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908A -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9908A
KR20140069908A KR1020120137769A KR20120137769A KR20140069908A KR 20140069908 A KR20140069908 A KR 20140069908A KR 1020120137769 A KR1020120137769 A KR 1020120137769A KR 20120137769 A KR20120137769 A KR 20120137769A KR 20140069908 A KR20140069908 A KR 20140069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composition
ginseng fruit
extract
chlo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451B1 (ko
Inventor
김수환
장정화
박찬웅
김완기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2013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4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눈의 피로감, 압박감, 건조감, 통증, 간지러움 등의 증상을 개선하여 눈의 전반적인 건강증진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health of eyes}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인체 건강에 대한 인삼 열매의 신규한 용도에 대한 것이다.
인삼(Panax ginseng C.A. Meyer)은 오가피과 인삼속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서 2,000여 년 전부터 사용되어 온 생약으로, 경험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수명을 연장시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지금까지 알려진 인삼의 효능 및 효과는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항발암 작용, 항암활성 작용, 면역기능 조절 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항진효능, 심혈관 장해개선, 항동맥경화 작용, 혈압조절 작용, 갱년기 장애 개선, 골다공증에 미치는 효과, 항스트레스 작용, 항피로 작용, 항산화 활성, 노화억제 효능 등이 알려져 있다(최신고려인삼 "성분 및 효능편", 한국인삼연초연구원, 56-112, 1996).
인삼의 대표적 생리활성 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는 인삼의 지상 및 지하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인삼근(뿌리), 인삼엽, 인삼 열매 등 부위에 따라 진세노사이드 함량뿐만 아니라 조성도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Attele AS et al,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하지만 인삼열매에 함유된 구체적인 성분 및 눈 건강과 관련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94540호
Attele AS et al,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Dey L. et al., Phytomedicine, 10; 600-605, 2003 Nat. Prod. REP., 2009, 26, 1001-1043 Asia Pac J Clin Nutr. 2007;16(2):200-208
본 발명은 인체 건강에 대해 신규한 용도를 갖는 인삼 열매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전반적인 눈건강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눈의 피로도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눈 건강의 증진 효과가 우수하고, 눈의 피로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눈 건강 증진 효과 이외에도 피로감 개선, 정신적 안정감 제공, 피부 상태 개선, 손발 저림 개선, 갱년기 증상 완화 등 전반적으로 인체의 건강을 증진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 및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열매추출물과 비교예로 인삼근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열매 추출물의 전반적인 눈 건강 개선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인삼 열매는 인삼의 부위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인삼근(뿌리)과는 함유된 성분의 종류 및 함량구성이 다르다.
구체적으로, 인삼열매는 인삼근에 비해 비타민을 비롯한 미네랄 성분을 더 많이 함유한다. 또한, 인삼열매는 인삼근에 비해 진세노사이드를 더 많이 함유하며,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의 조성이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삼열매 추출물이 진세노사이드 Re, Rg1, Rg2 등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PT(Protopanaxatriol)계를 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Rd 등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PD(Protopanaxadiol)계 보다 더 많이 함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이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삼열매는 인삼근보다 우수한 항당뇨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Dey L. et al., Phytomedicine, 10; 600-605, 2003).
