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696A - 구강 및 치아 관리 관련 기구 - Google Patents

구강 및 치아 관리 관련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696A
KR20140066696A KR1020147003337A KR20147003337A KR20140066696A KR 20140066696 A KR20140066696 A KR 20140066696A KR 1020147003337 A KR1020147003337 A KR 1020147003337A KR 20147003337 A KR20147003337 A KR 20147003337A KR 20140066696 A KR20140066696 A KR 2014006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portion
tip
finger
su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3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9041B1 (ko
Inventor
구닐라 타데오
마리안네 그란룬트
Original Assignee
에르고 메디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고 메디 오이 filed Critical 에르고 메디 오이
Publication of KR2014006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6Protecting caps for hand-pieces or angle-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96Bendable saliva rem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17/425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B17/43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61C17/0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04/00Surgery
    • Y10S604/902Suction wan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의 부위에서 수행되는 처치들과 관련하여 발생하거나 사용되는 물이나 기타의 물질들을 석션에 의해 제거하는 기구(1)에 관한 것이다. 본 기구는 흡입을 위해 배치된 대략 튜브 모양의 탄성 프레임(2), 기구(1)를 손가락에 부착하기 위한 핑거 부분(3, 6), 및 축 방향으로 핑거 부분(3, 6)보다 밖으로 더 나아가 위치하고 흡입구(10)를 구비하는 팁 부분(4)을 포함한다. 팁 부분(4)은 프레임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구강 및 치아 관리 관련 기구{INSTRUMENT IN CONNECTION WITH ORAL AND DENTAL CARE}
본 발명은 구강 및 치아 관리(oral and dental care)와 관련된 기구, 특히 정확하고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그와 동시에 작업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강 관리, 특히 치아 관리는 바이오필름(biofilm) 또는 플라크(plaque)의 제거, 변색 및 치석의 제거, 치과 충전 시술 등과 같은 다양한 처치들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그러한 처치들은 치과 조수의 보조를 받는 치과 의사에 의해 수행되거나, 치과 의사, 치과 조수, 또는 구강 위생사 단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http://wwww.tohtori.fi/?page=5446580&id=5688407(2011년 6월 23일 방문)에 따르면, 구강 위생사(oral hygienist)의 직업은 다른 무엇보다도 자신의 책임 범위(area of responsibility) 내에서 소견을 제시하는 것은 물론 구강 건강 검진(oral health examination), 충치 스크리닝(cariological screening), 국소 치료 프로그램, 및 치료 수행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된다. 구강 위생사는 환자의 점막 변화를 인지하고, 환자의 교합(occlusion)을 검사하며, 필요 시에는 환자를 치과 의사에게 보낸다. 또한, 구강 위생사는 치주 질환의 원인, 진행, 및 치료와 관련된 요소들에 있어 전문가이다.
구강 관리를 협력 작업(teamwork)으로 수행할 경우, 즉 치과 의사가 실제의 치료 처치들을 수행할 경우, 보조자가 나머지 관련 처치들을 수행한다. 그러한 관련 처치들은 예컨대 타액 및 양치액, 연마 및 충전 잔류물은 물론 혈액과 의료 물질을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제거하는 처치를 포함한다. 그것은 치과 의사가 마음껏 자신의 작업에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구강 및 치아 관리 처치들이 혼자 작업하는 한 사람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가 자주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 작업자의 근골격계(musculoskeletal system)가 상이한 작업 자세들에서 긴장을 받게 된다. 혼자 작업하는 경우, 예컨대 구강 위생사가 항상 최상의 가능한 인간 공학적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아니므로, 때로는 인간 공학적 자세가 아닌 자세로 작업하여야만 한다. 구강 건강 관리(oral health care)에 있어서는, 구강 내의 작업 부위의 비좁은 공간 및 기구들의 설계로 인해, 힘의 발생이 관절, 근육, 및 힘줄에 해로운 자세로 손을 움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구강 위생사의 작업은 특히 목과 어깨 부위에서는 물론 상지와 등 부위에서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위험 인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구강 위생사의 임상 작업은 많은 수작업을 포함하고, 특별한 정확성을 필요로 한다. 선행 기술에 따르면, 그러한 작업은 상이한 기구들로 작업을 할 때에 손가락들에 의해 많은 압축력을 인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기구들을 방향 잡아 정확하게 작업하는 일은 상지의 관절들을 경직시키는 것은 물론 목과 어깨 부위의 근육들에 의해 머리의 시선과 자세를 모두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Laura Heikkilae 및 Hanne Ilvonen이 발표한 "Suuhygienisteillae ilmenevaet tuki- ja liikuntaelimistoen terveysongelmat sekae niiden ennaltaehkaeisy"란 명칭의 간행물에 따르면, 상지(upper limb)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질환은 건막염(tenosynovitis), 상완 상과염(epicondylitis of humerus), 및 수근관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이다. 사람의 건막염 발병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작업 관련 위험 인자들은 작업 운동들의 높은 반복성, 강한 손 압축력의 사용, 및 손목을 굽힌 자세이다. 앞에서 언급한 것들 이외에도, 상완 상과염의 위험 인자들은 힘을 요하는 손목과 손가락의 굴신(flexion-extension) 운동뿐만 아니라 전완의 회전 운동을 포함한다. 수근관 증후군의 위험 인자들은 건막염과 상완 상과염의 위험 인자들과 동일하다. 손으로 핀셋을 잡는 것과 진동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또한 전술한 스트레스 관련 질환들의 위험 인자들이다. 또한, 구강 위생사는 앉은 자세로 치아 관리 처치들을 수행하는데, 그러한 앉은 자세에서는 반복적으로 상지를 올리는 자세, 손을 뻗는 운동, 및 극단적 회전 운동이 어깨와 상완의 근육에 스트레스를 가하게 되고, 힘의 세기 및 사용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여러 물질들을 제거하는 전술한 처치들은 진공 작동식 흡입 시스템(vacuum-operated suction system)에 의해 거의 변함없이 일정하게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치아 관리 유닛은 더 큰 저압(underpressure)에서 작동하는 강력 흡입기(high volume evacuation) 및 더 낮은 저압에서 작동하고 흔히 환자의 아래턱에 거는 타액 흡입 장치를 지칭하는 석션(suction)을 구비한다. 그러한 장치들은 상이한 형상들로 될 수 있고, 예컨대 충전 처치 중에 구강 내에 고인 타액을 제거하도록 그리고 흔히 그와 동시에 혀를 작업 부위에서 벗어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설계된다.
다른 사람이 강력 흡입기를 담당하는 경우, 두 사람의 치과 작업자들이 모두 자신의 할 일을 알고 있기 때문에,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그러나 치과 작업자가 오직 한 사람만 있는 경우가 아주 자주 있는데, 그것은 자연스럽게 모든 처치들이 그 한 사람의 치과 작업자의 책임에 속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독으로 작업하는 동안, 특히 문제가 되고 힘든 일은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액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다량의 물이 구강 내에 고여 있는 상태에서의 처치들은 강력 흡입기 및 그와 관련된 강력 흡입 팁(high volume evacuation tip)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강력 흡입 팁은 치과 의사와 치과 조수 사이의 통상의 협력 작업에 맞춰 설계되어 있다. 치과 조수가 강력 흡입 팁에 의해 액체를 제거하는 일을 담당하여 치과 의사가 임상 처치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구강 위생사의 직업 설명이 부연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치과 조수와 구강 위생사의 작업에 있어서도 또한 정확성을 요하는 임상 처치들의 수가 증가하였다. 현재의 석션 팁 방안들보다 조직을 덜 손상시키면서 더욱 정확하게 액체 및 기타 물질들을 제거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은 물론 더욱 인간 공학적인 작업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WO 2005/107832 A1은 손에 장착하는 수술적 흡인 장치(surgical aspiration device)를 개시하고 있다. 본 공보에 따르면, 손가락에 부착하는 석션 팁은 조수가 외과 의사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때에 양호한 수술 시야를 외과 의사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본 공보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석션을 수술 시야로 올바르게 방향 잡기 위해서는, 손가락들 사이에 석션을 꽉 쥐어야 한다. 본 공보의 제2 실시예의 씌우개 모양(sheath-like)의 방안에서는, 석션 튜브가 손가락보다 짧고, 그 경우 손가락이 석션을 방해하여 석션의 사용이 부정확하게 된다. 또한, 씌우개가 손가락의 원위지간 관절(distal interphalangeal joint)을 완전히 덮는 한편, 원위지간 관절이 씌우개의 내부에 체류한다. 그러한 경우, 손가락을 구부릴 때에 씌우개가 원위지간 관절에 압력을 가하여 그 관절이 씌우개에 의한 압력 및 저항을 받고, 그리하여 원위지간 관절이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SE 468237은 석션에 의해 타액을 제거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공보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실제로 손가락의 중수지 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에 부착되는 손가락 클램프가 석션 튜브의 단부를 매달려 늘어진 채로 놓아 두어 석션을 타깃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게 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는 것들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사상은 석션에 마련되는 대략 튜브 모양의 탄성 프레임이 기구를 손가락에 부착하기 위한 핑거 부분(finger part) 및 축 방향으로 핑거 부분보다 밖으로 더 나아가 위치하고 흡입구를 포함하는 팁 부분을 구비하고, 팁 부분이 프레임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시스템의 이점은 정확하고도 효과적으로 방향 잡힐 수 있는 동시에, 기구의 사용이 원인이 되어 작업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기구이다.
