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811B1 -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 Google Patents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811B1
KR102487811B1 KR1020200135273A KR20200135273A KR102487811B1 KR 102487811 B1 KR102487811 B1 KR 102487811B1 KR 1020200135273 A KR1020200135273 A KR 1020200135273A KR 20200135273 A KR20200135273 A KR 20200135273A KR 102487811 B1 KR102487811 B1 KR 102487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ke pipe
intake
external
oral cavity
inte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1640A (ko
Inventor
김혜진
손인수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35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8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5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8Aspiration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6Saliva removers; Accessories therefor
    • A61C17/096Bendable saliva rem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흡기관과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흡기부 및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외부 하관에 위치하는 외부흡기부를 포함하고, 내부흡기부와 외부흡기부는 흡기관에서 분할되어 두 갈래로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 발생하는 피, 침 및 구강 진료에 사용된 제제가 흡입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SUCTION APPARATUS CAPABLE OF ABSORBING BOTH INSIDE AND OUTSIDE THE MOUTH OF THE MOUTH RIVER}
본 발명은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흡기관과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흡기부 및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외부 하관에 위치하는 외부흡기부를 포함하고, 내부흡기부와 외부흡기부는 흡기관에서 분할되어 두 갈래로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 발생하는 피, 침 및 구강 진료에 사용된 제제가 흡입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석션기구는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치료시 시술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하여 피시술자의 입안 수분 등을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석션장치 본체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치과 시술에 따른 구강 내의 액체와 치조골 타공시 발생하는 골가루 등을 회수하는데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치과용 석션기구는 메탈과 플라스틱 2가지 종류로 나뉘며, 메탈은 세척과 멸균작업을 통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제품으로 임플란트 시술이나 치조골 이식 수술과 같이 주로 큰 치과 수술에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 환자들에게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큰 수술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 치과 치료 및 검진에 광범위하게 쓰이는 것이 플라스틱 재질의 일회용 석션팁이다.
현재 치과 병원에서 사용되는 석션팁의 흡입구조는 흡입공을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치과 치료 과정에서 다량 발생되는 액체를 충분히 흡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션팁의 입구 부분으로만 액체의 흡입이 이루어지고 팁 주변으로는 흡입력이 떨어지게 되므로 다량의 액체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좌우 또는 상하로 흔들면서 흡입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구강 외부로 튀는 액체나 제제를 흡입하지 못해 시술자의 시야를 가리거나 시술하는 기구, 마스크 및 시술복에 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환자의 잇몸에 상처를 입하는 문제가 발생되어 치과 진료에는 보조 간호사가 투입되어 2개 이상의 석션기구를 사용하여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강 내부 및 외부에 각각 위치되어 구강의 내부 및 외부에서 액체를 흡입하고 보조 시술자 없이 석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이 필요한 실정이다.
KR 10-1969041 B1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 내부 및 외부에 각각 위치되어 구강의 내부 및 외부에서 액체를 흡입하고 보조 시술자 없이 석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을 구비하여 효율적으로 구강 내외 석션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은 흡기관; 상기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흡기부; 및 상기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외부 하관에 위치하는 외부흡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흡기부와 상기 외부흡기부는 상기 흡기관에서 분할되어 두 갈래로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 발생하는 피, 침 및 구강 진료에 사용된 제제가 흡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내부흡기부는, 상기 흡기관에 맞닿아 연장 형성되는 내부흡기관; 상기 내부흡기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내부흡기홀; 및 상기 내부흡기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내부흡기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팁부는 상기 내부흡기관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구강 내부에 위치하여 구강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내부흡기홀은 상기 내부흡기관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흡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팁부는, 일측부터 타측까지 절개되어 관통되는 복수 개의 절개홈; 및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 및 상기 흡기공은 구강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부흡기부는, 상기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외부흡기관; 상기 제1 외부흡기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외부흡기관; 및 상기 제1 외부흡기관 및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을 연결하되 둘레를 조이도록 형성되는 탈착이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탈거하여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을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은,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의 외측면에서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외부흡기홀;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흡기홀은 구강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흡기부에서 흡입되지 못한 공기, 피, 침 및 구강 진료에 사용된 제제가 흡입되어 시술자의 구강 시술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은 구강의 외부 하관의 굴곡을 따라 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부흡기부와 외부흡기부로 나뉘어져 구강 내외에서 석셕이 가능하여 시술자의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팁부의 절개홈으로 인해 흡입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흡기홀로 인해 흡입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흡기관에서 내부흡기부와 외부흡기부가 두 갈래로 갈라져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내부흡기부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팁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흡기홀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외부흡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외부흡기부의 휘어지는 특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외부흡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은, 구강 내외에 발생하는 침, 피, 치아 가루 및 진료용 제제를 흡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은, 흡기관(100), 내부흡기부(200) 및 외부흡기부(30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흡기관(100)은 흡입장치가 연결되어 공기압 또는 압력을 발생시켜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관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의 흡기관(100)은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석션팁이나 흡기관(100)의 끝단 자체가 팁의 역할을 하여 별도의 팁을 가지지 않고 흡입이 가능할 수 있으며, 흡기관(10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두 갈래로 분할되는 형태가 아닌 단일 형태로 이루어져 후 술할 본 발명의 내부흡기부(200) 및 외부흡기부(300)의 형태로 단일 흡기관(100)으로 사용될 수 있다.
