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016A -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016A
KR20140066016A KR1020120133195A KR20120133195A KR20140066016A KR 20140066016 A KR20140066016 A KR 20140066016A KR 1020120133195 A KR1020120133195 A KR 1020120133195A KR 20120133195 A KR20120133195 A KR 20120133195A KR 20140066016 A KR20140066016 A KR 20140066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film
magnetic
memory cells
patte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3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철
오세충
배병재
정대은
권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3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016A/ko
Publication of KR2014006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0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 G11C11/16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elements in which the storage effect is based on magnetic spin effect details concerning the memory cell structure, e.g. the layers of the ferromagnetic memory cel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1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film elements
    • G11C11/15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thin-film elements using multiple magnetic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61/00Magnetic memory devices, e.g. magnetoresistive RAM [M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50/00Galvanomagnetic devices
    • H10N50/10Magnetoresis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all/Mr Elements (AREA)
  • Mram Or Spin Memory Techniques (AREA)

Abstract

자기 기억 소자가 제공된다. 기판 상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메모리 셀들 상의 비트라인들이 제공된다. 상기 메모리 셀들 각각은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과 분리되는 자유층, 상기 자유층 상의 터널 절연막, 및 상기 터널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비트라인들을 따라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되는 기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MAGNETIC MEMORY DEVIC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기의 고속화, 저 소비전력화에 따라 이에 내장되는 반도체 기억 소자 역시 빠른 읽기/쓰기 동작, 낮은 동작 전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일 방안으로 반도체 기억 소자로 자기 기억 소자가 제안된 바 있다. 자기 기억 소자는 고속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비휘발성 특성을 가질 수 있어, 차세대 기억 소자로서 각광 받고 있다.
자기 기억 소자는 자기터널접합(Magnetic Tunnel Junction: MTJ)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터널접합은 두 개의 자성체들과 그 사이에 개재된 터널 베리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자성체들의 자화 방향들에 따라 상기 자기터널접합의 저항값이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자성체들의 자화 방향들이 서로 반평행하는 경우에 자기터널접합은 상대적으로 큰 저항값을 가질 수 있으며, 두 개의 자성체들의 자화 방향들이 평행한 경우에 자기터널접합은 상대적으로 작은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저항값들의 차이를 이용하여 자기 기억 소자는 데이터를 기입/판독할 수 있다.
전자 산업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자기 기억 소자에 대한 고집적화 및/또는 저 소비전력화에 대한 요구가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요구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식각 마진을 줄일 수 있는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과제는 공정 단순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자기 기억 소자는 기판 상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메모리 셀들 상의 비트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 각각은;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과 분리되는 자유층; 상기 자유층 상의 터널 절연막; 및 상기 터널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비트라인들을 따라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되는 기준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널 절연막은 상기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기준층은 제 1 기준층 및 상기 제 1 기준층 상의 제 2 기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층은 상기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제 1 기준층들과 분리되고, 상기 제 2 기준층은 상기 비트라인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된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기준층의 폭은 상기 제 1 기준층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상기 기판과 상기 자유층 사이의 하부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하부 전극들과 분리될 수 있다.
