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906B1 -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 Google Patents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906B1
KR102189906B1 KR1020200069181A KR20200069181A KR102189906B1 KR 102189906 B1 KR102189906 B1 KR 102189906B1 KR 1020200069181 A KR1020200069181 A KR 1020200069181A KR 20200069181 A KR20200069181 A KR 20200069181A KR 102189906 B1 KR102189906 B1 KR 102189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peeling
rotation shaft
wing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표
박승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주식회사 두승
성산환경주식회사
주식회사 홍명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주식회사 두승, 성산환경주식회사, 주식회사 홍명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6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9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02C13/18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with beaters rigidly connected to the r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two or more co-operating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박리하고,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는 내부에 박리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상기 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박리 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박리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모르타르를 1차 박리하는 복수의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모르타르를 2차 박리하는 복수의 제2 박리날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Mortar peeling apparatus on aggregate surface with two-axis crossing blades}
본 발명은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2축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다수의 박리날개를 이용하여 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시멘트 모르타르를 박리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의 재개발공사와 도로공사의 보수 등으로 각종 건설폐기물이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에 대한 효율적인 자원순환이 매우 미미하고, 대부분의 폐콘크리트가 저급용도로 단순 처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자원의 낭비는 물론 각종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이의 적극적인 활용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종 건설폐기물의 적극적인 활용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에 사용되는 처리 장치나 그 방법들에 대해 많은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품질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 장치는 대형의 고형화된 폐콘크리트나 폐아스팔트콘리트 및 각종 건설부자재 등을 용도에 맞게 파쇄·분류하는 파쇄 및 선별 장치가 주요 구성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장치에 의해 파쇄, 분류된 폐기물은 통상 건설 및 토목분야에서 매립, 성토용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보통의 골재와 혼합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나, 종래의 장치에 의해 재생된 파쇄골재의 경우에는 관련 규정에 적합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생산된 파쇄골재 표면에 시멘트 모르타르가 다량 붙어있거나 석분 및 미세한 이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거나 불규칙한 입도 등으로 전체적인 품질이 저하되고, 이의 원인으로 인해 제반 기준에 부적합한 제품이 생산되어 그 이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판로를 확보하지 못해 막대한 설비는 물론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의 수익성이 개선되지 못해 기술개발을 저해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011871(2014.01.29 공개)
본 발명의 과제는 2축 박리날개를 이용하여 교차 혼합 방식으로 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효율적으로 박리시켜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골재를 연속적으로 투입하며 박리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된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는 골재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박리하여 순환골재를 획득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박리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상부에 상기 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박리 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박리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모르타르를 1차 박리하는 복수의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모르타르를 2차 박리하는 복수의 제2 박리날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박리날개는 각각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박리날개는 끝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회전시 타격 및 마찰에 의해 상기 골재를 박리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제1 날개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날개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골재를 박리하며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날개부 및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는 각각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박리날개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1 날개 결합부 및 제2 날개 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날개 결합부 및 상기 제2 날개 결합부는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120° 간격으로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날개부는 일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날개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날개부는 일측에 상기 제2 날개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 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폭이 상기 제2 삽입 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부위의 일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사각의 박스 형상에서 모서리 부위에 모따기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8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골재와 마찰되는 충돌골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축은 동력 전달부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하여 동일한 속도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된 회전 모터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2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골재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이송량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량 