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1066A - 박막 전지 - Google Patents

박막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1066A
KR20140061066A KR1020120128221A KR20120128221A KR20140061066A KR 20140061066 A KR20140061066 A KR 20140061066A KR 1020120128221 A KR1020120128221 A KR 1020120128221A KR 20120128221 A KR20120128221 A KR 20120128221A KR 20140061066 A KR20140061066 A KR 20140061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olid electrolyte
current collector
region
th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8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준홍
김종수
임재준
손동은
Original Assignee
스템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템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템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28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1066A/ko
Publication of KR20140061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10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5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flat construction elements, i.e. flat positive electrodes, flat negative electrodes and flat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 및 음극을 사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대기 중에서 안정하고, 에너지 밀도가 개선된 박막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박막 전지는 서로 대향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으로,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2 면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으로,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전류 집전체,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형성된 제2 전류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전해질, 제1 전류 집전체 및 제2 전류 집전체는 대기 중에 노출된다.

Description

박막 전지{Thin film battery}
본 발명은 박막 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 V로서, 전자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 케이스에 결합되는 캡조립체를 포함하고, 전극조립체는 양극판, 음극판, 그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양극판과 음극판은 각각 집전체에 전극 활물질을 코팅하여 제조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액체 또는 폴리머 형태의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반복되는 충방전 반응에 의해 리튬 이온 전지가 팽창을 하고, 폭발할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산화물을 포함하는 양극 및 음극을 사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대기 중에서 안정하고, 에너지 밀도가 개선된 박막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막 전지의 일 태양은 서로 대향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으로,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2 면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으로,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전류 집전체,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형성된 제2 전류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전해질, 제1 전류 집전체 및 제2 전류 집전체는 대기 중에 노출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박막 전지의 다른 태양은 서로 대향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으로,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전류 집전체, 및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2 면 상에 형성된 제2 전류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전해질, 제1 전류 집전체 및 제2 전류 집전체는 대기 중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는 대기 중에 안정한 고체 전해질, 양극 및 음극을 사용하여 전극 조립체를 감싸는 수지 및 케이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는 고체 전해질과 음극 집전체 사이의 음극을 생략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박막 전지(1)은 제1 전류 집전체(100), 제2 전류 집전체(500), 고체 전해질(300), 제1 전극(200) 및 제2 전극(400)을 포함한다.
고체 전해질(300), 제1 전류 집전체(100) 및 제2 전류 집전체(500)는 대기 중에 노출될 수 있다. 즉, 고체 전해질(300), 제1 전류 집전체(100) 및 제2 전류 집전체(500)는 대기 중에 노출되므로, 박막 전지(1)는 보호 수지 및 케이스 없이도 동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 전해질(300)은 제1 면(300a) 및 제2 면(300b)을 포함한다. 고체 전해질(300)의 제1 면(300a) 및 제2 면(300b)은 예를 들어, 서로 대향되어 있을 수 있다. 고체 전해질(300)은 예를 들어, 직육면체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고체 전해질(300)은 제1 전극(200) 및 제2 전극(400)에서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발생된 이온 즉, 리튬 이온(Li)이 이동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액상 전해질 또는 폴리머 전해질을 사용하지 않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박막 전지(1)가 동작 중에 폭발되는 위험을 경감 또는 제거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300)이 도 1과 같이 박막 전지(1)의 베이스 기판으로 사용될 경우, 박막 전지(1)은 기존의 박막 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향상될 수 있다.
고체 전해질(300)은 예를 들어, Li2O-Al2O3-SiO2-P2O5-TiO2-GeO2 또는 Li2O-Al2O3-SiO2-P2O5-TiO2 중 하나의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 전해질(300)은 Li(1+x+y)Alx(Ti, Ge)(2-x)SiyP(3-y)O12의 조성을 갖는 유리계 세라믹 복합 소결체일 수 있다. 여기에서, "유리계 세라믹"이라 함은 비정질 고체 및 결정으로 이루어지고, 유리의 열처리에 의해 결정상(crystal phase)을 유리상(glass phase) 중에 침전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고체 전해질(300)에 포함되는 각각의 물질이 갖는 역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i2O는 Li+ 이온 캐리어를 제공하여 고체 전해질(300)에 리튬 이온 전도도를 부여하기 위한 성분이다. Al2O3는 고체 전해질(300)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결정상 중의 고용체(solid solution)로서 Al3 + 이온을 제공함으로써, 리튬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SiO2는 고체 전해질(300)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결정상에 고용체로서 Si4 + 이온을 제공함으로써, 리튬 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P2O5는 유리를 형성하기 위해 필수적인 성분이며, 결정상을 구성하는 성분이다. TiO2 및 GeO2는 유리의 형성에 기여하고, 결정상을 구성한다. 유리계 세라믹에 있어서, TiO2 및 GeO2는 연속적으로 서로 치환될 수 있다. 유리화(vitrification)를 위해서 TiO2 및 GeO2 중 적어도 하나를 첨가해야 한다.