내부흡기부(200)는 흡기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서 직접 흡입을 실시하는 구성요소이며, 도 3을 참조하면 내부흡기관(210) 내부흡기홀(220) 및 팁부(230)를 포함한다(여기서 흡기관(100)의 타단은 흡입장치가 연결된 단부이다).
내부흡기관(210)은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흡기관(10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관 형태이며, 직접적으로 흡기관(100)에 맞닿아 형성된다.
이때, 내부 흡기관(100)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시술자의 의도대로 휘어져 원하는 구강 내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플라스틱, 플라스틱 폼, 천, 고무 등 다양한 재료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내부흡기관(210)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내부흡기홀(220)이 형성된다.
내부흡기홀(220)은 내부흡기관(21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치아에서 떨어진 이물질 및 치과 진료에 사용되는 제제 또는 부재를 통과시킬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흡기홀(220)은 내부흡기관(210)의 일부에만 구현되어 있지만, 내부흡기관(210)을 외주면을 따라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시술자 또는 제조 공정에 있어 변형 설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내부흡기홀(220)의 개수는 본 발명의 예보다 적거나 많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홀 형태로 구현되어 있지만 타원, 격자구조 및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부흡기홀(220)은 후술할 팁부(230)에서 흡입되지 못한 이물질을 흡입하여 시술자의 시술 편의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 개로 형성되어 흡입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내부흡기관(210)의 일단에는 팁부(230)가 형성된다.
팁부(230)의 단면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일부가 잘려진 원뿔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팁부(230)는 내부흡기관(210)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게 되어 내부흡기관(210)과 억지끼움 구조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내부흡기관(210)과 팁부(230)의 고정력이 증대되어 안정적으로 구강 내부에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여기에, 팁부(230)는 복수 개의 절개홈(232) 및 흡기공(231)을 포함한다.
절개홈(232)은 팁부(2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며, 팁부(230)의 외측면에서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복수 개로 형성된다.
이때, 복수 개의 절개홈(232)은 도 3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팁부(230)의 전면의 중심에서 측면으로 방사형으로 위치된다.
그러나, 절개홈(232)의 위치 및 개수는 실시하는 시술자 및 제작 공정에 따라 적거나 많을 수 있으며 다양한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개홈(232)은 후술할 흡기공(231)에 흡입되는 기류가 분산되어 흡기공(231)이 구강점막에 닿아 구강점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각도에서 흡입하여 흡입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흡기공(231)이 막히더라도 구강 내부의 이물질이나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 시술자의 시술의 질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흡기공(231)은 팁부(230)의 전면 중심에서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구강 내부에서 공기 및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가 구강 내부에 고인 피, 침 및 치과 진료용 제제를 직접적으로 맞닿아 흡입하여 구강 내부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흡기공(231)의 형태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시술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번형 설계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구강 외부에 위치하여 흡입을 실시하는 기능을 지니는 외부흡기부(300)는 흡기관(100)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전술한 내부흡기부(200)와 동일한 흡기관(100)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흡기관(100)의 일단에서 두 갈래로 분할되어 내부흡기부(200)와 외부흡기부(300)가 구비된다.