이제, 바람직한 실시예들과 연관하여 그리고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측단면 입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사용 상황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팁 부분 및 핑거 부분을 나타낸 도면들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핑거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손의 해부학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a, 도 7b, 도 7c, 및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팁 부분에 대한 회전 메커니즘을 보이는 도면들이고;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팁 부분에 대한 회전 메커니즘을 보이는 도면들이며;
도 9는 팁 부분을 분리한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뒤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핑거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핑거 부분을 정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구의 축측 투상도(axonometric view)이다. 본 기구는 전체적으로 흡입 유동을 위해 내부에 배치된 채널을 구비하는 튜브 모양의 가늘고 긴 프레임(2)을 포함한다. 간단한 마찰 조인트 또는 다른 적절한 조인트에 의해, 프레임 또는 튜브 또는 석션 튜브(2)가 도면 부호 "7"로 지시된 그 단부에서 기존의 석션 튜브 또는 석션 기계 또는 연장 튜브의 단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어떠한 다른 연결 장치도 갖지 않는 상대적인 억지 끼워 맞춤(close-fit) 조인트로도 작업 상태에서 기구(1)를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는데 충분하다. 원한다면, 나사 또는 다른 기술 분야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다른 종류의 고정 부착물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도 2에서와 같이, 기구가 똑바른 튜브 모양의 부품으로서 그려져 있으나,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상태에서는 기구가 손의 형태에 맞춰지도록 다소 구부러지게 된다.
그 지름 및 에지 두께는 물론 길이에 있어서도, 튜브 모양의 프레임(2)은 실제 작업 및 기존이 부품들에 적절하게 그 크기가 설정될 수 있다. 프레임(2)은 특히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탄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료,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작된다.
도면 부호 "3"은 환형 부분 등의 핑거 부분을 지시하고 있는데, 그 핑거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는 프레임(2)의 길이 방향 축과 대략 평행하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핑거 부분(3)은 상당히 큰 폭을 갖는 링을 닮았다. 다시, 도 3은 핑거 부분의 목적, 즉 씌우개 모양의 핑거 부분의 경우에는 손가락을 씌우개 내에 밀어 넣고, 고리 모양의 핑거 부분의 경우에는 손가락을 고리를 통과하여 밀어 넣으며, 그리하여 기구(1)의 단부를 원하는 지점으로 방향 잡아 거기에 고인 타액 또는 기타의 물질들을 빨아들이기 위해 손가락을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핑거 부분(3)은 여기서는 상당히 큰 폭을 갖는 링으로서 설명되고 있으나, 이해할 바와 같이, 특정의 폭이 기구를 방향 잡는 것을 더 쉽고 더 정확하게 할 수는 있지만, 폭 그 자체가 결정적으로 중요한 사항은 아니고, 거의 실 같이 가는 부분으로도 충분하다. 링 부분은 또한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갈 경우의 핑거 부분(3)도 역시 씌우개 모양일 수 있고, 그 경우에 기구를 부착하기 위해 손가락을 씌우개 내에 밀어 넣는다. 핑거 부분(3)은 2개 또는 3개의 고리 모양의 부분들로 이뤄질 수도 있다.
고리 모양의 부분(3)은 절단된 링일 수도 있다. 절단은 다양하게, 예컨대 링 부분에 있는 절개부(incision)가 원주와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또는 비스듬하게 만들어지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것은 탄성 특성을 활용할 수 있게 하는데, 왜냐하면 소정의 탄성의 고리 모양의 구조가 구부러졌다가 링의 형태를 유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링의 크기가 모든 크기의 손가락들에 자동으로 맞춰지도록 조정될 수 있게 한다. 분할은 원주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도 링 부분에 만들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재료의 탄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보통의 두께를 갖는 손가락이 링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손가락이 더 두꺼운 경우에는, 손가락을 너무 지나치게 눌러 조이는 일이 없이 링이 약간 벌어져 열린다. 대안적으로, 기구는 임의의 손가락 두께에 맞춰지도록 상이한 크기 등급들로 제조될 수도 있다. 고리 모양의 핑거 부분은 손가락의 끝 및/또는 중간 마디에 배치될 수 있다. 임의의 방식으로 손가락의 둘레에 고정될 클램프가 부착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한 가지 대안은 예컨대 작은 조각의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로서의 접착 패스닝(fastening)을 포함하는 테이프형 고정 장치일 수 있다. 여러 기술 분야들로부터의 다양한 다른 고정 방식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작업 지점을 향하는 기구의 단부는 별개의 팁 부분(4)을 구비하는데, 팁 부분(4)의 바깥쪽 단부는 기구의 팁이 기류를 막는 폐쇄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갭(gap)들(5)을 구비한다. 그러한 갭들은 팁이 예컨대 조직, 구강 점막, 또는 치아와 접촉하더라도 항상 일정 정도의 유동이 가능하게 한다. 팁 부분은 팁, 석션 팁, 또는 강력 흡입 팁으로도 불릴 수 있다. 갭들은 예컨대 대략 원형이거나, 슬롯들(도 2)로 형성되거나, 돌기들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 방향으로, 팁 부분(4)은 핑거 부분(3, 6)보다 밖으로 더 나아가 위치하고, 팁 부분은 채널과 연통하는 흡입구(10)(도 4a)를 포함한다. 팁 부분은 프레임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고, 그에 따라 팁 부분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두고 위치한 다수의 상이한 위치들로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고리 모양의 부분(3)이 프레임(2)에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리 모양의 부분과 같은 핑거 부분은 분리 가능하게 또는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링(3)과 프레임(2)의 상호 위치가 조정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즉, 핑거 부분(3)이 프레임(2)의 길이 방향, 축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에 추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팁 부분(4)이 축 방향으로 핑거 부분(3)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또는 이동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그러한 이동 가능성은 많은 상이한 방식들로 달성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하게는, 링(3)이 숫자 "8"을 닮은 2개의 부분들로 이뤄질 수 있는데, 이때 프레임(2)이 작은 링 부분을 통과하는 한편, 핑거 부분(3)이 작은 힘으로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그것은 개인적인 적절한 작업 인간 공학이 작업자에 맞춰 조정될 수 있게 한다. 그와 동시에, 그것은 작업자가 정확하게 작업할 수 있게 한다. 양자의 경우에 모두, 핑거 부분은 하나 이상의 고정점들에서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팁 부분(4)은 석션 기계의 단부의 반대쪽에 있는 단부인 프레임(2)의 자유 단부에 고정되는 별개의 부분일 수 있다. 그러나 가장 간단하게는, 그러한 별개의 팁 부분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의 자유 단부 그 자체가 팁 부분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프레임(2)의 자유 단부는 적절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개부들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별개의 팁 부분(4)을 사용할 경우에 필요하다면, 팁 부분(4)은 길이 방향으로 프레임(2)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가장 간단한 길이 방향 조정은 나사들에 의해 달성된다. 정확하고도 양호한 사용성을 얻기 위해, 팁 부분(4)이 프레임(2)의 바깥쪽 단부에 원하는 깊이로 나사 체결된다. 팁 부분(4)은 특히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기구의 목적은 단독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기도 하고, 따라서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석션을 용이하게 하나의 손가락에 의해 타깃 부위로 및 타깃 부위 내로 정확하게 방향 잡는 동시에, 기구를 방향 잡는 손의 나머지 손가락들이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기구를 사용하는 손가락도 예컨대 환자의 입술을 들어올리기에 또는 그 부위에서의 다른 처치들에 사용되기에 충분하게 작업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기구는 특히 정해진 환자에 사용되고 난 후에 처분되는 일회용일 수 있다. 본 기구의 제작 재료들은 본 기구가 에너지 낭비와 관련하여 매우 적합하게 되도록 한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팁 부분과 핑거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는 핑거 부분과 팁 부분이 아래로부터 바라본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4b에는 핑거 부분과 팁 부분이 위로부터 바라본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c는 핑거 부분과 팁 부분의 측면도이다.
