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489A - 자동 표면 처리 기기 - Google Patents

자동 표면 처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489A
KR20140061489A KR1020147008864A KR20147008864A KR20140061489A KR 20140061489 A KR20140061489 A KR 20140061489A KR 1020147008864 A KR1020147008864 A KR 1020147008864A KR 20147008864 A KR20147008864 A KR 20147008864A KR 20140061489 A KR20140061489 A KR 2014006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surface treatment
robot
treatment assembly
sepa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스탐퍼드 반더스테젠-드레이크
제임스 다이슨
피터 데이비드 가막
Original Assignee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이슨 테크놀러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6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4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Electric Suction Cleaners (AREA)
  • Manipulator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자동 표면 처리 기기로서, 본체로서, 외부 평면 프로파일을 한정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내측에 장착되어 청소될 표면을 가로지르는 운동 방향으로 상기 기기를 추진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배열체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와 관련되는, 그리고 상기 운동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탑재되는 표면 처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는 대체로 세장형이고, 상기 본체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각각의 원형 부분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으로 연장되는 측연부를 갖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Description

자동 표면 처리 기기{AUTONOMOUS SURFACE TREATING APPLIANCE}
본 발명은 자동 바닥 처리 기기, 배타적인 것은 아니지만 특히 자동 진공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 가능한 로봇은 점점 더 평범한 것이 되어가고 있고, 우주 탐험, 잔디 깎기 및 바닥 청소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최근 10년간 로봇 바닥 청소 기기, 특히 진공 청소기의 분야에서 매우 급속한 발전이 있었고, 이것의 일차적인 목적은 바닥을 청소하면서 자동으로 눈에 띄지 않게 사용자의 집을 항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임무를 수행할 때, 로봇 진공 청소기는 청소를 요하는 영역을 항행해야 하고, 항행 중에 장애물과의 충돌을 피해야 한다. 방을 탐색할 때 로봇 진공 청소기를 위한 요건은 가능한 한 방의 가장자리까지 접근하여 청소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의 접근 방법은 원형의 본체를 가지는 로봇 바닥 청소기를 장비하는 US6883201에 설명되어 있고, 이 로봇 바닥 청소기는 기기의 하측면 상에 노출된 수평 장착된 브러시 바 및 그 바퀴 사이의 경로 내에 파편을 쓸어 넣기 위해 각각의 전방 측면 상에 회전식 측 브러시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대향된 회전식 브러시의 시스템은 기기의 전방으로부터 파편이 튕겨 날라가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이것은 방의 가장자리를 청소하기 위한 이러한 접근방법의 효율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자동 바닥 처리 기기로서, 외부 평면 프로파일을 한정하는 본체로서, 본체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내측에 장착되어 청소될 표면을 가로지르는 운동 방향으로 기기를 추진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배열체를 가지는, 본체, 이 본체와 관련되는, 그리고 운동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탑재되는 표면 처리 조립체를 포함하고, 이 표면 처리 조립체는 대체로 세장형이고,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그리고 본체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각각의 원형 부분에 대해 접선으로 연장되는 측연부를 갖는, 자동 바닥 처리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칙적으로 기기, 예를 들면, 바닥 스위퍼, 연마기 또는 세척기, 또는 심지어 로봇 잔디깎기기계의 운동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표면 처리 조립체를 포함하는 바닥 표면의 처리에 관련되는 임의의 자동 기기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로봇 진공 청소기를 위한 특별한 활용도를 가지므로, 이하 이것에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따라서,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기기는 자동 진공 청소기이고, 처리 헤드의 더러운 공기 유입구로부터 착탈 가능한 쓰레기 및 먼지 분리 장치 내로 공기를 흡인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흡인 발생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을 더 포함한다.
표면 처리 조립체 또는 '헤드'는 기기의 본체를 횡단하여 연장되어, 측연부 또는 측면이 운동 방향에 평행하게, 그리고 본체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각각의 원형 부분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본 기기는 방의 가장자리의 직전까지 청소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게다가, 기기의 평면 프로파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이고, 이것은 현위치(on-the-spot)에서의 회전을 위해 유리한 형상이므로, 제한된 공간 및 모서리로부터의 조종성이 더 우수하다. 바람직하게, 본체는 평면도에서 실질적으로 원형이다.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처리 헤드는 지지 바퀴 배열체의 후방에서 본체의 후방 부분을 횡단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처리 조립체는 지지 바퀴에 의해 점유되는 경로 상을 청소할 수 있고, 따라서 바퀴에 근접한 바닥 표면 상에 축적될 수 있는 큰 입자나 쓰레기를 포집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본체는 섀시를 포함하고, 처리 헤드는 섀시 상에 제공되고 또 이 섀시와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섀시는 종축선을 따라 운동 방향으로 처리 헤드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소울 플레이를 한정할 수 있다.
섀시는 또한 구동 배열체의 각각의 트랙션 유닛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그 대향측 상에 위치되는 제 1 및 제 2 리세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트랙션 유닛은 기기의 외부 주변의 섀시 내측 및 처리 헤드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유익하게, 처리 조립체는 트랙션 유닛의 폭을 초과하여 연장되고, 따라서 트랙션 유닛의 뒤에 남을 수 있는 바닥 표면의 먼지 및 큰 입자를 청소할 수 있다.
착탈 가능한 쓰레기 분리 장치를 수용하기 위해, 본체는 쓰레기 분리 장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개방 플랫폼을 한정하는 전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쓰레기 분리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그 종축선이 본체의 종축선 및 횡축선에 대해 수직방향, 즉 직각으로 연장되도록 직립 배향으로 플랫폼 내에 수용된다.
쓰레기 분리 장치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본 예시적 실시형태에서 이것은 진공 청소기에 매우 효과적인 청소 설비를 제공하는 사이클론 분리 장치이다.
쓰레기 분리 장치는 이것이 기기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은 기기의 실질적으로 원형인 프로파일을 보충한다. 게다가, 쓰레기 분리 장치의 일부는 운동 방향으로 본체의 전방 부분을 초과하여 돌출하므로, 이와 같은 방식으로, 쓰레기 분리 장치는 기기에 충돌 시의 탄성 보호 범퍼를 제공한다.
이 본체 구조는 또한 섀시 상에 장착되어 그것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본체 부분을 포함한다. 이것은 본체가 섀시에 대해 상대 이동을 유발하는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설비를 기기에 제공하고, 이와 같은 운동은 적절한 감지 메커니즘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주목할 만하게도, 전원, 흡인 발생기, 쓰레기 분리 장치를 수용하는 플랫폼은 본체 상에 제공되고, 이들 모두는 섀시에 대해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단지 예시로서 첨부한 도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가능한 로봇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 가능한 로봇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이동 가능한 로봇의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 가능한 로봇의 주요 조립체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이동 가능한 로봇의 섀시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이동 가능한 로봇의 트랙션 유닛의 양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a 및 도 6b의 트랙션 유닛의 측면도로서, 트랙션 유닛을 지지하는 표면에 대한 트랙션 유닛의 배향을 도시하고;
도 8은 도 7의 A-A 선을 따른 트랙션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a, 도 6b 및 도 7의 트랙션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트랙션 유닛의 측면도로서, 스윙 아암의 3 개의 위치를 도시하고;
도 11은 이동 가능한 로봇의 섀시의 전면도이고;
도 12는 이동 가능한 로봇 본체의 저면도이고;
도 13은 이동 가능한 로봇의 섀시의 후면도이고;
도 14a, 도 14b, 도 14c 및 14d는 다양한 '충돌' 상황에서의 로봇의 개략도;
도 15는 이동 가능한 로봇의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도 1, 2, 3, 4 및 5를 참조하면, 로봇 진공 청소기(2)(이하, '로봇'이라 함)의 자동 표면 처리 기기는 4 개의 주된 조립체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한다: 섀시(또는 소울 플레이트)(4), 섀시(4) 상에 탑재되는 본체(6), 섀시(4)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로봇(2)에 대체로 원형인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대체로 원형인 외부 커버(8), 및 본체(6)의 전방 부분 상에 탑재되고, 외부 커버(8)의 상보적 형상의 절결부(12)를 통해 돌출하는 분리 장치(10).
