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554A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554A
KR20140061554A KR1020147011775A KR20147011775A KR20140061554A KR 20140061554 A KR20140061554 A KR 20140061554A KR 1020147011775 A KR1020147011775 A KR 1020147011775A KR 20147011775 A KR20147011775 A KR 20147011775A KR 20140061554 A KR20140061554 A KR 20140061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ood
blower
dashboar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코토 이노우에
토모유키 쿠로다
미츠히로 탄지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170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699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18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558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21762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1062173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1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운전석과,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되고 조향 핸들이 마련된 대시보드를 주행부에 구비하고, 주행부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며, 조향 핸들을 대시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핸들축에 의해 지지한 구성의 이앙기에 있어서, 대시보드 상면의 앞 부분에 제1 패널, 후부에 제2 패널을 마련하고, 제1 패널과 제2 패널의 각 패널면을 운전석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이앙기{RICE 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이앙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주행부의 조작 패널상에 배치되는 조작 수단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행부상에 조향 핸들이나 운전석 등을 배치하고, 주행부의 후측에 식부부를 승강 자재로 연결한 승용 이앙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앙기는, 주행부상에서 운전석의 전방에 핸들 칼럼을 세로로 마련하고, 핸들 칼럼상에 대시보드를 배치하고, 대시보드 상면의 후부로부터 핸들축을 상방으로 돌출시켜, 핸들축상에 조향 핸들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앙기는 상기 핸들축 전방의 대시보드 상면에 표시 패널과 조별 식부 정지를 행하는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각종 조작 수단을 배치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7-267754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이앙기에서는, 운전석에 착석한 작업자가 대시보드의 상면을 보았을 때, 대시보드의 상면에 태양광 등이 반사되어 작업자의 눈에 들어오는 일이 있어, 식부 작업시에 사용하는 조작 수단을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식부 작업시에 사용하는 조작 수단의 조작 방향이 운전석에 착석한 작업자가 조작하기 쉬운 방향이 아니라, 작업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로 식부 작업시에 사용하는 조작 수단을 조작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앙기에서 식부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각 조작 수단이, 묘판 적재대나 운전석 옆 등 여러 위치에 배치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논밭(포장(圃場))에서의 작업중에 조작성이 나쁠 뿐만이 아니라 섬세한 조작에 방해가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감안하여, 식부 작업시에 사용하는 조작 수단의 조작이 쉽고 시인성(視認性)이 향상된 이앙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에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되고 조향 핸들이 마련된 대시보드를 주행부에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조향 핸들을 상기 대시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핸들축에 의해 지지한 구성의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 상면의 앞 부분에 제1 패널, 후부에 제2 패널을 마련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각 패널면을 운전석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핸들축을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사이에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식부부에서의 작업 현황을 패널면에 표시하는 표시패널이며, 상기 제2 패널은 적어도 식부 작업 시에 사용하는 식부용 조작 수단을 패널면에 배치하는 조작 패널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패널의 패널면에 배치되는 상기 식부용 조작 수단은, 조별 정지 조작 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별 정지 조작 수단은, 상기 제2 패널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패널의 패널면의 경사와 상기 제2 패널의 패널면의 경사를, 동일한 구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패널의 패널면의 경사를, 상기 제1 패널의 패널면이 경사보다 작은 구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부 조작 패널의 패널면이 대시보드의 상면으로부터 소정 각도 운전석측으로 기립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식부 조작 패널의 패널면이 보기 쉬워져 식부용 조작 수단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을 용이하게 눈으로 확인해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식부 조작 패널을 다른 조작 수단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 방향이 운전석에 착석한 작업자에게 있어서 조작하기 쉬운 방향이 되어, 작업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로 무리하게 손이나 손가락을 굽히지 않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에 착석한 작업자가 조향 핸들 및 핸들축에 방해받지 않고 식부용 조작 수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의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운전석에 착석한 작업자가 조향 핸들을 조작하면서,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식부용 조작 수단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에 착석한 작업자가 표시 패널의 패널면을 보고 식부부의 작업 상황을 파악하면서, 식부 조작 패널의 패널면에 위치하는 식부용 조작 수단을 조작할 때, 표시 패널의 패널면과 식부용 조작 수단이 동시에 보기 쉬워진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을 식부부나 운전석측에 마련하는 구성에 비해,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어 조작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을 식부 조작 패널로부터 분리하고, 그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 대신에 다른 사양의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이나 다른 부재를 식부 조작 패널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 조작 패널 부분의 사양 변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사양 변경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도 있다.
도 1은 이앙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이앙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이앙기의 대시보드를 측면에서 본 개략도로서, (a)는 식부 조작 패널면을 표시 패널면과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인 경우의 도면이고, (b)는 식부 조작 패널면을 표시 패널면보다 작은 기울기로 기울인 경우의 도면이다.
도 4는 이앙기의 대시보드를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이앙기의 대시보드를 왼쪽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대시보드의 식부 조작 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다른 사양의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를 배치한 경우의 도면이고, (b)는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 대신에 덮개를 배치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 7은 이앙기의 가이드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의 대시보드를 운전석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이앙기의 제어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1은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2는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3은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4는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5는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6은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7은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8은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19는 이앙기의 차체 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이앙기 주행부의 좌측면도이다.
도 21은 이앙기의 주행부 후방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이앙기의 승강 기구 근방의 우측 사시도이다.
도 23은 이앙기의 승강 기구 근방의 좌측면도이다.
도 24는 이앙기의 승강 실린더 근방의 좌측면도이다.
도 25는 이앙기의 승강용 유압 회로도이다.
도 26은 이앙기의 승강 실린더 근방의 좌측면도이다.
도 27은 이앙기의 승강용 유압 회로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앙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이용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앙기(1)의 진행 방향 우측을 단순히 우측이라고 하고, 이앙기의 진행 방향 좌측을 단순히 좌측이라고 설명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앙기는 8조 이앙기로 하지만, 이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6조나 10조의 이앙기라도 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앙기(1)는 주행부(10)와 식부부(40)를 갖고, 주행부(10)에 의해 주행하면서 식부부(40)에 의해 모종을 논밭에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식부부(40)는 주행부(10)의 후방에 배치되고, 주행부(10)의 후부에 승강 기구(30)를 개재하여 승강 가능하게 연결된다.
주행부(10)에는 엔진(14)이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에 장착되고, 보닛(15)에 의해 덮인다. 미션 케이스(5)(도 19 참조)는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에 지지되어, 엔진(14)의 하방에 배치된다.
프론트 액슬 케이스(6)가 차체 프레임(11)의 앞 부분에 지지되고, 전방 차륜(12)이 프론트 액슬 케이스(6)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다. 리어 액슬 케이스(7)는 차체 프레임(11)의 후부에 지지되고, 후방 차륜(13)이 리어 액슬 케이스(7)의 좌우 양측에 장착된다.
그리고, 엔진(14)의 동력이 상기 미션 케이스(5)를 통해 좌우의 전방 차륜(12)과 좌우의 후방 차륜(13)에 각각 전달되어, 이들 전방 차륜(12) 및 후방 차륜(13)이 회전 구동하도록 동력 전달 기구가 구성된다. 이에 따라, 주행부(10)가 전진 또는 후진 주행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행부(10)에는 차체 프레임(11)의 전후 중간부에 운전 조작부(21)가 마련된다. 운전 조작부(21)의 앞 부분에는, 조향 조작용 환상의 조향 핸들(18)이나 변속 조작용의 변속 페달(78)이나, 브레이크 페달(79) 등이 배치된다. 운전 조작부(21)의 후부에는, 운전석(19)이 조향 핸들(18)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운전 조작부(21)의 조향 핸들(18)이나 운전석(19)의 주위에, 대시보드(17)나, 일부를 승강용 스텝으로 하는 차체 커버(16)나, 그 외의 레버나 스위치 등의 조작 도구가 배치된다. 이들 조향 핸들(18), 변속 페달(78), 브레이크 페달(79), 및 그 외의 조작 도구에 의해, 주행부(10) 및 식부부(40)에 대해 적절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주행부(10)에는, 또한, 예비 묘판 적재대(24)가 차체 프레임(11) 앞 부분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세워져 마련된 각 장착 프레임(23)에 장착되어, 보닛(15)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예비 묘판이 예비 묘판 적재대(24)에 적재되어, 식부부(40)에의 모종 보급이 가능해진다.
주행부(10)에는, 또한, 시비(施肥) 장치(22)가 차체 프레임(11)의 후부에 지주 프레임(20) 등을 통해 지지되어, 운전 조작부(21)의 운전석(19)의 후방에 배치된다. 시비 장치(22)는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어, 논밭에 시비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시비 장치(22)는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25)와, 배출 수단인 배출 기구(26)와, 송풍 수단인 블로어(27)와, 반송관인 반송 호스(28)를 구비한다.
호퍼(25)는 각 조에 입자상의 비료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이며, 식부조의 수와 같은 수,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가 구비된다. 또한, 호퍼(25)에 저장된 비료는 호퍼(25)의 출구로부터 배출 기구(26)에 의해 일정량씩 계속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배출 기구(26)는 호퍼(25)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배출 기구(26)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용 동력 전달 기구를 통해 엔진(14)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작동되어, 일정량씩 비료를 반송 호스(28)에 낙하시킨다.
블로어(27)는, 도시하지 않은 송풍 파이프 내에 바람을 보내는 장치이다. 블로어(27)는 전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송풍기이며, 블로어(27)의 작동은 제어 장치(80)에 의해 제어된다. 또한 블로어(27)로부터 보내진 바람은 송풍 파이프 내를 지나 각 반송 호스(28)로 보내진다.
반송 호스(28)는, 각 조별로 배출 기구(26)로부터 후술하는 식부날(45)에 의한 식부 위치 근방의 시비 위치까지 연장되고, 식부조의 수와 같은 수,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가 구비된다. 반송 호스(28)는 각 조에 배출 기구(26)로부터 낙하한 비료를 안내한다. 각 반송 호스(28)는 각각 송풍 파이프에 연결되어, 블로어(27)로부터 보내지는 바람은 송풍 파이프를 지나 반송 호스(28)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호퍼(25)로부터 배출 기구(26)에 의해 반송 호스(28) 내로 공급된 비료는, 블로어(27)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반송 호스(28)를 통해 식부 위치 근방까지 반송되어 논밭으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시비 장치(22)에 의해 논밭에 시비가 행해진다.
식부부(40)에서는, 식부 미션 케이스가 식부 프레임(49)의 하부 중앙 부근에 지지되고, 전동축 케이스가 식부 미션 케이스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된다. 4개의 식부 전동 케이스(46)가 각각 상기 전동축 케이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좌우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로터리 케이스(44)가 각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후단부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로터리 케이스(44)는 식부조의 수와 같은 수,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8개가 구비된다. 그리고, 2개의 식부날(45)이 로터리 케이스(44)의 회전 받침점을 협지하도록, 로터리 케이스(44)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장착된다.
