보를 교환한다.
이상의 부(unit)들이 시스템 버스(213)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미지 버스I/F(214)는, 시스템 버스(213)와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화상 버스(215)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며,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리지(bridge)다. 화상 버스(215)에는, 래스터 화상 프로세서(RIP)(216), 디바이스I/F(217), 스캐너 화상처리부(218), 프린터 화상처리부(219), 편집용 화상처리부(220), 및 칼라 관리 모듈(CMM)(230)이 접속된다.
RIP(216)은, 페이지 기술 언어(PDL)코드나 후술하는 벡터 데이터를 이미지로 전개한다. 디바이스I/F(217)은, 스캐너부(201)와 프린터 엔진부(202)에 접속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동기계 및 비동기계 사이에서 변환한다.
스캐너 화상처리부(218)는, 스캐너부(201)로부터 입력한 화상 데이터를 보정, 가공 및 편집할 수 있다. 프린터 엔진부(202)의 능력에 따라, 프린터 화상처리부(219)는, 인쇄하여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해상도를 변환할 수 있다. 편집용 화상처리부(220)는, 화상 데이터의 회전, 압축 및 신장 등의 각종 화상처리를 행한다.
CMM(230)은,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프로파일이나 캘리브레이션 데이터에 근거하는 색 변환처리("색공간 변환 처리"라고도 한다)를 적용하는 전용 하드웨어 모듈이다. 프로파일은, 기기에 의존한 색공간으로 표현한 칼라화상 데이터를 기기에 의존하지 않는 색공간(예를 들면, Lab)으로 변환하기 위한 함수와 같은 정보다. 캘리브레이션 데이터는, 스캐너부(201)나 프린터 엔진부(202)의 색재현 특성을 수정하는데 사용된다.
도 5는, 도 4의 주 제어부(200)의 기능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다.
프로토콜 제어모듈(301)은,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해석 및 송신함으로써 외부와의 통신을 행한다. 이때, 복수의 프로토콜 제어모듈(301)은, 복수의 네트워크I/F에 따라 설치되어도 되거나, 그 제어모듈(301)은 복수의 네트워크I/F로부터의 입력을 처리하여도 된다.
데이터 입력 식별모듈(302)은, 네트워크I/F(211)를 통해 입력된 인쇄 잡을 식별한다. 잡 관리모듈(303)은, 입력된 인쇄 잡을 관리하고, 인쇄 잡의 분할 처리를 행하고, 인쇄 잡에 부가된 인쇄 설정에 따라서 디바이스 제어에 관한 정보를 처리한다.
PDL해석모듈(304)은, PDL데이터를 해석하고, 보다 처리하기 쉬운 형식인 중간 코드(DisplayList:DL)로 변환한다. PDL해석모듈(304)에 의해 변환된 DL은, 데이터 묘화모듈(305)에 전달된다.
데이터 묘화모듈(305)은, 상기 DL을 비트맵 데이터로 전개한다. 전개된 비트맵 데이터는, 페이지 메모리(306)에 연속적으로 묘화된다. 페이지 메모리(306)는, 전개된 비트맵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휘발성의 메모리다. 패널 입출력 제어모듈(320)은, 조작부(210)로부터의 입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 기억모듈(330)은, 입력된 인쇄 잡이나 스캐너부(201)로부터 입력된 스캔 잡등, 화상형성장치에 입력된 여러가지 데이터 파일을 HDD(208)등에 기억한다.
스캔 제어모듈(350)은, 스캐너부(201)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보정하고, 가공하고, 편집할 수 있다. 인쇄제어모듈(360)은, 페이지 메모리(306)의 내용을 비디오신호로 변환하고, 프린터 엔진부(202)에 화상을 전송한다. 프린터 엔진부(202)는, 수신된 비디오신호에 따라 기록지에 가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인쇄기구부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출력 잡 관리부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출력 잡 관리부(181)(잡 관리모듈303)는, 네트워크I/F(211)을 통해 입력된 인쇄 잡을 관리하고, 메모리(195)(페이지 메모리306)에 대한 인쇄 잡의 판독 및 기록과, 그 처리 순서를 제어한다.
출력 잡 제어부(182)는, 잡 해석모듈(183), 바인더 해석모듈(184), 도큐먼트 해석모듈(185), 및 페이지 해석모듈(186)로 구성되어, 인쇄 잡의 설정 정보(잡 티켓)와 화상정보를 작성한다.
잡 해석모듈(183)은, 인쇄하는 문서이름이나 인쇄부수, 출력처인 배지 트레이의 지정, 복수의 바인더로 구성되는 인쇄 잡의 바인더 순서등, 인쇄 잡 전체에 관한 설정 정보의 상세를 해석하여서, 인쇄 잡 설정 정보를 작성한다. 바인더 해석모듈(184)은, 제본 방식의 설정, 복수 도큐먼트로 구성되는 바인더의 도큐먼트 순서등, 바인더 전체에 관한 설정 정보의 상세를 해석하여서 바인더 정보를 작성한다.
도큐먼트 해석모듈(185)은, 도큐먼트의 쪽순서, 양면인쇄의 지정, 표지나 대지(mount)의 부가등, 도큐먼트 전체에 관한 설정 정보의 상세를 해석하여서 도큐먼트 설정 정보를 작성한다. 페이지 해석모듈(186)은, 화상의 해상도, 화상의 방향(풍경/인물사진)등, 페이지 전체에 관한 설정 정보의 상세를 해석하여서 페이지 설정 정보를 작성한다.