본 명세서에서, 로봇과 관련되는 용어 '전방' 및 '후방'은 작동 중의 로봇의 순방향 및 역방향의 의미로 사용될 것이고, 분리 장치(10)는 로봇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와 유사하게, 용어 '좌' 및 '우'는 로봇의 전진 운동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사용될 것이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봇(2)의 본체는 주로 조작성의 이유로 대체로 비교적 짧은 원통의 형태를 갖고, 따라서 로봇이 이동하는 표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통 주축선(C)을 갖는다. 따라서, 원통 축선(C)은 로봇(2)의 전후 방향으로 배향되고, 따라서 분리 장치(10)의 중심을 통과하는 로봇(2)의 종축선(L)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본체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200 mm 내지 300 mm의 범위, 더 바람직하게는 220 mm 내지 250 mm의 범위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본체는 조작성과 청소 효율 사이의 특히 효과적인 절충안인 것으로 입증된 230 mm의 직경을 갖는다.
섀시(4)는 로봇(2)의 수개의 컴포넌트를 지지하고, 바람직하게는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와 같은 고강도 사출 성형된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지만, 이것은 알루미늄이나 강과 같은 적절한 금속이나 탄소 섬유 복합재와 같은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섀시(4)의 일차적 기능은 구동 플랫폼으로서 그리고 로봇이 이동하는 표면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장치를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도 4 및 도 4를 참조하면, 섀시(5)의 전방 부분(14)은 비교적 평평하고, 트레이(tray)의 형태를 갖고, 로봇(2)의 전방을 형성하는 만곡된 기수(prow; 15)를 한정한다. 구동 배열체는 섀시(4)의 전방 부분의 각각의 측면 내의 각각의 리세스(16, 18) 내에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트랙션 유닛(20)에 의해 제공된다. 도 4는 트랙션 유닛(20)이 부착된 섀시(4)를 도시하고, 도 5는 트랙션 유닛(20)이 부착되지 않은 섀시(4)를 도시한다.
이 한 쌍의 트랙션 유닛(20)은 섀시(4)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되고, 로봇이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좌 또는 우를 향하는 만곡된 경로를 따르도록, 또는 트랙션 유닛(20)의 회전 속도 및 방향에 따라 양 방향으로 일점 상에서 선회하도록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배열체는 경우에 따라 차동 구동체로서 알려져 있고, 이 트랙션 유닛(20)의 상세는 본 명세서의 후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섀시(4)의 비교적 협소한 전방 부분(14)은 후방 부분(22)으로 확대되고, 이 후방 부분(22)은 대체로 원통 형태를 갖는, 그리고 그 종축선(L)에 대해 섀시(4)의 전체 폭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그리고 전방 이동의 방향에 대해 트랙션 유닛(20)의 후방에 위치되는 표면 처리 조립체(24) 또는 '청소기 헤드'를 포함한다.
로봇(2)의 하측면을 도시하는 도 2를 또한 참조하면, 청소기 헤드(24)는 지지 표면을 대면하는 직사각형 흡인 개구(26)를 한정하고, 로봇(2)이 작동 중일 때 이 흡인 개구(26) 내로 쓰레기 및 파편이 흡인된다. 세장형 브러시 바(28)는 청소기 헤드(24) 내에 수용되어, 종래의 방식으로 감속 기어 및 구동 벨트 배열체(32)를 통해 전기 모터(30)에 의해 구동되지만 기어 전용의 트랜스미션과 같은 다른 구동 구성도 예상된다.
섀시(4)의 하측면은 흡인 개구(26)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세장형 소울 플레이트 섹션(25)을 특징으로 하고, 이 소울 플레이트 섹션(25)은 흡인 개구(26)를 향해 흡인되는 더러운 공기를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채널(33)(간단히 하기 위해 단 2 개에만 도면부호를 표시하였다)을 포함한다. 섀시(4)의 하측면은 또한 복수(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뒷 바퀴 또는 롤러(31)를 장착하고 있고, 이것은 섀시(4)가 바닥 표면 상에 정지되어 있거나 바닥 표면 상에서 이동 중일 때 섀시(4)를 위한 추가의 지지점을 제공한다. 섀시의 하측면이 바닥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도록 롤러(31)가 섀시를 지지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게다가, 바퀴 또는 롤러가 바람직하지만, 스키드(skid) 또는 러너(runner)와 같은 단단한 베어링 점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청소기 헤드(24)와 섀시(4)는 단일의 플라스틱 성형체이므로, 청소기 헤드(24)는 섀시(4)와 일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소울 플레이트(25)와 청소기 헤드가 동일의 주조성형된 컴포넌트에 의해 제공되므로 제조를 위해 효율적이다. 그러나, 이것이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2 개의 컴포넌트는 분리된 것일 수 있고, 청소기 헤드(24)는 나사나 당업자에게 명확한 적절한 결합 기술에 의해 섀시(4)에 적절히 부착될 수 있다.
청소기 헤드(24)는 트랙션 유닛(20)의 후방의 섀시(4)의 에지까지 연장되는, 그리고 로봇의 커버(8)와 일치하는 제 1 및 제 2 단부면(27, 29)을 갖는다. 도 2 및 도 3의 수평 또는 평면 프로파일을 고려하면, 청소기 헤드의 단부면(27, 29)은 평평하고, 로봇(2)의 횡축선(X)을 따른 실질적으로 직경방향의 대향점에서 커버(8)에 대해 접선(T로 표시됨)으로 연장됨을 알 수 있다. 이것의 이점은 로봇이 '월 팔로윙(wall following)' 모드로 이동할 때 방의 벽에 극단적으로 접근하여 주행할 수 있으므로 벽의 직전까지 청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청소기 헤드(24)의 단부면(27, 29)이 로봇(2)의 양측면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므로, 벽이 로봇(2)의 우측에 있거나 좌측에 있거나 불문하고 벽의 직전까지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유익한 에지 청소 능력은 트랙션 유닛(20)이 커버의 내측에 위치됨으로써 향상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하고, 이것은 월 팔로윙 작업 중에 커버 및 이에 따라 또한 청소기 헤드(24)의 단부면(27, 29)이 거의 벽에 접촉하는 방식으로 로봇이 조종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청소기 헤드는 섀시(4)의 실질적으로 전체 폭을 횡단하여 연장되고, 또 트랙션 유닛(20)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이것은 로봇이 이리저리 이동할 때 로봇의 후방에 남겨질 수 있는 바닥 표면의 먼지 및 큰 입자를 청소기 헤드(24)가 청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청소기 헤드(24)는, 이 청소기 헤드(24)가 로봇의 전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자체의 조종 능력과 간섭할 수 있는 기계의 주요 원형 형태로부터의 돌출부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트랙션 유닛(20)의 후방에 가능한 한 접근하여 위치된다.
청소 작업 중에 흡인 개구(26) 내로 흡인된 쓰레기는 도관(34)을 통해 청소기 헤드(24)로부터 배출되고, 도관(34)은 청소기 헤드(24)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또 전진 방향으로 대면할 때까지 약 90 °를 통해 섀시(4)의 전방향을 향해 만곡된다. 도관(34)은 본체(6) 상에 제공되는 상보적 형상의 덕트(42)와 맞물리도록 성형되는 가요성 벨로즈 배열체(38)를 가지는 직사각형 마우스에서 끝난다.
