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421A -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421A
KR20140071421A KR1020147009289A KR20147009289A KR20140071421A KR 20140071421 A KR20140071421 A KR 20140071421A KR 1020147009289 A KR1020147009289 A KR 1020147009289A KR 20147009289 A KR20147009289 A KR 20147009289A KR 20140071421 A KR20140071421 A KR 20140071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resin structure
adhesive
standin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오 유라
히데나리 기무라
히카미츠 오미야
쇼타로 사노
야스노리 하야사카
Original Assignee
닛뽄스틸 앤드 스미킨 메탈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8570A external-priority patent/JP580863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218569A external-priority patent/JP5808636B2/ja
Application filed by 닛뽄스틸 앤드 스미킨 메탈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닛뽄스틸 앤드 스미킨 메탈 프로덕츠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7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E04C2/36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by honeycomb structures

Abstract

수지 구조체(2)와 금속판(3)을 접착제(5)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수지 구조체(2)는 그 수지 구조체(2)의 기부 표면(15)으로부터 세워 올려지는 벽부(7)에 의해 기립 형상체(8)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금속판(3)은 수지 구조체(2)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5)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2)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금속판(3)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측을 접촉시킨 후, 금속판(3)과 수지 구조체(2)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2)가 구비한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가 접착제(5)를 개재시켜 금속판(3)에 압착됨으로써, 금속판(3)의 열에 의해 기부 표면(15)을 용융시키지 않고 벽부 선단부(9)를 용융시켜, 벽부 선단부(9)와 접착제(5)와 금속판(3)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2)와 금속판(3)을 용착시킨다.

Description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Compound structure equipped with resin structure and metal pl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벽재, 바닥재, 지붕재 등의 건축용 부재에 사용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요 재료로 하는 보드로서, 돌기형 캡을 여러 개 가진 합성수지제의 캡 시트와, 캡의 바닥부측에 접착제에 의해 붙여지는 합성수지제의 백시트와, 캡의 꼭대기부측에 붙여지는 합성수지제 라이너 시트를 적층형으로 구성하여 플라스틱 기포 보드를 제조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또 예를 들면 요철면체형으로 성형한 무기질계 판형 코어의 표리 양면에 에폭시계 접착제를 개재시켜 탄산칼슘 발포판을 붙이고 그 외측에 에폭시계 접착제를 개재시켜 강판(면판)을 붙이는 형태의 건축용 패널판의 기술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아울러 상기와 같이 외표면측이 플라스틱제라면 플라스틱의 경도가 높지 않기 때문에 표면에 상처가 나면 백색화될 우려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외측 표면을 금속판으로 함으로써 상기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 2009-12598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 평07-18778호 공보
종래의 경우에는 판형 코어가 접착제에 의해 단순히 접착되기 때문에, 판형 코어와 접착제 및 접착제와 합성수지성 백시트나 라이너 시트 혹은 탄산칼슘 발포판과의 접착으로 되어, 접착 전후에 접착 면적은 증가되지 않으며 접착제의 접합 강도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판형 코어의 접착 면적을 미리 크게 하여 접착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접착 방법에 의해, 합성수지성의 기립 형상체를 구비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할 경우, 서로의 재질이 다르기 때문에 최적의 접착제도 서로 달라 접착제 단독으로 높은 결합력을 얻기는 어려웠다. 또 수지 구조체가 기립 형상체를 구비한 형태이며 면형과는 다른 형태이므로 접착 면적이 작아 충분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어 쉽게 박리되기 때문에 복합판으로서 실용화할 수 없었다. 또 상기와 같은 패널판에 굽힘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면측의 면판(面板)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반대면측의 면판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에도 접착제(층)을 통해 응력을 전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견고한 접합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발명의 일형태에서는,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를 확실하게 용착(溶着)시킨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基部)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립 형상체측을 접촉시킨 후,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부 표면을 용융시키지 않고 벽부 선단부를 용융시켜,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와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용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복수의 기립 형상체가 형성되고,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裏面)을 접촉시킨 후,닿게 한 후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부 이면에서의 벽(壁)기립 이면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용융시키지 않고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용융시키고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와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용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각 기립 형상체는 벽부에서의 벽부 선단부로부터 형성되는 정판(頂板)부를 가지며 기부 표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팽출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제1 발명∼제3 발명 중 어느 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지 구조체의 일면측에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제조한 후, 그 일면측에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서의 수지 구조체의 금속판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반대측을 별개의 금속판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에서의 각 벽부 선단부를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지 구조체에서의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수지 구조체와 그 표리(表裏) 양측에 배치되는 각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각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표면측의 제1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립 형상체측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가열된 이면측의 제2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을 접촉시킨 후,, 수지 구조체를 상기 각 금속판 사이에 끼우고 상기 각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동시에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상기 제1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제1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부 표면을 용융시키지 않고 벽부 선단부를 용융시켜,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와 제1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제1 금속판을 용착시킴과 아울러,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부 이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상기 제2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제2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용융시키지 않고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용융시키고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와 제2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제2 금속판을 용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 형상체를 구성하는 벽부의 선단부에는 벽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부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 선단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벽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발명은, 제6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서, 상기 기립 형상체가 세워 올려진 기부에는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기립 이면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서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 형상체가 세워 올려진 기부에는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기립 이면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와만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종래의 경우에는, 판형 코어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단순히 접착되기 때문에 접착시에 단시간 가압 롤러 등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가압 롤러로부터 개방된 상태에서는 판형 코어에서의 요철부의 중공부 공간은 가압으로부터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1기압의 대기압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패널판에 굽힘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일면측의 면판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반대면측의 면판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되어 압축력이 작용하는 주로 압축 가장자리측의 면판 좌굴 또는 국부 좌굴을 고려하여 판두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서 금속판의 판두께를 바꾸지 않고 그 강성을 향상시킨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9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금속판 사이에 수지 구조체를 끼워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에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통형의 기립 형상체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부에서의 용융되는 벽부 선단부와 제1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수지 구조체에서 용융되는 기부 이면과 제2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상기 각 기립 형상체가 제1 및 제2 금속판 사이에 끼워져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를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형의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벽부에서의 벽부 선단부에서 형성되는 정판부를 가지며 상기 기부 표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팽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가지며, 수지 구조체의 용융되는 기부 이면과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상기 각 돌기가 상기 금속판에 의해 막혀 돌기의 중공부에 의해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 발명은, 제9 발명 또는 제10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지 구조체가 용착된 금속판의 비용착면측은 상기 밀폐 공간내에서의 공기압의 팽창력에 의해 외방으로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팽출부는 상기 기립 형상체의 밀폐 공간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 발명은, 제9 발명∼제11 발명 중 어느 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벽부에서의 용융되는 벽부 선단부는 가열 및 가압되어 눌려 찌부러져서 확폭(擴幅)벽부가 형성되어 용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대된 상태에서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 발명은, 제12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서, 상기 확폭벽부는 용착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벽부의 벽두께 치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발명에 의하면,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립 형상체측을 접촉시킨 후,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부 표면을 용융시키지 않고 벽부 선단부를 용융시켜,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와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용착시키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에서의 벽부 선단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를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발명에 의하면,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복수의 기립 형상체가 형성되고,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을 접촉시킨 후,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부 이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용융시키지 않고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용융시켜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와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용착시키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를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각 기립 형상체는 벽부에서의 벽부 선단부에서 형성되는 정판부를 가지며 기부 표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팽출되는 돌기이므로, 수지 구조체에서 돌기측의 벽부 선단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를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수지 구조체에서의 기부 이면측의 벽기립 이면부를 금속판에 용착시킨 형태에서는 돌기내의 공기에 의해 팽창압을 부여한 상태의 밀폐 공간이 형성된 복합 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또 그러한 돌기안이 금속판에 의해 밀폐되는 형태에서는 밀폐 공간 부분의 금속판 부분에는 내압에 의한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의 면외(面外) 방향의 굽힘강성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면외 방향의 굽힘에 대해 강성을 높인 복합 구조체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금속판이 시트형 박판인 경우에는 밀폐 공간 부분의 금속판을 공기의 팽창압에 의해 면외 방향 외측으로 볼록한 팽출부를 복수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팽출부에 의해 미관을 높인 의장 효과가 있는 복합 구조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제1 발명 또는 제2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 중 어느 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지 구조체의 일면측에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제조한 후, 그 일면측에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서의 수지 구조체의 금속판이 마련되지 않은 반대측을 별개의 