조절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제1 박리날개들 및 상기 제2 박리날개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차폐부재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박리 공간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순환골재 거름망을 구비한 스크린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박리날개에 의하여 박리가 완료된 파쇄골재는 각각 미분과 순환골재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내부에 박리날개가 구비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설치하여 교차 혼합 방식으로 골재의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제거하므로, 하나의 회전축만을 구비한 종래의 박리장치에 비하여 박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부의 양측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 케이스 내부로 투입된 골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이송 장치 없이도 골재의 박리 속도를 제어하여 박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를 탈착 가능하게 제공함으로써 골재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교체가 용이하고, 박리 성능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의 개수 및 타격 방향을 원하는 배열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골재와 마찰되는 충돌골재를 제공함으로써 골재와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박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라이너를 구비하지 않고도 케이스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충돌골재에 의하여 라이너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라이너의 마모로 인해 주기적으로 라이너를 교체해주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및 동력 전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로 골재가 투입 및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박리날개의 측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날개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날개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및 동력 전달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로 골재가 투입 및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100)는 골재(A)의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박리하여 순환골재(B)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110)와, 제1 회전축(120)과, 제2 회전축(130)과,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박리 공간(S)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 골재(A)가 투입되는 투입구(110a)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배출구(110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0)의 투입구(110a)로 투입되는 골재(A)는 시멘트 모르타르가 표면에 붙어있는 것으로서, 건설폐기물 파쇄설비 공정 라인에서 1차 죠크러셔(미도시), 2차 더불죠(미도시), 및 콘크러셔(미도시), 3차 콘크러셔(미도시) 또는 임팩트 크러셔(미도시) 등의 공정을 거쳐 스크린된 5 ~ 20mm의 입도를 갖는 골재(A)일 수 있다. 이때, 투입구(110a)로 투입되는 골재(A)는 투입 콘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유입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모서리 부위에 모따기 형상의 경사면(111)이 형성된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0)는 8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케이스(110)가 8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후술되는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가 회전 구동할 때, 원형이나 사각 형상의 케이스와 비교하여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의 끝단이 케이스(110)의 경사면(111)과 근접하게 위치하여 박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케이스(110)의 투입구(110a)에는 골재 거름망(11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골재 거름망(112)은 20 ~ 35mm의 홀이 형성된 그물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입구(110a)에 골재 거름망(112)이 제공됨에 따라, 오버 입도를 갖는 골재(A)를 미리 걸러내 박리 시간이 증가하고, 장치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작업대(10)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수평 조절부재에 의하여 배출구(110b)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조절부재는 케이스(110)의 일측 하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10)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승강 시킴으로써 배출구(110b)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가 수평 조절부재에 의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기울어진 경사도에 따라 케이스(110) 내부에서 배출구(110b) 측으로 이동하는 골재(A)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회전축(120)은 박리 공간(S)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축(120)은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 내의 중심축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축(120)의 양단은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케이스(110) 밖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120)의 양단에는 케이스(110)로부터 제1 회전축(1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부(30)가 연결될 수 있다.
제1 회전축(12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1 날개 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날개 결합부(121)는 제1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날개 결합부(121)의 개수는 박리 성능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30)은 제1 회전축(120)과 이격 배치되고, 박리 공간(S) 내에서 제1 회전축(120)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전축(130)은 제1 회전축(120)과 마찬가지로 케이스(11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기둥 또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 내의 중심축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축(130)의 양단은 케이스(110)를 관통하여 케이스(110) 밖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회전축(130)의 양단에는 케이스(110)로부터 제2 회전축(13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제2 지지부(40)가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전축(130)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제2 날개 결합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날개 결합부(131)는 제2 회전축(13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날개 결합부(121)와 간섭되지 않도록 제1 날개부(121)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날개 결합부(121)는 제1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20° 간격으로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고, 제2 날개 결합부(131)는 제1 날개 결합부(121)와 간섭되지 않도록 원주 방향으로 약 30° 기울어지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2 회전축(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120° 간격으로 기울어지게 배열될 수 있다(도 5 참조).
