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184A -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 Google Patents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184A
KR20170064184A KR1020150169558A KR20150169558A KR20170064184A KR 20170064184 A KR20170064184 A KR 20170064184A KR 1020150169558 A KR1020150169558 A KR 1020150169558A KR 20150169558 A KR20150169558 A KR 20150169558A KR 20170064184 A KR20170064184 A KR 20170064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aggregate
crushing
holes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8854B1 (ko
Inventor
전상배
Original Assignee
태양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양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양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8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1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 B02C4/26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a roller co-operating with a stationary member in the form of a grid or 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2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reinforced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골재를 내부로 안내하는 골재투입구가 그 상단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 골재배출구가 형성된 파쇄실, 상기 파쇄실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부,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 각각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이 홀을 통해 파쇄된 골재가 상기 롤러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들 사이에는 상기 롤러부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A crushing apparatus of aggregates crushing and particle-spectic collection}
본 발명은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재의 분쇄는 물론 입자별로 수집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파쇄기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의 철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는 골재를 회수하는 중간처리공정을 통하여 재활용되는데, 일반적인 중간처리공정은 다단계의 파쇄공정을 적용하여 재활용 용도의 골재크기로 파 분쇄하는 파쇄공정과, 풍력·자력 ·인력 등을 활용하여 철근이나 이물질을 선별분리하는 이물질분리공정과, 다양한 규격의 스크린을 다단계로 적용하여 재활용 용도에 의한 입도 크기로 분리하는 선별공정 및 입도조절 공정 등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고급용도의 폐콘크리트 중간처리공정은 주로 도로보조기층용 순환골재 생산공정과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공정으로 구분된다.
도로보조기층용 순환골재 생산공정은 입도를 맞추기 위한 파분쇄와 이물질 등의 분리 제거 공정 등 기본 공정수행에 의해 품질기술을 만족할 수 있으나 보다 고급 용도인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는 순환골재 자체가 콘크리트 2차 제품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강도에 직접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생산되는 골재 밀도가 2.5g/㎤ 이상이고, 흡수율이 3.0% 이하이어야 하며, 기타 실적률 및 이물질 함유량 등이 기준 이내이어야 하는 등 고도의 품질 기준을 만족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추가공정을 적용하여 생산한다.
콘크리트용 순환 굵은 골재의 품질과 관련하여 콘크리트의 품질(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골재 밀도와 흡수율은 순환골재에 포함된 모르타르 량 및 골재 내부 균열 정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골재에 부착 모르타르 량이 많으면 흡수율은 증가하고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이 뚜렷하며, 파분쇄 과정에서 골재의 원형이 훼손되어 내부에 크랙이 다수 발생한 경우에도 흡수율은 증가하고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천연골재를 30% 치환하여 시험한 압축강도에서도 뚜렷한 감소를 보인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의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추가 공정은 골재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부착 모르타르를 효과적으로 분리제거하여야 하며, 이를 위하여 기존 도로공사용 순환골재 생산을 위한 중간처리공정에 추가하여 1~2단계의 파분쇄공정과 각 공정에 수반되는 선별공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우리나라의 아스콘 사용량은 대략 2천8백4십만톤에 이르고 있으나, 전문 기술이 부족하고 그 중요성의 인식 부족으로 소홀히 취급받고 있다.
특히, 골재, 아스콘 생산 및 시공의 품질관리 문제로 그 평균수명이 저하되고 있으며, 여름철 집중강우 이후에는 포트홀과 같은 파손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아스콘용 골재와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콘크리트 골재에 비해 아스콘은 그 물량이 훨씬 적은 반면, 입도 및 입형에서 콘크리트 골재에 비해 더 까다로운 조건을 요구하여 생산 기피 현상이 발생한다.
둘째, 석산은 전국적으로 약 300개소가 있으나, 석산마다 일정하지 않은 장비 및 경로를 통해 골재를 생산하고, 이에 플랜트에 공급되는 골재의 입도 및 입형의 편차가 매우 커서 아스팔트 플랜트에서의 골재 품질 관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골재의 품질을 관리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가 미비하다.