핑거 부분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모양이거나,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씌우개 모양일 수 있다. 씌우개 모양의 핑거 부분(6)은 손가락(40)(도 5)의 끝 마디(41)(도 6) 및/또는 중간 마디(42)(도 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핑거 부분은 기저부 마디(43)(도 6)까지 연장될 수 있다. 손가락은 씌우개가 손가락의 하나 이상의 마디들을 덮도록 씌우개 모양의 핑거 부분 내에 밀어 넣어진다. 씌우개는 예컨대 손 가락의 끝 마디와 중간 마디를 덮을 수 있고, 원위지간 관절(44)(도 6)에, 그 위에, 및/또는 그 아래에 있는 씌우개의 개구부는 원위지간 관절을 자유로운 상태로 남겨 둔다. 예를 들어, 중간 마디에 고정된 핑거 부분을 사용할 경우에 손가락의 관절들, 예컨대 원위지간 관절과 근위지간 관절(45)(도 6)이 자유로운 상태로 남아 있으면, 스트레스 또는 압축력이 관절들에 가해지지 않는다. 그것은 팁 부분을 방향 잡기 위해 손가락을 이동할 때에 원위지간 관절과 근위지간 관절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방지한다. 핑거 부분이 손가락의 중수지 관절(46)(도 6)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프레임의 단부가 매달려 늘어진 채로 남아 있지 않게 되는데, 프레임 단부가 매달려 늘어진 채로 남아 있다면 석션이 타깃 부위로 방향 잡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훨씬 열악할 것이다.
씌우개 부분은 예컨대 씌우개 부분의 후방 및 전방 단부들에 구비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점들(22)(도 4c)에서 프레임에 고정될 수도 있다. 고정점은 프레임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씌우개 모양의 핑거 부분은 하나 이상의 관절들을 자유로운 상태로 남겨 두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20, 21)을 구비할 수 있다. 인간 공학을 개선하는 이외에도, 그것은 기구의 방향 조정성 및 팁 부분의 통기를 개선한다. 개구부들은 예컨대 씌우개 부분의 상부 표면(20) 및/또는 하부 표면(21)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의 일 단부에 팁 부분(4)이 구비될 수 있다. 팁 부분은 축 방향으로 핑거 부분의 뒤에 위치한다. 팁 부분은 고정적으로 또는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팁 부분은 여러 상이한 방식들로 프레임에 배치될 수 있다. 팁 부분이 프레임에 직접 고정될 수 있거나, 프레임이 팁 부분 또는 팁 부분의 전방부가 고정되는 조정부 또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팁 부분이 고정적으로 또는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에 팁 부분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팁 부분은 프레임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배치된다.
도 7a는 단면도이다. 본 도면에서, 프레임(2)은 팁 부분(4)이 배치될 수 있는 연결부(60)를 구비한다. 본 도면은 팁 부분의 내부 표면에 배치된 로킹 돌기(50)를 또한 도시하고 있는데, 로킹 돌기(50)는 연결부에 구비된 수납 홈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b는 다른 돌기들(17)과 개구부들(16)도 또한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로킹 돌기가 회전 홈 상에 설치된 상황을 설명하고 있는 한편, 도 7b는 로킹 돌기(50)가 회전 이동의 로킹 위치에 있는 상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c에서는 팁 부분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 로킹 돌기(50)가 회전 홈 상에 설치되어 있는 한편, 도 7d에서는 로킹 돌기가 회전 이동의 로킹 위치에 있다. 도 7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킹 리세스 또는 수납 홈은 로킹 돌기 또는 로킹 돌출부를 수납하도록 배치된다. 대안적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가 로킹 리세스를 포함하는 한편, 팁 부분이 로킹 홈을 포함한다.
로킹에 사용되는 로킹 링(53)(도 7d)은 여러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킹 링(53)은 로킹 돌기를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표면들(52) 및 로킹 돌기를 수납하는 로킹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킹 리세스들의 수는 3개 또는 4개이다. 따라서 팁 부분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두고 위치한 복수의 상이한 위치들로 이동할 수 있다. 각도들의 크기가 균등하면, 로킹 리세스들의 수의 함수로서, 약 120도 또는 약 90도의 각도를 두고 이동이 일어난다. 회전 각도들은 그 크기가 상이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 팁 부분은 예컨대 팁 부분이 먼저 약 30도만큼 이동하고 나서 약 15도만큼 이동하고 추가로 약 30도만큼 더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로킹 돌기의 로킹 위치들이 동일한 각도 크기 또는 상이한 각도 크기의 간격을 두고 마련될 수 있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팁 부분에 대한 조정 및 회전 메커니즘을 측단면 입면도와 위로부터 바라본 도면의 2가지 도면들로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2)은 조정부, 연결부, 또는 로킹 링(53)을 구비할 수 있다. 로킹 링은 4개의 로킹 리세스들(51)과 장착 홈(54)을 포함한다. 장착 홈은 팁 부분이 연결부에 배치되거나 연결부에 고정될 수 있게 하는데, 그 경우에 팁 부분에 있는 돌출부 또는 돌기를 장착 홈에 의해 회전 홈으로 가져올 수 있다. 도면 부호 "55"는 팁에 구비된 돌기를 위한 회전 홈을 지시하고 있다.
팁 부분은 팁을 바깥쪽으로 끌어당김으로써 또는 팁을 안쪽으로 밀어내어 원하는 위치를 얻기 위해 회전시킴으로써 이동하게 된다. 팁은 예컨대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 로킹되고, 팁을 약간 안쪽으로 밀어내어 로킹 돌기가 회전 홈으로 되돌아 가게 함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그 단계에서, 팁을 원하는 위치로 돌릴 수 있다. 팁을 약간 바깥쪽으로 끌어당겨 로킹 돌기가 로킹 위치로 슬라이딩해 들어가게 함으로써 로킹이 일어난다. 로킹 리세스의 넓은 전방부는 로킹 돌기를 정확한 각도로 안내하여 팁 부분의 각도를 조정하기 더욱 용이하게 한다. 팁 부분이 로킹 위치들 사이에서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때에, 프레임은 움직이지 않게 남아 있을 수 있다.
도 8c는 팁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홈의 측단면 입면도이다. 장착 홈이 경사져 있으면, 일단 팁이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나서는 팁이 더 이상 제거될 수 없다. 그러한 경우, 경사는 팁이 연결부로부터 분리되는 되는 것을 방지하고, 팁을 소정의 위치로 연결부에 유지시킨다.