제1 박리날개(14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120)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골재(A)에 붙은 모르타르를 1차 박리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박리날개(140)는 제1 회전축(12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날개부(141)와 제2 날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박리날개(140))가 탈착 가능하게 제공됨에 따라, 골재(A)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교체가 용이하고, 박리 정도에 따라 제1 박리날개(140)의 개수 및 타격 방향을 원하는 배열로 조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2 박리날개(150)는 제2 회전축(130)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모르타르를 2차 박리할 수 있다. 제2 박리날개(150)는 제1 박리날개(140)와 마찬가지로 제2 회전축(130)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제1 날개부(151)와 제2 날개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는 각각 제1 날개 결합부(121) 및 제2 날개 결합부(131)를 통해 제1 회전축(120) 및 제2 회전축(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는 동일 선상에서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골재(A)는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 사이에서 교차 혼합되며 박리되므로 박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박리날개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 날개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 날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1 박리날개(140)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제2 박리날개(150)의 구조 및 동작은 제1 박리날개(140)와 동일하므로, 제2 박리날개(150)의 도면 및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박리날개(140)는 제1 날개 결합부(121)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날개부(141)와 제2 날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날개 결합부(121)가 제1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으로 18개 제공되는 경우, 제1 날개 결합부(121)는 원주 방향으로 120°씩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 결합부(121)는 3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어 회전하게 되고, 정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날개 결합부(121)의 양단에 결합된 제1 날개부(141) 및 제2 날개부(142)는 60° 간격을 두고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날개 결합부(121)의 양단에는 서로 모양이 상이한 제1 날개부(141)와 제2 날개부(142)가 결합되므로, 회전시 무게 중심이 제1 회전축(120)의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제1 날개부(141)의 중심축을 편심 되도록 제1 회전축(1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41)와 제2 날개부(142)의 형상이 다르게 형성되더라도 회전시 무게 중심이 제1 회전축(120)의 중심에 위치하여 진동을 줄이고, 박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날개부(141)는 박리 전용 날개로서 끝단이 케이스(110)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회전시 타격 및 마찰에 의해 골재(A)를 박리할 수 있으며, 골재(A)의 타격 마찰에 적합하도록 내마모성이 우수한 크롬강(Chrome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날개부(141)는 일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날개부(141)가 경사면이 없는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회전 구동시 골재(A)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며 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제1 날개부(141)는 일측에 제1 날개 결합부(121)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 홈(14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 및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 날개 결합부(1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141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 홈(141a)은 제1 날개 결합부(12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날개 결합부(121)가 삽입되었을 때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해주기 위하여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체결부재는 제1 날개부(141)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박리 공정시 체결부재가 골재(A)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날개부(142)는 박리 및 이송 전용 날개로서 제1 날개부(141)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 날개부(141)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회전시 골재(A)를 박리하며 배출구(110b) 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날개부(142)는 내마모성이 우수한 크롬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박리날개(140)보다 골재(A)의 입도(5 ~ 20mm) 만큼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날개부(141) 및 제2 날개부(142)가 회전할 때 제1 날개부(141)에 의하여 1차 박리 공정이 이루어진 후, 골재(A)는 제2 날개부(142)에 의하여 2차로 박리되며 배출구(110b)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제1 날개부(141)와 제2 날개부(142)는 제1 회전축(120)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골재(A)는 케이스(110) 내에서 반복적으로 박리 및 이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날개부(142)는 일측에 제1 날개 결합부(121)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 홈(142a)이 형성되고, 볼트 및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제1 날개 결합부(121)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일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홀(142b)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삽입 홈(142a)은 제2 날개 결합부(13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날개 