제1 전극(200)은 고체 전해질(300)의 제1 면(300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00)은 하부에 위치하는 고체 전해질(300)보다 면적이 작을 수 있고, 고체 전해질(300)과 전체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1 전극(200)은 양극일 수 있다. 제1 전극(200)은 활물질(active material)일 수 있고,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00)은 예를 들어, LiCoO2, LiNiO2, LiMn2O4 LiMnO2, LiNixCoyMnZO2, LiFePO4, xLi2MnO3ㆍ(1-x)LiMO2, Li2FeSiO4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류 집전체(100)는 제1 전극(2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류 집전체(100)는 제1 영역(102) 및 제2 영역(1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류 집전체(100)의 제1 영역(102)은 고체 전해질(300)의 제1 면(300a) 상에 형성되어, 하부에 제1 전극(200)이 위치하지 않는다. 즉, 제1 전류 집전체(100)의 제1 영역(102)은 고체 전해질의 제1 면(300a) 바로 위에 형성되어, 고체 전해질(30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류 집전체(100)의 제1 영역(102)은 고체 전해질의 제1 면(300a)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류 집전체(100)의 제2 영역(104)은 제1 전극(200)의 외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전극(200)은 제1 전류 집전체(100) 및 고체 전해질(300)으로 둘러싸여 있다.
제1 전류 집전체(100)는 예를 들어, 양극 전류 집전체일 수 있다. 제1 전류 집전체(100)는 예를 들어, Pt, Au, Al, T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뤄진 합금 등의 금속박 또는 카본 페이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전류 집전체(100)는 산화-환원 반응에 의해 발생한 전자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제2 전극(400)은 고체 전해질의 제2 면(300b)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400)은 상부에 위치하는 고체 전해질(300)보다 면적이 작을 수 있고, 고체 전해질(300)과 전체적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전극(400)은 예를 들어, 음극일 수 있다. 제2 전극(400)은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Li4Ti5O12, TiO2, SiO, Sn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류 집전체(500)는 제2 전극(400)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류 집전체(100)는 제3 영역(502) 및 제4 영역(5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류 집전체의 제3 영역(502)은 고체 전해질의 제2 면(300b) 바로 위에 형성되어, 고체 전해질(300)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류 집전체(500)의 제4 영역(504)은 고체 전해질의 제2 면(300b) 상에서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전류 집전체의 제4 영역(504)은 제2 전극(400)의 외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전극(400)은 제2 전류 집전체(500) 및 고체 전해질(300)로 둘러싸여 있다.
제2 전류 집전체(500)는 예를 들어, 음극 전류 집전체일 수 있다. 제2 전류 집전체(500)는 예를 들어, Cu, Ni, V, Cr, Fe, Zr, Ta, Mn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200) 및 제2 전극(400)은 진공 증착 방법을 이용해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퍼터링 등의 물리적 기상 증착법(Physical Vapor Deposition, PVD)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200) 및 제2 전극(400)의 각각의 두께는 예를 들어, 5nm 내지 5u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제1 전극(200) 및 제2 전극(400)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중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여, 제1 전류 집전체(100)의 제1 영역(102) 및 제2 전류 집전체(500)의 제3 영역(502)은 고체 전해질(300)과 접촉하여 형성된다. 고체 전해질(300)과 접촉되는 제1 영역(102) 및 제3 영역(502)은 제1 방향(DR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전류 집전체(100)의 제1 영역(102) 및 제2 전류 집전체(500)의 제3 영역(502)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체 전해질(300) 상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영역(102)과 제3 영역(502)에 연결되는 외부 단자의 위치에 따라, 제1 영역(102) 및 제3 영역(502)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에서, 제1 전류 집전체(100)의 제1 영역(102) 및 제2 전류 집전체(500)의 제3 영역(502)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류 집전체의 제1 영역(102) 하부에는 제2 전류 집전체의 제3 영역(502)이 위치하지 않아, 제1 영역(102) 및 제3 영역(502)은 비오버랩될 수 있다. 제1 영역(102) 및 제3 영역(50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을 참고하면, 박막 전지(2)는 제1 전류 집전체(100), 제2 전류 집전체(500), 고체 전해질(300) 및 제1 전극(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3)은 고체 전해질(300)과 제2 전류 집전체(500) 사이에 제1 전극(200)에 대응되는 전극(도 1의 400)이 배치되지 않는다.
서로 대향하는 제1 면(300a) 및 제2 면(300b)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3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1 전류 집전체(100) 및 제2 전류 집전체(500)가 배치된다. 즉, 고체 전해질(300)의 제1 면(300a) 상에는 제1 영역(102) 및 제2 영역(104)을 포함하는 제1 전류 집전체(100)가 배치되고, 고체 전해질(300)의 제2 면(300b) 상에는 제2 전류 집전체(500)가 배치된다. 제1 전류 집전체(100)과 고체 전해질의 제1 면(300a) 사이에는 제1 전극(200)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박막 전지에서, 고체 전해질(300), 제1 전류 집전체(100) 및 제2 전류 집전체(500)는 대기 중에 노출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제1 전극(200)은 제1 전류 집전체(100)의 제2 영역(104)에 의해 감싸여, 외부와 차단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전류 집전체의 제1 영역(102)은 고체 전해질의 제1 면(300a) 바로 위에 형성되고, 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전류 집전체(100)는 제1 전극(200)을 감싸는 제2 영역(104)만을 포함하고, 제1 영역(102)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베이스 기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고체 전해질(300)은 예를 들어, Li2O-Al2O3-SiO2-P2O5-TiO2-GeO2 또는 Li2O-Al2O3-SiO2-P2O5-TiO2 중 하나의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 전해질(300)은 Li(1+x+y)Alx(Ti, Ge)(2-x)SiyP(3-y)O12의 조성을 갖는 유리계 세라믹 복합 소결체일 수 있다. 양극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전극(200)은 예를 들어, LiCoO2, LiNiO2, LiMn2O4 LiMnO2, LiNixCoyMnZO2, LiFePO4, xLi2MnO3ㆍ(1-x)LiMO2, Li2FeSiO4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전류 집전체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전류 집전체(100)는 예를 들어, Pt, Au, Al, T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뤄진 합금 등의 금속박 또는 카본 페이퍼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음극 전류 집전체로 사용될 수 있는 제2 전류 집전체(500)는 예를 들어, Cu, Ni, V, Cr, Fe, Zr, Ta, Mn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제1 전류 집전체 200: 제1 전극
300: 고체 전해질 400: 제2 전극
500: 제2 전류 집전체