금속판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에서의 각 벽부 선단부를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지 구조체에서의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키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의 표리 양측에 금속판을 가지며 견고하게 수지 구조체를 금속판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에 의해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형태의 복합 구조체에서는, 밀폐 공간 부분의 금속판 부분에는 내압에 의한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의 면외 방향의 굽힘강성을 높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면외 방향의 굽힘에 대해 강성을 높인 복합 구조체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수지 구조체와 그 표리 양측에 배치되는 각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각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표면측의 제1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립 형상체측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가열된 이면측의 제2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을 접촉시킨 후, 수지 구조체를 상기 각 금속판 사이에 끼우고 상기 각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동시에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상기 제1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제1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부 표면을 용융시키지 않고 벽부 선단부를 용융시켜,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와 제1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제1 금속판을 용착시킴과 아울러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부 이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상기 제2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제2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용융시키지 않고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용융시켜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와 제2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제2 금속판을 용착시키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의 기립 형상체에서의 벽부 선단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를 제1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키고, 또한, 수지 구조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를 제2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 형상체를 구성하는 벽부의 선단부에는 벽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부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 선단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벽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에서의 벽부 선단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를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7 발명에서는, 제6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기립 형상체가 세워 올려진 기부에는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기립 이면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의 기립 형상체에서의 벽부 선단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1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키고, 또한, 수지 구조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제2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8 발명에 의하면,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 형상체가 세워 올려진 기부에는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기립 이면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와만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용착되는 부분은 용융되어 벽확폭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를 금속판에 확실하게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9 발명에 의하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금속판에 수지 구조체를 끼워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에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통형의 기립 형상체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부에서 용융되는 벽부 선단부와 제1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수지 구조체에서 용융되는 기부 이면과 제2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상기 각 기립 형상체가 제1 및 제2 금속판 사이에 끼워져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복합 구조체에 굽힘력이 작용한 경우의 압축 가장자리측의 면판에는 공기압에 의한 초기 인장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압축력에 초기 인장력이 없어질 때까지 변형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 각 금속판의 판두께를 바꾸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복합 구조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한 수지 구조체를 각 금속판에 용착시킴으로써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로 가압되어 있는 밀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밀폐 공간을 구비한 굽힘강성이 높은 단열 패널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0 발명에 의하면,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를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형의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벽부에서의 벽부 선단부로부터 형성되는 정판부를 가지며 상기 기부 표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팽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가지며, 수지 구조체의 용융되는 기부 이면과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상기 각 돌기가 상기 금속판에 의해 막혀 돌기의 중공부에 의해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측을 금속판에 용착시킴으로써 돌기의 중공부를 밀폐 공간으로 할 수 있고, 또 그 밀폐 공간의 공기압을 1기압을 초과한 상태로 가압하여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1 발명에서는, 제9 발명 또는 제10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지 구조체가 용착된 금속판의 비용착면측은 상기 밀폐 공간내에서의 공기압의 팽창력에 의해 외방으로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팽출부는 상기 기립 형상체의 밀폐 공간마다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립 형상체의 밀폐 공간마다 형성되어 있는 팽출부에 의해, 그 부분의 금속판에 인장력을 상시 작용시키고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팽출부가 없는 경우에 비해, 상기 팽출부가 있음으로써 복합 구조체의 판두께 방향의 중립축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는 만큼, 및 밀폐 공간내의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이므로, 내압에 의해 초기 인장력을 상기 팽출부 부분 전체에 작용시킬 수 있어 그만큼 팽출부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팽출부 부분의 국부 좌굴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2 발명에 의하면, 벽부에서 용융되는 벽부 선단부는 가열 및 가압되어 찌부러져서 확폭벽부가 형성되어 용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대된 상태에서 용착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의 금속판에 대한 용착을 견고한 용착으로 할 수 있고 또 수지 구조체에서의 용착 부분 면적이 증대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측의 접합부를 견고한 접합으로 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3 발명에 의하면, 확폭벽부는 용착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벽부의 벽두께 치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로부터 금속판으로의 응력 전달 혹은 금속판으로부터 수지 구조체로의 응력 전달을 부드럽게 전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의 용착부에서는 기립 형상체의 벽면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벽면의 금속판의 스팬도 작아져 그 부분의 금속판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지 구조체에서의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측을 금속판에 용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도 1의 (b)는 (a)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 수지 구조체의 벽부 선단부측을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4의 (a) 및 (b)는, 수지 구조체의 벽부 선단부측을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는 경우에 금속제 롤러에 의해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지 구조체에서의 기부 이면측을 금속판에 용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C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측을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D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E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 수지 구조체를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F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G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12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공정의 일형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 수지 구조체를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H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 수지 구조체를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I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J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 수지 구조체를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K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L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18의 (a)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수지 구조체의 일형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 사시도, (b)는 (a)의 종단 정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수지 구조체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 사시도, (b)는 (a)의 종단 정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20의 (a)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수지 구조체의 또 다른 형태를 도시한 일부 종단 사시도, (b)는 (a)의 종단 정면도, (c)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기립 형상체내의 밀폐 공간의 공기압이 높아짐으로써 금속판이 팽출되어 있는 경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2의 (a)는,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또 다른 수지 구조체를 제작하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고, 수지 구조체에서의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에 정판부가 있는 경우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을 후판의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M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23의 (a)는, 도 22의 상태로부터 수지 구조체가 가열된 금속판에 가압되어 용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N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24의 (a)는, 수지 구조체에서의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에 정판부가 있는 경우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을 시트형의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O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25의 (a)는, 도 24의 상태로부터 수지 구조체가 가열된 시트형의 금속판에 가압되어 용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P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도 26의 (a) 및 (b)는, 수지 구조체의 벽부 선단부측을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는 경우에 금속제 롤러에 의해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 및 그 제조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a)는 수지 구조체(2)에서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을 금속판(3)에 용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사시도, 도 3의 (a)는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해 수지 구조체의 벽부 선단부측을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도 3의 (b)는 (a)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 도 4의 (a) 및 (b)는 수지 구조체의 벽부 선단부측을 가열된 금속판에 용착시켜 붙이는 경우에 금속제 롤러에 의해 가압하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복합 구조체(1)는 전체적으로 판형이며, 여기에 사용하는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7)에 의한 기립 형상체(8)를 복수 가진 수지 구조체(2)(상세한 것은 후술하기로 한다.)의 표리 중 어느 일방(一方)의 일면 또는 표리 양측을 금속판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도 1∼도 4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의 복합 구조체(1)에서는, 그 판두께 방향의 일면측에 수지 구조체(2)가 배치됨과 아울러 타면측에 제1 금속판(3)이 배치되어 수지 구조체(2)에서의 기부 표면(15)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7)로 이루어진 통형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이 가열된 제1 금속판(3)에 접착제(5)를 개재시켜 가압되어 가열 용융되어 용착되어 있다.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하는 형태는 연속적으로 제조해도 좋고 단속적으로 제조해도 좋고, 예를 들면 수지 구조체(2)와 그 일면을 1매의 금속판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4의 (a) 및 도 12의 (b)에 도시한 제조형태에 의해 제조하거나,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면을 금속판에 용착시킨 수지 구조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한 형태에 의해 제조하도록 하면 된다. 도 12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도 12의 (b)의 경우에는 제1 코일(20)로부터 풀려나오는 띠형의 제1 금속판(3)의 일면에 접착제 도포 롤러 혹은 접착제 분사 장치 등의 접착제 도포 수단(21)에 의해 접착제(5)를 도포하여 접착제가 묻은 띠형의 제1 금속판(3)으로 하고, 이것을, 수지 구조체를 감은 릴(22)에서 풀려나오는 띠형의 수지 구조체(2)에 따르게 하여 가열로(23) 등에 의해 띠형의 수지 구조체(2)의 융점에 가까운 온도로 금속판을 가열한다. 또 상하의 금속제 롤러(17)에 의해 금속판을 가압함으로써 금속판에 접한 띠형의 수지 구조체(2)의 접착면측을 용융시키고,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상하의 금속제 롤러(17)에 의해 가압함으로써 밀착시켜 띠형의 제1 금속판(3)에 띠형의 수지 구조체(2)를 용착시킨다.
