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7623A - 약제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7623A
KR20140057623A KR20147007788A KR20147007788A KR20140057623A KR 20140057623 A KR20140057623 A KR 20140057623A KR 20147007788 A KR20147007788 A KR 20147007788A KR 20147007788 A KR20147007788 A KR 20147007788A KR 20140057623 A KR20140057623 A KR 20140057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e
cassette
rotor
rotation direction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0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유키 기쿠치
Original Assignee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8319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4005762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76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2Pill coun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제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지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제 취출 장치(100)는, 모터(123)와, 모터(123)에 접속되는 토크 리미터(131)와, 토크 리미터(131)에 접속되는 카세트의 로터를 구비한다. 모터(123)는 로터를 제1 회전 방향 및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약제 취출 장치{DRUG RETRIEVAL DEVICE}
본 발명은 약제 취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정제를 취출하기 위한 약제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약제 취출 장치는, 예컨대 특허 국제 공개 WO2001/060726(특허문헌 1) 및 특허 국제 공개 WO2003/042042(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약제를 배출하기 위해 모터를 회전시켜도 배출 검지 수단이 정상 상태의 약제 배출을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 모터를 역회전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로터에 소정의 값 이상의 제동력이 작용하면, 동력 차단부에 의해 모터로부터의 동력을 차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국제 공개 제2001/060726호 특허문헌 2: 국제 공개 제2003/042042호
특허문헌 1에서는, 약제가 심하게 막히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모터를 역회전시켜도 약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 없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약제가 심하게 막히는 것을 회피할 수 있지만, 약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약제의 막힘을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는 약제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는, 회전 동력원과, 회전 동력원에 접속되어 회전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소정의 값을 넘으면 회전력의 전달을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와, 토크 리미터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취출 가능한 로터를 구비하고, 로터를 제1 회전 방향 및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는, 회전 동력원과, 회전 동력원에 접속되어 회전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소정의 값을 넘으면 회전력의 전달을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를 구비하며, 토크 리미터는,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취출 가능한 로터에 접속되고, 로터를 제1 회전 방향 및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약제 취출 장치에 있어서는, 토크 리미터가 마련되기 때문에, 약제가 막혀 로터의 회전 저항이 커졌을 때에는 로터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약제의 막힘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막힌 경우에는 로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약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로터의 제1 및 제2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는, 제2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다.
바람직하게는, 로터를 제1 회전 방향으로 제1 시간 회전시킨 후, 제2 회전 방향으로 제2 시간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로터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약제가 취출되지 않으면 제2 회전 방향으로 로터를 회전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카세트가 장착된 약제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약제 취출 장치로부터 카세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중의 화살표 Ⅲ-Ⅲ선을 따라 취한 약제 취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에 장착되는 카세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모터 및 토크 리미터를 포함하는 카세트 베이스와, 카세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모터, 톱니바퀴 및 토크 리미터를 포함하는, 카세트 베이스 내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프론트 패널이 개방되어 호퍼가 노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약제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약제를 안내하는 호퍼와, 호퍼 유지 부재가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호퍼가 제거된 약제 취출 장치 내에 있어서의 셔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 중의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셔터 및 약제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셔터의 조립 절차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상판, 하판, 셔터 가이드 및 카세트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셔터의 조립 절차에 있어서의 최종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하판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와, 상판에 결합하는 코일 스프링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는, 도 12 중의 ⅩⅢ로 둘러싼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조립된 셔터의 바닥면도이다.
도 15는 톱니바퀴 및 피결합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카세트 가이드와 카세트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약제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대응하는 약제 취출 장치 및 카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커버 부재가 부착된 카세트에 약제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약제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응하는 약제 취출 장치 및 카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1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의 약제 취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카세트의 로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을 시키는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2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의 약제 취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에 대해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각 실시형태를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카세트가 장착된 약제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해 보면, 약제 카운터로서의 약제 취출 장치(100)는, 프론트 패널(114)을 갖는다. 프론트 패널(114)에는, 조작 패널이 마련되고, 조작 패널에는, 표시부(111)와 입력부(112)가 마련된다. 표시부(111)는, 카운트된 약제의 개수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입력부(112)에는, 복수의 키(113)가 마련되어 있고, 조작자는, 키(113)에 의해, 약제 취출 장치(100)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약제 취출 장치(100)의 하부에는 USB 단자(115), 베이스(116) 및 전원 스위치(117)가 배치되어 있다. USB 단자(115)에는, 메모리를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116)는 약제 취출 장치(100)로부터 지급되는 약제를 수납하기 위한 용기가 배치되는 부분이다. 전원 스위치(117)는, 약제 취출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력의 온/오프를 행하기 위한 장소이다.
카세트 베이스(210)에는 카세트(250)가 결합된다. 카세트(250)에는, 약제가 수납된다. 카세트(250) 내에는, 로터가 마련되고, 이 로터를 회전시킴으로써, 카세트로부터 약제를 취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나타내는 약제 취출 장치로부터 카세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해 보면, 카세트(250)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카세트 베이스(210)에, 톱니바퀴(221)가 노출된다. 안내부(222)는 카세트(250)를 안내하기 위한 부재이다. 톱니바퀴(221)는, 카세트(250) 내의 로터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구성한다.