상술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하부 전극층 및 제 1 자성층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 상기 하부 구조를 패터닝하여 2차원적으로 분리된 자유층들 및 하부 전극들을 형성하는 것; 상기 패터닝된 하부 구조 상에 제 2 자성층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상부 구조를 패터닝하여 복수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하는 제 1기준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 1 자성층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를 패터닝하는 것은 상기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2차원적으로 분리된 터널 절연막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절연막 상에 제 3 자성층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를 패터닝하는 것은 상기 제 3 자성층을 패터닝하여 2차원적으로 분리된 제 2 기준층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패터닝된 하부 구조와 상기 제 2 자성층 사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를 패터닝하는 것은 상기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하는 터널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는 상기 제 2 자성층 상의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를 패터닝하는 것은 상기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비트라인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식각 마진을 줄일 수 있는 자기 기억 소자를 제공할 수 있으며, 공정 단순화를 달성할 수 있는 자기 기억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1의 Ⅰ-Ⅰ'선 및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터널 접합의 단면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들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들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들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막(또는 층)이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또는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막(또는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들의 크기 및 두께 등은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영역, 막들(또는 층들) 등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영역, 막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소정 영역 또는 막(또는 층)을 다른 영역 또는 막(또는 층)과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예에의 제 1 막질로 언급된 막질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 2 막질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로 도 1의 Ⅰ-Ⅰ'선 및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들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소자분리막(105)에 의하여 정의된 활성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100)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실리콘, 절연체 상의 실리콘(SOI), 실리콘게르마늄(SiGe), 게르마늄(Ge), 갈륨비소(GaAs)와 같은 반도체 기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기판(100)은 제 1 형 불순물로 도핑된 기판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기판(100)은 p형 불순물에 의해 저농도로 도핑된 p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소자분리막(105)은 상기 기판(100)에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소자분리막(105)은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에 제 1 방향(이하, y 방향)으로 연장하는 워드라인들(WL)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과 상기 기판(100) 사이의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전극의 측벽 상의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은 도핑된 실리콘, 금속, 도전성 금속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 및 상기 스페이서는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평면적 관점에서, 상기 워드라인들(WL)의 양 측의 상기 기판(100)에 제 1 불순물 영역들(10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02)이 제공될 수 있다. 인접하는 한 쌍의 워드라인들(WL) 사이에 하나의 제 2 불순물 영역(102)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불순물 영역들(102)은 인접하는 한 쌍의 워드라인들(WL)의 소스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01, 102)은 상기 기판(100)의 도전형과 다른 도전형의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01, 102)은 n형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불순물 영역들(101, 102)은 이온 주입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 덮는 제 1 층간 절연막(110)이 형성된 후,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불순물 영역들(101)에 연결되는 하부 콘택들(C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콘택들(CT)은 도핑된 실리콘, 금속, 또는 도전성 금속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 및 상기 하부 콘택들(CT)은 화학 기상 증착(Chemical Vapor Depositon) 또는 스퍼터링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 상에 하부 구조(BR)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구조(BR)는 차례로 적층된 하부 전극층(121), 제 1 자성층(131), 절연막(141), 및 제 2 자성층(1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층(121)은 도핑된 실리콘, 금속, 또는 도전성 금속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자성층(131) 및 상기 제 2 자성층(151)과 이후 설명될 상기 자성층들(131, 151)로부터 형성되는 자기 터널 접합은 이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절연막(141)은, 일 예로, 마그네슘 산화물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자성층(151) 상에 제 1 마스크 패턴들(19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들(191) 각각은 상기 하부 콘택들(CT)과 수직적으로 오버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들(191)은 x 및 y 방향으로 상호 분리되어 상기 기판(100) 상에 2차원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기판 상에 2차원적으로 배치되었다는 설명은 특정 구성이 상기 기판(100) 상에 열 및 행을 이루어 배치된 것을 지칭한다.
