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4532A -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4532A
KR20140064532A KR1020120131953A KR20120131953A KR20140064532A KR 20140064532 A KR20140064532 A KR 20140064532A KR 1020120131953 A KR1020120131953 A KR 1020120131953A KR 20120131953 A KR20120131953 A KR 20120131953A KR 20140064532 A KR20140064532 A KR 20140064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g
skill
length
online game
dra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4635B1 (ko
Inventor
홍기정
박무룡
Original Assignee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20131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463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4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4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경우에, 효율적이고 신속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터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가 필요한 공격 형태 또는 공격 강도를 직관적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a drag input in online game}
본 발명은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이 급속도로 확산하면서 모바일 게임시장 또한 크게 성장되어 왔다. 초기에는 단말기의 성능 문제로 게임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었으나 현재에 이르러 충분한 CPU 및 그래픽 성능이 지원됨에도 불구하고, 키보드, 마우스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지원이 충분하지 못하여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있다.
이에, 전면 터치 스크린을 적용한 모바일 단말이 개발되면서, 별도의 키 패드가 없이, 터치 스크린 화면에 가상 키패드 화면, 가상의 방향 키, 가상의 조작 키를 출력하지만, 이러한 가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작은 사이즈의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유저의 시인성에 방해하고, 온라인 게임의 플레이 화면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한편, 제스처 시스템은 스마트 폰 또는 태블릿 PC의 보급 및 진화되면서 많은 애플리케이션이나 기능에 사용되었으나, 온라인 게임에는 기술적 한계로 인하여 적용이 한정되었다. 예를 들면, MMOPRG(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이하 MMORPG라 한다)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에서 캐릭터의 상태나 몬스터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 하면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해야 하기 때문에, 제스처 시스템의 적용이 어려웠다. 또한, 유저가 필요한 공격 형태 또는 공격 강도를 직관적이고 쉽게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부족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경우에, 효율적이고 신속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터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고, 유저가 필요한 공격 형태 또는 공격 강도를 직관적이고 쉽게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경우에, 효율적이고 신속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터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고, 유저가 필요한 공격 형태 또는 공격 강도를 직관적이고 쉽게 구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모바일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경우에, 효율적이고 신속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터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고, 유저가 필요한 공격 형태 또는 공격 강도를 직관적이고 쉽게 구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을 모바일 단말에서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스킬은,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상기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를 공격하기 위한 공격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킬은, 동일한 공격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상기 동일한 공격 수단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킬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킬 메뉴에 포함된 다수의 스킬 중 하나의 스킬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길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수신한 드래그 입력을 기초로 드래그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스킬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길이에 따라 상기 결정한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상기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와의 거리가 제2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상기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스킬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은 상기 거리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유저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라인 게임은, MMORPG/MORPG를 포함하는 RPG 게임, AOS(Aeon of Strife) 게임, RTS(Real Time Strategy) 게임, FPS/TPS(First/Third Person Shooters) 게임 및 스포츠 게임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를 공격하는 공격 수단을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와 상기 공격 수단의 강도가 비례하도록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동일한 상기 공격 수단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 따라 서로 다른 공격 수단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은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는 드래그 길이 판단부; 및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하는 스킬 적용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킬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킬 메뉴에 포함된 다수의 스킬 중 하나의 스킬을 선택받는 스킬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킬 적용부는, 상기 드래그 길이에 따라 상기 스킬 선택부에서 선택된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바일 단말은 상기 수신한 드래그 입력을 기초로 드래그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스킬을 결정하는 드래그 방향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킬 적용부는, 상기 드래그 길이에 따라 상기 결정한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하는 방법을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1 프로그램 코드; 상기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는 제2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하는 제3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하는 경우에, 효율적이고 신속한 조작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터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조작감을 향상시키고, 쾌적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가 필요한 공격 형태 또는 공격 강도를 직관적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에서,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110 및 12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200)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300)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6 내지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드래그 입력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한 공지의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상세한 설명이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균등한 발명 역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게임 서버”란, 사용자들이 접속하여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하여 접속하게 되는 서버 컴퓨터를 의미한다. 용량이 작거나 이용자 수가 작은 게임의 경우 하나의 게임 서버에 다수의 게임 프로그램이 운영될 수 있다. 또한, 용량이 매우 크거나 실시간 접속 인원 수가 많은 게임의 경우, 게임의 기능에 따라서 하나의 게임의 운영을 위한 게임 서버가 하나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게임 서버에는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미들웨어나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서버들이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온라인 게임은, 상기 언급한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게임 콘텐츠를 의미한다. 특히, 게임상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접속하여 즐길 수 있으며, 게임을 진행하여 캐릭터를 육성하면서 경험치를 획득하는 등의 행위를 통해 레벨을 상승시키는 게임을 의미한다. 또한, 게임상에서 게임의 진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게임을 의미한다.
