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907B1 -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907B1
KR102189907B1 KR1020200090034A KR20200090034A KR102189907B1 KR 102189907 B1 KR102189907 B1 KR 102189907B1 KR 1020200090034 A KR1020200090034 A KR 1020200090034A KR 20200090034 A KR20200090034 A KR 20200090034A KR 102189907 B1 KR102189907 B1 KR 102189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aggregate
wing
morta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표
박승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주식회사 베르원
주식회사 건용환경개발
(주)삼우리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주식회사 베르원, 주식회사 건용환경개발, (주)삼우리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9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박리하고,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는 상부에 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골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박리실이 마련된 케이스; 및 일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실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박리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박리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투입구로부터 공급된 골재가 박리 및 분배되는 제1 박리실과, 상기 제1 박리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골재를 공급받으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동력 전달부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 박리날개를 통해 상기 골재가 박리되는 제2 박리실과, 상기 제2 박리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골재를 공급받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3 박리날개를 통해 상기 골재가 박리되는 제3 박리실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Mortar peeling apparatus on aggregate surface with multiple peeling chambers}
본 발명은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후 각각의 박리실 내에서 골재를 박리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박리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의 재개발공사와 도로공사의 보수 등으로 각종 건설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에 대한 효율적인 자원순환이 매우 미미하고, 대부분의 폐콘크리트가 저급용도로 단순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는 물론 각종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이의 적극적인 활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종 건설폐기물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에 사용되는 처리 장치나 그 방법들에 대해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 장치는 대형의 고형화된 폐콘크리트나 폐아스팔트콘크리트 및 각종 건설부자재 등을 용도에 맞게 파쇄·분류하는 파쇄 및 선별 장치가 주요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장치에 의해 파쇄, 분류된 폐기물은 통상 건설 및 토목분야에서 매립, 성토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보통의 골재와 혼합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종래의 장치에 의해 재생된 파쇄골재의 경우에는 관련 규정에 적합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생산된 파쇄골재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가 다량 붙어있거나 석분 및 미세한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거나 불규칙한 입도 등으로 전체적인 품질이 저하되고, 이의 원인으로 인해 제반 기준에 부적합한 제품이 생산되어 그 이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판로를 확보하지 못해 막대한 설비는 물론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의 수익성이 개선되지 못해 기술개발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011871(2014.01.29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하나의 케이스 내부에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하여, 내부로 투입된 골재를 여러번 박리시켜 줌으로써 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효율적으로 박리시켜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골재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며 박리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는 골재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박리하여 순환골재를 획득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골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박리실이 마련된 케이스; 및 일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실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박리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박리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투입구로부터 공급된 골재가 박리 및 분배되는 제1 박리실과, 상기 제1 박리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골재를 공급받으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동력 전달부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 박리날개를 통해 상기 골재가 박리되는 제2 박리실과, 상기 제2 박리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골재를 공급받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3 박리날개를 통해 상기 골재가 박리되는 제3 박리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박리실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 박리날개 사이에 마련된 제1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박리날개는 기 설정된 폭을 갖는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박리날개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2 박리날개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박리날개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박리날개는 상기 제1 박리실을 통과한 상기 골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내주면에 복수의 절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박리날개의 박리면은 요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제2 박리날개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된 제2 박리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박리면은 단차를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상기 제2 박리날개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박리실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2 차단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박리날개는 상기 제2 차단벽의 상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날개부와, 상기 제1 날개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된 제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리실을 통과한 상기 골재는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의 공간에서 박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차단벽 사이에 제공되고, 진동 인가수단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인가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고, 하부에 상기 제2 날개부가 배치되는 진동부재와, 상기 진동기와 상기 진동부재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의 하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함몰된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보다 더 깊게 함몰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동력 전달부 측으로 돌출되고, 