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801A -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 Google Patents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801A
KR20210098801A KR1020200012814A KR20200012814A KR20210098801A KR 20210098801 A KR20210098801 A KR 20210098801A KR 1020200012814 A KR1020200012814 A KR 1020200012814A KR 20200012814 A KR20200012814 A KR 20200012814A KR 20210098801 A KR20210098801 A KR 20210098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l
foot
binding wire
opening
foo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길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길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길에스엘
Priority to KR1020200012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801A/ko
Publication of KR20210098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8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26Tongues for sho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008Combined fastenings, e.g. to accelerate undoing 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1/00Other fastenings specially adapted for shoes
    • A43C11/16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 A43C11/165Fastenings secured by wire, bolt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a spool, reel or pulley for winding up cables, laces or straps by rotation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살짝 힘을 가하면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풋삽입구가 벌어지도록 함으로 신발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Dial shoe with automatic foot cover}
본 발명은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살짝 힘을 가하면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어 풋삽입구가 벌어지도록 함으로 신발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지면에 밀착되는 바닥창부와 발을 감싸는 갑피부로 구성되고, 갑피부의 후방에는 발을 삽입하기 위한 풋삽입구가 형성되며, 풋삽입구의 앞에는 발등 부분에 신발을 용이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개구부는 안쪽에서 풋커버가 구비되어 개구부를 막아서 가리게 구성되고, 개구부의 양측에는 서로 조여서 연결하기 위한 결속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결속수단은 벨트로와 결속끈이 널리 적용되었지만 최근에는 다이얼 신발이라고 해서 결속와이어를 이용한 결속수단이 적용되고 있다. 즉, 다이얼 신발은 다이얼을 누른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속와이어가 다이얼에 감기면서 신발을 조여주게 되고, 이 상태에서 다이얼을 잡아당겨 결속 상태를 해제하면 결속와이어가 자동으로 풀리면서 개구부가 벌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다이얼 신발은 결속수단이 원터치 방식으로 자동으로 해제되기 때문에 신발을 신고 벗기가 용이하지만, 풋커버가 개구부를 막고 있기 때문에 착용자가 신발을 신고 벗을 때 풋커버를 손가락으로 잡고 벌린 상태로 신발을 신고 벗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269호에는 자동 착용 신발이 개시되어 있다. 즉, 신발에 와이어부재, 가압작동부재, 와이어이동기기를 설치하여 설포부(풋커버)를 움직여 신발을 신거나 벗을 때 신발 입구를 자동으로 넓히거나 좁히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 착용 신발은 기계적인 작동으로 인해 구조가 복잡하고 단가가 상승하여 실용성 및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4269호(등록일: 2015년03월13일), 발명의 명칭: "자동 착용 신발"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584호(등록일: 2014년10월01일), 발명의 명칭: "자동 조임 신발"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53351호(등록일: 2018년04월24일), 발명의 명칭: "자동 조임 신발"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5965호(등록일: 2004년08월17일), 발명의 명칭: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풋커버에 독특한 기능의 판스프링을 설치하여 신발을 벗을 때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신발을 쉽게 벗을 수 있도록 하고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는 결속와이어가 신발을 조여줄 때 풋커버가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해 발등을 감싸줌으로, 용이하게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는 편리성 및 상품성을 향상시킨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지면에 닿는 바닥창부와 발을 감싸는 갑피부로 구성되고, 상기 갑피부의 상면 후방에는 발을 삽입하기 위한 풋삽입구가 형성되며, 풋삽입구 앞에는 풋삽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안쪽에는 풋커버가 장착되어 개구부를 막아서 가리게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양측을 연결하게 결속와이어가 지그재그로 설치되되, 결속와이어의 단부를 당기면 개구부가 좁혀지고 당겼던 결속와이어를 풀면 개구부가 벌어지게 설치되며, 상기 결속와이어의 단부는 갑피부의 일부분에 설치된 다이얼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다이얼을 누르면 결속와이어의 단부가 다이얼에 걸려 잡여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결속와이어가 다이얼에 감기면서 조여져 개구부를 좁혀 주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이얼을 잡아 당겨 결속와이어의 단부를 잡고 있는 상태를 해제시키면 결속와이어가 풀리면서 개구부가 벌어지게 설치된 다이얼 신발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풋커버에 판스프링이 설치되되, 상기 판스프링은 펴놓으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부에서 상부로 힘을 가하면 상방향으로 원형으로 말리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다이얼을 잡아 당겨 결속와이어가 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신발을 벗기 위해 발등을 살짝 들어올리면 판스프링과 함께 풋커버가 상방향으로 말리면서 풋커버가 결속와이어를 밀면서 자동으로 개방되어 신발을 쉽게 벗고 신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다이얼을 누른 다음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속와이어가 다이얼에 감기면서 신발의 개구부를 조여줄 때 결속와이어의 조여주는 힘에 의해 풋커버가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해 발등을 감싸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은 풋커버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내부에 삽입한 다음 절개된 부분을 박음질로 마감처리하여 분리되지 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풋커버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포켓이 형성되고, 이 포켓에 판스프링을 삽입하여 넣는 방식으로 설치함으로, 신발을 세척할 때 판스프링을 빼내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은 풋커버에 살짝 힘을 가하면 상방향으로 원형으로 말리는 구조를 갖는 판스프링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신발을 벗을 때 풋커버가 판스프링 말림 현상으로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신발을 쉽게 벗을 수 있도록 하고,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는 결속와이어가 신발을 조여줄 때 풋커버가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해 발등을 감싸게 함으로, 용이하게 신발을 신고 벗을 수 있는 편리성 및 실용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의 설치 상태를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판스프링만을 발췌해서 나타낸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풋커버에 판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풋커버 발췌 단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은 기본적으로 지면에 닿는 바닥창부(10)와 발을 감싸는 갑피부(20)로 구성된다.
