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118A -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 - Google Patents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118A
KR20140066118A KR1020130142993A KR20130142993A KR20140066118A KR 20140066118 A KR20140066118 A KR 20140066118A KR 1020130142993 A KR1020130142993 A KR 1020130142993A KR 20130142993 A KR20130142993 A KR 20130142993A KR 20140066118 A KR20140066118 A KR 20140066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wall
mounting
hea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596B1 (ko
Inventor
베르너 랑
엘마 핀켄베르거
볼프강 사이보스
슈테판 센트마이어
Original Assignee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메크라 랑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4006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05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 B60R1/06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 B60R1/061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trucks, e.g. by C-shaped support means with remote position control adjustment by electrically actuate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Lense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2)에 관한 것으로, 이 거울 헤드는 거울 하우징(4)과 말단 요소(6)를 포함하는 일체형 요소(8)를 가지며, 또한 적어도 하나의 거울 유리(22)를 갖는다. 거울 하우징(4)과 말단 요소(6)는 일체형 요소(8)로서 구성되므로, 사출 성형 몰드로서 단지 하나의 몰드만 필요하게 된다. 또한, 거울 하우징(4)을 말단 요소(6)에 장착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이리하여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거울 헤드(2)는 특히 다용도 차량 분야에서 외부 차량 거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Description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MIRROR HEAD, IN PARTICULAR FOR AN EXTERIOR VEHICLE MIRROR}
본 발명은 특히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EP 1 514 732 B2 또는 DE 10 2008 053 177 A1에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은 종래의 거울 헤드는 유리 유닛을 갖는 거울 하우징 및 말단 요소를 포함하며, 거울 헤드는 그 말단 요소를 통해 차량 또는 유지 장치에 고정된다. 그래서 말단 요소와 거울 하우징은 서로 별개의 요소인 것이다. 이는 특히 더 큰 거울 헤드의 경우에는 안정성 면에서 유리한데, 왜냐하면 말단 요소는 거울 하우징과는 별개로 되어 있을 때 특히 견고하게 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제작 비용이 증가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거울 헤드가 복수의 요소로 이루어진 구조일 때는 복수의 요소들을 만들어 장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해 빈번히 사용되는 사출 성형품을 위한 복수의 사출 성형 몰드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비용이 더 많이 들게 된다.
그러므로, EP 1 514 732 B2 또는 DE 10 2008 053 177 A1 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공정이 더 쉽고 또한 더욱 비용 효율적인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1 의 특징적 사항으로 달성된다.
거울 하우징과 말단 요소는 일체형 요소로서 구성되므로, 사출 성형 몰드로서 단지 하나의 몰드만 필요하게 된다. 또한, 거울 하우징을 말단 요소에 장착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이리하여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거울 헤드는 특히 다용도 차량 분야에서 외부 차량 거울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청구항 2 ∼ 4 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더 가벼우면서도 견고한 거울 헤드가 얻어진다.
청구항 5 에 따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일체형 요소는, 거울 하우징의 사발형 용기부 안으로 연장되어 있는 장착 요소를 갖는 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이 연결 영역은 필요한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보강될 수 있다.
수동식 조절 장치를 위한 장착 요소 또는 전동식 조절 장치를 위한 장착 요소가 연결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청구항 6).
청구항 7 에 따른 유리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수동식 조절 장치를 위한 제 1 장착 요소가 항상 연결 영역에 제공되며, 또한 전동식 조절 장치를 위한 제 2 장착 요소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장치의 종류에 상관 없이 단지 한 종류의 일체형 요소만 필요하게 된다. 이리하여 비용이 절감된다.
청구항 8 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의해, 거울 헤드의 안정성이 증가된다. 연결 영역에서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안정성 및 연결 영역과 차량 간의 하중 전달이 개선된다. 따라서, 연결 영역의 이중벽 부분은 케이블과 플러그 연결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중벽 부분은 벽에 의해 사발형 용기부 및 유리 유닛으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또한 단순히 케이블 이송 통과로 연결된다.