상기의 경우, 띠형의 수지 구조체(2)에 접촉하는 측의 금속제 롤러(17)는 특별히 가열 등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더 부가하는 다른 금속판(3)의 가열 수단으로서 금속판에 접촉하는 금속제 롤러(17)를 수지 구조체(2)의 융점보다 +5℃∼+15℃로 가열함으로써, 가열된 금속판에 접하는 띠형의 수지 구조체(2)에서의 용착되는 면측을 용융시키고 가압하여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착시켜 연속된 띠형의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해도 좋다. 상기 수단에 의해 금속판(3)을 접착제(5)를 개재시켜 수지 구조체(2)에 용착시킨 후 주행 절단기 등의 절단장치에 의해 소정 길이로 절단됨과 아울러 공냉(空冷) 또는 수냉(水冷) 등의 수단에 의해 냉각시킴으로써 소정 길이의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하도록 한다.
아울러 연속된 띠형의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측을 띠형의 금속판에 용착시키는 경우에는 띠형의 수지 구조체의 하측으로부터 금속판을, 적절히 가이드 롤러(24)를 마련하여 따르게 하고, 금속판을 가열로(23)에 의해 가열함과 아울러 금속제 롤러(17)에 의해, 수지 구조체(2)를 향해 가압함으로써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측을 용융시켜 용착시키도록 하면 된다.
또 가열된 제1 금속판(3)에 가압된 상태로 접함으로써 수지 구조체(2)에서의 각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를 용융시키고 접착제를 개재시켜 제1 금속판(3)에 용착시키고, 또한, 가열된 제2 금속판(4)에 가압된 상태에서 접함으로써 수지 구조체(2)에서의 기부 이면(10)을 용융시켜 접착제를 개재시켜 제2 금속판(4)에 용착시킨 형태의 복합 구조체(1)로 하는 경우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다. 도 12의 (a) 및 그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 26의 (a)의 경우에는, 도 12의 (b)의 형태에 또한 제2 코일(25)에서 풀려나오는 띠형의 제2 금속판(4)의 일면에 접착제 도포 수단(21)에 의해 접착제(5)를 도포하여 접착제가 묻은 띠형의 제2 금속판(4)으로 하고, 이것을 수지 구조체를 감은 릴(22)에서 풀려나오는 띠형의 수지 구조체(2)에 따르게 하여 가열로(23) 등에 의해 제2 금속판(4)을 띠형의 수지 구조체(2)의 융점에 가까운 온도에 가열한 형태이다. 또 가열된 금속판에 의해 띠형의 수지 구조체(2)의 접착면측을 용융시키고, 상하의 각 금속제 롤러(17)에 의해 가압(또는 가열·가압)하여 띠형의 제1 금속판(3)에 띠형의 수지 구조체(2)를 용착시킨다. 상기의 경우, 기립 형상체(8)측 용착보다 기부 이면(10)측 용착의 열량이 충분히 필요하기 때문에, 띠형의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측의 제1 금속판(3)에 접촉하는 측의 금속제 롤러(17)를 수지 구조체(2)의 융점보다 0℃∼-5℃정도 낮게, 띠형의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10)측의 제2 금속판(4)에 접촉하는 금속제 롤러(17)를 수지 구조체(2)의 융점보다 +5℃∼+15℃ 높게 하도록 하면 좋다.
가열된 금속판에 압착함으로써 수지 구조체(2)의 접착제 도포면측을 용융시켜 금속판에 접촉시키고 가압하여 용착시키는 경우에, 수지 구조체의 접착면측을 용융시키는 형태로서는 다음의 (1)∼(3) 중 어느 형태를 채용해도 좋다.
(1) 제1 금속판(3) 또는 제2 금속판(4)에 접촉하는 금속제 롤러를 가열함으로써 가열된 금속판에 의해 수지 구조체(2)의 접착면측을 용융시키는 형태.
(2) 가열로(23)를 열풍을 내뿜어 금속판을 가열하는 열풍 가열로로 하고, 수지 구조체를 금속판과 함께 가열로 내에 통과시킴으로써 금속판을 가열하고, 가열된 금속판에 압착함으로써 접착제 도포면측을 용융시키고, 금속제 롤러는 가압 롤러로서 이용하는 형태여도 좋다.
(3) 가열로(23)를 고주파 유도 가열에 의해 금속판을 가열하는 가열로로 하고, 고주파 유도 가열 장치내에 수지 구조체를 금속판과 함께 통과시킴으로써 금속판을 가열하고, 가열된 금속판에 압착함으로써 접착제 도포면측을 용융시키고, 금속제 롤러는 가열 및 가압 롤러로서 이용하는 형태여도 좋다.
연속된 제1 금속판(3) 및 제2 금속판(4) 및 수지 구조체(2) 대신에 제1 금속판(3) 및 제2 금속판(4) 및 수지 구조체(2)를 길쭉한 직사각형 등 소정의 최종 제품 치수 형태로 한 것을, 가열된 금속판(제1 금속판(3) 및 제2 금속판(4))에 압착함으로써 수지 구조체(2)의 접착면측을 용융시켜 금속판과 함께 외측으로부터 가압하여 붙이도록 해도 좋다. 또 금속판을 가압하는 수단으로서는 금속제 롤러 이외의 것을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면 고온의 판형 부재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가압하는 핫프레스, 고압 증기로 가압을 행하는 오토클레이브 또는 가압 챔버 등을 이용해도 좋다.
이하, 수지 구조체(2)의 일면을 접착제(5)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킨 형태의 수지 구조체로 하는 경우, 혹은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면을 접착제(5)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키는 형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및 도 3의 (a)에 도시한 수지 구조체(2)와 제1 금속판(3)을 용착시키고 있는 일형태를 도 4의 (a) 및 도 12의 (b)에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처럼, 내측이 되는 상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있는 접착제(5)가 도포된 제1 금속판(3)이, 가열로(23)내를 통과함으로써, 또는 이에 부가하여 가열된 상측 금속제 롤러(17)에 접촉함으로써 가열되어, 적어도 수지 구조체(2)의 융점으로 가열된 상태의 금속판(3)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금속판(3)의 가열 수단으로서는, 접착제(5)가 도포된 도포면을 하면으로 하여 제1 금속판(3)의 상면을 수지 구조체(2)의 융점보다 높게 가열되어 있는 상측의 상기 금속제 롤러(17)에 의해 가압(또는 직사각형상의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2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가열기에서의 가열 접촉판(16)상에 소정 시간 놓아둠)함으로써 제1 금속판(3)을 적어도 수지 구조체(2)의 융점으로 가열할 수 있다. 제1 금속판(3) 등의 금속판의 가열 온도는, 수지 구조체(2)의 재질이 그 전체에 걸쳐 균질하지 않기 때문에, 국부적으로는 상정되어 있는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이 일어나기 때문에 대체로 수지 구조체(2)의 융점(℃)±10℃의 범위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수지 구조체(2)를 형성하고 있는 수지가 올레핀계 수지이고 그 융점이 170℃인 경우, 160℃∼180℃의 범위, 예를 들면 170℃전후의 범위로 설정된다. 상기 금속제 롤러(17)(또는 가열 접촉판(16))의 온도(℃)는 제조방법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예를 들면 상기 온도 170℃보다 약간 높게 설정된다.