용지정보 관리부(191)는, 출력 잡 제어부(182)로 해석된 인쇄 처리에서의 시트 종류에 관한 정보를 관리한다. 용지정보 제어모듈(192)은, 인쇄 처리에서의 시트 종류에 관한 속성정보를 나타내는 용지정보 관리 테이블을 작성한다. 게다가, 용지정보 제어모듈(192)은, 오퍼레이터가 선택 또는 입력한 에일리어스(alias) 정보를 용지정보 관리 테이블에 기재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출력 잡 관리부(181) 및 용지정보 관리부(191)에 의한 처리는, 인쇄 시스템(75)상에서 상기 처리들이 실행되지만, 호스트 컴퓨터(72)상에서 실행되어도 된다. 게다가, 상기 처리들은, 프린트 서버(71)상에서 실행되어도 된다.
화상정보가 스캔 화상에 의거하여 작성되는 경우에는, 스캔 화상용의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PDL데이터의 경우에는, 화상처리/RIP부(193)를 호출해서, 렌더링에 의해 페이지 화상정보(194)를 작성한다. 페이지 화상정보(194)는, 압축/신장부(187)에 의해 압축된다. 그 후, 페이지 화상정보(194)는, 시나리오 및 설정 정보와 연관되고, 메모리(195)에 격납된다.
디바이스 관리부(188)는, 디바이스 할당모듈(189)과 디바이스 제어모듈(190)로 구성된다. 메모리(195)로부터 상기 연관된 시나리오 및 설정 정보와 함께 판독되는 페이지 화상정보(194)는, 압축/신장부(187)에 의해 신장된다. 상기 시나리오, 설정 정보 및 페이지 화상정보(194)는 1조로서 디바이스 관리부(188)에 입력된다.
디바이스 할당모듈(189)은, 시나리오에 근거해 디바이스를 할당할 때에, 복수의 인쇄 잡이 동시에 처리를 진행시키면 일어날 디바이스간의 충돌을 조정한다. 디바이스 제어모듈(190)은, 사용된 디바이스와 타이밍을 정한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의 묘화처리부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묘화처리부는, 인터프리터(101)와 렌더링 처리부(108)의 두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때, 렌더링 처리는, 벡터 정보(PDL에서 기술된 문자, 선화, 도형등)와 비트맵 정보를 동시에 페이지로서 재현하기 위해서, 각 오브젝트 정보를 메모리상(도시 생략)에 래스터 화상으로서 래스터화한다.
인터프리터(101)는, PDL데이터의 언어를 해석하는 PDL해석모듈(102)(PDL해석부304)을 구비한다. 게다가, 인터프리터(101)는, PDL데이터에 포함된 페이지 정보를 해석하는 페이지 정보 해석모듈(103)과, PDL데이터에 포함된 묘화 오브젝트를 해석하는 묘화 오브젝트 해석모듈(104)을 구비한다. 한층 더, 인터프리터(101)는, 묘화 오브젝트에 의거하여 DL을 작성하는 DL생성모듈(105)을 갖는다. 한층 더, 인터프리터(101)는, 묘화 오브젝트와 폰트를 캐쉬해서 재이용 가능한 경우, 데이터 기억부(107)(데이터 기억모듈330)에 DL데이터를 판독/기록할 수 있는 DL관리모듈(106)을 갖는다.
PDL해석모듈(102)은, 입력된 여러가지 종류의 PDL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아울러, PPML이나 PDF/VT등의 VDP대상 포맷의 데이터도 처리 가능하다. 또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이나 TIFF(Tagged Image File Format)등과 같은 화상압축 포맷도 처리할 수 있다.
렌더링 처리부(108)는, DL에 대하여 컬러 매칭을 행하는 CMM(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DL을 비트맵 데이터(래스터 화상)로서 렌더링 하는 DL렌더링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로 구성된다.
프린터 엔진부(109)(프린터 엔진부202)는, 렌더링 처리부(108)로 생성된 비트맵 데이터를 판독하고, 인쇄 처리를 실시한다.
다음에,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210)의 외관구성에 대해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화상형성장치의 조작부(210)의 외관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낸 키 입력부(802)의 외관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10)는, 하드 키에 의한 오퍼레이터 조작을 접수할 수 있는 키 입력부(802)와, 소프트 키(표시된 키)에 의한 오퍼레이터 조작을 접수할 수 있는 표시 유닛으로서의 터치패널부(801)를 가진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 입력부(802)에는, 전원 스위치(901)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901)가 조작도면, CPU(205)는, 스탠바이 모드와 슬립(sleep) 모드를 선택적으로 바꾼다. 스탠바이 모드는 보통 동작 상태이다. 슬립 모드는, 네트워크 인쇄나 팩시밀리등에 의해 인터럽트를 대기하면서 상기 프로그램을 정지하여, 소비 전력을 저감시키는 상태다.
CPU(205)는, 시스템 전체의 전원을 온 및 오프하는 주 전원 스위치(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온 상태에 있을 때에, 전원 스위치(901)에의 오퍼레이터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제어한다.