Claims (10)

  1. 서로 대향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으로,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2 면 상에 형성된 제2 전극으로,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전류 집전체; 및
    상기 제2 전극 상에 형성된 제2 전류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전해질, 제1 전류 집전체 및 제2 전류집전체는 대기 중에 노출되는 박막 전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LiCoO2, LiNiO2, LiMn2O4 LiMnO2, LiNixCoyMnzO2, LiFePO4, xLi2MnO3ㆍ(1-x)LiMnO2, Li2FeSiO4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박막전지.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Li4Ti5O12, TiO2, SiO, SnO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박막 전지.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2O-Al2O3-SiO2-P2O5-TiO2-GeO2 또는 Li2O-Al2O3-SiO2-P2O5-TiO2 중 하나의 군에서 선택되는 박막 전지.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1+x+y)Alx(Ti, Ge)(2-x)SiyP(3-y)O12의 조성을 갖는 유리계 세라믹 복합 소결체인 박막 전지.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의 두께는 각각 5nm 내지 5um인 박막 전지.
  7. 서로 대향되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1 면 상에 형성된 제1 전극으로, 산화물을 포함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 상에 형성된 제1 전류 집전체; 및
    상기 고체 전해질의 제2 면 상에 형성된 제2 전류 집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전해질, 제1 전류 집전체 및 제2 전류 집전체는 대기 중에 노출되는 박막 전지.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은 LiCoO2, LiNiO2, LiMn2O4 LiMnO2, LiNixCoyMnzO2, LiFePO4, xLi2MnO3ㆍ(1-x)LiMnO2, Li2FeSiO4 및 이들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박막 전지.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2O-Al2O3-SiO2-P2O5-TiO2-GeO2 또는 Li2O-Al2O3-SiO2-P2O5-TiO2 중 하나의 군에서 선택되는 박막 전지.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전해질은 Li(1+x+y)Alx(Ti, Ge)(2-x)SiyP(3-y)O12의 조성을 갖는 유리계 세라믹 복합 소결체인 박막 전지.
KR1020120128221A 2012-11-13 2012-11-13 박막 전지 KR20140061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21A KR20140061066A (ko) 2012-11-13 2012-11-13 박막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8221A KR20140061066A (ko) 2012-11-13 2012-11-13 박막 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1066A true KR20140061066A (ko) 2014-05-21

Family

ID=50890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8221A KR20140061066A (ko) 2012-11-13 2012-11-13 박막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10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16686B (zh) 负极、包含该负极的锂二次电池、包含该锂二次电池的电池模块以及制造该负极的方法
KR101085355B1 (ko) 리튬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094991B1 (ko) 리튬 이차 전지
Jetybayeva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solid electrolytes integrated into all-solid-state 2D and 3D lithium-ion microbatteries
JP2009245913A (ja) リチウム電池
JP7154847B2 (ja)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
JP2008226728A (ja) 薄膜固体二次電池及びこれを備えた複合型機器
WO2014170998A1 (ja)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2008112635A (ja) 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034335A (zh) 电化学装置及其形成方法
JP2009199920A (ja) リチウム電池
JP2011044368A (ja) 非水電解質電池
JP2014086174A (ja) 全固体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8078105A (ja)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JP5849543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体、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体の製造方法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10381627B2 (en) Battery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415099B2 (ja) 薄膜固体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7228453A (ja) 全固体電池
CN111342141A (zh) 柔性集合式全固态薄膜电池及其制备方法
JP2012038433A (ja) 薄膜固体二次電池及び薄膜固体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1159467A (ja) 非水電解質電池
JPH0627531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20140061066A (ko) 박막 전지
KR101446677B1 (ko) 전 고체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1093535A (ja) 固体電解質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