외부흡기부(300)는 제1 외부흡기관(310), 연결부(320), 제2 외부흡기관(330) 및 외부흡기홀(340)을 포함한다.
제1 외부흡기관(310)은 흡기관(100)의 일단에 맞닿아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 외부흡기관(310) 또한 전술한 내부흡기관(210)의 소재와 동일한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외부흡기관(330)은 제1 외부흡기관(310)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2 외부흡기관(330)은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제1 외부흡기관(310)과 제2 외부흡기관(330)을 연결하는 연결부(320)가 구비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320)는 제1 외부흡기관(310)과 제2 외부흡기관(330)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제1 외부흡기관(310)과 제2 외부흡기관(330)의 둘레를 조여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연결부(320)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연결부(320)를 탈거하면 제2 외부흡기관(33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외부흡기관(310)과 제2 외부흡기관(330)의 체결성이 증대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순히 연결부(320)를 탈거하기만 하면 손쉽게 제2 외부흡기관(330)을 교체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제2 외부흡기관(330)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외부흡기홀(340)이 형성된다.
외부흡기홀(340)은 제2 외부흡기관(330)의 외측면을 따라서 형성되되, 제2 외부흡기관(330)의 내부와 외부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 또는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다.
외부흡기홀(340)은 전술한 내부흡기부(200)의 내부흡기홀(22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강 내부에서 내부흡기부(200)가 미처 흡입하지 못한 이물질을 구강 외부에서 흡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흡기홀(340)은 구강 외부에 이물질이 튀어 시술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강 내부에서 발생한 이물질이 튀어 시술자의 시술 도구 및 드레이프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흡기홀(34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흡입의 효과를 증대한다.
덧붙여, 외부흡기홀(340)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개수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외부흡기관(330)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휘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강 외부에서 이물질을 흡입하게 되는 제2 외부흡기관(330)의 특징 상 하관 즉, 하관의 피부 표면에 위치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하관의 구조에 맞게 휘어질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다양한 피시술자의 골곡진 하관 구조에 대응하여 구강 외부에서 휘어진 상태로 위치하여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어 흡입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구강 내외에서 흡입이 가능한 석션은 종래의 석션기구와는 달리 두 갈래로 분할되어 구강 내부 및 구강 외부에서 이중으로 흡입을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는 구강 내부만이 아니라 구강 외부에서 이물질 및 미세한 입자들이 섞인 공기를 흡입하여 석션의 흡입 효과를 증대한다.
또한, 종래의 석션기구는 보조 시술자가 석션을 구강 내부 및 구강 외부로 움직여 석션을 진행하여 시술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구강 내부 및 구강 외부를 일괄적으로 석션할 수 있어 시술자의 효율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겠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외부흡기관(310)의 외주면은 접힘이 가능한 접힘부(310a)를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접힘부(310a)는 접힘되는 단부를 따라 신장 및 압축이 가능하다.
도 8은 접힘부(310a)가 신장된 상태로 피시술자의 구강의 크기, 외부의 하관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신장된다.
도 9는 접힘부(310a)가 압축된 상태로 전술한 피시술자의 구강의 크기, 구강 외부의 하관의 크기에 따라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압축되는 것이며, 접힘부(310a)는 사용되지 않을 시, 접힌 상태로 보관되어 부피를 줄이게 된다. 이에 보관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힘부(310a)로 인해 휘어서 구강 외부에 위치할 때,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여 구강 외부에서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내부에서 침, 피 및 구강 진료에 사용되는 제제가 묻어 시야의 저하 또는 흡입을 저하하여 홈이나 홀을 통해 액체 형상의 이물질이 표면장력을 형성하여 원할한 흡입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내부흡기부(200) 및 외부흡기부(300)의 표면에는 방수 및 발수를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층(미도시)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코팅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층은 발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에 의해 발수 효과로 인해, 내부흡기부 및 외부흡기부의 표면에 수술 중 발생하는 혈액에 의해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일정 범위의 점도를 나타내어, 내부흡기부 및 외부흡기부의 표면에서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1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 측정 결과, 130 내지 140도로 확인되었으며, 상기 접촉각의 범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코팅층에 의해 우수한 발수 효과가 나타난다고 할 것이다.