스타트 키(903)는, 처리 대상으로서 사용된 잡의 카피 동작과 송신 동작 등,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시된 종류의 잡 처리를 인쇄장치에 개시시키는 오퍼레이터의 지시를 접수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스톱 키(902)는, 접수한 잡의 처리를 인쇄장치에 중단시키는 오퍼레이터의 지시를 접수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텐(ten) 키 패드(906)는, 각종 설정의 등록 설정을 오퍼레이터에 의해 가능하게 하는데 사용된다. 클리어 키(907)는, 텐 키 패드(906)를 통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설정된 등록 등의 각종 파라미터를 해제하는데 사용된다. 리셋 키(904)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처리 대상의 잡에 대하여 설정된 각종 설정을 무효로 하고, 또한 그 설정 값을 디폴트 상태로 초기화하는 지시를 접수하는데 사용된다. 오퍼레이터 모드 키(905)는, 오퍼레이터마다 설계된 시스템 설정 화면에 이행하는데 사용된다.
다음에, 가운데 매기없이 반으로 접힌 시트 다발에 대하여 재단 처리를 실시했을 경우 작성된 인쇄물을,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9a는, 시트 다발의 재단처리와 삽입 처리 하여 인쇄물(분할 제본)을 형성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시트 다발의 재단처리와 포개기 처리하여 인쇄물(분책 제본)을 형성하는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있어서, 3개의 시트 다발(1001)을 사용한 상기 삽입처리에 의해 상기 인쇄물(1003)을 구성한다.
후처리장치가 처리가능한 상한매수 혹은 오퍼레이터 지정 매수에 따라서 입력된 잡의 시트들에 분할 처리를 적용한다. 상기 시트 다발(1001) 각각은, 상기 분할 시트들에 정판(imposition) 처리와 인쇄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또한 그 처리된 시트들을 모아서 반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각 시트 다발은 3매의 시트로 구성된다.
한층 더, 후술하는 재단량 조정 처리에 의해 계산된 다른 재단량(도시된 예에서 재단 위치(1002)를 점선으로 나타낸다)에 따라서 재단 처리를 상기 시트 다발에 행한 후, 외측의 시트 다발에 내측의 시트 다발을 오퍼레이터가 삽입하기(즉, 외측의 시트 다발으로 내측의 시트 다발을 덮기) 때문에 상기 인쇄물(1003)이 완성된다. 각 시트 다발의 재단 위치는, 인쇄물(1003)의 앞 단면(재단면)이 균일해지도록 결정된다.
도 9b에 있어서, 인쇄물(1103)은, 3개의 시트 다발(1101)을 출력된 책자를 포개서 묶어서 구성된다.
각 시트 다발(1001)은, 입력된 잡에 대한 분책 처리 지정에 따라서 분리된 복수매의 시트에 대해 정판 처리와 인쇄 처리를 실시하고, 복수매의 시트를 한데 모아서 반접기하여서 형성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각 시트 다발은 3매의 시트로 이루어진다.
한층 더, 재단 처리가 지정된 경우, 모든 시트 다발에 대하여 공통의 지정된 재단량(도시된 예에서는 점선은 재단 위치(1102)를 나타낸다)에 따라서 재단되고 나서, 배지된다. 오퍼레이터가 그 배지된 다발을 포개서(인접해서) 묶기 때문에 상기 인쇄물(1103)이 완성된다. 각 다발을 같은 위치에서 재단하므로, 인쇄물(1103)의 앞 단면(재단면)은 균일해진다.
다음에, 제본 인쇄 지정시에 가운데 매기 처리하지 않고 재단 처리를 실시할 경우의 인쇄 잡에 대한 인쇄 및 제본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인쇄 시스템(75)에서 실행된 인쇄 및 제본 처리의 기본적인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인쇄 시스템(75)은, 네트워크I/F(211)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72)등으로부터 잡을 수신한다(단계S1201).
우선, PDL해석부(304)는, 처리 시작에서의 잡의 처리 상황을 관리하는데 사용된 페이지 카운터N을 초기화한다(단계S1202). 다음에, PDL해석부(304)는, 페이지 단위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페이지 카운터N을 1페이지씩 증가시킨다(단계S1203).
다음에, PDL해석부(304)는 상기 잡에 포함된 PDL데이터를 해석하여, 데이터 묘화부(305)는 비트맵 데이터로 전개한다(단계S1204). 그 후, 그 전개된 비트맵 데이터는, 페이지 메모리(306)에 보존된다(단계S1205).
다음에, PDL해석부(304)는, 처리가 완료된 페이지가 잡중의 최종 페이지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1206). 최종 페이지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1207의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최종 페이지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잡중의 전체 페이지가 처리될 때까지 단계S1203∼단계S1206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S1207에서는, 화상 레이아웃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도 17a∼도 17f나 도 18a∼도 18c에 나타낸 조작 화면상에서 지정한 인쇄 설정 등에 따라, 유저는, 페이지의 순서를 변경하고, 페이지의 합성 처리를 지정하고, 인쇄 위치에 대해 미세 조정을 실시한다. 화상 레이아웃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17a∼도 17f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쇄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으로 표시된 조작 화면(2001, 2002, 2003, 2004, 2005, 2006)을 나타낸다.
도 18a∼도 18c는, 인쇄 잡을 작성하는 호스트 컴퓨터 72 또는 73 상에서 표시된 프린트 잡을 작성하기 위한 조작 화면(2201, 2202, 2203)을 나타낸다.
그 설명은 도 10으로 되돌아간다. 단계S1207의 화상 레이아웃 처리를 완료한 후, 처리된 화상이 페이지 메모리(306)에 전개된다(단계S1208). 그 후, 단계S1208에서 전개된 화상이 프린터 엔진부(202)에 송출되어, 인쇄 처리가 실행된다(단계S1209). 인쇄 처리가 완료한 후, 단계S1210의 처리로 이행한다.
