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6589Y1 -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 Google Patents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6589Y1
KR200346589Y1 KR20-2003-0040843U KR20030040843U KR200346589Y1 KR 200346589 Y1 KR200346589 Y1 KR 200346589Y1 KR 20030040843 U KR20030040843 U KR 20030040843U KR 200346589 Y1 KR200346589 Y1 KR 200346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outlet
reservoir
dust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408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이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원 filed Critical 이상원
Priority to KR20-2003-00408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6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6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65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쇄·분말된 곡류 또는 고추의 분말가루를 체증없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분말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쇄 분말화 된 고추 또는 곡물을 받아서 일정량씩 연속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분쇄 분말된 가공물을 받아내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와, 유입된 분말 가루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에 연통되어 분말가루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을 갖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매 회전마다 상기 유출구를 지나가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와; 상기 유출구에서 쏟아지는 분말 가루를 일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실린더 배럴내에 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스크류와; 상기 와이퍼 및 이송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분쇄된 분말 가루가 날리지 않고, 정체없이 원활하게 분말 가루를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Powder discharge device of red pepper and grain without discharge stop and dust}
본 고안은 분쇄·분말된 곡류 또는 고추의 분말가루를 체증없이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분말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쇄된 분말 가루가 날리지 않고, 정체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분말가루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류나 고추 등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장치로서 분쇄 롤러가 사용된다. 분쇄 롤러는 한쌍 또는 두쌍이 위아래로 배치되어 분쇄를 반복시킴으로서 분말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반복 과정으로 인한 노동력을 줄이고 분쇄 효율을 높이기 위해 분쇄 롤러에 여러 형태의 구조를 갖기도 한다.
또한 분쇄 롤러에 대체하여 도 1과 같이 각기 분쇄커터(2a,3a)를 갖는 고정측 분쇄원반(2)과 회전측 분쇄원반(3)을 서로 대응시켜 일축에 결합시켜 놓고,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원반측 분쇄 커터를 분당 수천 회전수로 회전 구동시켜 분쇄 분말을 한 번에 완료시키는 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따라서 효율과 노동력면에서 분쇄 커터(2a,3a)를 갖는 분쇄 및 분말장치(10)가 우수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과 같은 분쇄 및 분말장치(10)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먼저, 분쇄 커터가 무척 빨리 회전하기 때문에 내부에서 에어압력이 형성되어 분말화된 가루가 배출되는 배출구로 센바람이 분사되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분쇄 및 분말장치(10)의 배출구에 큰 포대를 갖다데는데 있어 많은 분말가루가 날리게 되어 작업 환경이 좋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포대를 사용하지 않고 분말 날림 없이 분말 가루를 받아낼 수 있는 배출장치를 고안하게 되었다.
특히, 본 고안은 고추 분말 가루를 만드는데 있어 분말 가루가 배출통에 정체됨이 없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은,
분쇄 분말화 된 고추 또는 곡물을 받아서 일정량씩 연속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분쇄 분말된 가공물을 받아내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와, 유입된 분말 가루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와, 상기 유출구에 연통되어 분말가루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을 갖는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매 회전마다 상기 유출구를 지나가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와;
상기 유출구에서 쏟아지는 분말 가루를 일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실린더 배럴내에 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스크류와;
상기 와이퍼 및 이송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을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가루 배출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가루 배출장치의 부분 절취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저장통
22 : 유입구
24 : 유출구
30 : 와이퍼
40 : 회전축
60 : 유출구 조절판
70 : 이송스크류
80 : 실린더 배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가루 배출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출장치의 부분 절취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3에서 도면부호 '20'은 분쇄 및 분말장치(10)에서 배출되는 분말가루를 받아내는 '저장통'이다.
본 실시예에서 분쇄 및 분말장치(10)는 각기 분쇄커터(2a,3a)를 갖는 2개의 분쇄 원반(2,3)을 맞물려놓고, 어느 하나의 분쇄 원반(3)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호퍼(4)로부터 투입된 피분쇄물을 분말가루로 제조하는 장치로서,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형태에만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저장통(20)은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서, 그의 상부에는 분쇄 및 분말장치(10)로부터 분쇄된 분말 가루를 유입시키는 유입구(22)를 갖고, 그의 하부에는 저장통(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유출구(24)를 갖고 있고, 상기 유출구(24)에 연통된 실린더 배럴(80)이 구비되어 있다. 실린더 배럴(80)은 저장통(2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장통(20)에는 분쇄 및 분말장치(10)로부터 유입되는 에어압을 제거하기 위해 배기망(28)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저장통(20)의 내부에는 와이퍼(3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30)는 저장통(30)의 중심선상에 회전 구동하게 배치된 회전축(40)에 아암(50)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40)과 아암(50)의 고정수단은 볼트, 용접, 키이 결합 등의 고정수단이 다 포함된다.