덕트(42)는 본체(6)의 전방 부분(46) 상에 제공되고, 대체로 원형인 베이스 플랫폼(48)을 가지는 전방을 대면하는 대체로 반원통형 리세스(50)에 개구되어 있다. 리세스(50)와 플랫폼(48)은 도킹 부분을 제공하고, 사용 중에 이 도킹 부분 내에 분리 장치(10)가 장착되고, 분리 장치(10)는 이 도킹 부분으로부터 배출의 목적을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분리 장치(10)는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WO2008/009886에 개시된 바와 같은 사이클론 분리기로 이루어지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와 같은 분리 장치의 구성은 주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지 않지만, 분리 장치(10)가 충만되었을 때 이 장치(10)를 비울 수 있도록 퀵-릴리즈(quick-release) 체결 수단과 같은 적절한 메커니즘에 의해 본체(6)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분리 장치(10)의 특성은 본 발명의 핵심이 아니고, 사이클론 분리 장치 대신 필터-멤브레인, 다공질 박스 필터 또는 일부의 다른 형태의 분리 장치와 같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 공기류로부터 쓰레기를 분리할 수 있다. 진공 청소기가 아닌 장치의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6)는 그 기계가 수행하는 임무에 적합한 설비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닥 연마 기계의 경우, 본체는 액체 연마 유체를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수용할 수 있다.
분리 장치(10)가 도킹 부분(50)에 맞물렸을 때, 분리 장치(10)의 더러운 공기 유입구(52)는 덕트(42)에 수용되고, 이 덕트(42)의 타단부는 브러시 바 도관(34)의 마우스(36)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덕트(42)는 청소기 헤드(24)로부터 분리 장치(10)에 더러운 공기를 전달한다. 다소의 각도 오정렬에도 불구하고 분리 장치(10)의 더러운 공기 유입구(52)와 시일 상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벨로즈(38)는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는 덕트(34)의 마우스(36)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벨로즈로서 설명되어 있으나, 덕트(34)는 더러운 공기 유입구(52)와 맞물리기 위한 가요성 고무 커프 시일과 같은 대안적인 탄성 시일을 구비할 수도 있다.
더러운 공기는 분리 장치(10)를 통해 공기류 발생기에 의해 흡인되고, 본 실시형태에서 공기류 발생기는 전동 모터 및 팬 유닛(도시되지 않음)이고, 이것은 본체(6)의 좌측 상에 위치되는 모터 하우징(60) 내에 위치된다. 모터 하우징(60)은 도킹 부분(50)의 원통 형상의 벽에서 개방되는, 그 결과 분리 장치(10)의 원통형 곡률과 일치하는 만곡된 유입구 마우스(62)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되어 있지 않았으나, 분리 장치(10)는 이 분리 장치(10)가 도킹 부분(50)과 맞물릴 때 유입구 마우스(62)와 일치되는 깨끗한 공기 유출구를 포함한다. 사용 시, 흡인 모터는 모터 유입구 마우스(62)의 영역 내에 저압을 발생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그 결과 청소기 헤드(24)의 흡인 개구(26)로부터 도관(34), 덕트(42) 및 분리 장치(10)의 더러운 공기 유입구(52)로부터 깨끗한 공기 유출구에 이르는 공기류 경로를 따라 더러운 공기를 흡인한다. 다음에 깨끗한 공기는 모터 하우징(60)을 통과하고, 필터를 갖는 깨끗한 공기 유출구(61)를 통해 로봇(2)의 후방으로부터 배기된다.
커버(8)는 도 4에서 본체(6)로부터 분리되어 있고, 섀시(4)와 본체(6)가 로봇(2)의 대부분의 기능적 컴포넌트를 탑재하므로, 커버(8)는 주로 보호용 셸의 역할을 하는, 그리고 사용자 제어 인터페이스(70)를 탑재하는 외피를 제공한다.
커버(8)는 대체로 원통형인 측벽(71) 및 평평한 상면(72)을 포함하고, 도킹 부분(50) 및 원통형 분리 장치(10)의 형상을 보완하는 형상의 부분 원형의 절결부(12)를 제외하면, 평평한 상면(72)은 본체(6)의 평면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프로파일을 제공한다. 게다가, 커버(8)의 평평한 상면(72)은 분리 장치(10)의 상면(10a)과 동일평면 내에 있고, 그러므로 분리 장치(10)가 본체 상에 장착되었을 때 분리 장치(10)는 커버(8)와 동일평면에 안착된다.
특히 도 1에서 명확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8)의 부분 원형의 절결부(12) 및 본체(6) 내의 반원통형 리세스(50)는 분리 장치(10)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그리고 도킹 부분(50)의 전방으로부터 약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0% 돌출하는 도킹 부분인 2 개의 돌출하는 로브 또는 아암(73a)을 한정하는 말발굽 형상의 베이(bay)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분리 장치(10)의 일부는 커버(8)가 로봇(2)의 본체 상에 설치된 경우에도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배출의 목적을 위해 분리 장치(10)에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다. 측면에 위치하는 로브는, 그 환경의 매핑(mapping) 및/또는 장애물의 검출을 위해 로봇이 사용할 수 있는, 여기서 도면부호 82로 식별되는 하우징 센서 모듈에 특히 적합하다. 이 경우, 돌출하는 로브(73)의 재료는 적절한 센서-투과 재료이어야 한다. 센서 모듈은 레이저 레인지 파인더, 초음파 트랜스듀서, 위치 감지 기기(PSD) 또는 광학 센서와 같은 로봇의 항행을 위해 적절한 임의의 센서일 수 있다.
측벽(71)의 대향 부분은, 커버(8)가 본체(6)에 연결되었을 때, 청소기 헤드(24)의 각각의 단부(27, 29) 상에 끼워맞춤되는 아치형 리세스(74)(도 3에서는 단지 하나만 도시됨)를 포함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청소기 헤드(24)의 단부와 각각의 아치(74) 사이에는 물체와의 충돌의 경우에 이들 사이에 상대 운동을 허용하도록 간극이 존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 실시형태의 분리 장치(10)는 원통형 빈(bin)으로서, 이것은 로봇의 도킹 베이 부분(50) 내에 안착되고, 또 로봇(2)의 전방을 한정하도록 커버(8)로부터 돌출한다. 이 빈(10)은 그 종축선이 로봇(2)의 종축선(L) 및 횡축선(X)의 양자 모두에 수직이 되고, 그러므로 원통 축선/수직 축선(C)에 평행하도록 직립 배향을 가지는 것에 주목한다. 분리 장치(10)의 일부가 이러한 방식으로 로봇(2)의 전방에서 노출됨으로써, 사용자는 분리 장치를 비울 필요가 있는 경우에 이것을 로봇(2)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분리 장치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분리 장치(10)에 접근하기 위해 도어, 해치 또는 패널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게다가, 분리 장치는, 사용자가 분리 장치의 충만 정도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인 또는 전자적인 빈 충만(bin-full) 표시기를 회피할 수 있다. 게다가, 분리 장치, 특히 사이클론 분리 장치는 모터 및 배터리와 같은 전자 컴포넌트보다 경량이므로, 로봇의 전방 상의 분리 장치의 구성은 표면을 등판하도록 로봇을 더욱 도와 준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기계에서는 더 무거운 컴포넌트가 전방에 위치되는 경향이 있고, 반면 먼지 용기는 후방이나 기계의 중심을 향해 위치된다.
추가의 이점은, 로봇 수단의 전방의 대부분이 충돌 중에 장애물과 먼저 접촉하는 로봇의 부분이 되므로, 분리 장치(10)가 로봇(2)을 위한 범퍼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빈은 로봇이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어느 정도의 탄성을 제공하는 적절한 기계적 특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된다. 하나의 실시형태는 빈(10)에 적절한 정도의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두께(예를 들면, 약 0.5 내지 2 mm)로 제작되는 투명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이다. 그러므로, 빈(10)은 보호되지 않는 경우에 커버(8)를 손상시킬 수 있는 경질의 및/또는 날카로운 물체로부터 로봇(2)의 본체를 어느 정도 보호한다. 이와 유사하게, 빈의 탄성은 충돌 중에 손상에 취약할 수 있는 장애물을 위해 어느 정도의 보호를 제공한다.
측벽(71)의 상부 에지 상에, 커버(8)는 반원형 운반 손잡이(76)을 포함하고, 이 운반 손잡이(76)는 손잡이(76)이가 커버(8)의 상부 주변 에지 상의 상보적 형상의 리세스(80) 내에 끼워맞춤되는 제 1의 수용된 위치와 손잡이(76)가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개된 위치 사이에서 2 개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보스(78)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수용된 위치에서, 손잡이는 커버(8)의 '명확한' 원형 프로파일을 유지하고, 로봇(2)의 정상 작동 중에 사용에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이 위치에서 손잡이(76)는 로봇의 후방 필터 도어(도시되지 않음)를 폐쇄된 위치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이것은 로봇(2)이 작동 중일 때 필터의 우발적인 제거를 방지한다.