그리고 가열된 제1 금속판(3)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측을 접촉시킨 후, 가압용 금속제 롤러(17)로 적절히 가압력을 가하여 상기 금속제 롤러(17)를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도 26의 (b)의 가열 접촉판(16)을 이용하는 형태에서는 구름운동)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2)의 외측으로부터 가압하고, 금속제 롤러(17) 사이(또는 가열 접촉판(16)상)의 제1 금속판(3)과 수지 구조체(2)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된다. 이 때 수지 구조체(2)에서의 통형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제1 금속판(3)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제1 금속판(3)의 열에 의해 벽부 선단부(9)가 융점 이상으로 가열되어 용융되고, 또 가압됨으로써 벽부 선단부(9)가 찌부러져 확폭벽부(7a)를 형성하여 용착 면적을 증대시킨 상태에서, 벽부 선단부(9)와 접착제(5)와 제1 금속판(3)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2)를 제1 금속판(3)에 용착시키도록 한다. 상기의 경우에 수지 구조체(2)에서의 기부(12)의 기립 형상체(8)측 기부 표면(15)은 제1 금속판(3)의 열에 의해 용융되지 않게 된다.
상기의 경우에 수지 구조체(2)를 금속판(3)(4)에 접촉시킨 후의 금속제 롤러(17)에 의한 가압 시간 및 접착제(5)의 두께는 설계에 의해 설정된다. 금속판(3)(4)의 판두께 및 접착제에 의해도 좋지만 상기 접착제(5)의 두께 치수로서는, 예를 들면 3∼20㎛의 범위, 가압 시간으로서는 0.05초∼1초 정도로 설정된다. 용착 후 복합 구조체(1)는 냉각부(26)(도 12 참조)에 의해 예를 들면 1초 이내에 수지 구조체(2)의 융점 이하가 되도록 냉각된다. 냉각부(26)로서는, 예를 들면 복합 구조체(1)를 송풍에 의해 냉각하는 블로워나 미스트 쿨러 등을 들 수 있다.
도 5∼도 7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의 복합 구조체(1)에서는,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10)측을 제2 금속판(4)에 용착시킨 형태로 되어 있다. 도 4에서의 수지 구조체(2)만을 상하 반전하여 용착시킨 형태이다. 이 형태에서는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10)에 접착제(5)를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마련함과 아울러 가열된 제1 금속판(4)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10)을 접촉시킨다. 그 후 제2 금속판(4)과 수지 구조체(2)가 외측으로부터, 예를 들면 40kg/m로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2)가 구비한 기부 이면(10)에서의 벽기립 이면부(18)가 접착제(5)를 개재시켜 제2 금속판(4)에 압착됨으로써, 제2 금속판(4)의 열에 의해 기부 이면(10)의 벽기립 이면부(18)를 특히 용융시키고 벽기립 이면부(18)와 접착제(5)와 제2 금속판(4)를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2)와 제2 금속판(4)을 용착시킨다. 이 경우, 수지 구조체(2)에서의 기립 형상체(8)는 제2 금속판(4)에 접촉하지 않고 또한 용융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벽기립 이면부(18)는 기부 이면(10)측으로서, 기립 형상체(8)에서의 기단측의 기부 이면측 부분이며,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10)측을 제2 금속판(4)의 열을 이용하여 용융시킴과 아울러 가압하여 용착시키는 경우에, 기립 형상체(8)를 기부 이면측으로 연장한 부분이 가압 및 열에 의해 특히 용융됨으로써 기립 형상체(8)에서의 기단측의 기부 이면측 근처 부분에 금속판측을 향해 폭치수가 점차 커지는 확폭벽부(7a)가 형성되어, 가압되어 용착되는 면적이 증대된다. 따라서 기립 형상체(8)를 가진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10)측을 확실하게 용착시켜, 접합 강도를 용융시키지 않는 경우에 비해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확폭벽부(7a) 이외의 기부 이면(10)이 용착되어 있어도 좋지만, 기립 형상체(8)를 통해 가압력이 기부 이면에 전달되기 때문에 벽기립 이면부(18)가 용착됨으로써 견고한 접착력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지 구조체(2)의 일면측이 가열된 금속판(3(4))에 접착제(5)를 개재시켜 용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형태의 복합 구조체(1)가 된다. 본 발명의 복합 구조체(1)는 기립 형상체(8)를 구비한 1매의 수지 구조체(2)와 그 일면측 또는 양면측을 용착시켜 접착제(5)를 개재시켜 마련되는 1매 또는 2매의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측을 각각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에 용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한 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수지 구조체(2)의 표리에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는, 상기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되어 가열된 금속판(3),(4)에 의해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측을 끼워잡도록 하고 동시에 가열 가압함으로써 용착시켜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하도록 해도 좋고, 이와 같이 하면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어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도 1∼도 4 또는 도 5∼도 7에 도시한 상기와 같은 수지 구조체(2)와 금속판(3(4))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 중 어느 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지 구조체(2)의 일면측에 금속판(3(4))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한 후, 그 일면측에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에서의 금속판(3(4))이 마련되지 않은 반대측을, 별개의 금속판(4)(3)에 접착제(5)를 개재시켜 용착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2)에서의 각 벽부 선단부(9)를 접착제(5)를 개재시켜 금속판(3)에 용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지 구조체(2)에서의 기부 이면(10)의 벽기립 이면부(18)를 접착제(5)를 개재시켜 금속판(4)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지 구조체(2)의 일면측에 금속판(3(4))을 구비한 연속된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한 후, 접착제(5)를 도포한 별개의 연속된 금속판(4)(3)를 가열하여 양자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여 용착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2)의 양측을 금속판에 의해 피복하도록 용착시킨 연속된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할 수 있다.
혹은 수지 구조체(2)의 일면측에 금속판(3(4))을 구비한 직사각형상의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한 후, 그 복합 구조체(1)를 반전시키고, 접촉 가열기에서의 가열 접촉판(16)상에, 상면에 접착제(5)를 도포한 별개의 직사각형상의 금속판(4)(3)을 놓아두고, 상기 복합 구조체(1)에서의 수지 구조체(2)를 상기 별개의 금속판(4)(3)에 용착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2)의 양측을 금속판에 의해 피복하도록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각 부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금속판(3),(4)으로서는 강판, 알루미늄 합금판, 스테인리스판, 아연 합금판, 동판 혹은 그 외의 금속판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고, 혹은 표면을 도금 처리한 금속판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금속판(3),(4)으로서는 연속된 또는 직사각형상의 판형 또는 시트형 금속판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금속판(3),(4)의 판두께 치수는 건축 부분에서의 바닥재 혹은 지붕재 등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한 설계에 의해 판두께 등은 설정된다.
상기 금속판(3),(4)은 접착제를 도포할 때까지 적절히 밑바탕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접착제를 이용하도록 하면 좋으며, 열에 의해 활성화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폭시계 접착제, 폴리에스텔계 접착제, 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이용하도록 하면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복합 구조체(1)에 이용되는 수지 구조체(2)의 각종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 상기 수지 구조체(2)는 연속된 형태 혹은 직사각형상의 형태여도 좋고,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 그 외의 합성 수지를 사용한다. 수지 구조체(2)의 두께 치수는 건축 부분에서의 바닥재 혹은 지붕재 등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적절한 설계에 의해 판두께 등은 설정된다.