상기 와이퍼(30)는 적어도 유출구(24)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퍼(30)는 저장통(20)의 내측 원주 벽면에 밀착되거나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와이퍼(30)는 고무, 합성수지, 금속, 목재 등등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력성을 갖는 고무나 수지재가 좋다. 또한 와이퍼(30)는 자체가 솔 형태의 브러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40)이 매 360도 회전 구동하게 되면 와이퍼(30)는 저장통(20)의 내측 원주벽면을 쓸고지나가면서 한번씩 유출구(24) 위를 훌고 지나가게 되어 있다.
상기 저장통(20)내에는 실질적으로 유출구(24)를 빠져나가는 분말 가루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유출구 조절판(60)이 배치되어 있다. 유출구 조절판(60)은 원형으로서 저장통(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회전축(40)에 끼움되어 있다. 유출구 조절판(60)은 회전축(40)에 고정수단 예로, 볼트(62)로 고정될 수 있다. 볼트(62)는 유출구 조절판(60)의 중앙 보스부(62)에 나사 체결되어 있다. 이때 유출구 조절판(60)은 와이퍼(30)가 지나가는 절개구멍(64)을 갖는다.
따라서 유출구 조절판(60)을 이동 위치 조절함에 따라 실질적으로 저장통(20)을 빠져나가는 분말 가루의 량이 결정된다. 한편, 유출구 조절판(60)은유출구(2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부가적으로 후술할 이송스크류(70)가 위치되는 배출구(82)로 분말가루가 날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도 달성한다.
상기 저장통(20)에는 유출구(24)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이송스크류(70)가 배치되어 있고, 이송스크류(70)는 실린더 배럴(80)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송스크류(70)는 유출구(24)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다. 본 고안은 하나의 이송스크류(70)를 채택하였으나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출구 조절판(60)에 의해 설정된 유출구(24)를 빠져나가는 분말 가루는 이송스크류(70)에 의해 실린더 배럴(80)의 배출구(82)측으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실린더 배럴(80)의 배출구(82)측에는 자중에 의해 배출구(82)를 막고 배출물에 의해 상방으로 열리는 힌지도어(88)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도어(88)는 실질적으로 배출물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 닫아져 실린더 배(80)의 내부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40)과 이송스크류(70)는 구동수단인 기어드 모터(90)에 의해 구동하게 되어 있다. 즉, 기어드 모터(90)의 회전력은 제1체인(91)을 통해 이송스크류(70)에 전달되고, 이송스크류(70)의 회전력은 제2체인(92)을 통해 회전축(40)에 전달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이송스크류(70)는 제1체인(91)과 제2체인(92)을 연결시키기 위한 스프라켓 휠(74)(75)이 장착되어 있고,기어드모터(90)의 출력단과 회전축(40)에는 각기 구동스프라켓 휠(93)과 종동스프라켓 휠(94)이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수단은 하나의 기어드 모터(90)로 구성하였으나 개별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2개의 기어드모터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0)과 이송스크류(7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은 기어드 모터(90)가 아닌 상기 분쇄 및 분말장치(10)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회전 출력을 감속받아 구동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분쇄물이 고추일때 적용하여 설명한다. 이는 고추가 다른 분쇄물과 달리 분쇄시 기름 성질을 가지고 있어 저장통(20)의 벽면에 잘 달라붙어 배출 정체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먼저, 본 장치에 동력이 공급되면, 기어드모터(90)와 분쇄축(7)이 구동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분쇄축(7)은 도시안된 구동모터에 의해 분당 수천회전수로 고속 회전한다.
따라서, 호퍼(4)로부터 유입된 고추는 고속으로 회전 구동되는 분쇄 및 분말장치(10)에 의해 분쇄 분말화된다. 고추 분말 가루는 원통형의 타공망(8)을 거쳐 저장통(20)내의 유입구(22)를 통해 저장통(20)내로 화살표(100)방향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되는 고추 분말 가루는 유출구 조절판(60)에 차단되어에 해당하는 열려진 유출구(24)로만 배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기어드 모터(90)의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축(40)과 이송스크류(70)는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40)에 지지된 와이퍼(30)는 저장통(20)내의 벽면을 원주상으로 긁어내면서 회전축(40)을 중심으로 선회 운동을 하게 되고, 매 1회전시마다 유출구(24)를 지나게 된다.
따라서 저장통(20)내에 유입된 고추 분말 가루는 와이퍼(30)의 긁어내림으로 저장통(20)의 벽면에 달라붙는 일은 없게 된다. 동시에 와이퍼(30)는 고추 분말 가루를 저장통(20)내에서 휘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와이퍼(30)는 유출구(24)를 지나면서 고추분말 가루를 이송스크류(80)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같이 와이퍼(30)는 저장통(20)내에서 고추 분말 가루가 달라붙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유출구(24)를 통해 고추 분말 가루를 이송스크류(80)에 전달한다. 따라서 이송스크류(80)는 회전 구동되는 동안 실린더 배럴(80)의 배출구(82)를 통하여 고추 분말 가루가 연속적으로 화살표(102)방향으로 배출된다.