작동 시, 로봇(2)은 본체(6) 내에 수용되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팩(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어 그 환경의 주변에 자동으로 추진될 수 있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로봇(2)은 배터리 팩에 접속되는 적절한 제어 수단, 트랙션 유닛(20) 및 본체(6)의 전방의 좌우측 상의 예를 들면 적외선 및 초음파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는 적절한 센서 모듈(82)를 탑재한다. 센서 세트(82)는 환경 내의 다양한 물체로부터 로봇의 거리 및 그 물체의 크기와 형상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어 수단에 제공한다. 또한 제어 수단은 이들 컴포넌트를 적절하게 구동 및 제어하기 위해 흡인 팬 모터 및 브러시 바 모터에 접속된다. 그러므로 제어 수단은 청소될 방의 이곳저곳에 로봇을 항행시키기 위해 트랙션 유닛(20)을 제어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로봇 진공 청소기를 작동 및 항행시키는 특정의 방법은 본 발명의 실체가 아니고, 이와 같은 제어 방법은 수종이 본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특정의 작동 방법은 항행 시스템에서 광 검출 장치를 사용하는 WO00/38025에 더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이것은 광 검출기 장치에 의해 검출된 광 레벨이 광 검출기 장치에 의해 이전에 검출된 광 레벨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때를 확인함으로써, 청소기가 방 내에서의 자체의 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섀시(4), 본체(6) 및 커버(8)를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 명확화를 위해 단일의 트랙션 유닛(20)의 다양한 사시도, 단면도, 분해도를 도시하는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트랙션 유닛(20)을 설명한다.
개괄적으로, 트랙션 유닛(20)은 트랜스미션 케이스(90), 링크 부재(92) 또는 '스윙 아암', 제 1 및 제 2 풀리 바퀴(94, 96), 및 풀리 바퀴(94, 96)의 주위에 구속되는 트랙 또는 연속 벨트(98)를 포함한다.
트랜스미션 케이스(90)는 트랜스미션 케이스(90)의 일단부의 내측 상에 장착되는 입력 모터 구동 모듈(100)과, 트랜스미션 케이스(90)의 구동축으로부터, 즉 모터 모듈(100)이 장착되는 트랜스미션 케이스(9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하는 출력 구동 샤프트(102) 사이에 연장되는 기어 시스템을 수용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모터 모듈(100)은 브러실리스 DC 모터인데, 이와 같은 모터는 신뢰성 있고, 효율적이기 때문이지만, 다른 유형의 모터, 예를 들면, 브러시 DC 모터, 스테퍼 모터, 또는 심지어 유압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 모듈(100)은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 수단에 접속되고, 이 목적을 위해 일체의 전기 커넥터(104)를 구비한다. 이 실시형태에서 기어 시스템은 모터 모듈(100)의 속도를 기어 다운함과 동시에 가용 토크를 증대시키는 기어 휠 배열체인데, 이것은 이러한 시스템이 신뢰성 있고, 콤팩트하고 경량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맥락 내에서 벨트 또는 유압 트랜스미션 배열체와 같은 다른 기어 배열체도 예상된다.
그러므로 트랙션 유닛(20)은 구동, 기어 및 바닥 맞물림 기능을 자립형의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유닛으로 통합하고, 섀시(4)의 리세스의 주위에 한정되는 대응하는 장착 러그(93) 내에 수용되는 나사나 볼트와 같은 복수의 패스너(91)(이 실시형태에서는 4 개의 패스너)에 의해 섀시(4)에 쉽게 장착된다.
트랙션 유닛(20)은, 로봇(2)이 전방으로 이동 중일 때 제 1 풀리 바퀴(94)가 앞선 위치에 있도록, 섀시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앞 바퀴(94)는 피구동 바퀴이고,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구동 샤프트(102) 상에 수용될 수 있는 중심 보어(104)를 포함한다. 샤프트(102)에 부착되는 부분 원형의 클립('써클립')과 같이 샤프트에 풀리 바퀴를 고정하는 대안적 방식이 또한 예상된다. 앞 바퀴(94)는 쌍(pair) 내의 피구동 바퀴이므로 스프로킷으로 생각될 수도 있다. 구동 샤프트(102)로부터 앞 바퀴(94)로의 구동력의 전달을 향상시키기 위해, 풀리 바퀴의 중심 보어(104)는 구동 샤프트의 대응하는 외부 키(key)와 결합되도록 내부 키를 가질 수 있다.
스윙 아암(92)의 전단부는 이 전단부와 앞 바퀴(94) 사이에서 트랜스미션 케이스(90)에 장착되고, 구동 샤프트(102)를 중심으로 선회되도록 장착된다. 스윙 아암(92)의 장착 개구(108) 내에 위치되는 부시(106)는 트랜스미션 케이스(90)의 외방으로 돌출하는 스피곳(110) 상에 수용되고, 스피곳(110)을 통해 구동 샤프트(102)가 돌출한다. 그러므로 부시(106)는 스윙 아암(92)이 원활하게 선회할 수 있도록 그리고 트랜스미션 케이스(90)에 대한 스플레잉(splaying)을 방지하도록 스피곳(110)과 스윙 아암(92) 사이에 베어링 표면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부시(106)는 요구되는 저마찰 표면 및 고강도를 제공하는 폴리아미드와 같은 적절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그러나, 부시(106)는 알루미늄, 강 또는 이들의 합금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이것은 또한 필요한 마찰 및 강도 특징을 제공할 수 있다.
조립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윙 아암(92)은 스피곳(110) 상에 장착되고, 앞 바퀴(94)는 스윙 아암(92)의 전단부의 외측의 구동 샤프트(102)에 장착된다. 스터브 액슬(112)은 스윙 아암(92)의 대향 단부 또는 '후' 단부 상에 위치되는 보어 내에 억지 끼워맞춤되고, 구동 샤프트(102)의 축선에 평행한 회전 축선을 따르는 후방 풀리 바퀴(96) 또는 '뒷 바퀴'를 위한 장착 샤프트를 한정한다. 뒷 바퀴(96)는 베어링 부시(114)가 억지 끼워맞춤으로 수용되는 중심 보어(113)를 포함한다. 부시(114)는, 이 부시 및 이에 따라 또한 뒷 바퀴(96)가 스윙 아암(92)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미끄럼 끼워맞춤으로 액슬(112) 상에 수용된다. 써클립(116)은 뒷 바퀴를 액슬(112)에 고정한다.
연속 벨트 또는 트랙(98)은 로봇(2)과 바닥 표면 사이의 계면에 제공되고, 이 실시형태에서 로봇이 표면 상에서 이동할 때 높은 그립력(grip)을 제공하고 또한 표면의 조직 및 외형 변화에 적응하는 강력한 고무 코팅된 재료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벨트(98)는 조직을 가지거나 울퉁불퉁한 지역 상에서 트랙션(traction)을 증대시키기 위한 트레드(tread)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벨트(98)의 내면(98a)은 앞 바퀴(94)의 원주방향의 표면 상에 제공된 상보적 치 형태부(94a)와 맞물리도록 톱니 또는 치를 갖고, 이것은 벨트(98)가 바퀴(94) 상에서 미끄러질 가능성을 감소시켜준다. 본 실시형태에서, 뒷 바퀴(96)는 상보적 치 형태부를 가지고 있지 않으나 필요하면 제공될 수 있다. 벨트(98)가 뒷 바퀴(96)로부터 미끄러져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뒷 바퀴(96)의 내부 및 외부 림 상에 원주방향의 립(96a, 96b)이 제공된다. 앞 바퀴(94)에 관하여, 스윙 아암(92)의 인접부로 인해 벨트(98)가 내부 림으로부터 미끄러져 벗어날 수 없으므로, 원주방향의 립(94b)은 그 외부 림 상에만 제공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스윙 아암(92)은 이격된 관계로 앞 바퀴 및 뒷 바퀴(94, 96)를 고정하고, 뒷 바퀴(96)가 앞 바퀴(94)를 중심으로 각도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한다. 스윙 아암(92)의 각도 이동의 최대 및 최소 한계는 트랜스미션 케이스(90)의 구동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대향된 아치형 상부 및 하부 스톱(122a, 122b)에 의해 한정된다. 스윙 아암(92)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스터브 또는 핀(124)은 스윙 아암(92)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스톱(122a, 122b)과 맞물림될 수 있다.