결합부(121)가 삽입되었을 때 결합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해주기 위하여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체결부재는 제2 날개부(142)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박리 공정시 체결부재가 골재(A)와 부딪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날개부(142)는 양측면의 폭이 제2 삽입 홈(142a)이 형성된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142C)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날개부(142)의 양측면에 경사면(142C)이 형성됨에 따라, 제2 날개부(142)의 조립 위치에 따라 골재(A)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박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우측 첫번째에 위치한 제2 날개부(142)의 경사면(142C)이 좌측을 향하도록 배치시킨 경우 골재(A)는 경사면(142C)을 따라 투입구(110a)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좌측 첫번째에 위치한 제2 날개부(142)의 경사면(142C)이 우측을 향하도록 배치시킨 경우 골재(A)는 경사면(142C)을 따라 배출구(110b)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처럼 경사면(142C)의 위치에 따라 골재(A)의 이송 방향이 달라지게 되므로, 제2 날개부(142)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면 골재(A)가 이송되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날개부(142)의 경사면(142C)을 모두 한 방향으로 배시킨 경우 골재(A)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제2 날개부(142)들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142C)을 다른 방향으로 배치시키면 골재(A)의 이송 속도를 느리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박리 성능에 따라 제2 날개부(142)의 경사면(142C) 방향을 적절히 조절하는 경우 박리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제2 날개부(142)의 경사면(142C)의 방향은 자유롭게 배치 가능하나, 양단에 배치된 제2 날개부(142)의 경우 골재(A)가 케이스(110)의 양측 단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에서 우측 끝단 및 좌측 끝단에 배치된 제2 날개부(142)의 경사면(142C)이 케이스(110)의 중심부를 향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골재(A)를 투입구(110a) 및 배출구(110b) 측으로 유도하여 박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날개부(142)는 경사면(142C)이 형성된 부위의 일단(142d)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골재(A)는 제2 날개부(142)의 일단(142d)과 케이스(110) 사이의 공간에서 박리되며 경사면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제2 박리날개(150)에 형성된 제1 날개부(151)와 제2 날개부(152)의 구조는 앞서 설명한 제1 날개부(141) 및 제2 날개부(142)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제1 회전축(120)은 동력 전달부(160)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제2 회전축(130)은 제1 회전축(120)과 연동하여 동일한 속도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부(160)는 회전 모터(161)와, 구동 풀리(162)와, 제1 기어(163), 및 제2 기어(16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161)는 제1 회전축(120)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모터(161)는 박리에 적합한 속도로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10 ~ 12sec의 시간 동안 약 300rpm ~ 500rpm의 크기, 보다 상세히 374rpm의 크기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구동 풀리(162)는 제1 회전축(120) 및 회전 모터(161)의 회전 축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 모터(161)의 회전력을 제1 회전축(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기어(163)는 제1 회전축(120)의 일측에 연결되고, 구동 풀리(162)에 의하여 제1 회전축(12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기어(163)는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164)는 제2 회전축(130)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1 기어(163)와 치합되어 제1 회전축(120)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164)는 제1 기어(163)와 마찬가지로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기어(163)와 치합됨에 따라 제1 기어(163)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동력 전달부(160)에 의하여 제1 회전축(120) 및 제2 회전축(13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고, 제1 회전축(120) 및 제2 회전축(130)에 연결된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는 동력 전달부(160)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아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된 골재(A)의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박리 및 이송시키며 순환골재(B)를 생성한 후 배출구(110b)로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의 하부에는 거름망(21)을 구비한 스크린(20)이 배치되어 있어, 박리가 완료된 골재(A)는 배출구(110b)를 통해 스크린(20)으로 공급되고, 5 ~ 20mm의 입경을 갖는 순환골재(B)와 5mm 미만의 입경을 갖는 미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100)는 투입구(110a)에서 배출구(110b) 측으로 이송되는 골재(A)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이송량 조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량 조절부(170)는 차폐부재(171)와, 회전 지지부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차폐부재(171)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제1 박리날개(140)들 및 제2 박리날개(150)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케이스(110)의 내측 하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폐부재(171)는 케이스(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이동 바(71)와, 이동 바(71)의 끝단에 결합되고,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와 마주하는 부위에 오목한 곡면이 형성된 차폐 조절부(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지지부재(172)는 케이스(110)에 나사 결합되어 