수지 구조체(2)는, 예를 들면 도 18의 (a)(b)(c)∼도 19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판형 기부(12)를 구비하고 그 기부(12)의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7)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벽부(7)가 통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벽부(7)에 의해 통형의 기립 형상체(8)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거나, 또는 도 20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속하도록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8의 (a)(b)(c)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판형 기부(12)의 표면으로부터부터 원통형으로 세워 올려지도록 단면 원형 등의 둘레측벽을 일체로 형성한 벽부(7)에 의한 통형의 기립 형상체(8)가 판형 기부(12)의 전후 방향(부재 길이방향) 및 좌우 방향(부재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지그재그형 배치로 형성되고 또, 상기 기립 형상체(8)와 동심형으로 기부(12)의 평판부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기부를 관통하는 통형의 기립 형상체(8)로 되어 있다. 상기 기립 형상체(8)의 배치 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기립 형상체(8)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에 동일 각도 간격(도시된 형태에서는 60°의 동일 각도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기부(12)보다 벽부(7)의 판두께 치수는 작게 되어 벽부 선단부(9)를 향해 벽두께 치수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9의 (a)(b)(c)에 도시한 수지 구조체(2)에서는, 상기 도 18의 (a)(b)(c)에 도시한 형태와 다른 부분은, 벽부(7)의 벽부 선단부(9)에 접속되는 정판부(13)를 구비하고, 벽부(7)에서의 벽부 선단부가 정판부(13)에 의해 폐색되어 정판부(13)를 포함한 기립 형상체(8)가 전체적으로 캡형 돌기(14)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도 19의 (a)(b)(c)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상기 벽부(7)에서의 벽부 선단부(9)로부터 일체로 형성되는 정판부(13)를 가지며, 기립 형상체(8)에서의 둘레측벽의 전둘레의 벽부 선단부(9)로부터 정판부(1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부 표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팽출되는 복수의 캡형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정판부(13)의 판두께 치수는 상기 벽부(7)의 판두께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20의 (a)(b)(c)에 도시한 수지 구조체(2)에서는, 벽부(7)는 기부(12)로부터 세워 올려지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속된 전후 방향의 벽부(7)와, 부재 폭방향의 좌우 방향의 벽부(7)가 간격을 두고 형성됨과 아울러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접한 기립 형상체(8)와의 사이에 둘레측벽을 공통되게 연속시키는 기립 형상체(8)를 형성한 형태의 수지 구조체(2)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지 구조체(2)에서의 기립 형상체(8)가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면을 관통하는 통형의 기립 형상체(8)인 경우에는,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면을 각각 금속판(3),(4)에 용착시킴으로써, 각 기립 형상체(8)와 표리의 금속판(3),(4)에 의해 공동으로 가압된 밀폐 공간(6)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후기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통형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이 정판부(13)로 폐색되어 있으며, 또한 가압하여 기부 이면(10)측의 벽기립 이면부(18)를 용융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키는 형태에서는 통형의 기립 형상체(8)의 내측에서 가압된 밀폐 공간(6)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측을 금속판(3),(4)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도 10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의 (a)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의 종단 정면도, (b)는 (a)의 E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 도 9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의 사시도, 도 10의 (a)는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를 용착시켜 금속판에 붙이기 직전의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 정면도, (b)는 (a)의 F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종단 정면도이다.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복합 구조체(1)에서는, 그 판두께 방향의 중심부에 기부(12)의 기부 표면(15)으로부터 세워 올려지는 벽부(7)에 의한 복수의 기립 형상체(8)를 구비한 수지 구조체(2)가 배치됨과 아울러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면은, 가열된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에 마련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5) 부분에서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에 용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 구조체(2)의 구조에 의해 수지 구조체(2)를 적어도 1매의 금속판에 접착제(5)를 개재시켜 용착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2)와 금속판이 공동으로,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로 가압된 밀폐 공간(6)을 형성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구조체(2)의 기부 표면(15)(도 10 참조)으로부터 기립하도록 세워 올려진 벽부(7)에 의한 통형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와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10)이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 사이에 끼워져 용착됨으로써, 통형의 기립 형상체(8)의 내측을 밀폐 공간(6)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은, 통상 대기압하에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하는 경우에는 1기압의 대기압보다 높게 함으로써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에 의한 내압을 높이고, 이로써 밀폐 공간(6)을 둘러싸는 벽부(7)로 이루어진 기립 형상체(8) 및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에 미리 초기의 인장 응력을 도입하고 있다. 이로써 면외 방향의 굽힘력이 작용한 경우에 초기의 인장 응력이 없어질 때까지 변형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강성을 높여 좌굴 또는 국부 좌굴이 최대한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사용되는 장소의 기압보다 상기 밀폐 공간(6)내의 공기에 의한 공기압에 의한 내압을 높이도록 설정되어 있다.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으로서는, 예를 들면 1기압(101325Pa=760mmHg(Torr))<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1.1기압∼2.0기압으로 설정된다. 아울러 밀폐 공간(6)내의 공기에 의한 공기압은 가압되어 용착되는 것과, 블로워나 미스트 쿨러 등의 냉각부(26)로 예를 들면 1초 이내에 수지의 융점(℃)-15℃로 냉각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2) 및 금속판(3)(4)의 수축(수지 구조체(2)가 금속판보다 열팽창율이 큰) 차이도 있고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가 약간 작아지는 것도 있어, 밀폐 공간(6)내의 압력을 높인 상태에서 확실하게 용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은 가압력 및 가압시의 수지 구조체(2) 용융에 따른 높이 변화에 의해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수지 구조체(2)를 금속판에 용착시킬 때, 예를 들면 가열된 금속판의 열에 의해, 수지 구조체(2)에서의 가압 용착시켜 접합해야 할 부분을 용융시킴과 아울러 수지 구조체(2) 또는 수지 구조체(2)에서의 기립 형상체(8) 축방향의 높이 치수(벽부(7)의 높이 치수)가 가열 가압전 상태보다 약간 작아지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2) 또는 그 벽부(7)의 높이 치수가 작아지는 만큼 미리 기립 형상체(8)의 축방향 높이 치수를 크게 한 수지 구조체(2)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밀폐 공간(6)내의 공기에 의한 공기압을 높이고 그 상태에서 용착을 완료시킴으로써, 밀폐 공간(6)을 둘러싸는 기립 형상체(8) 및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에 미리 초기의 인장 응력을 도입할 수 있다. 또 밀폐 공간(6)내의 공기에 의한 공기압을, 금속판(3),(4)과 수지 구조체(2)를 용착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높여 이들로 이루어진 복합 구조체(1)를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금속판이 박판인 경우에는 밀폐 공간(6)내의 공기 팽창력에 의해 금속판을 면외 방향으로 팽출시킨 팽출부(11)(도 11, 12 참조)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팽출부(11)에 면외 방향의 굽힘력이 작용한 경우에 국부 좌굴 혹은 좌굴되기 어렵게 강성을 높인 복합 구조체(1)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밀폐 공간내의 공기압이 1기압보다 증가함으로써 수지 구조체(2)의 이면 또는 표리에 붙인 금속판의 공진 주파수가 높아져, 주파수가 낮은 영역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잘 공진되지 않게 되어 강성칙(剛性則, Stiffness Law)에 의해 복합 구조체 전체의 차음 성능이 향상된다.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하는 형태는 연속적으로 제조해도 좋고 단속적으로 제조해도 좋은데, 예를 들면 연속하여 제조하는 경우에는, 수지 구조체(2)의 양면을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한 제조형태에 의해 제조하고, 수지 구조체(2)의 일면을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 12의 (b)에 도시한 형태에 의해 제조하도록 하면 된다. 또 단속적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는 도시를 생략하지만, 직사각형상의 소정 길이의 수지 구조체(2)의 일면 또는 양면을, 접착제를 개재시켜 직사각형상의 소정 길이의 금속판에 용착시킴으로써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립 형상체(8)에서의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에 의해 또 금속판의 판두께에 의해 금속판(3),(4)가 팽출되지 않는 경우와 단면 원호형 등으로 팽출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팽출하여 변형되지 않도록 소정의 후판(厚板)이 되는 경우에는,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에 의해 밀폐 공간(6) 부분의 금속판(3),(4) 부분에 인장력이 작용한 상태가 되고, 또 시트형 박판의 금속판이 되는 경우에는 공기압에 의해 단면 원호형으로 팽출된 팽출부(11)(도 11, 12 참조)을 형성하고, 또한 공기압에 의해 단면 원호형으로 팽출된 부분에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박판의 금속판(3),(4)이 팽출부(1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굽힘력을 받은 경우에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출부(11) 부분은 중립축 X로부터의 거리(r')가 팽출부(11)가 없는 경우의 거리(r)에 비해 거리의 3제곱에 비례하여 강성이 높아져 유리함과 아울러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에 의한 팽창력이 한층 더 작용하고, 팽출부(11) 부분은 초기 인장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굽힘력에 의한 압축력이 작용해도 상기 초기 인장력이 압축력에 의해 없어질 때까지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점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도 8∼도 10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형태의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 또는 기부 이면(10)측(특히, 가압되는 부분)을,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 또는 기부 이면(10)측의 양측을 동시에 접착제(5)가 도포되어 가열된 제1 금속판(3) 또는 제2 금속판(4)에 의해 가압하도록 끼워 용착시킨 형태이다. 또는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 또는 기부 이면(10)측(특히, 가압되는 부분)을, 한쪽씩 가열용 접촉 가열기에서의 가열 접촉판(16)상에 놓이고 접착제(5)가 도포되어 가열된 제1 금속판(3) 또는 제2 금속판(4)상에 접촉시켜닿게 하여 배치함과 아울러 수지 구조체(2) 위로부터 압압하기 위한 가압의 금속제 롤러에 의해, 가열 접촉판(16)과 가압용 금속제 롤러에 의해 끼워 가압함으로써 용융시키고 접착제(5)를 개재시켜 용착시킨 형태이다.
