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417A - 자동 조임 신발 - Google Patents

자동 조임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5417A
KR20140065417A KR1020147006994A KR20147006994A KR20140065417A KR 20140065417 A KR20140065417 A KR 20140065417A KR 1020147006994 A KR1020147006994 A KR 1020147006994A KR 20147006994 A KR20147006994 A KR 20147006994A KR 20140065417 A KR20140065417 A KR 20140065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shaft
shoelace
release leve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3351B1 (ko
Inventor
그레고리 지. 존슨
아서 제이. 톰버스
Original Assignee
팰리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3/199,078 external-priority patent/US8904672B1/en
Application filed by 팰리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팰리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65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5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00Shoe lacing fasten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하나의 십자 형태의 끈 또는 닫힘 패널이 있는 자동 조임 장치 및 착용자의 발에 대하여 신발을 조이기 위한 십자형의 끈 또는 닫힘 패널의 자동 조임을 야기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으로 작동하며, 착용자의 발로부터 신발을 제거할 수 있도록 쉽게 풀려질 수 있는 조임 장치. 신발의 후면 밑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된 작동 바퀴는 조이는 방향에서 자동 조임 장치의 움직임을 위한 편안하고 신뢰가능한 작동 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 조임 신발{AUTOMATED TIGHTENING SHOE}
본 발명은 신발 및, 더욱 특정하게는 자동 조임 신발과 관련이 있다. 신발은 자동 조임 시스템과 함께 제공되며, 착용자의 발에 대해 신발의 자동 조임을 야기하는 하나의 방향으로 작동하고, 신발이 착용자의 발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쉽게 풀릴 수 있는 조임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스포츠 또는 육상(sport or athletic) 신발 종류의 자동 조임 신발과 주로 관련이 있으나, 본 발명의 원리는 다수의 다른 타입 및 스타일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다.
<출원과 관련된 전후 참조>
본 출원은 여기에 참고로 포함된, 2011년 9월에 출원된 U.S.S.N. 13/199,078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신발과 부츠를 포함하는 풋웨어(Footwear)는 중요한 의복이다. 풋웨어는 착용자가 서거나, 걷거나 또는 뛰는 동안, 발을 보호하고 필수적인 받침(necessary support)을 제공한다. 풋웨어는 또한 착용자의 개성에 미학적 요소를 제공할 수 있다.
신발은 아웃솔(outsole) 및 뒤축으로 구성되는 밑창을 포함하며, 이는 땅과 접촉한다. 보통 구두혀와 함께, 발의 주변을 둘러싸는 역할을 하는 상부는 샌들 또는 플립 플롭(sandal or flip flop)으로 구성되지 않는 신발에 부착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닫힘 장치는 신발에 발을 고정하기 위해 구두혀 및 착용자의 발 주변으로 상부의 내외측부를 편안하게 끌어당긴다.
닫힘 장치의 가장 보편적인 형태는 신발 상부의 내측 및 외측부 사이를 십자 형태로 가로지르는 끈이며, 상기 끈은 발의 발등 주변에 단단히 끌어당겨지고, 착용자에 의해 매듭이 묶인다. 기능에 있어서 단순하고 실제적인(practical) 반면, 착용자의 발 주변에서 매듭은 자연스럽게 느슨해지기 때문에 상기 신발 끈은 종일 묶여지고 다시 묶여질 필요가 있다. 이것은 일반 착용자에게 귀찮을 수 있다. 게다가, 어린 아이들은 신발끈의 매듭을 어떻게 묶는지 모를 수 있고, 그것 때문에 주의를 기울이는(attentive) 부모 또는 돌보미로부터 보조가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더해, 관절염으로부터 고통받는 노인들은 그들의 발에 신발을 고정하기 위해 매듭을 조이고 묶어 신발 끈을 끌어당기기 위해 고통스럽거나 과도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수년 간의 신발 산업은 묶여진 신발끈을 고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기능, 또는 착용자의 발 주변에 신발을 고정시기기 위해 대안 수단을 채용해왔다. 그러므로, 1903년에 프레스톤에서 발행한 미국 특허 제737,769호는 소구멍 및 스터드(stud) 조합에 의한 상부에 고정된 신발 발등을 가로지르는 닫힘 덮개(flap)를 추가했다. 무어르 주니어(Murr, Jr.)에서 발생한 미국 특허 제2,124,310호에 의해 다루어진 군용 사냥 부츠(military hunting boot)는 내외측 상부 상의 다수의 후크(hook) 주변에 지그재그된 끈을 사용했고, 결과적으로 핀치 패스너(pinch fastener)를 사용하여 고정하였고, 이로 인해 묶여진 매듭의 필요성이 없어졌다. 또한, 제베 주니어(Zebe, Jr)에서 발행한 미국특허 제6,324,774호; 및 케이버로토 등(Caberlotto et al)에서 발행한 제5,291,671호; 및 딘돌프 등(Dinndorf)에 의해 발생된 미국 출원 2006/0191164를 참조하라. 다른 신발 제조는 신발 끈 매듭이 분리된 신발 내의 발에 의해 종일 적용된 압력을 지연하기 위한 신발 상에 위치한 끈을 고정하는 작은 클램프(clamp) 또는 핀치 락(pinch lock) 장치를 취해왔다. 예를 들어, 한슨(Hanson)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5,335,401호; 보르소이 등(Borsoi et al)에서 발행된 제6,560,898호; 및 리우(Liu)에서 발생된 제6,671,980호를 참조하라.
다른 제조는 전체적으로 신발끈이 생략되었다. 예를 들어, 스키 부츠는 발과 다리 주변에 부츠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버클(buckle)을 흔히 사용한다. 예를 들어, 게르츠 등(Gertsch et al)에서 발행한 미국 특허 제3,793,749호, 및 모로우 등(Morrow et al)에서 발행한 제6,883,255호를 참조하라. 한편, 세이달(Seidal)에서 발행한 미국 특허 제5,175,949호에서는 초래된 잠금 장치의 장력에 적응하기 위한 스핀들 드라이브(spindle drive)가 있는 상부의 또 다른 부분에 위치한 상방으로 돌출된 "노우즈(nose)" 위로 스냅 락스(snap locks)하는 상부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요크(yoke)를 가진 스키 부츠를 개시한다. 얼거나 얼음으로 막힌 신발 끈을 피하기 위한 필요성 때문에, 스키 부츠로부터 외부 신발끈을 제거하고, 단단한 스키 부cm의 상부를 연결하는 외부 잠금 장치를 대체하는 것이 논리적이다.
스키 부츠에 적용된 다른 접근은 착용자의 발 주변에 케이블, 그 때문에 스키부츠를 조이는 회전 톱니바퀴(rotary ratchet) 및 멈춤쇠(pawl)에 의해 조여진 내부에 경로가 있는 케이블 시스템의 사용이었다. 모렐(Morell et al) 등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4,660,300호 및 제4,653,204호; 스코시(Schoch)에서 발행된 제4,748,726호; 워크호프(Walkhoff)에서 발행된 제4,937,953호; 스페이드만(Spademan)에서 발행된 제4,426,796호를 참조하라. 해머스랭(Hammerslang)에서 발행한 미국 특허 제6,289,558호에서는 아이스 스케이트의 발등 띠(instep strap)에 상기 회전 톱니바퀴-및-멈춤쇠 조임 장치를 포함했다. 상기 회전 톱니바퀴-및-멈춤쇠 조임 장치 및 내부 케이블 조합은 또한 육상 및 레저 신발에 적용되어왔다. 예를 들어, 캐롤(Carroll)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5,157,813호 및 할렌벡(Hallenbeck)에서 발행된 제5,327,662호; 및 서스만(Sussmann)에서 발행된 제5,325,613호를 참조하라.
포조벤 등(Pozzobon et al)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4,787,124호; 스코시(Schoch)에서 발행된 제5,152,038호; 정킨드(Jungkind)에서 발행된 제5,606,778호; 사카바야시(Sakabayashi)에서 발행된 제7,076,843호;는 손 또는 당김 줄(pull string)에 의해 작동된 톱니바퀴-및-멈춤쇠 또는 드라이브 기어(drive gear) 조합에 근거를 둔 회전 조임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시한다. 상기 장치는 일제히(in unison)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의 개수가 복잡하다.
또 다른 장치는 내부 또는 외부에 경로가 있는 케이블을 조이기 위해 신발 또는 스키 부츠 상에서 사용가능하다. 손에 의해 작동되는 후면 상부를 따라 위치한 회전가능한 레버는 올리비어리(Olivieri)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4,937,952호; 워크호프(Walkhoff)에서 발행된 제5,167,083호; 세이달(Seidel)에서 발행된 제5,379,532호; 및 존스 등(Jones et al)에서 발행된 제7,065,906호에 의해 배워진다. 신발 후면 상부를 따라 위치된 손에 의해 작동된 슬라이드 장치(slide mechanism)는 외부에 경로가 있는 신발 끈에 장력을 적용하기 위해 차이(Tsi)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 2003/0177661에 의해 개시되었다. 또한, 마틴(Martin)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4,408,403호, 및 하이에브링거(Hieblinger)에서 발행된 제5,381,609호를 참조하라.
다른 신발 제조는 손 대신에 착용자에 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조임 장치를 포함하는 신발이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보스윈켈(Voswinkel)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6,643,954호에서는 신발 상부를 가로지르는 띠를 조이기 위해 발에 의해 눌러진 신발 내부에 위치한 장력 레버를 개시한다. 내부에 경로가 있는 신발 끈 케이블은 추(Chou)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5,983,530호 및 제6,427,361호; 및 로템 등(Rotem et al)에서 발행된 제6,378,230호에 있는 비슷한 장치에 의해 작동한다. 하지만, 상기 장력 레버 혹은 누름판(push plate)은 발에 의해 그것에 적용된 지속적인 압력을 갖지 않을 수 있고, 조이는 케이블 또는 띠가 느슨해지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베르니어(Bernier)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5,839,210호에서는 신발 발등을 가로지르는 몇 개의 띠를 당기기 위해 신발의 외부에 위치한 관련된 전기모터(associated electrical motor)가 있는 전지 충전식 견인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접근을 사용한다.
신발 산업은 또한 신발 끈 대신에 벨크로(Velcro)® 띠를 포함하는 어린이 및 어른 용 신발을 생산해왔다. 내측 상부로부터 확장된 상기 끈은 외측 상부에 고정된 상호보완 벨크로 패치에 손쉽게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벨크로 닫힘(Velcro closures)은 너무 많은 힘이 발에 의해 가해질 때 흔히 분리되게 된다. 이는 육상 신발 및 하이킹 부츠에 특히 발생한다. 게다가, 벨크로 닫힘은 상대적으로 빨리 닳게 될 수 있고, 단단히 닫기 위해 벨크로 닫힘의 수용력을 잃는다. 나아가, 많은 착용자들이 벨크로 띠가 풋웨어로서 미적으로 추하다는 것을 발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 그레고리 지. 존슨(Gregory G. Johnson)은 케이블의 원치 않은 느슨해짐을 방지하며, 신발 상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내부 또는 외부의 케이블을 조이기 위해 밑창 내의 칸 내에 또는 신발의 외부를 따라 위치한 자동 조임 장치를 포함하는 다수의 신발 제품을 개발해왔다. 상기 조임 장치는 조여진 케이블을 연결하는 한 쌍의 그리핑 캠(gripping cams), 풀리는 방향으로 슬립하는 것을 방지하며, 조이는 방향으로 움직임을 허락하기 위한 톱니바퀴 및 멈춤쇠와 같이 작동하는 트랙-및-슬라이드 장치, 또는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풀림 레버 상의 멈춤쇠에 의해 맞물린 톱니 바퀴를 또한 지탱하는 신발 끈 케이블을 감기(wind) 위한 축 부품을 수반할 수 있다. 존슨의 자동 조임 장치는 손 누름 줄(hand pull string) 또는 트랙-및-슬라이드 장치, 또는 신발 끈 케이블을 조이기 위한 착용자에 의한 땅 또는 바닥에 반하는 압력이 가해진 신발 밑창의 후면으로부터 확장된 작동 레버 또는 누름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관련된 풀림 레버는 신발을 벗기 위해 그것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자동 조임 장치를 분리하기 위하여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의 느슨해짐을 허락하기 위해 착용자의 손 및 발에 의해 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고안된 자동 조임 장치의 어떤 것도 전체적으로 성공적이거나 만족하지 못했다. 선행 기술의 자동 조임 장치의 주요 단점은 착용자의 발에 편안하게 맞추기 위해 양쪽 면으로부터 신발을 조이는 것을 실패했고, 착용자의 발로부터 신발을 제거하기를 원할 때 신발이 빨리 느슨해지기 위해 어떤 대비도 부족했다. 게다가, 선행기술은 (1) 수많은 부품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편안함; (2) 작은 전자 모터와 같은 값비싼 부품의 포함; (3) 예를 들어 배터리와 같은 주기적 교체가 요구되는 부품의 사용; 또는 (4) 잦은 관리가 요구되는 부품의 존재;로부터 주로 고통받는다.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른 문제점에 더하여, 상기 측면들은 완벽히 성공적이고 만족스러운 자동 조임 신발을 얻기 위해 상당한 개선을 시사한다.
그레고리 존슨은 또한 신발의 밑창으로부터 확장된 바퀴에 의해 작동되는 신발에 내장된 자동 신발 조임 장치를 개발했다. 미국 특허 제7,661,205호 및 제7,676,957호를 참조하라. 그러나, 끈이 신발 밑창의 챔버 내에 포함된 조임 장치에 물리적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끈이 닳거나 파손되었을 때 교체될 수 없다. 이는 신발 제품의 유효 수명을 줄인다.
그러므로, 신발 밑창의 뒤축으로부터 확장할 수 있도록 교체될 수 있는 신발을 허용하며, 신발 밑창의 뒤축으로부터 확장된 롤러 바퀴에 의하는 것과 같이 끈을 착용자의 손의 사용 없이 발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많지 않은 작동 부품이 있는 설계로 단순한 자동 조임 장치를 포함하는 신발 또는 다른 풋웨어 제품을 제공하는 것은 유리하다. 밑창 내에 저장 칸에서 회전하는 롤러 바퀴를 통해 롤러 스케이트로 전환할 수 있는 신발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왕(Wang)에서 발행된 미국 특허 제6,926,289호, 및 워커(Walker)에서 발행된 제7,195,251호를 참조하라. 상기 대중 신발은 상표 바퀴리스(Wheelies®)에서 판매된다. 하지만, 상기 타입의 전환 가능한 롤러 스케이팅 신발은 자동 조임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그러한 장치와 같이 작동하기 위한 롤러 바퀴를 단독으로 사용하게 한다. 상기 롤러는 레저용 목적을 위해 대신 단독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조임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밑창(sole) 및 밑창과 연결된 상부(upper)를 가지며, 상부는 코(toe), 뒤축(heel), 내측부 및 외측부를 포함하는 신발;
(b) 신발 내부에 위치한 발 주변의 하나의 신발 끈 또는 케이블에 의하여 내측 및 외측부를 끌어당기기 위해 상부의 내측 및 외측부에 연결된 닫힘 수단(a closure means);
(c) 신발에 고정되고, 두 개의 단부(end), 원통형의 측 표면 및 상기 측 표면을 따라 두 개의 출구 개구(exit apertures)를 통한 연속적인 통로를 가진 축(axle) 및 축에 강하게 연결되고 신발 바깥면으로 확장된 작동 바퀴(an actuator wheel)를 포함하는 조임 장치;
(d) 내측 및 외측 상부를 통해서 또는 이를 따라서, 축 내의 상기 통로 및 두 개의 출구 개구를 통해 나오며,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이 연속되는 루프(loop)를 형성하기 위해서, 신발 끈 및 케이블의 자유 단부(free ends)가 있는 가이드 수단(guide means)에 연결된 신발 끈 또는 케이블;
(e) 신발 바깥면으로 확장된 작동 바퀴(an actuator wheel)의 회전에 의해 발 주위에 있는 내외측 상부 부위를 끌어당기기 위해 조이는 방향으로 축 주위의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을 끌어당기기 위한 조임 장치의 축의 회전을 야기하며,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역회전을 방해하도록 작동하는 조임 장치와 유효하게 연결된 고정수단;
(f) 내외측 상부를 느슨해지도록 하는 축의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정 수단의 선택적 풀림을 위해 고정 수단에 유효하게 연결된 풀림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조임 신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210)는 산업 내에 알려진 다른 장치보다 설계면에서 단순하다. 그러므로, 신발 제조하는 동안 조립할 수 있고, 신발을 사용하는 동안 고장나는 부품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210)의 또 다른 상당한 장점은 신발 끈(136) 및 신발 끈과 관련된 가이드 튜브가 내외측 상부를 대각선으로 통하는 대신에, 신발 상부의 뒤축 부분에 밑으로 끼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신발 밑창(120) 내에 뒤축에 가까운 자동 조임 장치(210)을 위치시킴으로써, 더 작은 하우징 챔버(200)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유닛은 제조하는 동안 신발 밑창 내에 더 작은 리세스 내에 더욱 쉽게 삽입되고 접착될 수 있다.