그리고 갑피부(20)의 상면 후방에는 발을 삽입하기 위한 풋삽입구(30)가 형성되며, 풋삽입구(30) 앞에는 풋삽입구(30)와 연통되는 개구부(40)가 형성되고, 개구부(40)의 안쪽에는 풋커버(50)가 장착되어 개구부(40)를 막아서 가리게 구성된다.
또한, 개구부(40)의 양측에는 결속와이어(60)가 개구부(40)를 연결하게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데, 이 결속와이어(60)의 단부를 당기면 개구부(40)가 좁혀지고 당겼던 결속와이어(60)를 풀면 개구부(40)가 벌어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결속와이어(60)는 개구부(40)의 양측에 형성된 와이어고리부(42)를 통해 서로 지그재그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또한, 결속와이어(60)의 단부는 갑피부(20)의 일부분에 설치된 다이얼(7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데, 이 다이얼(70)을 누르면 결속와이어(60)의 단부가 다이얼(70)에 걸려 잡여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다이얼(70)을 회전시키면 결속와이어(60)가 다이얼(70)에 감기면서 조여져 개구부(40)를 좁혀 주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다이얼(70)을 잡아 당겨 결속와이어(60)의 단부를 잡고 있는 상태를 해제시키면 결속와이어(60)가 풀리면서 개구부(40)가 벌어지게 설치된다.
물론, 결속와이어(60)와 다이얼(70)의 구조는 공지된 기술을 적용하면 되기 때문에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기본적인 구조에 더해, 본 발명은 풋커버(50)가 자동으로 개방되거나 닫힐 수 있도록 풋커버(50)에 판스프링(1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판스프링(100)은 펴놓으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부에서 상부로 힘을 가하면 상방향으로 원형으로 말리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물론, 상부에서 하부로 힘을 가하면 말리지 않고 그냥 펼쳐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판스프링(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풋커버(50)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폭 방향 단면은 양측 단부가 하방향으로 내려오고 중간부분이 상방향으로 올라가게 형성되도록 아치 형상으로 굴곡진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하부에서 상부로 힘을 가해 밀면 중간 부분과 양측 단부가 수평이 되게 변형되면서 상방향으로 말리게 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힘을 가하면 말리지 않고 계속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판스프링(100)을 풋커버(50)에 설치하는 방법은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된다.
즉, 판스프링(100)은 도 6과 같이 풋커버(50)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내부에 삽입한 다음 절개된 부분을 박음질로 마감처리하여 분리되지 않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100)은 도 7과 같이 풋커버(50)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포켓(52)이 형성되고, 이 포켓(52)에 판스프링(100)을 삽입하여 넣는 방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신발을 세척할 때 판스프링(100)을 빼내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러한 설치 방법 외에도, 판스프링(100)과 풋커버(50)가 함께 작동될 수 있다면 어느 방법이든 적용 가능할 것이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신발을 벗을 때 판스프링(100)이 작동하여 풋커버(50)가 자동으로 개방될 뿐만 아니라 신발을 신고 다이얼(70)을 돌리면 풋커버(50)가 자동으로 닫히면서 발등을 감싸게 되는 특징이 있다.