묘판 적재대(41)는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상방에 앞이 높고 뒤가 낮은 경사 상태로 배치되고, 식부 프레임(49) 후부에 상하의 가이드 레일을 개재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묘판 적재대(41)는 도시하지 않은 횡방향 이송 기구에 의해 좌우 왕복 횡방향 이송이 가능해진다.
복수 조(8조)의 모종 매트 적재부를 구비하는 묘판 적재대(41)는, 각각의 하단측이 하나의 로터리 케이스(44)와 대향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모종 매트가 각 묘판 적재대(41)에 적재되어, 로터리 케이스(44)의 회전시에 식부날(45)에 의해 한 주(株)의 모종이 당해 묘판 적재대(41)상의 모종 매트로부터 떼어내질 수 있게 된다.
조의 수에 맞춘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가 묘판 적재대(41)에 설치된다.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는 묘판 적재대(41)가 좌우 왕복 횡방향 이송의 스트로크단에 도달할 때마다, 종방향 이송 기구에 의해 묘판 적재대(41)상의 모종 매트를 하방을 향해 종방향 이송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엔진(14)의 동력이 식부 미션 케이스 등을 통해 각 로터리 케이스(44)에 전달되어, 로터리 케이스(44)가 회전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로터리 케이스(44)의 회전 작동에 수반하여, 2개의 식부날(45)이 교대로 모종을 묘판 적재대(41)상의 모종 매트로부터 떼어내어 논밭에 식부할 수 있다.
동시에, 엔진(14)의 동력이 식부 미션 케이스 등을 통해 횡방향 이송 기구 및 종방향 이송 기구에 전달되어, 묘판 적재대(41)가 횡방향 이송 기구에 의해 좌우 왕복 횡방향 이송되고, 묘판 적재대(41)상의 모종 매트가, 적재대의 좌우 왕복 횡방향 이송에 부합하여 종방향 이송 기구에 의해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를 통해 하방을 향해 종방향 이송 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묘판 적재대(41)상의 모종 매트가 식부날(45)에 대해 적절한 위치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엔진(14)으로부터 시비 장치(22), 로터리 케이스(44), 횡방향 이송 기구 및 종방향 이송 기구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기구는, 식부 클러치를 포함하고, 식부 클러치의 접속 여부에 따라, 엔진의 동력이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에 전달되거나 또는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식부 클러치의 절환은, 후술하는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의 조작에 의해 전환된다.
식부부(40)에는, 또한, 중앙의 2조만큼의 논밭면을 정지(整地)하는 좌우의 센터 플로트(42)와, 좌우 2조만큼의 논밭면을 정지하는 좌우의 사이드 플로트(43)가, 각각의 전부측이 후부측을 회동 받침점으로 하여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되도록 식부 프레임(49)측에 지지되고, 식부 전동 케이스(46)의 하방에 배치된다.
식부부(40)에는, 또한, 선긋기 마커(48)가 식부 프레임(49) 하부의 좌우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좌우의 각 선긋기 마커(48)는 그 기단측을 회동 받침점으로 하여 상방을 향해 회동됨으로써 수납되고, 이 수납 상태로부터 하방을 향해 회동됨으로써 선단측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시켜, 논밭에 선긋기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승강 기구(30)는 주행부(10)와 식부부(40) 사이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부 링크(31)와 하부 링크(32)가 주행부(10)와 식부부(40) 사이에 가설되고, 승강 실린더(34)는 하부 링크(32)와 주행부(10)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승강 실린더(34)의 신축 동작에 의해, 식부부(40)가 주행부(1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 즉 승강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대시보드(17) 및 그 주위의 구성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시보드(17)의 상면이 형성하는 면을 대시보드면(17a)이라고 하고, 조향 핸들(18)의 상면이 형성하는 면을 핸들면(18a)이라고 하고, 식부 조작 패널(51)의 상면이 형성하는 면을 식부 조작 패널면(51a)이라고 하고, 표시 패널(50)의 상면이 형성하는 면을 표시 패널면(50a)이라고 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칼럼(8)이 보닛(15)의 후부 부근에 세로로 마련되고, 대시보드(17)가 칼럼(8)의 상부에 펼쳐진다. 그리고, 환상의 조향 핸들(18)이 대시보드(17)의 상방에 배치되어, 대시보드면(17a)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된 핸들축(9)의 돌출 단부에 연결된다.
대시보드면(17a)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이 높고 뒤가 낮게 되도록 후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된다. 대시보드면(17a)의 대략 좌우 중앙이면서 전후 중앙보다 약간 뒤쪽에, 그 축심 방향이 대시보드면(17a)과 직교하도록 핸들축(9)이 배치된다. 또한, 대시보드면(17a)에는 식부 조작 패널(51)과 표시 패널(50)이 배치된다.
조향 핸들(18)은 그 핸들면(18a)이 후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조향 핸들(18)의 중심부에 핸들축(9)의 돌출 단부가 연결되고, 이 핸들축(9)이 핸들면(18a)과 대시보드면(17a)에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에서, 핸들면(18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각(θ1)으로 하고, 대시보드면(17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각(θ2)으로 한 경우, 경사각(θ1)과 경사각(θ2)은 대략 동일한 경사각(θ1=θ2)이 된다. 즉, 핸들면(18a)과 대시보드면(17a)은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시보드(17)에서 핸들축(9)의 전방이면서 대시보드(17)의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에 표시 패널(50)이 배치된다. 표시 패널(50)은 길이 방향이 좌우를 향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화면으로 구성되며, 식부부(40)의 작업 상황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대시보드(17)에서, 핸들축(9)의 후방에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식부 조작 패널(51)이 마련된다. 식부 조작 패널(51)에는, 식부 작업시에 사용하는 식부용 조작 수단이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식부용 조작 수단에는 식부 작업시에 사용 빈도가 높은 조작 수단이 마련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식부 조작 패널(51)에 식부용 조작 수단으로서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 감도 볼륨(55), 버저 정지 스위치(56)가 배치된다. 또한, 식부 조작 패널(51)에는 엔진 키 삽입구(57)가 배치된다. 한편, 식부 조작 패널(51)에 배치되는 식부용 조작 수단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이 높고 뒤가 낮아지도록 후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하는 경사면이 된다. 식부 조작 패널면(51a)은 대시보드면(17a)(핸들면(18a))보다 크게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즉, 식부 조작 패널면(51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각(θ3)이라고 한 경우, 경사각(θ3)은 대시보드면(17a)(핸들면(18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인 경사각(θ2)(θ1)보다 크다(θ3>θ2(θ1)).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50)의 표시 패널면(50a)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앞이 높고 뒤가 낮아지도록 후하방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어,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하는 경사면이 된다. 표시 패널면(50a)은 대시보드면(17a)(핸들면(18a))보다 크게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즉, 표시 패널면(50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각(θ4)이라고 한 경우, 경사각(θ4)은 대시보드면(17a)(핸들면(18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인 경사각(θ2)(θ1)보다 크다(θ4>θ2(θ1)).
표시 패널(50)의 표시 패널면(50a)과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은, 대시보드면(17a)에서 핸들축(9)을 사이에 두고 앞뒤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50)의 표시 패널면(50a)은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과 평행한 경사면이 되어 있다.
즉, 표시 패널면(50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각(θ4)이라고 한 경우, 경사각(θ4)은 식부 조작 패널면(51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인 경사각(θ3)과 같다(θ4=θ3).
한편,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50)의 표시 패널면(50a)은, 상기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보다 크게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해도 된다.
즉, 표시 패널면(50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를 경사각(θ4)이라고 한 경우, 경사각(θ4)은 식부 조작 패널면(51a)의 수평면에 대한 각도인 경사각(θ3)보다 크게(θ4>θ3) 해도 무방하다.
환언하면,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은 표시 패널(50)의 표시 패널면(50a)과 동일한 기울기로, 또는, 표시 패널면(50a)보다 완만하게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한편, 대시보드면(17a)보다 크게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진다.
이와 같이, 식부 조작 패널면(51a)과 표시 패널면(50a)이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대시보드면(17a)과 표시 패널면(50a)과 식부 조작 패널면(51a)은 각각 다른 기울기로 경사진다.
그리고, 운전석(19)에 착석한 작업자가 보아서, 표시 패널면(50a)이 환상의 조향 핸들(18)의 내주측에 위치하고, 식부 조작 패널면(51a)이 조향 핸들(18)의 후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인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는 자동 마커 스위치(61),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를 갖는다. 자동 마커 스위치(61),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는, 각각 인접하는 스위치와 좌우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배치된다.
자동 마커 스위치(61)는 식부 작업시에 적절한 인접 조 간격을 유지하고, 직진이 목표가 되도록 논밭 상면에 선을 긋는 선긋기 마커(48)의 출입(돌출 또는 수납)을, 이앙기(1)의 선회 조작에 수반해 좌우 교대로 자동으로 전환하도록 설정하는 스위치이다.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는, 전술한 시비 장치(22) 및 식부 클러치를 조작하는 스위치이다.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를 한 번 조작하게 되면, 시비 장치(22)의 조별 식부 정지 클러치의 작동이 끊기고, 식부 클러치의 작동이 끊겨,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한 조의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어,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가 정지한다. 이 상태에서,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를 다시 조작하게 되면, 시비 장치(22)의 조별 식부 정지 클러치가 작동해 연결되고, 식부 클러치가 작동해 연결되어, 조작된 스위치에 대응한 조의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에 동력이 전달되어,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가 작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가 다음과 같이 각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구동 또는 정지한다. 즉,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의 조작에 의해, 좌측 2조분의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가 구동 또는 정지한다.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3)의 조작에 의해, 중앙 좌측 2조분의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가 구동 또는 정지한다.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4)의 조작에 의해, 중앙 우측 2조분의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가 구동 또는 정지한다.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5)의 조작에 의해, 우측 2조분의 배출 기구(26)와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와 로터리 케이스(44)가 구동 또는 정지한다.
또한,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는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렇게 하여,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에는,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 대신에, 예를 들면,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조의 수가 10조로 변경된 경우에는, 하나의 자동 마커 스위치(161)와 5개의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162, 163, 164, 165, 166)를 갖는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160)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 자체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덮개(260)를 배치할 수 있다.
감도 볼륨(55)은 논밭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감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플로트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대한 승강 액츄에이터의 승강 구동을, 단단한 경우에는 둔감하게 하고, 부드러운 경우에는 민감하게 되도록 조절한다.