단계S1210에서는, 피니싱(finishing) 처리가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S1209에서 인쇄된 시트에 대하여, 유저가 도 17a∼도 17f나 도 18a∼도 18c에 나타낸 조작 화면상에서 지정한 제본 설정 등에 따라, 접기처리와 재단 처리등의 후처리가 실행된다. 피니싱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에, 단계S1211에서는, 단계S1210에서 후처리가 실행된 시트 다발이 배지된다. 계속하여, 단계S1212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시트 다발수n을 감산하여서 그 처리가 필요한 나머지의 시트 다발수를 계산한다. 그 후, 인쇄제어모듈(360)은, 모든 시트 다발의 처리가 완료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213). 모든 시트 다발의 처리가 완료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모든 시트 다발의 처리가 완료하지 않았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처리가 완료할 때까지 단계S1208∼단계S1213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S1207에 있어서의 화상 레이아웃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인쇄제어모듈(360)은, 제본 지정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S1301). 제본 지정이 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시트 다발수n을 1로 설정한다(단계S1312). 계속해서, 인쇄제어모듈(360)은, 페이지 메모리(306)로부터 비트맵 데이터를 잡에 포함된 페이지 순서로 판독해서(단계S1313), 리턴한다.
한편, 단계S1301에서 제본 지정이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매기 지정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S1302). 매기 지정이 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오퍼레이터가 접는 매수를 지정했는지를 판정하고, 접는 매수가 지정되어 있었을 경우에 그 지정된 접는 매수를 확인해서(단계S1303), 단계S1305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S1302에서 매기 지정이 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반접기 지정이라고 판단하고, 단계S13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304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후처리장치의 접는 매수의 상한치와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정된 상기 지정된 접는 매수를 확인하고, 단계S13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305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잡에 포함된 페이지수와 제본 지정에 의거하여, 잡을 인쇄 처리하는데 필요로 한 인쇄 매수M을 계산한다. 그 후, 이 인쇄 매수M과, 단계S1303 또는 단계S1304에서 확인한 상기 지정된 접는 매수를 비교한다.
인쇄 매수M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아래와 같이 나타낸다.
M=ceil(N/2·S)
N:잡에 포함된 페이지수
S: 단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를 지정하는 정수
단면 인쇄의 경우:S=2
양면 인쇄의 경우:S=4
ceil(): 십진수를 자리올림하여서 정수를 만드는 함수
단계S1305의 판정의 결과, 인쇄 매수M이 상기 지정된 접는 매수이하의 경우, 단계S1307의 처리로 진행되고, 인쇄제어모듈(360)은, 잡의 시트 다발수n을 "1"로 설정한다.
한편, 단계S1305에서 인쇄 매수M이 지정된 접는 매수보다 많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S1306의 처리로 진행되고, 인쇄제어모듈(360)은, 잡의 시트 다발수n을 계산한다. 구체적으로는, 잡에 포함된 페이지수N과, 단면 인쇄 또는 양면 인쇄 지정과, 단계S1303 또는 단계S1304에서 확인한 때 상기 지정된 접는 매수에 의거하여, 시트 다발수n을 계산한다. 단계S1306에서의 처리는, 시트 다발수 계산 유닛의 일례다.
잡 처리가 완료하기까지 작성되는 시트 다발수n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n=ceil(M/L)
L: 지정된 접는 매수
다음의 단계S1308에서, 인쇄제어모듈(360)은 분책 방법의 지정을 확인한다.
단계S1309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단계S1308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잡에 포함된 페이지수와, 잡을 분할하는 시트 다발수n과, 설정 분책 방법에 따라, 페이지 레이아웃을 결정한다. 단계S1309는, 페이지 레이아웃 결정 유닛의 일례다.
다음에, 인쇄제어모듈(360)은, 단계S1309에서 결정한 상기 레이아웃에 의거하여 페이지 메모리(306)로부터 비트맵 데이터(전개된 화상)를 순서적으로 판독한다(단계S1310). 계속해서, 인쇄제어모듈(360)은, 크리프(creep) 보정지정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크리프 보정 지정에 따라 비트맵 데이터의 화상 쉬프트량을 결정해(단계S1311), 리턴한다. 이 크리프 보정지정은, 크리프 보정기능을 갖게 이하에 설명한다.
도 12는, 도 10의 단계S1210에 있어서의 피니싱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인쇄제어모듈(360)은, 매기 지정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S1401). 매기 지정이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시트 다발의 중앙을 스테이플 처리하는 가운데 매기 처리(단계S1402)와 접기 처리(단계S1403)를 실시한다. 한편, 매기 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단계S1405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404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재단 처리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재단 처리가 지정된 경우에는, 단계S1409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 재단 처리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리턴한다. 단계S1401, S1404, S1406, S1407은, 제본 지정 판정 유닛의 일례다.
단계S1409에서는, 도 17f에 나타낸 조작 화면 2006, 도 19a에 나타낸 조작 화면 2201, 또는 도 19b에 나타낸 조작 화면 2202 상에서 유저에 의해 지정된 재단량에 따라 재단 처리가 실행되고나서, 처리를 리턴한다.
