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9700A - 폐석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폐석 가공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9700A KR20140069700A KR1020120137317A KR20120137317A KR20140069700A KR 20140069700 A KR20140069700 A KR 20140069700A KR 1020120137317 A KR1020120137317 A KR 1020120137317A KR 20120137317 A KR20120137317 A KR 20120137317A KR 20140069700 A KR20140069700 A KR 2014006970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ushing
- waste
- receiving drum
- unit
- dru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 B24B3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polishing or abrading surfaces on work by means of tumbling apparatus or other apparatus in which the work and/or the abrasive material is loose;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rotary barr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3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to form contours, i.e. curved surfaces, irrespective of the method of working us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폐석을 재활용하여 현무암의 질감을 갖도록 하는 폐석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산되는 제품을 선택된 크기로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 시 발생하는 잔골재 및 처리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폐석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연 폐석을 재활용하여 현무암의 질감을 갖도록 하는 폐석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산되는 제품을 선택된 크기로 균일하게 가공할 수 있으며 가공 시 발생하는 잔골재 미세입자 및 연마수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폐석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무암(basalt)은 용암류로부터 산출되는 암석으로 회흑색 내지 흑색의 색상을 취하며 사장석과 보통 휘석을 주로 하는 세립의 화성암이다.
즉, 현무암은 화산 활동을 통해 생성된 물질로 외관상 다공질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용암 즉 마그마가 지표면 밖에서 굳어질 때 마그마 속에 녹아 있던 기체가 날아가 불규칙적인 구멍이 표면상에 다수 생성되기 때문이다.
이렇듯 천연 현무암은 과거 화산 활동이 활발했던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한라산, 백두산 남부, 강원도 철원 및 울릉도 지역 등에서 많이 분포한다. 이러한 현무암은 질이 굳기 때문에 건축 재료로 많이 쓰이며 특히 제주도의 경우 지역 관광 상품을 만드는데도 흔히 사용되고 있으며 벽체나 담, 도로 바닥, 기타 도시 경관의 조형물을 축조하는데 널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관광산업의 특수성과 함께 천연 현무암의 수려한 미관과 우수한 강도 및 내구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천연 현무암은 일반적인 석재 내지 콘크리트 제품에 비하여 가격이 월등히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요가 점차 늘고 있는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천연 현무암의 경우 원석의 채취 및 가공 등의 면에서 흙을 구워서 만든 제품에 비해 훨씬 비싸고, 원석의 크기에 따라 가공되는 제품, 자재, 축조물의 사이즈도 제한을 받게 됨은 물론 원석을 채취함에 있어서도 자연 환경 훼손이 불가피하게 되며 원석의 가공 시에도 다량의 석분이 발생하여 추가적인 환경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 현무암을 대체하여 천연 현무암에 최대한 가까운 외양 및 질감을 지니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환경의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인조 현무암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점은 천연 현무암을 특산품으로 하는 제주도와 같은 관광지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이에 근래 참숯 내지 화산석 분말을 이용하여 천연 현무암과 동일한 외양을 구현하고 있으나 이는 주로 공기 정화 및 항균 작용을 위주로 하는 것이어서 그 기계적 강도가 매우 열악하기 때문에 벽돌, 보차도 경계석, 도로 경계석 또는 보도 블록 등의 건축용 자재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그리고 국내 공개특허 제 2000-72274호에는 미세한 석분과 시멘트를 주원료로 하고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다공질 용암석 형태의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을 간략히 설명하자면 먼저 미세한 석분, 시멘트 및 파쇄된 스티로폼을 약 1:2:3의 비율로 투입하고, 암석과 동일한 색상을 나타내기 위해 조색제가 첨가된 물을 첨가한다. 계속하여 상기 성분들을 교반기에 투입하고 교반함으로써 묽은 반죽 상태로 혼합한 다음 상기 반죽을 성형틀에 주입하고 다짐질을 하여 응고 성형시킨다.