팁 부분은 예컨대 제1 부분이 프레임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고정부인 한편, 제2 부분이 고정부에 장착되는 연장부인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부분들로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팁 부분은 작업이 구강의 안쪽 뒤편 부위들에서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게 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연장은 예컨대 약 2 내지 5 ㎜ 정도일 수 있고, 그러한 연장은 예컨대 나사 또는 슬라이드 메커니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전체의 팁 부분 또는 팁 부분의 연장부가 회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회전 각도는 예컨대 약 90도, 약 180도, 또는 약 360도일 수 있다. 그러한 회전은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물질들 또는 액체들을 제거하여야 하거나 환자의 구강 내의 지점을 문지르거나 연마하여야 하는 모든 작업 단계들에서 팁을 항상 작업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을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팁을 방향 잡는데 있어 불편하고도 인간 공학적으로 해로운 핀셋 그립은 물론 그와 조합된 손목의 어떠한 비틀림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해로운 상지를 올리는 동작들도 완전히 배제되게 된다. 액체 및 다른 물질들과 재료들의 제거가 더욱 정확해질 경우, 작업 부위의 시야도 또한 개선되고, 그것은 작업자가 작업 중에 인간 공학적으로 적정한 작업 자세 및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데 기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의 단부에 구비되는 별개의 팁 부분은 역 360도만큼 회전하여 석션이 치아와 같은 그 타깃으로 정확하게 방향 잡을 수 있게 하는데, 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석션 팁 또는 강력 흡입 팁에서는 종래의 강력 흡입 팁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작업 부위로부터의 액체의 제거와 같은 작업이 더욱 정확해지고 시야도 더 좋아진다. 그 결과, 작업자가 작업 중에 인간 공학적으로 적정한 작업 자세 및 앉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는 또 다른 이점이 얻어진다. 팁 부분이 360도만큼 회전할 수 있지만, 앞니에서 석션 팁으로 작업할 경우에는 팁 부분을 180도만큼 회전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팁은 약 90도의 간격을 두고 대략 균등한 간격의 4개의 상이한 위치들에서 로킹되는데, 방향 조정성에 있어서는 그러한 4개의 위치들로도 충분하다. 환언하면, 팁 부분은 예컨대 한 번에 약 90도만큼 이동할 수 있도록 약 360도를 회전할 수 있다. 90도만큼 이동한 후에, 팁 부분은 팁 연결부와 프레임 연결부에 구비된 홈들과 나사들에 의해 그 각도 또는 그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다. 그 위치로부터, 팁 부분은 같은 방향으로 또 다시 90도만큼 회전할 수 있는데, 그 경우에 팁 부분은 180도만큼 돌려진 것이다. 그 다음에 팁 부분이 270도만큼 돌려지고, 이어서 총 360도만큼 돌려진 후에 다시 최초의 각도로 돌아오도록 동일한 이동이 계속될 수 있다. 그러나 회전 각도 및 전체 회전 각도는 전술한 각도 이외의 다른 각도일 수도 있고, 상이한 단계들에서 회전 각도가 상이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팁 부분은 제한되게 또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은 블록 스톱(block stop)들과 같은 다양한 메커니즘들에 의해 저지될 수도 있다. 팁 부분의 회전 이동은 예컨대 팁 부분이 하나 이상의 마찰 끼워 맞춤들에 의해 또는 소정의 이동 각도에 배치됨에 따라 로킹될 수 있도록 저지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팁 연결부와 프레임 연결부에 구비된 홈들과 나사들 사이의 거리의 차이도 또한 팁 부분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팁 부분이 나사들에 의해 작동되어 나사들이 허용하는 축 방향 거리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팁 부분 또는 노즐(4)은 작업을 훨씬 더 정확하게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팁 부분의 말단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될 수 있다. 옆에서 보는 것처럼, 팁 부분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하게 되어 있다. 흡입구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평탄한 표면(19)과 축 방향 사이의 각도 α는 통상적으로 약 25도보다 크다. 그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30도, 35도, 45도, 또는 50도일 수 있다.
팁 부분은 하나 이상의 축 방향 개구부들 및/또는 반경 방향 개구부들을 구비할 수 있다. 반경 방향 개구부와 흡입구의 단부 사이의 거리는 2-3 밀리미터로부터 2-3 센티미터까지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팁 부분은 하나 이상의 돌기들, 돌출부들, 또는 융기부들을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돌기들(12)은 흡입구(10)를 형성하는 원주(11)에, 팁 부분의 제1 표면, 예컨대 상부 표면(18)에, 팁 부분의 제2 표면, 예컨대 하부 표면(17)에, 또는 팁 부분의 측면들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한 돌기들이나 돌출부들 또는 그에 추가하여 또는 그를 대체하여 팁 부분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홈들이나 슬롯들, 예컨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 부분의 상부 표면에 배치되는 통기구들(16)은 사용 상황에서 팁이 예컨대 기류로 인해 타깃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기류를 아래로부터 그들을 통해 통과시킨다. 그들은 저압(underpressure) 형성을 방지하여 석션 팁이 조직이나 점막에 붙지 않게 된다. 도면 부호 "13"은 아래로부터 바라본, 팁 부분의 상부에 구비된 통기구들을 지시하고 있다.
팁 부분의 돌기들은 예컨대 치아 미백과 관련하여 미백제를 문지르는 동시에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빨아들이는 경우의 처치들에서 소위 스크레이퍼(scraper)로서 더 사용될 수 있다.
팁 부분과 핑거 부분의 고정은 고정적인 것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일 수 있다. 그러한 고정은 예컨대 아교 접착, 가열, 용융, 기계적 고정, 또는 일체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품이 사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면, 핑거 부분의 고정은 고정적일 수 있다. 즉, 핑거 부분 또는 씌우개 부분은 물론,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팁 부분이 제품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팁 부분은 큰 흡입구, 즉 개구부(10)를 구비하는데, 그 경우에 그 흡입력이 더 커지고, 그것은 팁 부분이 액체들을 제거하는데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되고 시야를 유지하는데 더 양호하게 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핑거 부분, 즉 씌우개 부분(6)을 도시하고 있다. 씌우개 부분은 원위지간 관절이 압축력, 압력, 또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정확한 작업 및 통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2개의 개구부들(20, 21)을 구비한다. 씌우개 부분은 손가락에 대한 양호한 부착성을 생성하기 위한 재료를 함유한 특별한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소위 그립 영역은 씌우개의 선단부(30)에, 씌우개의 내부 표면에, 또는 씌우개의 내부에 있는 별개의 층으로서 위치할 수 있다. 고리 모양의 핑거 부분에서도 역시 유사한 부착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팁 부분과 핑거 부분은 모두 플라스틱과 같은 연질 탄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손가락에 부착할 회전 가능한 석션 팁이 또한 조직 친화적이고 환자에게 안락하게 된다. 그 전체 구조의 나머지이기도 한 프레임도 또한 생분해성 실리콘(biodegradable silicon) 또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일례로, 프레임의 안지름은 약 3 내지 7 ㎜일 수 있지만, 그 값보다 상당히 더 클 수도 있다.
핑거 링 또는 핑거 씌우개로서의 핑거 부분은 손가락의 중간 마디에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구의 프레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중간 마디에 부착되는 핑거 부분은 원위지간 관절을 자유롭게 남겨 둔다. 그러한 경우, 원위지간 관절에 압력 또는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것은 석션 팁을 방향 잡기 위해 손가락을 이동할 때에 원위지간 관절이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손가락 부착은 특히 석션을 작업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을 수 있게 한다.
도 9는 팁 부분을 분리한 상태에 있는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 기구(1)는 프레임 부분(2) 및 그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팁 부분(4)으로 이뤄진다. 사용 상황에서, 팁 부분은 프레임 부분의 선단 안쪽에 있게 된다. 프레임 부분은 튜브 부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할 수도 있다. 기구의 내부에는 기류 유동을 위한 하나 이상의 채널들이 배치될 수 있다. 채널은 팁 부분으로부터 프레임 부분을 거쳐 튜브 부분까지 연장되는 통로에 의해 형성된다.
기구의 핑거 부분(3)은 구부러진 지지부(22)에 의해 프레임에 직접 고정될 수 있거나, 프레임 부분에 고정될 수 있는 조정부(23)에 부착될 수 있다. 핑거 부분은 프레임에 일체로 통합될 수도 있는데, 그 경우에 프레임 부분은 핑거 부분을 포함하는 하나의 부품이 된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핑거 부분(3)의 선단부의 축 방향은 팁 부분(4)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하다. 그러한 경우, 손가락 끝의 방향이 대략 작업 타깃 쪽을 향하게 된다.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핑거 부분은 축 방향으로 팁 부분보다 더 앞서 위치한다.