단계S1405에서는, 시트 다발에 대하여 접기 처리가 실행된다. 다음에, 인쇄제어모듈(360)은, 재단 처리가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406). 재단 처리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를 리턴한다. 한편, 재단 처리가 지정된 경우에는, 단계S14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407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상기 분책 제본이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상기 분책 제본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 단계S1409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분책 제본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즉, 분할 제본이 지정된 경우), 단계S140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407에서의 처리는, 분할 제본 판정 유닛의 일례다.
단계S1408에서는, 재단량 조정 처리가 실행된다. 재단량 조정 처리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S1408은, 재단량 조정량 계산 유닛의 일례다. 재단량 조정 처리가 실시된 후에, 그 재단 처리는 관련된 처리에서 재조정된 재단량에 따라 실시된다(단계S1409).
도 13a는, 도 12의 단계S1408에 있어서의 재단량 조정 처리의 상세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우선, 화상의 인쇄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크리프 보정(화상위치 보정) 기능을 설명한다.
제본 인쇄 처리후에 한번에 복수의 시트를 접어서 북렛을 작성하므로, 화상위치를 보정하지 않으면, 가장 외측의 시트에 인쇄된 화상의 위치는, 가장 내측의 시트에 인쇄된 화상의 위치로부터 벗어나 버린다. 이것은, 시트의 두께와, 후처리장치의 접기 기능의 정밀도 오차로 인해, 편차가 생기기 때문이다. 화상형성장치로는, 완성된 북렛의 정밀도를 향상하기 위해서, 넘겨진 다음 페이지의 인쇄 위치와 각 페이지의 인쇄 위치가 일치하도록 조정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 기능을 크리프 보정기능이라고 부른다. 크리프 보정기능에는, 시트마다 화상의 인쇄 위치를 미세 조정하는 기능과, 가장 외측의 시트에 인쇄된 화상의 인쇄 위치와 가장 내측의 시트에 인쇄된 화상의 인쇄 위치간의 차분의 지정에 의거하여, 화상형성장치가 자동으로 인쇄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이 있다.
도 13a에 있어서, 인쇄제어모듈(360)은, 크리프 보정지정의 유무를 판정한다(단계S1501). 크리프 보정지정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도 13b의 단계S1601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때, 도 13b에 나타낸 처리에 관해서는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다. 한편, 단계S1501에서 크리프 보정지정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15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502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크리프 보정지정의 종류를 판정한다. 크리프 보정지정의 종류는, 예를 들면, 도 17d에 나타낸 조작 화면 2004 및 도 17e에 나타낸 조작 화면 2005상에서 지정될 수 있다. 단계S1502에서 페이지마다의 개개의 크리프 보정량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S1503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잡 전체의 공통의 크리프 보정량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150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503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제1 시트 다발이 처리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제1 시트 다발을 처리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잡 전체의 인쇄 매수M을 확인한다(단계S1504). 계속해서,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에 필요한 시트 매수에 의거하여 크리프 보정량H를 계산한 후,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계산한다(단계S1505).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계산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n=M·H
M:잡의 인쇄 처리에 필요한 시트 매수
H:크리프 보정량
단계S1503에서 제1 시트 다발이외의 시트 다발을 처리했다고 판단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제n 시트 다발이 처리되었을 때에 계산해둔 제n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Cn을, 제(n-1) 시트 다발의 재단량으로부터 감산하여서 상기 재단량Dn을 계산한다(단계S1506). 단계S1506은, 재단량 계산 유닛의 일례다.
제1 시트 다발이외의 제n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계산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n=D(n+1)-Cn
단계S1507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다음 시트 다발(제(n-1)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C(n-1)을 계산한다. 단계S1507은, 재단량 계산 유닛의 일례다.
제(n-1)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C(n-1)=Mn·H
Mn:제n 시트 다발에서의 시트 매수
H:크리프 보정량
단계S1508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잡 전체의 인쇄 처리에 필요한 시트의 인쇄 매수M을 확인한다. 다음에,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 매수M과 지정된 크리프 보정량에 의거하여, 시트마다의 크리프 보정량H를 계산한다(단계S1509).
시트마다의 크리프 보정량H를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H=Hs/M
Hs:오퍼레이터 지정의 크리프 보정량
다음에, 인쇄제어모듈(360)은, 제1 시트 다발이 처리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1510). 제1 시트 다발을 처리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S1511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S1510에서 제1 시트 다발이외의 시트 다발이 처리되었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S15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511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에 필요한 인쇄 매수M과 지정된 크리프 보정량에 의거하여, 단계S1509에서 구한 크리프 보정량H로부터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계산한다.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n=M·H
M:잡의 인쇄 처리에도 필요한 시트 매수
H:크리프 보정량
단계S1512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제(n-1) 시트 다발의 재단량으로부터, 제n 시트 다발을 처리했을 때에 계산해 둔 제n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Cn을 감산하여서, 재단량Dn을 계산한다. 단계S1512는, 재단량 계산 유닛의 일례다.
제1 시트 다발이외의 제n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나타낸다.
Dn=D(n+1)-Cn
단계S1513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다음 시트 다발(제(n-1)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Cn을 계산한다. 단계S1513은, 재단량 계산 유닛의 일례다.
제(n-1)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C(n-1)=Mn·H
Mn:제n 시트 다발의 시트의 인쇄 매수
H:크리프 보정량
이상과 같이 재단량의 조정 처리가 실시된 후, 도 12의 피니싱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그후, 단계S1409에서 재단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북렛이 완성된다. 분할 제본의 경우에 인쇄물 일례를 도 9a에 나타낸다.