이후 상기 성형틀로부터 성형체를 분리ㆍ해체한 후, 성형체의 표면에 형성된 피막을 브러시 등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상기 피막이 제거됨에 따라 노출되는 스티로폼을 용해제를 상기 성형체의 전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용해시켜 제거하면, 표면에 다수의 기공(pore)이 형성된 다공질 콘크리트가 완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다공질 콘크리트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도 성형체의 피막을 제거하는 과정 및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공을 형성하는 과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기공을 형성하기 위한 용해제가 콘크리트의 내부까지 스며들기 어렵기 때문에 내부에 잔류하는 스티로폼으로 인하여 다공질 용암석 형태의 콘크리트의 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벽돌, 보도 블록 또는 도로 경계석 등과 같은 건축 재료로서 사용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폐석을 이용함으로써 천연석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간소한 공정 및 저비용으로 천연 현무암과 동일한 질감을 갖도록 하는 폐석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폐석을 가공함에 있어 일정한 크기로 제품을 가공 및 연마할 수 있으며 가공시 발생하는 연마수는 물론 잔골재 미세입자의 처리가 용이한 폐석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폐석 가공장치는 투입되는 폐석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여 이송시키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와 연통되어 파쇄부로부터 이송되는 폐석을 수용하며 수용된 폐석의 표면을 연마 및 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파쇄부와 가공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함으로써 천연 폐석을 재활용하여 현무암의 질감을 갖도록 하는 폐석을 가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파쇄부는 그 외주연에는 나선형의 커팅날이 구성되며 회동 작용에 따라 투입되는 폐석의 표면을 일정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파쇄부와 연통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아 마련되는 수용드럼 및 상기 수용드럼 내에 구비되되 수용드럼의 내주연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동하여 수용된 폐석들이 상호 마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외면에는 복수의 타공돌기가 구성되는 둘 이상의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쇄부와 가공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그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팅스크류 및 회전판이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파쇄부와 가공부가 연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수용드럼 내에는 그 내부로 연마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마수 급수설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드럼은 상기 가공부와 연통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그 내경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어 하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됨으로써 가공되는 폐석들이 경사구배에 의해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외면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드럼 내에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반경과 수용드럼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 간에 간극이 형성된 분리망이 구성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분리망은 상기 가공부와 연통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그 내경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어 하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됨으로써 가공되는 폐석들이 경사구배에 의해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망 하부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유도판 및 상기 유도판의 끝단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용드럼의 하부와 연통되며 개폐밸브가 장착된 잔골재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폐석 가공장치는 천연 폐석을 이용함으로써 천연석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실제 현무암의 표면 외관을 가짐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건설 현장 내지 광산 등에서 폐기되는 천연 폐석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적인 측면에서 우수함은 물론 간소한 공정 및 저비용으로 경제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폐석을 가공함에 있어 파쇄부의 파쇄 스크류의 구성에 기해 일정한 크기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가공시 발생하는 연마수는 물론 잔골재 미세입자의 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폐석 가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파쇄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공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가공부 및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파쇄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공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3의 가공부 및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망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폐석 가공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파쇄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가공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도 3의 가공부 및 결합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리망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본 발명에 따른 폐석 가공장치는 광산 내지 건설 현장 등에서 폐기되는 천연 석재를 이용하여 현무암의 질감을 갖도록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에 구성되는 파쇄부(10)와 상기 파쇄부(10)에 연통되는 가공부(20) 및 상기 파쇄부(10)와 가공부(20)가 연동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쇄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되는 폐석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기 위한 것으로 일면에는 폐석이 투입되는 투입구(100)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회전력에 기해 투입된 상기 폐석을 일정 크기로 파쇄함과 더불어 파쇄된 상기 폐석을 배출구(110) 측으로 이송 및 배출하기 위한 파쇄스크류(12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쇄스크류(120)는 그 외주연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의 커팅날(121)이 구성됨으로써 투입된 폐석을 일정 크기로 파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파쇄스크류(120)에 구성된 커팅날(121)의 피치(pitch) 내지 크기에 따라 가공되는 제품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파쇄 스크류(120)는 제품의 크기별로 선택적인 교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공부(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파쇄부(10)의 배출구(110)와 연통되어 상기 배출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폐석 즉, 상기 파쇄스크류(120)에 의해 일정 크기로 파쇄된 폐석은 물론 그로부터 분리되는 잔골재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공부(20)는 실질적으로 내부에 수용된 폐석을 현무암의 질감을 갖도록 가공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가공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드럼(200) 및 상기 수용드럼(200) 내에서 회동하는 둘 이상의 회전판(21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드럼(200)은 그 일단이 상기 파쇄부(10)의 배출구(110)와 연통되어 일정 크기로 파쇄된 폐석을 수용하게 되며, 상기 둘 이상의 회전판(210)은 상기 수용드럼(200) 내에 구비되되 상기 수용드럼(200)의 내주연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수용드럼(200) 내에 수용된 복수의 폐석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폐석 상호 간에 반복적인 마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폐석들의 마모시키면서 그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한다.