도 1은 느슨한 상태에서 십자 형태의 끈을 가진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신발의 상면도(top view)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2의 자동 조임 신발 실시예의 측면도(side view), 부분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열린 상태의 신발 끈 고정 클립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닫힌 상태의 도 3의 신발 끈 고정 클립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느슨한 상태에서 지그-재그 형태의 끈을 가진 본 발명의 어떤 자동 조임 신발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신발 끈 대신에 신발을 조이기 위한 닫힘 패널(closure panel)을 가진 본 발명의 어떤 자동 조임 신발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의 일부의 분해된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자동 조임 장치의 축 조립의 부분의 분해된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바퀴 샤프트에 조립된 작동 바퀴가 있는 축 조립의 바퀴 샤프트 부(wheel shaft portion)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바퀴의 외부 표면 내에 형성된 트레드(tread)의 하나를 나타내는 작동 바퀴의 부분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도 8에 나타난 축 조립의 제1 단부 샤프트 또는 제2 단부 샤프트의 내부 단면도(inner end view)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단부 샤프트에 조립된 부싱(bushing)을 가진 도 8에 나타난 제1 단부 샤프트 또는 제2 단부 샤프트의 외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단부 샤프트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단부의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도 13의 단부의 다른 실시예의 외부 단부의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도 13의 단부의 다른 실시예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단부 샤프트에 조립된 부싱을 가진 도 13의 단부 샤프트의 다른 실시예 외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전면 케이스 내에 조립된 판 스프링의 하나가 있는 자동 조임 장치의 전면 하우징 케이스의 내부 배경도 및 제거된 다른 판 스프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조립된 풀림 레버가 있는 자동 조임 장치의 후면 하우징 케이스의 외부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팬텀 라인(phantom line)에 나타난 풀림 레버가 있는 도 7에 나타난 후면 하우징 케이스의 외부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자동 조임 장치의 풀림 레버의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도 20의 풀림 레버가 뒤집힌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자동 조임 장치의 부분의 분해된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다른 조임 장치의 축 조립의 부분의 분해된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난 축 조립의 제1 단부 칼라(collar) 또는 제2 단부 칼라부의 내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5는 도 23에 나타난 축 조립의 제1 단부 칼라 또는 제2 단부 칼라부의 외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바퀴 샤프트에 조립된 작동 바퀴가 있는 도 23에 나타난 축 조립의 바퀴 샤프트부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7은 다른 자동 조임 장치의 전면 하우징 케이스의 내부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8은 조립된 작동 바퀴 및 풀림 레버가 있는 다른 자동 조임 장치의 후면 하우징 케이스의 외부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풀림 레버 및 작동 바퀴가 제거된 도 28의 후면 하우징 케이스의 외부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0은 다른 자동 조임 장치의 후면 하우징 케이스의 내부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다른 자동 조임 장치의 풀림 레버의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2는 도 31의 풀림 레버가 뒤집힌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4는 도 33의 자동 조임 실시예의 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5는 도 33의 자동 조임 장치의 풀림 레버의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6은 도 35의 풀림 레버가 뒤집힌 배경도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요약>
착용자의 손의 사용 없이 착용자의 발 주변으로 편안하게 조여지며, 신발 및 착용자의 손의 사용 없이 수요에 따라 쉽게 느슨하게 할 수 있는 자동 조임 신발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자동 조임 신발은 밑창 및 필수적인 몸체 부재 또는 어떤 적절한 물질로 구조된 신발 상부를 포함한다. 신발 상부는 토, 뒤축, 구두혀, 및 내외측 측면부를 포함한다. 단일의 끈은 내외측 상부의 주변부를 따라 있는 강회된 가장자리 패드 내의 일련의 소구멍을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끈은 착용자의 발 주변의 내외측 신발 상부 및 착용자의 발등의 상부에 있는 구두혀에 대하여 편안하게 끌어당기기 위해, 구두혀를 가로지르는 십자형 방식으로 자동 조임 장치에 의해 당겨진다. 상기 자동 조임 장치 조립은 바람직하게는 신발 밑창 내에 포함된 챔버 내에 위치하고, 신발 끈을 감기 위해 회전가능한 축을 포함한다. 착용자가 조이는 방향으로 자동 조임 장치의 축을 작동시키기 위해 땅 또는 바닥에 있는 롤러 바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롤러 바퀴는 신발의 후면 밑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확장하는 축에 부착된다. 축에 또한 고정된 톱니 바퀴를 갖는 톱니 바퀴는 역회전으로부터 축을 막기 위해 풀림 레버의 말단 단부에 멈춤쇠에 의해 연속적으로 연결된다. 착용자가 신발의 뒤축으로부터 바람직하게 확장하는 풀림 레버와 연결될 때, 멈춤쇠는 톱니 바퀴의 톱니와 연결이 안되도록 전환되면서, 자동 조임 장치가 신발 끈의 대기 위치에서 신발 끈을 풀기 해 자유롭게 역회전할 수 있고, 착용자의 손의 사용 없이 쉽게 신발 끈이 풀리도록 허락할 수 있다. 게다가, 신발 끈은 전체의 회전가능한 축을 통해 확장한다. 게다가, 신발 상부의 내부 및 요구된 신발 밑창 챔버 내에 위치된 조임 장치에 접근 없이 자동 조임 장치의 회전가능한 축이 있는 작동 연결부 내를 통해 회전가능한 축에 부착된 새로운 신발 끈을 끼움으로써 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신발 끈은 전체의 회전 가능한 축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
자동 조임 장치는 착용자가 풀림 레버에 연결하는 것을 중단할 때, 바퀴의 톱니가 있는 연결부 내에 풀림 레버의 멈춤쇠를 작동하기 위한 분리된 금속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축의 역회전 및 신발 끈이 느슨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대안으로, 상기 풀림 레버는 분리된 메탈 스프링을 위한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한 풀림 레버에 완전하게 부착된 전향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향 부재는 풀림 레버의 암 부로부터 측면으로, 또는 전향 부재 및 암 사이의 차이에 있는 암에 있는 상당히 평행하게 겹쳐진 뒤로 확장할 수 있다. 풀림 레버가 신발 끈이 느슨해지는 것을 허락하기 위해 톱니 바퀴의 톱니로부터 멈춤쇠를 분리하기 위해 작동자로부터 작동될 때, 상기 전향 부재는 자동 조임 장치 조립을 포함하는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대하여 암의 받침으로부터 암과 관련되어 전향될 수 있다. 착용자가 더 이상 풀림 레버를 작동하지 않을 때, 전향 부재는 전향 부재의 원래 모양과 위치로 상당히 되돌리고, 톱니 바퀴의 톱니를 다시 한번 멈춤쇠와 연결되는 풀림 레버를 원래의 위치에 되돌리도록 자동적으로 내부 하우징 표면을 눌러 끌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풀림 레버는 어떤 분리된 금속 스프링이 없는 자동 조임 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내부 "스프링-백" 기능을 포함한다.
수반하는 도면과 관련하여 고려하였을 때,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거하여 더욱 이해될 것이며, 상기 도면에서 도면번호들은 상기 숫자들을 통해 유사한 부품들을 나타내게 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본 발명의 수반되는 많은 장점은 쉽게 서술될 것이다.
착용자의 발 주변에 신발 상부를 끌어당기기 위한 십자 형태의 신발 끈을 조이기 위한 작동 바퀴(wheel-actuated) 조임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조임 신발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자동 조임 장치 조립은 바람직하게는 조이는 방향으로 신발 끈을 감기 위한 축, 조이는 방향으로 축이 회전하기 위해 신발의 후면 밑창으로부터 바람직하게 부분적으로 돌출되는 고정된 롤러 바퀴, 및 역회전으로부터 축을 방지하기 위한 풀림 레버의 단부 상에 멈춤쇠가 연속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톱니(ratchet teeth)가 있는 고정된 톱니 바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신발"은 발 위에 신발을 고정할 수 있게 도와주는 상부 부분을 갖는 모든 닫힌 풋웨어 제품을 의미하며, 부츠; 작업용 신발(work shoes); 스노우 신발(snow shoes); 스키 및 스노우보드 부츠; 스니커즈, 테니스 신발, 러닝화, 골프 신발, 스파이크 신발(cleats), 및 농구 신발과 같은 스포츠 또는 육상 신발; 아이스 스케이트, 롤러 스케이트; 인라인 스케이트; 스케이트보드 신발; 볼링 신발; 하이킹 신발 또는 부츠; 예복용 신발; 캐주얼 신발; 워킹 신발, 댄스용 신발; 및 교정용 신발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은 다양한 신발에 사용될 수 있지만, 오직 실례가 되는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여기에 육상 신발과 관련되어 묘사된다. 이는 다른 적절한 또는 바람직한 신발의 형태인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의 적용을 어떤 방법에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개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신발(110)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조임 장치를 보여주는 자동 조임 신발(110)의 측면도, 부분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자동 조임 신발(110)은 밑창(120), 필수 몸통 부재 또는 구두혀(116), 코(113), 뒤축(118) 및 보강된 가장자리 패드(reinforced lacing pad, 114)를 포함하는 신발 상부(112)를 가지며, 신발의 사용 적용의 단부를 위한 어떤 적절한 재료도 사용된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신발(11)은 연속적인 루프 내로 설정된 하나의 신발 끈(136)을 포함한다. 코(113)와 구두혀(116)에서, 리본(137) 또는 리벳(rivet) 또는 다른 패스너와 같은 어떤 적절한 수단에 의해 신발의 가장자리 패드(114) 또는 코 상부에 고정된 클립(138)이 제공된다. 게다가 상기 클립(138)은 정상 클립(stationary clip)과 관련된 공간 내에 끈을 잡기 위하여 끈(136)을 고정한다. 끈(136)의 두 개의 말단부(136a 및 136b)는 가장자리 패드(114) 상의 소구멍(122 및 124)을 통해 확장되며, 가장자리 패드의 위로 자유 끈 단부가 배치되었다. 상기 신발 끈(136)은 그리고 구두혀(116) 너머로 십자 형태를 띄며, 도시된 바와 같이, 끈 봉쇄 루프(lace containment loop, 142)를 통해 지나가기 전에, 끈 소구멍(126, 128, 130 및 132)을 통해 지나간다. 끈 봉쇄 루프(142)를 지나간 후에, 끈(136)은 보강된 가장자리 패드(114) 내의 구멍(144 및 146)을 통해 지나가고, 신발 상부(112)의 내외측부(112a 및 112b) 및 신발의 뒤축 아래의 외부 및 내부 재료 사이를 지나는 튜브의 구획(148 및 150)을 통해 뒤쪽으로 이동한다. 상기 내부 튜브 구획(148, 150)은 자동 조임 신발(110)의 밑창(120) 내에 위치한 챔버(200) 내로 확장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끈(136)은 가이드 튜브(148, 150)을 통해 지나가고, 자동 조임 장치(210)가 있는 작동 연결부(operative engagement) 그들 사이 내로 지나간다. 신발 끈(136)의 자유 단부(136a 및 136b)가 신발의 코 상부 위에 함께 매듭지어질 때, 연속적인 루프는 생산된다. 클립(138)은 상기 매듭을 숨기고, 신발 끈 루프가 풀어지는 것(coming apart)으로부터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끈(136)은 대신에 튜브(148, 150)에 대한 필요성을 생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신발 상부의 외부를 따라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립(138)은 도 3, 4에 자세한 세부사항이 나타나 있다. 상기 클립은 힌지(hinge, 164)의 방법으로 함께 결합된 바닥 하우징(160) 및 탑 하우징(162)를 포함한다. 탑 하우징(162), 바닥 하우징(160) 및 힌지(164)는 플라스틱, 금속, 또는 적절히 가벼운 무게이고 날씨 요소에 강한 어떤 다른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플라스틱의 한 장점은 클립(138)의 세 가지 부분이 통합된 구조물로써 함께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바닥 하우징(160) 및 탑 하우징(162)은 각각 협력 슬롯(cooperating slots, 166, 168)을 특별히 포함한다. 클립(138)을 신발(110)의 상부에 고정하는 데 사용된 리본(137)은 상기 슬롯을 통해 쉽게 끼워질 수 있다. 내부 또는 바닥 하우징(160)은 앞으로 돌출된 립(lip, 172)이 있는 위쪽을 향해 돌출된 플랜지(170)를 또한 지탱한다. 반면에, 탑 하우징(162)은 제2 슬롯(174)를 지탱한다. 마지막으로, 바닥 하우징(162) 및 탑 하우징(160)은 둘 다 클립(138)의 두 하우징이 서로 붙어 닫힐 때, 니치들은(176, 178) 원형 틈을 형성하며 결합하는 것과 같이 각각 형성된 협력 니치(176, 178)를 포함한다.
클립(138)은 다음과 같이 끈(136)에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끈(136)에 따른 바람직한 위치는 열린 클립 조립 내 및 바닥 하우징(16) 상의 니치(176) 내에 위치한다. 그리고 탑 하우징(162)은 플랜지(170)가 슬롯(174)을 관통하고, 립(lip, 172)이 두 하우징의 절반의 원치 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탑 하우징(162) 내의 내부 니치와 연결되어 맞을때까지 바닥 하우징(160)에 붙어 눌려진다. 잠겨진(fastened) 클립 조립(138)이 끈(136)을 압축하도록, 끈(136)은 하우징 내의 니치(176, 178)에 의해 수용된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신발(11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1에 나타난 십자 형태의 끈 배치를 활용하는 반면, 다른 가능한 닫힘 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5는 지그재그 끈 패턴을 보여준다. 상기 지그재그 배열 내에서, 끈(136)의 하나의 자유 단부(136a)는 클립(138)에 의해 신발 코 상부(112)에 고정된다. 상기 클립은 가장자리 패드(114) 또는 가장자리 패드에 인접한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끈(136)은 소구멍(124, 126, 132)을 통하고, 그리고 나서 구멍(144)을 통해 끼워지고, 그 결과로 신발 상부(112a) 내에 배치된 가이드 튜브(148)를 통하고, 그리고 나서 신발의 뒤축에 가까이 있는 신발의 밑창 내부에 위치한 자동 조임 장치(210)를 통하고, 신발 상부(112b) 내에 배치된 가이드 튜브(150)을 다시 통하고, 그리고 나서 구멍(146)을 다시 통해 지나가고, 그 결과로 끈(136)의 자유 단부(136b)는 클립(180)에 의해 가장자리 패드(114)에 고정된다.