넷째, 아스팔트 플랜트마다 콜드빈에 저장된 골재의 규격에 차이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석산에서 아스팔트 혼합물의 골재 규격(7호,8호,78호)에 따라 골재를 생산하지 않고, 주로 레미콘 골재를 생산하고 남은 골재를 이용하여 생산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섯째, 아스팔트 혼합물용 골재 입형 관련 규제의 문제가 발생하는바, 구체적으로는 편장석을 측정하기 위한 간단한 실험기구조차 갖추어져 있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레미콘/아스콘의 품질을 향상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특히 편장석율의 감소를 유도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원하는 크기의 입도를 골재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파쇄의 효율성을 도모하는 아스콘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시스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546911호(2015.08.18. 등록) KR 등록특허공보 제1492212호(2015.02.04.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작업자가 원하는 입도별 골재를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골재의 파쇄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골재를 내부로 안내하는 골재투입구가 그 상단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 골재배출구가 형성된 파쇄실, 상기 파쇄실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부,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 각각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이 홀을 통해 파쇄된 골재가 상기 롤러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들 사이에는 상기 롤러부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파쇄실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롤러,제2롤러 및 제3롤러가 설치되되, 상기 제1롤러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제1홀이, 상기 제2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제1홀의 크기보다 작은 제2홀이, 상기 제3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제2홀의 크기보다 작은 제3홀이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작은 입자가 롤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홀들 사이에는 상기 제1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제1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홀들 사이에는 상기 제2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제2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3홀들 사이에는 상기 제3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제3회전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제1,2,3회전돌기의 갯수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롤러, 제2롤러 및 제3롤러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각형의 단면 형태를 갖는 마찰부재가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마다 다수의 회전날개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골재배출구 하부에는, 골재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골재가 유입되는 투입구 및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 내에서 배출구의 상단에 지지고정되는 밑판기부 상에 메시판이 장착되는 밑판부, 상기 밑판부의 중앙에 그 하단이 지지되는 수직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회전축에 연결된 수평지지대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된 연자돌이 회전하면서 상기 밑판부상의 파쇄부재를 파쇄하여 배출시키는 더 연자돌파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밑판기부 상으로는 상이한 직경의 메쉬구멍들이 형성된 다수의 메시판 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동시한 가능한 파쇄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둘째, 수집한 입자별 골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나 혼합 사용시 그 용이성이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골재를 파쇄하는 롤러가 상하로 이동하여 그 파쇄가 종래에 비해 용이해지고, 파쇄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롤러 표면의 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롤러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파쇄실에 본체부가 설치된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재를 내부로 안내하는 골재투입구(11)가 그 상단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 골재배출구(12)가 형성된 파쇄실(10)과, 이 파쇄실(10)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부(100)와, 복수개의 롤러부(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200)를 포함하되, 복수개의 롤러부(100) 각각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이 홀을 통해 파쇄된 골재가 상기 롤러부(10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100)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들 사이에는 상기 롤러부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돌기(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개의 롤러부(100) 각각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이 홀을 통해 파쇄된 골재가 롤러부(100) 내부로 인입된 후 파쇄실(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별도로 마련된 회전벨트(C)에 의해 골재가 골재투입구(11)로 유입되고, 골재투입구(11)로 유입된 골재는 복수개의 롤러부(100)에 의해 파쇄되며, 파쇄된 골재는 그 하단에 위치한 골재배출구(12)에 의해 배출된다.
한편, 도면상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복수개의 롤러부(1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 구동부를 통해 복수개의 롤러부(100)가 회전하게 된다. 이 구동부(200)는 일반적인 모터와 다수개의 톱니로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롤러부(100)를 회전시키는 수단인바 일반적인 구성으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개의 롤러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각각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있어, 이 홀을 통해 유입된 골재가 롤러 내부로 유입되는데 그 구체적인 형상 및 기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복수개의 롤러부(100)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파쇄실(10)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롤러(110),제2롤러(120) 및 제3롤러(130)가 설치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제1롤러(110), 제2롤러(120) 및 제3롤러(130)의 간격은 이 롤러들 사이에서 골재가 분쇄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제1롤러(110)의 표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1홀(H1)이, 제2롤러(120)의 표면에는 제1홀(H1)의 크기보다 작은 제2홀(H2)이, 제3롤러(130)의 표면에는 제2홀(H2)의 크기보다 작은 제3홀(H3)이 형성됨으로써 상방에서 하방으로 골재들이 파쇄됨과 동시에 순차적으로 분쇄된 골재들이 입자순으로 롤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제1홀(H1)의 지름의 크기를 50mm로, 제2홀(H2)의 지름의 크기를 30mm로, 제3홀(H3)의 지름의 크기를 10mm로 설정한 경우, 골재투입구(11)로 유입된 골재가 롤러의 회전 및 상하 운동에 의해 분쇄되고, 분쇄된 골재 중 지름이 50mm보다 작은 골재는 제1롤러(110) 내부로 유입된다.