일 예로,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들(191)은 실리콘 질화물 또는 실리콘 산화질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들(191)은 상기 제 2 자성층(151) 상에 절연막을 형성한 후 포토 리소그래피 공정을 수행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층(121), 상기 제 1 자성층(131), 상기 절연막(141), 상기 제 2 자성층(151)은 CVD 또는 스퍼터링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들(191)을 식각마스크로 상기 하부 구조(BR)의 제 1 패터닝 공정이 수행되어 셀 하부 구조들(BS)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패터닝 공정은 건식 식각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자성층(151), 상기 절연막(141), 상기 제 1 자성층(131), 및 상기 하부 전극층(121)이 차례로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은 상기 하부 콘택들(CT) 상에 차례로 적층된 하부 전극(122), 자유층(132), 터널 절연막(142), 및 제 1 기준층(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의 측벽은 수직이 아닌 경사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의 하부 폭은 상부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의 측벽과 상기 기판(100)의 상면 사이의 각은 약 70도 내지 약 85도일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의 형상은 패터닝 공정의 레시피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 사이의 영역을 채우는 제 2 층간 절연막(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1)은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1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1)의 형성 전 또는 후에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들(191)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1)은 평탄화 공정을 통하여 상기 제 1 기준층(152)을 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평탄화 공정은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1) 상에 상부 구조(TR)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조(TR)는 차례로 적층된 제 3 자성층(155), 상부 전극층(125), 및 도전층(1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자성층(155) 및 이하 설명될 상기 제 3 자성층(155)으로부터 형성된 제 2 기준층은 이후,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제 3 자성층(155)은 상기 제 1 기준층(152)의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 전극층(125)은 상기 하부 전극(122)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전층(161)은 금속 및/또는 도전성 금속 질화물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전층(161)은 구리(Cu), 텅스텐(W), 또는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층(161) 상에 제 2 마스크 패턴들(19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들(192)은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이하, x 방향)으로 연장된 라인형상의 패턴들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제 2 마스크 패턴(192)은 x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셀 하부 구조들(BS)과 오버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들(192)은 상기 제 1 마스크 패턴들(191)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들(192)을 식각 마스크로 상기 상부 구조(TR)의 제 2 패터닝 공정이 수행되어 비트라인들(BL) 및 상기 비트라인들(BL) 아래의 셀 상부 구조들(TS)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전층(161), 상기 상부 전극층(125), 및 상기 제 3 자성층(155)이 차례로 패터닝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은 상기 제 1 기준층(152)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제 2 기준층(156) 및 상부 전극(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 즉, 상기 제 2 기준층(156) 및 상기 상부 전극(126)은 x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셀 하부 구조들(BS)과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은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인접 셀들의 상기 자유층들(132)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의 y 방향으로의 하부 폭은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의 상부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 2 패터닝 공정에 의하여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 사이에 형성된 리세스 영역(119)이 상기 제 1 기준층(152)의 상면보다 더 깊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제 1 기준층(152)이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리세스 영역(119)을 채우는 제 3 층간 절연막(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마스크 패턴들(192)은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12)의 형성 전 또는 후에 제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가 설명된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기판(100) 상에 y 방향으로 연장되는 워드라인들(WL)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의 일측에는 제 1 불순물 영역들(101)이 제공되고 타측에는 제 2 불순물 영역들(102)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상의 제 1 층간 절연막(110)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불순물 영역들(101)과 연결되는 하부 콘택들(CT)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콘택들(CT) 상에 셀 하부 구조들(BS)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은 상기 하부 콘택들(CT) 상에 차례로 형성된 하부 전극(122), 자유층(132), 터널 절연막(142), 및 제 1 기준층(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은 제 2 층간 절연막(111)에 의하여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상호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은 상기 기판(100) 상에 x 방향 및 y 방향을 따라 2차원 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 