버저 정지 스위치(56)는, 식부 클러치 경보, 묘 연결 경보, 비료 보급 경보, 비료 막힘 경보 등을 위해 주행부(10) 또는 식부부(40)에 설치된 경보 버저가 울렸을 때, 작업자(100)가 인식하면 수동으로 경보 버저의 울림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엔진 키 삽입구(57)는 전원을 온(ON)으로 해, 엔진(14)을 시동시키기 위해 키를 삽입하는 구멍이다. 작업자가 키를 삽입하고, 전원을 온 위치로부터 시동 위치까지 돌리면, 셀 모터가 회전해 엔진(14)이 시동한다.
이와 같이,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 감도 볼륨(55), 버저 정지 스위치(56)로 이루어지는 식부용 조작 수단은 식부 조작 패널면(51a)에 배치되는 한편, 식부용 조작 수단 이외의 조작 수단은 대시보드면(17a)에 배치된다.
조향 핸들(18) 및 식부 조작 패널(51)의 왼쪽에는,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인 주변속 레버(52)가 배치된다. 주변속 레버(52)는, 대시보드면(17a)에 형성된 가이드홈(52a)을 따라 조작되어, 이앙기(1)의 주행 모드를 ‘이동’, ‘저속 전진’, ‘후진’, ‘묘 연결’, ‘중립’의 각 주행 모드로 전환하는 조작 수단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홈(52a)은 전후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홈(52b)과, 좌우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홈(52c)과, 전후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는 홈(52d)에 의해 구성된다. 홈(52c)은 홈(52b)과 접속되고, 홈(52b)의 전후 중앙부에서 우측으로 연장된다. 홈(52d)은 홈(52b)보다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서 홈(52b)과 접속되고, 홈(52b)의 전단부 우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된다.
가이드홈(52a)의 후단부의 영역, 즉 홈(52b)의 후단부의 영역은, 후진 위치(P1)로 설정된다. 주변속 레버(52)가 후진 위치(P1)로 조작되었을 때, 주행 모드가 ‘후진’으로 전환되어, 이앙기(1)가 후진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된다.
가이드홈(52a)의 중앙부 외측부, 즉 홈(52b)의 전단부의 영역은, 저속 전진 위치(P2)로 설정된다. 주변속 레버(52)가 저속 전진 위치(P2)로 조작되었을 때, 주행 모드가 ‘저속 전진’으로 전환되어, 이앙기(1)가 저속으로 전진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된다.
가이드홈(52a)의 저속 전진 위치(P2)와 후진 위치(P1) 사이에서 우측 영역, 즉 홈(52c)의 우단부의 영역은 묘 연결 위치(P3)로 설정된다.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되었을 때, 주행 모드가 ‘묘 연결’로 전환되어, 전방 차륜(12) 및 후방 차륜(13)으로 동력 전달, 및 모종 종방향 이송 벨트(47), 로터리 케이스(44) 및 배출 기구(26)로 동력 전달이 정지된다. 이 주행 모드는, 작업자가 식부 작업시에 운전석(19)을 떠나 묘판 적재대(41)에서 묘 연결을 행하는 경우에 선택된다.
가이드홈(52a)의 후진 위치(P1)와 저속 전진 위치(P2)의 중간부의 영역, 즉 홈(52b)의 대략 전후 중앙부이면서 홈(52c)과의 접속부 부근 중앙부의 영역은, 중립 위치(P4)로 설정된다. 한편, 가이드홈(52a)의 전단부 및 후단부 이외의 영역은 중립 영역이 된다.
가이드홈(52a)의 전단부의 영역, 즉 홈(52d)의 전단부의 영역은, 이동 위치(P5)로 설정된다. 주변속 레버(52)가 이동 위치(P5)로 조작되었을 때, 주행 모드가 ‘이동’으로 전환되어, 이앙기(1)가 전진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주행 모드는, 주로 이앙기(1)를 도로 등에서 주행시키는 경우에 선택된다.
가이드홈(52a)에서, 묘 연결 위치(P3)의 홈(52c)의 가장자리에는, 변속 조작 위치 검출 수단이 되는 마이크로 스위치(85)가 배치된다. 마이크로 스위치(85)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되었을 때, 주변속 레버(52)와 접촉해 온(ON)·오프(OFF)가 전환된다.
또한, 가이드홈(52a)에서, 중립 위치(P4)의 홈(52b)의 가장자리에는, 변속 조작 위치 검출 수단이 되는 중립 위치 센서 스위치(86)가 배치된다. 중립 위치 센서 스위치(86)는,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로 조작되었을 때, 주변속 레버(52)의 위치를 감지해 온·오프가 전환된다.
또한, 조향 핸들(18)의 핸들축(9)에는,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도 고정 레버(53)가 마련된다. 속도 고정 레버(53)는 변속 페달(78)의 조작에 의해 주행부(10)가 원하는 주행 속도에 이르렀을 때 조작되어, 주행부(10)가 그 주행 속도를 유지하면서 주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다.
또한, 조향 핸들(18)의 우측에는 유압 식부 레버(54)가 마련된다. 유압 식부 레버(54)는 식부부(40)의 승강, 식부의 온·오프, 식부시의 변속 조작을 행하는 조작 수단이다.
한편, 대시보드면(17a)에 배치되는 것은 전술한 조작 수단으로 한정되지 않고, 조작 수단의 배치 역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배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밖에 대시보드면(17a)에 배치되는 조작 수단은, 예를 들면, 속도 선택 스위치(71), 콤비네이션 스위치(72), 유압 정지 스위치(73), 식부부 경사 설정기(74), 논밭 조건 스위치(75), 시소 스위치(76), 선택 스위치(77)가 있다.
속도 선택 스위치(71)는 이앙기(1)의 속도를 ‘저속’, ‘중속’, ‘표준’의 각 속도 모드로 전환하는 조작 수단이다. 속도 선택 스위치(71)는 표시 패널(50)과 식부 조작 패널(51)의 사이이면서 핸들축(9)의 좌측에서, 표시 패널(50)쪽에 배치된다.
콤비네이션 스위치(72)는 경음기 버튼, 점멸기 스위치, 라이트 스위치를 갖는 조작 수단이다. 콤비네이션 스위치(72)는 표시 패널(50)과 식부 조작 패널(51) 사이이면서 핸들축(9)의 좌측에서, 식부 조작 패널(51)쪽에 배치된다.
콤비네이션 스위치(72)에서 중앙부의 경음기 버튼을 누르면 경보(horn)가 울린다. 경음기 버튼의 하방에 위치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점멸기 스위치를 좌우로 회전시키면, 회전시킨 측의 프래셔 램프(방향 지시기)가 점멸한다. 프래셔 램프의 점멸에 의해, 이앙기(1)의 선회 방향을 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경음기 버튼의 왼쪽에 위치하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라이트 스위치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전조등이 점등한다.
유압 정지 스위치(73)는 식부부(40)의 상승·하강용의 유압을 정지시켜 식부부(40)를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조작 수단이다. 유압 정지 스위치(73)는 표시 패널(50)과 식부 조작 패널(51) 사이이면서 핸들축(9)의 우측에서, 식부 조작 패널(51)쪽에 배치된다.
식부부 경사 설정기(74)는 유압의 제어에 의해 식부부(40)를 좌우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다. 식부부 경사 설정기(74)는 표시 패널(50)과 식부 조작 패널(51) 사이이면서 핸들축(9)의 우측에서, 표시 패널(50)쪽에 배치된다.
논밭 조건 스위치(75)는 ‘심수(深水)’, ‘표준’, ‘침지’의 각 논밭 상태에 따라 식부 깊이를 설정하는 조작 수단이다. 논밭 조건 스위치(75)는 표시 패널(50)의 우측이면서 유압 식부 레버(54)의 전방에 배치된다.
시소 스위치(76)는 모터의 제어에 의해 식부부(40)를 전후 수평으로 유지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다. 시소 스위치(76)는 표시 패널(50)의 우측이면서 유압 식부 레버(54)의 전방에서 논밭 조건 스위치(75)와 나란히 배치된다.
선택 스위치(77)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되었을 때, 블로어(27)로부터의 송풍을 정지 상태로 할 것인지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 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이다. 선택 스위치(77)는 표시 패널(50)의 우측이면서 논밭 조건 스위치(75) 및 시소 스위치(76)의 전방에 배치된다. 단, 배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식부 조작 패널면(51a)에 배치되는 식부용 조작 수단, 즉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나 감도 볼륨(55) 등이 대시보드면(17a)에 배치되는 다른 조작 수단, 즉 주변속 레버(52)나 유압 식부 레버(54)와 비교해, 상이한 각도로 대시보드면(17a)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배치되게 된다.
그 결과, 식부 조작 패널면(51a)에 배치되는 식부용 조작 수단이 다른 조작 수단과 명확하게 구별되게 되어, 운전석(19)에 착석한 작업자가 대시보드(17)의 대시보드면(17a)을 보았을 때, 조작계별로 필요한 조작 수단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는, 운전석(19)과, 운전석(19)의 전방에 배치되고 조향 핸들(18)을 마련하는 대시보드(17)를 주행부(10)에 구비하고, 주행부(10)에 식부부(40)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한 이앙기(1)에서, 상기 조향 핸들(18)을 상기 대시보드(17)의 상면, 즉 대시보드면(17a)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핸들축(9)에 의해 지지함과 함께, 식부 작업시에 사용하는 식부용 조작 수단, 즉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나 감도 볼륨(55) 등을 배치하는 식부 조작 패널(51)을 상기 대시보드(17)의 대시보드면(17a)에 마련하고,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을 상기 핸들축(9)의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면, 즉 조향 핸들면(18a)보다 크게 상기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식부 조작 패널면(51a)이 대시보드면(17a)으로부터 소정 각도 운전석(19)측으로 기립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운전석(19)에 착석한 작업자(100)가 대시보드면(17a)을 보았을 때, 태양광 등이 식부 조작 패널면(51a)에 반사되어 작업자(100)의 눈에 들어오는 일도 없어져, 식부 조작 패널면(51a)이 보기 쉬워지고 식부용 조작 수단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을 쉽게 눈으로 확인해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식부 조작 패널(51)을 다른 조작 수단과 쉽게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 방향이 운전석(19)에 착석한 작업자(100)가 조작하기 쉬운 방향이 되어, 작업자(100)가 운전석(19)에 착석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손이나 손가락을 굽히지 않고 쉽게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는 상기 식부 조작 패널(51)을 상기 조향 핸들(18)의 핸들축(9)보다 상기 운전석(19)측에 배치한 것이다. 즉, 식부 조작 패널(51)은 운전석(19)에 착석한 작업자(100)에게 핸들축(9)보다 가까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운전석(19)에 착석한 작업자(100)가 조향 핸들(18) 및 핸들축(9)에 가로막히지 않고 식부용 조작 수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의 시인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운전석(19)에 착석한 작업자(100)가 조향 핸들(18)을 조작하면서 자세를 거의 바꾸지 않고 식부용 조작 수단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는, 상기 식부부(40)에서의 작업 상황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50)을 상기 대시보드(17)의 대시보드면(17a)에 마련하고, 표시 패널(50)의 표시 패널면(50a)을 상기 운전석(19)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하고, 상기 식부 조작 패널(51)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을 상기 표시 패널(50)의 표시 패널면(50a)과 동일한 기울기 또는 표시 패널면(50a)보다 작은 기울기로 경사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운전석(19)에 착석한 작업자(100)가 표시 패널면(50a)을 보고 식부부(40)의 작업 상황을 파악하면서, 식부 조작 패널면(51a)에 위치하는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을 행할 때, 표시 패널면(50a)과 식부용 조작 수단이 동시에 보기 쉬워진다. 따라서, 식부용 조작 수단의 조작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에서 상기 식부 조작 패널의 식부 조작 패널면(51a)에 배치되는 식부용 조작 수단은,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 즉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를 식부부(40)나 운전석(19) 측면에 마련하는 구성에 비해,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를 쉽게 인식할 수 있어 조작하기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에서 상기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는, 상기 식부 조작 패널(51)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를 식부 조작 패널(51)로부터 분리하고,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60) 대신에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160) 등의 다른 사양의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이나 덮개(260) 등의 다른 부재를 식부 조작 패널(51)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식부 조작 패널(51) 부분의 사양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사양 변경에 드는 비용을 삭감할 수도 있다.