하측면에 상기 제2 홈부보다 더 깊게 함몰된 제3 홈부가 형성된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홈부에는 상기 제2 날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박리날개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제3 날개부와, 상기 동력 전달부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날개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3 날개부 보다 더 내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4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박리날개와 상기 제3 박리날개는 서로 호환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3 박리날개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3 박리날개는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동력 전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3 박리날개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된 회전 모터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 박리날개와, 상기 제2 박리날개, 및 상기 제3 박리날개로 전달하는 회전 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는 거름망을 구비한 스크린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박리날개와, 상기 제2 박리날개, 및 상기 제3 박리날개에 의하여 박리가 완료된 골재는 각각 미분과 순환골재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가 제1 박리날개를 구비한 제1 박리실과, 제2 박리날개(121)를 구비한 제1 박리실, 및 제1 박리날개를 구비한 제1 박리실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케이스 내에서 3단계로 박리되므로, 하나의 박리실만 구비한 종래의 박리장치에 비하여 박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제2 박리날개를 진동 인가수단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고, 하부에 위치한 제2 박리날개를 동력 전달부에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켜줌으로써, 골재(A)에는 회전 마찰 및 상하 방향의 가압력이 동시에 전달되어 박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제2 박리날개 중 하나의 박리면에 단차를 형성하여 골재(A)의 박리 공간을 넓히거나 줄여줌으로써, 골재(A)의 이송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는 최적의 박리 시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박리날개의 박리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해 줌으로써, 골재는 오목한 박리면에서는 표면이 마모되고, 볼록한 박리면에서는 파쇄가 이루어져 박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박리날개가 제1 날개부 또는 제2 날개부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됨에 따라, 골재(A)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마모된 제1 날개부 또는 제2 날개부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박리날개와 제3 박리날개를 서로 호환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1 박리날개와 제3 박리날개를 따로 제조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박리날개와 제3 박리날개가 체결부재를 통해 동력 전달부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에 따라, 골재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교체가 용이하고, 박리 정도에 따라 제1 박리날개 및 제3 박리날개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로 골재가 투입 및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박리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박리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3 박리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박리날개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제1 박리날개가 복수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의 제2 박리날개에 구비된 제1 날개부의 박리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2의 제2 박리날개에 구비된 제2 날개부의 박리면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로 골재가 투입 및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박리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박리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3 박리실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100)는 골재(A)의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박리하여 순환골재(B)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110), 및 동력 전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부에 골재(A)가 투입되는 투입구(110a)가 형성되고 하부에 골재(A)가 배출되는 배출구(110b)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복수의 박리실(S1, S2, S3)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0)의 투입구(110a)로 투입되는 골재(A)는 시멘트 모르타르가 표면에 붙어있는 것으로서, 건설폐기물 파쇄설비 공정 라인에서 1차 죠크러셔(미도시), 2차 더불죠(미도시), 및 콘크러셔(미도시), 3차 콘크러셔(미도시) 또는 임팩트 크러셔(미도시) 등의 공정을 거쳐 스크린된 5 ~ 20mm의 입도를 갖는 골재(A)일 수 있다. 이때, 투입구(110a)로 투입되는 골재(A)는 투입 콘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부는 제1 박리날개(111)를 구비한 제1 박리실(S1)과, 제2 박리날개(112)를 구비한 제1 박리실(S2)과, 제3 박리날개(113)를 구비한 제3 박리실(S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박리실(S1, S2, S3)의 제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케이스(110)의 투입구(110a)에는 골재 거름망(110c)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골재 거름망(110c)은 20 ~ 35mm의 홀이 형성된 그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입구(110a)에 골재 거름망(110c)이 제공됨에 따라, 오버 입도를 갖는 골재(A)를 미리 걸러내 박리 시간이 증가하고, 장치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작업대(1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평 조절부재에 의하여 배출구(110b)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조절부재는 케이스(1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10)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승강 시킴으로써 배출구(110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가 수평 조절부재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기울어진 경사도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에서 배출구(110b) 측으로 이동하는 골재(A)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120)는 일부가 케이스(110) 내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120)는 회전 모터(121)와, 회전 축(1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121)는 케이스(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모터(121)는 박리에 적합한 속도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8.4 ~ 9.9m/sec의 속도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회전 축(122)은 회전 모터(121)의 회전력을 제1 박리날개(111)와, 제2 박리날개(112), 및 제3 박리날개(113)로 전달하는 것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케이스(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모터(121)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모터(121)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회전 축(122)을 회전 모터(121)의 모터 축에 바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과 같이 회전 모터(121)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경우, 회전 모터(121)와 회전 축(122) 사이에는 회전 모터(121)의 회전 방향을 피치(pitch) 또는 롤(roll) 방향에서 요(yaw)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어가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 전환 기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기로 한다.