분할처리는, 후처리장치가 처리가능한 상한매수 혹은 오퍼레이터 지정 매수에 따라, 입력된 잡의 시트들에 적용된다. 그 시트 다발(1001) 각각은, 정판 처리와 인쇄 처리가 상기 분할된 시트에 적용하고, 그 처리된 복수매의 시트를 한데 모아서 반으로 접어서 형성된다.
한층 더, 재단량 조정 처리에서 조정된 재단량(점선은 도시된 예에서 재단 위치 1002를 나타낸다)에 따라 재단 처리가 상기 시트 다발에 적용한 후 외측의 시트 다발에 오퍼레이터가 삽입하기 때문에 인쇄물(1003)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분책 방법과 크리프 보정량의 종류에 의거하여 시트 다발마다의 재단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잡의 분할 위치와 페이지마다의 레이아웃 처리를 의식하지 않고, 시트 다발마다의 재단량 조정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도 13a의 단계S1501에서 크리프 보정이 지정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실행된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도 1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단량 조정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인쇄제어모듈(360)은, 잡의 인쇄 처리에 필요한 시트의 종류를 판정한다(단계S1601). 잡의 인쇄 처리에 필요한 시트가 모두 같은 종류로서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 단계S1602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복수의 종류가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1608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601의 처리는, 시트 종류 판정 유닛의 일례다.
단계S1602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 처리에 사용되는 시트의 종류와 평량에 의거하여 시트의 종류에 대응하는 시트 편차 보정값T를 판독한다(단계S1602). 시트 편차 보정값T는, 미리 HDD(208)등에 보존되어 있다. 단계S1602의 처리는, 시트 편차 보정값 판독 유닛의 일례다.
다음에, 인쇄제어모듈(360)은, 제1 시트 다발이 현재 처리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1603). 제1 시트 다발을 처리한다고 판정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잡 전체의 인쇄 매수M을 확인한다(단계S1604). 계속해서,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에 필요한 시트 매수에 의거하여 시트 편차 보정값T를 계산한 후,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계산한다(단계S1605).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n=M·T
M:잡의 인쇄 처리에 필요한 시트 매수
T:시트 종류에 대응한 시트 편차 보정값
단계S1603에서 제1 시트 다발이외의 시트 다발이 처리된다고 판정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제(n-1) 시트 다발의 재단량으로부터, 제n 시트 다발을 처리했을 때에 계산해 둔 제n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Cn을 감산하여서 재단량Dn을 계산한다(단계S1605).
제1 시트 다발이외의 제n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n=D(n+1)-Cn
단계S1607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다음 시트 다발(제(n-1)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Cn을 계산한다.
제(n-1)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C(n-1)=Mn·T
Mn:제n 시트 다발의 인쇄 매수
T: 시트 편차 보정값
단계S1608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잡 전체에서 사용된 시트의 종류와 인쇄 매수M을 확인한다. 다음에,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 처리에 사용된 시트 종류와 평량을 바탕으로, 시트마다의 시트 편차 보정값Ta∼Tz를 확인한다(단계S1609). 시트마다의 시트 편차 보정값Ta∼Tz는, 미리 HDD(208)등에 보존되어 있다. 단계S1609는, 시트 편차 보정값 판독 유닛의 일례다.
다음에, 인쇄제어모듈(360)은, 제1 시트 다발이 현재 처리되었는가 아닌가를 판정한다(단계S1610). 제1 시트 다발을 처리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S1611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S1610에서 제1 시트 다발이외의 시트 다발을 처리했다고 판정했을 경우, 단계S161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611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 처리에 사용된 모든 시트의 종류와 인쇄 매수M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계산한다.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n=Ma·Ta+Mb·Tb+…+Mz·Tz
Ma, Mb,...,Mz: 잡을 구성하는 시트 타입A∼Z의 시트 매수
Ta, Tb,...,Tz: 시트의 종류와 평량을 바탕으로 계산한 시트 타입마다의 시트 편차 보정값
단계S1612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제(n-1) 시트 다발의 재단량으로부터, 제n 시트 다발을 처리했을 때에 계산해 둔 제n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Cn을 감산하여서, 재단량Dn을 계산한다.
제1 시트 다발이외의 제n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Dn=D (n+1)-Cn
단계S1613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다음 시트 다발(제(n-1)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Cn을 계산한다.
제(n-1) 시트 다발의 재단 조정량을 구하는 연산식의 일례를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C(n-1)=Ga·Ta+Gb·Tb+...+Gz·Tz
Ga, Gb,...,Gz: 제n 시트 다발의 시트 타입A∼Z의 시트 매수
Ta, Tb,...,Tz: 각 시트 타입A∼Z의 시트 편차 보정값
이상과 같이 재단량의 조정 처리가 실행된 후, 도 12의 피니싱 처리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그후, 단계S1409에서 재단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북렛이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분책 방법과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 종류와 시트의 평량을 바탕으로 재단 조정량을 계산하여서 시트 다발마다의 재단량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퍼레이터는, 잡의 분할 위치와 페이지마다의 레이아웃 처리를 의식하지 않고, 시트 다발마다의 재단량 조정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후처리장치의 능력을 초과하는 재단량이 지정되었을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층 더, 재단량이 화상을 인쇄하지 않는 영역인 여백을 초과했을 경우의 처리에 대해서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실시예와 같은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도 14는, 지정된 재단량이 후처리장치의 능력을 초과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4에 있어서 단계S1701은, 도 13a의 단계S1505,S1511, 도 13b의 단계S1605,S16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계산하는 처리에 해당한다. 이 단계들 중 한 단계의 뒤에 이하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S1702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단계S1701에서 계산된 재단량Dn이, 후처리장치(트리머)의 재단 능력의 상한치보다 큰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1702는, 재단 상한 판정부의 일례다. 재단량Dn이 상한치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도 13a의 단계S1507 또는 S1513, 또는 도 13b의 단계S1607 또는 S1613에 되돌아간다. 한편, 재단량Dn이 상한치를 초과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터치패널부(801)는 재단량이 상한치를 초과하는 메시지와 필요한 재단량을 나타내는 경고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표시한다(단계S1703). 단계S1703은, 경고 표시 유닛의 일례다.