또한, 온라인 게임에서는, 다양한 커뮤니티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의 길드, 또는 클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개념은,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유저들이 모여서,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고, 단체를 조직한 것을 의미한다. 각 단체는 유저들의 수 또는 유저들의 캐릭터들의 레벨에 따라서, 길드 또는 클랜의 명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게임 내에서의 다양한 혜택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길드 또는 클랜의 명성이 높아지면, 캐릭터의 게임 화면상의 표시가 달라질 수 있거나(예를 들어 표시되는 캐릭터의 이름의 색이 바뀌는 효과), 게임 내에서 아이템 및 마을 등을 이용하는 데 있어서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에서의 이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 시스템은 파티 플레이가 있다. 파티 플레이는, 사용자들끼리 요청, 초대 및 수락을 통해 이루어지는 게임 플레이상의 그룹으로서, 결성된 파티원들끼리는 독자적인 채팅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게임화면상에서 파티원들을 식별할 수 있는 특정 표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파티 플레이를 하는 유저들끼리는, 아이템을 서로 분배하거나, 게임 플레이 결과 획득한 결과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다. 공유하는 방식 역시, 각자 결과 콘텐츠를 보유하거나, 결과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를 다른 캐릭터들에게 분배하는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결과 콘텐츠는, 게임의 플레이 중 플레이 결과 유저들의 캐릭터가 얻을 수 있는 모든 콘텐츠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슈팅 게임의 경우, 한 게임이 끝날 때 얻을 수 있는 경험치 및 사이버 머니 등이 결과 콘텐츠에 속할 수 있으며, 스포츠 게임의 경우 한 경기가 끝날 때 얻을 수 있는 경험치 및 사이버 머니 등이 결과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롤플레잉 게임의 경우, 특정 퀘스트를 완료하거나 몬스터를 처치 시 얻을 수 있는 경험치, 보상 사이버 머니 등이 결과 콘텐츠가 될 수 있다.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의 캐릭터가 특정한 결과 콘텐츠를 획득 시에는, 유저의 캐릭터에 결과 콘텐츠가 모두 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기본이다. 그러나 파티 플레이 또는 길드, 클랜 등에 속해 있을 때는, 자신이 획득한 결과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가, 파티, 길드, 클랜 등에 속해 있는 다른 유저들의 캐릭터에 분배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이란, 게임의 진행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일반적으로 게임상의 아이템이라 했을 때 이해될 수 있는 모든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롤플레잉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를 대신하는 캐릭터가 몬스터를 제압했을 때 얻는 경험치를, 더욱 많이 얻을 수 있게 해 주는 아이템, 캐릭터의 외관을 바꿀 수 있는 아이템 등이 본 발명에서 아이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 시스템(100)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110 및 12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의 예시로, 태블릿 PC 또는 노트 북(110)과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120)이 도시되어 있으며, 네트워크(130)를 통해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게임 서버(140)는 온라인 게임을 모바일 단말에 제공한다. 여기서, 온라인 게임은 MMORPG 또는 MORPG를 포함하는 역할 수행 게임일 수 있다. 접속자의 수에 따라 MMORPG와 MORPG로 구분하거나, 일반적으로 "방"을 만들어 그 방에 접속한 유저들끼리만 전투 및 사냥을 한다면 MORPG, 모든 유저들의 왕래가 가능한 공개 지역에서 전투 및 사냥을 한다면 MMORPG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은 AOS(Aeon of Strife) 게임, RTS(Real Time Strategy) 게임, FPS/TPS(First/Third Person Shooters) 게임, 스포츠 게임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110 및 120)에는 게임 구현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110 및 120)은 터치-드래그 기능이 구현되며, 온라인 게임 수행 시 터치-드래그 기능을 통해 게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캐릭터의 기능 수행 시, 필요 터치의 최소화를 통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드래그를 포함하는 드래그 입력 또는 제스처 입력만으로 기능을 수행하여, 유저 캐릭터를 조작하는 사용자 조작감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가상 키 패드 또는 조작 키를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음으로써, 넓은 시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10 및 120)은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로부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를 공격할 수 있는 공격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한다. 예를 들면 유저 캐릭터의 공격 수단이 칼인 경우, 드래그를 길게 하면 칼을 길게 휘두르거나, 대상 캐릭터에 데미지를 많이 입힐 수 있는 큰 공격을 하고, 드래그를 짧게 하면 칼을 짧게 휘두르거나, 대상 캐릭터에 데미지를 적게 입히는 작은 공격을 한다. 