도 8∼도 10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도 18에 도시한 형태의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 및 기부 이면(10)측(특히, 가압되는 부분)을, 접착제(5)가 도포되어 가열로(23)에 의해 가열된 제1 금속판(3) 또는 제2 금속판(4)에 끼우도록 배치함과 아울러,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 외측으로부터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금속제 롤러(17) 사이에 끼워 가압(또는 가열과 가압)함으로써 금속판(3),(4)의 열에 의해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 및 기부 이면(10)측을 용융시키고 접착제(5)를 개재시켜 용착시킨 형태이다.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 또는 기부 이면(10)측의 양측을 동시에 금속판에 용착시키는 것 외에도, 수지 구조체(2)의 기립 형상체(8)의 벽부 선단부(9)측 또는 기부 이면(10)측의 한쪽씩, 접착제(5)가 도포되어 가열된 제1 금속판(3) 또는 제2 금속판(4)마다 가압하도록 용착시켜도 좋다. 수지 구조체(2)를 한쪽씩 용착시키는 경우에는, 금속판이 배치되지 않아 용착되지 않는 수지 구조체(2)의 면은 용융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2)와 직접 접촉하는 금속제 롤러(17)는 가열할 필요는 없다.
수지 구조체(2)에서의 벽부 선단부(9) 및 기부 이면(10)(특히, 벽부(7)의 기부 이면측)측은, 가열된 금속판(3),(4)에 의해 가열되어 용융된 상태에서, 또한 가압용 금속제 롤러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용융된 부분이 찌부러져서 확폭벽부(7a)가 형성되어, 용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대된 상태에서 용착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 구조체(2)와 금속판(3),(4)의 용착을 견고한 용착으로 할 수 있다. 또 가열된 금속판(3),(4)으로부터 수지 구조체(2)로의 열전도에 의한 용융은 서서히 진행되는 것이므로, 상기 확폭벽부(7a)는 용착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벽부의 벽두께 치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따라서 용착이 확실하고 견고한 용착이 된다.
또 상기 확폭벽부(7a)는, 용착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벽부의 벽두께 치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지 구조체(2)로부터 각 금속판(3),(4)으로의 응력 전달, 혹은 각 금속판(3),(4)으로부터 수지 구조체(2)로의 응력 전달을 부드럽게 전달할 수 있다. 또 금속판(3),(4)과 수지 구조체(2)의 용착부에서는 기립 형상체(8)의 벽면 거리가 작아지기 때문에, 벽면의 금속판 부분의 스팬도 작아지게 되어, 그 부분의 금속판의 강성을 향상시켜, 굽힘력이 작용한 경우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지 구조체(2)와 강판 등의 금속판(3),(4)과의 복합 구조체(1)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수지 구조체(2)를 접착제가 도포되어 가열된 금속판(3),(4)에 일면씩 따로 따로 용착시켜도 좋고, 혹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금속판(3),(4) 사이에 수지 구조체(2)를 배치하여 상하의 가압용 금속제 롤러(도 26 참조)에 의해 가압력을 작용시켜 상기 수지 구조체(2)를 끼우고 상기 수지 구조체(2)의 가열된 금속판(3),(4)에 의해 수지 구조체(2)에서의 벽부 선단부(9) 및 기부 이면(10)측의 벽기립 이면부(18)를 일부 용융시켜 용착시켜도 좋다.
상기와 같은 수지 구조체(2)와 강판 등의 금속판(3),(4)과의 복합 구조체(1)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되어 가열된 금속판(3),(4) 사이에 수지 구조체(2)를 배치하여, 가압 롤러(미도시)에 의해 가압력을 작용시키고, 상기 수지 구조체(2)를 끼워 상기 수지 구조체(2)를 가열된 금속판(3),(4)에 의해, 수지 구조체(2)에서의 벽부 선단부(9) 및 기부 이면(10)측을 일부 용융시킴으로써, 접착제와 수지 구조체(2)를 용착시키고 또한 용융된 접착제를 금속판(3(4))에 용착시키고 블로워나 미스트 쿨러 등으로 냉각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2) 및 금속판(3)(4)의 수축(수지 구조체(2)가 금속판보다 열팽창율이 큼)의 차이도 있어, 밀폐 공간(6)내의 압력을 한층 더 높인 상태에서 확실하게 용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압력으로서는, 설계에 의해 예정되는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에 의해 적절히 설정된다. 예를 들면 가압용 금속제 롤러에 의한 가압 압력으로서 길이 1m당 35∼50kg정도의 선형 가압에 의하면 좋다. 금속제 롤러에 의한 선접촉에 의한 선형 가압 방법 이외에도 금속판 전면(全面)을 가압하는 면형 가압으로 해도 좋지만, 복합 구조체(1)를 제작하려면 금속제 롤러에 의한 선형 가압쪽이 유리하다. 예를 들면 용착시키기 전의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을 P(kg/mm2)로 하고 복수의 기립 형상체(8)에 전해지는 길이l당 하중을 W(kg/mm), 용착시킨 후의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을 P'(kg/mm2)로 하고 복수의 기립 형상체(8)에 전해지는 길이l당 합계의 가압 하중을 W'(kg/mm)로 한 경우, 하중 증가분은 W'-W=(P'-P)l이 되고 밀폐 공간(6)내의 내압 증가는 (W'-W)/l이 된다.
가열 온도(℃)는, 수지 구조체(2)는 전체적으로 균질하지 않기 때문에 대체로 수지의 융점(℃)±10℃의 범위에서, 적절히 공장내의 온도 등을 고려하여 가열용 금속제 롤러와 금속판(3),(4)의 접촉 시간 등을 조정하여 행한다.
상기 수지 구조체(2), 각종 금속판(3),(4), 각종 공지의 접착제를 설계에 의해 적절히 선택하여 원하는 성능을 발휘하는 복합 구조체(1)를 제작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면의 금속판(3),(4)에 용착시켜도 좋지만,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구조체(2)가 그 벽부 선단부(9)로부터 일체로 연장설치된 정판부(13)를 구비하여 단면 볼록형 또는 오목형의 홈부를 형성하는 형태의 돌기(14)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한 형태에서는, 그 기부 이면(10)을 금속판(4)에 용착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2)와 1매의 금속판(4)을 구비한 일면 금속판이 딸린 복합 구조체(1)로 할 수도 있다. 그러한 일면 금속판이 딸린 복합 구조체(1)에서의 수지 구조체(2)의 돌기의 정판부(13)측 벽부 선단부(9)를, 접착제가 도포되어 가열된 금속판(3)에 눌러대어 용융시켜 용착시킴으로써 도 14∼도 15에 도시한 복합 구조체(1)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6∼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구조체(2)에서 돌기(14)를 형성하고 있는 정판부(13)의 판두께 치수가 작은 경우에는, 정판부(13)가 단면 원호형으로 금속판과 함께 팽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어 강성을 높인 형태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정판부(13)가 단면 원호형으로 팽출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면 복합 구조체(1)의 표면이 지그재그형 등으로 팽출됨으로써 미관을 꾸며 의장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4∼15에 도시한 복합 구조체(1)는, 금속판(3),(4)과 접착제를 개재시켜 접촉하고 있는 수지 구조체(2)가 가열·가압되어 용융되는 부분에서 용착됨으로써 확실하게 용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용융되지 않은 부분의 수지 구조체(2) 또는 가압용 금속제 롤러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부분의 수지 구조체(2) 혹은 정판부(13)의 외표면 등 접착제가 단순히 접촉되어 있는 부분(혹은 정판부(13)의 외표면은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아도 좋음)은 용착되지 않아도 좋다.