물론, 지름이 50mm보다 작은 골재가 제1롤러(110)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하방으로 이동할 수도 있으며, 제2롤러(120) 및 제3롤러(130)의 회전 운동에 의해 제2롤러(120) 내부 혹은 제3롤러(1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롤러들 내부로 유입되지 않은 골재들은 골재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입자별로 분리된 골재들은 각각의 롤러 내부로 유입되고, 이 롤러 내부로 유입된 골재 입자들 역시 롤러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골재 입자들 상호간에 부딪힘 현상으로 편장석율이 향상됨은 물론, 종래 롤러의 단순한 회전에 의한 파쇄의 효과보다 그 파쇄율이 더욱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롤러의 표면에 형성된 홀들 사이에는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롤러부(100)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돌기(112)가 형성되어 있다.
골재투입구(11)로 유입된 골재 입자들이 롤러의 회전에 의해 파쇄됨은 물론 회전돌기(112)에 의해서도 골재 입자들이 서로 부딪히거나 박피되면서 파쇄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제1홀(H1)들 사이에는 상기 제1롤러(110)의 길이방향으로 제1회전돌기(112a)가 형성되고, 상기 제2홀(H2)들 사이에는 상기 제2롤러(120)의 길이방향으로 제2회전돌기(112b)가 형성되며, 상기 제3홀(H3)들 사이에는 상기 제3롤러(130)의 길이방향으로 제3회전돌기(112c)가 형성되되,
상기 제1,2,3회전돌기(112a,112b,112c)의 갯수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각각의 홀들의 갯수 역시 제1롤러(110)에서 제3롤러(130) 방향으로 점차 증가함은 물론, 이 홀들 사이에 형성된 회전돌기 역시 제1롤러(110)에서 제3롤러 (130)방향으로 점차 증가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각각의 롤러들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 제1롤러(110)에 형성된 제1회전돌기(112a) 사이마다 제2롤러(120)의 제2회전돌기(112b) 2~3개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마찬가지로 제2롤러(120)에 형성된 제2회전돌기(112b) 사이마다 제3롤러(130)의 제3회전돌기(112c) 2~3개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보다 효율적이고 원활한 골재의 파쇄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구현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롤러, 제2롤러 및 제3롤러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다각형의 단면 형태를 갖는 마찰부재(113)가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마다 다수의 회전날개(114)가 각각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마찰부재(113)와 회전날개(114)의 설치로 각각의 롤러 내부에서 골재의 마찰과 체류효과가 극대화 되고, 롤러의 회전시 골재들의 파쇄 및 파단 효과가 극대화 되는 효과가 구현된다.
한편, 파쇄실에 본체부에 설치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골재배출구 하부에, 골재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골재가 유입되는 투입구(13) 및 별도의 배출구(14)가 형성된 본체부(300)가 형성된다.
골재배출구(12)와 투입구(13) 사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골재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 골재가 투입구(13) 측으로 이송될 수 있는 이송라인이 형성된다.
이 본체부(300) 내에서 배출구(14)의 상단에 지지고정되는 밑판기부(21) 상에 메시판(25)이 장착되는 밑판부(20), 이 밑판부(20)의 중앙에 그 하단이 지지되는 수직회전축(31)의 회전에 따라 수직회전축(31)에 연결된 수평지지대(37)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고정된 연자돌(41)이 회전하면서 밑판부(20)상의 파쇄부재를 파쇄하여 배출시키는 연자돌파쇄부(30)를 포함하고, 밑판기부(21) 상으로는 상이한 직경의 메쉬구멍(23)들이 형성된 다수의 메시판(25) 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체부(300)는 일종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으로, 일측에는 상기 제1,2,3회전롤러에 의해 파쇄된 골재들이 본체부(300) 내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3)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상기 본체부(300) 내에서 연자돌파쇄부(30)에 의해 이용목적에 적합한 크기로 파쇄된 파쇄소재를, 예를 들어 진동스크린과 같은 분류장치(도시되지 않음) 상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구(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구(14)는 하부로 갈수록 통로가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본체부(300) 내에서 배출구(14)의 상단에는 밑판부(20)가 지지고정되는데, 밑판부(20)는 본체부(300) 내로 투입된 파쇄된 골재들을 그 하부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부(300)의 내벽에 의해 지지고정되는 밑판기부(21)와, 밑판기부(21) 상에 장착되며 메시구멍들(25)이 형성되는 메시판(23)을 포함한다.