자동 조임 신발(110)은, 도 6에 더욱 충분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또는 지그재그 형 끈(136) 대신에 닫힘 패널(184)를 대체적으로 차용할 수 있다. 닫힘 패널(184)은 내측에 있는 하부 탭(188, 190), 외측에 있는 탭(189, 191)을 사용하여 신발 밑창(120)과 패널의 전단부(186)에 고정된다. 닫힘 패널은(186)은 구두혀(116)를 덮는다. 반면에, 상부 탭(192, 194)은 각각 하기에 서술된 자동 조임 장치(210)를 이용하여 닫힘 패널(184)을 조이는 케이블(196)을 연결하기 위해 고정된다. 클립(138)은 상기 서술된 방법으로 닫힘 패널(184)에 연결 케이블(196)을 고정한다. 도 1 및 5에 나타낸 끈(136) 실시예에 대해 여기에 설명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 케이블(196)은 자동 조임 장치(210)가 있는 작동 연결부를 위해 신발 내에 상기와 같은 연속적인 루프가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닫힘 패널(184)은 내측 상부(197)에 닫힘 패널의 한 면을 따라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나서 연결 케이블(199)을 사용하여 외측 상부(198)에 대해 당겨진다.
자동 조임 장치(210)는, 도 2에 더욱 완전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바닥(202)에 고정된 하우징 챔버(200) 내에 위치한다. 작동 바퀴(212)는 자동 조임 장치(210)에 고정되고, 신발(110)의 후면 밑창부를 넘어 부분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바닥 또는 땅 위에서 작동 바퀴(212)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 조임 장치(210)는 조여진 위치로 회전된다. 신발 끈(136)은 상기 두 면으로부터 챔버(200) 내 아래쪽으로 확장하며, 신발 끈(136)을 조이기 위한 조임 장치(210)를 통해 지나간다. 풀림 레버(214)는, 여기에 더욱 완전히 서술된 것과 같이, 자동 조임 장치를 느슨하게 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한 신발(110)의 후면 상부로부터 바람직하게 확장한다.
자동 조임 장치(210)는 도 7에 더욱 상세히 나타난다. 자동 조임 장치는 전면 케이스(220) 및 후면 케이스(222)를 포함하고, 그 사이에 축 조립(224)이 고정된다. 나사는 후면 케이스(220)와 전면 케이스(222)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두 케이스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음파 용접 또는 접착제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함께 고정될 수 있다. 풀림 레버(214)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후면 케이스(222)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 조각은 RTP301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섬유 10%와 같은 어떤 적합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기능적으로 동등한 물질은 15 % 유리섬유가 있는 나일론이다.
축 조립(224)은 도 8에 분해된 방식으로 더욱 완전하게 도시된다. 축 조립은 바람직하게는 바퀴 샤프트(230),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를 포함한다. 상기 샤프트 부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RTP301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섬유 10%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물질로부터 성형된다. 나일론과 같은 다른 물질도 사용될 수 있으나, 바퀴 샤프트 부(230),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가 시간을 초과하여 반복되는 작동을 위해 필요한 강도를 제공하는 동안, 조합 내에 회전하는 축 조립(224)을 생산하기 위해 함께 맞춰진 적절하게 설계되고 설정된 표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퀴 샤프트(23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주목하면, 바퀴 샤프트는 바퀴 샤프트 각각의 면들로부터 확장하는 제1 횡축(238) 및 제2 횡축(240)을 갖는 솔리드 원형 프레임(236)을 특징으로 하는 일괄적으로 성형된 유닛을 포함한다. 각각의 횡축은 횡축의 말단 단부에 원통형 숄더(242) 및 큐빅형 단부 캡(244)를 제공한다. 연속적인 립(rib, 246) 및 립(rib)으로부터 측면으로 확장하는 다수의 클리트(248)는 솔리드 원형 프레임(236)의 원통형 모서리를 따라 성형되어 있다. 횡축(240)을 감싸는 환형 영역(250)은 원형 프레임(236)의 반대면 내에 성형되어 있다. 한편, 신발 끈(136) 또는 연결 케이블(196)이 축 조립(224)의 상기 바퀴 샤프트(230)을 통해 지나갈 수 있도록, 보어(252)는 제1 횡축(238), 원형 프레임(236), 및 제2 횡축(240)을 통해 전체적으로 지나간다.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는 그들의 구조가 동일하며, 도 8 및 11과 함께 서술될 것이다. 디스크(260)은 축(262)에 디스크의 바깥 면 상에 연결된다. 상기 축(262)은 내부 원통형 숄더(264) 및 더 작은 지름을 갖는 외부 원통형 보스(266)을 갖는다. 외부 원통형 보스(266)은 베어링 벽(268)을 정의하기 위한 더 큰 지름을 갖는 내부 원통형 숄더(264)와 결합한다. 보스의 외부 원주 표면으로부터 확장하는 다수의 톱니 바퀴(274)가 있는 사각형의 보어(272)를 갖는 보스(270)는 디스크(260)의 반대 내부 면 상에 위치한다. 사각형 보어(272)는 신발 끈(136) 또는 연결 케이블(196)의 통로를 위한 연속적인 통로를 제조하기 위해 축(262)의 내부 원통형 숄더(264) 상에 위치한 구멍(276)과 협력한다.
도 13 내지 15는 제1 단부 샤프트(232) 또는 제2 단부 샤프트(234)의 대체 실시예(233)을 나타낸다. 이는 내부 원통형 숄더(264) 및 외부 원통형 보스(266) 사이에 성형된 추가 봉쇄 디스크 벽(288)을 제외하고 도 7, 8, 11 내에 묘사된 단부 샤프트와 설계 및 구조에 있어 유사하다. 상기 봉쇄 디스크 벽은 내부 원통형 숄더의 지름 보다 큰 지름을 갖는다. 상기 방법에서, 봉쇄 디스크 벽(288)은 끈(136) 또는 연결 케이블(196)의 과도한 측면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단부 샤프트(233)의 봉쇄 디스크 벽(288) 및 디스크 부분(260)은 끈(136) 또는 연결 케이블(196)을 감고 풀기 위한 영역(289)을 정의하기 위해 협력한다. 이는 축 조립(224)에서 끈 또는 연결 케이블이 엉키는 것으로부터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9는 바퀴 샤프트(230)에 고정된 작동 바퀴(212)를 나타낸다. 작동 바퀴(212)는, 도 8에 더욱 명확히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 바퀴의 내부 원주면(282) 내에 작동하는 채널(280)을 포함한다. 다수의 횡 리세스(284)는 상기 채널(28)을 따라 주기적으로 위치한다. 채널(280)의 너비와 깊이는 바퀴 샤프트(230)의 외부 원주 표면을 따라 위치한 립(rib, 246)의 너비와 높이와 일치한다. 한편, 횡 리세스(284)의 너비, 길이 및 높이는 바퀴 샤프트(230)의 외부-원주 표면을 따라 위치한 클리트(248)의 너비, 길이 및 높이와 일치한다. 작동 바퀴(212)의 구멍(286)의 지름은 바퀴 샤프트(230)의 원형 프레임(236)으로부터 확장하는 립(rib, 246)의 지름과 상당히 유사하다. 상기 방법에서, 작동 바퀴가 바퀴 샤프트에 고정되기 위해서, 작동 바퀴(212)는 채널(280) 및 횡 리세스(284)화 협력하는 립(rib, 246) 및 클리트(248)가 있는 바퀴 샤프트(230)의 원형 프레임(236) 주변부 주위에 삽입될 수 있다.
바퀴 샤프트(230, 도 7을 참조)에 조립된 작동 바퀴(212)가 있는 도 8로 돌아오면, 베어링(290)으로 밀봉된 금속은 원형 프레임(236) 상의 베어링 표면(292, 도 9를 참조)에 대하여 바퀴 샤프트(230)의 내부 원통형 숄더(264) 주변에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290)으로 밀봉된 금속은 축이 회전하는 자유를 허락하는 동안, 하우징의 전면 케이스(220) 및 후면 케이스(222) 내부의 축 조립(224)을 지탱할 수 있다. 상기 단부를 향해, 베어링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밀봉된 베어링(290)의 지름 내부는 내부 원통형 숄더(264)의 외부 지름 보다 약간 클 수 있다. 동시에, 밀봉된 베어링(290)은 베어링의 측벽 내에 형성된 환형 채널(293) 내에 들어맞는 원통형의 고무 인서트(292)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는 더러움 등이 작동 바퀴(212)의 적절한 회전을 방해할 수 있는 곳으로, 먼지, 모래 및 다른 외부의 이물질 축 샤프트 조립(24) 내의 베어링을 지나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방해하는 것을 돕는다. 밀봉된 베어링(290)의 베어링 부는 스테인레스 스틸 같은 상한 물질로부터 제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210)을 위한 적절한 밀봉된 베어링은 타이완의 장저 핏 베어링 주식회사(Zhejiang Fit Bearing Co. Ltd.)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는 바퀴 샤프트(230)의 각각의 큐빅 단부 캡(244)을 연결하는 단부 샤프트의 사각 리세스(272)가 있는 바퀴 샤프트(230) 상에 조립될 수 있다. 사각 리세스 및 큐빅 단부 캡(244)을 사용함으로써, 회전하는 바퀴 샤프트(230)는 미끄러짐 없이 단부 샤프트(232, 234)에 모든 바퀴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당히 필수적으로 전달할 것이다.
금속 부싱(296)은 상기 두 개의 각각의 단부 샤프트의 베어링 벽(268) 또는 봉쇄 디스크 벽(288)에 대하여 단부 샤프트(232, 234)의 외부 원통형 보스(266)와 연걸된다. 상기 금속 부싱의 외부 지름(298)은 단부 샤프트 실시예(232, 234) 내의 신발 끈(136)의 감기를 위해 환형 영역(300)을 정의하기 위한 단부 샤프트의 내부 원통형 숄더(264)의 지름 보다 상당히 클 수 있다.
도 7에 더욱 명확히 나타낸 바와 같이, 신발 끈(136)은 가이드 튜브(148)으로부터 구멍(276) 및 단부 샤프트(232)의 내부 통로를 통하고, 바퀴 샤프트(230)의 축을 통하고, 내부 통로 및 단부 샤프트(232)의 구멍을 통하고, 다시 가이드 튜브(150) 내로 지나간다. 축 조립(224)를 형성하기 위해 완전히 조립되기 전에 상기 부품을 통해 신발 끈(136)을 끼우는 것이 쉬울 수 있다.
신발(110)의 뒤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확장하는 회전하는 작동 바퀴(212)는 같은 방향의 방식으로 바퀴 샤프트(230), 횡 축(238, 240), 단부 샤프트(232, 234), 및 단부 샤프트 각각의 보스(270), 및 톱니 바퀴(27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작동 바퀴(212)는 쇼어 70A 우레탄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퀴는 바람직하게는 지름 1 인치일 수 있고, 부피 0.311 in3 를 가진다. 상기 바퀴 크기는 신발(110)의 밑창 내 하우징(200) 내에 들어맞는 동시에, 신발 뒤축으로부터 확장하도록 충분하게 클 수 있다. 신발의 크기 및 신발의 최종 용도 적용에 의존하여, 작동 바퀴(212)는 1/4 내지 1과 1/2 인치의 지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바퀴(212)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의 외부 표면 내에 가로로 형성된 다수의 접지면 음각(400)을 가질 수 있다. 착용자의 발 주변에 신발을 조이기 위해 바퀴(212)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접지면이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상기 접지면(400)은 상기 접지면(도 10을 참조) 내부에 가중되는 작은 돌 및 다른 잔해와 같은 것을 줄이기 위해 바닥 벽(404)과 관련하여 표면상으로 표출된 측벽(402)을 가질 수 있다.
도 7 및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면 케이스(220)는 바람직하게는 RTP 301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섬유 10%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물질로부터 성형된다. 전면 케이스는 외부 표면 벽(300) 및 바닥 벽(302)을 가진다. 상기 바닥 벽(302)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챔버 바닥(202)에 자동 조임 장치(210)를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220, 222)을 고정시기기 위한 이상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평평해야 한다. 상기 하우징은 신발 끈(136)의 입구 및 출구, 조이고 느슨해지는 두 방향으로 축 조립(224)의 회전, 및 하우징으로부터 확장하는 작동 바퀴(212) 및 풀림 레버(214)의 외부 작동을 허락하면서, 자동 조임 장치의 다양한 부품을 포함한다.
도 17은 전면 케이스(220)의 내부를 나타낸다. 그것은 작동 바퀴(212)를 수용하기 위한 단면부(304)를 특징으로 한다. 작동 바퀴(212)는 전면 케이스(220)에 대한 문지름 없이 자유로운 회전을 힐 수 있어야만 한다. 인덴트(307, 309)에 의해 정의되는 숄더 표면(306, 308)은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 또는 단부 샤프트(233)의 외부 보스(266)을 둘러싸는 부싱(296)을 위한 베어링 표면을 제공하며, 이에 의해 축 조립(224)의 단부가 정의된다. 숄더(310a, 310b, 310c, 310d)는 축 조립(223)의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 부분 상의 디스크(260) 및 밀봉된 베어링(290)을 위한 지지대의 추가 수단을 제공한다. 전면 케이스(220) 상의 웰(well, 312, 314)은 각각의 단부 샤프트 상의 보스(270) 및 단부 샤프트의 톱니 바퀴(274)를 수용한다. 마지막으로, 신발 끈이 축 조립(224)의 내부 원통형 숄더부(232, 234) 주변에 감겨지면서, 웰(316, 318)이 신발 끈(136)을 수용한다.
후면 케이스(222)의 외부는 도 19 및 19에 나타나 있다. 풀림 레버가 그것의 대기 위치(standby position)에 있을 때, 풀림 레버(214)를 위한 바닥 지지대(322)는 성형된 방식으로 외부 표면(320)으로부터 확장된다. 램프의 가장 상부 표면에 위치한 플랜지(328)가 있는 램프(ramp, 326)는 윈도우(324) 내에서 바닥 지지대(322)로부터 안쪽으로 확장한다.
후면 케이스(222)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 7로 돌아가서, one은 축 조립(224)의 단부에 위치한 외부 부싱(296)을 고정하는 인덴트(330, 332)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부싱은 숄더(334, 336)에 의하여 지지된다. 축 조립은 숄더들(340a, 340b, 340c, 340d)에 의해 차례로 지지된다. 단명 영역(342)은 작동 바퀴(212)를 수용한다. 웰(344, 346)은 톱니 바퀴(270)를 수용한다. 신발 끈이 축 조립(224)의 내부 원통형 숄더(264) 주변에 감김으로써, 웰(348, 350)은 신발 끈(136)을 수용한다.
풀림 레버(214)는 도 20-21에서 더욱 자세히 도시되었다. 풀림 레버는 바람직하게는 RTP 301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섬유 10%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재료로부터 성형된다. 풀림 레버는 하나의 단부 및 두 개의 암(362, 364)에서, 및 다른 단부에서 레버(360)을 포함한다. 인덴트(268)은 내부 표면(366)을 따라 위치한다.
풀림 레버(214)는 풀림 레버(214) 내의 인덴트(368)와 연결되는 후면 케이스(222)의 플랜지(328)가 있는 후면 케이스(222)가 있는 회전가능한 연결부 내로 올려진다. 상기 플랜지 및 리세스의 협력하는 크기 및 모양은 풀림 레버의 대기 또는 풀린 위치 사이에 회전될 수 있는 것과 같고, 이는 하기에 더 설명된다. 한편, 풀림 레버 암(362, 364)의 멈춤쇠 단부(374, 376)가 톱니(274), 축 조립(224)의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에 인접할 수 있도록 암(362, 264)은 후면 케이스 내 구멍(370, 372)을 통해 아래로 확장한다.
상기 적용에 묘사된 풀림 레버 대신에, 톱니 바퀴 톱니로부터 멈춤쇠를 분리하는 어떤 다른 풀림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가능한 대체 실시예는 제한 없이 누름 버튼, 당기는 코드(pull chord), 또는 당기는 탭을 포함한다.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으로부터 제조된 두 개의 판 스프링(380)은 풀림 레버의 대기 상태 내에서 변경하기 위해 풀림 레버(214)를 작동하는 데(bias) 사용된다. 도 17에 더욱 완전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은 미들 베어링 표면(382), 립형 엔드(384) 및 플레어형 엔드(386)을 포함한다. 상기 판 스프링(380)은 전면 케이스(220) 상의 플랜지(388, 390) 주변에 걸린 립형 단부(384)가 있는 웰(312, 314) 내에 삽입된다. 한편, 각각의 판 스프링의 플레어형 엔드(386)는 웰(312, 314)의 하부 표면상에 얹혀 있다. 풀림 레버(214)의 단부(360)가 풀림 레버의 풀린 위치에서 풀림 레버를 작동하기 위하여 착용자에 의하여 눌러질 때, 멈춤쇠(374, 376)는 웰(312, 314)의 커브된 벽을 향해 판 스프링을 내부로 누르기 위해 판 스프링(380)을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판 스프링의 자연적 유연성은 풀림 레버가 더 이상 눌러지지 않을 때, 톱니 바퀴(274)에 있는 연결부 내로 다시 한번 멈춤쇠를 원래대로 하기 위해 멈춤쇠를 밀어 젖힐 수 있다.