이때 상기 수용드럼(200) 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 없으나 폐석의 가공시 발생될 수 있는 먼지 및 마찰열을 완화하여 원활한 연마 및 가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부에 연마수 급수설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드럼(20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되도록 하여 수용된 폐석들이 가공되면서 경사구배에 의해 점차 타단을 향해 자연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되, 그 기울기는 폐석들이 빠른 속도로 이송되지 않게 원만한 각도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가공이 완료된 폐석을 배출함에 있어 수용드럼(200)의 기울기 조절 수단이 불필요하여 폐석 가공장치의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둘 이상의 회전판(210) 역시 상기 수용드럼(200)의 기울어진 내경에 대향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각 회전판(210)은 그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타공돌기(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공돌기(211)는 폐석들을 연마함에 있어 상기 수용드럼(200) 내에서 자유 낙하에 의해 폐석 표면을 타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크기와 타공돌기(211) 간 상호 간격이 불규칙하게 형성되게 함으로써 현무암 특유의 표면을 보다 자연스럽게 표출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30)는 상술한 파쇄부(10)와 가공부(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회전축(300)과 상기 회전축(300)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10) 및 상기 구동모터(310)의 회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부(30)의 회전축(300)은 상기 파쇄부(10) 및 가공부(20)를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파쇄부(10)의 파쇄 스크류(120)와 가공부(20)의 회전판(210)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회전축(300)이 공유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파쇄부(10) 및 가공부(20)에 각각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전달수단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효율적으로 장치를 운용하게 되고 부품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서 앞서 설명한 둘의 이상의 회전판(210)은 결합부재(220)에 의해 상기 회전축(300)의 축방?을 따라 방사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합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00)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결합되어 연동하는 복수의 회전링(221) 및 상기 회전축(300)과 직교하도록 상기 회전링(221)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결합되며 그 끝단에는 상기 회전판(210)이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바(222)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축(300)에 복수의 회전판(21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에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결합부재(220)는 공지기술 등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 가능한 바, 본 발명의 도 4에서 제시하고 있는 결합부재(220)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용드럼(200) 내주연을 따라 상기 회전판(210)을 회동시키도록 결합되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를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폐석이 상기 가공부(20)에서 가공 및 연마됨에 있어 배출되는 연마수 내지 잔골재 등을 상기 수용드럼(200)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배출하게 하는 분리부(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망(400)과 유도판(410) 및 잔골재배출구(420)로 구성되는 바, 상기 분리망(400)은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외면에는 복수의 통공(40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용드럼(200) 내에서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210)의 회전 반경과 수용드럼(200)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판(210)은 상기 분리망(400)의 내주연에 일정한 간극(A)이 형성되도록 이격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간극(A)의 구성에 기해 분리망(400)의 내주연과 회전하는 회전판(210) 간의 상호 작용으로 앞서 설명한 파쇄부(10)로부터 배출되는 잔골재 또는 수용드럼(200) 내에서 가공 및 연마 시 발생되는 잔골재 등을 상기 간극(A)에서 미세하게 분쇄하게 됨으로써, 상기 통공(401)을 통해 분리망(400)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통공(401)은 상기 잔골재를 상기 간극(A)을 통해 미세입자로 분쇄하고 이러한 미세입자와 연마수만을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직경이 미세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도판(410)은 상기 분리망(400)을 통해 배출되는 잔골재 미세입자와 연마수를 상기 수용드럼(200)으로부터 잔골재배출구(420)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리망(400)의 하부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미세입자와 연마수가 상기 유도판(410)을 따라 자연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상기 잔골재배출구(420)는 상기 유도판(410)의 끝단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용드럼(200)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도판(410)을 따라 유도되는 미세입자와 연마수를 수용드럼(2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잔골재배출구(420)는 임의로 개폐 가능한 개폐밸브를 구성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수용드럼(200) 내부의 연마수를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도 5에서는 상기 잔골재배출구(420)를 상기 수용드럼(200) 중심부에 형성한 예를 도시함에 따라 상기 유도판(410)은 상기 잔골재배출구(420)를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복수로 구성됨을 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잔골재배출구(42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유도판(410)의 갯수와 기울기 구조는 가변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분리부(40)의 구성을 포함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실질적으로 상기 폐석이 분리망(400) 내부에서 가공 및 연마되는 것으로. 상기 분리망(400) 역시 상기 수용드럼(200)과 대응하도록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그 내경이 커지도록 구성함으로써 경사구배에 의해 가공 및 연마되는 상기 폐석이 상기 수용드럼(200)의 타단을 향해 자연적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폐석 가공장치는 가공부(20)에서 폐석을 현무암의 질감을 갖도록 가공함과 동시에 가공되는 폐석으로부터 발생되는 잔골재와 연마수는 별도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상기 둘 이상의 회전판(210)과 분리망(400) 사이의 간극(A)에 의해 잔골재가 균일한 크기의 미세입자로 분리 배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미세입자는 별도의 추가 공정이 필요없이 미세입자를 요하는 현장에서 재활용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파쇄부 20 : 가공부