이 밑판기부(21) 상에는 메시구멍(25)이 형성된 메시판(23)이 장착되는데, 메시판(23)은 다양한 크기로 파쇄된 파쇄소재들 중에서 소정의 크기 이하로 파쇄된 파쇄소재만 배출구(14)로 배출시키는 것으로, 미세분말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메시구멍을(25)을 아주 작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메시구멍(25)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본체부(300) 내에서 밑판부(20)상에서 작동되는 연자돌파쇄부(30)는 본체부(300) 내로 투입되어 상기 밑판부(20)상에 놓여진 파쇄소재들을 소정의 크기로 파쇄하는 것으로, 외부의 동력원에 연결되는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상기 본체부(300) 내의 중앙에서 회전구동되는 수직회전축(31)과, 상기 수직회전축(31) 상에 고정되는 수평지지대(37)와, 상기 수평지지대(37)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되어 상기 밑판부(20)상의 파쇄부재를 파쇄하는 연자돌(4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회전축(31)은 외부의 동력원(도시되지 않음)의 구동동력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 및 풀리의 조합을 통해, 실시 예에 따라서는 베벨기어 방식을 통해 수직회전축(31)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회전구동될 수 있다.
수평지지대(37) 상에는 연자돌(4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되는데, 상기 연자돌(41)은 수직회전축(3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대(37) 상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밑판부(20), 특히 메시판(25)상의 파쇄부재를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 연자돌(41)은 광물, 암석, 골재, 건설폐기물 등의 파쇄소재들을 부수기 위하여, 화강암 또는 무거운 철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메시판(25)에 형성된 메시구멍(27)의 직경 이하로 파쇄완료된 파쇄부재들은 메시구멍을 통과하여 배출구(14)를 통해 예를 들어 진동스크린과 같은 분류장치(도시되지 않음)로 보내지고, 상기 분류장치에서 그 크기에 따라 분류되어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다면 광물, 암석, 골재, 건설폐기물 등의 파쇄소재를 오직 하나의 공정 및 설비만으로 사용목적에 적합한 크기로 파쇄할 수 있어, 소요시간,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킴과 동시에, 공정설비의 설치면적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키는 탁월한 효과가 구현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의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파쇄실 100 : 롤러부
110 : 제1롤러 120 : 제2롤러
130 : 제3롤러 H1 : 제1홀
H2 : 제2홀 H3 : 제3홀
112 : 회전돌기 113 : 마찰부재
114 : 회전날개 300 : 본체부
20 : 밑판부 21 : 밑판기부
31 : 수직회전축 25 : 메쉬판
23 : 메쉬구멍 41 : 연자돌

Claims (5)

  1. 골재를 내부로 안내하는 골재투입구가 그 상단에 형성되고 그 하단에 골재배출구가 형성된 파쇄실;
    상기 파쇄실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롤러부;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 각각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되어 이 홀을 통해 파쇄된 골재가 상기 롤러부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 각각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홀들 사이에는 상기 롤러부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롤러부는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파쇄실 내부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롤러,제2롤러 및 제3롤러가 설치되되,
    상기 제1롤러의 표면에는 다수개의 제1홀이, 상기 제2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제1홀의 크기보다 작은 제2홀이, 상기 제3롤러의 표면에는 상기 제2홀의 크기보다 작은 제3홀이 형성되어 순차적으로 작은 입자가 롤러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홀들 사이에는 상기 제1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제1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홀들 사이에는 상기 제2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제2회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3홀들 사이에는 상기 제3롤러의 길이방향으로 제3회전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제1,2,3회전돌기의 갯수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 제2롤러 및 제3롤러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다각형의 단면 형태를 갖는 마찰부재가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마다 다수의 회전날개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골재배출구 하부에는,