상기 무기 입자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직경은 70 내지 100㎛이지만,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 입자는 내부흡기부 및 외부흡기부의 표면에 코팅층으로 형성 후, 물리적인 강도를 향상시키고, 점도를 일정 범위로 유지시켜 성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메틸에틸케톤(MEK), 톨루엔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메틸에틸케톤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로는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메톡시프로필 아세테이트 및 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계열의 분산안정제로서 TEGO-Disperse 670 (제조사: EVONIK)을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분산제는 제한 없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로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안정화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예시에 국한되지 않고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한, 코팅 조성물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유기 용매, 무기 입자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조성물은 유기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40 내지 60 중량부, 무기 입자 20 내지 40 중량부 및 분산제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구성 성분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수 효과가 임계적 의의가 있는 정도의 상승효과가 발현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승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거의 없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 조성물의 점도는 1500 내지 1800cP이며, 상기 점도가 1500cP 미만인 경우에는 렌즈 표면에 도포하면, 흘러내려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고, 1800cP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제조예 1: 코팅층의 제조]
1. 코팅 조성물의 제조
메틸에틸케톤에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실록산계 화합물, 무기입자 및 분산제를 혼합하여,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2
여기서 n은 1 내지 100의 정수이다.
보다 구체적인 조성은 하기 표 1과 같다.
TX1 TX2 TX3 TX4 TX5
유기용매 100 100 100 100 100
폴리실록산 30 40 50 60 70
무기입자 10 20 30 40 50
분산제 1 5 10 15 20
(단위 중량부)2. 코팅층의 제조
내부흡기부 및 외부흡기부의 일표면에 상기 DX1 내지 DX5의 코팅 조성물을 도포 후, 경화시켜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실험예
1. 표면 외관에 대한 평가
코팅 조성물의 점도 차이로 인해, 코팅층을 제조한 이후, 균일한 표면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관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균일한 코팅층을 형성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였고, 하기와 같은 기준에 의해 평가를 진행하였다.
○: 균일한 코팅층 형성
×: 불균일한 코팅층의 형성
TX1 TX2 TX3 TX4 TX5
관능 평가 × ×
코팅층을 형성할 때, 일정 점도 미만인 경우에는 내부흡기부 및 외부흡기부의 표면에서 흐름이 발생하여, 경화 공정 이후,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어려운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생산 수율이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도, 조성물의 균일 도포가 어려워 균일한 코팅층의 형성이 불가하였다.
2. 발수각의 측정
상기 내부흡기부 및 외부흡기부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발수각을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전진 접촉각 (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3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4
)
정지 접촉각 (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5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6
)
후진 접촉각 (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7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8
)
TX1 117.1
Figure 112020110360894-pat00009
2.9
112.1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0
4.1
< 10
TX2 132.4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1
1.5
131.5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2
2.7
141.7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3
3.4
TX3 138.9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4
3.0
138.9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5
2.7
139.8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6
3.7
TX4 136.9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7
2.0
135.6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8
2.6
140.4
Figure 112020110360894-pat00019
3.4
TX5 116.9
Figure 112020110360894-pat00020
0.7
115.4
Figure 112020110360894-pat00021
3.0
< 1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TX1 내지 TX5의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 이후, 접촉각을 측정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X1 및 TX5는 후진 접촉각이 10도 미만으로 측정되었다. 즉,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의 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 물방울이 피닝(Pinning)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TX2 내지 4에서는 피닝 현상이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여 우수한 방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흡기관,
200 : 내부흡기부,
210 : 내부흡기관,
220 : 내부흡기홀,
230 : 팁부,
231 : 흡기공,
232 : 절개홈,
300 : 외부흡기부,
310 : 제1 외부흡기관,
310a: 접힘부,
320 : 연결부,
330 : 제2 외부흡기관,
340 : 외부흡기홀.