내의 터널 절연막(142) 및 상기 제 1 기준층(152)은 상기 제 2 층간 절연막(111)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터널 절연막들 및 제 1 기준층들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층(152) 상에 셀 상부 구조들(TS)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은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 상의 비트라인들(BL)을 따라 x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수의 셀 하부 구조들(BS)과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 사이에 제 3 층간 절연막(112)이 제공되고, 상기 제 3 층간 절연막(112)은 인접한 셀 상부 구조들(TS)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은 상기 제 1 기준층(152) 상에 차례로 형성된 제 2 기준층(156), 상부 전극(12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의 두께는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의 두께보다 약1.2배 내지 약5배일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 내의 상기 제 2 기준층(156)은 상기 비트라인들(BL)을 따라 인접 셀들의 자유층들(132)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일 예로 y 방향으로, 상기 제 2 기준층(156)의 폭은 상기 제 1 기준층(152)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유층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는 각 셀별로 분리되고, 하부 구조 상의 상부 구조는 비트라인을 따라 연장되며 복수의 하부 구조들과 연결된다. 자기 기억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패터닝 공정에서 복수의 자성층들, 전극층들, 및 절연층을 1회의 식각으로 형성할 경우, 식각 마진에 의하여 식각이 불완전하게 수행되거나 식각에 의하여 발생된 부산물에 의한 층들 간, 특히, 터널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이격된 자유층과 기준층 사이의 전기적 쇼트(short)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자기 기억 소자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자유층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를 제 1 패터닝 공정에 의하여 각 셀별로 분리되도록 먼저 형성한 후, 고정층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를 제 2 패터닝 공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자기 기억 소자를 이루는 층들의 식각이 보다 완전하게 수행될 수 있고 식각 부산물들에 의한 전기적 쇼트가 방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의 Ⅰ-Ⅰ'선 및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제 1 기준층(152)은 생략되고, 상기 제 2 기준층(156)과 그 아래의 터널 절연막(142)이 접할 수 있다. 즉, 셀 하부 구조들(BS)은 하부 콘택들(CT) 상에 차례로 적층된 하부 전극(122), 자유층(132), 및 터널 절연막(142)을 포함하고, 상기 터널 절연막(142)은 셀 상부 구조들(TS)의 제 2 기준층(156)과 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의 Ⅰ-Ⅰ'선 및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100) 상에 2차원 적으로 배치된 셀 하부 구조들(BS)은 하부 전극(122) 및 자유층(132)을 포함하고, 상기 셀 하부 구조들(BS) 상에 배치되어 x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셀 하부 구조들(BS)과 연결되는 셀 상부 구조들(TS)은 터널 절연막(143), 제 2 기준층(156), 및 상부 전극(12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셀 상부 구조들(TS) 내의 상기 터널 절연막(143)은 비트라인들(BL)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x 방향으로 배치된 자기 기억 셀들의 자유층들(132)과 공통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터널 접합의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터널 접합은 하부 전극(122) 상에 차례로 배치된 자유층(132), 터널 절연막(142), 및 기준층(152, 1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층(152, 156)은 제 1 기준층(152) 및 제 2 기준층(15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의 경우 상기 제 1 기준층(152)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를 기준으로 자기 터널 접합이 설명되나, 본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들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층(152, 156)은 기판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평행도록 고정된 자화 방향을 갖고, 상기 자유층(132)은 상기 기준층(152, 156)의 자화 방향과 평행 또는 반 평행하도록 변경 가능한 자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기준층(152, 156)은 고정층 및 피고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기준층(156)은 고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층(152)은 피고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준층(156)은 고정층 및 피고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층은 피고정층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 2 기준층(156)은 고정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층은 고정층 및 피고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층은 반강자성 물질(anti-ferromagnetic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정층은 PtMn, IrMn, MnO, MnS, MnTe, MnF2, FeCl2, FeO, CoCl2, CoO, NiCl2, NiO 및 Cr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층은 희유 금속(precious metal)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유 금속은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금(Au) 및 은(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고정층은 강자성 물질(ferromagnetic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피고정층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단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고정층은 예를 들어, CoFeB, Fe, Co, Ni, Gd, Dy, CoFe, NiFe, MnAs, MnBi, MnSb, CrO2, MnOFe2O3, FeOFe2O3, NiOFe2O3, CuOFe2O3, MgOFe2O3, EuO 및 Y3Fe5O12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층은 