케이스(110) 내에 형성된 박리실은 제1 박리실(S1)과, 제2 박리실(S2), 및 제3 박리실(S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박리실(S1)과, 제2 박리실(S2), 및 제3 박리실(S3)은 투입구(110a)로 제공되는 골재(A)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서로 연통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박리실(S1)은 케이스(110)의 최상부에 위치한 공간으로서, 내부에는 동력 전달부(120)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박리날개(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박리실(S1) 내부에 복수의 제1 박리날개(111)가 구비됨에 따라 투입구(110a)를 통과하여 제1 박리실(S1)로 공급된 골재(A)는 박리 및 분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박리날개(111)는 체결부재(c)를 통해 회전 축(122)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원주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박리날개(111)가 4개 구비된 경우, 제1 박리날개(111)는 회전 축(122)에 90˚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박리날개(111)가 회전 축(122)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1 박리날개(111)는 회전 축(122)과 연동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제1 박리날개(111)의 회전에 의하여 골재(A)는 제1 박리날개(111)와 충돌하면서 박리 및 분배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박리실(S1)은 내부에 중공(111b)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110)와 제1 박리날개(111) 사이에 마련된 제1 차단벽(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벽(111a)의 상부는 투입구(110a)와 연통되고, 하부는 제2 박리실(S2)과 연통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제1 박리날개(11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벽(111a)에 의하여 제1 박리실(S1)이 마련될 수 있고, 투입구(110a)를 통과한 골재(A)는 제1 차단벽(111a) 내에서 박리 및 분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박리실(S2)은 제1 박리실(S1)의 하부에 위치하여 골재(A)를 공급받으며, 내부에는 골재(A)를 박리하기 위한 제2 박리날개(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박리날개(112)는 골재(A)의 타격 마찰에 적합하도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크롬강(Chrome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박리날개(112)는 복수로 구비되어 케이스(110) 및 동력 전달부(120)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박리날개(111)에 의하여 박리 및 분배된 골재(A)를 공급받아 2차 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박리실(S2)은 동력 전달부(120)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2 차단벽(112a)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차단벽(112a)의 상측면에는 제2 박리날개(112)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박리실(S2)에는 제2 차단벽(112a)의 상부로 이격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형성된 제2 박리날개(11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2 박리날개(112)는 제2 차단벽(112a)을 통해 동력 전달부(120)에 연결될 수 있고, 후술되는 진동 인가수단(130)을 통해 케이스(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박리실(S1)을 통과한 골재(A)는 상하로 배치된 제2 박리날개(112) 사이에서 회전 마찰 및 상하 방향의 마찰에 의하여 박리될 수 있다.