청구항 9 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의해, 거울 헤드를 차량에 장착하는 것이 간단하게 되고 또한 이는 분명 한 사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돌출부는 상보적으로 형성된 개구에 삽입되며, 장착 돌출부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거울 헤드가 풀어질 때 그 거울 헤드의 외측부가 중력 때문에 내려 앉게 되며, 거울 헤드는 장착 돌출부와 형성된 개구 사이에 클램핑되며 그래서 거울 헤드를 잡고 있을 사람이 필요 없이 스스로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차량 연결부에의 고정은 거울 헤드를 잡을 필요 없이 가능하다. 더욱이, 단지 2개의 나사로 고정하면 무게가 더 가볍게 되는데, 왜냐하면 장착 돌출부를 대신할 나사는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되어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상보적으로 형성된 개구는 딥드로잉된 금속판의 문과 같은 차체에 쉽게 부가될 수 있으며, 부싱 또는 클립과 같은 추가 구성 장치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장착 돌출부가 약간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면, 일체형 요소를 사출 성형 몰드 밖으로 꺼내는 것이 더 용이하게 된다(청구항 10). 장착 돌출부가 원추형으로 되어 있으면, 그 장착 돌출부를 차량의 외측면에 있는 지정된 개구 안으로 삽입하는 것도 쉽게 된다. 더욱이, 장착 돌출부의 원추형 부분은, 장착되면 연결 영역과 접촉면 사이의 각도 보다 가파른 각도로 배향된다. 이리하여, 거울 헤드의 안정적인 클램핑과 구속이 이루어진다.
청구항 11 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는 컵형 말단 요소를 가지므로, 이중벽 구조의 이 특별한 형상으로 인해 안정성이 증가된다. 연결 영역에서 말단 요소의 개방된 가장자리 영역까지 이중벽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안정성과 하중 전달이 개선된다. 더욱이, 이 결과, 외벽의 내측면에는 장착 요소가 제공되지 않으므로, 광학적으로 결함이 없는 외벽이 얻어진다. 그러므로, 외벽을 심미적인 설계 측면에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청구항 12 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의해, 장착 돌출부는 차량 표면에 있는 개구에 자동적으로 클램핑되고 제 2 벽의 접촉면으로 차량의 외측면에 접하게 된다. 먼저, 볼트형 장착 돌출부를 지정된 개구 안으로 삽입한다. 그런 다음, 접촉면이 차량의 외측면 또는 거울 유지 장치에 접할 때까지 거울 헤드를 접촉면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렇게 해서, 거울 헤드가 자동적으로 클램핑되고 따라서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14 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의해, 전기 단자를 위한 플러그 연결부가 차량과 거울 헤드 사이에서 말단 요소 안에서 고정되며, 그래서 진동 때문에 플러그 연결부가 느슨하게 될 위험이 최소화된다. 플러그 연결부를 위한 유지 장치는 예컨대 클램프 또는 클립 장치, 나사 연결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청구항 15 에 따른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 형태에 의해, 플러그 연결부를 위한 유지 장치는 컵형 말단 요소 안에 배치되며 그래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 내용,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의 도움으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차량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거울 헤드의 제 1 실시 형태의 상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선 A - A 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B 부분의 상세도이다.
도 4 는 앞 도에 따른 실시 형태의 컵형 말단 요소의 개방된 가장자리 영역을 나타낸다.
도 5 는 수동식 조절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구성된 연결 영역을 도시하는 거울 헤드의 제 2 실시 형태의 상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선 C - C 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7 은 전기 조절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구성된 연결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 5 에 대응되게 도시한 것이다.
도 8 은 도 7 의 선 D - D 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는 수동식 조절 유닛을 위한 장착 요소 및 전기 조절 유닛을 위한 장착 요소 둘다를 갖는 연결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 5 또는 도 7 에 대응되게 도시한 것이다.