또한, 인삼열매는 잎과 같은 녹색에서 과숙이 됨에 따라 품종에 따라 과육이 빨간색 또는 노란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과육의 색깔이 변함에 따라 인삼열매에는 안토시아닌(antocyanin)이 형성된다. 안토시아닌에는 예를 들어 시아닌 클로라이드(cyanidin chloride), 델피닌 클로라이드(delphinidin chloride), 말비딘 클로라이드(malvidin chloride), 페라고닌 클로라이드(pelargonin chloride), 시아닌 클로라이드(cyanin chloride), 아이디어인 클로라이드(ideain chloride), 케라시아닌 클로라이드(keracyanin chloride), 쿠로마닌 클로라이드(kuromanin chloride), 페라고니딘 클로라이드(pelagonidin chloride), 페튜니딘 클로라이드(petunidin chloride) 등이 있다(Nat. Prod. REP., 2009, 26, 1001-1043). 그리고 안토시아닌은 항산화, 항알러지, 항염증, 항 바이러스, 항증식성, 항 돌연변이, 항균, 항발암성, 심혈관 손상 및 알러지로부터의 보호, 미소순환 보호, 말초 모세혈관 저항 보호, 당뇨병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sia Pac J Clin Nutr. 2007;16(2):200-8).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인삼열매 추출물이 상기와 같이 풍부한 비타민, 미네랄, 진세노사이드, 안토시아닌 등을 함유할 수 있으므로, 눈의 피로감, 건조감 등을 개선함으로써 눈의 건강을 전반적으로 증진시켜줄 수 있다.
안토시아닌은 눈의 망막에 있는 막대모양의 간상세포에 함유되어 있는 붉은색의 빛을 감지하는 단백질인 로돕신(rhodopsin)과 결합할 수 있고, 포스포디에스테라아제(phosphodiesterase, PDE)의 광전환(phototransduction)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야간 시력을 증진시켜주고 눈건강을 개선시켜줄 수 있다(Asia Pac J Clin Nutr 2007;16 (2):200-208).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열매 추출물은
(a)인삼열매를 전처리 하는 단계;및
(b)상기 단계에서 전처리한 인삼열매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a)단계에서 인삼열매는 생인삼열매일 수 있으며, 인삼열매의 과육과 과피는 일광건조 또는 열풍 건조를 통하여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단계에서 인삼열매 추출물은 건조된 인삼 열매를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환류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의 형태에 따라 인삼 열매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정제, 환제, 단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연고제, 드링크제 또는 주사제 등의 형태로 약학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제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약학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체가 희석제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 부형제 또는 매질(medium)로 작용하는 고형, 반고형 또는 액상의 물질일 수 있다. 따라서, 제형은 정제, 환제, 분제, 사쉐, 엘릭시르, 현탁제, 유제, 용액제, 시럽제,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제, 멸균 주사제, 멸균 분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로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형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복강, 근육, 국소도포, 첩포 및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고, 이 중에서 국소 적용 및 경구투여가 바람직하다.
사람의 경우, 활성 화합물의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 내지 100mg/kg체중,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mg/kg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액상 또는 고체 상태의 제형을 갖는데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정제, 과립제, 드링크제, 캬라멜, 다이어 트바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각 제형의 식품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의 실시예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실시예 1]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인삼 열매 전처리
생(生)인삼 열매를 수확하여 종자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인삼 열매의 과육과 과피를 일광건조 또는 열풍건조를 통하여 인삼 열매 건조원료를 제조하였다.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인삼 열매 건조물 1kg에 물 또는 주정(에탄올) 3L를 가하여 상온에서 환류 추출한 다음, 여과한 후 40~45℃에서 감압농축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 300g을 얻었다.