핑거 부분은 그 핑거 부분(3)을 2개의 부분들, 즉 전방부(3a)와 후방부(3b)로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컷(cut)들(20)을 구비할 수 있다. 컷은 다른 무엇보다도 핑거 부분에 탄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탄성은 예컨대 프레임 부분이 구부러질 때에 핑거 부분이 구부러지도록 나타난다. 핑거 부분 및 핑거 부분에 있는 프레임 부분은 가만히 놔둔 위치(rest position)에 있는 손가락과 대략 동일한 반지름 상에 배치되는데, 왜냐하면 가만히 놔둔 위치에 있는 손의 손가락들이 약간 구부러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경우, 손가락은 최소의 스트레스를 받고, 손가락의 위치도 가능한 한 자연스럽게 된다. 핑거 부분에 생성된 컷은 원위지간 관절이 자유롭게 남아 있을 수 있게 하고, 그에 따라 손가락이 핑거 부분에 의해 압력 또는 스트레스를 받음이 없이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 부분 및 프레임 부분의 핑거 부분은 그들의 휴지 위치에서 구부러져 있거나 사용 상황에서 구부러질 수 있다. 프레임 부분 및 프레임 부분의 핑거 부분이 그들의 휴지 위치에서 구부러져 있으면, 핑거 부분에 있는 컷은 다른 무엇보다도 그들을 훨씬 더 구부러뜨리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핑거 씌우개가 핑거 부분으로서 사용되고 씌우개에 있는 손가락이 대략 가만히 놔둔 위치에 있을 때의 반지름이 프레임 부분과 핑거 씌우개에 사용되는 경우, 손가락과 손은 물론 손목도 최소의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그러한 경우, 치료기의 석션 배관에 의해 발생하는 아래쪽으로 당기는 중량도 또한 손가락에 조금도 스트레스를 가하기 않게 된다. 그것은 또한 장시간 작업을 하는 중에도 기구를 정확하게 방향 잡을 수 있게 하는데 일정 역할을 하게 된다. 환언하면, 기구의 사용성 및 방향 조정성이 개선되고, 중량이 손가락, 손가락 끝, 및 손가락의 중간 마디에 최적으로 균등하게 배분되게 된다. 손가락을 가만히 놔둔 위치는 손목, 손목의 근육들, 및 손목의 힘줄들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고, 그것은 다시 전체 손, 팔꿈치와 상완, 근육들, 및 힘줄들의 위치와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또한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핑거 부분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컷들은 핑거 부분을 더욱 가볍게 하는데, 왜냐하면 컷으로 인해 핑거 부분이 재료를 덜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석션 팁의 정확한 방향 조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치료기의 석션 배관에 의해 손과 손가락에 가해지는 중량을 손가락과 손에 균등하게 분배하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간 공학적 핑거 부분이 2개의 부분들로 이뤄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따르면, 핑거 씌우개의 전방부는 손가락의 끝 마디 상에 배치되는 한편, 핑거 씌우개의 후방부는 손가락의 중간 마디 상에 배치된다.
프레임 부분의 튜브 부분에 또는 석션 튜브에 고정되는 단부는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크리스마스 트리의 형태를 닮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크리스마스 트리의 돌기들(90)은 석션 튜브 내에 수납되고, 석션 튜브 내로 파고들어 석션 튜브가 기구의 사용 중에 프레임 부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치된다. 프레임 부분과 석션 튜브가 상이한 경도를 갖는 재료들로 제조되면, 단단한 고정이 더욱 쉽게 달성된다. 프레임 부분이 튜브 부분보다 더 경질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그 경우에 튜브 부분은 프레임이 부분이 그 내부에 삽입될 때에 굽어진다. 돌기에서의 지름은 석션 튜브의 안지름보다 약간 더 크게 되도록 그 크기가 설정될 수 있는데, 그것은 매우 단단한 연결이 이뤄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프레임 부분의 선단부는 팁 부분의 길이 방향 조정을 위한 부재들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부재들은 예컨대 홈들, 리세스들, 또는 돌출부들일 수 있다. 그들은 횡단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들의 수는 예컨대 프레임 부분의 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프레임 부분의 표면에 3개(7, 71, 72)가 있을 수 있는데, 그들은 팁 부분의 길이 방향 조정을 위한 용도의 것들이다. 돌출부들은 예컨대 5 ㎜의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 3개의 돌출부들 중에서 프레임 부분의 선단부 끝에 있는 마지막 돌출부(70)는 더 넓고 더 높다. 그 목적은 별개의 팁 부분 또는 석션 팁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설명한 방식으로, 예컨대 팁 부분이 마찰 조정에 의해 축 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상이한 처치들에서의 팁 부분의 사용이 정확하고 효과적이며 도달성이 있도록 팁 부분의 치수들 및 프레임 부분으로부터의 그 거리가 정해진다. 도달성이란 팁 부분이 도달하여야 할 모든 치료 부위들에 도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팁 부분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은 구강과 같은 상이한 치료 부위들에서의 용이하고 효과적이며 정확한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경우, 예컨대 어금니에 대한 작업 시에는 더 멀리 도달하는 위치가 사용되고, 앞니에 대한 작업 시에는 덜 멀리 도달하는 위치가 사용된다. 팁 부분은 축 방향으로의 이동의 총 길이가 예컨대 약 10 ㎜, 약 15 ㎜, 또는 약 19 ㎜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핑거 부분의 선단 끝으로부터 팁 부분의 선단까지의 거리는 예컨대 약 20 ㎜, 약 26 ㎜, 또는 약 31 ㎜일 수 있다. 프레임 부분의 축 방향으로 프레임 부분에 대한 팁 부분의 길이는 예컨대 약 1/2 또는 1/3일 수 있다. 프레임 부분의 축 방향으로 핑거 부분에 대한 팁의 길이는 예컨대 약 1/2 또는 2/3일 수 있다.
프레임 부분의 선단부는 길이 방향 돌출부들 및 홈들(73)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그들은 예컨대 점진적으로 팁 부분의 회전을 얻고 조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팁 부분의 내부 표면은 프레임 부분의 선단부의 돌출부들과 홈들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져 팁 부분이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팁 부분의 회전이 찰칵거리며 잠기는 소리(snap)를 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팁 부분은 축 방향으로 및/또는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석션 표면에 있는 팁 부분(4)의 하나 이상의 돌기들(17)과 팁의 측면들에 있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들(16)은 흡입구(10)를 구비한 팁 부분이 저압화(underpressurize)되는 것을 방지하여 팁 부분이 점막에 달라붙는 것을 막는다. 돌기들은 타깃 영역을 문지르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팁 부분에 대한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팁 부분의 외부 표면에 점착성 표면 또는 돌출부들(80)이 배치될 수 있다. 팁의 형태는 앞쪽으로 넓어지게 될 수 있는데, 그것은 더욱 효과적인 흡입 표면 및 더욱 튼튼한 팁이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것은 팁이 예컨대 입술 또는 볼을 작업 부위 밖으로 또는 작업 부위로 가는 길의 밖으로 이동시키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10은 뒤에서 바라본 상태에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핑거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씌우개 모양의 핑거 부분(3)이 하나의 컷(20)을 구비하고 있다. 본 도면은 석션 튜브에 장착되는 장착구(90)를 또한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구의 핑거 부분을 도시하고 있는 정면도이다. 씌우개 모양의 핑거 부분(3)은 팁 부분에 구비된 흡입구(10)를 타깃 부위로 정확하고도 효과적으로 방향 잡을 수 있게 한다. 흡입구(10)를 형성하는 원주(11)는 타깃 부위에서의 작업을 증진시키기 위해 예컨대 4개, 7개 또는 8개의 돌기들(17)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이점은 기구를 작업 부위로 정확하고도 효과적으로 방향 잡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이점은 그와 동시에 작업자들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들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진료소에서 단독으로 작업하는 구강 관리 전문가의 작업 정확성 및 작업 인간 공학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조작자가 "3개의 손"을 갖게 되어 기구를 쓰는 손으로 석션 이외에도 조명 또는 예컨대 치경(mouth mirror) 또는 다른 기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강력 흡입 팁의 사용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다. 석션 팁 또는 강력 흡입 팁을 구비하는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핑거 부분에 의해 손가락의 중간 마디에 또는 중간 마디와 끝 마디에 정착될 경우, 프레임의 단부가 매달려 늘어진 채로 놓이지 않게 되고, 그것은 그 단부를 원하는 타깃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을 수 있게 한다. 그러한 경우, 액체들을 제거하고 석션 팁을 작업 부위로 방향 잡음에 있어 손가락들에 스트레스를 가하는 압축력이 필요하지 않고, 손목을 굽히거나 비트는 동작과 결합된 압축력도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것은 흔히 알려져 있는 석션 팁에 의한 처치들에 비해, 특히 단독 작업 시에 손, 손목, 및 목-어깨 부위에 대한 가장 자연스럽고 스트레스가 덜하며 인간 공학적으로 적절한 작업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고, 예컨대 수근관 증후군(Canalis carpi syndrome)이라 하는 의학적 질환이 발병할 위험이 크게 감소한다.
