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18Y1 -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 Google Patents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18Y1
KR200488918Y1 KR2020180004367U KR20180004367U KR200488918Y1 KR 200488918 Y1 KR200488918 Y1 KR 200488918Y1 KR 2020180004367 U KR2020180004367 U KR 2020180004367U KR 20180004367 U KR20180004367 U KR 20180004367U KR 200488918 Y1 KR200488918 Y1 KR 2004889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suction tip
cotton roll
finger
fitt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3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서
Original Assignee
김용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서 filed Critical 김용서
Priority to KR20201800043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1Holders for absorben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90Oral protectors for use during treatment, e.g. lip or mouth protectors

Abstract

본 고안은 시술자가 보조기구를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치과 치료 중 하악 치아를 치료할 수 있어 혀를 보호하고 방습이 용이한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시술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끼움튜브와, 상기 끼움튜브의 끝단에 구비되어 코튼롤이 끼워지게 되는 코튼롤 삽입부와, 상기 코튼롤 삽입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혀를 눌러주게 되는 누름돌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ASSISTANT EQUIPMENT FOR DENTAL TREATMENT DAMPPROOFING AND TONGUE USING INSERTED FINGER}
본 고안은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자가 보조기구를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에서 치과 치료 중 하악 치아를 치료할 수 있어 혀를 보호하고 방습이 용이한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과 치료는 치료 과정 중 여러 가지 위험과 어려움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지만 특히 상악 치아보다는 하악 치아를 치료하는 경우 고속회전되거나 날카로운 치과 기구로부터 혀를 다치지 않게 보호해야 되고 또 타액선으로부터 계속적으로 방출되는 환자의 타액으로부터 치료 부위를 보호해야되기 때문에 러버댐(Rubber dam)을 비롯한 여러 가지 형태의 혀 보호기구와 타액 흡입장치들이 개발되어져 왔다.
아직까지도 러버댐이 가장 효과적인 기구이긴 하지만 사용상의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러버댐도 혀로부터 나오는 침을 완벽하게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치과의사(시술자)는 늘 어려움에 직면하게 된다.
치과의사 혼자서 방습과 진료를 동시에 진행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치과보조인력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종종 치과의사 혼자서 이런 역할을 수행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치과 치료 중 하악 치아를 치료함에 있어, 시술자가 오른손(왼손)을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 우측(좌측) 어금니를 치료하는 경우 시술자가 왼손(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환자의 빰과 혀를 동시에 젖히면서 협측과 설측에서 코튼롤(cotton roll)을 고정하여 코튼롤을 쉽게 컨트롤할 수 있어 치료가 용이하다.
그러나, 시술자가 오른손(왼손)을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 좌측(우측) 어금니를 치료하는 경우 시술자의 왼손(오른손) 엄지는 바깥쪽 코튼롤을 잡는데 별문제가 없으나 시술자의 왼손(오른손) 검지가 혀 있는 쪽의 코튼롤을 잡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이 때문에 보조자가 석션팁으로 코튼롤을 누르기도 하는데 입 내부의 공간 등의 제약으로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66696호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치과 치료 중 하악 치아를 치료시 시술자의 검지에 보조 기구를 끼워서 혀를 눌러서 보호하고 코튼롤(cotton roll)을 쉽게 홀드하고 동시에 타액을 흡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술의 편리성을 최대화할 수 있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는 시술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끼움튜브와, 상기 끼움튜브의 끝단에 구비되어 코튼롤이 끼워지게 되는 코튼롤 삽입부와, 상기 코튼롤 삽입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혀를 눌러주게 되는 누름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끼움튜브는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골무 형태의 메탈이나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끼움튜브의 상부에는 석션팁을 연결할 수 있도록 석션팁 홀더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석션팁 홀더에는 석션팁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석션팁 홀더는 석션팁이 끼움홈을 통해 안쪽으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튼롤 삽입부는 환자의 잇몸에 닿을 때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통 형태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정면에 타액이 흡입되어 코튼롤로 흡수될 수 있도록 흡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돌기는 끼움튜브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혀를 눌러주고 안쪽으로 석션팁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에 의하면, 하악 치아를 치료하기 위해 치료를 하는 손의 반대쪽 손의 검지 손가락에 끼움튜브를 끼우고 누름돌기로 혀를 눌러주고 코튼롤 삽입부에 코튼롤을 