여기서, 드래그는 동일한 방향 또는 동일한 제스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드래그하면 칼 공격을 크게 하고, 동일한 방향으로 짧게 드래그하면 칼 공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동일한 방향 또는 동일한 제스처에 서로 다른 공격 강도를 적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방향의 드래그 길이에 따른 서로 다른 형태의 공격, 예를 들면 짧은 드래그에는 칼 공격, 긴 드래그에는 화살 공격을 하도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모바일 단말(110 및 12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및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게임 서버(14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접속한 모바일 단말(110 및 120)에 온라인 게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을 모바일 단말(110 및 120)에서 구현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모바일 단말(110 및 120)에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서버(140)는 모바일 단말(110 및 120)에서 온라인 게임을 실행하는 데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모바일 단말(110 및 120)에 제공하고, 모바일 단말(110 및 120)에서 게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게임 서버(140)에 접속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경우, 게임 정보를 모바일 단말(110 및 120)에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200)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200)은 스킬 선택부(201), 드래그 길이 판단부(202) 및 스킬 적용부(203)를 포함한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200)의 구성요소들로 설명하였지만,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장치 또는 모듈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드래그 입력 처리 장치 또는 모듈이 모바일 단말(200)에 탑재되어, 모바일 단말에서 온라인 게임을 구동하는 경우에 실행된다.
스킬 선택부(2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킬 메뉴를 모바일 단말(200)에 디스플레이하고, 유저로부터 스킬 메뉴에 포함된 다수의 스킬 중 하나의 스킬을 선택받는다. 여기서, 스킬은 유저의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를 공격하는 데 사용되는 공격 수단 또는 무기 체계를 의미한다. 여기서, 대상 캐릭터는, RPG 게임에서는 몬스터 또는 다른 유저의 캐릭터를 포함하고, 1인칭/3인칭 슈팅 게임은 적을 포함하고, 스포츠 게임에서는 상대방 캐릭터를 포함한다.
드래그 길이 판단부(202)는 유저로부터 입력된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한다.
스킬 적용부(203)는 드래그 길이 판단부(202)에서 판단한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한다. 여기서, 제1 강도와 제2 강도는 동일한 스킬, 예를 들면 동일한 공격 수단에서 대상 캐릭터에게 입히는 데미지가 차이가 있다. 제1 강도가 약한 공격이라면 제2 강도는 강한 공격일 수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또한, 제1 임계값은 임의로 정할 수 있는 값으로 온라인 게임의 특성에 따라 드래그 입력의 길이의 기준으로 정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200)은 유저 캐릭터와 대상 캐릭터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가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드래그 입력을 하여도 스킬을 적용하지 않고, 드래그 입력에 따른 유저 캐릭터를 이동시킬 수 있지만, 유저 캐릭터와 대상 캐릭터가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드래그 입력에서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한다. 또한, 유저가 사용할 스킬을 선택한 경우에는 유저 캐릭터와 대상 캐릭터 사이의 거리에 관계없이, 드래그 입력에 따른 스킬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300)의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300)은 드래그 방향 판단부(301), 드래그 길이 판단부(302) 및 스킬 적용부(30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200)과 비교하여, 드래그 방향 판단부(301)를 포함하는 것에 차이가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드래그 방향 판단부(301)는 유저로부터 수신한 드래그 입력을 기초로 드래그 방향을 판단한다. 드래그 방향은 단방향 또는 다방향을 포함하는 제스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하 좌우 방향과, 각각의 대각선 방향을 포함하는 8방향과, 원형 제스처, 반복 제스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드래그 방향에 따른 스킬이 매핑되어 있어, 유저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특정 스킬을 선택할 필요없이, 드래그 방향을 입력함으로써, 드래그 방향에 매핑된 스킬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선 드래그가 입력되면, 칼 공격을 사용하는 것으로 미리 매핑되어 있다면, 유저는 모바일 단말(300)의 터치 스크린 화면상에서 직선 드래그를 입력함으로써 칼 공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가 칼 공격이라면 왼쪽 방향 드래그는 화살 공격으로 미리 매핑되어 있어, 유저는 다시 칼 공격에서 화살 공격을 사용하고자 할 때, 스킬 메뉴에서 다시 공격 수단 전환을 하는 불편함이 없이, 편리한 스킬 조작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RPG 게임에서의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 또는 몬스터와 전투 또는 사냥하는 경우에 대해, 스킬 또는 공격 수단을 위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포츠 게임에서의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 예를 들면 축구 게임에서의 플레이어 기술, 슈팅, 패스 등과, 야구 게임에서의 플레이어의 타격, 번트 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드래그 길이 판단부(302)는 입력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고, 스킬 적용부(303)는 드래그 길이 판단부(302)에서 판단한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온라인 게임에서 드래그 방향 판단부(301)에서 판단한 드래그 방향에 따라 미리 매핑된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미리 매핑된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4와 도 6 내지 9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0에서, 게임을 시작하면, 단계 402에서, 유저로부터 스킬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온라인 게임의 화면 내에 스킬 1 내지 4를 포함하는 스킬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유저는 스킬 1(630)을 선택한다.