강력 흡입 팁을 사용할 때에는 작업 자세가 정적이기 때문에, 똑같은 불편한 자세를 심지어 장시간 동안 유지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종래의 작업 시에는, 강력 흡입 팁의 사용이 부정확할 뿐만 아니라, 손가락들의 관절들은 물론 손목과 목-어깨 부위에도 불편하고 인간 공학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준다. 엄지의 이동이 힘들 경우, 엄지의 긴 외향건(long abductor tendon)과 짧은 신전건(short extensor tendon)이 그 건초(tendon sheath)에서 염증을 일으키게 된다. 엄지와 마주한 손목 측에서의 염증의 증세는 국부적인 통증과 부어 오름을 포함한다. 그것은 구강 위생사들 가운데에서 매우 흔한 질환으로, 그러한 질환을 석션 손 증후군(suction hand syndrome)이라 한다. 이제는, 손목 건초염(de Quervain's tenosynovitis)의 위험 인자들인 손목의 계속적인 반복 동작은 물론 옆으로 움직이고 비트는 동작들도 회피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종래의 강력 흡입 팁의 사용은 작업자에게는 물론 환자에게도 불편하고, 강력 흡입 팁이 예리한 날의 플라스틱 튜브이기 때문에, 그것이 치료 중에 종종 환자의 입술이나 점막에 상처를 입히게 된다. 그러한 결점들이 이제는 없어질 수 있다.
액체들 및 다른 물질들과 재료들을 제거하는 이외에도, 이제 더욱 정확하고 더욱 효과적으로 되는 특별한 처치들의 예는 예컨대 초음파 치석 제거, 수동 기구들에 의한 치석 제거, 국소 마취제의 도포, 및 파우더 클리너(powder cleaner)를 사용하는 변색 제거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그들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구강 위생사의 직종에서는, 초음파 장치들이 더욱 정교해짐에 따라, 치석을 제거하는데 초음파 장치를 사용하는 일이 늘어나고 있다. 초음파 장치는 치석 제거를 수동 기구들에 비해 더 빠르고 더 저렴하게 한다. 초음파 장치의 작동은 수중에서의 초음파 진동을 기반으로 하는데, 그것이 바로 초음파 장치의 사용 중에 환자의 입이 다량의 물을 수용하여 작업 부위의 시야를 열악하게 하는 이유이다. 손가락에 부착되고 예컨대 약 360도 회전하는 팁 부분은 석션 팁을 작업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을 수 있게 하는데, 그것은 액체 제거를 더욱 효과적으로 하고, 시야를 개선하며, 인간 공학적으로 적정한 작업 자세를 유지하기 더 쉽게 한다. 팁 부분의 큰 흡입구는 초음파 장치의 사용 중에 발생하는 박테리아 및 세균 함유 에어로졸 클라우드(aerosol cloud)가 작업장 내에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와 작업자에 대한 유해한 세균 오염을 감소시켜 산업 안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손가락에 부착되는 석션 팁은 예컨대 자극을 받은 잇몸들이 심하게 피를 출혈하는 수동 치석 제거와 관련된, 출혈을 수반하는 처치들에서 석션 팁을 잡으려고 손을 뻗어 석션 팁을 가져와야 하는 것을 피할 수 있게 한다. 프레임에 배치되는 핑거 부분과 회전 가능한 팁 부분은 전체의 클리닝 처치 중에 시야를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인간 공학적으로 적정한 작업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석션 팁의 홀더로부터 석션 팁을 잡으려고 손을 뻗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어깨와 상완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도 또한 감소한다.
치아 관리 처치들에서는, 디스펜싱 팁(dispensing tip)에 의해 치은낭(gingival pocket)에 투여되는 액체 국소 마취제가 사용된다. 액체 국소 마취제를 도포하는 경우에는, 국소 마취제가 타액으로 그리고 타액과 함께 환자의 목구멍 내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자의 목구멍 내로 유동하는 국소 마취제는 인두 점막(pharyngeal mucosa)을 마비시켜 환자에게 매우 불쾌하고 두려운 느낌을 준다. 손가락에 배치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팁 부분을 포함하는 기구는 치아들을 따라 작업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힐 수 있고, 그것은 어떠한 과잉의 국소 마취제도 타액으로 그리고 타액과 함께 환자의 목구멍 내로 확산하는 일이 없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선행 기술의 강력 흡입 팁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환자의 입으로부터의 유해 물질의 더욱 정확한 제거, 환자에 대한 더욱 안전하고 더욱 편리한 치료는 물론 작업자가 어떠한 과잉의 마취제도 제거하게 하는 훨씬 더 정확하고 인간 공학적으로 양호한 방법이 얻어지게 된다.
치아의 변색은 파우더 클리너들을 사용하여 제거된다. 파우더 클리너들에 사용되는 파우더는 환자의 점막을 자극하므로, 클리닝 처치 동안 파우더 제트(powder jet)가 점막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손가락에 부착되고 높은 흡입력을 가지며 예컨대 약 360도만큼 회전 가능한 팁 부분은 기구를 작업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을 수 있게 하여 점막 자극 및 상처를 일으키는 파우더 제트가 혀, 입술, 볼, 또는 입천장의 점막에 직접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처치가 작업자에 있어서는 인간 공학적으로 그리고 환자에 있어서는 안전하게 수행될 수 있다. 선행 기술의 강력 흡입 팁을 사용하면, 그러한 처치를 수행하기가 매우 곤란한데, 왜냐하면 단독 작업 시에 강력 흡입 팁을 작업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충전 처치도 또한 매우 정확해질 수 있다. 충전 처치에 있어서는, 치아 충전재로서 플라스틱이 금속을 거의 대체하고 있다. 플라스틱의 사용이 증가한 결과, 치아 관리에서 점점 더 많은 작업 관련 알레르기들이 발생하고 있다. 예컨대, 치아 충전 및 의치 제작에는 메타크릴레이트 함유 플라스틱 재료들이 사용된다. 메타크릴레이트는 알레르기를 일으킬 소지가 높고, 피부, 눈, 및 호흡관(respiratory tract) 자극 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다.
알레르기성 접촉 습진(allergic contact eczema)은 주로 치아 충전 전처리제, 실란트(sealant), 충전제, 및 코팅제에 의해 유발되고 있다. 전처리제들 중에서, 프라이머(primer)들은 통상적으로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2-HEMA)를 함유한다. 광경화성 실란트, 충전재, 및 코팅재는 통상적으로 적어도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종종 에폭시 디메타크릴레이트(예컨대, bis-GMA) 또는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를 함유한다. 많은 아크릴 화합물들도 또한 작업 관련 비염, 천식, 후두염, 및 인두염은 물론 결막염까지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업 부위의 더 양호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 치아 형성(tooth preparation)에 있어서는, 치과 드릴들이 사용되는데, 그 냉각수를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제거하여야 한다. 석션 팁을 작업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을 설정함으로써, 냉각수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 부위의 더 양호한 시야가 확보되어 인간 공학적으로 적정한 자세를 유지하기가 더 쉬워지게 한다. 작업 부위의 개선된 시야는 또한 더 우수한 작업 품질을 얻을 수 있게 한다.