강자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유층는 FeB, Fe, Co, Ni, Gd, Dy, CoFe, NiFe, MnAs, MnBi, MnSb, CrO2, MnOFe2O3, FeOFe2O3, NiOFe2O3, CuOFe2O3, MgOFe2O3, EuO 및 Y3Fe5O12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유층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자유층은 복수의 강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들과 상기 층들 사이에 개재되는 비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강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들과 상기 비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층은 합성 반강자성층(synthetic antiferromagnetic layer)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합성 반강자성층은 자기 기억 소자의 임계 전류 밀도를 감소시키고,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층(152, 156)은 기판의 상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고 고정된 자화 방향을 갖고, 상기 자유층(132)은 상기 기준층(152, 156)의 자화 방향과 평행 또는 반 평행하도록 변경 가능한 자화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기준층(152) 및 상기 제 2 기준층(156)은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층(152, 156) 및 상기 자유층(132)은 CoFeTb, CoFeGd, CoFeDy와 같은 수직 자성 물질, L10 구조를 갖는 수직 자성 물질, 조밀육방격자(Hexagonal Close Packed Lattice) 구조의 CoPt, 및 수직 자성 구조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10 구조를 갖는 수직 자성 물질은 L10 구조의 FePt, L10 구조의 FePd, L10 구조의 CoPd, 또는 L10 구조의 CoPt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자성 구조체는 교대로 그리고 반복적으로 적층된 자성층들 및 비자성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수직 자성 구조체는 (Co/Pt)n, (CoFe/Pt)n, (CoFe/Pd)n, (Co/Pd)n, (Co/Ni)n, (CoNi/Pt)n, (CoCr/Pt)n 또는 (CoCr/Pd)n (n은 적층 횟수) 등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준층(152, 156)은 상기 자유층(132)에 비하여 두꺼울 수 있으며, 상기 기준층 (152, 156)의 보자력은 상기 자유층(132)의 보자력 보다 클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자기 기억 소자들은 다양한 형태들의 반도체 패키지(semiconductor package)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들은 PoP(Package on Package), Ball grid arrays(BGAs), Chip scale packages(CSPs), Plastic Leaded Chip Carrier(PLCC), Plastic Dual In-Line Package(PDIP), Die in Waffle Pack, Die in Wafer Form, Chip On Board(COB), Ceramic Dual In-Line Package(CERDIP), Plastic Metric Quad Flat Pack(MQFP), Thin Quad Flatpack(TQFP), Small Outline(SOIC), Shrink Small Outline Package(SSOP), Thin Small Outline(TSOP), System In Package(SIP), Multi Chip Package(MCP), Wafer-level Fabricated Package(WFP), Wafer-Level Processed Stack Package(WSP) 등의 방식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가 실장된 패키지는 상기 자기 기억 소자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및/또는 논리 소자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카드들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카드(1200)는 기억 장치(121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억 장치(1210)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억 장치(1210)는 다른 형태의 반도체 기억 소자(ex, 에스램 소자 또는 디램 소자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 상기 기억 장치(1210) 간의 데이터 교환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메모리 카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유닛(12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상기 프로세싱 유닛(1222)의 동작 메모리로써 사용되는 에스램(1221, SRAM)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인터페이스(1223)는 메모리 카드(1200)와 호스트(Host)간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1225)는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와 상기 기억 장치(1210)를 접속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메모리 컨트롤러(1220)는 에러 정정 블록(1224, Ec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러 정정 블록(1224)은 상기 기억 장치(1210)로부터 독출된 데이터의 에러를 검출 및 정정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호스트(Host)와의 인터페이싱을 위한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 장치(ROM device)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휴대용 데이터 저장 카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메모리 카드(1200)는 컴퓨터시스템의 하드디스크를 대체할 수 있는 고상 디스크(SSD, Solid State Disk)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억 소자들을 포함하는 전자 시스템들의 일 예를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시스템(1100)은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I/O), 기억 장치(1130, memory device), 인터페이스(1140) 및 버스(1150, bu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110), 입출력 장치(1120), 기억 장치(1130) 및/또는 인터페이스(1140)는 상기 버스(1150)를 통하여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버스(1150)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상기 컨트롤러(1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장치(1120)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기억 장치(1130)는 상술된 실시예들에 개시된 자기 기억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억 장치(1130)는 다른 형태의 반도체 기억 소자(ex, 디램 소자 또는 에스램 소자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인터페이스(1140)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은 상기 컨트롤러(1110)의 동작을 향상시키기 위한 동작 기억 소자로서, 고속의 디램 소자 및/또는 에스램 소자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전자 시스템(1100)은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컴퓨터(portable computer),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digital music player),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정보를 무선환경에서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전자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들 및 그 등가물로부터 허용 가능한 해석의 가장 넓은 범위로 결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기판 상의 메모리 셀들; 및