제2 박리날개(112)는 기 설정된 폭을 갖는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박리날개(112)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중공(112b)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공(112b)으로 동력 전달부(120)가 삽입될 수 있고, 제1 박리실(S1)을 통과한 골재(A)는 동력 전달부(120)와 중공(112b)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110)에 연결된 제2 박리날개(112)와 동력 전달부(120)에 연결된 제2 박리날개(112) 중 적어도 하나의 박리면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박리날개(112)를 복수개 마련한 후, 동력 전달부(120)에서 케이스(110) 측으로 높이가 낮아지도록 배치시킴으로써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고, 하나의 제2 박리날개(112)의 박리면을 가공하여 단차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2 박리날개(112)의 박리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경우 골재(A)의 박리 공간은 동력 전달부(120)에서 케이스(110) 측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게 되므로, 골재(A)의 이송 속도는 느려지게 되고, 이는 골재(A)의 박리 시간을 증가시켜 박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박리날개(112)의 박리면은 요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요철 형상의 볼록한 박리면과 오록한 박리면으로 인해 박리 공간은 넓어지는 것과 좁아지는 것이 반복되므로, 골재(A)는 넓은 공간에서는 표면이 마모되고, 좁은 공간에서는 파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박리실(S3)은 제2 박리실(S2)의 하부에 위치하여 골재(A)를 공급받으며, 내부에는 골재(A)를 박리하기 위한 제3 박리날개(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박리날개(113)는 복수로 구비되어 동력 전달부(120)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박리날개(112)에 의하여 2차 박리된 골재(A)를 공급받아 3차 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박리날개(113)는 제2 차단벽(112a)의 하부에 체결부재(c)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원주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배열될 수 있다. 즉, 제3 박리날개(113)가 24개 구비된 경우, 제3 박리날개(113)는 회전 축(122)에 15˚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박리날개(113)가 제2 차단벽(112a)의 하부에 연결됨에 따라, 제3 박리날개(113)는 제2 박리날개(112)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3 박리날개(113)의 상부에는 원판 형상의 제2 차단벽(112a)에 의하여 막혀 있으므로, 제2 박리실(S2)을 통과한 골재(A)는 제2 차단벽(112a)과 케이스(110) 사이의 공간, 즉 케이스(1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유입될 수 있고, 제3 박리날개(113)는 측면의 날개를 통해 골재(A)를 박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제1 박리실(S1)과, 제2 박리실(S2), 및 제3 박리실(S3)에서 각각 박리가 이루어진 골재(A)는 케이스(110)의 하측에 마련된 배출구(110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110b)는 골재(A)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제3 박리날개(113)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110b)를 통해 배출된 골재(A)는 스크린(20)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크린(20)은 케이스(1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고, 내부에 거름망(21)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박리날개(111)와, 제2 박리날개(112), 및 제3 박리날개(113)에 의하여 박리가 완료된 골재(A)는 배출구(110b)를 통해 스크린(20)으로 공급되고, 스크린(20)에 의하여 골재(A)는 5 ~ 20mm의 입경을 갖는 순환골재(B)와 5mm 미만의 입경을 갖는 미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3 박리날개(113)는 케이스(110) 내부에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박리날개(113)는 동력 전달부(120)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제3 날개부(13)와, 동력 전달부(120)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제3 날개부(13)의 하부에서 제3 날개부(13) 보다 더 내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4 날개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날개부(13) 및 제4 날개부(14)는 원주 방향을 따라 균등하게 배열될 수 있고, 연결부재(30)를 통해 제2 차단벽(112a)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날개부(13) 및 제4 날개부(14)는 박리 용량에 따라 개수 및 직경이 다르게 형성되고, 배열 간격은 125 ~ 135의 피치로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날개부(13) 및 제4 날개부(14)는 시간당 30톤(30ton/h) 또는 50톤(50ton/h)의 용량을 박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날개부(13) 및 제4 날개부(14)의 용량이 30ton/h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3 날개부(13)의 직경은 1,00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24개 구비되어 제2 차단벽(112a)의 하부에 125 ~ 135, 보다 상세히 130의 피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날개부(14)는 직경이 68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16개 구비되어 제3 날개부(13)의 하측에 125 ~ 135, 보다 상세히 133의 피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날개부(13) 및 제4 날개부(14)의 용량이 50ton/h으로 제공되는 경우, 제3 날개부(13)의 직경은 1,25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30개 구비되어 제2 차단벽(112a)의 하부에 125 ~ 135, 보다 상세히 130의 피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날개부(14)는 직경이 