충전 처치에 있어서, 형성치(prepared tooth)를 충전재로 채울 준비를 할 경우, 충전할 치아가 완전히 마른 상태로 있는 것이 중요한데, 그것은 그렇지 않으면 플라스틱 충전재를 치아에 고정하는 것이 보장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해 석션 팁을 충전 부위로 정확하게 방향 잡음으로써, 충전 부위가 완전히 마른 상태가 되어 고품질의 충전 및 관련 처치가 달성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치아를 플라스틱으로 충전하는 경우, 상아질 및 에나멜을 여러 전처리제, 실란트, 충전제, 및 코팅제로 처리하게 된다. 그러한 화학 약품들은 알레르기를 일으킬 소지가 매우 높고, 작업자와 환자 모두에게 유해하다. 그러한 화학 약품들을 치아 상에 투여하였다가 치아로부터 씻어내야 한다. 그때에는, 석션 팁을 치아에 매우 가깝게 유지하여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이탈하는 어떠한 과잉의 화학 약품도 작업 부위로부터 빨아들일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플라스틱 충전에 사용되는 전처리제와 실란트를 건조하여 그들이 치아에 걸쳐 균등하게 퍼지게 하기 위해, 전처리제와 실란트 상으로 공기를 취입한다. 그러한 처치에서 발생하는 에어로졸은 매우 유해하고 알레르기를 일으킬 소지가 높다. 본 발명은 석션 팁을 작업 부위로 더욱 정확하게 방향 잡을 수 있게 하고, 그것은 유해한 에어로졸이 호흡 공기 중으로 확산하는 것을 감소시켜 작업자의 산업 안전을 개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마감 및 연마 처치에 있어서는, 냉각수 이외에도, 아말감들 및 플라스틱 충전 잔류물들이 환자의 구강 내에 형성되는데,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그들을 제거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석션 팁을 마감 부위로 정확하게 가져올 수 있게 하고, 그것은 상기 물질들을 환장의 구강으로부터 더욱 양호하고 세심하게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냉각수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작업 부위의 더욱 양호한 시야, 더욱 우수한 인간 공학, 더욱 높은 작업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본 기구를 구강 및 치아 관리와 관련하여 전술하였지만, 본 기구는 준 의료 기관 처치, 마취 처치, 또는 집중 치료(intensive care)와 같은 다른 의료 처치들에서 예컨대 환자의 호흡관을 흡인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호흡관의 흡인이란 환자의 입, 코, 또는 목구멍으로부터 석션에 의해 타액 또는 기타의 분비물들을 빼내는 것을 지칭한다. 석션 처치를 받는 가장 흔한 부위는 입, 코, 목구멍, 및 하기도(lower respiratory tract)이다. 때로는, 환자의 의식이 없을 때에 환자가 스스로 기침하거나 토해서 뱉어낼 수 없으면 토사물 또는 피를 빨아들여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기도 하다. 흡인의 목적은 호흡관에 다량의 분비물이 있거나 환자가 이물질을 빨아들이고도 자신의 기도를 기침에 의해 비워낼 수 없는 경우에 가스 교환(exchange of gases)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입과 목구멍 내에 있는 점액, 토사물, 및 피와 같은 분비물들은 정상적인 호흡을 방해한다. 건강 관리 전문가는 호흡관으로부터의 환자의 점액 분비물을 관찰하여 석션의 사용이 필요한 시기를 판단한다. 통상적으로, 삽관술(intubation) 또는 기관 절개술(tracheostomy) 후에는 환자의 호흡관을 흡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구멍과 입을 흡인하기 위해, 본 기구는 예컨대 전기적으로 또는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석션 장치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기구는 외과적 석션 장치를 필요로 외과 수술과 내장 수술, 인간 의학과 수의학의 양자에서의 처치들뿐만 아니라, 미용 치료 처치와 수술과 같은 갖가지 처치들 및 외과 수술들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환자의 입, 코, 목구멍, 또는 하기도로부터 타액이나 기타의 분비물들 또는 물체들을 빨아들이고, 또한 입, 코, 또는 호흡관의 부위에서 수행되는 처치들과 관련하여 생성되거나 사용된 물이나 기타의 물질들을 석션에 의해 제거하는 기구(1)로서,
    흡입 유동을 위해 내부에 배치된 채널을 구비하는 대략 튜브 모양의 탄성 프레임(2);
    기구(1)를 손가락에 부착하기 위한 핑거 부분(3, 6); 및
    축 방향으로 핑거 부분(3, 6)보다 밖으로 더 나아가 위치하고, 채널과 연통하는 흡입구(10)를 구비하는 팁 부분(4)을 포함하는 기구(1)에 있어서,
    팁 부분(4)은 프레임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팁 부분(4)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두고 위치한 복수의 상이한 위치들로 이동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는 약 9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임(2)과 그에 배치된 핑거 부분(3, 6)은 굽어진 형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핑거 부분(3)의 선단부의 축 방향은 팁 부분(4)의 축 방향과 대략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핑거 부분(3, 6)은 핑거 부분을 전방부(3a)와 후방부(3b)로 분할하는 컷(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 부분(4)은 흡입구(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팁 부분(4)이 사용 상황에서 흡입 유동으로 인해 타깃 표면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들(12, 17, 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 부분(4)의 흡입구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평탄한 표면(19)과 축 방향 사이의 각도(α)는 25도보다 크고, 바람직하게는 약 30도, 35도, 45도, 또는 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 부분(4)의 말단부는 둥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팁 부분(4)은 축 방향으로 핑거 부분(3, 6)에 대해 조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핑거 부분(3, 6)은 손가락의 원위지간 관절 및/또는 근위지간 관절을 자유롭게 남겨 두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씌우개 모양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1).
  12. 환자의 입, 코, 목구멍, 또는 하기도로부터 타액이나 기타의 분비물들 또는 물체들을 빨아들이고, 또한 입, 코, 또는 호흡관의 부위에서 수행되는 처치들과 관련하여 생성되거나 사용된 물이나 기타의 물질들을 석션에 의해 제거하는 기구(1)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흡입 유동을 위해 내부에 배치된 채널을 구비하는 대략 튜브 모양의 탄성 프레임(2)에,
    기구(1)를 손가락에 부착하기 위한 핑거 부분(3, 6); 및
    축 방향으로 핑거 부분(3, 6)보다 밖으로 더 나아가 위치하고, 채널과 연통하는 흡입구(10)를 구비하는 팁 부분(4);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구(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팁 부분(4)을 프레임의 축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1)의 제조 방법.