    상기 메모리 셀들 상의 비트라인들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셀들 각각은;
    상기 기판 상에 제공되는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과 분리되는 자유층;
    상기 자유층 상의 터널 절연막; 및
    상기 터널 절연막 상에 제공되고, 상기 비트라인들을 따라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되는 기준층을 포함하는 자기 기억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 절연막은 상기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과 분리되는 자기 기억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층은 제 1 기준층 및 상기 제 1 기준층 상의 제 2 기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준층은 상기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제 1 기준층들과 분리되고, 상기 제 2 기준층은 상기 비트라인들의 연장 방향을 따라 배치된 인접 메모리 셀들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되는 자기 기억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라인들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2 기준층의 폭은 상기 제 1 기준층의 폭보다 큰 자기 기억 소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자유층 사이의 하부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전극은 상기 층간 절연막에 의하여 인접 메모리 셀들의 하부 전극들과 분리되는 자기 기억 소자.
  6. 기판 상에 하부 전극층 및 제 1 자성층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
    상기 하부 구조를 패터닝하여 2차원적으로 분리된 자유층들 및 하부 전극들을 형성하는 것;
    상기 패터닝된 하부 구조 상에 제 2 자성층을 포함하는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상부 구조를 패터닝하여 복수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하는 제 1기준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 1 자성층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를 패터닝하는 것은 상기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2차원적으로 분리된 터널 절연막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절연막 상에 제 3 자성층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구조를 패터닝하는 것은 상기 제 3 자성층을 패터닝하여 2차원적으로 분리된 제 2 기준층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패터닝된 하부 구조와 상기 제 2 자성층 사이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를 패터닝하는 것은 상기 절연막을 패터닝하여 복수의 자유층들 상으로 연장하는 터널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는 상기 제 2 자성층 상의 도전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구조를 패터닝하는 것은 상기 도전층을 패터닝하여 비트라인들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자기 기억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20133195A 2012-11-22 2012-11-22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660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95A KR20140066016A (ko) 2012-11-22 2012-11-22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3195A KR20140066016A (ko) 2012-11-22 2012-11-22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016A true KR20140066016A (ko) 2014-05-30

Family

ID=5089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3195A KR20140066016A (ko) 2012-11-22 2012-11-22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01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040B1 (ko) 반도체 기억 소자
US8853807B2 (en) Magnetic device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099879B1 (ko) 자기 소자
TWI514638B (zh) 製造一磁性穿隧接面儲存元件
KR102105702B1 (ko) 자기 기억 소자
KR102102783B1 (ko) 반도체 소자, 자기 기억 소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KR102374642B1 (ko) 자기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0103323B2 (en) Method for forming a hard mask patter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TWI629809B (zh) 半導體裝置和磁性記憶體裝置的製造方法
KR20160118386A (ko) 멀티-스텝 자기 터널 접합(mtj) 에칭을 위한 대체 전도성 하드 마스크
JP6043478B2 (ja) 磁気異方性物質の自由磁性層を含むストレージノード、これを含む磁気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3042140A (ja) 情報格納装置
US9444033B2 (en) Magnetic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570670B2 (en) Magnet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0323247B (zh) Mram器件及其制造方法及包括mram的电子设备
KR20130017647A (ko) 가변 저항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212556B1 (ko) 반도체 장치
KR20130027155A (ko) 반도체 기억 소자
KR20130099494A (ko) 정보 저장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76821B1 (ko) 자기 메모리 소자 및 그 형성방법
KR20140066016A (ko) 자기 기억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0244A (ko) 자기 기억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