도 10 은 도 9 의 선 E - E 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거울 헤드(2)의 제 1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거울 헤드(2)는 차량의 외측면(3)에 장착된다. 거울 헤드(2)는 거울 하우징(4)을 포함하며, 컵형 말단 요소(6)가 그 거울 하우징의 후방측으로부터 옆으로 연장되어 있다. 거울 하우징(4) 및 말단 요소(6)는 일체형 요소(8)로서 형성되어 있다. 거울 하우징(4)은 사발형 용기부(10)를 갖는데, 이 용기부 안에는 연결 영역(12)이 대략 중심 위치에서 제공되어 있다. 연결 영역(12)은 제 1 장착 요소(14)와 제 2 장착 요소(16)를 갖는다. 제 1 장착 요소(14)는 수동으로 조절가능한 유리 유닛(18)을 장착하는 역할을 하며, 그 유리 유닛은 유리 캐리어 판(20)과 거울 유리(22)를 가지며, 제 2 장착 요소(16)는 전동식 조절 장치(24)를 장착하는 역할을 한다. 전동식 조절 장치(24)는 플러그 연결부(28)를 갖는 케이블(26)을 통해 구동된다. 따라서, 하나의 동일한 일체형 요소가 수동식 조절 장치 및 전동식 조절 장치 둘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 및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말단 요소(6)는 컵형 또는 백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일체형 요소(8)의 외벽(30)을 형성하는 제 1 벽(30) 및 거울 하우징(4)의 후방측 또는 바닥측을 형성하는 제 2 벽(32)을 포함한다. 컵형 말단 요소(6)는 개방된 가장자리 영역(34)에서 끝나 있으며, 이 영역은 거울 하우징(4)으로부터 옆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벽(30) 또는 외벽은 제 2 벽(32)을 넘어 상기 개방된 가장자리 영역(34)에서 돌출되어 있다. 볼트형이고 약간 원추형으로 형성된 장착 돌출부(36)가 대략 중심 위치에서 제 1 벽(30)의 가장자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는 상세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볼트형 장착 돌출부(36)는 차량의 외측면(3)에 있는 개구(38)에 결합된다. 볼트형 장착 돌출부(36)를 그 개구(38) 안으로 끼운 후에, 접촉면(40)을 형성하는 제 2 벽(32)의 가장자리가 차량의 외측면(3)에 접하도록 거울 헤드(2)를 구부리게 된다. 그런 다음에, 거울 헤드(2)는 예컨대 나사 연결부의 형태로 된 차량 연결부(42)를 통해 차량의 외측면(3) 또는 별도의 거울 유지 장치에 고정 연결된다.
케이블(26) 또는 제거가능한 플러그 연결부(28)가 유지 장치(44)(도 4 참조)에서 고정되어, 플러그 연결부(28)가 진동 때문에 느슨하게 될 위험이 최소화된다. 유지 장치(44)는 클램프, 클립 또는 나사 연결부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26)은 예컨대 전동식 조절 장치(24), 연결 영역(12)에 있는 길쭉한 구멍(17) 형태의 개구 또는 구멍 및 말단 요소(6)를 통과하여 대응하는 전기 부하까지 안내된다. 케이블(26)을 위한 상기 개구 또는 구멍은 연결 영역의 외부에 제공될 수도 있다.
도 5 및 6 은 거울 헤드의 제 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데, 이 실시 형태는, 수동으로 조절가능한 유리 유닛(18)을 유지하기 위한 제 1 장착 요소(14)만 연결 영역(12)에 제공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실시 형태와 다르다. 도 7 및 8 은 도 5 및 6 과 유사한 도시를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전동식 조절 장치(24)를 장착하기 위한 제 2 장착 요소(16)만 상기 연결 영역(12)에 제공되어 있다.