또한, 대시보드(17)나 식부 조작 패널(51)상에 있는 각 조작 수단은 종래의 기계식 구조로부터 전기적 스위치류를 많이 채용한 것이 되어, 공간 절약형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한편, 대시보드(17)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핸들축(9)의 후방에는, 식부 조작 패널(51)이 대시보드면(17a)에 대해 운전석(19)측을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고, 식부 조작 패널(51)에는 조별 식부 정지 스위치(62, 63, 64, 65), 엔진 키 삽입구(57), 식부 속도를 설정하는 식부 설정 다이얼(58), 감도 볼륨(55), 및 버저 정지 스위치(56)가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배치된다.
또한, 핸들축(9)의 전방에는 표시 패널(50)이 마련되고, 표시 패널(50)의 우측에는 상기 보닛(15)을 개폐하기 위한 보닛 해제 스위치(59)가 마련되고, 보닛 해제 스위치(59)의 후방에는 논밭 조건 스위치(75) 및 유압 식부 레버(54)가 앞에서부터 차례로 배치된다. 그리고, 표시 패널(50)의 좌측에는 컵 등을 두기 위한 오목부(17b)가 마련되고, 오목부(17b)의 후방에는 주변속 레버(52)의 가이드홈(52a)이 마련된다.
또한, 핸들축(9)의 근방에서, 핸들축(9)의 우측에는 묘판 적재대(41)를 스트로크단에 이동시키기 위한 자동 묘판 이동 스위치(91)가 배치되고, 자동 묘판 이동 스위치(91)의 전방에는 식부부 경사 설정기(74)가 배치되고, 식부부 경사 설정기(74)의 왼쪽에는 식부 깊이 자동 조절 여부를 설정하는 식부 깊이 자동 조절 다이얼(92)이 배치된다. 또한, 핸들축(9)의 왼쪽에는 콤비네이션 스위치(72)가 배치되고, 콤비네이션 스위치(72)의 전방에는 이앙기(1) 선회시의 동작의 설정(예를 들면, 좌우의 선긋기 마커(48)가 자동으로 작동하는 설정이나, 논밭 가장자리에서의 모종의 식부 위치를 소정 위치로 자동 조절하는 설정)을 행하는 스위치(93) 및 다이얼(94)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50)은 좌표시부(50b)와 우표시부(50c)와 중앙 표시부(50d)를 구비한다.
좌표시부(50b)에는 담수 직파기에 의한 작업중에 벼가 없어지면 점등하는 결립 경보, 블로어 정지시에 점등하는 시비기 블로어 정지 표시, 및 경고 표시가 위에서부터 차례로 마련된다. 좌표시부(50b)는 적색의 고휘도 LED로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우표시부(50c)에는 묘판 적재대(41)의 모종 매트가 적어지면 점등하는 묘 연결 경보, 시비 장치(22)의 비료가 적어지면 점등하는 비료 보급 경보, 및 시비 장치(22)가 막히면 점등하는 비료 막힘 경보가 위에서부터 차례로 마련된다. 우표시부(50c)는 적색의 고휘도 LED로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중앙 표시부(50d)에는, 좌측의 선긋기 마커(48)가 작동하면 점등하는 좌측 선긋기 마커 표시, 이앙기(1) 선회시에 식부부(40)가 자동으로 승강하도록 설정되면 점등하는 식부부 자동 승강 표시, 시비 장치(22) 등에 동력이 전달되고 있으면 점등하는 PTO 구동 표시, 및 우측의 선긋기 마커(48)가 작동하면 점등하는 좌측 선긋기 마커 표시가 왼쪽에서부터 차례로 마련된다. 중앙 표시부(50d)는 녹색의 고휘도 LED로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시비 장치(22)의 송풍 수단인 블로어(27)의 작동 및 정지를 담당하는 블로어 제어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식부와 동시에 시비를 행하기 위한 시비 장치를 구비하는 이앙기는 공지이다. 시비 장치는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와,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고 비료를 소정량씩 배출하는 배출 수단과, 비료를 시비 위치까지 풍력에 의해 반송하는 송풍 수단을 구비한다.
송풍 수단인 블로어는 모터에 의해 작동되며, 엔진을 시동하면 작동되도록 되어 있고, 식부 작업시에 호퍼로부터 배출 수단에 의해 배출된 비료를 시비 위치까지 풍력에 의해 반송하는 수단이다. 송풍 수단은, 예를 들면, 묘 연결시에는 식부를 실시하지 않기 때문에, 비료를 시비 위치까지 반송할 필요가 없어 블로어를 작동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인 주변속 레버를 묘 연결 위치로 조작한 경우에는, 블로어의 작동을 정지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8-70663호 공보 참조).
그러나, 묘 연결 작업은 논밭의 크기(왕복의 거리)나 조별 식부를 정지한 경우나 여러 사람이 묘 연결 작업을 행하는 경우 등의 상황에 따라서는,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나 단시간에 종료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와 같이 주변속 레버를 묘 연결 위치로 하고 블로어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구성의 경우, 묘 연결 작업이 단시간에 종료하여 신속하게 식부 작업을 재개하는 경우에는, 블로어의 회전수가 본래의 회전수로 돌아오는데 시간이 걸려 블로어의 풍량이 부족해 소정량의 비료가 반송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한편, 논밭 가장자리에서 묘 연결 작업과, 보조 묘판 적재대에 모종 매트를 보급하는 작업과, 시비 장치의 호퍼에 비료를 보급하는 작업 등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블로어를 정지시키는 편이 배터리의 전력 소비가 적고 소음도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식부 작업의 중단도 마찬가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나 짧은 경우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송풍 수단을 묘 연결 작업이나 식부 작업 중단 등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작동 상태로 하면서, 송풍 수단의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이앙기를 제공한다.
즉, 주행부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한 이앙기에 있어서, 묘 연결 위치를 포함하는 복수 단의 변속 조작 위치로 조작 가능한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과, 상기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이 묘 연결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변속 조작 위치 검출 수단과,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고 비료를 소정량씩 배출하는 배출 수단, 및 배출된 비료를 시비 위치까지 반송하는 송풍 수단을 갖는 시비 장치와, 상기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이 묘 연결 위치로 조작되고 있을 때의 상기 송풍 수단의 작동 상태를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 중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 조작 수단과, 이앙기가 주행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주행 상태 검출 수단과, 상기 송풍 수단의 작동을 제어해, 상기 변속 조작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상기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이 묘 연결 위치 혹은 중립 위치로 조작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또는 주행 상태 검출 수단에 의해 주행 정지 상태인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상기 송풍 수단을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기초하여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 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묘 연결 작업시에서 시비 장치의 송풍 수단의 작동 상태로서,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묘 연결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에 따라 작업자가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을 선택할 수 있고, 정지 상태를 선택한 경우에는 송풍 수단의 전력 절약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를 선택한 경우에는, 비료의 배출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송풍 수단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면서 묘 연결 작업 후에 식부 작업으로 복귀함에 따라 시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다. 즉, 송풍 수단을 묘 연결 작업시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작동 상태로 하면서, 송풍 수단의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이 묘 연결 위치로 조작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선택 조작 수단에 의해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가 선택되고 있는 경우, 상기 타이머 수단의 계측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이 묘 연결 위치로 조작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시간 이상 경과했을 때, 상기 송풍 수단을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묘 연결 작업이 제1 설정 시간 내에 끝나면, 신속하게 식부 작업을 재개시킬 수 있고, 제1 설정 시간 내에 끝나지 않을 때에는, 송풍 수단을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 수단을 불필요하게 작동시키는 일이 없어져,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1 설정 시간은 타이머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 속도나 작업량 등에 따라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부부의 위치를 검지하는 승강 위치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승강 위치 검지 수단에 의해 검출한 식부부의 위치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했을 때에는 상기 송풍 수단을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묘 연결 작업 이외의 작업을 행하기 위해 식부부를 상승시켜 식부·시비 작업을 중단했을 때나 논밭 가장자리에서 선회하는 경우 등에는 송풍 수단의 풍량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송풍 수단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면서 해당 작업 후에 시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이 묘 연결 위치로 조작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는 타이머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타이머 수단의 계측 결과에 기초해, 상기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이 묘 연결 위치로 조작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2 설정 시간을 경과할 때까지는 상기 송풍 수단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상기 제2 설정 시간 이상 경과했을 때에는 상기 송풍 수단을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한 선택에 기초해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행 변속용 조작 수단을 묘 연결 위치로 조작하여 시비 작업을 중단할 때, 시비 장치의 배출 수단을 정지시켜도 송풍 수단을 제2 설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배출 수단으로부터 시비 위치까지의 반송관 내에 남는 비료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한 비료에 의해 반송관이 막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8을 이용해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앙기(1)는 블로어(27)나 엔진(14) 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80)를 구비한다. 단, 엔진(14) 등의 전기 부품과의 접속은 생략하였다. 제어 장치(80)의 출력측에는 블로어(27)의 모터가 접속된다. 한편, 제어 장치(80)의 입력측에는 선택 스위치(77)와, 타이머 수단인 타이머(81)와, 승강 위치 검지 수단인 승강 위치 검지 센서(82)와, 마이크로 스위치(85)와, 중립 위치 센서 스위치(86)와, 주행 상태 검출 수단인 주행 속도 센서(87)가 접속된다.