이때 저장통(20)의 내부에 유입구(22)를 통해 들어오는 분쇄 공기압은 배기망(28)을 통하여 화살표(104) 방향의 외기로 배출되므로 실린더 배럴(80)의 배출구(82)에서는 날리지 않는 고추 분말 가루가 배출된다.
따라서 저장통(20)내에서는 고추 분말 가루가 갖는 기름 성질로 인해 벽면에 달라붙는 현상을 없애므로서 정체되거나 막힘됨이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어 나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분쇄 대상물을 고추로 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곡물(쌀, 보리, 콩 등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고안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에 따르면, 와이퍼가 저장통내에서 휘젖는 회전 동작을 하면서 벽면에 부착되는 분말가루를 긁어내고 동시에 유출구를 지나면서 분말가루를 이송스크류측으로 밀어 공급하므로서 저장통내에서 정체되거나 빠져나가지 못하는 분말가루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저장통에 분말 가루와 함께 유입되는 분쇄측 공기압력은 대기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분진 없는 분말 가루를 받아낼 수 있다. 따라서 작업 환경이 쾌적하게 개선되고 분말 가루의 생산량이 증대된다.

Claims (6)

  1. 분쇄 분말화 된 고추 또는 곡물을 받아서 일정량씩 연속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분쇄 분말된 가공물을 받아내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22)와, 유입된 분말 가루를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24)와, 상기 유출구(24)에 연통되어 분말가루의 배출통로를 제공하는 실린더 배럴(80)를 갖는 저장통(20)과;
    상기 저장통(20)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매 회전마다 상기 유출구(24)를 지나가는 하나 이상의 와이퍼(30)와;
    상기 유출구(24)에서 쏟아지는 분말 가루를 일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실린더 배럴(80)내에 회전 구동가능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스크류(70)와;
    상기 와이퍼(30) 및 이송스크류(70)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20)에는 상기 와이퍼(30)를 지지하는 회전축(40)이 축설되고, 상기 회전축(40)에는 상기 유출구(24)의 길이를 가변시킬수 있는 원형의 유출구 조절판(60)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30)는 탄력을 갖는 고무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배럴(80)은 유출구(24)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20)에는 유입구(22)로 유입되는 에어압을 제거하기 위한 배기망(28)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20)은 원통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 배출장치.
KR20-2003-0040843U 2003-12-31 2003-12-31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KR200346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43U KR200346589Y1 (ko) 2003-12-31 2003-12-31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40843U KR200346589Y1 (ko) 2003-12-31 2003-12-31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6589Y1 true KR200346589Y1 (ko) 2004-04-03

Family

ID=4942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40843U KR200346589Y1 (ko) 2003-12-31 2003-12-31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658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033B1 (ko) * 2005-08-10 2006-12-26 김기대 고춧가루 분리기용 클리너
KR100973492B1 (ko) * 2009-10-05 2010-08-03 전제금 미분탄 시료 채취장치
KR102189906B1 (ko) * 2020-06-08 2020-12-14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033B1 (ko) * 2005-08-10 2006-12-26 김기대 고춧가루 분리기용 클리너
KR100973492B1 (ko) * 2009-10-05 2010-08-03 전제금 미분탄 시료 채취장치
KR102189906B1 (ko) * 2020-06-08 2020-12-14 주식회사 한국기술융합연구원 2축 다수의 교차 회전 날개가 구비된 골재 표면의 모르타르 박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85993B2 (ja) 撹拌ボールミル及び撹拌ボールミルの作動方法
US6123486A (en) Apparatus for metering bulk material
US5887808A (en) High efficiency grinding apparatus
CN107964849B (zh) 一种具有连续碎土和连续搅拌作用的路基改良土搅拌机
CN100421802C (zh) 粉碎机
CN114011537A (zh) 一种连续式捏合破碎装置
JPH07313104A (ja) 塊状の食品の切断装置
KR200346589Y1 (ko) 고추 및 곡물의 배출 막힘과 분진없는 분말 가루배출장치
US3260468A (en) Grinding mill and blower combination
CN112304055B (zh) 一种食品加工用谷物干燥粉碎装置
CN117225568B (zh) 一种硬质金属粉料用研磨设备
JP2750325B2 (ja) 解砕・整粒機
JP2004275937A (ja) 粉砕装置
CN219580683U (zh) 一种砂轮加工用磨粉机
JP2002095990A (ja) 粉砕分別機
WO2013162369A1 (en) Device for comminuting material and methods for applying such a device
EP0501999A1 (en) Apparatus for the processing of mixes and pastes
JP5580167B2 (ja) 抽出装置
JP2019515793A (ja) 粉砕機
CN216800070U (zh) 一种连续式捏合破碎装置
US3863815A (en) Grain metering device
CN220011035U (zh) 一种具有防堵结构的脱漆剂下料装置
CN215940508U (zh) 一种可防堵塞的中药筛分装置
CN220126487U (zh) 一种粉剂农药粉碎装置
KR970001782B1 (ko) 농산물의 연속분쇄방법 및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