도 11,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1)가 도시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금속판(3),(4)으로서 판두께 치수가 예를 들면 0.01mm∼2mm인 강판 혹은 스텐레스판 등의 금속판(3),(4)이 이용되고 그러한 금속판(3),(4)에 수지 구조체(2)가 용착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와 같이, 제1 금속판(3) 및 제2 금속판(4)의 판두께 치수가 작아지면, 밀폐 공간(6)의 공기압의 팽창력에 의해, 제1 금속판(3) 및 제2 금속판(4)의 수지 구조체(2)의 용착 부분 내측을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돌출시키는 팽출부(11)가 기립 형상체(8)의 밀폐 공간(6)마다 형성되어 있다. 벽부 선단부(9)측이 용착되어 있는 제2 금속판(4)측의 팽출부(11)가 기부 이면측이 용착되어 있는 제2 금속판(4)의 팽출부(11)보다는 그 주위가 용착되어 구속되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팽출부(11)가 크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에 부분적으로 팽출부(11)를 형성하고도, 수지 구조체(2)를 용착시킴으로써, 제1 금속판(3) 및 제2 금속판(4)과의 용착시 수지 구조체(2)의 접합부 용융에 의한 변형의 자유도를 확보한 상태에서 용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의 용착 부분의 내측 부분을, 밀폐 공간(6) 부분의 공기압에 의한 팽창력에 의해 팽출부(11)를 형성하면, 공기압에 의해 초기 인장력이 작용함으로써 굽힘력이 작용하여 압축력을 받은 경우에, 초기 인장력이 없어질 때까지 변형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좌굴을 억제하여 결과적으로 강성을 높임과 아울러 복수의 팽출부(11)에 의해 미관을 꾸며 의장성이 향상된다.
상기 팽출부(11)는 상기 기립 형상체의 밀폐 공간(6)마다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립 형상체(8)의 밀폐 공간(6)마다 형성되어 있는 팽출부(11)에 의해, 그 부분의 금속판에 인장력을 항상 작용하는 상태이므로,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출부(11)가 없는 경우에 비해, 도 2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출부(11)가 있기 때문에, 복합 구조체(1)의 판두께 방향의 중립축(X)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지는 만큼, 면내(面內) 방향 X축 둘레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지기 때문에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합 구조체(1)는 통상 대기압하 또는 가압 분위기내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밀폐 공간(6)내의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이면 좋으며, 내압에 의해 초기 인장력을 상기 팽출부(11)의 부분 전체에 작용시킬 수 있어, 그만큼 팽출부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팽출부 부분의 국부 좌굴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1의 (a)(b)를 참조하여 더 설명하기로 한다.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수지 구조체(2)를 각 금속판(3),(4)에 용착시킨다고 가정한 경우에 대해 검토하기로 한다.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면내 방향의 X축으로부터 상기 밀폐 공간(6)에 대응한 금속판(3),(4) 부분(해칭한 부분)의 무게중심(G)까지의 거리를 r, 금속판(3),(4)의 판두께 치수를 t, 구면형으로 팽창하는 부분의 길이를 l, 면외 방향으로의 높이 증가분을 Δh, 일부 구면형으로 팽출부(11)를 형성하여 변형한 경우의 상기 X축에서 무게중심(G)까지의 거리를 r', 도 21의 (a)에 도시한 형태의 X축 둘레의 단면 2차 모멘트를 I, 일부 구면형으로 변형한 팽출부(11)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를 I'로 한다. 예를 들면 l=10(mm), t=1(mm), r=5(mm), Δh=1(mm)로 하면 r'=5.672(mm)가 되고, 또 I'=323.4(mm4), I=250.8(mm4)이 된다. 즉, 단면 2차 모멘트의 증가분(I'-I)은, I'-I=72.6(mm4)이 되어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의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의 복합 구조체(1)가 도시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각 기립 형상체(8)의 선단부에 일체로 정판부(13)가 형성된 수지 구조체(2)가 이용되고 그러한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면을 부분적으로, 가열된 금속판의 열을 이용하여 용융시킴으로써 강판 등의 박판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가열된 제1 금속판(3)과 제2 금속판(4)에 용착시킨다. 아울러 수지 구조체(2)의 표리 양면측을 미리 가열하여 온도를 높인 상태에서, 다시, 가열된 금속판(3),(4)에 의한 열을 이용하여 용융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판부(13)를 가진 형태의 수지 구조체(2)인 경우에는, 수지 구조체(2)의 기부 이면을 용융시키고 접착제를 개재시켜 박판의 금속판(3)에 용착시킴으로써 이면측의 금속판(3)에 외측으로 볼록한 팽출부(11)를 마련한 형태로, 기립 형상체(8)로 이루어진 돌기(14)의 정판부(13)에 외측으로 볼록하게 팽출부(11)를 형성한 형태의 복합 구조체(1)로 할 수도 있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한 형태의 복합 구조체(1)로부터 돌기(14)측을, 제2 금속판(4)에서의 금속판의 열을 이용하여, 가열 용융시켜 금속판(4)측의 접착제(5)를 개재시켜 가열 용착시킴으로써 도 11, 도 13에 도시한 형태의 복합 구조체(1)로 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형태의 수지 구조체(2)에서는, 서로 인접한 기립 형상체(8) 상호간에 일부의 벽부(7)를 공통으로 하는 기립 형상체(8)가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속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지 구조체(2)를 금속판에 용착시키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작은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밀폐 공간(6)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수지 구조체(2)가, 가열된 상기 금속판(3)(4)에 의해 접착제(5)를 개재시켜 용융되는 부분과, 가열된 금속판(3)(4)에 의해 용융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며, 상기 용융된 부분이 접착제(5)를 개재시켜 금속판(3)(4)에 용착되어 있으면 수지 구조체에서의 용착되는 부분을 확실하게 용융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수지 구조체(2)를 금속판(3)(4)에 접착제(5)를 개재시켜 용착시키는 경우에, 기부(12)의 기부 표면부 및 기립 형상체(8)에서의 벽부 중간부가 용융되지 않도록, 벽부 선단부(9) 또는 기부 이면(10)의 벽기립 이면부(18)를 용착시키면, 용착되는 벽부 선단부(9) 또는 기부 이면(10)의 벽기립 이면부(18)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을 용융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1)로 할 수 있어, 수지 구조체(2) 전체의 강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유지한 상태에서 금속판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1)로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와 같이 제조된 복합 구조체(1)는 수지 구조체(2)와 금속판(3)(4)을 구비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높은 강성을 발휘함과 아울러 경량으로 더욱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 복합 구조체(1)는 진동이나 열전도를 억제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민생용 또는 건설용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도 6 또는 도 18∼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립 형상체(8)가 수지 구조체(2)의 연장 방향으로 골고루 확산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지 구조체(2)와 금속판(3)(4)을 용착시킨 결과, 복합 구조체(1)는 복합 구조체(1)에 부여되는 힘의 방향에 관계없이(어느 방향에서 복합 구조체(1)에 힘이 부여되더라도) 높은 강도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 수지제 구조체에 고무 혹은 자성 재료 분말 등의 다른 재료를 혼입시킨 수지제 구조체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 상기 금속제 롤러(17)는 롤러 표면에 고무 등을 라이닝해도 좋다. 또 금속제 롤러(17)는 회전 가능한 롤러라면 구동장치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 이용 가능하다.