타이머(81)는 블로어(27)가 저풍량에서의 작업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시간(t)을 계측하여,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 이상이 된 경우, 즉 블로어(27)가 저풍량에서의 작업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제1 설정 시간(T1)이 경과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80)에 대해 신호를 송신한다. 타이머(81)에는 제1 설정 시간(T1)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81a)가 접속된다.
또한, 승강 위치 검지 수단인 승강 위치 검지 센서(82)는 상부 링크(31) 또는 하부 링크(32)의 회동부에 장착되고, 예를 들면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등의 센서로 구성된다.
또한, 주행 상태 검출 수단인 주행 속도 센서(87)는 미션 케이스(5)에 장착된다. 주행 속도 센서(87)는 이앙기(1)의 주행 속도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27)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0을 이용해 설명한다.
우선,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10). 여기에서,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마이크로 스위치(85)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 것으로부터,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80)는 마이크로 스위치(85)가 오프일 때,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없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다시 스텝 S10의 판단을 행한다.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20).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시킨다(스텝 S30).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35).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35를 행한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없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작동시키고(스텝 S36), 다시 스텝 S10를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변속 레버(52)를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했을 때,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고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20에서,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선택 스위치(77)에서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81)에 의해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 시간(t)의 계측을 개시하고(스텝 S40), 블로어(27)의 모터의 회전수를 저회전으로 하여 블로어(27)의 풍량을 저풍량으로 한다(스텝 S45).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50).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없는 경우에는, 묘 연결 작업으로부터 식부 작업으로 복귀했다고 판단해,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되돌리고(스텝 S55), 다시 스텝 S10의 판단을 행한다.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 경우에는,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 이상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고(스텝 S60),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보다 짧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50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스텝 S60에서,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타이머(81)를 리셋하고(스텝 S70),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 상태로 이행시킨다(스텝 S80).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85).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85를 행한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없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작동시키고(스텝 S86), 다시 스텝 S10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변속 레버(52)를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했을 때, 제1 설정 시간(T1)의 사이, 블로어(27)의 모터의 회전수를 저회전으로 설정하여 블로어(27)를 저풍량으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1 설정 시간(T1)의 사이에 주변속 레버(52)를 묘 연결 위치(P3) 이외의 위치로 조작했을 때에는, 제어 장치(80)는 작업으로 복귀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블로어(27)의 풍량을 통상으로 되돌려 작동시킨다. 또한, 제1 설정 시간(T1)을 경과해도 주변속 레버(52)를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한 상태로 유지했을 때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에 따라, 비료의 배출을 정지시킨 상태로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면서 연결 작업 후에 식부 작업으로 복귀함에 따라 시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다. 즉, 블로어(27)를 묘 연결 작업시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작동 상태로 하면서,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묘 연결 등의 작업이 종료하여 주변속 레버(52)를 묘 연결 위치(P3)로부터 저속 전진 위치(P2)나 이동 위치(P5)로 조작한 경우에는, 마이크로 스위치(85)가 오프가 되고 블로어(27)가 다시 작동된다.
제어 장치(80)는 승강 위치 검지 센서(82)에 의해 검지된 식부부(40)의 위치(높이)가 소정의 위치보다 상방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 식부부(40)의 위치가 소정의 위치보다 상방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현재 식부 작업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블로어(27)를 저회전에서의 작업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묘 연결 작업 이외의 작업을 행하기 위해 식부부(40)를 상승시켜 시비 작업을 중단했을 때,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면서 해당 작업 후에 시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된 경우에는, 이 조작으로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할 때까지,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묘 연결 작업시의 블로어(27)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1 및 도 12를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타이머(81)는 블로어(27)가 저풍량에서의 작업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시간(t2)을 계측하여, 시간(t2)이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이 된 경우, 즉 블로어(27)가 저풍량에서의 작업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한 경우에 제어 장치(80)에 대해 신호를 송신한다. 타이머(81)에는, 제2 설정 시간(t2)의 설정 시간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81a)가 접속된다.
스텝 S10에서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된 경우에는,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 시간(t2)의 계측을 개시하고(스텝 S110), 시간(t2)이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120). 스텝 S120에서, 시간(t2)이 제2 설정 시간(t2)보다 짧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시 스텝 S120의 판단을 행한다. 스텝 S120에서, 시간(t2)이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이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0을 처리하고, 스텝 S20 이후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한다.
제2 설정 시간(t2)은 제1 설정 시간(T1)에 비해 미소한 시간이며, 이 제2 설정 시간(t2)은 비료가 배출 기구(26)로부터 배출되어 블로어(27)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에 의해 시비 위치까지 반송되는 시간으로서, 반송 호스(28)가 길수록 길어진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은 비료가 배출되고 나서 시비 위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며, 이 제2 설정 시간(t2)을 경과하면 반송 호스(28) 내에 비료가 잔류하지 않아, 비료의 고화(固化)에 의한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시비 작업을 중단할 때, 시비 장치(22)의 반송 호스(28) 내에 잔류한 시비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로 조작된 경우에는,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로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판별에 의한 블로어(27)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3을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210). 여기에서,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중립 위치 센서 스위치(86)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되는 것으로부터,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80)는 중립 위치 센서 스위치(86)가 오프일 때,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없다고 판단한다.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없다고 판단했을 때에는, 다시 스텝 S210의 판단을 행한다.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20).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시킨다(스텝 S30).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235).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235를 행한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없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작동시키고(스텝 S36), 다시 스텝 S210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변속 레버(52)를 중립 위치(P4)로 조작했을 때,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고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20에서,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즉, 선택 스위치(77)에서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81)에 의해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 시간(t)의 계측을 개시하고(스텝 S40), 블로어(27)의 모터의 회전수를 저회전으로 하여 블로어(27)의 풍량을 저풍량으로 한다(스텝 S45).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250).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없는 경우에는, 묘 연결 작업으로부터 식부 작업으로 복귀했다고 판단하여,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되돌리고(스텝 S55), 다시 스텝 S210의 판단을 행한다.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 경우에는,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 이상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고(스텝 S60),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보다 짧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250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스텝 S60에서,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타이머(81)를 리셋하고(스텝 S70),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 상태로 이행시킨다(스텝 S80).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285).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285를 행한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없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작동시키고(스텝 S86), 다시 스텝 S210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변속 레버(52)를 중립 위치(P4)로 조작했을 때, 제1 설정 시간(T1)의 사이, 블로어(27)의 모터의 회전수를 저회전으로 설정하여 블로어(27)를 저풍량으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1 설정 시간(T1)의 사이에 주변속 레버(52)를 중립 위치(P4) 이외의 위치로 조작했을 때에는, 제어 장치(80)는 작업으로 복귀한 것이라고 판단하고, 블로어(27)의 풍량을 통상으로 되돌려 작동시킨다. 또한, 제1 설정 시간(T1)을 경과해도 주변속 레버(52)를 중립 위치(P4)로 조작한 상태로 유지했을 때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에 따라, 비료의 배출을 정지시킨 상태로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면서 주행 정지 후에 식부 작업으로 복귀함에 따라 시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다. 즉, 블로어(27)를 주행 정지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작동 상태로 하면서,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속 레버(52)를 중립 위치(P4)로부터 저속 전진 위치(P2)나 이동 위치(P5)로 조작한 경우에는, 중립 위치 센서 스위치(86)는 오프가 되어 블로어(27)가 다시 작동된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로 조작된 경우에는, 이 조작으로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할 때까지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로 조작되었는지 여부의 판별에 의한 블로어(27)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4 및 도 15를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타이머(81)는 블로어(27)가 저풍량에서의 작업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시간(t2)을 계측하고, 시간(t2)이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이 되었을 경우, 즉 블로어(27)가 저풍량에서의 작업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80)에 대해 신호를 송신한다. 타이머(81)에는 제2 설정 시간(t2)의 설정 시간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81a)가 접속된다.
스텝 S210에서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로 조작된 경우에는, 주변속 레버(52)가 중립 위치(P4)에 있는 시간(t2)의 계측을 개시하고(스텝 S310), 시간(t2)이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320). 스텝 S320에서, 시간(t2)은 제2 설정 시간(t2)보다 짧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시 스텝 S320의 판단을 행한다. 스텝 S320에서, 시간(t2)은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이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0를 처리하고, 스텝 S20 이후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한다.
제2 설정 시간(t2)은 제1 설정 시간(T1)에 비해 미소한 시간이며, 이 제2 설정 시간(t2)은 비료가 배출 기구(26)로부터 배출되어 블로어(27)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에 의해 시비 위치까지 반송되는 시간으로서, 반송 호스(28)가 길수록 길어진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은 비료가 배출되고 나서 시비 위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며, 이 제2 설정 시간(t2)을 경과하면 반송 호스(28) 내에 비료가 잔류하지 않아, 비료의 고화에 의한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시비 작업을 중단할 때, 시비 장치(22)의 반송 호스(28) 내에 잔류한 시비를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주행 속도 센서(87)에 의해 주행 정지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주행 정지 상태인지 여부의 판별에 의한 블로어(27)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6을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제어 장치(80)는 주행 속도 센서(87)에 의해 검출하는 속도에 기초해 주행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410). 여기에서, 주행 속도 센서(87)에 의해 검출된 속도가 0인 경우를 주행 정지 상태라고 정의하고, 그 이외의 상태를 주행 상태라고 정의한다.
제어 장치(80)는 주행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시 스텝 S410의 판단을 행한다.
주행 정지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20).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시킨다(스텝 S30).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행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435). 주행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435를 행한다. 또한,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작동시키고(스텝 S36), 다시 스텝 S410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행 정지 상태일 때,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시킨다. 이에 따라,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고 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스텝 S20에서, 선택 스위치(77)에서 정지 상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즉, 선택 스위치(77)에서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가 선택되고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81)에 의해 주행 정지 상태인 시간(t)의 계측을 개시하고(스텝 S40), 블로어(27)의 모터의 회전수를 저회전으로 하여 블로어(27)의 풍량을 저풍량으로 한다(스텝 S45).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행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450).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식부 작업으로 복귀했다고 판단하여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되돌리고(스텝 S55), 다시 스텝 S410의 판단을 행한다. 주행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 이상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하고(스텝 S60),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보다 짧은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450의 판단을 행한다.
또한, 스텝 S60에서, 시간(t)이 제1 설정 시간(T1) 이상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타이머(81)를 리셋하고(스텝 S70),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 상태로 이행시킨다(스텝 S80).