대신에, 압축 스프링 또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은 풀림 레버 멈춤쇠를 자동 조임 장치의 톱니 바퀴 톱니가 있는 연결부 내로 작동하게 하기 위해 차용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인레스 스틸 판 스프링(380)은 타이완, 타이페이의 KY-메탈 회사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판 스프링은 대안으로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신발 끈(136) 또는 연결 케이블(196)을 포함하는 가이드 튜브(149, 150)는 분리되지 않기 위해 후면 케이스(222)에 고정될 필요가 있다.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튜브은 튜브 단부에 가까운 곳에 플랫 와셔(410, flat washer)를 지탱한다. 각각의 가이드 튜브(148, 150)는 후면 케이스(222)의 꼭대기 벽 내에 형성된 인렛 포탈 채널(412, 414, inlet portal channel) 내부에 삽입된다. 와셔(410)는 후면 케이스가 전면 케이스(220)에 조립될 때, 후면 케이스(222)로부터 가이드 튜브(148, 150)가 빼내어지는 것으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포터 채널 벽(412, 414) 내에 형성된 내부 환형 리세스(416)에 맞는다. 대안으로, 포털 채널 벽(414, 416)은 내부 벽 표면을 따라 형성된 일련의 톱니 모양의 톱니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가이드 튜브는 와셔(410) 및 리세스(416)의 필요성 없이 포터 채널(412, 414) 내부에 고정된 연결부 내로 밀어질 수 있다.
작동 중에, 자동 조임 신발(110)의 신발 밑창(120)의 후면으로부터 확장하는 작동 바퀴(212)를 바닥 또는 땅에 인접시키기 위해, 착용자는 그의 발을 위치시킬 수 있다. 신발의 뒤축을 그의 몸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시킴으로써, 작동 바퀴(21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퀴 샤프트 조립(230) 및 관련된 단부 샤프트(232, 234)는 마찬가지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며, 자동 조임 장치의 하우징 내에 축 조립의 내부 원통형 숄더(264) 주변의 신발 끈(136)은 이에 의해 감겨질 것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끈(136)은 착용자의 손의 사용 없이 착용자의 발 주변에 신발(110) 내에서 감길 것이다. 풀림 레버(214)의 멈춤쇠 단부(374, 376)는 톱니 바퀴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톱니 바퀴(270)의 각각의 톱니(274)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신발 끈이 느슨해지기 위해 축 조립을 회전하도록 허락할 것이다. 판 스프링(380)은 톱니 바퀴의 톱니와 연결된 멈춤쇠 단부를 작동하기 위하여 멈춤쇠 단부에 대하여 지탱한다.
만약, 착용자가 신발(110)을 벗기 위해 신발 끈(136)을 느슨해지게 하기 원하면, 그는 그저 신발의 후면 밑창으로부터 바람직하게 확장된 풀림 레버(214)를 누를 필요만 있다. 이는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톱니 바퀴(270)의 톱니(274)로부터 멈춤쇠(374, 376)를 분리하는 것을 야기하기 위한 판 스프링(380)의 편향(bias)을 극복한다. 축 조립(224)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수록, 신발 끈(136)은 자연스럽게 풀릴 수 있다. 신발을 느슨하게 하기 위한 풀림 레버를 연결하기 위해 손이 요구되지 않도록 착용자는 그의 다른 발로 풀림 레버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210)는 산업 내에 알려진 다른 장치보다 설계면에서 단순하다. 그러므로, 신발 제조하는 동안 조립할 수 있고, 신발을 사용하는 동안 고장나는 부품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210)의 또 다른 상당한 장점은 신발 끈(136) 및 신발 끈과 관련된 가이드 튜브가 내외측 상부를 대각선으로 통하는 대신에, 신발 상부의 뒤축 부분에 밑으로 끼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신발 밑창(120) 내에 뒤축에 가까운 자동 조임 장치(210)을 위치시킴으로써, 더 작은 하우징 챔버(200)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유닛은 제조하는 동안 신발 밑창 내에 더 작은 리세스 내에 더욱 쉽게 삽입되고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210)의 또 다른 중요한 장점은 조임 장치에 차례로 연결된 두 개의 신발 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케이블에 연결된 신발 끈 대신에, 하나의 신발 끈(136)이 신발을 조이기 위해 사용된다는 사실이다. 축 조립 단부에 신발 끈 단부를 고정하는 대신에, 축 조립(224)을 통해 신발 끈이 지나감으로써, 닳거나 고장난 신발 끈의 교체는 단순하고 쉽다. 신발 끈(136)의 단부는 가장자리 패드(114)를 따라 있는 클립(13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풀어질 수 있다. 새로운 끈은 그리고 나서 오래된 끈의 하나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오래된 끈의 다른 단부는, 신발 내에 새로운 신발 끈을 적용하기 위해 가이드 튜브(148)를 통해, 축 조립(224)를 통해, 다른 가이드 튜브(150)을 통해, 그리고 신발 바깥으로 신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한번 이것이 행해지면, 새로운 신발 끝의 두 개의 단부는 그 후, 가장자리 패드(114)를 따라 위치한 신발 소구멍을 통해 쉽게 끼워지고, 함께 묶어지고, 그리고 클립(138) 아래에 다시 한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신발 끈은 신발 밑창 내에 챔버 내부의 하우징 내부에 숨겨진 자동 조임 장치(210)에 물리적 접근 없이 교체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신발 및 자동 조임 장치 하우징은 새로운 신발 끈을 다시 끼우기 위해 바퀴 축 조립에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분해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210)에 의해 제공된 또 다른 장점은 신발 끈(136)의 단부가 축 조립(224)의 단부에 묶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발 끈 단부는 축 조립의 주변에 감겨있거나 감겨있지 않기 때문에 결합하기 위한 신발 끈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신발 끈 단부가 매듭으로 축 단부에 묶여 있다면, 리세스는 상기 매듭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축 단부 내에 제공되야 할 것이다. 상기 리세스는 축 단부 내의 재료 스탁이 감소되기 때문에 축 조립(224)을 약화시킬 것이다.
축 조립을 따라 위치된 외부 부싱(296)은 하우징 내에서 축 조립이 회전하는 것을 허락하는 동안 축 조립(224)를 위한 지지 수단을 제공한다. 그러나, 축 조립의 원통형 숄더(264)의 지름과 비교하여 상기 외부 부싱의 증가된 지름은 콜라(296) 및 디스크(260) 사이의 원통형 숄더를 따라 정의된 끈 감기 구역(lace wind-up zone)을 허락한다. 부싱은 축 조립 주변에 신발 끈이 감기거나 풀리기 때문에 신발 끈의 측면 이동을 막는데 도움을 준다.
축 조립을 따라 위치한 두 개의 밀봉된 금속 베어링(290)은 하우징 내에 축 조립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하지만, 베어링은 또한 금속 베어링이 자유롭게 회전하는 동안 축 조립이 회전하는 것을 허락한다. 게다가, 베어링의 측면을 따라 있는 고무 실은 자동 조임 장치(210)의 밖으로 먼지, 모래, 때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밀봉된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신발 제품에 사용되지 않는다.
작동 바퀴(212)를 바퀴 샤프트(230)으로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작동 바퀴는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작동 바퀴는 또한 향상된 성능을 위한 바퀴 샤프트에 사용된 재료보다 다른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작동 바퀴(212)의 외부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프로파일과 함께 제공된다. 상기 표면 배열은 작동 바퀴가 붙는 것을 야기하는 자동 조임 장치(210)의 하우징에 먼지, 모래, 때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렇지 않으면 작동 바퀴가 끼일 수 있다. 상기 오목한 표면은 하우징 내에 입구로부터 먼지와 진흙을 회전(spin away)하는 것을 알아내었다.
작동 바퀴(212)는 일반적인 워킹 또는 러닝하는 신발의 쓰임새의 간섭 없이 신발 밑창으로부터 확장하는 한 지름의 크기는 상관 없다. 동시에, 그것은 자동 조임 장치를 위한 하우징 내에 맞아야 한다. 지름은 1/4 내지 1과 1/2인치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지금은 1인치이어야 한다. 그것은 우레탄 고무, 합성 고무, 또는 중합 고무와 같은 재료와 같은 모든 탄성있고, 내구성 있는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 끈(136)은 모든 적절한 물질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고, 스펙트라(Spectra)®섬유, 케블라(Kevlar)®, 나일론, 폴리에스터 또는 와이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신발 끈은 폴리에스터 외부 무늬(weave)를 갖는 스펙트라 코어로부터 바람직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상적으로는, 신발 끈은 튜브(148, 150) 내에 이송의 용이함을 위해 테이퍼드(tapered) 형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끈의 강도는 시험 중량 100 내지 1000 파운드의 범위에 들어갈 수 있다.
튜브(148, 150)는 모든 적절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나일론 또는 테플론®을 포함하나 제한되지 않는다. 튜브는 자동 조임 장치의 작동 동안에 튜브를 통해서 연결 케이블 또는 끈이 지나가기 때문에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동 윤활 특성을 나타내면서, 튜브는 연결 케이블 또는 끈을 보호하기 위해 견고해야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의 단순화된 실시예(500)는 도 22에 나타나 있다. 자동 조임 장치는 전면 케이스(502) 및 후면 케이스(504)를 포함하며, 그 사이에 축 조립(506)이 고정된다. 스크류는 상기 두 케이스 부를 함께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그들은 소닉 용접 또는 접착제와 같은 다른 수단에 의해 함께 바람직하게 고정될 수 있다. 작동 바퀴(508)는 축 조립(506)의 부품을 포함하고, 두 케이스가 서로 고정될 때, 작동 바퀴는 전면 케이스(502) 및 후면 케이스(504)의 측면을 넘어서 부분적으로 확장한다.
자동 조임 장치 실시예(210)와 함께, 상기 자동 조임 장치(500)는 신발의 후면 밑창을 넘어 부분적으로 돌출된 작동 바퀴(508)가 있는 도 2에 묘사된 것과 같이 하우징 챔버 내에 위치한다. 바닥, 땅 또는 다른 단단한 표면에 작동 바퀴(508)를 회전시킴으로써, 자동 조임 장치(500)는 조여진 위치로 회전된다. 신발 끈(510)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연속적인 루프 내에 있는 조임 장치를 통해, 그리고 신발 상부를 통해 위로 지나간다. 풀림 레버(512)는 여기에 더욱 완전히 서술된 것과 같이, 자동 조임 장치(500)를 느슨하게 하기 위한 편리한 수단을 제공하기 위해 신발의 후면 상부로부터 바람직하게 확장되기 위하여, 후면 케이스(504)에 고정된다.
축 조립(506)은 도 23에 분해된 방식으로 더욱 완전히 나타난다. 축 조립은 바퀴 샤프트(516), 제1 단부 칼라(518) 및 제2 단부 칼라(520)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RTP301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섬유 10%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재료로부터 성형된다. 나일론과 같은 다른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바퀴 샤프트(516), 제1 단부 칼라(518), 및 제2 단부 칼라(520)는 과도한 시간동안 반복되는 작동을 위해 요구되는 강도를 제공하면서, 상기 조합 내에서 회전하는 축 조립(506)을 제조하기 위해 함께 들어 맞는 적절하게 설계되고 설정된 표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조합으로 바퀴 샤프트(230),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에 의해 형성된 세-조각 축을 제공하는 자동 조임 장치(210) 실시예와 달리, 자동 조임 장치의 상기 실시예(500)는 바퀴 샤프트(516) 전체로서 제공된 단일의 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퀴 샤프트(516)는 바퀴 샤프트 각각의 면으로부터 확장된 제1 횡축(526) 및 제2 횡축(528)을 갖는 솔리드 원형 프레임(524)를 특징으로 하는 완전하게 성형된 유닛을 포함한다. 각각의 횡축은 내부 원통형 숄더(530) 및 횡축의 말단 단부에 더 작고, 한 단계 낮은 지름을 갖는 외부 원통형 숄더(532)를 포함한다. 환형 단부 베어링 벽(534)은 외부 원통형 숄더(532)와 결합하는 곳에 내부 원통형 숄더(530)의 단부를 따라 형성된다.
립(rib)으로부터 둘 다의 방향으로 측면으로 확장하는 연속적인 립(rib, 536) 및 다수의 클리트(538)는 고체 원형 프레임(524)의 원통형 모서리를 따라 성형되었다. 횡축(526, 528)을 감싸는 환형 영역(540)은 원형 프레임(524)의 반대면 내로 성형되었다. 한편, 신발 끈(510) 또는 연결 케이블(196)이 축 조립(506)의 상기 바퀴 샤프트(516)를 통해 지나갈 수 있도록, 보어(542)는 제1 횡축(526), 원형 프레임(524) 및 제2 횡축(528)을 통해 전체적으로 지나간다.
제1 단부 칼라(518) 및 제2 단부 칼라(520)은 그것의 구조 및 작동에 있어서 상당히 이상적이고, 도 23 내지 25와 함께 설명될 것이다. 디스크(550)는 숄더(552)와 디스크의 바깥 면 상에서 연결된다. 상기 숄더(552)는 바퀴 샤프트 조립(506)의 세로 축 A-A를 따라 바깥의 방향으로 확장하고, 숄더(552)에 가로방향에 놓인 원형 봉쇄 칼라(554) 내에서 끝난다. 디스크(550), 숄더(552), 및 봉쇄 칼라(554)는 하기에 더욱 완전히 설명된 것과 같이, 자동 조임 장치(500)가 조여지는 동안 숄더(552)의 주변으로 신발 끈(510)을 감기 위해 환형 영역(556)을 형성하기 위해 협력한다.
디스크의 외부 원주 면으로부터 확장하는 다수의 톱니 바퀴(564)가 있는 원형 보어(562)를 갖는 기어 보스(560)는 디스크(550)의 반대 내부 면 상에 위치한다. 원형 보어(562)는 제1 단부 칼라(518)의 전체를 통해 확장한다. 원형 보어의 지름은 바퀴 샤프트 프레임(516)의 제2 단부 숄더(532)의 지름 보다 약간 크다.
제1 단부 칼라(518)는 받침 벽(534)에 대하여 바퀴 샤프트 프레임(516)의 외부 숄더(532)의 길이를 지나 미끄러진다. 도 24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562)에 인접한 보스(560)의 바깥 벽을 따라 형성된 제1 키(568)는 바퀴 프레임(516)(도 26을 참조하라)의 제1 숄더(530)의 말단 단부 내에 형성된 상응하는 리세스(570) 내로 들어 맞는다. 유사하게, 제1 키(568)의 반대에 있는 보어(562)에 근접한 보스(560)의 외부 벽을 따라 형성된 제2 키(572)는 바퀴 샤프트 프레임(516)의 제1 숄더(530)의 말단 단부에 형성된 상응하는 리세스(574)에 들어 맞고, 리세스(570)의 반대에 있다. 상기 방법에서, 바퀴 샤프트 프레임(516)의 회전은 제1 횡축(526) 및 제2 횡축(528) 각각의 주변에 들어 맞는 제1 단부 칼라(518) 및 제2 단부 칼라(520)에 상응하는 회전을 만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키(568)/제1 리세스(570) 및 제2 키(572)/제2 리세스(574)는 횡축에 대한 적절한 방향으로 단부 칼라가 삽입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다른 크기 및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원형 프레임(524) 및 제2 횡축(528)을 따라 있는 연속하는 보어(542)를 통해 지나가는 신발 끈(510)이 그 후에 차단 영역(578, 580)을 통해 지나갈 수 있고, 그 후에 감는 영역(556)(도 22를 참조하라)을 통해 지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퀴 샤프트 프레임(516)의 외부 숄더(532)을 따라 형성된 차단 영역(578)이 단부 칼라(518) 내에 봉쇄 칼라(554)를 따라 형성된 차단 영역(580)과 결합한다.