850mm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20개 구비되어 제3 날개부(13)의 하측에 125 ~ 135, 보다 상세히 133의 피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박리 용량을 30ton/h과, 50ton/h으로 설명하였으나, 70ton/h, 100ton/h, 200ton/h과 같이 다양한 용량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박리 용량에 따라 제3 날개부(13) 및 제4 날개부(14)의 직경 및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제3 날개부(13) 및 제4 날개부(14)의 피치 간격은 박리 용량과 상관없이 125 ~ 135mm로 일정하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박리날개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제1 박리날개가 복수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박리날개(111)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 홀(h)에 체결부재(c)를 관통시킨 후 동력 전달부(120)에 연결하는 방식으로 제1 박리날개(111)를 동력 전달부(120)에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제1 박리날개(11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구비되어 체결부재(c)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c)를 통해 복수의 제1 박리날개(111)를 길이 방향으로 결합하는 경우, 제1 박리날개(111)를 원하는 길이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1 박리날개(111)를 각각 다른 길이로 제조하지 않고도 제1 박리날개(111)의 길이의 조절이 가능해지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박리날개(111)와 제3 박리날개(113)는 서로 호환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제3 박리날개(113) 또한 제1 박리날개(111)와 마찬가지로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c)를 통해 동력 전달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박리날개(111) 및 제3 박리날개(113)가 체결부재(c)를 통해 동력 전달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에 따라, 골재(A)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교체가 용이하고, 박리 정도에 따라 제1 박리날개(111) 및 제3 박리날개(113)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도 2의 제2 박리날개에 구비된 제1 날개부의 박리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2의 제2 박리날개에 구비된 제2 날개부의 박리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박리날개(112)는 제2 차단벽(112a)의 상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날개부(11)와, 제1 날개부(11)의 상부에 이격 배치된 제2 날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날개부(11)가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어 도 2에서 하부에 위치한 제2 박리날개(112)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날개부(12)가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어 도 2에서 상부에 위치한 제2 박리날개(112)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제2 박리날개(112)에 의하여 제2 박리실(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박리날개(112)가 복수의 제1 날개부(11) 또는 제2 날개부(1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됨에 따라, 골재(A)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마모된 제1 날개부(11) 또는 제2 날개부(12)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제2 날개부(12)의 내주면에는 제1 박리실(S1)을 통과한 골재(A)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내주면에 복수의 절개 홀(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 홀(12a)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제2 박리실(S2)로 유입되는 골재(A)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날개부(12)는 케이스(110)와 제2 차단벽(112a) 사이에 제공되고, 진동 인가수단(13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날개부(12)는 진동 인가수단(130)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인가수단(130)은 진동기(131)와, 진동부재(132), 및 스프링부재(133)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기(131)는 케이스(110)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기(131)는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진동을 일으키는 장치라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고, 일례로 바이브레이터(오실레이터), 편심캠이 구비된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동부재(132)는 진동기(131)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제2 날개부(1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부재(132)는 하측면이 원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고, 하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함몰된 제1 홈부(132a)와, 제1 홈부(132a)보다 더 깊게 함몰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제2 홈부(132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재(132)의 내측면에는 동력 전달부(120) 측으로 돌출되고, 하측면에 제2 홈부(132b)보다 더 깊게 함몰된 제3 홈부(132c)가 형성된 돌출부재(32)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날개부(12)는 제1 홈부(132a)와, 제2 홈부(132b), 및 제3 홈부(132c)에 각각 삽입되어 박리면에 단차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날개부(12)의 단차에 의하여 골재(A)의 박리 공간을 조절함으로써 박리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게 된다.