트랙션 유닛(20)은 또한 스윙 아암(92)의 앞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장착 브래킷(126)과 트랜스미션 케이스(90)의 후단 부분으로부터 돌출하는 핀(128) 사이에 인장 상태로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118)의 형태의 스윙 아암 편향 수단을 포함한다. 이 스프링(118)은 사용 시 바닥 표면과 맞물림 상태로 뒷 바퀴(96)를 편향시키도록 작용하므로 로봇(2)이 털이 긴 카페트와 같은 평탄하지 않은 표면을 극복하는 중이거나 전기 케이블과 같은 장애물 상에 올라가는 중인 경우 트랙션을 향상시킨다. 도 10은 스윙 아암(92)의 운동의 범위의 전체에 걸친 트랙션 유닛(20)의 3 개의 예시적인 위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로봇(2)이 정지된 경우 바닥 표면(F)에 대한 바퀴(94, 96)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위치에서 스윙 아암(92)은 그 최소 이동 한계에 있고, 핀(124)은 상부 스톱(122a)과 맞물려 있다. 이 위치에서, 뒷 바퀴(96) 주위의 트랙(98)의 일부는 바닥 표면과의 접촉 영역(130)을 한정하고, 반면에 접촉 영역으로부터 전방으로 앞 바퀴까지 연장되는 트랙(98)의 부분은 앞 바퀴(94)에 비해 뒷 바퀴(96)의 더 큰 반경으로 인해 바닥 표면(F)에 대해 경사를 이룬다. 이것은 바닥 표면 내의 결함부 상에서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전기 케이블/코드 또는 러그의 가장자리부와 같은 융기된 장애물 상에서의 로봇(2)의 등판 능력을 향상시키는 경사진 등판 표면을 트랙션 유닛(20)에 제공한다. 대안으로서, 바퀴(94, 96)는 또한 유사한 크기일 수 있고, 또는 동등한 크기일 수 있고, 운동 방향으로 전방을 향해 경사진 등판 표면을 제공하도록 스윙 아암(92) 상이나 대안적으로 섀시(4)에 대한 고정된 위치에서 상이한 높이에 장착될 수 있다.
단순한 바퀴에 비해 경사진 트랙(98)의 등판 능력의 개량 이외에도, 트랙션 유닛(20)은 단일의 뒷 바퀴(96)의 덕분에 작은 접촉 영역(130)을 유지하고, 이것은 트랙(98)의 상당 부분이 바닥 표면과 접촉하는 경우에 경험할 수 있는 정도의 미끄러짐을 겪지 않으므로 조작 상의 이점을 제공한다.
추가의 트랙션 향상은 뒷 바퀴(96)의 내측 상의 립(96a)보다 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뒷 바퀴(96)의 외부 립(96b)에 의해 제공된다. 도 8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립(96b)은 트랙(98)의 외면과 거의 동일한 반경으로 연장되고, 그 에지는 치형 또는 톱니 형태부를 구비한다. 이 것의 이점은, 로봇이 러그 또는 카페트와 같은 부드러운 표면 상에서 이동 중인 상황에서, 트랙(98)이 카페트의 섬유 내로 매립되는 경향이 있고, 이것에 의해 외부 립(96b)의 톱니형 에지는 카페트와 맞물려서 로봇에 향상된 트랙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경질 표면 상에서, 트랙(98) 만이 바닥 표면에 접촉하고, 이것은 로봇의 조종 능력을 도와준다.
더욱 추가의 이점은. 전폭 청소를 제공함에 있어 중요한 로봇의 횡축선에 극히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는 큰 치수를 가지지 않고도, 이 트랙 배열체는 훨씬 더 큰 단일 바퀴의 등판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 바퀴(96)의 회전 축선은 조작성을 도와 주는 로봇의 횡축선과 실질적으로 일치된다. 청소기 헤드는 트랙션 유닛(20)에 매우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 청소기 헤드의 축선은 로봇의 횡축선으로부터 약 48 mm 이격되어 있으나, 청소기 헤드가 본체의 외피로부터 돌출하는 양을 최소화하기 위해 허용될 수 있는 최대 60 mm의 간격이 예상될 수 있다.
대안적 실시형태(도시되지 않음)에서, 외부 립(96b)의 깊이 및 두께는 뒷 바퀴(96)를 둘러싸는 트랙(98)의 외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증가되고, 그 결과 트랙(98)의 표면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효과를 얻는다. 이것은 경질 표면 상에서도 접촉 영역(130)의 면적을 증가시키는데, 이것은 경우에 따라 바람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등판 능력도 트랙(98)의 종방향에서 접촉 영역을 증대시키지 않고 경사진 트랙 표면에 의해 유지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봇(2)의 트랙션 유닛(20)은 털이 긴 러그 및 카페트 상에서 이동하기 위한, 그리고 바닥 상의 전기 케이블 및 또한 바닥 표면 사이의 작은 단차와 같은 장애물을 극복하기 위한 개선된 능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캐터필러'형 구동 유닛은 바퀴와 벨트 사이의 닙 내에 파편이 진입하는 것에 대해 취약할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윙 아암(92)은 앞 바퀴 및 뒷 바퀴(94, 96)의 대향하는 부분 및 트랙(98)의 내면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서 스윙 아암(92)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되는 융기된 블록형 부분(132)을 더 포함한다. 파편 방지 블록(132)의 측면(132a, 132b, 132c, 132d)은 인접하는 바퀴(94, 96) 및 벨트(98)의 표면에 근접하여 위치되는 형상을 갖고, 동시에 블록(132)의 외부 표면(134)은 바퀴(94, 96)의 외면과 대략 일치되도록 연장된다. 그러므로 블록(132)은 바퀴(94, 96) 사이의 체적의 실질적으로 전부를 수용하도록 성형되고, 따라서 입자 또는 돌과 같은 파편이 구동 배열체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블록(132)은 중실체일 수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 블록(132)은 스프링 아암(92)의 중량 및 그 비용을 감소시키는 개구(136)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블록(132)은 스윙 아암(92)과 일체이지만, 예를 들면, 클립, 나사 또는 접착제에 의해 스윙 아암(92)에 적절하게 고정되는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도 있다.
도 10,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서로에 대한 상대적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본체(6)가 섀시(4)에 부착되는 방법 및 자체의 경로 내의 물체와의 충돌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로봇(2)이 이 상대 운동을 해석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섀시(4)와 본체(6) 사이의 상대적 슬라이딩 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전방 및 후방 맞물림 수단은, 섀시(4)와 본체(6)가 수직 방향, 즉 로봇(2)의 횡축선(X) 및 종축선(L)에 수직한 방향으로 분리될 수 없도록, 그러나 서로에 대해 작은 양의 미끄럼이 허용되도록, 섀시(4)와 본체(6)를 상호 고정한다.
먼저, 본체의 전방 부분을 검토하면, 도 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맞물림 수단은 본체(6)의 전방 부분, 특히 플랫폼(48) 내의 중심 위치 내에 한정되는 레이스트랙/경기장 또는 파라-트런케이티드(para-truncated) 원과 유사한 형태의 대체로 타원형인 슬롯형 개구(140)를 포함한다. 거드전 핀(142)의 형태의 슬라이딩 가능한 피벗 부재는 이 개구(140)를 통해 수용되고, 개구(140)의 하측으로 짧은 거리로 연장되는, 그리고 개구의 양측에 접촉하여 거드전 핀(142)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플랜지(142b)를 한정하는 슬리브 섹션(142a)을 포함한다.