30 : 구동부 40 : 분리부
100 : 투입구 110 : 배출구
120 : 파쇄스크류 200 : 수용드럼
210 : 회전판 220 : 결합부재
300 : 회전축 310 : 구동모터
400 : 분리망 410 : 유도판
420 : 잔골재배출구
30 : 구동부 40 : 분리부
100 : 투입구 110 : 배출구
120 : 파쇄스크류 200 : 수용드럼
210 : 회전판 220 : 결합부재
300 : 회전축 310 : 구동모터
400 : 분리망 410 : 유도판
420 : 잔골재배출구
Claims (9)
- 투입되는 폐석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하여 이송시키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와 연통되어 파쇄부로부터 이송되는 폐석을 수용하며 수용된 폐석의 표면을 연마 및 타공하는 가공부; 및
상기 파쇄부와 가공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그 외주연에는 나선형의 커팅날이 구성되며 회동 작용에 따라 투입되는 폐석의 표면을 일정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스크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파쇄부와 연통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아 마련되는 수용드럼 및
상기 수용드럼 내에 구비되되 수용드럼의 내주연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원주 방향으로 회동하여 수용된 폐석들이 상호 마찰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외면에는 복수의 타공돌기가 구성되는 둘 이상의 회전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 제 2항 및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파쇄부와 가공부의 중심부를 관통하며 그 축방향을 따라 상기 커팅스크류 및 회전판이 회전력을 공유하도록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으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드럼 내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드럼 내부로 연마수를 공급하기 위한 연마수 급수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드럼은
상기 가공부와 연통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그 내경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어 하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외면에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드럼 내에서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반경과 수용드럼의 내주연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 간에 간극이 형성된 분리망이 구성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망은
상기 가공부와 연통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그 내경이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되어 하향의 경사구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분리망 하부에서 하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유도판 및
상기 유도판의 끝단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수용드럼의 하부와 연통되며 개폐밸브가 장착된 잔골재배출구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석 가공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317A KR20140069700A (ko) | 2012-11-29 | 2012-11-29 | 폐석 가공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7317A KR20140069700A (ko) | 2012-11-29 | 2012-11-29 | 폐석 가공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9700A true KR20140069700A (ko) | 2014-06-10 |
Family
ID=5112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7317A KR20140069700A (ko) | 2012-11-29 | 2012-11-29 | 폐석 가공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4006970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9901B1 (ko) * | 2020-06-25 | 2020-11-17 | 김형배 | 석재 연마 장치 |
CN113858028A (zh) * | 2021-09-27 | 2021-12-31 | 深圳市东方熊磁电制品有限公司 | 一种钕铁硼磁铁制造原料预处理装置 |
-
2012
- 2012-11-29 KR KR1020120137317A patent/KR2014006970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9901B1 (ko) * | 2020-06-25 | 2020-11-17 | 김형배 | 석재 연마 장치 |
CN113858028A (zh) * | 2021-09-27 | 2021-12-31 | 深圳市东方熊磁电制品有限公司 | 一种钕铁硼磁铁制造原料预处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8413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 |
KR101292596B1 (ko) |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 |
JP4540128B2 (ja) | 砕砂製造装置 | |
WO2006084792A1 (en) | Vertical-axis mixing machine for processing mixes | |
KR20140069700A (ko) | 폐석 가공장치 | |
CN111468266A (zh) | 一种具有自动筛分功能的陶瓷加工用原料加工设备 | |
JP2007276074A (ja) | 廃材面取り加工装置 | |
JP2005219034A (ja) | 人造石による組合せ式臼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粉砕機 | |
KR20170064183A (ko) |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가 구비된 파쇄시스템. | |
KR20060045128A (ko) | 콘크리트 제조에 적합한 골재의 선별 및 세척장치와 이에의한 골재 채취 방법 | |
CN110434147B (zh) | 一种建筑废弃物的资源化处理方法 | |
JP2007105718A (ja) | 粒状瓦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粒状瓦材から成る、培養土および水質改善材 | |
CN211134212U (zh) | 一种离心式再生骨料剥离整形机 | |
CN208359067U (zh) | 一种陶瓷原料化浆机 | |
CN112791797B (zh) | 一种利用建筑垃圾制作加气混凝土骨料的方法 | |
JP5361405B2 (ja) | コンクリート用再生骨材の製造方法 | |
KR20170064184A (ko) |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 |
KR100259486B1 (ko) | 모래제조시스템 | |
CN202162050U (zh) | 多辊循环切割式破碎加工设备 | |
CN105268519B (zh) | 双轴差动式破碎机、双轴差动式破碎机的切刀的更换方法 | |
KR100569002B1 (ko) | 조경석 가공장치 | |
KR102189907B1 (ko) |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 |
JP2000271506A (ja) | 細粒化装置 | |
CN108818938A (zh) | 一种新型水泥搅拌出料装置 | |
JP2001334162A (ja) | 脱水ケーキ細粒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