단계 402에서 유저로부터 스킬이 선택된 경우, 단계 404에서, 드래그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가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600)를 입력한다.
단계 404에서, 유저로부터 드래그 신호가 입력된 경우,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고, 단계 408에서, 드래그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단계 408에서, 드래그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계 402에서 선택된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드래그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단계 402에서 선택된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가 긴 드래그(600)를 입력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 캐릭터(610)가 대상 캐릭터(620)에 칼 공격을 길게 또는 강하게 하고,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가 드래그(800)를 짧게 입력한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 캐릭터(610)가 대상 캐릭터(620)에 칼 공격을 짧게 또는 약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유저가 스킬을 적용하고자 드래그를 입력하는 경우에, 강한 공격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드래그를 길게 입력하고, 약한 공격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드래그를 짧게 입력함으로써, 유저가 직관적으로 판단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가 필요한 공격 형태 또는 공격 강도를 직관적이고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 도이다. 도 5와 도 10 내지 1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00에서, 게임이 시작되고, 단계 502에서, 유저의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 단계 504에서, 드래그 방향에 따른 스킬을 결정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왼쪽 방향의 드래그가 입력된 경우에는 화살 공격이 미리 매핑되어 있고, 유저 캐릭터(610)는 화살 공격을 사용하게 된다. 유사하게 오른쪽 방향의 드래그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입력되었다면, 유저 캐릭터(610)가 칼 공격을 하도록 매핑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 506에서, 드래그 길이를 판단한다. 단계 508에서, 드래그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단계 508에서의 판단 결과, 드래그 길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단계 510에서, 단계 504에서 결정된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한다. 단계 508에서의 판단 결과, 드래그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단계 512에서, 단계 504에서 결정된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가 왼쪽 방향으로 긴 드래그(1000)를 입력한 경우,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 캐릭터(610)는 대상 캐릭터(620)에 화살 공격을 강하게 또는 길게 한다. 하지만,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가 왼쪽 방향으로 짧은 드래그(1200)를 입력한 경우,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유저 캐릭터(610)는 대상 캐릭터(610)에 화살 공격을 약하게 또는 짧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캐릭터의 기능 수행 시, 필요 터치의 최소화를 통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터치-드래그를 포함하는 제스처 입력만으로 기능을 수행하여, 유저 캐릭터를 조작하는 사용자 조작감을 향상시키며, 별도의 가상 키 패드 또는 조작 키를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지 않음으로써, 넓은 시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모바일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 뿐만 아니라,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컴퓨팅(Computing) 가능한 모든 기기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되어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120: 모바일 단말
130: 네트워크
140: 게임 서버

Claims (17)

  1.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상기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킬은,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상기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를 공격하기 위한 공격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킬은,
    동일한 공격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상기 동일한 공격 수단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킬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스킬 메뉴에 포함된 다수의 스킬 중 하나의 스킬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길이에 따라 상기 선택된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드래그 입력을 기초로 드래그 방향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스킬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래그 길이에 따라 상기 결정한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상기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와의 거리가 제2 임계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가 상기 제2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상기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스킬을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가 상기 제2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드래그 입력에 따라 상기 유저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게임은,
    MMORPG/MORPG를 포함하는 RPG 게임, AOS(Aeon of Strife) 게임, RTS(Real Time Strategy) 게임, FPS/TPS(First/Third Person Shooters) 게임 및 스포츠 게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10.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수행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한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대상 캐릭터를 공격하는 공격 수단을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와 상기 공격 수단의 강도가 비례하도록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에 따라 동일한 상기 공격 수단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용 단계는,