KR1020147003337A 2011-07-08 2012-07-05 구강 및 치아 관리 관련 기구 KR1019690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15738 2011-07-08
FI20115738A FI123608B (fi) 2011-07-08 2011-07-08 Apuväline suun ja hampaiden hoidon yhteydessä
PCT/FI2012/050704 WO2013007876A1 (en) 2011-07-08 2012-07-05 Instrument in connection with oral and dental c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696A true KR20140066696A (ko) 2014-06-02
KR101969041B1 KR101969041B1 (ko) 2019-04-16

Family

ID=4431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3337A KR101969041B1 (ko) 2011-07-08 2012-07-05 구강 및 치아 관리 관련 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86563B2 (ko)
EP (1) EP2729086B1 (ko)
JP (1) JP6262650B2 (ko)
KR (1) KR101969041B1 (ko)
CN (1) CN103648433B (ko)
CA (1) CA2874684C (ko)
ES (1) ES2718454T3 (ko)
FI (1) FI123608B (ko)
RU (1) RU2612505C2 (ko)
WO (1) WO201300787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85A1 (ko) * 2015-01-12 2016-07-21 이효휘 치과용 석션팁의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석션팁
KR200488918Y1 (ko) 2018-09-19 2019-04-04 김용서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3100343U1 (de) * 2013-01-24 2014-04-25 Bernd J. Johnki Vorrichtung für eine Zahnbürste, insbesondere eine mechanische oder elektromechanische Zahnbürste
US9730767B2 (en) * 2013-09-04 2017-08-15 Kumar Khandelwal MOHIT Finger mountable dental hand piece device
US11033349B2 (en) * 2014-12-30 2021-06-15 Cyrus Buhari Finger-worn oral procedure apparatus and method
FR3043906A1 (fr) * 2015-11-25 2017-05-26 Philippe Bagur Nouvelle canule utilisable dans le domaine bucco-dentaire
US10398810B2 (en) * 2015-12-02 2019-09-03 BeeClear, LLC Nasal suction device
JP2017143967A (ja) * 2016-02-16 2017-08-24 株式会社 華光 生体洗浄器、生体洗浄方法
US20170245843A1 (en) * 2016-02-24 2017-08-31 Linguaguard Llc High volume evacuation straw tongue retractor
RU168425U1 (ru) * 2016-05-10 2017-02-02 Андрей Викторович Корыткин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отсасывающий инструмент с одноразовым наконечником с локальным освещением
WO2018053351A1 (en) * 2016-09-18 2018-03-22 Skinner Harry B Tactile cerclage wire and cable passer and methods of use
JP6804088B2 (ja) * 2017-04-07 2020-12-23 日商産業株式会社 口腔ケア用指保護具
KR101981324B1 (ko) * 2018-12-11 2019-05-22 김재윤 석션팁
DE202019001370U1 (de) 2019-03-25 2020-06-29 Coltène/Whaledent GmbH + Co. KG Zweiteilige Absaugkanüle für dentalmedizinische Behandlungen
KR102474266B1 (ko) * 2020-06-16 2022-12-05 (주) 덴토존 치과용 석션보조기구
KR102487811B1 (ko) 2020-10-19 2023-01-12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CA3139972A1 (en) * 2020-11-20 2022-05-20 Michael Allan Wickheim Connection adaptor for use with dental tools
WO2022140784A1 (en) * 2020-12-22 2022-06-30 Nxt Biomedical, Llc Surgical drain methods and articles
US11723760B2 (en) * 2021-08-06 2023-08-15 Gregory Prior Aerosol deflecting dental shield and containment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6900A (en) * 1985-03-12 1986-05-06 Victor Hymanson Dental aspirator tube
US4679274A (en) * 1985-07-24 1987-07-14 Friedman Jack C Finger manipulated oral hygiene device
US6074208A (en) * 1998-08-21 2000-06-13 Mitchell; Kenneth B. Noise reduction in fluid flow passage
US20050251093A1 (en) * 2004-05-06 2005-11-10 Hassan Abou-Kansoul Hand mounted surgical aspiration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4135A (en) 1949-08-05 1951-11-06 Abraham W Ward Saliva ejector
US3299511A (en) * 1962-07-09 1967-01-24 Clifford L Hutson Dental aspirator
US3753292A (en) * 1971-04-22 1973-08-21 Clifford L Hutson Adjustable saliva ejector
US3864831A (en) 1973-10-23 1975-02-11 Daniel H Drake Saliva ejector
US3958573A (en) * 1974-04-03 1976-05-25 Wiley Corless W Aspirator apparatus
SU1377059A1 (ru) * 1985-03-29 1988-02-28 Л. С. Иоффе и М. Л. Иоффе Направитель
US4813872A (en) 1987-02-09 1989-03-21 Veronica Knitter Flavored saliva absorb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883426A (en) 1987-12-03 1989-11-28 Ferrer Euler R Dental implement for fluid aspiration and tissue retraction
JPH03147635A (ja) 1989-10-31 1991-06-24 Victor Co Of Japan Ltd 自動給紙装置
JPH0467418U (ko) 1990-10-22 1992-06-15
JPH0475512U (ko) 1990-11-14 1992-07-01
SE468237B (sv) 1991-04-12 1992-11-30 Ulf Dyfvermark Fingerringshaallare med faeste foer sug eller belysningsslang
US5441410A (en) 1992-04-13 1995-08-15 Segerdal; Michael J. Disposable saliva ejector
US5588836A (en) 1995-10-23 1996-12-31 Op-D-Op, Inc. Mouth prop and tongue deflector apparatus
WO1997027813A1 (fr) 1996-01-29 1997-08-07 Nakamura Shoko Outil dentaire equipe d'un dispositif d'exclusion
US5693041A (en) * 1996-08-23 1997-12-02 Eclipse Surgical Technologies, Inc. Laser delivery means ring stabi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gical and other procedures
JPH1085242A (ja) 1996-09-15 1998-04-07 Naotaka Nakamura バキュームチップ
US5986446A (en) * 1997-02-05 1999-11-16 C. Blake Williamson Multi-meter and probe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2001275927A (ja) 2000-03-31 2001-10-09 Fuji Photo Optical Co Ltd 指装着用内視鏡装置
BR8101099U (pt) * 2001-05-08 2003-03-11 Gianmaria Filho Cominato Disposições construtivas introduzidas em tubete e ponteira de aparelhos sugadores
US20070184401A1 (en) 2003-01-15 2007-08-09 Gina Dellanina Dental hygiene device & teeth polishing method
CA2433107A1 (en) 2003-06-30 2004-12-30 Patrick D. Lemoine Low noise vacuum release device and controllable suction apparatus using same
DE102006048463A1 (de) * 2006-10-11 2008-04-17 Stephan Clasen Zahnmedizinischer Absauger mit lösbarer Kappe
US7744371B1 (en) * 2007-10-15 2010-06-29 Practicon, Inc. Adjustable HVE tip
ITVR20090052A1 (it) * 2009-04-10 2009-07-10 Franco Galiotto Puntale in plastica con attacco di sicurezza, chiuso in apice.
DE202011003454U1 (de) * 2011-03-02 2011-06-27 Biomed Est. Zahnärztliche Absaugkanü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6900A (en) * 1985-03-12 1986-05-06 Victor Hymanson Dental aspirator tube
US4679274A (en) * 1985-07-24 1987-07-14 Friedman Jack C Finger manipulated oral hygiene device
US6074208A (en) * 1998-08-21 2000-06-13 Mitchell; Kenneth B. Noise reduction in fluid flow passage
US20050251093A1 (en) * 2004-05-06 2005-11-10 Hassan Abou-Kansoul Hand mounted surgical aspiration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4485A1 (ko) * 2015-01-12 2016-07-21 이효휘 치과용 석션팁의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석션팁
KR200488918Y1 (ko) 2018-09-19 2019-04-04 김용서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62650B2 (ja) 2018-01-17
RU2014104121A (ru) 2015-08-20
US20130203013A1 (en) 2013-08-08
EP2729086B1 (en) 2019-01-09
WO2013007876A1 (en) 2013-01-17
FI123608B (fi) 2013-08-15
EP2729086A1 (en) 2014-05-14
CN103648433B (zh) 2018-04-17
KR101969041B1 (ko) 2019-04-16
CA2874684C (en) 2019-01-08
CA2874684A1 (en) 2013-01-17
FI20115738A0 (fi) 2011-07-08
RU2612505C2 (ru) 2017-03-09
JP2014524804A (ja) 2014-09-25
ES2718454T3 (es) 2019-07-02
FI20115738A (fi) 2013-01-09
CN103648433A (zh) 2014-03-19
US9486563B2 (en) 2016-11-08
EP2729086A4 (en)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041B1 (ko) 구강 및 치아 관리 관련 기구
US7785105B2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ry field during dental procedures
US6102701A (en) Retractor apparatus
US8323021B2 (en) Dental bilatetal bite block
US9198738B2 (en) Combination tongue and flap retractor
KR20130080791A (ko) 치과용 일측성 바이트 블록
WO1997017906A1 (en) Mouth prop for use in dentistry and for oral care
US5538421A (en) Dental instrument
US20030186195A1 (en) Hand-held medical/dental tool
US20050074720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ry field during dental procedures
JP2017113328A (ja) 歯科用ミラー付吸引路管
RU142538U1 (ru) Держатель сменного гибкого наконечника слюноотсоса
Behuria Isolation of Teeth in Children: A Review.
CN205626147U (zh) 一种可固定吸唾管的橡皮障面弓
US20040101804A1 (en) Apparatus for maintaining a dry field during dental procedures
US20110078841A1 (en) Glove with fulcrum finger grip
Reiter et al. Perioperative considerations in dentistry and oral surgery
RU209974U1 (ru) 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го наконечника
CN115153871B (zh) 一次性使用颞下颌关节前脱位医用器械包
JP3577495B2 (ja) 圧排装置を備えた歯科用器具。
EA037454B1 (ru) Защитный чехол для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го наконечника
UA142460U (uk) Мікрооупенер
Sharma et al. An Inexpensive Universal Mouth Props, Saliva Ejector and Tongue Retractor
RO131185A0 (ro) Instrument stomatologic cu oglindă
Suresh et al. General Principles of Instru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