[비교예 1] 인삼근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인삼 열매 대신에 인삼근(뿌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성분 비교
<인삼 열매와 인삼근의 진세노이드(인삼사포닌) 성분 분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의 인삼 열매와 비교예 1의 인삼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다음, 이들 추출물에 에테르(ether)를 처리하여 지용성 성분을 제거한 후 부탄올(BuOH)로 조사포닌을 추출, 농축하여 HPLC를 통한 진세노이드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 및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인삼열매추출물) 비교예 1(인삼근추출물)
조사포닌함량(건조중량) 33.42% 16.70%
PD/PT 비율 0.73 3.23
분석결과, 도 1 및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조사포닌 함량에 있어서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인삼근 추출물보다 약 2배 이상의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함량비에 있어서는 진세노사이드를 PD(Protopanaxadiol)계-진세노사이드 Rb1, Rb2, Rc 및 Rd 및 PT(Protopanaxatriol)계-진세노사이드 Re, Rg1 및 Rg2의 비율로 구분하였을 때 각각 0.73과 3.23으로 분석되어, 인삼 열매와 인삼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의 조성 및 함량은 상반된 특징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인삼 열매 추출물은 이 중에서도 진세노사이드 Re를 인삼근 추출물보다 약 9배 정도 특히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미네랄 성분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인삼 열매 추출물이 인삼과는 다른 "과실"로서의 특징을 가짐을 구분하기 위하여 비타민을 비롯한 미네랄 성분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성분 열매함량 뿌리함량 성분 열매함량 뿌리함량
칼륨(mg/100g) 5865.57 1460 마그네슘(mg/100g) 354.38 160
칼슘(mg/100g) 819.26 340 아연(mg/100g) 178.49 1.961
철(mg/100g) 59.31 9.804 Vit.A(ug/100g, RE ) 213.11 -
인(mg/100g) 187.17 340 Vit.B1(mg/100g) 12.29 0.16
Vit.B2(mg/100g) 8.45 0.50 Vit.B6(mg/100g) 10.50 -
Vit.C(mg/100g) 4.91 6 Vit.E(mg/100g, α-TE) 23.61 -
Vit.K(㎍/100g) 232.12 - 나이아신(mg/100g, NE) 5.76 1.0
판토텐산(mg/100g) 5.87 0.66 엽산(㎍/100g) 349.97 -
상기 표 2의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열매는 인삼근과 달리 전반적으로 비타민과 미네랄 16종의 함량이 매우 풍부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열매는 성분적으로 인삼근보다 많은 인삼사포닌을 함유함과 동시에 사포닌 조성의 성질이 정반대이고, 또한 인삼근과 달리 열매로서 비타민과 미네랄 16종의 함량이 풍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삼 열매 추출물의 안토시아닌 성분 분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에 함유된 안토시아닌 성분을 정량분석하였다.
이때, 안토시아니딘 키트(시아니딘 클로라이드, 델피니딘 클로라이드, 말비딘 클로라이드, 페라고닌 클로라이드), 시아니딘 유도체 키트(시아니딘 클로라이드, 시아닌 클로라이드, 아이디어인 클로라이드, 케라시아닌 클로라이드, 쿠로마닌 클로라이드), 페라고니딘 클로라이드, 페튜니딘 클로라이드 표준을 이용하여 인삼열매 안토시아닌을 정량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분석항목 단위 : ppm (ug/g) 인삼열매 추출물
말비딘 클로라이드 12.17
아이디어인 클로라이드 (cyanidin-3-O-galactoside) 2.36
페라고니딘 클로라이드 8.28
케라시아닌 클로라이드 3.29
합계 26.1
분석결과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말비딘 클로라이드, 아이디어인 클로라이드, 페라고닌 클로라이드, 케라시아닌 클로라이드의 양이 각각 12.17, 2.36, 8.28, 3.29 ppm으로 정량되었고, 네 성분의 합은 총 26.1 ppm으로 측정되어, 안토시아닌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눈건강 개선도 평가
상기 시험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인체에 직접 사용한 경우에 나타나는 눈 건강 지표의 변화를 관찰 및 평가하였다. 즉,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후에 있어서 눈건강상의 변화를 다음의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실시예 1의 인삼열매 추출물을 100중량%로 함유하는700mg의 정제를 제조하였다. 이때 table top 단발타정기(ERWEKA.독일)를 이용하여 타정하였다.
그리고 10~50대 남녀를 58명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를 4주 동안 1일 2회, 1회 2정씩 섭취하게 하였다. 즉, 표준화시킨 인삼열매추출물을 1일 1400mg씩 섭취하게 하였다.
이와 동시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대하여 섭취 전 및 후에 전반적인 눈건강 지표에 대한 설문 조사를 하였다.
