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535A -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535A
KR20140059535A KR1020120126091A KR20120126091A KR20140059535A KR 20140059535 A KR20140059535 A KR 20140059535A KR 1020120126091 A KR1020120126091 A KR 1020120126091A KR 20120126091 A KR20120126091 A KR 20120126091A KR 20140059535 A KR20140059535 A KR 201400595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fixed
wall
artificial marb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2883B1 (ko
Inventor
김학윤
신상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12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8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 대리석에 고정되는 연결부재를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에 끼움 고정하되, 인조 대리석의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인조 대리석의 수축/팽창변화에 대응하여 연결부재가 변화하도록 제1부재에 형성된 탄성돌출부와 제2부재에 결합된 멈춤 나사에 의해 연결부재가 변화되게 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제3부재에 외측으로 벌어지게 형성된 경사부에 의해 연결부재와 프레임의 끼움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WALL EXTERIOR SYSTEM USING CONNECTING MEMBER}
본 발명은 인조 대리석 외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절변화에 따라서 인조 대리석이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팽창이 이루어질 때 인조 대리석을 벽체에 연결고정하는 연결부재가 이 수축/팽창에 대응하여 변화되게 함은 물론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에 연결부재의 끼움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한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조 대리석을 이용하여 외장을 신속히 마감처리하기 위해 L형태 등의 앵글(angle)을 앵커 볼트 및 너트로 고정하는 외장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벽체에 L형태의 앵글이 앵커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고, 이 앵글에 평판형 패널이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이 평판형 패널에 인조 대리석 등이 연결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조 대리석이 고정되는 경우, 인조 대리석은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팽창이 되는데, 이 인조 대리석을 벽체에 연결 고정하는 앵커볼트가 수축/팽창되는 것에 대응하여 변형되지 않으므로 이 앵커볼트가 인조 대리석의 변형에 의해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 제KR10-0795458B1의 "건축물의 외장패널고정장치"는 앵커볼트로 앵글형태의 브라켓을 고정하되, 내부에 젤 형태의 에폭시계열 충진물을 이용하여 인조 대리석이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팽창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젤 형태의 충진물을 이용하는 경우, 인조 대리석(외장 패널)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폭시계열의 충진물은 일정한 시간(대략 24시간)이 경과 되어야 완전히 경화되므로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충진물이 경화될 때까지 별도의 지지물을 필요로 하고, 경화가 완료된 후 이 지지물을 제거하여야 하므로 시공절차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KR100795458B1
본 발명은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팽창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조 대리석을 벽체에 고정하는 벽체 외장 시스템에 있어서,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과 인조 대리석 사이에 위치되어 인조 대리석을 프레임에 끼움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연결부재 중 인조 대리석에 고정되는 부재에 탄성 돌출 절곡부를 형성하고, 프레임에 끼움 고정되도록 제1부재와 함께 끼움부를 형성하는 제2부재와 제3부재 중 제2부재에 멈춤 나사를 체결할 수 있게 멈춤나사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연결부재를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에 끼움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끼움부의 입구부를 구성하는 제3부재의 단부를 제1부재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 하여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인조 대리석을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에 간편하게 끼움 조립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부재가 프레임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끼움 고정되어 있어서 인조 대리석이 벽체의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므로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수축/팽창되는 인조 대리석의 변화에 대응하여 연결부재가 적절히 조절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벽체 외장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벽체 외장 시스템의 연결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끼움 고정되도록 벽체에 고정된 프레임을 보여주는 예시사진.
도 5는 인조 대리석의 배면에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사진.
도 6은 도 5의 연결부재에 프레임이 결합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사진.
도 7은 인조 대리석의 배면에 연결부재를 간격지게 결합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도 7의 좌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벽체에 인조 대리석의 시공이 완료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사진.
도 10은 본 발명의 연결부재에 멈춤 나사가 결합된 것 및 확대된 멈춤나사를 보여주는 예시사진.