각각의 단부 칼라(518, 520)가 있는 바퀴 샤프트 프레임(516) 내에 단일의 샤프트 구조가, 횡축(526, 528)의 외부 숄더 영역(532)의 길이에 의해 지지되도록 만듦으로써, 자동 조임 장치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500)의 축 조립(506)은 상기 실시예(500) 내에 있는 횡축 및 단부 칼라의 부분적으로 덮는 측면 구조 대신에, 바퀴 샤프트(230), 제1 단부 샤프트(232), 및 제2 단부 샤프트(234)가 축을 형성하기 위해 협력해야한 하고, 상기 부품들은 그들 단부 사이의 계면이 있는 각각에 결합하여야만 하는 이전에 서술된 실시예(210) 보다 강하다. 상기 실시예(500)의 축 조립(506)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 또한, 감소된 부품의 숫자 및 정밀하게 결합된 부품 때문에 축 조립(224)보다 적게 들 수 있다.
작동 바퀴(508)는 도 8에 나타낸 작동 바퀴(212)와 유사하며, 바퀴 샤프트(516)에 고정될 수 있다. 작동 바퀴(508)는 작동 바퀴의 내부 원주 면(282) 내에 작동하는 채널(280)을 포함한다. 다수의 횡 리세스(284)는 상기 채널(280)을 따라 주기적으로 위치한다. 채널(280)의 너비와 깊이는 바퀴 샤프트(524)의 외부 원주 표면을 따라 위치한 립(rib, 536)의 너비와 높이와 일치한다. 한편, 횡 리세스(284)의 너비, 길이, 및 깊이는 바퀴 샤프트(516)의 외부-원주 표면을 따라 위치한 클리트(538)의 너비, 길이, 및 높이와 일치한다. 작동 바퀴(508)의 구멍(286)의 지름은 바퀴 샤프트(516)의 원형 프레임(524)로부터 확장하는 립(rib, 536)의 지름과 상당히 유사하다. 상기 방법에서, 작동 바퀴(508)는 작동 바퀴가 바퀴 샤프트에 고정되기 위해, 채널(280) 및 횡 리세스(284)와 협력하는 립(536) 및 클리트(538)가 있는 바퀴 샤프트(516)의 원형 프레임(524) 주변부의 주변에 삽입될 수 있다.
한번 작동 바퀴(212)가 바퀴 샤프트(516)(도 22를 참조하라)에 조립되면, 금속 밀봉 베어링(580)은 원형 프레임(524)의 환형 영역(540)에 있는 베어링 표면(582)(도 26을 참조하라)에 대하여 바퀴 샤프트(524)의 내부 원통형 숄더(530) 주변에 삽입된다. 상기 금속 밀봉 베어링(580)은 축이 회전하기 위한 자유를 허락하면서, 하우징의 전면 케이스(502) 및 후면 케이스(504) 내부에 있는 축 조립(506)을 지지할 수 있다. 밀봉된 베어링(580)의 지름 내부는 베어링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단부 방향으로, 제1 원통형 숄더(530)의 외부 지름 보다 약간 클 수 있다. 동시에, 밀봉된 베어링(50)은 베어링의 측면 벽 내에 형성된 환형 채널(586) 내부로 들어 맞아지는 원통형 고무 삽입재(584)를 포함한다. 상기 고무는 더러움 등이 작동 바퀴(212)의 적절한 회전을 방해할 수 있는 곳으로, 먼지, 모래 및 다른 외부의 이물질이 축 샤프트 조립(506) 내의 베어링을 지나서 이동하는 것으로부터 방해하는 것을 돕는다. 밀봉된 베어링(290)의 베어링 부는 스테인레스 스틸 같은 강한 물질로부터 제조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500)를 위한 적절한 밀봉된 베어링은 타이완의 장저 핏 베어링 주식회사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단부 칼라(518) 및 제2 단부 칼라(520)는 바퀴 샤프트(516)의 각각의 단부 칼라 및 내부 숄더(530) 사이에,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제1 리세스(570) 및 제2 리세스(574)와 결합된 제1 키(568) 및 제2 키(572)가 있는 바퀴 샤프트(516)의 제1 횡축(526) 밑 제2 횡축(528)의 바깥 숄더 영역(532)을 넘어 조립된다. 상기와 유사한 모양의 각각의 키 및 리세스를 사용함으로써, 회전하는 바퀴 샤프트(516)는 미끄러짐 없이 단부 칼라(518, 520)에 모든 바퀴 샤프트의 회전력을 상당히 필수적으로 이송할 것이다.
도 22에 더욱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끈(510)은 가이드 튜브(590)으로부터 제1 단부 칼라(518)의 봉쇄 칼라(554)의 차단 영역(580)을 통해, 바퀴 샤프트(516)의 제1 횡축(526)의 외부 숄더(532)의 차단 영역(578)을 통해, 바퀴 샤프트(516)의 중앙 보어(542)를 통해, 바퀴 샤프트(516)의 제2 횡축(528)의 외부 숄더(532)의 차단 영역(578)을 통해 지나가고, 제2 단부 칼라(520)의 봉쇄 칼라(592)의 차단 영역(580)을 통해 지나가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튜브(594)로 다시 지나간다. 상기 부품이 축 조립(506)을 형성하기 위해 완전히 조립되기 전에, 상기 부품을 통해 신발 끈(510)을 끼우는 것이 더 쉬울 수 있다.
신발(110)의 뒤축으로부터 부분적으로 확장하는 회전하는 작동 바퀴(508)는 같은 방향의 방식으로 바퀴 샤프트(516), 횡 축(526, 528), 단부 칼라(518, 520), 및 단부 칼라 각각의 기어 보스(560), 및 톱니 바퀴(564)를 회전시킬 수 있다. 작동 바퀴(508)는 쇼어 70A 우레탄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바퀴는 바람직하게는 지름 1 인치일 수 있고, 부피 0.311 in3를 가진다. 상기 바퀴 크기는 신발(110)의 밑창 내 하우징(200) 내에 들어맞는 동시에, 신발 뒤축으로부터 확장하도록 충분하게 클 수 있다. 신발의 크기 및 신발의 최종 용도 적용에 의존하여, 작동 바퀴(508)는 1/4 내지 1과 1/2 인치의 지름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작동 바퀴(50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퀴의 외부 표면 내에 가로로 형성된 다수의 접지면 음각(400)을 가질 수 있다. 착용자의 발 주변에 신발을 조이기 위해 바퀴(508)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접지면이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적으로, 상기 접지면(400)은 상기 접지면(도 10을 참조) 내부에 가중되는 작은 돌 및 다른 이물질과 같은 것을 줄이기 위해 바닥 벽(404)과 관련하여 표면상으로 표출된 측벽(402)을 가질 수 있다.
도 22 및 2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면 케이스(502)는 바람직하게는 RTP 301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섬유 10%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물질로부터 성형된다. 전면 케이스는 외부 표면 벽(600) 및 바닥 벽(602)을 가진다. 상기 바닥 벽(602)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챔버 바닥(202)에 자동 조임 장치(500)를 포함하는 하우징 조립(502, 504)을 고정시기기 위한 이상적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평평해야 한다. 상기 하우징은 신발 끈(510)의 입구 및 출구, 조이고 느슨해지는 두 방향으로 축 조립(506)의 회전, 및 하우징으로부터 확장하는 작동 바퀴(508) 및 풀림 레버(512)의 외부 작동을 허락하면서, 자동 조임 장치의 다양한 부품을 포함한다.
도 27은 전면 케이스(220)의 내부를 나타낸다. 그것은 작동 바퀴(508)를 수용하기 위한 단면부(604)를 특징으로 한다. 작동 바퀴(508)는 전면 케이스(502)에 대한 문지름 없이 자유로운 회전을 할 수 있어야만 한다. 숄더(610, 612)를 포함하는 내부 벽(606, 608)은 각각, 축 조립(506)의 제1 횡축(526) 및 제2 횡축(528) 상의 밀봉된 베어링(580)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전면 케이스(502) 내의 웰(614, 616)은 제1 단부 칼라(518) 및 제2 단부 칼라(520) 및 그들의 톱니 바퀴(564)를 수용한다. 상기 웰(614, 616)은 또한, 신발 끈이 축 조립(506)의 단부 칼라(518, 520)의 숄더(552) 주변에 감겨지면서, 신발 끈(510)을 수용한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전면 케이스(220)와 비교하면, 상기 전면 케이스(502)는 정밀하게 성형되어야만 하는 두 개의 소수의 내부 벽 및 두 개의 소수의 웰을 포함한다. 전면 케이스(502)의 단부(622, 624)를 따라 형성된 립(rib, 618, 620)은 웰(614, 616) 내로 약간 돌출된다. 상기 립이 바퀴 샤프트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부에 바퀴 샤프트의 단부가 접촉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전면 케이스(502)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립(rib, 618, 620)은 바퀴 샤프트 조립(506)의 봉쇄 칼라(554) 단부와 접촉한다. 바퀴 샤프트의 상기 실시예(506)는 바퀴 샤프트 조립(224)(도 8을 참조하라)의 단부 부싱(296)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전면 케이스(220, 도 17을 참조하라)의 단부 벽 내에 요구되는 정밀하게 성형된 숄더(306, 308)는 필요하지 않다. 다시 한번, 이는 전면 케이스(502)의 설계 및 제조를 단순화한다.
후면 케이스(504)의 외부는 도 22, 28-29에 나타나 있다. 도 28은 후면 케이스 내에 조립된 풀림 레버(512) 및 작동 바퀴(508)에 있는 후면 케이스(504)를 묘사한다. 도 29는 상기 부품이 없는 후면 케이스(504)를 묘사한다.
풀림 레버가 그것의 대기 위치(standby position)에 있을 때, 풀림 레버(512)를 위한 바닥 지지대(632)는 성형된 방식으로 후면 케이스(504)의 외부 표면(630)으로부터 확장된다. 상기 풀림 레버는 윈도우(634)를 통해 확장한다. 플랜지(638)는 바닥 지지대(632)의 꼭대기 표면(636)의 단부를 따라 위치한다.
후면 케이스(504)의 내부를 보여주는 도 30으로 돌아가서, 우리(one)는 숄더(644, 646)를 각각 포함하는 내부 벽(640, 642)을 감지할 수 있다. 샤프트 조립이 후면 케이스(504)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숄더(644, 646)는 조립된 샤프트 조립(506) 상의 봉쇄 베어링(580)을 지탱한다. 웰(648) 및 차단 영역(650)은 작동 바퀴(508)을 수용한다. 웰(652, 654)은 제1 단부 칼라(518) 및 제2 단부 칼라(520) 및 그들의 기어 보스(560) 및 톱니 바퀴(564)를 수용한다. 신발 끈이 축 조립(506)의 숄더(552) 및 단부 칼라(518, 520)의 주변으로 감기기 때문에, 상기 두 개의 웰(652, 654)은 또한 신발 끈(510)을 수용한다. 도 7에 나타난 후면 케이스(222)와 비교하여, 상기 후면 케이스(504)는 정밀하게 성형되어야만 하는 두 개의 소수의 내부 벽 및 두 개의 소수의 웰을 포함한다. 후면 케이스(504)의 단부 벽(662, 664)을 따라 형성된 립(rib, 658, 660)은 웰(652, 654) 내로 약간 돌출된다. 상기 립이 바퀴 샤프트의 회전을 방해하기 위해 케이스의 내부에 바퀴 샤프트의 단부가 접촉하지 않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후면 케이스(504)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립(rib, 658, 660)은 바퀴 샤프트 조립(506)의 봉쇄 칼라(554) 단부와 접촉한다. 바퀴 샤프트의 상기 실시예(506)는 바퀴 샤프트 조립(224)(도 8을 참조하라)의 단부 부싱(296)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전면 케이스(222, 도 17을 참조하라)의 단부 벽 내에 요구되는 정밀하게 성형된 숄더(330, 336)는 필요하지 않다. 다시 한번, 이는 후면 케이스(504)의 설계 및 제조를 단순화한다.
풀림 레버(512)는 도 31-32에 보다 크게 도시되었다. 풀림 레버는 하나의 단부에 누름 버튼 레버(670) 및 다른 단부에 두 개의 암(672, 674)을 포함한다. 인덴트(678)는 내부 표면(676)을 따라 위치한다. 핑거(680, 682)는 암(672, 674)로부터 확장한다. 암 및 핑거부가 만나는 곳에서, 플랜지(684, 686)는 풀림 레버(512)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아래로 확장한다.
풀림 레버(512)는 풀림 레버(512) 내의 인덴트(678)와 연결되는 후면 케이스(504)의 플랜지(638)가 있는 후면 케이스(504)가 있는 회전가능한 연결부 내로 올려진다. 상기 플랜지 및 리세스의 협력하는 크기 및 모양은 풀림 레버의 대기 또는 풀린 위치 사이에 회전될 수 있는 것과 같고, 이는 하기에 더 설명된다. 한편, 풀림 레버 암(672)의 멈춤쇠 단부(684, 686)가 톱니(564), 축 조립(506)의 제1 단부 칼라(518) 및 제2 단부 칼라(520)에 인접할 수 있도록 핑거(680, 682)에 더하여 암(672, 674)은 후면 케이스 내 구멍(634)을 통해 아래로 확장한다.
한편, 풀림 레버(512)의 핑거부(680, 682)는 외부 벽(600)이 바닥 벽(602, 도 27을 참조하라)과 연결하는 곳에, 전면 케이스(502)의 하부 외부 벽(600)을 따라 형성된 리세스(690, 692) 내로 조립된 하우징과 함께 확장한다. 풀림 레버(512)가 그것의 대기 위치에 있을 때, 핑거(680, 682)는 리세스(690, 692) 내부에 있는 바닥 벽(602)과 접촉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풀림 레버(512)의 버튼(670)을 누를 때, 핑거(680, 682)가 바깥 벽(600)을 접촉하기 위해 전면 케이스(502)의 바닥 벽(602)으로부터 올라오고, 그리고 나서 리세스(690, 692) 각각, 실링 벽(694, 696)으로부터 올라오기 위해, 풀림 레버의 암(672, 674)은 하우징 내부로 회전할 수 있다. 이는 플렉스 지점(B, 도 32를 참조하라)을 따라 암 부(672, 674)에 대하여 풀림 레버(512)의 핑거(680, 682)의 구부러짐을 야기할 수 있다. 착용자가 풀림 레버(512)의 버튼(670)을 누르기를 멈출 때, 핑거는 핑거의 원래 위치에 거의 다시 구부러질 수 있다. 풀림 레버의 대기 위치에 풀림 레버(512)를 되돌아오게 하기 위한 리세스(690, 692)의 실링부(694, 696)을 눌러 끄는 과정에서, 상기 핑거(680, 682)는 그들의 원래 위치로 거의 다시 구부러질 수 있다. 풀림 레버의 대기 위치에 풀림 레버의 "플렉스 리턴(flex return)"을 제공하는 풀림 레버(512)의 특별한 설계 때문에, 상기 논의된 이전의 자동 조임 장치 실시예(210)의 기능성이 요구된 두 개의 판 스프링(380)이 요구되지 않는다. 자동 조임 장치의 상기 실시예(500)로부터 스프링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장치는 비용 및 복잡함이 감소되고, 더 긴 기간의 시간 이상으로 신뢰할 수 있는 방법에서 작동할 수 있다.