끼워서 치료 부위에 코튼롤을 눌러주게 됨으로써 누름돌기로 간편하게 혀를 눌러서 보호하고 동시에 코튼롤을 끼워서 타액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편리한 시술로 시술자에게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절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측(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의 일 예를 도시한 절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치과 치료용 위한 보조기구(100)는 끼움튜브(200)와, 코튼롤 삽입부(300)와, 누름돌기(400)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끼움튜브(200)는 시술자의 손가락(10)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끼움튜브(200)는 시술자의 손가락(10)에 끼울 수 있도록 한쪽은 뚫려 있고 다른 쪽은 막혀 있는 골무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끼움튜브(200)의 뚫려 있는 부분으로 손가락(10)을 삽입하여 끼움튜브(200)를 손가락(10)에 끼울 수 있으며, 다른 쪽이 막혀 있어 끼워진 손가락(10)이 환자의 잇몸에 닿지 않아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튜브(200)는 메탈이나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끼움튜브(200)를 하악 치아를 치료하기 위한 손의 반대쪽 손의 검지 손가락에 끼우게 된다.
다시 말해, 환자의 하악 치아를 치료하는 시술자의 손이 오른손이면 왼손의 검지손가락에 끼움튜브(200)를 끼워서 사용하게 된다.
상기 끼움튜브(200)에는 치료시 필요한 석션팁(20)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석션팁 홀더(210)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석션팁 홀더(210)는 치료하고자 하는 하악 치아의 위치에 따라 끼움튜브(200)의 상부나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석션팁(20)을 안정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석션팁 홀더(210)에는 석션팁(20)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21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석션팁 홀더(210)는 석션팁(20)이 끼움홈(211)을 통해 석션팁 홀더(210)의 안쪽으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석션팁 홀더(210)를 탄성 재질로 구비하고 끼움홈(211)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석션팁(20)을 석션팁 홀더(210)의 안쪽을 관통하여 연결시키지 않고 상기 석션팁 홀더(210)의 측면에서 끼움홈(211)을 통해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코튼롤 삽입부(300)는 끼움튜브(200)의 끝단에 구비되어 코튼롤(30)이 삽입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코튼롤 삽입부(300)는 환자의 잇몸에 닿을 때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튼롤 삽입부(300)는 코튼롤(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좌,우 양쪽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되, 정면에 타액이 흡입되어 끼워진 코튼롤(30)로 흡수될 수 있도록 흡입홈(310)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홈(310)은 코튼롤 삽입부(300) 내로 끼워지는 코튼롤(30)에 타액이 최대한 흡수될 수 있도록 좌측에서 우측 끝까지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코튼롤 삽입부(300)에는 침을 빨아들일 수 있는 복수개의 침흡수홈(32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튜브(200)의 연결부위에 석션팁(20)이 연결되어 상기 침흡수홈(320)으로 흡수되는 침을 석션팁(20)으로 흡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누름돌기(400)는 코튼롤 삽입부(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손가락(10)에 끼움튜브(2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치료시 혀를 눌러주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돌기(400)는 코튼롤 삽입부(300)의 상부에 혀를 안정적으로 눌러줄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꺾여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돌기(400)를 곡선 형태로 구비하여 안쪽으로 석션팁 홀더(210)로 끼워지는 석션팁(20)이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치과 치료 중 환자의 하악 치아를 치료하고자 할 때 치료보조인력의 도움없이 시술자 혼자서 환자의 빰과 혀를 동시에 벌리면서 치료하게 되는데, 시술자가 오른손을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 좌측 어금니를 치료하고자 할 때에는 왼손의 엄지와 검지로 빰 안쪽과 혀를 벌리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끼움튜브(200)를 시술자의 왼손 검지 손가락(10)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누름돌기(400)가 혀를 눌러주게 된다.
또한, 상기 코튼롤 삽입부(300)에 끼워진 코튼롤(30)을 이용하여 혀 있는 쪽 부위의 하악 치아 주변을 눌러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시술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환자의 하악 우측 어금니를 치료하고자 할 때에는 시술자의 오른손 검지 손가락(10)에 끼움튜브(200)를 끼우고 누름돌기(400)로 혀를 용이하게 누른 상태에서 치료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치료 시 석션이 필요할 때에는 상기 끼움튜브(200)에 구비된 석션팁 홀더(210)의 끼움홈(211)으로 석션팁(20)을 끼워고 누름돌기(400) 안쪽으로 들어가게 하여 상기 석션팁 홀더(210)에 석션팁(20)을 연결시켜 간편하게 석션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끼움튜브(200)를 시술자의 검지 손가락(10)에 끼우고 상기 끼움튜브(200)에 연장된 누름돌기(400)가 혀를 눌러서 보호하고 동시에 상기 코튼롤 삽입부(300)에 코튼롤(30)을 끼워서 상기 흡입홈(310)으로 타액이 흡입되면서 코튼롤(30)이 타액을 흡수하여 원활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이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손가락
20 : 석션팁
30 : 코튼롤
100 : 보조기구
200 : 끼움튜브
210 : 석션팁 홀더
211 : 끼움홈
300 : 코튼롤 삽입부
310 : 흡입홈
400 : 누름돌기