도 11은 연결부재가 프레임에 결합됐을 때의 초기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연결부재가 상승됐을 때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 및 예시사진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인조 대리석(M)을 벽체(W)에 간편하게 끼움 고정하는 벽체 외장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벽체(W)에 격자형 프레임(F)을 고정하고, 인조 대리석(M)의 배면에 연결부재(1)를 간격지게 고정하며, 연결부재(1)를 격자 형태의 프레임(F)에 끼움 고정하여 인조 대리석(M)을 벽체(W)에 간편하게 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연결부재(1)는 종래와 같이 벽체(W)에 완전히 고정된 것이 아니고 벽체에 고정된 격자형 프레임에 끼움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연결부재(1)는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멈춤나사구멍(21)에 체결된 멈춤 나사(stop vis)(SV)에 의해 끼움결합된 프레임(F)의 상,하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전방에 위치한 부재에 형성된 탄성돌출부(12)에 의해 끼움결합된 프레임(F)에 의해 전방측이 지지되어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로 인조 대리석(M)이 팽창/수축되는 변형에 대응하여 연결부재(1)가 이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벽체 외장 시스템에서 인조 대리석(M)에 고정되어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변형되는 연결부재(1)는 인조 대리석(M)에 고정되는 제1부재(10)와, 연결부재(1)가 격자형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되도록 제1부재(10)의 상부 중앙부분이 제1부재(10)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된 제2부재(20)와, 제2부재(20)로부터 제1부재 하부로 절곡되어 제1부재(10)와 평행한 제3부재(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격자형 프레임(F)은 인조 대리석(M)의 상,하 변부에 간격지게 결합된 연결부재(1)를 끼움 고정하기 위해 가로 및 세로로 교차되게 사각 파이프로 구성된 프레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하 간략히 '프레임(F)'이라 한다.
연결부재(1)의 제1부재(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판체 형태로서 인조 대리석(M)에 고정되도록 좌,우에 다수의 나사구멍(11)이 형성된다(도 2 및 도 5 참조).
상기 제1부재(10)는 연결부재(1)가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되었을 때 벽체(W) 전,후방으로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탄성돌출부(12)가 제2부재(20) 하측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탄성돌출부(12)는 제1부재(10)에 거꾸로된 "U"형 슬롯을 형성하고 슬롯 내측 방향으로, 즉 제3부재(30)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탄성돌출부(12) 하측은 빈 공간인 개구부가 형성되고, 탄성돌출부(12)는 개구부의 전,후방으로 예컨대 제1부재(10)에 연결된 부분을 지점으로 하여 전,후방으로(인조 대리석 방향 및 벽체 방향으로) 회동(pivot)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1)가 인조 대리석(M)에 고정됐을 때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되도록 거꾸로 된 "U"형태를 이루도록 제2부재(20)는 제1부재(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이때 제1부재(10)의 양측은 제2부재(20) 위치의 상방으로 제2부재 의해 분리된 돌출 부분을 갖고, 이 돌출 부분은 나사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20)는 중앙에 멈춤 나사(stop vis)(SV)가 나사체결되도록 멈춤나사구멍(21)이 형성된다.
멈춤 나사(SV)는 머리(head) 부분에 인접된 부분에 소정 높이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포함하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하부로부터 하단부로 나사체결을 위해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멈춤 나사(SV)를 멈춤나사구멍(21)에 완전히 체결하면, 즉 멈춤 나사(SV)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제2부재(20)의 멈춤나사구멍(21)을 완전히 통과하면 멈춤 나사(SV)의 나사산이 없는 부분이 멈춤나사구멍(21)에 위치되어 멈춤 나사(VS)는 상,하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부재(1)가 프레임(F)에 끼움고정되면 멈춤나사(F)의 나사산 끝 단부가 프레임(F)에 지지된다(도 11 참조).