한층 더, 터치패널부(801)에는, 잡의 처리를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선택하도록 오퍼레이터에게 재촉하는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 표시되고(단계S1704), 오퍼레이터가 선택하는 것을 기다린다(단계S1705). 오퍼레이터가 잡 캔슬을 선택하는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 처리를 중단해서 잡 캔슬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1706). 한편, 오퍼레이터가 경고를 무시하면서 상기 처리의 계속을 선택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재단 처리를 금지하도록 재단량Dn을 "0"으로 세트한다(단계S1707). 그 후, 원래의 처리, 즉 도 13a의 단계S1507 또는 S1513, 또는, 도 13b의 단계S1607 또는 S1613에 되돌아간다.
도 15는, 계산된 재단량이 화상을 인쇄하지 않는 영역인 여백을 초과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5에 있어서 단계S1801은, 도 13a의 단계S1505, S1511, 도 13b의 단계S1605, S16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제1 시트 다발의 재단량Dn을 계산하는 처리에 해당한다. 이 단계들 중 한 단계의 뒤에 이하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S1802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단계S1801에서 계산된 재단량Dn이, 화상을 인쇄 처리할 때에 계산된 여백보다 큰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단계S1802는, 여백 판정부의 일례다. 재단량Dn이 여백을 초과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도 13a의 단계S1507 또는 S1513, 또는 도 13b의 단계S1607 또는 S1613에 되돌아간다. 한편, 재단량Dn이 여백을 초과하고, 화상이 인쇄된 영역을 재단해버릴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단계S18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803에서, 터치패널부(801)는, 상기 지정된 재단량이 상기 여백을 초과하기 때문에 인쇄 지정된 화상이 잘라져버릴 가능성이 있는 메시지와 필요한 재단량을, 경고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표시한다. 단계S1803은, 경고 표시 유닛의 일례다.
한층 더, 터치패널부(801)에는, 잡의 처리를 계속할 것인가 아닌가를 선택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이 표시되고(단계S1804), 오퍼레이터가 선택하는 것을 기다린다(단계S1805). 오퍼레이터가 잡 캔슬을 선택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 처리를 중단하고, 잡 캔슬 처리를 실행한다(단계S1806).
한편, 오퍼레이터가 경고를 무시하면서 처리의 계속을 선택했을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재단 처리를 금지하도록 재단량Dn을 "0"으로 세트한다(단계S1807). 한층 더, 오퍼레이터가 화상영역을 재단하며 여백을 초과하지 않도록 재단량을 재조정하는 처리를 선택하는 경우, 인쇄제어모듈(360)은, 재단량이 여백을 초과하지 않도록 재단 조정량을 재조정한다(단계S1808). 그 후에, 원래의 처리, 즉 도 13a의 단계S1507 또는 S1513, 또는 도 13b의 단계S1617 또는 S161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정된 재단량이 후처리장치의 능력을 초과하거나 여백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단 처리를 실시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북렛 작성에 관한 실패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오퍼레이터는, 재단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크리프 보정만을 실시한 인쇄물을 얻을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고성능의 재단 처리기를 사용해서 북렛의 재단 처리만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와 후처리장치가 네트워크 혹은 전용선을 거쳐서 니어 라인 피니셔에 접속된 인쇄 시스템을 사용한 처리에 대해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니어 라인 피니셔를 조작하는 작업 지시서의 작성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의 단계S1210에서의 피니싱 처리에서는, 니어 라인 피니셔를 조작하는 작업 지시서의 작성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인쇄제어모듈(360)은, 인쇄 시스템(75) 자체로 작성가능한 작업 지시서의 포맷의 종류와, 오퍼레이터에게 작업 지시서의 포맷의 종류를 선택시키도록 재촉하는 화면을 터치패널부(801)에 표시한다(단계S1901).
다음에, 인쇄제어모듈(360)은, 분할 제본이 지정되었는지, 분책 제본이 지정되었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902). 분할 제본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1903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분책 제본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바인더 번호를 부여하지 않고, 단계S1904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903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시트 다발마다 바인더 번호를 부여한다. 단계S1903은, 바인더 번호부여 유닛의 일례다.
단계S1904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단계S1901에 상기 작업 지시서의 프린트가 지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프린트가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1905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작업 지시서를 전자 파일로서 작성하는 것이 선택된 경우에는, 단계S1907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1905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처리중의 잡의 잡 명칭, 잡ID, 및 시트 다발마다의 재단량을 기재한 일람을 작성한 후, 단계S1906의 처리로 진행되고, 인쇄 처리를 행한다.