차폐부재(171)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전 이동에 의해 차폐부재(171)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박리 공간(S)의 개구율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 지지부재(172)는 볼트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10)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 차폐부재(171)를 상측 방향으로 밀거나 하측 방향으로 당겨 줌으로써 박리 공간(S)의 개구율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지지부재(172)에 의하여 차폐부재(171)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박리 공간(S)의 개구율은 감소되고, 이로 인해 박리 시간이 지연됨으로써 박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의 케이스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케이스(110)의 내부에는 골재(A)와 마찰되는 충돌골재(C)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충돌골재(C)는 별도로 자갈을 넣어 충진함으로써 형성될수도 있고 골재(A)가 투입되면서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일례로, 골재(A)가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되면, 골재(A)는 제1 박리날개(140) 및 제2 박리날개(150)의 회전 구동에 의하여 케이스(110)의 하측 바닥에 고르게 펴지면서 충돌골재(C)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110) 내부에 충돌골재(C)가 제공되는 경우 별도의 라이너를 구비하지 않아도 케이스(110) 내부를 보호할 수 있으며, 골재(A)와의 마찰력이 향상되어 박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케이스(110)를 8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원형이나 사각 형상의 케이스에 비하여 바닥면에 출돌골재(C)를 보다 넓게 분포시킬 수 있으므로 박리 효율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100)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박리날개가 구비된 제1 회전축(120) 및 제2 회전축(130)을 설치하여 교차 혼합 방식으로 골재(A)의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제거하므로, 하나의 회전축만을 구비한 종래의 박리장치에 비하여 박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날개부(142, 152)의 양측면에 경사면(142C)을 형성하여 케이스(110) 내부로 투입된 골재(A)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이송 장치 없이도 골재(A)의 박리 속도를 제어하여 박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골재(A)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 날개부(142, 152)의 조립 방향을 다르게 설정해주거나 케이스(110) 내부에 이송량 조절부(170)를 설치하는 경우 박리 속도의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순환골재의 연속적인 생산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케이스에 골재를 기 설정된 양만큼 넣은 후 일정시간 동안 박리를 진행하는 종래의 뱃지식 박리장치에 비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날개부(141, 151) 및 제2 날개부(142, 152)를 탈착 가능하게 제공함으로써 골재(A)에 의해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교체가 용이하고, 박리 성능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날개부(141, 151) 및 제2 날개부(142, 152)의 개수 및 타격 방향을 원하는 배열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내부에 골재(A)와 마찰되는 충돌골재(C)를 제공함으로써 골재(A)와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박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라이너를 구비하지 않고도 케이스(110) 내부를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충돌골재(C)에 의하여 라이너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라이너의 마모로 인해 주기적으로 라이너를 교체해주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케이스
120: 제1 회전축
121: 제1 날개 결합부
130: 제2 회전축
131: 제2 날개 결합부
140: 제1 박리날개
141: 제1 날개부
142: 제2 날개부
150: 제2 박리날개
151: 제1 날개부
152: 제2 날개부
160: 동력 전달부
170: 이송량 조절부

Claims (16)

  1. 골재 표면에 붙어있는 모르타르를 박리하여 순환골재를 획득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박리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 상부에 상기 골재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박리 공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과 이격 배치되고, 상기 박리 공간 내에서 상기 제1 회전축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제2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모르타르를 1차 박리하는 복수의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모르타르를 2차 박리하는 복수의 제2 박리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박리날개는,
    끝단이 상기 케이스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회전시 타격 및 마찰에 의해 상기 골재를 박리하는 제1 날개부와,
    상기 제1 날개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날개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골재를 박리하며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시키는 제2 날개부를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박리날개는 각각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 및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되,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2 회전축에는 각각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박리날개가 결합되는 복수의 제1 날개 결합부 및 제2 날개 결합부가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 결합부 및 상기 제2 날개 결합부는 간섭되지 않도록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120° 간격으로 기울어지게 배열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는 일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제1 날개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삽입 홈이 형성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는 일측에 상기 제2 날개 결합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삽입 홈이 형성되고, 양측면의 폭이 상기 제2 삽입 홈이 형성된 방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날개부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된 부위의 일단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각의 박스 형상에서 모서리 부위에 모따기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8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모르타르 박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골재와 마찰되는 충돌골재가 제공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동력 전달부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하여 동일한 속도로 회전 구동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에 배치된 회전 모터와,