그리고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해 인조 대리석(M)이 수축/팽창할 때 연결부재(1)는 프레임(F)에 멈춤 나사(SV)가 지지된 상태에서 나사산이 없는 부분과 멈춤나사구멍(21)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어 도 12의 상태(멈춤나사(VS)의 헤드 부분 이 제2부재(20)에 접촉 지지된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온도변화에 의해 인조 대리석(M)이 수축/팽창할 때 연결부재(1)는 프레임(F)에 멈춤 나사(SV)가 지지된 상태에서 제2부재(20)가 나사산에 의해 이동이 되지 않을 때까지 하방으로 이동이 이동가능하게 된다(도 12 참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결부재(1)에 결합된 멈춤나사(VS)에 의해 연결부재(1)는 온도 변화에 따라 인조 대리석(M)이 수축/팽창하는 것에 대응하여 프레임(F)에 끼움결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멈춤나사구멍(21)은 멈춤 나사(SV)의 머리부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되, 상기 멈춤 나사(SV)의 나사산이 없는 부분의 외경에 비해 좌우방향의 공차가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멈춤나사구멍(21)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변화에 따라 인조 대리석(M)이 수축/팽창하는 것에 대응하여 프레임(F)에 끼움결합되어 지지된 상태에서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1)의 이동범위는 멈춤나사(SV)의 나사산이 없는 높이 에 좌우된다. 나사산이 없는 높이는 약 4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멈춤나사(SV)의 나사산이 있는 부위는 프레임(F)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약 6~13 mm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멈춤나사(SV)의 나사산이 없는 부위의 직경은 나사산이 있는 부위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사산이 없는 부위의 직경은 약 5Φ, 나사산이 있는 부위의 직경은 4.0~4.2Φ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부재(1)가 인조 대리석(M)에 고정됐을 때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되도록 거꾸로된 "U" 형태를 이루도록 제3부재(30)는 제2부재(20)로부터 제1부재(10)의 하부로 평행하게 제2부재(20)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된다.
또한 제3부재(30)는 하단부의 인접부분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경사부(31)가 형성된다. 이 경사부(31)에 의해 연결부재(1)의 입구부분은 프레임(F)과의 끼움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이다. 제3부재(30)의 경사부(31)는 제1부재(10)의 탄성돌출부(12)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벽체 외장 시스템에서 연결부재(1)를 이용하여 인조 대리석을 설치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벽체(W)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 처리하는 인조 대리석(M)의 치수에 따라 적절한 치수의 프레임(F)을 벽체(W)에 고정한다(도 4 참조).
이후 인조 대리석(M)의 배면 상,하부에 연결부재(1)를 간격지게 나사(S)로 고정한다.
예컨대, 상기 연결부재(1)는 상기 인조 대리석(M)의 배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와 하부의 연결부재(1)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해줄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를 인조 대리석(M)의 상,하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경우, 상하 인접하게 설치되는 인조 대리석(M) 간에 상기 연결부재(1)가 서로 간섭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상, 하측의 연결부재(1)는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7 참조)
이와 같이 연결부재(1)가 고정된 인조 대리석(M)은 도 8에 측면도로 예시된 바와 같이 인조 대리석을 프레임(F)에 걸어서 끼움 고정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연결부재(1)가 고정된 인조 대리석(M)을 프레임(F)의 조립 위치 상방으로 들어올려 조립위치를 확인한 후 인조 대리석(M)을 하방으로 잡아당기거나 눌러서 연결부재(1)의 입구부를 프레임(F)에 끼움 고정한다(도 6 참조). 끼움고정할 때 연결부재(1)의 제3부재(30)에 형성된 경사부(31)가 외측 방향으로 벌어져 있으므로 연결부재(1)의 입구부 내측으로 프레임(F)으로의 초기 끼움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때 이와 같이 프레임(F)에 끼움결합된 연결부재(1)는 제1부재(10)의 탄성돌출부(12)에 의해 전방이 탄력적으로 지지되고, 멈춤 나사(SV)에 의해 프레임(F)으로의 하방 이동이 제한되며, 후방은 제3부재(30)에 의해 후방이 지지된다(도 10 참조).