플렉스 지점(700, 702)을 따라 핑거의 대기 위치에서 거의 풀림 레버의 핑거(680, 682)가 구부러지고 되돌아오는 풀림 레버(512)의 기능은 재료의 선택, 암 및 핑거의 구조적 설계, 및 풀림 레버(512)의 플렉스 지점 B, C 및 D 를 따라 사용된 재료의 두께에 의해 제공된다. 풀림 레버는 상기 폴리머 재료가 제공하는 강도와 유연성의 균형의 목적을 위해 나일론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성형된다. 대안으로, 풀림 레버(512)는 RTP 301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섬유 10% 또는 기능적으로 동등한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재료는 감소된 가격뿐만 아니라, 나일론보다 강도가 낮은 구부러짐을 제공할 수 있다.
핑거(680, 682)는 응력을 분산시키기 위한 커브된 부분 B, C 및 평평한 부분 D를 따라 대략 같은 양으로 이상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고, 응력은 전면 케이스(502) 내에 리세스(690, 692)의 커브된 실링 영역(694, 696)에 의한 핑거의 굴절(deflection)을 통해 지점 B로부터 지점 D까지 핑거에 가해진다. 도 3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핑거를 가로지르는 핑거의 점점 가늘어지는 너비는, 특히 단부 D에 가까운 영역에서, 핑거 영역을 가로지르는 상기 응력을 분산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만약, 핑거의 B에서 D까지의 거리를 가로지르도록 가해진 응력이 풀림 레버(512)를 위해 선택된 폴리머 재료의 항복 강도보다 작으면, 착용자에 의해 누름 버튼(670)에 아래쪽으로 가해진 힘의 풀림이 있을 때, 핑거(680, 682)는 핑거를 영구적으로 변형시킴 없이 리세스(690, 692)의 최상부(694, 696)에서 변형될 것이다. 이는 핑거가 핑거의 원래 형태 및 모양으로 되돌아오도록 허락할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바퀴 샤프트 조립(506)의 단부 칼라(518, 520)의 기어 보스(560)의 톱니(564)가 있는 연결부 내로 풀림 레버(512)의 플랜지(684, 686)가 되돌아 오도록 누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핑거의 B-D 길이를 가로질러 가해진 상기 응력은 풀림 레버(512)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폴리머 재료의 항복 강도의 50 % 미만일 수 있다.
핑거(680, 682)를 위해 선택된 두께는 또한 중요하다. 만약, 핑거가 정말 얇으면, 리세스(690, 692)의 실링(694, 696)에서 핑거의 변형에 기인하여 핑거의 거리 B-D를 가로질러 가해진 응력은, 과정 중에 가능한 변형 또는 심지어 고장난 핑거에 증가할 것이다. 반면, 만약 핑거가 정말 두꺼우면, 응력은 항복 응력 한계의 50% 아래에 쉽게 떨어지도록 핑거의 길이 B-D를 가로질러 안전하게 분산될 것이고, 신발 끈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풀림 레버(512)를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 버튼(670)에 적용된 더 많은 힘을 받을 것이다. 그러므로, 커브 B 주변의 핑거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8" ±1/64."의 범위 내로 떨어진다. 커브 C 주변의 핑거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32"±1/64."의 범위 내로 떨어진다. 마지막으로 평평한 부분 D 주변의 핑거는 바람직하게는 1/32" ±1/64."의 범위 내로 떨어진다.
끈(510) 또는 연결 케이블(196)을 포함하는 가이드 튜브(590, 594)는 분리되지 않기 위해 후면 케이스(504)에 고정되는 것이 요구된다. 포털 채널 벽(706, 708, 도 27 및 30을 참조하라)은 포널 채널의 내부 벽 표면을 따라 형성된 일련의 톱니 모양의 톱니(710)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가이드 튜브는 도 7에 나타난 와셔(410) 및 리세스(416) 실시예의 필요성 없이 포털 채널(706, 708) 내부에 고정된 연결부 내로 눌러질 수 있다.
작동 중에, 자동 조임 신발(110)의 신발 밑창(120)의 후면으로부터 확장하는 작동 바퀴(508)를 바닥 또는 땅에 인접시키기 위해, 착용자는 그의 발을 위치시킬 수 있다. 신발의 뒤축을 그의 몸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시킴으로써, 작동 바퀴(508)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바퀴 샤프트 조립(506) 및 관련된 단부 칼라(518, 520)는 마찬가지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바퀴 축 조립(506)의 단부 칼라(518, 520)의 숄더(552) 주변에 신발 끈(510)은 감겨질 것이다. 이렇게 됨으로써, 끈(510)은 착용자의 손의 사용 없이 착용자의 발 주변에 신발(110) 내에서 감길 것이다. 풀림 레버(512)의 플랜지 단부(684, 686)는 톱니 바퀴의 시계방향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기어 보스(560)의 각각의 톱니(564)와 연속적으로 연결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신발 끈이 느슨해지기 위해 축 조립을 회전하도록 허락할 것이다. 핑거(680, 682)는 톱니 바퀴 톱니가 있는 연결부 내로 플랜지를 작동하기 위해 전면 케이스(502)의 바닥(602)에 대하여 지탱한다.
만약, 착용자가 신발(110)을 벗기 위해 신발 끈(510)을 느슨해지게 하기 원하면, 그는 그저 신발의 후면 밑창으로부터 바람직하게 확장된 풀림 레버(512)의 풀림 버튼(670)을 누를 필요만 있다. 이는 상기 서술된 바와 같이, 톱니 바퀴(550)의 톱니(564)로부터 플랜지(684, 686)를 분리하는 것을 야기하기 위해 풀림 레버를회전시킬 수 있다. 축 조립(506)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수록, 신발 끈(510)은 자연스럽게 풀릴 수 있다. 신발을 느슨하게 하기 위한 풀림 레버를 연결하기 위해 손이 요구되지 않도록 착용자는 그의 다른 발로 풀림 레버를 누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스프링잉(self-springing)" 풀림 레버의 대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33-36에 나타나 있다. 도 33은 자동 조임 장치 실시예(500)을 위해 상기 논의된 구조와 유사한 후면 케이스(704)의 측면에 있는 두 개의 윈도우 바깥을 보호하는 누름 버튼(708)으로 끝나는 풀림 레버(706)가 있는 후면 케이스(704)와 결합된 전면 케이스(702)를 포함하는 자동 조임 장치(700)를 묘사한다. 실시예(700)의 하우징 내부에 포함된 바퀴 샤프트 조립은 또한 상기와 같다. 신발 끈을 포함하는 가이드 튜브(710, 712)는 하우징의 꼭대기에 들어간다. 풀림 레버(706)는 상기 묘사된 것과 비슷한 방법으로 또한 후면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단면도 도 34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바퀴(714)가 신발 끈을 조이기 위하여 바퀴 샤프트 축(718)이 회전하기 위해 착용자에 의해 바닥 또는 다른 단단한 표면을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하우징 내부에 포함된 바퀴 샤프트(716)와 연결된 작동 바퀴(714)는 전면 케이스(702) 및 후면 케이스(704)의 바닥의 바깥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된다. 상기 서술된 것과 또한 유사한 톱니 바퀴(722)가 있는 기어 보스(720)을 포함하는 단부 칼라는 바퀴 샤프트 횡 축에 부착된다.
도 35-36에 더욱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풀림 레버(706)는 하나의 단부에 누름 버튼 레버(706) 및 두 개의 암(726, 728)을 포함한다. 인덴트(724)는 내부 표면(734)를 따라 위치한다. 암(726, 728)은 암 단부(730, 732) 각각에 끝나는 아치형의 경로에 형성된다. 플랜지(734, 736)는 암이 수평 경로로부터 수직 경로까지 휘어지는 곳에서 거의 각각의 암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아래로 확장한다.
구두혀(738, 740)은 암 단부(730, 732)에 각각 부착된다. 각각의 구두혀는 암의 상당한 부분을 따라 있는 경로의 암으로써 상기와 같은 아치형의 경로를 거의 따라 확장한다. 구두혀(738, 740)가 암의 단부에 부착되고, 그렇지 않으면 각각의 암 및 암의 구두혀 사이에 배치된 갭(744)이 있는 공간에 구두혀가 떠있을 수 있다.
풀림 레버(706)가 그것의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단부(730, 732)는 전면 케이스(702)의 바닥 표면 안으로 접촉할 수 있다. 플랜지(734, 736)는 기어 보스(720)의 톱니 바퀴(722)와 연결된다. 그러나, 착용자가 풀림 레버(706)의 버튼(708)을 누를 때, 암의 상부 표면의 위로 확장하는 구두혀(738, 740)가 전면 케이스(702) 및 후면 케이스(704)의 내부 꼭대기 표면과 접촉하도록 오게 하기 위해, 풀림 레버의 암(726, 728)은 하우징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것은 구두혀와 암(도 34-35를 참조하라)에 연결되는 곳에서 풀림 레버(706)의 구두혀(738, 740)가 플렉스 지점 E를 따라 있는 풀림 레버의 암(726, 728)에 대하여 아래를 향해 구부러지는 것을 야기할 수 있다. 암의 플랜지(734, 736)는 또한 신발 끈이 느슨해지도록, 역회전하기 위해 축 샤프트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톱니 바퀴(7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하지만, 착용자가 풀림 레버(706)의 버튼(708)을 누르기를 멈출 때, 풀림 레버의 원래 위치에 풀림 레버(706)를 되돌아오게 하기 위한 전면 케이스(702) 및 후면 케이스(704)의 실링 부를 눌러 끄고, 톱니 바퀴가 있는 연결부 내로 플랜지(734, 736)을 다시 누르는 과정에서, 구두혀(738, 740)는 구두혀의 원래 위치에서 거의 다시 구부러질 수 있다. 풀림 레버의 대기 위치에 그것의 "플렉스 리턴"을 제공하는 풀림 레버(706)의 특별한 설계 때문에, 상기 논의된 이전의 자동 조임 장치 실시예(210)의 기능성을 위해 요구된 두 개의 판 스프링(380)이 요구되지 않고, 또한 모든 비틀림 스프링 또는 다른 종류의 분리된 기계적 스프링도 요구되지 않는다. 자동 조임 장치의 상기 실시예(700)로부터 스프링을 제거함으로써, 장치 비용 및 복잡함이 줄어들고, 장기간의 시간 동안 신뢰 가능한 방법으로 작동할 것이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전면 케이스에 있는 리세스(690, 692)의 실링에 핑거가 구부러짐으로써 도 31-32에 있는 핑거(680, 682)의 길이를 따라 가해진 응력은 풀림 레버(512)를 제조하기 위해 선택된 폴리머 레진의 항복 강도의 50% 미만일 수 있다. 핑거의 길이가 상기 한계를 만나는 응력을 더욱 분산시키기 위해 길어질 수 있고, 또한, 신발의 밑창 내부에 포함될 정도로 충분히 작은 하우징 내부에 핑거가 얼마나 길게 확장할 수 있는지를 위한 실제의 한계이다.
그러나, 풀림 레버(706)의 설계에 있어 구두혀(738, 740)는 암(726, 728)의 윤곽을 따라 아치 형태로 구부러지고, 암은 그들이 상당히 늘어지도록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구두혀는 후면 케이스(704)에 대하여 풀림 레버(706)을 위한 회전 지점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누름 버튼(708)이 사용자에 의해 압력 가해질수록 완전한 구불어짐은 풀림 레버(706) 상에 더 적은 응력을 야기하기 위해 줄어들 수 있다. 풀림 레버의 상기 설계는 항복 응력 한계의 50% 미만으로 더욱 쉽게 충족시킬 수 있고, 풀림 레버를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넓게 다양한 폴리머 레진을 뜻할 수 있다.
풀림 레버(706)의 목적을 위해, 10% 유리로 채워진 폴리카보네이트 레진 재료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매사추세스, 피츠필드 사빅 이노베이티브 플라스틱사(Sabic Innovative Plastics of Pittsfield, Massachusetts)가 그러한 레진을 제공한다. 10% 유리로 채워진 나일론 레진도 또한 사용될 수 있고, 풀림 레버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가격도 증가시킨다.
구두혀(738, 740)는 암(726, 728)의 상당한 부분을 덮을 수 있다. 응력은 더 넓은 지역을 가로질러 분산되기 때문에 이는 가해진 응력을 감소시킨다. 응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구두혀는 구두혀의 수직면을 가로질러 두꺼워질 수 있고, 구두혀는 착용자에 의해 눌려질수록 풀림 레버 상에 더욱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자동 조임 장치(700)를 위한 하우징 내에 풀림 레버의 구두혀가 접히기 때문에, 이는 풀림 레버(706) 위에 가해진 응력에 비해 누름 버튼(708) 상에 가해져야만 하는 힘과 균형을 맞추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구두혀(738, 740)는 암(726, 728)의 아치형의 길이의 약 6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70-75%를 덮을 수 있다.
도 35로부터 나타낼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두혀는 암(726, 728)의 각각의 단부에 구두혀가 연결된 곳에서, 지점 E로부터 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구두혀(738, 740)는 또한 가늘어진다. 바람직하게는, 구두혀의 단부 G는 구두혀가 암에서 연결된 곳에서 수직 두께 0.080 ±0.010인치를 갖고, 바람직하게는 구두혀의 자유 단부 F는 0.040 ±0.010인치의 수직 두께를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굽힘가능한 폴리머 레진으로부터 제조된 "스프링-백" 받침 표면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풀림 레버가 바퀴 축 조립에 부착된 톱니 바퀴의 톱니가 있는 연결부로부터 멈춤쇠를 회전하는데 작동될 때, 풀림 레버의 표면은 하우징의 받침 표면이 있는 연결부 내로 들어갈 수 있고, 과정 중에 상기 받침 표면의 물질을 굽힐 수 있다. 한번 풀림 레버가 사용자에 의해 더 이상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굽혀진 받침 표면은 톱니 바퀴의 톱니가 있는 연결부 내의 뒤에 있는 풀림 레버의 원래 위치 및 멈춤쇠 뒤로 풀림 레버를 누르기 위해 굽혀진 받침 표면의 원래의 모양 및 위치에 상당히 돌아갈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하우징은 풀림 레버를 위해 상기에서 논의된 굽힘 부재로써 작동할 수 있고, 분리된 메탈 스프링의 도움 없이 자동 조임 장치의 적절한 작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서술된 자동 조임 장치(210)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자동 조임 장치 실시예(500, 700)는 산업에서 알려진 다른 장치보다 설계면에서 더 단순하다. 그러므로, 신발의 제조 동안 조립하기 위한, 신발의 사용 동안 고장나기 위한 부품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 실시예(500, 700)의 또 다른 상당한 장점은 신발 끈(510) 및 그와 관련된 가이드 튜브는 내외측 상부를 통해 비스듬하게 대신에, 신발 상부의 뒤축 부분의 아래로 끼워질 수 있다. 게다가 신발 밑창(120) 내에 밑창에 가깝게 자동 조임 장치(500, 700)을 위치시킴으로써, 더 작은 하우징 챔버(200)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유닛은 제조 동안에 신발 밑창 내에 더 작은 리세스 내에 삽입되고 붙어지는 것이 더욱 쉬울 수 있다.
상기 서술된 자동 조임 실시예(210)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500, 700)의 또 다른 중요한 장점은 조임 장치에 차례로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연결 케이블에 연결된 두 개의 신발 끈 또는 신발 끈 대신에, 하나의 신발 끈(510)이 신발을 조이는데 사용된다는 사실이다. 축 조립(506)을 통해 신발 끈이 지나감으로써, 축 조립 단부에 신발 끈 단부를 고정시키는 대신, 닳고 고장난 신발 끈의 교체는 단순하고 쉽다. 신발 끈(510)의 단부는 가장자리 패드(114)를 따라 있는 클립(138)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풀어질 수 있다. 새로운 끈은 그리고 나서 오래된 끈의 하나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오래된 끈의 다른 단부는, 신발 내에 새로운 신발 끈을 적용하기 위해 가이드 튜브(590)를 통해, 축 조립(506)를 통해, 다른 가이드 튜브(594)를 통해, 그리고 신발 바깥으로 신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한번 이것이 행해지면, 새로운 신발 끝의 두 개의 단부는 그 후, 가장자리 패드(114)를 따라 위치한 신발 소구멍을 통해 쉽게 끼워지고, 함께 묶어지고, 그리고 클립(138) 아래에 다시 한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신발 끈은 신발 밑창 내에 챔버 내부의 하우징 내부에 숨겨진 자동 조임 장치(500)에 물리적 접근 없이 교체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신발 및 자동 조임 장치 하우징은 새로운 신발 끈을 다시 끼우기 위해 바퀴 축 조립에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분해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500, 700)에 의해 제공된 또 다른 장점은, 상기 서술된 자동 조임 장치 실시예(210)에서와 같이, 신발 끈(510)의 단부가 축 조립(506)의 단부에 묶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신발 끈 단부는 축 조립의 주변에 감겨있거나 감겨있지 않기 때문에 결합하기 위한 신발 끈을 야기하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신발 끈 단부가 매듭으로 축 단부에 묶여 있다면, 리세스는 상기 매듭을 수용하기 위해 각각의 축 단부 내에 제공되야 할 것이다. 상기 리세스는 축 단부 내의 재료 스탁이 감소되기 때문에 축 조립(506)을 약화시킬 것이다.