평소에 느끼는 눈 관련 불편 증상 19가지로서 피로감, 압박감, 안검(눈꺼풀) 피로, 눈물 흐름, 열감, 건조감, 통증, 간지러움, 안검(눈꺼풀) 경련, 잔상, 눈부심, 눈시림, 충혈, 침침함, 이물감, 눈꼽, 오후 시간대 피로감, 작열감 및 초점조절시간의 각 증상에 대한 불편 정도(1-15점)를 체크하게 하였다. 매우 불편한 경우를 15점, 불편함이 전혀 느껴지지 않은 경우를 1점으로 하여 체크하게 하였다. 평가 결과는 인삼 열매 추출물의 섭취 전 후 눈건강 자가진단 점수의 변화로 하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내었다(N=58).
항목 범위 섭취 전
평균±S.D
섭취 후
평균±S.D
피로감 1~15 10.5±1.56 5.4±1.86
압박감 1~15 8.7±0.22 6.2±0.78
안검(눈꺼풀) 피로 1~15 13.5±1.79 4.2±0.71
눈물 흐름 1~15 11.1±0.26 6.7±0.97
열감 1~15 9.3±1.61 5.4±1.11
건조감 1~15 12.8±0.46 4.7±0.85
통증 1~15 5.5±0.12 4.5±0.63
간지러움 1~15 6.7±1.55 3.7±1.36
안검(눈꺼풀) 경련 1~15 8±2.01 4.2±0.65
잔상 1~15 4.5±1.71 2.5±0.99
눈부심 1~15 6.1±1.24 3.5±0.76
눈시림 1~15 9.9±1.23 4.3±1.49
충혈 1~15 11.8±1.75 4.2±1.79
침침함 1~15 10±1.55 4.5±0.71
이물감 1~15 7.8±1.25 4.8±0.75
눈꼽 1~15 8.2±2.1 4±0.21
오후 시간대 피로감 1~15 12.9±1.66 5.1±0.73
작열감 1~15 8.9±2.11 4.3±1.25
초점조절시간 1~15 9±1.25 5.5±0.78
상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험자들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섭취한 후 눈의 피로감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눈의 건강상태가 50%이상 증진된 것으로 평가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이 눈 건강 증진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한 시험예 2의 결과에 더하여 피험자들은 인삼 열매 추출물을 섭취 후 눈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신체의 피로감이 개선되고 정신적인 안정감을 느낄 수 있었으며, 피부 상태가 개선되고 손발 저림이 없어졌으며 갱년기 증상이 완화되었다고 기록하였다. 따라서, 이를 통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은 눈을 비롯하여 전반적으로 인체의 건강 증진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아래에서 설명하나, 다른 여러 가지 제형으로도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인삼열매 100% 엑기스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제조 시 고형분 60% 이상이 되도록 농축하여, 저온에서 숙성한 후 액상형태의 100% 엑기스 제품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연질캅셀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110mg, 팜유 0.8mg, 식물성 경화유 0.48mg, 황납 2.4mg 및 레시틴 3.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충진하여 연질 캅셀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정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160mg, 포도당 200㎎ 및 덱스트린 196㎎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7 mg을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환의 제조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0.9g, 당 0.3g, 전분 1.91g 및 글리세린 0.56g을 혼합하고, 제환기를 사용하여 환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과립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160mg, 포도당 200㎎ 및 덱스트린 196㎎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드링크제
실시예 1의 인삼 열매 추출물 110mg, 포도당 10g 및 구연산 2g을 혼합한 후 정제수 188g을 가하여 각 병에 200㎖씩 충진되도록 하였다. 병에 충진한 다음 90℃에서 2∼3시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안토시아닌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토시아닌은 말비딘 클로라이드(Malvidin Chloride), 아이디어인 클로라이드(Ideain chloride), 페라고니딘 클로라이드(Pelagonidin chloride) 및 케라시아닌 클로라이드(Keracyanin chlor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열매 추출물은 진세노사이드 PT(Protopanaxatriol)계를 진세노사이드 PD(Protopanaxadiol)계 보다 더 많이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눈의 피로감을 개선함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 또는 식품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 열매 추출물은
    (a)인삼열매를 전처리 하는 단계;및
    (b)상기 단계에서 전처리한 인삼열매를 물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인삼 열매 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KR1020120137769A 2012-11-30 2012-11-30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KR102011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69A KR102011451B1 (ko) 2012-11-30 2012-11-30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769A KR102011451B1 (ko) 2012-11-30 2012-11-30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908A true KR20140069908A (ko) 2014-06-10
KR102011451B1 KR102011451B1 (ko) 2019-08-16

Family