또한 연결부재(1)가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됐을 때 제2부재(20)의 멈춤나사구멍(11)에 멈춤 나사(SV)가 체결된 멈춤 나사(SV)를 조이거나 풀어서 인조 대리석(M)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인조 대리석(M)의 끼움 고정을 순차적으로 하여 인조 대리석(M)의 시공을 완료한다.
시공시에 인조 대리석(M) 사이는 약간의 틈새, 예컨대 3mm 정도의 틈새로 간격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간격지게 시공된 벽체 외장 시스템에서, 인조 대리석(M)이 온도 변화에 따라 팽창/수축될 때 인조 대리석(M)에 고정되어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된 연결부재(1)도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인조 대리석(M)과 벽체(W) 사이에 위치된 연결부재(1)의 파손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인조 대리석 등으로 벽체 외장을 미려하게 하는 벽체 외장 시스템에 적용가능하다.
1: 연결부재 10: 제1부재
11: 나사구멍 12: 탄성돌출부
20: 제2부재 21: 멈춤나사구멍
30: 제3부재 31: 경사부
W: 벽체 M: 인조 대리석
S: 나사 SV: 멈춤 나사
F: (격자형)프레임

Claims (11)

  1. 벽체(W)를 인조 대리석으로 마감처리하는 벽체 외장 시스템에 있어서,
    벽체(W)에 격자형 프레임(F)을 고정하고,
    인조 대리석(M)의 배면에 연결부재(1)를 간격지게 고정하며,
    연결부재(1)를 격자형 프레임(F)에 끼움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는 부재 상부면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된 멈춤나사(stop vis)(SV)에 의해 상기 프레임(F)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전방에 위치한 부재에 형성된 탄성돌출부(12)에 의해 상기 프레임(F)의 전방측이 지지되어 온도변화에 따라 인조 대리석(M)이 팽창/수축되는 변형에 대응하여 연결부재(1)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는 벽체(W)에 고정되는 제1부재(10)와, 연결부재(1)가 격자형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되도록 제1부재(10)의 상부 중앙부분이 제1부재(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제2부재(20)와, 제2부재(20)로부터 제1부재(10) 하부로 연장되어 제1부재(10)와 평행한 제3부재(30)에 의해 거꾸로 된 "U"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의 제1부재(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판체 형태로서 인조 대리석(M)에 고정되도록 좌,우에 다수의 나사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의 제1부재(10)는 연결부재(1)가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됐을 때 벽체(W) 전,후방으로 탄력적으로 고정되도록 탄성돌출부(12)가 제2부재(20) 하측 방향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출부(12)는 제1부재(1)에 제2부재(20) 하측으로, 제3부재(30)방향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제1부재(10)에 연결된 부분을 지점으로 회동(pivo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는 상기 인조 대리석(M)의 배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되, 상기 상부와 하부의 연결부재(1)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나사(stop vis)(SV)는 머리(head)에서 하측으로 소정 길이로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과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나사(stop vis)(SV)의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길이는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보다 짧고,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의 직경은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의 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 대리석(M)을 상기 격자형 프레임(F)을 끼움 고정할 때는 인조 대리석(M) 간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10. 벽체(W)를 인조 대리석으로 마감처리하는 벽체 외장 시스템에 있어서,
    벽체(W)에 격자형 프레임(F)을 고정하고,
    인조 대리석(M)의 배면에 연결부재(1)를 간격지게 고정하며,
    연결부재(1)를 격자형 프레임(F)에 끼움 고정하되,
    연결부재(1)는 인조 대리석(M)에 고정되는 제1부재(10)와, 연결부재(1)가 격자형 프레임(F)에 끼움 고정되도록 제1부재(10)의 상부 중앙부분이 제1부재(10)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제2부재(20)와, 제2부재(20)로부터 제1부재 하부로 연장되어 제1부재(10)와 평행한 제3부재(30)에 의해 거꾸로 된 "U"형태로 구성되고,