동시에, 자동 조임 장치의 상기 실시예(500, 700)는 구조면에서 더욱 단순하고, 제조시에 덜 비싸며, 그리고 판 스프링의 생략, 바퀴 축 조립(224)의 세-조각 축 조립과 비교하여 더 강하고 구부러지기 덜 쉬운 하나의 부품으로부터 제조된 단일한 축 구조, 축 조립의 단부를 따라 있는 부싱의 생략, 및 전면 케이스(502), 후면 케이스(504) 내의 정밀하게 성형된 부품 및 리세스를 위한 필요성의 감소 때문에다른 실시예(210) 보다 작동 면에서 잠재적으로 더욱 신뢰성이 있다,
상기 명세서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자동 조임 장치 및 신발의 구조 및 작동의 완벽한 설명을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목적 및 범위로부터 떠남 없이 다양한 다른 조합, 변형, 전형, 및 환경 내에서의 사용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발 끈 또는 연결 케이블은 재료의 내부 및 외부 층 사이에 신발 상부 내 대신에, 신발 상부의 외부를 따라 경로가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자동 조임 장치는 중간 또는 토와 같은 후면 단부 옆에 밑창 내에 다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사실, 자동 조임 장치는 밑창 내 대신에 신발의 외부에 고정될 수 있다. 다수의 작동 바퀴는 또한 자동 조임 신발의 공통의 축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작동기는 바퀴로써 서술되었고, 작동기가 평평한 표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면, 어떤 다른 가능한 모양이 취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신발은 가장자리 패드를 따라 소구멍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미끄러지는 방식에서 신발 끈을 포함하기 위한 다른 알려진 장치는, 훅 또는 외부에-올라간 소구멍 장소와 같다. 그러므로, 상기 서술은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한 형식에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았다.

Claims (32)

  1. (a) 밑창(sole) 및 밑창과 연결된 상부(upper)를 가지며, 상부는 코(toe), 뒤축(heel), 내측부 및 외측부를 포함하는 신발;
    (b) 신발 내부에 위치한 발 주변의 하나의 신발 끈 또는 케이블에 의하여 내측 및 외측부를 끌어당기기 위해 상부의 내측 및 외측부에 연결된 닫힘 수단(a closure means);
    (c) 신발에 고정되고, 두 개의 단부(end), 원통형의 측 표면 및 상기 측 표면을 따라 두 개의 출구 개구(exit apertures)를 통한 연속적인 통로를 가진 축(axle) 및 축에 강하게 연결되고 신발 바깥면으로 확장된 작동 바퀴(an actuator wheel)를 포함하는 조임 장치;
    (d) 내측 및 외측 상부를 통해서 또는 이를 따라서, 축 내의 상기 통로 및 두 개의 출구 개구를 통해 나오며,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이 연속되는 루프(loop)를 형성하기 위해서, 신발 끈 및 케이블의 자유 단부(free ends)가 있는 가이드 수단(guide means)에 연결된 신발 끈 또는 케이블;
    (e) 신발 바깥면으로 확장된 작동 바퀴(an actuator wheel)의 회전에 의해 발 주위에 있는 내외측 상부 부위를 끌어당기기 위해 조이는 방향으로 축 주위의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을 끌어당기기 위한 조임 장치의 축의 회전을 야기하며,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역회전을 방해하도록 작동하는 조임 장치와 유효하게 연결된 고정수단; 및
    (f) 내외측 상부를 느슨해지도록 하는 축의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고정 수단의 선택적 풀림을 위해 고정 수단에 유효하게 연결된 풀림 수단;을 포함하는 자동 조임 신발.
  2. (a) 밑창 및 밑창과 연결된 상부를 가지며, 상부는 코, 뒤축, 내측부 및 외측부를 포함하는 신발;
    (b) 신발 내부에 위치한 발 주변의 하나의 신발 끈 또는 케이블에 의하여 내측 및 외측부를 끌어당기기 위해 상부의 내측 및 외측부에 연결된 닫힘 수단;
    (c) 신발에 고정된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고, 고정된 연결 내에 축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부착된 다수의 톱니(teeth)를 갖는 톱니바퀴가 있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진 원통형의 표면이 있는 축, 상기 측 표면을 따라 두 개의 출구 개구(exit apertures)를 갖는 축을 통한 연속적인 통로 및 축과 강하게 연결되고 신발 바깥면으로 확장된 작동 바퀴(an actuator wheel)를 포함하는 조임 장치;
    (d) 내측 및 외측 상부를 통해서 또는 이를 따라서, 축 내의 상기 통로 및 두 개의 출구 개구를 통해 나오며,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이 연속되는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서, 서로 고정된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의 자유 단부(free ends)가 있는 가이드 수단에 연결된 신발 끈 또는 케이블;
    (e) 하우징으로부터 확장된 전향 부재(deflection member)가 있는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pivotably) 올려지고, 하우징 내부에 있고, 톱니바퀴의 톱니와 맞물리는 멈춤쇠(pawl) 단부 및 하우징 및 신발의 바깥면으로 확장된 작동 단부(actuation end)를 갖는 풀림 레버;를 포함하고,
    (f) 신발 바깥면으로 확장된 작동 바퀴(an actuator wheel)의 회전에 의해 발 주위에 있는 내외측 상부 부위를 끌어당기기 위해 조이는 방향으로 축 주위의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을 끌어당기기 위한 조임 장치의 축의 회전을 야기하며, 톱니 바퀴는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역회전을 방해하도록 작동하는 축과 유효하게 연결된 풀림 레버의 멈춤쇠 단부에 의해 연결되고,
    (g) 풀림 레버의 전향 부재가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의해 전향되는 동안, 풀림 레버의 작동 단부를 누르는 사용자에 의해, 내외측 상부를 느슨해지도록 하는 축의 역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톱니 바퀴의 톱니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disengages)되기 위해 풀림 레버가 회전되고,
    (h) 풀림 레버의 작동 단부 누르기를 중단하는 사용자에 의해, 분리된 스프링 장치의 도움 없이 축의 역회전을 막기 위해 톱니 바퀴의 톱니와 멈춤쇠 단부를 재연결하도록 풀림 레버가 원래의 모양 및 위치를 충분히 회복하도록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서 전향 부재를 떨어지게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 수단은,
    (a) 내외측 상부의 모서리에 연결되고 배치된 다수의 가이드 수단; 및
    (b) 신발 내부에 위치한 발 주변의 내외측 상부를 끌어당기기 위해 십자형 또는 지그재그 형태로 다른 하나의 가이드 수단을 통해 확장되는 하나의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끈 소구멍(eyele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후크(hook)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닫힘 수단은 신발의 내외측 상부를 덮는 닫힘 패널(panel)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의 신발 끈 또는 케이블은 신발 내부에 위치한 발 주변으로 닫힘 패널을 끌어당기기 위해 내외측 상부 주변의 닫힘 패널을 끌어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장치를 포함하기 위한 밑창 내의 챔버(chamb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신발의 뒤축에 밀접하게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장치는 신발의 외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a) 고정 연결 내의 조임 장치의 축에 부착되며, 다수의 톱니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톱니 바퀴; 및
    (b) 조임 장치의 축의 역회전을 막기 위해 톱니 바퀴를 따라 난 톱니에 맞물리며, 풀림 수단에 연결된 멈춤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1. 제1항에 있어서,
    고정 수단에 연결된 풀림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forcing) 바이어스 수단(bias means)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판 스프링(leaf spr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 장치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레버는,
    (a) 풀림 레버에 부착된 멈춤쇠가 있는 하우징 내부로 확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암(arm); 및
    (b) 전향 암(deflection arm)이 상기 암에 대하여 전향될 수 있도록 암의 단부(end)에 부착된 전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5.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 표면에 의한 전향 부재의 전향에 의한 전향 부재를 가로질러서 가해진 힘은 상기 풀림 레버용 폴리머 레진 재료의 항복강도의 50 %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부재는 암으로부터 측면으로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7. 제16항에 있어서,
    전향 부재의 길이를 가로지르는 전향 부재의 수직 두께는 1/64 내지 9/64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부재는 전향 부재와 암 사이의 갭(gap)에 암이 상당히 평행하게 덮이게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 부재는 암의 길이의 약 60 내지 80 %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0. 제18항에 있어서,
    전향 부재의 길이를 가로지르는 전향 부재의 수직 두께는 0.030 내지 0.090 인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임 장치 내로 먼지 또는 다른 외부 재료의 흐름을 감소시키기 위해 축을 따라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밀봉형 베어링(sealable bea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임 장치 내로 먼지 또는 다른 외부 재료의 흐름을 감소시키기 위해 작동 바퀴를 따라 오목한 형태의 프로파일(concave shaped profil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작동 바퀴의 추가된 견인을 제공하기 위해 작동 바퀴의 외부 표면 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트레드(trea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수단은 회전가능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수단은 푸쉬 버튼(push butt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림 수단은 풀 루프(pull loo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발의 상단의 외부 표면과 관련된 위치에 신발 끈 또는 연결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클립(clip)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신발 끈 또는 연결 케이블을 포함하기 위해 신발 상부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튜브(guide tub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2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육상화(athletic sho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3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하이킹 신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3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부츠(boo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3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은 레크리에이션(recreational) 신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임 신발.
KR1020147006994A 2011-08-18 2012-08-14 자동 조임 신발 KR1018533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199,078 US8904672B1 (en) 2011-08-18 2011-08-18 Automated tightening shoe
US13/199,078 2011-08-18
US13/584,468 2012-08-13
US13/584,468 US8904673B2 (en) 2011-08-18 2012-08-13 Automated tightening shoe
PCT/US2012/050774 WO2013025704A1 (en) 2011-08-18 2012-08-14 Automated tightening sho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5417A true KR20140065417A (ko) 2014-05-29
KR101853351B1 KR101853351B1 (ko) 2018-04-30

Family

ID=47715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6994A KR101853351B1 (ko) 2011-08-18 2012-08-14 자동 조임 신발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8904673B2 (ko)
EP (1) EP2744361B1 (ko)
JP (1) JP5989116B2 (ko)
KR (1) KR101853351B1 (ko)
CN (1) CN104023579B (ko)
AR (1) AR087588A1 (ko)
AU (1) AU2012295139B2 (ko)
BR (1) BR112014003713A2 (ko)
CA (1) CA2844498C (ko)
CO (1) CO6980631A2 (ko)
ES (1) ES2773862T3 (ko)
HK (1) HK1201425A1 (ko)
MX (1) MX353979B (ko)
RU (1) RU2607779C2 (ko)
TW (1) TWI577300B (ko)
WO (1) WO2013025704A1 (ko)
ZA (1) ZA20140096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0209A1 (ko) * 2015-06-12 2016-12-15 김석환 끈 조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4417B1 (en) 2004-10-29 2014-04-16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closure system
US11723436B2 (en) 2008-05-02 2023-08-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charging system
US11206891B2 (en) * 2008-05-02 2021-12-28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assembly of the article of footwear
US8046937B2 (en) 2008-05-02 2011-11-01 Nike, Inc. Automatic lacing system
US8904672B1 (en) * 2011-08-18 2014-12-09 Palidium Inc. Automated tightening shoe
US8904673B2 (en) * 2011-08-18 2014-12-09 Palidium, Inc. Automated tightening shoe
US11684111B2 (en) 2012-02-22 2023-06-27 Nike, Inc. Motorized shoe with gesture control
US11071344B2 (en) 2012-02-22 2021-07-27 Nike, Inc. Motorized shoe with gesture control
US20140047739A1 (en) * 2012-08-17 2014-02-20 Reginald Senegal Footwear Securing systems
EP4331428A3 (en) * 2012-08-31 2024-05-01 Nike Innovate C.V. Motorized tensioning system with sensors
US9737115B2 (en) 2012-11-06 2017-08-22 Boa Technolog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djusting the fit of footwear
WO2014138297A1 (en) 2013-03-05 2014-09-12 Boa Technology In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automatic closure of medical devices
US10251451B2 (en) 2013-03-05 2019-04-09 Boa Technology Inc. Closure devices including incremental release mechanisms and methods therefor
KR101855407B1 (ko) 2013-07-10 2018-05-09 보아 테크놀러지, 인크. 증분적인 해제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폐쇄 장치 및 폐쇄 방법
US9491983B2 (en) * 2013-08-19 2016-11-15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djustable sole
US10645990B2 (en) 2013-08-19 2020-05-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djustable sole
US9681705B2 (en) * 2013-09-13 2017-06-20 Boa Technology Inc. Failure compensating lace tension devices and methods
CN104621854A (zh) * 2013-11-15 2015-05-20 际华三五二二装具饰品有限公司 一种快捷鞋拉环
US9629418B2 (en) * 2014-04-15 2017-04-25 Nike, Inc. Footwear having motorized adjustment system and elastic upper
US20160058127A1 (en) 2014-08-28 2016-03-03 Boa Technology Inc.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the fit of boots and other footwear
US10219580B2 (en) * 2015-01-29 2019-03-05 Nike, Inc. Lace engaging structures and other features for articles of footwear and other foot-receiving devices
US10010129B2 (en) 2015-05-28 2018-07-03 Nike, Inc. Lockout feature for a control device
CN112956783B (zh) * 2015-05-29 2023-09-0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紧凑的线轴系统的机动张紧装置
CN106545552B (zh) * 2015-09-17 2022-04-19 陈金柱 固定装置
TWI555664B (zh) 2015-09-17 2016-11-01 陳金柱 固定裝置
US11185130B2 (en) 2015-10-07 2021-11-30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103030B2 (en) 2015-10-07 2021-08-3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US11033079B2 (en) 2015-10-07 2021-06-15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EP3383213B1 (en) 2015-11-30 2021-03-03 NIKE Innovate C.V. Article of footwear and charging system
WO2017092775A1 (de) 2015-12-02 2017-06-08 Puma SE Verfahren zum schnüren eines schuhs, insbesondere eines sportschuhs
CN113180333B (zh) 2015-12-07 2022-08-26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管状结构的鞋类物品
US9961963B2 (en) 2016-03-15 2018-05-08 Nike, Inc. Lacing engin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KR20230092031A (ko) * 2016-03-15 2023-06-23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류용 모터 작동형 인장 시스템을 위한 변속 장치
KR102416113B1 (ko) * 2016-03-15 2022-07-04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조립 공정
US10827804B2 (en) 2016-03-15 2020-11-10 Nike, Inc. Lacing apparatu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CN112471685B (zh) 2016-03-15 2022-08-30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的电容式足部存在感测
US11064768B2 (en) 2016-03-15 2021-07-20 Nike, Inc.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EP3763237B1 (en) * 2016-03-15 2022-02-09 NIKE Innovate C.V. Homing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201212B2 (en) 2016-03-15 2019-02-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tensioning system including a guide assembly
US10188169B2 (en) 2016-03-15 2019-01-29 Nike, Inc. Sensor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11357290B2 (en) 2016-03-15 2022-06-14 Nike, Inc. Active footwear sensor calibration
US11026481B2 (en) 2016-03-15 2021-06-08 Nike, Inc. Foot presence signal processing using velocity
US10390589B2 (en) * 2016-03-15 2019-08-27 Nike, Inc. Drive mechanism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0104937B2 (en) * 2016-03-15 2018-10-23 Nike, Inc. Input assembly for an article of manufacture
IT201600071948A1 (it) * 2016-07-11 2018-01-11 Diadora Sport S R L Chiusura per calzatura
TWI607714B (zh) * 2016-07-21 2017-12-11 Gary David Chang Shoes with elastic uppers
US11026472B2 (en) 2016-07-22 2021-06-08 Nike, Inc. Dynamic lacing system
WO2018026957A1 (en) 2016-08-02 2018-02-08 Boa Technology Inc. Tension member guides of a lacing system
CN106108217A (zh) * 2016-08-19 2016-11-16 安徽诺豪鞋业有限公司 一种自动系鞋带的鞋
DE102016010382A1 (de) * 2016-08-30 2018-03-01 Parvayim Anstalt Vorrichtung zur Schnürzugbetätigung
US10537155B2 (en) 2016-10-26 2020-01-21 Nike, Inc. Lacing architecture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US11071353B2 (en) 2016-10-26 2021-07-27 Nike, Inc. Automated footwear platform having lace cable tensioner
KR102426894B1 (ko) 2016-10-26 2022-08-01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자동화된 신발류 플랫폼을 위한 변형 가능한 레이스 가이드
US11083248B2 (en) 2016-10-26 2021-08-10 Nike, Inc. Automated footwear platform having upper elastic tensioner
ES2863924T3 (es) 2016-11-22 2021-10-13 Puma SE Procedimiento para colocar o retirar una prenda de vestir a su portador o por el propio portador o para cerrar, colocar, abrir o retirar una pieza de equipaje transportada por una persona
BR112019010424B1 (pt) * 2016-11-22 2021-12-14 Puma SE Método para amarrar um calçado, particularmente, um calçado esportivo e calçado, particularmente, calçado esportivo
CN106579635A (zh) * 2016-12-16 2017-04-26 弓汉羽 全自动漫步鞋及其操作方法
EP3628182B1 (en) * 2017-03-15 2023-11-15 NIKE Innovate C.V. Automated footwear having cable and upper tensioners
US11357279B2 (en) 2017-05-09 2022-06-14 Boa Technology Inc. Closure components for a helmet layer and methods for installing same
US11457696B2 (en) 2017-10-20 2022-10-04 Nike, Inc. Lacing engine support structures for automated footwear platform
CN111278319B (zh) 2017-10-20 2021-12-0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自动化鞋类平台的系带组件
RU2670322C1 (ru) * 2018-02-07 2018-10-22 Вячеслав Сергеевич Перфильев Обувь с системой самоподтягивающихся шнурков
AU2019277373A1 (en) 2018-05-31 2021-01-07 Edward O'malley Aerodynamic projection portion for cycling shoe
GB2586560B (en) * 2018-05-31 2021-08-25 Edward Omalley Cycling shoe closure mechanism
CN110584267A (zh) * 2018-06-12 2019-12-20 洪丽环 一种旋转鞋扣
CN116369621A (zh) * 2018-08-31 2023-07-0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带凹口的线轴的自动系带鞋类马达
KR20230066129A (ko) 2018-09-06 2023-05-12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피드백 메커니즘을 갖는 동적 끈 조절 시스템
JP7404366B2 (ja) * 2018-11-30 2023-12-25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力指向支持部を有する自動レーシングフットウェアモータ
USD899053S1 (en) 2019-01-30 2020-10-20 Puma SE Shoe
USD889805S1 (en) 2019-01-30 2020-07-14 Puma SE Shoe
USD906657S1 (en) 2019-01-30 2021-01-05 Puma SE Shoe tensioning device
AT522188B1 (de) * 2019-02-18 2021-04-15 Franciszek Kucharko Jerzy Schuh, welcher mit einem Schnürsenkel ausgestattet ist
US11484089B2 (en) 2019-10-21 2022-11-01 Puma SE Article of footwear having an automatic lacing system with integrated sound damping
TWI734241B (zh) * 2019-10-31 2021-07-21 周龍修 自動穿脱鞋裝置
KR20210098801A (ko) 2020-02-03 2021-08-11 주식회사 한길에스엘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RU2733880C1 (ru) * 2020-06-10 2020-10-07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Галайко Устройство затягивания шнурка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US20220110401A1 (en) * 2020-10-13 2022-04-14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KR102420145B1 (ko) * 2021-01-14 2022-07-11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착용이 편리한 신발
US11877624B2 (en) * 2021-11-18 2024-01-23 Shimano Inc. Shoelace arrangement and shoelace guide for shoe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769A (en) 1901-10-28 1903-09-01 Lewis C Preston Fastening device.