도 9 및 10 은 도 1 ∼ 4 에 따른 거울 헤드의 제 1 실시 형태의 도 5, 6 또는 도 7, 8에 대응하는 도시를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수동으로 조절가능한 유리 유닛을 위한 제 1 장착 요소(14) 및 전동식 조절 장치(24)를 위한 제 2 장착 요소(16)가 연결 영역(12)에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일체형 요소(8)가 수동식 및 전동식 조절 장치(24) 둘다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2 거울 헤드
3 차량의 외측면
4 거울 하우징
6 말단 요소
8 일체형 요소
10 사발형 용기부
12 연결 영역
14 제 1 장착 요소
16 제 2 장착 요소
17 길쭉한 구멍 형태의 개구
18 유리 유닛
20 유리 캐리어 판
22 거울 유리
24 전동식 조절 장치
26 케이블
28 플러그 연결부
30 제 1 벽(외벽)
32 제 2 벽
34 개방된 가장자리 영역
36 볼트형 장착 돌출부
38 "40"에 있는 개구
40 "32" 에 있는 접촉면
42 차량 연결부
44 유지 장치

Claims (14)

  1.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2)로서,
    상기 거울 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거울 유리(22)가 배치되어 있는 거울 하우징(4) 및 말단 요소(6)를 가지며, 상기 거울 헤드(2)는 상기 말단 요소를 통해 거울 유지 장치 또는 차량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거울 하우징(4)과 말단 요소(6)는 일체형 요소(8)로서 형성되어 있는 거울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요소(8)는 플라스틱, 특히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는 거울 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요소(8)는 사출 성형품인 거울 헤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거울 유리(22)는 유리 캐리어 판(20)에 장착되고, 상기 거울 유리(22) 및 유리 캐리어 판(20)은 유리 유닛(18)을 형성하는 거울 헤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요소(8)는 장착 요소(14, 16)를 갖는 연결 영역(12)을 가지며, 이 연결 영역을 통해 상기 유리 유닛(18)이 상기 일체형 요소(8)에 장착되는 거울 헤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유닛(18)은 수동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조절 장치(24)에 연결되어 있고, 그 조절 장치(24)는 유리 유닛(18)과 함께 상기 일체형 요소(8)에 있는 연결 영역(12)에서 고정되는 거울 헤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12)은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는 조절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요소(14) 및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조절 장치(24)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요소(16) 둘다를 갖는 거울 헤드.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요소(8)는 상기 연결 영역(12)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중벽으로 되어 있는 거울 헤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요소(6)는 장착 돌출부(36)를 가지며, 이 장착 돌출부는 차량의 외측면(3) 또는 거울 유지 장치에 있는 상보적으로 형성된 개구(38)에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거울 헤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돌출부(36)는 볼트형이고 특히 약간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거울 헤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요소(6)는 컵형으로 되어 있고 제 1 벽(30) 및 제 2 벽(32)을 가지며, 이들 벽은 그들 사이에 거리를 두고 서로 대면하며 개방된 가장자리 영역(34)에서 끝나 있고, 상기 제 1 벽은 상기 일체형 요소(8)의 외벽(30)이고, 상기 연결 영역(12)은 상기 컵형 말단 요소(6)의 제 2 벽(32)에 제공되어 있는 거울 헤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가장자리 영역(34)에서 상기 제 1 벽(30), 즉 외벽은 상기 제 2 벽(32)을 넘어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형 장착 돌출부(36)는 상기 제 1 벽(30), 즉 외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접촉면(40)이 상기 볼트형 장착 돌출부의 맞은 편에서 상기 제 2 벽(32)에 형성되어 있는 거울 헤드.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요소(6)는 전기 플러그 연결부(28)를 고정시키기 위한 유지 장치(44)를 갖는 거울 헤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44)는 상기 컵형 말단 요소(6)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거울 헤드.
KR1020130142993A 2012-11-22 2013-11-22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 KR101618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21348.1A DE102012221348B4 (de) 2012-11-22 2012-11-22 Spiegelkopf, insbesondere für einen Fahrzeugaußenspiegel
DE102012221348.1 2012-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118A true KR20140066118A (ko) 2014-05-30
KR101618596B1 KR101618596B1 (ko) 2016-05-09

Family

ID=4968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993A KR101618596B1 (ko) 2012-11-22 2013-11-22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735478B1 (ko)
KR (1) KR101618596B1 (ko)
CN (1) CN103832341B (ko)
BR (1) BR102013029458A8 (ko)