즉, 신고 있던 신발을 벗기 위해서는 먼저 다이얼(70)을 잡아 당겨 결속와이어(60)가 풀어지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신발을 벗기 위해 발등을 살짝 들어올리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00)과 함께 풋커버(50)가 상방향으로 말리면서 풋커버(50)가 결속와이어(60)를 밀면서 자동으로 개방되어 개구부(40)가 벌리지면서 신발을 쉽게 벗고 신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신발을 발에 맞게 신을 때에는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다이얼(70)을 누른 다음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속와이어(60)가 다이얼(70)에 감기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의 개구부(40)를 조여주게 된다. 이때, 결속와이어(60)의 조여주는 힘에 의해 풋커버(50)가 원래의 닫힘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해 발등을 감싸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바닥창부 20: 갑피부
30: 풋삽입구 40: 개구부
50: 풋커버 60: 결속와이어
70: 다이얼 100: 판스프링

Claims (3)

  1. 지면에 닿는 바닥창부와 발을 감싸는 갑피부로 구성되고,
    상기 갑피부의 상면 후방에는 발을 삽입하기 위한 풋삽입구가 형성되며, 풋삽입구 앞에는 풋삽입구와 연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안쪽에는 풋커버가 장착되어 개구부를 막아서 가리게 구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양측을 연결하게 결속와이어가 지그재그로 설치되되, 결속와이어의 단부를 당기면 개구부가 좁혀지고 당겼던 결속와이어를 풀면 개구부가 벌어지게 설치되며,
    상기 결속와이어의 단부는 갑피부의 일부분에 설치된 다이얼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다이얼을 누르면 결속와이어의 단부가 다이얼에 걸려 잡여 있는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다이얼을 회전시키면 결속와이어가 다이얼에 감기면서 조여져 개구부를 좁혀 주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이얼을 잡아 당겨 결속와이어의 단부를 잡고 있는 상태를 해제시키면 결속와이어가 풀리면서 개구부가 벌어지게 설치된 다이얼 신발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풋커버에 판스프링이 설치되되,
    상기 판스프링은 펴놓으면 수평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부에서 상부로 힘을 가하면 상방향으로 원형으로 말리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다이얼을 잡아 당겨 결속와이어가 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신발을 벗기 위해 발등을 살짝 들어올리면 판스프링과 함께 풋커버가 상방향으로 말리면서 풋커버가 결속와이어를 밀면서 자동으로 개방되어 신발을 쉽게 벗고 신을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신발을 신은 상태에서 다이얼을 누른 다음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속와이어가 다이얼에 감기면서 신발의 개구부를 조여줄 때 결속와이어의 조여주는 힘에 의해 풋커버가 원래의 닫힘 위치로 이동해 발등을 감싸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풋커버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내부에 삽입한 다음 절개된 부분을 박음질로 마감처리하여 분리되지 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커버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포켓이 형성되고, 이 포켓에 판스프링을 삽입하여 넣는 방식으로 설치함으로, 신발을 세척할 때 판스프링을 빼내서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KR1020200012814A 2020-02-03 2020-02-03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KR202100988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14A KR20210098801A (ko) 2020-02-03 2020-02-03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814A KR20210098801A (ko) 2020-02-03 2020-02-03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801A true KR20210098801A (ko) 2021-08-11

Family

ID=77314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814A KR20210098801A (ko) 2020-02-03 2020-02-03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8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7068A (zh) * 2022-07-12 2022-10-14 东莞市源创智行服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合鞋舌的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65B1 (ko) 2002-02-19 2004-08-25 조윤미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
KR101448584B1 (ko) 2007-06-14 2014-10-14 그레고리 쥐. 존슨 자동조임신발
KR101504269B1 (ko) 2013-05-07 2015-03-20 강병도 자동 착용 신발
KR101853351B1 (ko) 2011-08-18 2018-04-30 팰리듐,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조임 신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965B1 (ko) 2002-02-19 2004-08-25 조윤미 끈을 단번에 결속시키는 신발 및 그 신발끈 결속방법
KR101448584B1 (ko) 2007-06-14 2014-10-14 그레고리 쥐. 존슨 자동조임신발
KR101853351B1 (ko) 2011-08-18 2018-04-30 팰리듐,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조임 신발
KR101504269B1 (ko) 2013-05-07 2015-03-20 강병도 자동 착용 신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7068A (zh) * 2022-07-12 2022-10-14 东莞市源创智行服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合鞋舌的鞋
CN115177068B (zh) * 2022-07-12 2024-05-28 东莞市源创智行服饰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合鞋舌的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9868A (en) Shoe, especially an athletic, leisure or rehabilitation shoe having a central closure
US5502902A (en) Shoe with central rotary closure
US6427361B1 (en) Variable ratio control shoe with automatic tying and untying shoelace
JP5785233B2 (ja) 二重舌部を備える靴構造
US20020078597A1 (en) Sports boot having an integrated quick tightening system
US8316563B2 (en) Shoe and interchangeable shoe cover systems
US4620379A (en) Ski boot, particularly of the rear entrance type, incorporating a closure and foot securing device
KR20210098801A (ko) 풋커버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다이얼 신발
US7770308B2 (en) Covering for an elasticized band for a shoe provided with a tongue
ITMI961835A1 (it) Ghetta di protezione per calzatura
JP2022116190A (ja) 履物閉鎖システム
JP2019000213A (ja)
KR19980068855U (ko) 신발끈 결속 장치
US6470542B1 (en) Device and method for tassels
KR200371823Y1 (ko) 덮개가 개선된 애완견용 신발
EP0317889A2 (en) Rear-entry ski boot with foot securing device
EP1084638A1 (en) Sports shoe, particularly for skiing
CN218457435U (zh) 一种免系鞋带的休闲鞋
JP7303638B2 (ja)
KR102641753B1 (ko) 신발끈 조임장치
KR200371824Y1 (ko) 조임끈을 구비한 애완견용 신발
CN103156332B (zh) 一种方便松紧的鞋带扣及应用有该鞋带扣的鞋
JPH0620406Y2 (ja) 紐付靴
CN220212078U (zh) 开口鞋
KR200371509Y1 (ko) 착용이 용이한 애완견용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