다음으로, 제어 장치(80)는 주행 정지 상태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485). 주행 정지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다시 스텝 S485를 행한다. 또한, 주행 상태인 경우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작동시키고(스텝 S86), 다시 스텝 S410을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행 정지 상태일 때, 제1 설정 시간(T1) 동안 블로어(27)의 모터의 회전수를 저회전으로 설정해 블로어(27)를 저풍량으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제1 설정 시간(T1) 중에 주행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제어 장치(80)는 작업으로 복귀한 것이라고 판단하여, 블로어(27)의 풍량을 통상으로 되돌려 작동시킨다. 또한, 제1 설정 시간(T1)을 경과해도 주행 정지 상태를 유지했을 때에는, 제어 장치(80)는 블로어(27)를 정지 상태로 이행시킨다.
이에 따라, 비료의 배출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면서 주행 정지 후에 식부 작업으로 복귀함에 따라 시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다. 즉, 블로어(27)를 주행 정지시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작동 상태로 하면서,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 상태가 된 경우에는, 블로어(27)가 다시 작동된다.
또한, 주행 정지 상태가 된 경우에는, 이 시점으로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할 때까지, 블로어(27)를 통상의 풍량으로 할 수도 있다.
이하, 주행 상태인지 여부의 판별에 의한 블로어(27)의 제어 방법에 대해 도 17 및 도 18을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에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타이머(81)는 블로어(27)가 저풍량에서의 작업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시간(t2)을 계측하여, 시간(t2)이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이 된 경우, 즉 블로어(27)가 저풍량에서의 작업 상태가 된 시점으로부터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했을 경우에는 제어 장치(80)에 대해 신호를 송신한다. 타이머(81)에는, 제2 설정 시간(t2)의 설정 시간을 미리 설정하기 위한 설정기(81a)가 접속된다.
스텝 S410에서 주행 정지 상태가 된 경우에는, 주행 정지 상태인 시간(t2)의 계측을 개시하고(스텝 S510), 시간(t2)이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인지 여부에 대해 판단한다(스텝 S520). 스텝 S520에서, 시간(t2)은 제2 설정 시간(t2)보다 짧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다시 스텝 S520의 판단을 행한다. 스텝 S520에 있어서, 시간(t2)은 제2 설정 시간(t2) 이상이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 S20을 처리하고, 스텝 S20 이후는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제어를 행한다.
제2 설정 시간(t2)은 제1 설정 시간(T1)에 비해 미소한 시간이며, 이 제2 설정 시간(t2)은 비료가 배출 기구(26)로부터 배출되어 블로어(27)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에 의해 시비 위치까지 반송되는 시간으로서, 반송 호스(28)가 길수록 길어진다. 즉, 제2 설정 시간(t2)은 비료가 배출되고 나서 시비 위치까지 도달하는 시간이며, 이 제2 설정 시간(t2)을 경과하면 반송 호스(28) 내에 비료가 잔류하지 않다, 비료의 고화에 의한 막힘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시비 작업을 중단할 때, 시비 장치(22)의 반송 호스(28) 내에 잔류한 시비를 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주행부(10)에 식부부(40)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한 이앙기(1)에 있어서, 묘 연결 위치(P3)를 포함한 복수 단의 변속 조작 위치로 조작 가능한 주변속 레버(52)와,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85)와, 비료를 수용하는 호퍼(25), 호퍼(25)의 하부에 배치되고 비료를 소정량씩 배출하는 배출 기구(26), 및 배출된 비료를 시비 위치까지 반송하는 블로어(27)를 갖는 시비 장치(22)와,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되어 있을 때의 블로어(27)의 작동 상태를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 중 하나로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77)와, 이앙기(1)가 주행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주행 속도 센서(87)와, 블로어(27)의 작동을 제어해, 마이크로 스위치(85)에 의해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 혹은 중립 위치(P4)로 조작된 것이 검출되었을 때 또는 주행 속도 센서(87)에 의해 주행 정지 상태인 것이 검출되었을 때에는, 블로어(27)를 선택 스위치(77)에 의한 선택에 기초해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 하는 제어 장치(8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묘 연결 작업시, 시비 장치(22)의 블로어(27)의 작동 상태로서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를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지 상태를 선택했을 경우,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를 선택했을 경우, 비료의 배출을 정지시킨 상태로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면서 묘 연결 작업 후에 식부 작업으로 복귀함에 따라 시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다. 즉, 블로어(27)를 묘 연결 작업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작동 상태로 하면서,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t)을 계측하는 타이머(81)를 구비하여, 제어 장치(80)는 선택 스위치(77)에 의해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 타이머(81)의 계측 결과인 경과 시간(t)과 제1 설정 시간(T1)을 비교해,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시간(T1) 이상 경과했을 때, 블로어(27)를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묘 연결 작업이 소정 시간 내에 끝나지 않을 때, 블로어(27)를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부터 정지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어(27)를 불필요하게 작동시키지 않게 되어 전력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식부부(40)의 위치를 검지하는 승강 위치 검지 센서(83)를 구비하여, 제어 장치(80)는 승강 위치 검지 센서(83)에 의해 검출한 식부부(40)의 위치가 설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것이 검지되면, 블로어(27)를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묘 연결 작업 이외의 작업을 행하기 위해 식부부(40)를 상승시켜 시비 작업을 중단했을 때, 블로어(27)의 전력 절약을 도모하면서 당해 작업 후에 시비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시킬 수 있다.
또한,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t2)을 계측하는 타이머(81)를 구비하여, 제어 장치(80)는 타이머(81)의 계측 결과인 경과 시간(t2)과 제2 설정 시간(t2)을 비교해, 주변속 레버(52)가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된 시점으로부터 제2 설정 시간(t2)을 경과할 때까지는 블로어(27)의 작동 상태를 변경하지 않고, 제2 설정 시간(t2) 이상 경과했을 때에는 블로어(27)를 선택 스위치(77)에 의한 선택에 기초해 정지 상태 또는 저풍량에서의 작동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의 제2 설정 시간(t2)은 제1 설정 시간(T1)보다 짧게 설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주변속 레버(52)를 묘 연결 위치(P3)로 조작해 시비 장치(22)의 배출 기구(26)를 정지시켜도, 블로어(27)를 바로 정지시키지 않고 제2 설정 시간(t2)이 경과할 때까지는 작동이 가능해져, 배출 기구(26)로부터 시비 위치까지의 반송 호스(28) 내에 남는 비료를 확실히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한 비료에 의해 반송 호스(28)에 막힘이 생길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주행부(10)의 차체 프레임(11)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 승강 기구에 의해 식부부를 승강시켜, 식부부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는 기술은 공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앙기에서는, 승강 기구에 의해 식부부를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켜, 그 높이로 유지한 상태에서 험한 길을 주행한 경우, 식부부에는 차륜으로부터 진동이 직접 전해진다. 이 진동은 식부부를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식부부로부터의 충격이 된다. 그리고, 식부부로부터의 충격은 급격한 힘으로서 승강 기구의 유압 실린더에 가해진다. 따라서, 승강 기구의 유압 실린더에 완충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그 충격(힘)을 흡수하는 이앙기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완충 스프링을 구비하는 이앙기에서는, 완충 스프링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고, 또한, 식부부가 커지는 만큼 배치하는 완충 스프링도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에 접속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에 의해 이 충격(힘)을 흡수하는 이앙기의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79203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3885162호 공보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이앙기에 있어서는, 어큐뮬레이터가 배관을 개재하여 유압 실린더와 접속되기 때문에, 상기 충격(힘)을 어큐뮬레이터가 흡수하기까지 시간차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가 배관을 개재하여 유압 실린더에 접속되기 때문에, 배관에서 작동유의 송유 저항을 받게 되어, 상기 충격(힘)을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식부부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한 상태에서 식부부로부터 상기 유압 실린더에 충격으로서 급격한 힘이 가해진 경우라도, 그 힘을 순식간에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이앙기를 제공한다.
즉, 주행 기체의 후부에 승강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부부와, 상기 승강 링크 기구에 연결해 상기 식부부를 승강하는 유압 실린더와, 상기 식부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상기 유압 실린더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는 어큐뮬레이터를 구비하는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유압 실린더의 상승측의 유실에 연통해 유압 실린더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압 실린더와 어큐뮬레이터의 거리가 짧아져 응답성이 향상되어, 식부부를 소정 높이로 유지했을 때, 식부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유압 실린더에 가해지는 힘을 순식간에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힘에 의한 유압 실린더의 기름 누설이나 손상 등의 발생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압 실린더와 어큐뮬레이터 사이에 배관이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배관을 간략화할 수 있어, 조립이나 유지 보수 등도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실린더 튜브의 피스톤 로드측(피스톤 로드가 나와 있는 쪽)에서 상기 실린더 튜브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캡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압 실린더에서 어큐뮬레이터의 설치, 및 어큐뮬레이터의 설치부의 가공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는 유압 실린더의 캡부와 함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유압 실린더에서 어큐뮬레이터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압 실린더의 신축시에, 어큐뮬레이터가 차체 프레임이나 그 밖의 주변 장치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어큐뮬레이터는 상기 유압 실린더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유압 실린더와 상기 유압 실린더의 신축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연결하는 송유 경로의 상기 유압 실린더측을 상기 접속부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압 실린더에 어큐뮬레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7을 이용해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11)은 주행부(10)의 주된 구조체이며, 전부 프레임(120)과, 후부 프레임(130)과, 파이프 프레임(140)과, 프레임을 겸하는 미션 케이스(5)와, 리어 액슬 케이스(7)와, 연결 프레임(141) 등으로 구성된다.
전부 프레임(120)은,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는 우측 프레임(121) 및 좌측 프레임(122)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측 베이스 프레임(123) 및 후측 베이스 프레임(124) 등을 구비한다.
전부 프레임(120)은, 우측 프레임(121)과 좌측 프레임(122) 사이에 전측 베이스 프레임(123) 및 후측 베이스 프레임(124)이 가설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부 프레임(120)에는, 전측 베이스 프레임(123) 및 후측 베이스 프레임(124) 상에 고정 브래킷(125·125·125·125)을 통해 엔진(14)이 고정된다. 또한, 전부 프레임(120)에는, 우측 프레임(121) 및 좌측 프레임(122)의 후단부에 파이프 프레임(140)이 연결된다. 파이프 프레임(140)에는 지지 부재(126·126)가 마련된다. 지지 부재(126·126)에는 프론트 액슬 케이스(6)가 고정된다. 프론트 액슬 케이스(6)는 미션 케이스(5)의 양측에 고정된다.
후부 프레임(130)은 우측 세로 프레임(131)과, 좌측 세로 프레임(132)과, 후측 파이프 프레임(133)과, 지지 프레임(134) 등을 구비한다.