스프링부재(133)는 진동기(131)와 진동부재(132) 사이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동기(131)와 진동부재(132) 사이에 스프링부재(133)가 제공됨에 따라, 진동기(131)가 구동하면 진동부재(132)의 진폭이 증가하여 박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날개부(11) 및 제2 날개부(12)의 박리면은 요철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에 배치된 제1 날개부(11)가 회전하고, 상부에 배치된 제2 날개부(12)가 상하부로 진동하게 되면, 제1 날개부(11)와 제2 날개부(12) 사이에 위치한 골재(A)는 요철 홈과 요철 돌기 사이의 공간에서 회전 마찰 및 상하 방향의 가압력에 의하여 박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100)는 케이스(110) 내부가 제1 박리날개(111)를 구비한 제1 박리실(S1)과, 제2 박리날개(112)를 구비한 제1 박리실(S2), 및 제3 박리날개(113)를 구비한 제3 박리실(S3)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케이스(110) 내에서 3단계로 박리되므로, 하나의 박리실만 구비한 종래의 박리장치에 비하여 박리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제2 박리날개(112)를 진동 인가수단(130)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진동시키고, 하부에 위치한 제2 박리날개(112)를 동력 전달부(120)에 연결하여 일방향으로 이송시켜줌으로써, 골재(A)에는 회전 마찰 및 상하 방향의 가압력이 동시에 전달되어 박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제2 박리날개(112) 중 하나의 박리면에 단차를 형성하여 골재(A)의 박리 공간을 넓히거나 줄여줌으로써, 골재(A)의 이송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는 최적의 박리 시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 박리날개(112)의 박리면을 요철 형상으로 형성해 줌으로써, 골재(A)는 오목한 박리면에서는 표면이 마모되고, 볼록한 박리면에서는 파쇄가 이루어져 박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박리날개(112)가 제1 날개부(11) 또는 제2 날개부(12)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됨에 따라, 골재(A)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마모된 제1 날개부(11) 또는 제2 날개부(12)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박리날개(111)와 제3 박리날개(113)를 서로 호환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함으로써, 제1 박리날개(111)와 제3 박리날개(113)를 따로 제조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박리날개(111)와 제3 박리날개(113)가 체결부재(c)를 통해 동력 전달부(12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에 따라, 골재(A)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교체가 용이하고, 박리 정도에 따라 제1 박리날개(111) 및 제3 박리날개(113)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S1: 제1 박리실
S2: 제2 박리실
S3: 제3 박리실
110: 케이스
111: 제1 박리날개
112: 제2 박리날개
113: 제3 박리날개
120: 동력 전달부
121: 회전 모터
122: 회전 축
130: 진동 인가수단
131: 진동기
132: 진동부재
133: 스프링부재

Claims (20)

  1. 골재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박리하여 순환골재를 획득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부에 상기 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골재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의 박리실이 마련된 케이스; 및
    일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실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박리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박리날개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투입구로부터 공급된 골재가 박리 및 분배되는 제1 박리실과,
    상기 제1 박리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골재를 공급받으며,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동력 전달부에 각각 수평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2 박리날개를 통해 상기 골재가 박리되는 제2 박리실과,
    상기 제2 박리실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골재를 공급받으며, 상기 동력 전달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3 박리날개를 통해 상기 골재가 박리되는 제3 박리실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제2 박리날개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연결된 제2 박리날개 중 적어도 하나의 박리면은 단차를 갖도록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실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 박리날개 사이에 마련된 제1 차단벽을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리날개는 기 설정된 폭을 갖는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제2 박리날개는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결합되어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판 형상으로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2 박리날개의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박리날개와 결합하고, 상기 제2 박리날개는 상기 제1 박리실을 통과한 상기 골재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내주면에 복수의 절개 홀이 형성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리날개의 박리면은 요철 형상으로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연결된 상기 제2 박리날개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리실은 상기 동력 전달부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제2 차단벽을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박리날개는 상기 제2 차단벽의 상부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제1 날개부와, 상기 제1 날개부의 상부에 이격 배치된 제2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리실을 통과한 상기 골재는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 사이의 공간에서 박리가 이루어지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2 차단벽 사이에 제공되고, 진동 인가수단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인가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안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기와,