맞물림 수단은 또한 벽을 가진 리세스(144)의 형태로 섀시(4)의 전방 부분 상에 상보적 구조물을 포함하고, 이것은 또한 플랫폼(48) 내의 개구(140)의 형상에 대응하는 레이스 트랙 형상을 갖는다. 본체(6)는 플랫폼(48) 상에서 본체(6)가 섀시(4) 내의 리세스(144)를 덮도록 섀시(4)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다음에 거드전 핀(142)은 나사와 같은 적절한 기계적 패스너에 의해 리세스(144)의 바닥에 고정되는데, 이 거드전 핀(142)은 도 11에서 리세스(144) 내의 자체 위치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체(6)는 수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섀시(4)에 접합된다. 그러나, 거드전 핀(142)은 섀시(4)에 부동 상태로 고정됨과 동시에 개구(14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유지되므로, 본체(6)는 거드전 핀(1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또 그 둥근 형상에 기인되어 그것을 중심으로 각도방향으로 선회될 수 있다.
섀시(4)의 전방 부분은 또한 리세스(144)의 양측 상에 위치되는 2 개의 채널(145)을 포함하고, 이것은 본체(6)의 하측면 상에, 더 구체적으로는 개구(140)의 양측의 플랫폼(48) 상에 제공되는 각각의 롤러(147)를 위한 지지 표면의 역할을 한다. 롤러(147)는 섀시(4) 상에서 본체(6)를 지지하고, 2 개의 부품 사이의 원활한 슬라이딩 운동을 촉진하는데, 도 11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후방 맞물림 수단은 섀시(4)에 대한 본체(6)의 후방 부분(150)의 운동을 제약한다. 도 12와 도 13의 비교로부터, 청소기 헤드(24)의 후측의 섀시(4)의 후방 부분(146)은 충돌 검출 수단(148)을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충돌 검출 수단(148)은 또한 본체(6)의 후방 부분(146)을 섀시(4)에 연결시켜주는 고정 장착부의 역할을 한다.
충돌 검출 수단의 양측은 본체 지지 수단을 포함하고, 양 본체 지지 수단은 동일한 것이므로, 간단히 하기 위해 하나만을 설명한다. 본체 지지 수단은 섀시(4) 내에 한정되는 접시형 리세스(154) 내에 안착되는 슬리브형 튜브형 지지 부재(152)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접시형 리세스(154)는 섀시(4)의 후방 부분(146)을 가로질러 고정되는 플레이트 부재(155)의 형태로 착탈 가능한 섀시 부분 내에 제공된다. 그러나, 리세스(154)는 섀시(4)의 일체의 부품일 수도 있다.
스프링(156)은 그 하단부가 섀시(4)에 연결되고, 슬리브 부재(152)를 통해 연장하고, 스프링의 단부는 아이릿(158)에 위치된다. 슬리브(152) 및 스프링(156)은 본체(6)의 하측면 상의 상보적 소켓(160)과 맞물리고, 이 소켓(160)은 본체(6)가 섀시(4) 상에 장착될 때 슬리브(152)의 상단부를 위치시키는 융기된 벽(160a)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착될 때, 스프링(156)은 소켓(160) 내의 중심 개구(162) 내로 연장되고, 아이릿(158)은 본체(6) 내의 고정 핀에 고정된다. 이 고정 핀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프링(156)이 부착될 수 있는 임의의 핀이나 적절한 고정점일 수 있음에 주목한다.
지지용 슬리브 부재(152)는 섀시(4)와 본체(6)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므로, 슬리브 부재(152)는 로봇의 종축선(L)을 따라 본체(152)의 직선적 요동을 가능하도록, 그러나 후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체(6)의 후방 부분(146)의 경우 후방 맞물림 수단에 의해 구속될 때 약 10 도 만큼 거드전 핀(142)을 중심으로 각도방향으로 선회하도록 임의의 방향으로 경사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스프링(156)은 지지용 슬리브 부재(152)를 직립 위치로 압박하는 셀프 센터링 힘을 지지용 슬리브 부재(152)에 제공하고, 이와 같은 작용은 또한 충돌 검출 시스템을 위한 재설정 힘을 제공한다. 대안적 실시형태(도시되지 않음)에서, 지지용 슬리브 부재(152)는 중실체일 수 있고, 섀시에 대한 본체의 상대 위치를 '재설정'하는 힘은 대안적 편향 메커니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슬리브 부재(152)가 특정량의 운동 상태로 섀시(4) 상에 본체(6)를 지지할 수 있으나, 수직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섀시(4)에 본체(6)의 후방 부분(150)을 견고하게 연결하지 않는다. 이 목적을 위해, 충돌 검출 수단(148)은 본체(6) 상에 제공되는 포스트 또는 로드(160, 162)의 형태의 제 1 및 제 2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이것은 섀시(4) 상에 제공되는 각각의 핀(164, 166)과 맞물린다. 도 1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핀(164, 166)은 플레이트 부재(155) 내에 한정되는 각각의 윈도우(168, 170)를 통해 연장하고, 그곳에서 각각의 와셔(172, 174)에 의해 유지된다. 섀시(4)의 후방 부분(146) 상에 본체(6)의 후방 부분(150)을 장착하기 위해, 안내 부재(160, 162)는 이들이 각각의 와셔(172, 174)와 접촉할 때까지 핀(164, 166) 상에 압입된다. 그러므로 본체(6)의 후방 부분(150)의 운동은 윈도우가 안내 트랙의 역할을 하도록 윈도우(168, 170)의 형상에 일치하도록 제약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윈도우(168, 170)는 대체로 삼각형의 형상이고, 따라서 이것에 의해 본체(6)는 거드전 핀(142)에 대해 직선적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그러나 윈도우(168, 170)에 의해 설정된 이동 한계 내에서 거드전 핀(142)을 중심으로 각도방향으로 선회할 수 있다. 그러나, 본체(6)의 허용 운동은 윈도우(168, 170)의 적절한 재성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충돌 검출 수단(148)은 또한 섀시(4)에 대한 본체(6)의 상대적 운동을 검출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180)을 포함한다. 스위칭 수단(180)은 본체(6)의 후방 부분(150)의 하측면 상에 제공되는 제 1 및 제 2 소형의 스냅-액션 스위치(180a, 180b)(또한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스위치'로 알려져 있음)을 포함하고, 이것은 본체(6)가 섀시(4)에 장착될 때 섀시(4)의 후방 부분(146)의 중심부 내에 제공되는 액츄에이터(182)의 양측에 위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액츄에이터(182)는 스위치(180a, 180b)를 작동시키기 위한 각진 전연부를 갖는 쐐기 형상부의 형태를 취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스위치(180a, 180b)는 로봇의 제어 수단과 접속된다. 쐐기형 액츄에이터(182)에 대한 스위치(180a, 180b)의 위치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고, 이 스위치(180a, 180b)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80a, 180b)는, 이것의 작동 아암(183)이 쐐기형 액츄에이터(182)의 각진 전연부의 양측에 직접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위치된다.
스위치(180a, 180b)는 로봇이 청소를 위해 방을 돌아다닐 때 장애물과 충돌하는 상황에서 작동된다. 이와 같은 로봇의 감지 및 매핑(mapping) 시스템은 신뢰할 수 없을 수도 있고, 때때로 장애물이 시간 내에 검출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충돌 검출 설비는 자동 진공 청소기의 경우에 바람직하다. 다른 로봇 진공 청소기는 충돌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필수적인 '랜덤 바운스(random bounce)' 방법으로 작동한다. 그러므로, 충돌 검출 설비는 로봇이 회피적 작용을 취하도록 충돌을 검출하기 위해 요구된다. 예를 들면, 제어 수단은 단순히 로봇을 역전시킨 다음 다른 방향으로 전진 운동을 재개하도록, 또는 대안적으로 전진 운동을 정지하고, 90° 또는 180° 선회시킨 다음, 전진 운동을 다시 한번 재개하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이한 충돌 상황에서 섀시(4), 본체(6) 및 충돌 검출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 14a, 14b, 14c 및 14d를 참조하여 스위치(180a, 180b)의 작동을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서, 이전의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도 14a는 비충돌 위치에서 본체(6), 섀시(4), 거드전 핀(142), 본체 피벗 개구(140), 스위치(180a, 180b) 및 쐐기형 액츄에이터(182)의 상대 위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180a, 180b)의 어느 것도 도면부호 'X'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되지 않았다.