후부 프레임(130)에는, 파이프 프레임(140)과 후측 파이프 프레임(133) 사이에, 우측 세로 프레임(131) 및 좌측 세로 프레임(132)이 대략 평행으로 연결된다. 또한, 후부 프레임(130)에는, 후측 파이프 프레임(133)의 좌우 중앙부로부터 지지 프레임(134)이 밑을 향해 마련되고, 지지 프레임(134)의 하단에 리어 액슬 케이스(7)가 연결된다. 또한, 후부 프레임(130)에서, 우측 세로 프레임(131)과 좌측 세로 프레임(132) 사이에는 연료 탱크(90)가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134)은 후측 파이프 프레임(133)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상하 프레임(134a·134a)과, 상하 프레임(134a·134a)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프레임(134b)으로 구성된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5)와 리어 액슬 케이스(7) 사이는 연결 프레임(141)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 프레임(141)은 연료 탱크(90) 하방의 기체 좌우 중앙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설치된다. 연결 프레임(141)은 파이프제의 프레임이며, 그 내부에 전동축이 수납되어 미션 케이스(5)로부터 그 뒷부분의 리어 액슬 케이스(7)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 프레임(141)의 후부 상면에는 실린더 설치대(142)가 고정된다. 실린더 설치대(142)에 후술하는 승강 실린더(34)의 헤드부쪽이 지지된다. 또한, 연결 프레임(141)의 좌측에는 전달축(143)이 나란히 마련된다.
이와 같이, 후부 프레임(130)에서, 운전석(19)과 우측 세로 프레임(131)과 좌측 세로 프레임(132)과 연결 프레임(141)으로 둘러싸인 부분에 연료 탱크(90) 및 승강 실린더(34)가 배치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어 액슬 케이스(7)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형태로 형성된다. 리어 액슬 케이스(7)는 양단부에 우측 기어 케이스부(7a) 및 좌측 기어 케이스부(7b)를 구비하고, 우측 기어 케이스부(7a)와 좌측 기어 케이스부(7b) 사이에 도어 형태 공간부(7c)를 형성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기어 케이스부(7a) 및 좌측 기어 케이스부(7b)의 상부에는 각각 연결부(7d·7d)가 배치된다. 연결부(7d·7d)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134)의 좌우 프레임(134b)이 고정된다.
다음으로, 승강 기구(30)에 대해 설명한다.
승강 기구(30)는 식부부(40)를 승강시키는 기구이며, 전술한 바와 같이, 주행부(10)와 식부부(40) 사이에 설치된다. 승강 기구(30)는 상부 링크(31) 및 하부 링크(32)로 이루어지는 승강 링크 기구(33)와 승강 실린더(34) 등으로 구성된다. 승강 기구(30)는 승강 실린더(34)를 신축해 승강 링크 기구(33)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킴으로써 식부부(40)를 승강시킨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링크(31)의 전단은 지지축(31a)을 개재하여 지지 프레임(134)의 상하 프레임(134a)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부 링크(31)의 후단부는 식부 전동 케이스(46)(도 1)의 앞쪽에 마련되는 지지 프레임(38)의 상부에 지지된다.
하부 링크(32)는 메인 링크(32a)와 마스트(32b)와 보강 링크(32c)를 구비한다. 메인 링크(32a)의 전단에는 마스트(32b)가 세로로 마련된다. 마스트(32b)의 상부와 메인 링크(32a) 후단의 사이에는 보강 링크(32c)가 연결된다. 보강 링크(32c)가 연결됨으로써 하부 링크(32)의 강성이 증가한다. 또한, 하부 링크(32)는 전단이 리어 액슬 케이스(7)의 좌우 중앙부에 링크 지지 부재(37)를 통해 지지된다. 또한, 하부 링크(32)는 후단이 지지 프레임(38)의 하부에 지지된다.
다음으로, 승강 실린더(34)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 실린더(34)는 유압 실린더로 구성되고, 식부부(40)를 승강시키기 위한 엑츄얼레이터이다. 승강 실린더(34)는 실린더 튜브(35)와 피스톤 로드(36)와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 등으로 구성된다.
피스톤 로드(36)는 일단이 실린더 튜브(35) 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피스톤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피스톤 로드(36)는 타단이 하부 링크(32)에 연결된다. 한편, 승강 실린더(34)에서는, 피스톤 로드(36)의 타단을 상부 링크(31)와 연결시켜 식부부(40)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실린더 튜브(35)는, 상기 피스톤에 의해 그 내부가 로드실측과 헤드실측의 2개의 방으로 분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로드실측의 유실이 승강 실린더(34)의 상승측의 유실(34a)(도 25)이 된다.
또한, 실린더 튜브(35)는 일단이 헤드측 캡부(35a)에 의해 닫힌다.
헤드측 캡부(35a)는 실린더 설치대(142)를 통해 연결 프레임(141)의 후부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실린더 튜브(35)는 타단이 로드측 캡부(35b)에 의해 닫힌다.
로드측 캡부(35b)에는 피스톤 로드(36)가 관통된다.
한편, 승강 실린더(34)는, 피스톤 로드(36)가 차체 프레임(11)쪽이면서 실린더 튜브(35)가 승강 링크 기구(33)쪽이 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즉, 피스톤 로드(36)의 선단이 실린더 설치대(142)를 통해 연결 프레임(141)의 후부 상면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실린더 튜브(35)의 헤드측 캡부(35a)가 승강 링크 기구(33)의 하부 링크(32)에 연결되는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또한, 승강 실린더(34)에는 어큐뮬레이터(150)가 삽입된다. 어큐뮬레이터(150)는 유압을 축압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큐뮬레이터 본체(150a)와 어큐뮬레이터 접속부(150b)로 구성된다. 어큐뮬레이터 본체(150a)는 대략 구(球)체의 부재이며, 내부에 다이어프램(diaphragm) 등을 구비한다. 단, 어큐뮬레이터 본체(150a)의 형상은, 대략 구체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어큐뮬레이터 접속부(150b)는 승강 실린더(3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헤드측 캡부(35a)에는 배관 접속부(152)가 마련된다. 또한, 로드측 캡부(35b)에는 배관 접속부(151)와 어큐뮬레이터 접속부(150b)가 마련된다.
로드측 캡부(35b)는 실린더 튜브(35)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로드측 캡부(35b)의 내주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실린더 튜브(35)의 단부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실린더 튜브(35)의 수나사에 고정 너트(lock nut)(35c)와 로드측 캡부(35b)를 나사 결합해 조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로드측 캡부(35b)를 조임 고정하는 위치는 고정 너트(35c)의 조임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로드측 캡부(35b)를 실린더 튜브(35)에 대해 소정량 나사 결합한 후에, 어큐뮬레이터(150)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 너트(35c)를 로드측 캡부(35b)측에 조임으로써, 로드측 캡부(35b)는 실린더 튜브(35)에 대해 고정된다. 한편, 로드측 캡부(35b)와 실린더 튜브(35) 사이는 도시하지 않은 씰링재에 의해 씰링된다.
이와 같이 로드측 캡부(35b) 및 실린더 튜브(35)를 구성함으로써, 식부부(40)를 승강시킬 때, 어큐뮬레이터(150)나 배관이 차체 프레임(11)이나 그 밖의 주변 장치와 간섭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로드측 캡부(35b)의 조임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150)나 배관을 차체 프레임(11)이나 그 밖의 주변 장치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로드측 캡부(35b)의 실린더 튜브(35)에 대한 설치는, 상기 조임 고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로드측 캡부(35b)가 실린더 튜브(35)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이면 된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로드측 캡부(35b)의 아래 쪽에 어큐뮬레이터(150)를 장착하지만, 이앙기(1)를 소형화한 경우나 주변 장치의 배치를 변경함으로써, 어큐뮬레이터(150)가 리어 액슬 케이스(7) 등과 간섭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측면 또는 상면에 어큐뮬레이터(150)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승강 실린더(34)를 신장시킴으로써 식부부(40)가 상승하도록 승강 실린더(34)를 구성한 경우에는, 어큐뮬레이터(150)를 헤드측 캡부(35a)에 장착한다.
배관 접속부(151)는 송유 경로(186)를 승강 실린더(34)에 접속하기 위한 부분이다. 배관 접속부(151)에는 송유 경로(186)의 승강 실린더측(186a)이 접속된다.
송유 경로(186)는 승강 실린더(34)와 승강 실린더(34)의 신축을 전환하는 승강 밸브 유니트(174)(도 25)를 연결한다.
승강 밸브 유니트(174)로부터 송유 경로(186) 및 배관 접속부(151)를 통해 실린더 튜브(35)의 로드측실에 압유가 송유되면, 승강 실린더(34)가 축소해 식부부(40)가 상승한다. 이때, 실린더 튜브(35)의 헤드측실 내의 작동유는, 배관 접속부(152)로부터 작동유 탱크의 역할을 하는 미션 케이스(5) 내로 송유된다. 따라서, 승강 실린더(34)에서, 로드실측이 승강 실린더(34) 상승측의 유실(도 25)이 된다. 또한, 승강 밸브 유니트(174)를 하강측으로 전환하면, 실린더 튜브(35)의 로드측실 내의 압유가 송유 경로(186)를 통해 미션 케이스(5) 내로 송유되어, 승강 실린더(34)가 신장해 식부부(40)가 하강한다.
또한, 승강 실린더(34) 상승측의 유실(34a)(도 25)에는 어큐뮬레이터(150)가 삽입되어 직접 장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실린더 튜브(35)의 로드측 캡부(35b)에 어큐뮬레이터(150)가 직접 장착된다. 이때, 어큐뮬레이터(150)의 어큐뮬레이터 접속부(150b)는, 배관 접속부(151)와는 다른 위치의 로드측 캡부(35b)에 삽입된다. 승강 실린더(34) 상승측의 유실(34a)(도 25)에 어큐뮬레이터(150)가 삽입됨으로써, 어큐뮬레이터(150)가 압유의 송유측의 유실에 장착되어, 어큐뮬레이터(150)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어큐뮬레이터(150)는 승강 실린더(34)와의 사이에 별도 배관 등을 통하지 않고, 직접, 승강 실린더(34)에 어큐뮬레이터 접속부(150b)를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승강 실린더(34)와 어큐뮬레이터(150)의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어큐뮬레이터(150)의 응답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식부부(40)를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시킨 경우나, 그 높이에서 유지시키고 이앙기(1)를 험한 길 등에서 주행시킨 경우, 식부부(40)에 충격이 전해지긴 하지만, 승강 실린더(34)에 어큐뮬레이터(150)를 직접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식부부(40)로부터의 당해 충격에 의해 승강 실린더(34)에 가해지는 힘이 어큐뮬레이터(150)에 의해 순식간에 효율적으로 흡수되어, 식부부(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식부부(40)의 승강용 유압 회로(17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부(40)의 승강용 유압 회로(170)는 플로우 컨트롤 밸브(171)와 파워 스티어링 유니트(172)와 수평 밸브 유니트(173)와 승강 밸브 유니트(174)로 구성된다.