DE (1) DE102012221348B4 (ko)
ES (1) ES2552767T3 (ko)
PL (1) PL2735478T3 (ko)
RU (1) RU257318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8687B3 (de) * 2014-05-08 2015-10-08 Mekra Lang Gmbh & Co. Kg Aussenrückspiegel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Nutzfahrzeug
US10457345B2 (en) * 2014-12-05 2019-10-29 SMR Patents S.à.r.l.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tive mirror
DE102016105668A1 (de) 2016-03-29 2017-10-05 Ficosa International Gmbh Fahrzeugspiege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606058U (de) * 1967-11-03 1970-09-03 Yorck Talbot Stromlinienfoermiger aussenrueckblickspiegel fuer kraftfahrzeuge
DE3339141A1 (de) * 1983-10-28 1985-05-09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Fest einsetzbare vordere seitenscheibe fuer kraftfahrzeuge
DE3705574A1 (de) * 1987-02-21 1988-09-01 Huels Troisdorf Aussenrueckblickspiegel
JP2506070Y2 (ja) * 1989-03-23 1996-08-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自動車用電動式リモコンミラ―のコネクタ保持装置
DE4429604A1 (de) * 1994-08-20 1996-02-22 Mekra Rangau Plastics Auß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KR200196276Y1 (ko) 2000-04-22 2000-09-15 모야플라스틱주식회사 후사경일체형 스포일러
DE10129582A1 (de) * 2001-06-20 2003-01-09 Ros Gmbh & Co Kg Türaußenspiegel und insbesondere einen Spiegelfuß bzw. Spiegelkörper
DE10341818B4 (de) 2003-09-10 2005-10-20 Mekra Lang Gmbh & Co Kg Rückspiegelanordnung für Fahrzeuge
RU50176U1 (ru) * 2005-07-11 2005-12-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Наружное зеркало заднего вид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201109398Y (zh) * 2007-11-07 2008-09-03 儒亿科技股份有限公司 改进的车辆后视镜
DE102008053177A1 (de) 2008-10-24 2010-05-06 Mekra Lang Gmbh & Co. Kg Rückspiegelanordnung für Fahrzeuge
DE502009000399D1 (de) * 2009-03-11 2011-04-07 Smr Patents Sarl Einfacher, leichter Rückblickspiegel
DE102012001739A1 (de) * 2012-01-28 2013-08-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ußenspiegel für ein Fahrzeug sowie Fahrzeug mit einem derartigen Außenspieg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35478A1 (de) 2014-05-28
ES2552767T3 (es) 2015-12-02
CN103832341B (zh) 2016-06-29
RU2573187C2 (ru) 2016-01-20
CN103832341A (zh) 2014-06-04
DE102012221348B4 (de) 2014-06-05
RU2013151812A (ru) 2015-06-10
PL2735478T3 (pl) 2016-02-29
EP2735478B1 (de) 2015-09-09
DE102012221348A1 (de) 2014-05-22
KR101618596B1 (ko) 2016-05-09
BR102013029458A2 (pt) 2015-01-06
BR102013029458A8 (pt) 202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7090B (zh) 用于机动车辆传感器单元的遮护嵌板
KR101618596B1 (ko) 특히 외부 차량 거울을 위한 거울 헤드
CA2653729A1 (en) Shoulder stock fastening
RU2014124719A (ru) Рамочная сборка для коммутационной панели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й рама и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панель
KR20130069772A (ko) 오버헤드콘솔을 구비한 차량
US20070247866A1 (en) Casing and installation-ready assembly for a motorcycle, corresponding motorcycle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CN105090310B (zh) 一种用于车辆发动机罩的缓冲装置
KR101450391B1 (ko) 중앙 콘솔
CN104108353A (zh) 车辆的外部构造
US9045086B2 (en) Exterior mirror for a motor vehicle
CN107696965B (zh) 照明装置的安装结构
CN213270580U (zh) U形夹持件、连接结构、及壳体结构
WO2017129123A1 (en) Adjustable bracket for installation of a vehicle bumper
AU2015222508B2 (en) Fastening arrangement of a radiator cowling and of a bumper on a front end carrier of a motor vehicle
CN101830196B (zh) 简单轻质后视镜
KR20190059585A (ko) 범퍼와 헤드램프 결합 구조
KR20180045768A (ko) 자동차 번호판 장착용 플레이트
CN205395973U (zh) 一种车牌安装架
US20110310632A1 (en) Room lamp for motor vehicle
KR101718461B1 (ko) 자동차 번호판 장착용 플레이트
KR101265837B1 (ko) 자동차의 범퍼커버와 헤드램프의 결합구조
CN215760234U (zh) 一种踢脚线组件以及背景板高度调节结构
CN210629672U (zh) 壳体、激光电视机
CN214930306U (zh) 一种具有照明灯的挡泥板组件
CN207916490U (zh) 安装支架与阻尼器的连接结构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