    상기 드래그의 길이 따라 서로 다른 공격 수단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14.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을 처리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하며,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는 드래그 길이 판단부; 및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하는 스킬 적용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킬 메뉴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스킬 메뉴에 포함된 다수의 스킬 중 하나의 스킬을 선택받는 스킬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킬 적용부는,
    상기 드래그 길이에 따라 상기 스킬 선택부에서 선택된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한 드래그 입력을 기초로 드래그 방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한 드래그 방향에 따라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스킬을 결정하는 드래그 방향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킬 적용부는,
    상기 드래그 길이에 따라 상기 결정한 스킬의 강도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17.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하는 방법을 터치-드래그 입력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드래그 입력을 수신하는 제1 프로그램 코드;
    상기 드래그 입력에 포함된 드래그의 길이를 판단하는 제2 프로그램 코드; 및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 캐릭터가 사용할 수 있는 스킬을 제1 강도로 적용하고, 상기 드래그의 길이가 제1 임계값보다 큰 경우 상기 스킬을 제2 강도로 적용하는 제3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20131953A 2012-11-20 2012-11-20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KR10140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53A KR101404635B1 (ko) 2012-11-20 2012-11-20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953A KR101404635B1 (ko) 2012-11-20 2012-11-20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4532A true KR20140064532A (ko) 2014-05-28
KR101404635B1 KR101404635B1 (ko) 2014-09-23

Family

ID=5089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953A KR101404635B1 (ko) 2012-11-20 2012-11-20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46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90A (ko) 2014-07-01 2016-01-11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터치스크린 기반 사용자 조작 입력 처리 장치,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WO2016072531A1 (ko) * 2014-11-03 2016-05-12 유충길 게임 캐릭터의 동작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691B1 (ko) * 2015-09-14 2017-03-09 주식회사 패튼코 측면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27081B1 (ko) 2017-03-03 2017-04-18 주식회사 패튼코 측면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방법 및 프로그램
KR101727082B1 (ko) 2017-03-03 2017-04-17 주식회사 패튼코 측면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게임수행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75B1 (ko) * 2009-03-02 2012-04-12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게임 캐릭터의 동작 입력방법
JP4610659B2 (ja) * 2009-03-31 2011-01-12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プログラム、ゲーム装置、ゲーム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490A (ko) 2014-07-01 2016-01-11 (주)위메이드엔터테인먼트 터치스크린 기반 사용자 조작 입력 처리 장치,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WO2016072531A1 (ko) * 2014-11-03 2016-05-12 유충길 게임 캐릭터의 동작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4635B1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086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KR101459565B1 (ko) 모바일 게임에서의 스킬 동작 수행방법 및 그 단말장치.
JP2016525909A (ja) コンピュータゲームに登場する対象体を自動的にターゲッティング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404635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TWI793838B (zh) 虛擬對象互動模式的選擇方法、裝置、設備、媒體及產品
WO2022037529A1 (zh) 虚拟对象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101407483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50017016A (ko) 게임 스킬 구현 방법 및 서버
US20140349766A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imulation game
KR101417947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유저 제스처 입력 처리 방법
KR101493507B1 (ko) 온라인 게임에 등장하는 대상체를 자동으로 타겟팅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018861B (zh) 虚拟角色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1398087B1 (ko)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보정하는 방법 및 장치, 온라인 게임에서의 사용자 입력을 보정하는 방법
KR102584901B1 (ko) 이벤트 정보 송신 장치 및 방법, 이벤트 정보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483754B1 (ko) 복수의 미션들을 완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온라인 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183731B1 (ko) 아이템 사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492248B1 (ko) 온라인 게임에 출현하는 객체를 타겟팅하는 방법 및 장치.
JP6304064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装置及び処理プログラム
KR20150009618A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드래그 입력 처리 방법
WO2023231557A1 (zh) 虚拟对象的互动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KR101492247B1 (ko) 온라인 게임에서의 용병 캐릭터 운영 방법
JP7170454B2 (ja) 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サーバ
JP7252747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記録媒体、ゲーム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
KR101482781B1 (ko) 터치 스크린에 입력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상의 대상체에 효과를 적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35274A (ko) 모바일 게임에서의 유저 캐릭터 조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