ID=5112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769A KR102011451B1 (ko) 2012-11-30 2012-11-30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4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02A1 (ko) * 2015-02-13 2016-08-18 (주)아모레퍼시픽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32526A (ko) 2021-08-31 2023-03-07 (주)아모레퍼시픽 눈 손상 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540A (ko) 2007-04-20 2008-10-23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2157790A1 (ko) * 2011-05-13 2012-11-22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를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540A (ko) 2007-04-20 2008-10-23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2157790A1 (ko) * 2011-05-13 2012-11-22 (주)아모레퍼시픽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토콘드리아 활성화를 위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sia Pac J Clin Nutr. 2007;16(2):200-208
Attele AS et al, Biochem Pharmacol, 58; 1685-1693, 1999
Dey L. et al., Phytomedicine, 10; 600-605, 2003
Nat. Prod. REP., 2009, 26, 1001-1043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29902A1 (ko) * 2015-02-13 2016-08-18 (주)아모레퍼시픽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9972A (ko) * 2015-02-13 2016-08-23 (주)아모레퍼시픽 번아웃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223056A (zh) * 2015-02-13 2017-09-29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预防、缓解或治疗疲劳综合征的组合物
TWI708609B (zh) * 2015-02-13 2020-11-01 南韓商愛茉莉太平洋股份有限公司 用於預防改善或治療身心俱疲症候群之組合物
US11975037B2 (en) 2015-02-13 2024-05-07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burnout syndrome
KR20230032526A (ko) 2021-08-31 2023-03-07 (주)아모레퍼시픽 눈 손상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451B1 (ko) 201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2805B2 (en) Compositions containing enriched natural crocin and/or crocetin, and their therapeutic or nutraceutical uses
Kumari et al. Rauvolfia serpentina L. Benth. ex Kurz.: phytochemical,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aspects
US10172900B2 (en) Composition with improved bioavailabilty of saponin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bioavailability of saponin
JP6031662B2 (ja) 認知機能低下改善用組成物
Khan et al. Chamomile tea: herbal hypoglycemic alternative for conventional medicine.
KR20150005430A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MXPA06007498A (es)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extracto acuoso de hojas de vid roja y un agente que mejora la circulacion sanguinea para el tratamiento de insuficiencias venosas cronicas.
TWI708609B (zh) 用於預防改善或治療身心俱疲症候群之組合物
KR20140069908A (ko) 눈 건강 증진용 조성물
CN106581115B (zh) 含芫根和人参的组合物及其应用
MXPA06007497A (es) Composicion que comprende un extracto acuoso de hojas de vid roja y un agente antitrombotico para el tratamiento de insuficiencia venosa cronica.
KR100569089B1 (ko) 뇌기능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600745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95338B1 (ko) 추위 민감증을 포함하는 전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경구 조성물
KR102617383B1 (ko) 석류, 마 및 둥굴레의 혼합 추출물을 이용한 항비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96006B1 (ko)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5653B1 (ko) 약효가 증강된 파낙스속 식물의 가공 추출물을 함유하는불안증세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441302B1 (ko) 디아세틸 토릴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조성물
KR20150042769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Hasan et al. The incredible health benefits of saffron: A Review
KR20220103326A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 증상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15823A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안정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