    상기 제1 회전축 및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 축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구동 풀리와,
    상기 제1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하여 상기 제1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2 회전축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되는 상기 골재의 이송량을 조절하기 위한 이송량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량 조절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제1 박리날개들 및 상기 제2 박리날개들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 하부에 힌지 결합되는 차폐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차폐부재의 하부를 지지하고, 회전 이동에 의해 상기 차폐부재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박리 공간의 개구율을 조절하는 회전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거름망을 구비한 스크린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박리날개 및 상기 제2 박리날개에 의하여 박리가 완료된 골재는 각각 미분과 순환골재로 분리되는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KR1020200069181A 2020-06-08 2020-06-08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KR102189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81A KR102189906B1 (ko) 2020-06-08 2020-06-08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181A KR102189906B1 (ko) 2020-06-08 2020-06-08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906B1 true KR102189906B1 (ko) 2020-12-14

Family

ID=7378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181A KR102189906B1 (ko) 2020-06-08 2020-06-08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90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589Y1 (ko) * 2003-12-31 2004-04-03 이상원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JP3820356B2 (ja) * 2001-04-25 2006-09-13 福島鉄工株式会社 付着物剥離装置
KR100671038B1 (ko) * 2006-06-27 2007-01-19 대길산업주식회사 골재 재생장치
KR100799353B1 (ko) * 2007-07-25 2008-02-04 (주)모악환경산업 파쇄된 폐콘크리트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KR101205533B1 (ko) * 2012-06-20 2012-11-27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순환골재용 시멘트 모르타르 박리장치
KR20140011871A (ko) 2012-07-20 2014-01-29 이상철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와 그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0356B2 (ja) * 2001-04-25 2006-09-13 福島鉄工株式会社 付着物剥離装置
KR200346589Y1 (ko) * 2003-12-31 2004-04-03 이상원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KR100671038B1 (ko) * 2006-06-27 2007-01-19 대길산업주식회사 골재 재생장치
KR100799353B1 (ko) * 2007-07-25 2008-02-04 (주)모악환경산업 파쇄된 폐콘크리트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KR101205533B1 (ko) * 2012-06-20 2012-11-27 주식회사 디앤씨엔텍 순환골재용 시멘트 모르타르 박리장치
KR20140011871A (ko) 2012-07-20 2014-01-29 이상철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순환골재 생산장치와 그 생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470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기
KR10182841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제조장치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659236B1 (ko) 스크린 선별장치를 가진 링 롤러 밀
KR20090016079A (ko) 재생골재의 제조장치
JP7203425B2 (ja) 多軸式破砕篩装置
DE69934183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lassand und System dafür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20080114459A (ko) 골재 분류 장치
KR100848163B1 (ko) 순환골재의 표면박리와 입도개선 장치
CN111570009A (zh) 一种腻子材料加工设备
KR10092332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244089B1 (ko) 다중 딜레이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2189906B1 (ko)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KR101364135B1 (ko) 순환골재용 시멘트 모르타르 박리장치
KR101194661B1 (ko) 골재 마쇄장치
KR101492212B1 (ko) 파분쇄와 박리에 의한 순환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0870650B1 (ko) 골재의 제조장치
KR10079316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눈막힘방지장치용 드럼벨
KR100570901B1 (ko)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100599459B1 (ko) 파쇄기
CN214555065U (zh) 公路修建废料分筛装置
KR102223600B1 (ko) 개량형 다축 방향 마쇄기 구조
KR100793169B1 (ko)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 몰탈제거 및 모래생산용 원통형의스크류 드럼벨
KR200229577Y1 (ko)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입형 및 품질 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