1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2 수지 구조체
3 제1 금속판
4 제2 금속판
5 접착제
6 밀폐 공간
7 벽부
7a 확폭벽부
8 기립 형상체
9 벽부 선단부
10 기부 이면
11 팽출부
12 기부
13 정판부
14 돌기
15 기부 표면
16 가열 접촉판
17 금속제 롤러
18 벽기립 이면부
20 제1 코일
21 접착제 도포 수단
22 릴
23 가열로
24 가이드 롤러
25 제2 코일
26 냉각부

Claims (13)

  1.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基部)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립 형상체측을 접촉시킨 후,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부 표면을 용융시키지 않고 벽부 선단부를 용융시켜,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와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용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
  2.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복수의 기립 형상체가 형성되고,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裏面)을 접촉시킨 후,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부 이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용융시키지 않고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용융시키고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와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용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각 기립 형상체는, 벽부에서의 벽부 선단부로부터 형성되는 정판(頂板)부를 가지며 기부 표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팽출되는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의해, 수지 구조체의 일면측에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를 제조한 후, 그 일면측에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에서의 수지 구조체의 금속판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반대측을 별개의 금속판에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시킴으로써, 수지 구조체에서의 각 벽부 선단부를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킴과 아울러 상기 수지 구조체에서의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시킨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
  5. 수지 구조체와 그 표리(表裏) 양측에 배치되는 각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각 금속판은, 수지 구조체를 붙이는 면에 접착제가 도포되며 적어도 수지 구조체의 융점으로 가열되고,
    가열된 표면측의 제1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립 형상체측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가열된 이면측의 제2 금속판의 접착제 도포면에 수지 구조체의 기부 이면을 접촉시킨 후, 수지 구조체를 상기 각 금속판 사이에 끼우고 상기 각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가 외측으로부터 동시에 가압되어,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립 형상체의 벽부 선단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상기 제1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상기 제1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부 표면을 용융시키지 않고 벽부 선단부를 용융시키고,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와 제1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제1 금속판을 용착시킴과 아울러,
    수지 구조체가 구비한 기부 이면에서의 벽기립 이면부가 접착제를 개재시켜 상기 제2 금속판에 압착됨으로써, 제2 금속판의 열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용융시키지 않고 기부 이면의 벽기립 이면부를 용융시키고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와 제2 금속판을 밀착시켜 수지 구조체와 제2 금속판을 용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의 제조방법.
  6.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 형상체를 구성하는 벽부의 선단부에는 벽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부 선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부 선단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벽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부 선단부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립 형상체가 세워 올려진 기부에는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기립 이면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와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8.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기립 형상체가 세워 올려진 기부에는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벽기립 이면부에는 열에 의해 활성화된 접착제가 밀착되고,
    상기 활성화된 접착제에는 금속판이 밀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는, 상기 기부의 일부가 용융된 벽기립 이면부와만 접착제를 개재시켜 금속판에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9. 접착제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금속판 사이에 수지 구조체를 끼워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에는, 그 수지 구조체의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통형의 기립 형상체가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부에서의 용융되는 벽부 선단부와 상기 제1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상기 수지 구조체에서의 용융되는 기부 이면과 상기 제2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상기 각 기립 형상체가 상기 제1 및 제2 금속판 사이에 끼워져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10. 접착제를 이용하여 금속판과 수지 구조체를 붙인 복합 구조체로서,
    상기 수지 구조체는, 그 기부 표면으로부터 세워 올려진 벽부에 의해 형성되는 통형의 기립 형상체를 복수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벽부에서의 벽부 선단부로부터 형성되는 정판부를 가지며 상기 기부 표면으로부터 중공형으로 팽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가지며,
    상기 수지 구조체의 용융되는 기부 이면과 상기 금속판이 접착제를 개재시켜 용착되고,
    상기 각 돌기가 상기 금속판에 의해 막혀 돌기의 중공부에 의해 밀폐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폐 공간의 공기압이 1기압을 초과한 상태가 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11. 청구항 9 또는 10에 있어서,
    상기 수지 구조체가 용착된 금속판의 비용착면측은 상기 밀폐 공간내에서의 공기압의 팽창력에 의해 외방으로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팽출부는 상기 기립 형상체의 밀폐 공간마다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12. 청구항 9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에서의 용융되는 벽부 선단부는, 가열 및 가압되어 찌부러져서 확폭벽부가 형성되어 용착되는 부분의 면적이 증대된 상태로 용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확폭벽부는, 용착되어 있는 부분을 향해 벽부의 벽두께 치수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KR1020147009289A 2011-09-30 2012-09-27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714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18570A JP5808637B2 (ja) 2011-09-30 2011-09-30 樹脂構造体と金属板とからなる複合構造体
JP2011218569A JP5808636B2 (ja) 2011-09-30 2011-09-30 樹脂構造体と金属板とからなる複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1-218570 2011-09-30
JPJP-P-2011-218569 2011-09-30
PCT/JP2012/074964 WO2013047700A1 (ja) 2011-09-30 2012-09-27 樹脂構造体と金属板とを備える複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421A true KR20140071421A (ko) 2014-06-11

Family

ID=47995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9289A KR20140071421A (ko) 2011-09-30 2012-09-27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40071421A (ko)
CN (1) CN103826838B (ko)
TW (1) TWI551453B (ko)
WO (1) WO20130477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42171B2 (en) * 2015-12-17 2019-10-15 Gifu Plastic Industry Co., Ltd. Lamination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609120B (zh) * 2016-02-03 2017-12-21 林暄智 複合空心板結構及其製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3996A (en) * 1979-05-21 1982-02-02 The Dow Chemical Company Formable metal-plastic-metal structural laminates
US4407689A (en) * 1979-12-21 1983-10-04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laminated member
JPS6037784B2 (ja) * 1980-04-04 1985-08-28 チッソ株式会社 塩化ビニル共重合体系真空成形物
JPS56142052A (en) * 1980-04-05 1981-11-06 Tokyo Sheet Kk Buffer material sheet and its manufacture
JPS6121226Y2 (ko) * 1980-09-30 1986-06-25
JPS5779797A (en) * 1980-11-04 1982-05-19 Mitsubishi Electric Corp Diaphragm for speaker and its manufacture
JPS5872445A (ja) * 1981-10-28 1983-04-3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と金属との積層板を製造する方法
JPS62150131U (ko) * 1986-03-18 1987-09-22
JPS635936A (ja) * 1986-06-26 1988-01-11 株式会社 森田鐵工所 断熱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8724239D0 (en) * 1987-10-15 1987-11-18 Metal Box Plc Laminated metal sheet
JPH10156985A (ja) * 1996-11-28 1998-06-16 Toomoku:Kk 複合プラスチック構造板
AU728457B2 (en) * 1997-07-24 2001-01-1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Paper-laminated metal sheet
KR100373520B1 (ko) * 2000-07-19 2003-02-25 비멕 주식회사 스테인레스 외장판넬 및 그 제조방법
AU2003295913A1 (en) * 2002-11-25 2004-06-18 Richard N. Harford Anodization to enhance adhesion for metal composi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23215A (zh) 2013-06-16
CN103826838A (zh) 2014-05-28
CN103826838B (zh) 2016-03-23
WO2013047700A1 (ja) 2013-04-04
TWI551453B (zh) 201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9095B2 (en) Lamination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30337223A1 (en) Sandwich structure welded by high-frequency induction heat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2013075451A (ja) 中空パネル
KR20140071421A (ko) 수지 구조체와 금속판을 구비한 복합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5808636B2 (ja) 樹脂構造体と金属板とからなる複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808637B2 (ja) 樹脂構造体と金属板とからなる複合構造体
JP2017196782A (ja) 積層構造体
JP6336700B1 (ja) ドーム化接着層によるハニカムコア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6491005B2 (ja) 複合構造体の製造方法及び温度調節パネル
JP2005127420A (ja) 断熱積層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088739A (ko) 고강도 허니컴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S582819B2 (ja) 積層断熱材の製作方法とその積層材
JP6242125B2 (ja) 中空構造板の製造方法および中空構造板
JP2015189146A (ja) 複合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樹脂構造体
KR101792697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열반사 단열재 제조방법
JP5184073B2 (ja) 車両内装材用積層シート,ルーフライニ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47419B1 (ko) 샌드위치 패널, 이의 제조방법 및 샌드위치 패널 구조체
KR20160009121A (ko) 순차압공 방식에 의한 허니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516932B1 (ko) 단이 없는 버블시트를 구비한 초배지 제조방법과 그에 따른 무단 버블시트 초배지 및 이를 이용한 초배지 도배 방법
KR20110057998A (ko) 곡면 허니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27425A (ko) 접착력이 강화된 폴리고널 코아 및 하니컴 복합판넬제조방법
JP6066399B2 (ja) 中空構造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5016628A (ja) 気泡シートの製造方法
JPH11200552A (ja) 建材用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203053A (ja) 中空構造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