도 14b는 화살표(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 위치에서 장애물과 충돌하는 로봇(2)을 도시한다. 본체(6)는 직선적으로 후방으로, 즉 축선(L)을 따라 이동이 유발되고, 2 개의 스위치(180a, 180b)는 쐐기형 액츄에이터(182)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체크 마크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스위치(180a, 180b)를 트리거한다.
대안적으로, 도 14c에서 화살표(C)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에 장애물이 충돌한 경우, 본체(6)는 거드전 핀(142)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선회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스위치(180a, 180b)는 액츄에이터(182)에 대해 좌측으로 이동하고, 그 결과 스위치(180b)를 위해 체크 마크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스위치(180a)의 작동 전에 우측 스위치(180b)가 작동된다.
반대로, 로봇(2)이 그 좌측 상에서 장애물과 충돌하는 경우, 도 14d에서 화살표(C)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6)는 우측으로 선회되고, 이 경우 스위치(180a, 180b)는 액츄에이터(182)에 대해 우측으로 이동하고, 그러므로 스위치(180a)를 위한 체크 마크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스위치(180b) 전에 좌측 스위치(180a)가 트리거된다.
도 14c 및 도 14d에 도시된 경사각 충돌에서 스위치(180a, 180b) 중의 하나만이 작동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충돌은 비록 먼저 작동된 스위치보다 이후의 시간이지만 다른 하나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스위치(180a, 180b)는 로봇의 제어 수단에 접속되므로, 이 제어 수단은 스위치(180a, 180b)의 트리거링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충돌의 방향 및 스위치의 트리거링 이벤트 사이의 상대 타이밍을 식별할 수 있다.
로봇(2)은 본체(6)와 섀시(4) 사이의 상대적 선운동 및 각운동의 감지에 의해 충돌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공지된 로봇 진공 청소기에서 일반적인 바와 같은 로봇의 전방에 충돌 셸을 장착할 필요성을 방지한다. 범프 셸은 취약하고 부피가 클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로봇의 강건성을 증대하고, 또한 크기 및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5로 돌아가면, 이것은 로봇의 제어 수단 및 이 제어 수단과 전술한 컴포넌트와의 인터페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어기(200)의 형태로 제어 수단은 적절한 제어 회로 및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그리고 적절한 방식으로 로봇(2)을 구동하기 위한 처리 기능을 포함한다. 제어기(200)는 로봇(2)의 센서 세트(82) 내에 접속되고, 이 수단에 의해 로봇은 인접 환경을 매핑하기 위해 그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청소를 위한 최적의 루트를 계획한다. 메모리 모듈(201)은 제어기의 처리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기에 제공되고, 이 메모리 모듈(201)은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별도의 컴포넌트 대신에 제어기(200) 내에 일체화될 수 있다.
제어기(200)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70), 충돌 검출 수단(206), 및 트랙션 유닛(20) 상에 제공되는 로터리 인코더와 같은 적절한 회전 감지 수단(208)으로부터의 적절한 입력을 갖는다. 전력 및 제어 입력이 제어기(200)로부터 트랙션 유닛(20)에 제공되고, 또한 흡인 모터(210) 및 브러시 바 모터(212)에 제공된다.
마지막으로, 전력 입력이 배터리 팩(214)으로부터 제어기(200)에 제공되고, 충전기 인터페이스(216)가 제공되고 이 수단에 의해 제어기(200)는 배터리 공급 전압이 적절한 한계 미만으로 강하되었을 때 배터리 팩(214)의 충전을 실행할 수 있다.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많은 변형례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트랙션 유닛(20)은 고무 코팅된 연속 벨트 또는 트랙을 가지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많은 개별 트랙이나 트레드 섹션을 체인 형태로 연결한 트랙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위의 실시형태에서, 본체(6)는 섀시를 중심으로 직선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각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충돌이 광범위한 각도로부터 검출될 수 있고, 또 본체가 섀시에 대해 직선방향과 각도방향의 조합 대신에 직선방향 또는 각도방향으로 이동하는 충돌 검출 시스템에 본 발명이 존재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감지 수단은 쐐기형 액츄에이터의 양측에 배치되는 스냅-액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었고, 이와 같은 배열체에 의해
본체는 직선방향(양 스위치가 동시에 작동된 상태)으로 또는 각도방향(하나의 스위치가 다른 스위치 전에 작동된 상태)으로 이동할 때 편리하게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다른 스위치 메커니즘, 예를 들면, 라이트-게이트 스위치 또는 자기/홀 효과 스위치와 같은 무접점 스위치도 가능하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Claims (19)

  1. 자동 표면 처리 기기로서, 본체로서, 외부 평면 프로파일을 한정하고, 상기 본체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내측에 장착되어 청소될 표면을 가로지르는 운동 방향으로 상기 기기를 추진하도록 구성되는 구동 배열체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와 관련되는, 그리고 상기 운동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탑재되는 표면 처리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는 대체로 세장형이고, 상기 본체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각각의 원형 부분에 대해 실질적으로 접선으로 연장되는 측연부를 갖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원형인, 자동 표면 처리 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는 상기 본체의 후방 부분을 횡단하여 연장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의 측연부는 상기 본체의 측부의 각각의 개구를 통해 연장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는 상기 구동 배열체의 후측에 위치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는 상기 섀시 상에 제공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는 상기 섀시에 일체화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종축선을 따라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의 전방으로 연장되는 세장형 소울 플레이트를 한정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제 1 및 제 2 측면 리세스(recess)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 배열체는 제 1 및 제 2 트랙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트랙션 유닛의 각각의 하나는 상기 섀시의 각각의 제 1 및 제 2 측면 리세스 내에 수용될 수 있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는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의 더러운 공기 유입구로부터 착탈 가능한 쓰레기 및 먼지 분리 장치 내로 공기를 흡인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흡인 발생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원을 더 포함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착탈 가능한 쓰레기 분리 장치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개방 플랫폼을 한정하는 전방 부분을 포함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분리 장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고, 상기 본체의 수직 축선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선을 한정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분리 장치는 사이클론 쓰레기 분리 장치인,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분리 장치의 일부는 상기 기기의 외부 평면 프로파일의 일부를 형성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 분리 장치의 일부는 상기 운동 방향의 전방 부분을 초과하여 돌출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섀시 상에 장착되는, 그리고 상기 섀시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한 본체 부분을 포함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상기 흡인 발생기 및 상기 쓰레기 분리 장치는 상기 본체 부분 상에 제공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만곡된 덕트는 상기 섀시 상에 제공된 상기 표면 처리 조립체와 상기 본체 부분의 개방 플랫폼 내에 한정되는 유출 포트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유출 포트는 쓰레기 및 먼지 분리 장치 상에 제공되는 각각의 유입 포트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자동 표면 처리 기기.
  19. 실질적으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또는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 표면 처리 기기.