    제2부재(20)는 연결부재의 상방에 위치하고, 멈춤나사구멍(21)에 체결된 멈춤나사(stop vis)(SV)에 의해 끼움 결합된 프레임(F)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제1부재(10)는 제2부재(20) 하측에 형성된 탄성돌출부(12)에 의해 프레임(F)의 전방측이 지지되게 구성되어 온도변화에 따라 인조 대리석(M)이 팽창/수축되는 변형에 대응하여 연결부재(1)가 상,하 및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나사구멍(21)은,
    상기 멈춤 나사(SV)의 머리부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되되, 상기 멈춤 나사(SV)의 나사산이 없는 부분의 외경에 비해 좌우방향의 공차가 크게 형성되는 장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KR1020120126091A 2012-11-08 2012-11-08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KR101512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91A KR101512883B1 (ko) 2012-11-08 2012-11-08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6091A KR101512883B1 (ko) 2012-11-08 2012-11-08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535A true KR20140059535A (ko) 2014-05-16
KR101512883B1 KR101512883B1 (ko) 2015-04-16

Family

ID=5088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6091A KR101512883B1 (ko) 2012-11-08 2012-11-08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8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103A (zh) * 2014-12-03 2015-03-11 深圳市特艺达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装饰工程室内木饰面板的安装方法和安装结构
KR101869535B1 (ko) * 2018-02-05 2018-06-20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차양 구조체
CN115162657A (zh) * 2022-08-04 2022-10-1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洁净室金属壁板安装方法
KR102632075B1 (ko) * 2022-11-28 2024-02-01 오방석 고정볼트를 이용한 벽체 마감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353Y1 (ko) 2003-06-03 2003-08-21 (주)대경강건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05103A (zh) * 2014-12-03 2015-03-11 深圳市特艺达装饰设计工程有限公司 一种装饰工程室内木饰面板的安装方法和安装结构
KR101869535B1 (ko) * 2018-02-05 2018-06-20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조립 및 유지보수가 간편한 차양 구조체
CN115162657A (zh) * 2022-08-04 2022-10-11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洁净室金属壁板安装方法
CN115162657B (zh) * 2022-08-04 2023-10-27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洁净室金属壁板安装方法
KR102632075B1 (ko) * 2022-11-28 2024-02-01 오방석 고정볼트를 이용한 벽체 마감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883B1 (ko) 2015-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883B1 (ko) 연결부재를 이용한 벽체 외장 시스템
JP6607919B2 (ja) 表面被覆材ならびにそのような表面被覆材のためのクリップ
JP4967533B2 (ja) 薄型ディスプレイの壁掛け装置および壁掛け方法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101244981B1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KR20150144561A (ko) 건축물 벽체의 단열재와 외장패널 설치구조
KR101200596B1 (ko) 기설치된 이중 마루의 내진 보강장치 및 그 설치방법
US20130048744A1 (en) Fluid control apparatus
JP2008125228A (ja) バスダクト支持装置
KR20170000819A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070107944A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20150033137A (ko) 노출 콘크리트 패널 어셈블리
KR102444536B1 (ko) 가압 고정식 벽면고정장치
KR20160101427A (ko) 조적 벽체용 배전함 지지대
KR200477827Y1 (ko) 커튼 높낮이 조절 브라켓
JP6342713B2 (ja) 免震すべり支承設置装置
KR20090129301A (ko) 건물 외부 장식재 시공을 위한 장식재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7353143B2 (ja) トイレ用壁埋込型操作器の取付構造
KR200421885Y1 (ko) 건축 외장재 고정용 패스너
JP2009299275A (ja) 移動可能な間仕切り壁
KR101711556B1 (ko) 칸막이 판넬과 도어 설치용 고정 프레임
JP2008136353A (ja) 配線用ボックス装置
JP6329498B2 (ja) 屋外設置機器の設置装置
KR200247957Y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