    골재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골재가 유입되는 투입구 및 별도의 배출구가 형성된 본체부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 내에서 배출구의 상단에 지지고정되는 밑판기부 상에 메시판이 장착되는 밑판부, 상기 밑판부의 중앙에 그 하단이 지지되는 수직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직회전축에 연결된 수평지지대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고정된 연자돌이 회전하면서 상기 밑판부상의 파쇄부재를 파쇄하여 배출시키는 더 연자돌파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밑판기부 상으로는 상이한 직경의 메쉬구멍들이 형성된 다수의 메시판 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KR1020150169558A 2015-11-30 2015-11-30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KR101808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558A KR101808854B1 (ko) 2015-11-30 2015-11-30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9558A KR101808854B1 (ko) 2015-11-30 2015-11-30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184A true KR20170064184A (ko) 2017-06-09
KR101808854B1 KR101808854B1 (ko) 2018-01-08

Family

ID=59219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9558A KR101808854B1 (ko) 2015-11-30 2015-11-30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8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2093A (zh) * 2018-03-07 2018-07-10 郭世斌 一种畜牧业用饲料碾碎设备
CN117680229A (zh) * 2024-02-04 2024-03-12 江苏嘉之顺农产品有限公司 一种带有除尘功能的谷物辗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59B1 (ko) * 2004-02-25 2006-07-13 학교법인 울산공업학원 파쇄기
JP4420751B2 (ja) * 2004-06-25 2010-02-24 菱栄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固化鋳物砂の破砕再生装置
KR101108571B1 (ko) * 2010-04-09 2012-01-30 이주헌 패각류 분쇄장치
KR101188408B1 (ko) * 2012-08-29 2012-10-08 (주)모악환경산업 파쇄와 그라인딩에 의한 이물질 박리 및 순환골재 제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62093A (zh) * 2018-03-07 2018-07-10 郭世斌 一种畜牧业用饲料碾碎设备
CN117680229A (zh) * 2024-02-04 2024-03-12 江苏嘉之顺农产品有限公司 一种带有除尘功能的谷物辗磨装置
CN117680229B (zh) * 2024-02-04 2024-04-12 江苏嘉之顺农产品有限公司 一种带有除尘功能的谷物辗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854B1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596B1 (ko)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JP4904212B2 (ja) コンクリート廃材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KR101816302B1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시스템.
KR101682952B1 (ko) 다중의 수평 임펠러 회전파쇄장치에 경사각을 가진 다단 캔틸레버 타격 바와 시멘트모르타르 박리용 팽이 마쇄수단을 이용하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8730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JP2006320814A (ja) 再生細骨材の製造方法、並びに、再生細骨材
CN111905871B (zh) 一种建筑骨料多级破碎装置
KR100755994B1 (ko) 재생골재 파쇄 및 재생골재 표면 입도 개선장치
CN101875022A (zh) 物料破碎结构及破碎设备
KR101987832B1 (ko) 수직형 건식 굵은골재와 잔골재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808854B1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
KR101244089B1 (ko) 다중 딜레이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1803964B1 (ko)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기가 구비된 파쇄시스템.
KR101956741B1 (ko) 골재 파쇄물을 이용한 모래 제조방법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1670448B1 (ko) 골재 및 광물 파쇄 장치
KR101194661B1 (ko) 골재 마쇄장치
KR101244066B1 (ko) 다중 스크린 보드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1292595B1 (ko) 스크린 일체형 콘크리트용 순환 골재 박리장치
KR101546911B1 (ko) 직렬 트윈타입 원통드럼 파쇄기를 이용한 콘크리트용 순환 굵은골재 생산 장치
KR100529587B1 (ko) 골재 재생을 위한 건설폐기물의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188408B1 (ko) 파쇄와 그라인딩에 의한 이물질 박리 및 순환골재 제조 장치
CN100355690C (zh) 利用采石场废渣生产建筑用砂的方法和设备
CN210700305U (zh) 一种用于生产建筑骨料的高效破碎装置
CN202200430U (zh) 废旧轮胎制粉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