    상기 진동기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고, 하부에 상기 제2 날개부가 배치되는 진동부재와,
    상기 진동기와 상기 진동부재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의 하측면에는 둘레를 따라 함몰된 제1 홈부와, 상기 제1 홈부보다 더 깊게 함몰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제2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1 홈부 및 상기 제2 홈부에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재는 상기 동력 전달부 측으로 돌출되고, 하측면에 상기 제2 홈부보다 더 깊게 함몰된 제3 홈부가 형성된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홈부에는 상기 제2 날개부가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박리날개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외주면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제3 날개부와,
    상기 동력 전달부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3 날개부의 하부에서 상기 제3 날개부 보다 더 내측 방향으로 배치된 제4 날개부를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날개와 상기 제3 박리날개는 서로 호환 가능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3 박리날개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길이 방향으로 관통 홀이 형성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3 박리날개는 상기 관통 홀을 통과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상기 동력 전달부에 결합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3 박리날개와 마주하게 배치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된 회전 모터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일부가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 박리날개와, 상기 제2 박리날개, 및 상기 제3 박리날개로 전달하는 회전 축을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는 거름망을 구비한 스크린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박리날개와, 상기 제2 박리날개, 및 상기 제3 박리날개에 의하여 박리가 완료된 골재는 각각 미분과 순환골재로 분리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KR1020200090034A 2020-07-21 2020-07-21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KR102189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34A KR102189907B1 (ko) 2020-07-21 2020-07-21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034A KR102189907B1 (ko) 2020-07-21 2020-07-21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907B1 true KR102189907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034A KR102189907B1 (ko) 2020-07-21 2020-07-21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9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88B1 (ko) * 2004-05-24 2006-01-24 하용간 수직축 충격파쇄기
KR20140011871A (ko) 2012-07-20 2014-01-29 이상철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와 그 생산방법
KR101657304B1 (ko) * 2014-07-01 2016-09-20 주식회사 리텍 다수개의 완충수단을 구비한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KR101750252B1 (ko) * 2016-03-14 2017-06-27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다단 골재 박리기
KR102054995B1 (ko) * 2019-07-24 2019-12-12 (주)모악환경산업 골재의 건식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788B1 (ko) * 2004-05-24 2006-01-24 하용간 수직축 충격파쇄기
KR20140011871A (ko) 2012-07-20 2014-01-29 이상철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와 그 생산방법
KR101494819B1 (ko) * 2012-07-20 2015-02-23 이상철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와 그 생산방법
KR101657304B1 (ko) * 2014-07-01 2016-09-20 주식회사 리텍 다수개의 완충수단을 구비한 폐골재 표면에 형성된 시멘트 박리제거장치
KR101750252B1 (ko) * 2016-03-14 2017-06-27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다단 골재 박리기
KR102054995B1 (ko) * 2019-07-24 2019-12-12 (주)모악환경산업 골재의 건식 이물질 분리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41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KR101682952B1 (ko) 다중의 수평 임펠러 회전파쇄장치에 경사각을 가진 다단 캔틸레버 타격 바와 시멘트모르타르 박리용 팽이 마쇄수단을 이용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1292596B1 (ko)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CN110420738B (zh) 一种带有磨砂机和干法离心式除粉分级的高品质机制砂生产工艺
JP3541693B2 (ja) 粉粒体の解砕整粒装置
CN105833948B (zh) 搅拌球磨机和用于搅拌球磨机的磨盘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816678B1 (ko) 순환골재 생산용 폐콘크리트 분쇄장치 및 이를이용한 폐콘크리트 재생방법
KR102166923B1 (ko) 폐도로포장물을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 및 생산방법
KR102189907B1 (ko) 복수의 박리실을 구비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JP2006312136A (ja) 粉砕方法および粉砕装置
KR101244089B1 (ko) 다중 딜레이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1244066B1 (ko) 다중 스크린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CN211134212U (zh) 一种离心式再生骨料剥离整形机
KR101101878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겸 마쇄장치
KR101194661B1 (ko) 골재 마쇄장치
KR100599459B1 (ko) 파쇄기
KR20210132250A (ko) 건설폐기물 처리 및 재활용 장치
CN114798057B (zh) 一种再生砂石加工用破碎装置
KR101808854B1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KR101292595B1 (ko)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20040087008A (ko) 모래제조장치
KR200229577Y1 (ko)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입형 및 품질 개선장치
KR102189906B1 (ko)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