승강용 유압 회로(170)에서, 작동유 탱크가 되는 미션 케이스(5)의 작동유는, 엔진(14)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펌프(175)에 의해 공급 유압 회로(176)를 통해 플로우 컨트롤 밸브(171)에 공급된다. 그리고, 플로우 컨트롤 밸브(171)는 유압 펌프(175)에 의해 공급되는 작동유를, 고압 유로(177)와 저압 유로(178)로 분배한다.
고압 유로(177)에는 파워 스티어링 유니트(172) 및 승강 밸브 유니트(174)가 접속되고, 저압 유로(178)에는 수평 밸브 유니트(173)가 접속된다.
파워 스티어링 유니트(172)는, 조향 핸들(18)에 의해 조향 실린더(179)의 조향 밸브(180)가 전환된다.
수평 밸브 유니트(173)는, 수평 조작용 솔레노이드 밸브(181)에 의해 수평 실린더(182)가 조작되고, 그 조작에 의해 식부부(40)의 좌우 경사 자세가 제어된다. 또는, 대지(對地) 센서로부터의 검출치에 의해 식부부(40)가 수평으로 제어된다.
승강 밸브 유니트(174)는 승강 실린더(34)의 신축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이다. 승강 밸브 유니트(174)는 상승 솔레노이드(183) 및 하강 솔레노이드(184)에 의해 컨트롤 밸브(185)를 전환하여 승강 실린더(34)를 신축시킨다. 즉, 상승 솔레노이드(183) 또는 하강 솔레노이드(184)에 제어 신호를 인가해 자화(磁化)시켜, 밸브를 전환하여 식부부(40)의 승강 제어를 행한다.
또한, 승강 밸브 유니트(174)는 컨트롤 밸브(185)와 승강 실린더(34)의 배관 접속부(151)를 접속하는 송유 경로(186)에 스톱 밸브(187)를 구비한다. 승강 밸브 유니트(174)에서, 스톱 밸브(187)를 닫힌 상태로 함으로써 식부부(40)를 임의의 높이에 정지시킬 수 있다.
승강 실린더(34)에서, 작동유의 공급은 승강 밸브 유니트(174)에 의해 제어되어, 송유 경로(186)를 통해 배관 접속부(151)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승강 실린더(34) 내의 작동유는 배관 접속부(152)로부터 배출되어, 탱크 환원 유로(188)를 통해 미션 케이스(5)로 환원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는 주행부(10)(주행 기체)의 후부에 승강 링크 기구(33)를 개재하여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식부부(40)와, 승강 링크 기구(33)에 연결해 식부부(40)를 승강하는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와, 식부부(40)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하는 어큐뮬레이터(150)를 구비하는 이앙기(1)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150)는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의 상승측의 유실에 연통하여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에 장착된다.
이앙기(1)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와 어큐뮬레이터(150)의 거리가 짧아져, 식부부(40)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에 가해지는 힘을 순식간에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그 힘에 의한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의 기름 누설이나 손상 등의 발생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와 어큐뮬레이터(150) 사이에 배관이 개재하지 않기 때문에 배관을 간략화할 수 있어, 조립이나 유지 보수 등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어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150)는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에서의 실린더 튜브(35)의 피스톤 로드(36)측(피스톤 로드(36)가 나와 있는 측)이면서, 실린더 튜브(35)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드측 캡부(35b)에 마련된다.
이앙기(1)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에서의 어큐뮬레이터(150)의 설치, 및 어큐뮬레이터(150)의 설치부의 가공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150)는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의 로드측 캡부(35b)와 함께 회동하기 때문에,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에서의 어큐뮬레이터(150)의 설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의 신축시에, 어큐뮬레이터(150)가 차체 프레임(11)이나 그 밖의 주변 장치와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도 26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드측 캡부(235b)에 설치되는 어큐뮬레이터 접속부(250b)에는, 송유 경로(186)의 승강 실린더측(186a)을 접속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어큐뮬레이터 접속부(250b)에는, 송유 경로(186)를 접속하기 위한 배관 접속부(251)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어큐뮬레이터 접속부(250b)에 송유 경로(186)를 접속하기 위한 배관 접속부(251)를 일체적으로 마련함으로써, 승강 실린더(34)의 실린더 튜브(35)에 별도 작동유 입구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승강 실린더(34)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승강 실린더(34)에 어큐뮬레이터(150)와 송유 경로(186)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승강 실린더(34)에 어큐뮬레이터(150) 및 송유 경로(186)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앙기(1)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150)는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에 접속하기 위한 어큐뮬레이터 접속부(150b)(접속부)를 갖고,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와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의 신축을 전환하는 승강 밸브 유니트(174)(전환 수단)를 연결하는 송유 경로(186)의 승강 실린더(유압 실린더)측(86a)을 어큐뮬레이터 접속부(150b)(접속부)에 접속한다.
이앙기(1)를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승강 실린더(34)(유압 실린더)에 어큐뮬레이터(150) 및 송유 경로(186)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이앙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이앙기
9 핸들축
10 주행부
17 대시보드
17a 대시보드면(대시보드(17)의 상면)
18 조향 핸들
18a 조향 핸들면(핸들축(9)의 축심 방향과 직교하는 면)
19 운전석
40 식부부
50 표시 패널
50a 표시 패널면(표시 패널(50)의 패널면)
51 식부 조작 패널
51a 식부 조작 패널면(식부 조작 패널(51)의 패널면)
60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유니트
62, 63, 64, 65 조별 식부 정지 조작 수단

Claims (7)

  1. 운전석과, 상기 운전석의 전방에 배치되고 조향 핸들이 마련된 대시보드를 주행부에 구비하고, 상기 주행부에 식부부를 승강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조향 핸들을 상기 대시보드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핸들축에 의해 지지한 구성의 이앙기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 상면의 앞 부분에 제1 패널, 후부에 제2 패널을 마련하고,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각 패널면을 운전석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축을 상기 제1 패널과 상기 제2 패널의 사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은 상기 식부부에서의 작업 현황을 패널면에 표시하는 표시패널이며, 상기 제2 패널은 적어도 식부 작업 시에 사용하는 식부용 조작 수단을 패널면에 배치하는 조작 패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의 패널면에 배치되는 상기 식부용 조작 수단은, 조별 정지 조작 수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별 정지 조작 수단은, 상기 제2 패널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의 패널면의 경사와 상기 제2 패널의 패널면의 경사를, 동일한 구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의 패널면의 경사를, 상기 제1 패널의 패널면의 경사보다 작은 구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20147011775A 2009-09-14 2010-09-14 이앙기 KR2014006155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1869 2009-09-14
JP2009211705A JP5769919B2 (ja) 2009-09-14 2009-09-14 田植機
JPJP-P-2009-211705 2009-09-14
JP2009211869A JP2011055802A (ja) 2009-09-14 2009-09-14 田植機
JP2009217628A JP2011062173A (ja) 2009-09-18 2009-09-18 田植機
JPJP-P-2009-217628 2009-09-18
PCT/JP2010/065773 WO2011030900A1 (ja) 2009-09-14 2010-09-14 田植機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94A Division KR101419006B1 (ko) 2009-09-14 2010-09-14 이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554A true KR20140061554A (ko) 2014-05-21

Family

ID=4373256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94A KR101419006B1 (ko) 2009-09-14 2010-09-14 이앙기
KR1020147011775A KR20140061554A (ko) 2009-09-14 2010-09-14 이앙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394A KR101419006B1 (ko) 2009-09-14 2010-09-14 이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101419006B1 (ko)
CN (1) CN102497771B (ko)
TW (1) TWI507121B (ko)
WO (1) WO20110309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276A (ko) * 2017-12-08 2019-06-20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포장 작업기 및 포장 작업 지원 단말기
CN109005813B (zh) * 2018-08-02 2021-02-19 绩溪袁稻农业产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机械禾苗快速移栽种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7025U (ko) * 1981-05-20 1982-11-27
JPH0420689Y2 (ko) * 1986-12-09 1992-05-12
JP2544275Y2 (ja) * 1991-08-14 1997-08-13 三菱農機株式会社 乗用田植機における警報ランプ装置
JP3685535B2 (ja) * 1995-11-30 2005-08-17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JP3435026B2 (ja) * 1997-08-07 2003-08-11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の操縦部構造
JPH11318140A (ja) * 1998-05-11 1999-11-24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動農機のスイッチ配置構造
JP4028106B2 (ja) * 1998-11-04 2007-12-2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のクラッチ作動装置
JP2002059761A (ja) * 2000-08-23 2002-02-26 Iseki & Co Ltd トラクタのダッシュボード取付装置
JP4416436B2 (ja) * 2003-05-14 2010-02-17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JP4454525B2 (ja) * 2005-03-16 2010-04-21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機の表示装置及び作業機
JP2007174917A (ja) 2005-12-27 2007-07-1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JP4741389B2 (ja) * 2006-03-07 2011-08-03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操作構造
JP4856455B2 (ja) * 2006-03-17 2012-01-18 三菱農機株式会社 移植機
JP4562689B2 (ja) * 2006-05-22 2010-10-1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JP4709183B2 (ja) * 2007-06-15 2011-06-22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127273A (en) 2011-08-16
KR101419006B1 (ko) 2014-07-14
CN102497771A (zh) 2012-06-13
CN102497771B (zh) 2015-01-07
KR20120049404A (ko) 2012-05-16
WO2011030900A1 (ja) 2011-03-17
TWI507121B (zh) 201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594B1 (ko) 콤바인
KR101419006B1 (ko) 이앙기
JPH1189312A (ja) 作業機の作業装置判別構造
KR100336905B1 (ko) 수확기의 운전부 구조
JP5337213B2 (ja) 圃場用供給作業車の報知制御構造
KR20120028795A (ko) 무논 작업기
JP2005087078A (ja) コンバイン
KR20120028202A (ko) 무논 작업기
JP2011067135A (ja) 苗植機
JP3853693B2 (ja) コンバインにおける制御装置
JP2011062173A (ja) 田植機
JP6919674B2 (ja) 移植機
JP6919675B2 (ja) 移植機
JP6128078B2 (ja) 苗移植機
JP6115785B2 (ja) 苗移植機
JP2012237213A (ja) 作業車のエンジン始動構造
JP7202921B2 (ja) 植播系作業機
JPH09294428A (ja) 乗用作業機
JP5769919B2 (ja) 田植機
JP2023071074A (ja) 圃場作業機
KR20120109690A (ko) 콤바인용 오거조작 스위치구조
JPH0584011A (ja) コンバイン等の制御モニタ
JP2015139374A5 (ko)
JPH07322730A (ja) 移植機
JP2013009651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