Claims (7)

  1. 시술자의 손가락에 끼워지는 끼움튜브;
    상기 끼움튜브의 끝단에 구비되어 코튼롤이 끼워지게 되는 코튼롤 삽입부; 및
    상기 코튼롤 삽입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혀를 눌러주고 석션팁이 끼워지는 누름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튜브의 상부에는 석션팁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석션팁 홀더가 구비되고,
    상기 석션팁 홀더에는 석션팁이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코튼롤 삽입부는 환자의 잇몸에 닿을 때 잇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원통 형태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되, 정면에 타액이 흡입되어 코튼롤로 흡수될 수 있도록 흡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튜브는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골무 형태의 메탈이나 아크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팁 홀더는 석션팁이 끼움홈을 통해 안쪽으로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돌기는 끼움튜브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혀를 눌러주고 안쪽으로 석션팁이 들어갈 수 있도록 곡선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KR2020180004367U 2018-09-19 2018-09-19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KR2004889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367U KR200488918Y1 (ko) 2018-09-19 2018-09-19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367U KR200488918Y1 (ko) 2018-09-19 2018-09-19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918Y1 true KR200488918Y1 (ko) 2019-04-04

Family

ID=66103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367U KR200488918Y1 (ko) 2018-09-19 2018-09-19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18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2080A (en) * 1924-04-28 1929-12-31 Howard R Jones Dental appliance
US2885783A (en) * 1957-03-21 1959-05-12 Morris H Golden Dental absorbent roll holder
DE202009007449U1 (de) * 2009-05-26 2009-08-13 Stöver, Bernd, Dr.med.dent. Ergonomische Vorrichtung zur intraoperativen Reinigung von parodontalchirurgischen Küretten und Scalern
KR20140066696A (ko) 2011-07-08 2014-06-02 에르고 메디 오이 구강 및 치아 관리 관련 기구
KR20170072744A (ko) * 2015-12-17 2017-06-27 권혁수 설압자를 겸비하는 치과용 석션팁
KR20180022654A (ko) * 2015-06-26 2018-03-06 토마스 아숨 치아 석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42080A (en) * 1924-04-28 1929-12-31 Howard R Jones Dental appliance
US2885783A (en) * 1957-03-21 1959-05-12 Morris H Golden Dental absorbent roll holder
DE202009007449U1 (de) * 2009-05-26 2009-08-13 Stöver, Bernd, Dr.med.dent. Ergonomische Vorrichtung zur intraoperativen Reinigung von parodontalchirurgischen Küretten und Scalern
KR20140066696A (ko) 2011-07-08 2014-06-02 에르고 메디 오이 구강 및 치아 관리 관련 기구
KR20180022654A (ko) * 2015-06-26 2018-03-06 토마스 아숨 치아 석션 장치
KR20170072744A (ko) * 2015-12-17 2017-06-27 권혁수 설압자를 겸비하는 치과용 석션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1872A (en) Dental impression device
US4179815A (en) Dental device
JP2013523272A (ja) 真空形成歯科用機器の方法および装置
EP3313321A1 (en) Dental suction arrangement
US20070283515A1 (en) Disposable finger mounted instrument cleaner
KR101235084B1 (ko) 치과용 기능성 바이트 블록
US4373915A (en) Iatrogenic shield
KR200488918Y1 (ko) 손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는 방습과 혀를 보호하기 위한 치과 치료용 보조기구
US4986752A (en) Cushioned clamp for securing a dental dam
US20110250563A1 (en) Interdental device
SE466479B (sv) Dental suganordning innefattande en kaapa
US10314672B2 (en) Cheek and tongue retractor
Liebenberg Secondary retention of rubber dam: Effective moisture control and access considerations.
US2930128A (en) Dental cotton roll holder
CN208713645U (zh) 一种隐形矫治器打磨装置
CN212382634U (zh) 一种牙科小牙片机探头保护套装
JP3044128U (ja) 虫歯治療用舌押さえ
KR200448938Y1 (ko) 치과용 겸자
JP3222753U (ja) 歯科用ピンセットの構造
CN106215296A (zh) 一种唇保护型牙垫
CN209611387U (zh) 一种防职业暴露口腔治疗盘
JPS6238649Y2 (ko)
KR102238417B1 (ko) 마우스피스
US4781587A (en) Dental treatment device
KR101538917B1 (ko) 임플란트용 치은 절개 및 박리를 위한 블레이드 핸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