단계S1907에서는, 인쇄제어모듈(360)은, 단계S1901에서 선택된 포맷(예를 들면, JDF, PrintTicket등)에서, 잡 명칭, 잡ID, 시트 다발마다의 재단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을 작성한다. 다음에, 단계S1907에서 작성된 작업 지시서는, 단계S1908에서, 미리 지정된 송부처(예를 들면, 니어 라인 피니셔, 니어 라인 피니셔를 조작하도록 설정된 호스트 컴퓨터)에 송부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와 직접 접속되지 않은 니어 라인 피니셔에 대한 작업 지시서를 작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제4 실시예에서는 제어 프로그램은, 화상형성장치(또는 후처리장치)상에서 동작하지만, 프린트 서버(71), 호스트 컴퓨터72 또는 73상에서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장치, 방법, 프로그램, 기억매체등으로서 구체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거나,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진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2년 12월 4일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2-265174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7)

  1. 접어진 제2 시트 다발을 접어진 제1 시트 다발로 덮음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시트들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판정 유닛; 및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한, 인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지정되지 않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하는, 인쇄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시트 다발과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인접시킴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시트들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하는, 인쇄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해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시트 다발로 덮음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상기 시트들에 화상을 레이아웃하는 레이아웃 유닛을 한층 더 구비한, 인쇄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각각 매도록(stitch) 지정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 유닛을 한층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판단 유닛에 의해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각각 매도록 지정되어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상기 판정 유닛에 의한 판정에 관계없이,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에서 재단하는, 인쇄 시스템.
  6.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접어진 제2 시트 다발을 접어진 제1 시트 다발로 덮음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시트들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단계; 및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 제어 방법.
  7. 인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접어진 제2 시트 다발을 접어진 제1 시트 다발로 덮음으로써 제본물이 생성되는 페이지순으로, 상기 제1 시트 다발 및 상기 제2 시트 다발의 시트들에 화상을 인쇄하도록 지정되어 있는지를 판정하는 코드; 및
    지정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1 시트 다발을 제1 위치에서 재단하고, 상기 제2 시트 다발을 상기 제1 위치와는 다른 제2 위치에서 재단하도록 제어하는 코드를 포함한, 기억매체.
KR1020130149668A 2012-12-04 2013-12-04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20140071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65174 2012-12-04
JP2012265174A JP2014108605A (ja) 2012-12-04 2012-12-04 印刷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928A true KR20140071928A (ko) 2014-06-12

Family

ID=5082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668A KR20140071928A (ko) 2012-12-04 2013-12-04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50845B2 (ko)
JP (1) JP2014108605A (ko)
KR (1) KR20140071928A (ko)
CN (1) CN1038535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56351B1 (de) * 2015-02-11 2022-03-16 Müller Martini Holding AG Verfahren für die produktion eines druckauftrages
JP6269979B2 (ja) * 2015-10-13 2018-01-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制御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648531B2 (ja) * 2016-01-14 2020-02-14 富士通株式会社 ファイル操作チェック装置、ファイル操作チェックプログラム、及びファイル操作チェック方法
JP6759922B2 (ja) * 2016-09-20 2020-09-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822367B2 (ja) * 2017-09-28 2021-01-27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03587B2 (ja) * 2017-11-10 2022-01-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7037752B2 (ja) * 2018-02-07 2022-03-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印刷方法 プログラム
JP7054360B2 (ja) * 2018-04-03 2022-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22172689A (ja) * 2021-05-06 2022-11-17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の設定方法
JP2023056212A (ja) * 2021-10-07 2023-04-1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補正方法および補正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1681A (en) * 1988-12-09 1990-01-02 Eastman Kodak Company Hard copy apparatus for producing center fastened sheet sets
JP4655776B2 (ja) 2005-06-23 2011-03-23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冊子作成方法、冊子作成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DK2205514T3 (da) * 2007-10-18 2013-02-04 Ferag Ag Indretning og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trykartikler bestående af flere dele
JP2010036333A (ja) * 2008-07-11 2010-02-18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35968B2 (ja) 2009-01-20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シート処理装置の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7963515B2 (en) * 2009-02-06 2011-06-21 Goss International Americas, Inc. Adjustable delivery web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US8523164B2 (en) * 2009-12-16 2013-09-03 Goss International Americas, Inc. Inserter and a single-copy gripper with deep rea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54030A1 (en) 2014-06-05
US9050845B2 (en) 2015-06-09
JP2014108605A (ja) 2014-06-12
CN103853508A (zh)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1928A (ko) 인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매체
KR101239522B1 (ko) 인쇄 제어 장치,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제어 방법, 정보 처리 장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US806823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supporting embedded finishing manager
JP5171028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
US8564810B2 (en) Job management apparatus, job management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using information of a post-processing apparatus to manage a print job
US8289534B2 (en) Print apparatus, system, and print job processing method
JP481209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20080259392A1 (en) Print-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data processing method
US8493603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for controlling to stop executing print job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thereof
JP2006221609A (ja) 印刷装置、印刷システム、ジョブ処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記憶媒体
EP2207129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ob processing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2011141885A (ja) 印刷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091131A (ja) 印刷システム、制御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US9817349B2 (en) Printing system, method for controlling the print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8256756B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for print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US2014036790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int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5084675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81696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print delays for print jobs
JP201225252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730489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for sheet processing
JP2016084184A (ja) 画像形成装置と画像形成装置に接続される後処理装置で構成された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4154041A (ja) 画像形成システム、制御装置、画像形成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04868A (ja)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6163475A (ja) 画像形成装置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