US2124310A (en) 1935-09-25 1938-07-19 Jr Max Murr Boot
DE2317408C2 (de) 1972-04-17 1982-12-23 Etablissements François Salomon et Fils, 74011 Annecy, Haute-Savoie Skischuh
US4426796A (en) 1980-01-04 1984-01-24 Spademan Richard George Sport shoe with a dynamic fitting system
CA1167254A (en) 1980-08-11 1984-05-15 Hans Martin Sports shoe or boot
FR2570257B1 (fr) 1984-09-14 1987-01-09 Salomon Sa Chaussure de ski
FR2572258B1 (fr) 1984-10-30 1987-03-06 Salomon Sa Chaussure de ski alpin
IT1189862B (it) * 1986-05-26 1988-02-10 Nordica Spa Dispositivo di chiusura per scarponi da sci con bloccaggio e sbloccaggio rapido
DE3626837A1 (de) 1986-08-08 1988-02-11 Weinmann & Co Kg Drehverschluss fuer einen sportschuh, insbesondere skischuh
US4787124A (en) 1986-09-23 1988-11-29 Nordica S.P.A. Multiple-function actuation device particularly usable in ski boots
CH674300A5 (ko) 1987-11-20 1990-05-31 Raichle Sportschuh Ag
IT213808Z2 (it) 1988-06-22 1990-03-01 Olivieri Icaro & C Allacciatura per scarponi da sci in particolare per scarponi del tipo cosidetto a calzata posteriore.
IT1225401B (it) * 1988-08-31 1990-11-13 Nordica Spa Scarpone da sci
DE3913018A1 (de) 1989-04-20 1990-10-25 Weinmann & Co Kg Drehverschluss fuer einen sportschuh, insbesondere einen skischuh
CH678387A5 (ko) * 1989-09-26 1991-09-13 Raichle Sportschuh Ag
CH679110A5 (ko) 1989-10-20 1991-12-31 Raichle Sportschuh Ag
IT225832Y1 (it) 1991-06-10 1997-01-24 Arkos Srl Dispositivo di bloccaggio del piede particolarmente per calzature da t rekking
US5230171A (en) 1991-09-30 1993-07-27 Cardaropoli Paul R Shoe fastener
US5157813A (en) * 1991-10-31 1992-10-27 William Carroll Shoelace tensioning device
JPH07208A (ja) * 1991-12-20 1995-01-06 Kobatsuku:Kk 靴紐締付具
DE9200982U1 (ko) * 1992-01-28 1993-05-27 Puma Ag Rudolf Dassler Sport, 8522 Herzogenaurach, De
US5205055A (en) * 1992-02-03 1993-04-27 Harrell Aaron D Pneumatic shoe lacing apparatus
DE4240916C1 (de) 1992-12-04 1993-10-07 Jungkind Roland Schuhverschluß
EP0567895A1 (de) 1992-04-28 1993-11-03 Raichle Sportschuh AG Skischuh
DE9209383U1 (de) 1992-07-13 1993-11-11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insbesondere Sport-, Freizeit- oder Rehabilitationsschuh
US5839210A (en) 1992-07-20 1998-11-24 Bernier; Rejeanne M. Shoe tightening apparatus
DE9209867U1 (de) 1992-07-22 1993-11-25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insbesondere Sport- oder Freizeitschuh
DE9214848U1 (de) 1992-11-02 1994-03-10 Dassler Puma Sportschuh Schuh mit Zentralverschluß
DE4302401A1 (de) * 1993-01-28 1994-08-04 Egolf Heinz Drehverschluß
US5335401A (en) * 1993-08-17 1994-08-09 Hanson Gary L Shoelace tightening and locking device
TW329382B (en) * 1994-07-19 1998-04-11 Erejeanne M Bernier Self-tightening shoe
CN1068510C (zh) * 1997-07-08 2001-07-18 周龙交 鞋带自动穿系暨脱解复动的鞋子
US5934599A (en) * 1997-08-22 1999-08-10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US6289558B1 (en) 1997-08-22 2001-09-18 Boa Technology, Inc. Footwear lacing system
US20020095750A1 (en) * 1997-08-22 2002-07-25 Hammerslag Gary R. Footwear lacing system
US20060156517A1 (en) * 1997-08-22 2006-07-20 Hammerslag Gary R Reel based closure system
US6189913B1 (en) 1997-12-18 2001-02-20 K-2 Corporation Step-in snowboard binding and boot therefor
US5996256A (en) * 1998-02-26 1999-12-07 Zebe, Jr.; Charles W. Footwear construction with improved closure means
US6896128B1 (en) * 1998-03-26 2005-05-24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6467194B1 (en) * 1998-03-26 2002-10-22 Gregory G. Johnso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7096559B2 (en) * 1998-03-26 2006-08-29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and method
US6032387A (en) * 1998-03-26 2000-03-07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and loosening shoe
US7661205B2 (en) * 1998-03-26 2010-02-16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US7104158B2 (en) * 1998-09-03 2006-09-12 Harrington Jeffrey M Bicycle pedal and sho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R2784870B1 (fr) 1998-10-22 2000-12-15 Salomon Sa Lacage chausson avec blocage talon
US6267390B1 (en) * 1999-06-15 2001-07-31 The Burton Corporation Strap for a snowboard boot, binding or interface
CN2438353Y (zh) 2000-07-28 2001-07-11 周龙交 变比传控式鞋带自动系解互动的鞋子
US6807754B2 (en) * 1999-11-12 2004-10-26 Inchworm, Inc. Expandable shoe and shoe assemblies
US6324774B1 (en) 2000-02-15 2001-12-04 Charles W. Zebe, Jr. Shoelace retaining clip and footwear closure means using same
US6378230B1 (en) 2000-11-06 2002-04-30 Visual3D Ltd. Lace-less shoe
US20020174568A1 (en) * 2001-04-30 2002-11-28 Roger Neiley Footwear fit system
DE10133489B4 (de) 2001-07-10 2005-11-03 Egon Voswinkel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Schnürzugeinrichtung eines Schuhs
US6510627B1 (en) * 2001-08-03 2003-01-28 Kun-Chung Liu Shoe having a shoe lace device that can be tightened to simulate a double-bow knot
US20030041477A1 (en) * 2001-08-28 2003-03-06 Kun-Chung Liu Shoe with shoe lace device that facilitates tightening and loosening of the shoe
CN2520912Y (zh) 2002-01-16 2002-11-20 东莞上安鸿运动器材厂 独轮步行滑行多功能鞋
KR100445965B1 (ko) * 2002-02-19 2004-08-25 조윤미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
TW517532U (en) 2002-03-20 2003-01-11 Jeng-Tzung Tsai Tying-free shoelace device
US6745643B2 (en) * 2002-04-09 2004-06-08 Steven Robert Lubanski Side-mounted detachable pedal assembly
US6671980B1 (en) * 2002-07-16 2004-01-06 Kun-Chung Liu Easy-to-wear footwear
ES1053061Y (es) * 2002-10-28 2003-06-16 Francis Raluy Calzado con cierre automatico.
DE10254933B4 (de) * 2002-11-25 2006-07-27 Adidas International Marketing B.V. Schuh
US6877256B2 (en) * 2003-02-11 2005-04-12 K-2 Corporation Boot and liner with tightening mechanism
US6922917B2 (en) * 2003-07-30 2005-08-02 Dashamerica, Inc. Shoe tightening system
US7076843B2 (en) * 2003-10-21 2006-07-18 Toshiki Sakabayashi Shoestring tying apparatus
EP1530915B1 (en) 2003-11-12 2009-06-10 Automation Conveyors (Holdings) Limited An item of footwear
US7343701B2 (en) * 2004-12-07 2008-03-18 Michael David Pare Footwear having an interactive strapping system
US7818899B2 (en) 2005-01-05 2010-10-26 Red Wing Shoe Company, Inc. Footwear tensioning system
US7631440B2 (en) * 2005-07-15 2009-12-15 The Timberland Company Shoe with anatomical protection
US7721468B1 (en) * 2005-08-26 2010-05-25 Gregory G. Johnson Tightening shoe
US7669880B2 (en) * 2005-08-29 2010-03-02 The Burton Corporation Strap for snowboard boots or bindings
US7287304B2 (en) * 2005-12-20 2007-10-30 Zebe Jr Charles W Cam cleat construction
US8087188B2 (en) * 2006-10-15 2012-01-03 Frederick Labbe Weight-activated tying shoe
US7676957B2 (en) * 2007-06-14 2010-03-16 Johnson Gregory G Automated tightening shoe
US8181320B2 (en) * 2008-02-06 2012-05-22 Flyclip, LLC Lace adjuster
CN201197416Y (zh) * 2008-03-24 2009-02-25 李世豪 一种鞋带自动卷入锁紧装置
US8046937B2 (en) * 2008-05-02 2011-11-01 Nike, Inc. Automatic lacing system
US8201346B2 (en) * 2008-06-30 2012-06-19 Darco International, Inc. Medical shoe system
EP2378911B1 (en) * 2008-11-21 2014-05-21 Boa Technology, Inc. Reel based lacing system
US8032993B2 (en) * 2009-01-08 2011-10-11 Bell Sports, Inc. Adjustment mechanism
US8196322B2 (en) * 2009-05-29 2012-06-12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ball control portion
JP5925765B2 (ja) * 2010-04-30 2016-05-25 ボア 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紐締めシステムに使用するためのリール、同リールを作る方法、及び同リールと共に使用されるつめ
US8434200B2 (en) * 2011-07-13 2013-05-07 Chin-Chu Chen Adjusting device for tightening or loosing laces and straps
US8904673B2 (en) * 2011-08-18 2014-12-09 Palidium, Inc. Automated tightening sho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0209A1 (ko) * 2015-06-12 2016-12-15 김석환 끈 조임장치
US10433602B2 (en) 2015-06-12 2019-10-08 Sug Whan Kim Strap faste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87588A1 (es) 2014-04-03
HK1201425A1 (en) 2015-09-04
EP2744361A1 (en) 2014-06-25
CA2844498C (en) 2017-12-05
TWI577300B (zh) 2017-04-11
CA2844498A1 (en) 2013-02-21
CN104023579B (zh) 2018-03-02
ZA201400960B (en) 2015-05-27
MX353979B (es) 2018-02-07
CN104023579A (zh) 2014-09-03
US20130086816A1 (en) 2013-04-11
AU2012295139A1 (en) 2014-02-27
EP2744361B1 (en) 2019-12-04
TW201315404A (zh) 2013-04-16
WO2013025704A1 (en) 2013-02-21
CO6980631A2 (es) 2014-06-27
RU2607779C2 (ru) 2017-01-10
AU2012295139B2 (en) 2016-04-07
ES2773862T3 (es) 2020-07-15
BR112014003713A2 (pt) 2017-06-13
US8904673B2 (en) 2014-12-09
JP5989116B2 (ja) 2016-09-07
JP2014521487A (ja) 2014-08-28
KR101853351B1 (ko) 2018-04-30
MX2014001843A (es) 2014-08-29
RU2014106130A (ru) 2015-09-27
EP2744361A4 (en)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351B1 (ko) 자동 조임 신발
KR101448584B1 (ko) 자동조임신발
US8904672B1 (en) Automated tightening shoe
US7661205B2 (en) Automated tightening shoe
EP3973808B1 (en) Cable tighten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120291242A1 (en) Locking device for lace strands, tightening system having such device, and footwear having such system
JPH05211906A (ja) 靴紐上の張力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US9572405B2 (en) Fastening mechanism for ice sk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