Claims (6)

  1. 흡기관;
    상기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흡기부; 및
    상기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되, 구강 외부 하관에 위치하는 외부흡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흡기부와 상기 외부흡기부는 상기 흡기관에서 분할되어 두 갈래로 형성되되, 구강 내부에 발생하는 피, 침 및 구강 진료에 사용된 제제가 흡입될 수 있고,
    상기 내부흡기부는,
    상기 흡기관에 맞닿아 연장 형성되는 내부흡기관;
    상기 내부흡기관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 개의 내부흡기홀; 및
    상기 내부흡기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되, 상기 내부흡기관에서 멀어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팁부;를 포함하고,
    상기 팁부는 상기 내부흡기관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어 단차를 형성하되, 상기 구강 내부에 위치하여 구강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내부흡기홀은 상기 내부흡기관의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팁부는,
    일측부터 타측까지 절개되어 관통되는 복수 개의 절개홈; 및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흡기공;을 포함하고,
    상기 절개홈 및 상기 흡기공은 구강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외부흡기부는,
    상기 흡기관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외부흡기관;
    상기 제1 외부흡기관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외부흡기관; 및
    상기 제1 외부흡기관 및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을 연결하되 둘레를 조이도록 형성되는 탈착이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를 탈거하여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을 교체할 수 있고,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은,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의 외측면에서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외부흡기홀;을 형성하고,
    상기 외부흡기홀은 구강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흡기부에서 흡입되지 못한 공기, 피, 침 및 구강 진료에 사용된 제제가 흡입되어 시술자의 구강 시술을 용이하게 하는 것인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흡기관은 구강의 외부 하관의 굴곡을 따라 휘어질 수 있는 것인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KR1020200135273A 2020-10-19 2020-10-19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KR102487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73A KR102487811B1 (ko) 2020-10-19 2020-10-19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273A KR102487811B1 (ko) 2020-10-19 2020-10-19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40A KR20220051640A (ko) 2022-04-26
KR102487811B1 true KR102487811B1 (ko) 2023-01-12

Family

ID=8139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273A KR102487811B1 (ko) 2020-10-19 2020-10-19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81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4562A1 (en) * 2018-10-24 2020-04-30 Episcopo Giovanni Pietro Improved flexible saliva suction cannula, and industrial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23A (ko) * 2007-07-30 2009-02-04 강태현 교체 가능한 치과용 임상기구
FI123608B (fi) 2011-07-08 2013-08-15 Ergomedi Oy Apuväline suun ja hampaiden hoidon yhteydessä
US9636194B2 (en) * 2014-05-12 2017-05-02 King Saud University Dental device with dual saliva extraction and dual retr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4562A1 (en) * 2018-10-24 2020-04-30 Episcopo Giovanni Pietro Improved flexible saliva suction cannula, and industrial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640A (ko)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3381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й процедуры
CN103648433B (zh) 与口腔和牙齿护理有关的器械
US11311362B2 (en) Dental device
CA2751692A1 (en) Dental evacuation tool
US20220218454A1 (en) Cheek retractor with aerosol suction
JP2022533276A (ja) 歯科用マウスピース
KR102487811B1 (ko) 구강 내외 흡입이 가능한 석션
MX2010014317A (es) Dispositivo aspirador multi-lumen.
US20220257356A1 (en) Evacu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220226087A1 (en) Suction tool
JP6416747B2 (ja) 歯科用ミラー付吸引路管
WO2021088714A1 (zh) 一种角度可调防污型微创手术腹腔镜
JP2007151783A (ja) 吸引機能付きスパーテル
WO2022020920A1 (pt) Aspirador de aerossóis e saliva para pontas odontológicas
US6638240B2 (en) Surgical suction instrument
CN205626147U (zh) 一种可固定吸唾管的橡皮障面弓
CN213490214U (zh) 牙椅强吸套管防护罩
EP3590467A1 (en) Atraumatic high-volume dental evacuation tip
CN208877474U (zh) 吸引器
CN107440747A (zh) 鼻窦内窥镜手术用多头吸引装置
US20230380946A1 (en) Aerosol deflecting dental shield and containment device
US8360773B2 (en) Dental high volume suction tube with protective cap
US9456880B1 (en) Dental wedge with a flexible tubing suction line
CN217645261U (zh) 一种方便排烟的手术用腹腔镜
IT202000010471A1 (it) Dispositivo di protezione individuale per formare una barriera anti-contaminazione fra la testa di una persona ed un operatore, preferibilmente medico-sanitario, o estetico-igienis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