KR1020147008864A 2011-09-09 2012-08-22 자동 표면 처리 기기 KR201400614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115608.0 2011-09-09
GB1115608.0A GB2494447B (en) 2011-09-09 2011-09-09 Autonomous surface treating appliance
PCT/GB2012/052061 WO2013034886A1 (en) 2011-09-09 2012-08-22 Autonomous surface treating applian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010A Division KR102005006B1 (ko) 2011-09-09 2012-08-22 자동 표면 처리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489A true KR20140061489A (ko) 2014-05-21

Family

ID=449083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864A KR20140061489A (ko) 2011-09-09 2012-08-22 자동 표면 처리 기기
KR1020167003010A KR102005006B1 (ko) 2011-09-09 2012-08-22 자동 표면 처리 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010A KR102005006B1 (ko) 2011-09-09 2012-08-22 자동 표면 처리 기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427123B2 (ko)
EP (1) EP2753223B1 (ko)
JP (1) JP6273086B2 (ko)
KR (2) KR20140061489A (ko)
CN (1) CN102987989B (ko)
AU (1) AU2012306144B2 (ko)
ES (1) ES2691243T3 (ko)
GB (1) GB2494447B (ko)
RU (1) RU2601931C2 (ko)
WO (1) WO2013034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21591B2 (en) 2009-04-10 2016-04-26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s for storage and retrieval systems
US8965619B2 (en) 2010-12-15 2015-02-24 Symbotic, LLC Bot having high speed stability
US8696010B2 (en) * 2010-12-15 2014-04-15 Symbotic, LLC Suspension system for autonomous transports
US9561905B2 (en) 2010-12-15 2017-02-07 Symbotic, LLC Autonomous transport vehicle
US9187244B2 (en) 2010-12-15 2015-11-17 Symbotic, LLC BOT payload alignment and sensing
US11078017B2 (en) 2010-12-15 2021-08-03 Symbotic Llc Automated bot with transfer arm
US9499338B2 (en) 2010-12-15 2016-11-22 Symbotic, LLC Automated bot transfer arm drive system
AU349618S (en) * 2012-09-24 2013-07-04 Dyson Technology Ltd A vacuum cleaner
GB201301578D0 (en) * 2013-01-29 2013-03-13 Dyson Technology Ltd Mobile robot
JP2014230714A (ja) 2013-05-30 2014-12-11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電子機器
KR20220166370A (ko) 2013-09-13 2022-12-16 심보틱 엘엘씨 자율 저장 및 인출 시스템
US9877626B2 (en) * 2014-05-07 2018-01-30 AI Incorporated Horizontal agitator for robotic vacuum
JP6609410B2 (ja) * 2015-01-08 2019-11-20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電子機器
JP6486255B2 (ja) * 2015-09-30 2019-03-20 シャープ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WO2017200344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CN109414143B (zh) 2016-05-20 2021-04-09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吸尘器
US10420448B2 (en) 2016-05-20 2019-09-24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WO2017200349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WO2017200345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481611B2 (en) 2016-05-20 2019-11-19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WO2017200351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WO2017200348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US10463212B2 (en) 2016-05-20 2019-11-05 Lg Electronics Inc. Autonomous cleaner
EP3459692B1 (en) * 2016-05-20 2022-03-30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CN114305209A (zh) 2016-05-20 2022-04-12 Lg电子株式会社 机器人吸尘器
KR101878675B1 (ko) 2016-05-20 201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WO2017200350A1 (ko) 2016-05-20 2017-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
EP4201289A3 (en) 2016-05-20 2023-07-26 LG Electronics, Inc. Robot cleaner
USD813475S1 (en) 2016-06-01 2018-03-20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1939495B1 (ko) 2017-09-21 2019-01-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압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터빈
US20190142233A1 (en) * 2017-11-16 2019-05-16 Irobot Corporation Washable bin for a robot vacuum cleaner
CN108261151B (zh) * 2018-01-16 2024-04-05 智意(中山)科技有限公司 洗地机
CN110115549A (zh) * 2018-02-05 2019-08-13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自移动机器人及其行走方法
KR102080515B1 (ko) * 2018-03-14 2020-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
US10927558B2 (en) * 2018-04-26 2021-02-23 Aqua Products, Inc. Automatic pool cleaner with edge engagement assembly
WO2020037516A1 (zh) * 2018-08-21 2020-02-27 广州艾若博机器人科技有限公司 吸尘导向结构、吸尘机构以及扫地机器人
US11305417B2 (en) * 2019-06-28 2022-04-19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Service robot
ES2875229B2 (es) * 2020-05-04 2022-06-01 Cecotec Res And Development Aparato auto-desplazable de limpieza
GB2605748B (en) * 2021-01-22 2023-07-12 Dyson Technology Ltd A collision detection system for a mobile robot
CN217072349U (zh) * 2021-04-09 2022-07-29 美智纵横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自移动机器人
USD1016416S1 (en) 2022-02-14 2024-02-27 Karcher North America, Inc. Floor cleaning machine
CN115191874B (zh) * 2022-07-14 2023-04-21 盐城师范学院 一种办公垃圾处理机器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8419B2 (ja) * 1989-08-18 1997-09-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H07319542A (ja) * 1994-05-30 1995-12-08 Minolta Co Ltd 自走式作業車
DE69804253T2 (de) * 1997-11-27 2002-11-21 Solar & Robotics Bruessel Brux Verbesserungen bei beweglichen robotern und bei ihren steuerungssystemen
GB2344751B (en) * 1998-12-18 2002-01-09 Notetry Ltd Vacuum cleaner
GB2344745B (en) * 1998-12-18 2002-06-05 Notetry Ltd Vacuum cleaner
GB2344750B (en) * 1998-12-18 2002-06-26 Notetry Ltd Vacuum cleaner
GB9917232D0 (en) * 1999-07-23 1999-09-22 Notetry Ltd Method of operating a floor cleaning device
US6883201B2 (en) 2002-01-03 2005-04-26 Irobot Corporation Autonomous floor-cleaning robot
KR100420171B1 (ko) * 2001-08-07 2004-03-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 청소기와 그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3909576B2 (ja) * 2002-01-30 2007-04-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03310509A (ja) * 2002-04-23 2003-11-05 Hitachi Ltd 自走式掃除機
JP2004267236A (ja) * 2003-03-05 2004-09-30 Hitachi Ltd 自走式掃除機およびそれに用いる充電装置
KR100507926B1 (ko) * 2003-06-30 2005-08-17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로봇청소기의 구동장치
JP2006164101A (ja) * 2004-12-10 2006-06-22 Sharp Corp 自走式移動車
JP2006296697A (ja) * 2005-04-20 2006-11-02 Figla Co Ltd 清掃ロボット
US20070113373A1 (en) * 2005-11-21 2007-05-24 Sharp Kabushiki Kaisha Vacuum cleaner
JP2007151644A (ja) * 2005-12-01 2007-06-21 Sharp Corp 自走式電気掃除機
WO2008009886A1 (en) 2006-07-18 2008-01-24 Dyson Technology Limited Handheld cleaning appliance
ATE517570T1 (de) * 2006-10-20 2011-08-15 Wessel Werk Gmbh Kompaktes saugreinigungsgerät für die autarke reinigung von bodenbeläge
KR101458752B1 (ko) * 2007-05-09 2014-11-05 아이로보트 코퍼레이션 소형 자율 커버리지 로봇
KR101330735B1 (ko) 2007-10-17 2013-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로봇청소기
TWI419671B (zh) * 2009-08-25 2013-12-21 Ind Tech Res Inst 具有掃地與吸塵功能的清潔裝置
EP2420169A1 (en) * 2010-08-19 2012-02-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leaning device as well as a method to control a clea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306144B2 (en) 2015-09-10
CN102987989A (zh) 2013-03-27
EP2753223B1 (en) 2018-07-25
EP2753223A1 (en) 2014-07-16
WO2013034886A1 (en) 2013-03-14
KR102005006B1 (ko) 2019-07-29
JP2013059624A (ja) 2013-04-04
RU2601931C2 (ru) 2016-11-10
ES2691243T3 (es) 2018-11-26
US20130061420A1 (en) 2013-03-14
GB2494447B (en) 2014-02-26
RU2014113918A (ru) 2015-10-20
GB201115608D0 (en) 2011-10-26
CN102987989B (zh) 2016-06-29
JP6273086B2 (ja) 2018-01-31
AU2012306144A1 (en) 2014-03-13
GB2494447A (en) 2013-03-13
US9427123B2 (en) 2016-08-30
KR20160017141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006B1 (ko) 자동 표면 처리 기기
KR101571381B1 (ko) 자동 진공 청소기
KR101613106B1 (ko) 이동 가능한 로봇용 구동 배열체
KR101613107B1 (ko) 자동 표면 처리 기기
KR101571379B1 (ko) 자동 청소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065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202

Effective date: 2018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