도 3은 도 2 중의 화살표 Ⅲ-Ⅲ선을 따라 취한 약제 취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해 보면, 약제 취출 장치(100) 상부에는, 카세트 베이스(210)가 부착되어 있다. 카세트 베이스(210)에는, 피압박부(213)가 마련되어 있다. 피압박부(213)를 압박함으로써, 약제를 하방으로 안내하는 슈트(121)를 슈트 유지부(122)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카세트 베이스(210)에는, 약제 검출 센서(212)가 마련되어 있다. 약제 검출 센서(212)는, 약제 검출 센서(212) 앞을 통과하는 약제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걸림 후크(211)가 카세트 베이스(210)에 부착되어 있다. 걸림 후크(211)는 카세트(250)와 결합되어 카세트(250)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카세트를 구동시키는 동력 전달 경로에는, 모터(123), 토크 리미터(131) 및 톱니바퀴(221)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123)는, 로터를 회전시키는 회전 동력원이며, 로터를, 제1 회전 방향인 정회전 방향 및 제1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인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123)는, 후술하는 제어부(800)에 의해, 로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도록 제어된다.
모터(12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은, 토크 리미터(131)를 경유하여 톱니바퀴(221)에 보내진다.
토크 리미터(131)는, 모터(12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의 토크를 제한하기 위한 기구이다. 동력 차단부인 토크 리미터(131)는, 로터와 모터(123) 사이의 동력 전달 경로에 개재되며, 로터와 모터(123) 사이에 설정 토크를 넘는 토크가 생기면, 모터(123)로부터의 동력을 차단한다.
프론트 패널(114) 이면에는, 기판(124)이 마련되어 있고, 프론트 패널(114)의 입력부(112)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기판(124) 내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된다.
약제 취출 장치(100) 중앙부에는 호퍼(119)가 마련되어 있다. 호퍼(119)의 상류측에 슈트(121)가 위치하고, 호퍼(119)의 하류측에 셔터(125)가 배치되어 있다.
셔터(125)는 호퍼(119)로부터 하측으로의 약제의 낙하를 허용 및 금지하는 부재이다. 셔터(125) 아래에는 베이스(116)에 카세트가 놓여지고, 셔터(125)가 개방됨으로써 호퍼(119) 내의 약제가 카세트에 보내진다.
셔터(125) 근방에는 카세트 가이드(126) 및 피압박부(127)가 마련되어 있다. 셔터(125)의 움직임은 피검출부(128) 및 셔터 검출 센서(129)에 의해 검출되고 있으며, 예컨대 셔터(125)가 개방되어 호퍼(119)로부터 약제가 낙하하는 것 같은 상황에 있어서는 카운트를 행하지 않는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에 장착되는 카세트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해 보면, 카세트 베이스(210)에는, 카세트 유지부(223)가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 유지부(223)에는 영구 자석(224)이 매립되어 있고, 영구 자석(224)에 의해 카세트(250)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카세트 유지부(223)는, 도 4 중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다. 이 슬라이드량은, 긴 구멍(225)에 의해 조정된다. 카세트 유지부(223)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함으로써, 카세트의 형상 및 치수에 적합한 위치에 카세트 유지부(223)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톱니바퀴(221)는, 토크 리미터에 접속된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걸림 후크(211)를 마련함으로써, 톱니바퀴(221)가 정회전 및 역회전하였다고 해도, 카세트가 카세트 베이스(210)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모터 및 토크 리미터를 포함하는 카세트 베이스와, 카세트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해 보면, 결합부에는, 걸림 후크(211)와 피걸림부(252)가 맞물려 있다. 이에 의해, 카세트 베이스(210)로부터 카세트(250)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모터(123)로부터 전달된 회전 동력은 토크 리미터(131)에 전해진다. 그리고 토크 리미터(131)는 로터(251)와 톱니바퀴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로터(251)가 회전함으로써, 카세트(250) 내에 수납된 약제가 약제 검출 센서(212)를 경유하여 하측 방향으로 배출된다.
모터(123)는 정회전 및 역회전의 회전력을 로터(251)에 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어느 쪽의 방향으로 회전하였다고 해도, 걸림 후크(211)와 피걸림부(252)가 맞물림으로써, 카세트(250)가 카세트 베이스(2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모터, 톱니바퀴 및 토크 리미터를 포함하는, 카세트 베이스 내에 있어서의 동력 전달 경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해 보면, 모터(123)의 회전 동력은 톱니바퀴(132)에 전해진다. 이 톱니바퀴(132)는 모터(123)의 출력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톱니바퀴(132)는 다른 톱니바퀴(133)와 맞물린다. 이 중간의 톱니바퀴(133)는 샤프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톱니바퀴(133)는 다른 톱니바퀴(134)와 맞물린다. 톱니바퀴(134)는, 토크 리미터(131)의 외륜 부재와 일체로 회전한다. 토크 리미터(131)의 내륜 부재는 출력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토크 리미터(131)의 내륜 부재와 외륜 부재 사이에는 토크 발생 부재(코일 스프링)가 개재되어 있다. 내륜 부재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마찰이 생기도록 코일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정역 양방향의 회전에 있어서, 설정 토크를 넘는 토크가 작용하면, 내륜 부재 및 외륜 부재와의 사이에서 슬립이 생겨, 동력의 전달이 차단된다.
상기 중간의 톱니바퀴(133)는, 반드시 마련할 필요는 없고, 상기 중간의 톱니바퀴(133)를 생략하여, 모터(123)의 출력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톱니바퀴(132)와 토크 리미터(131)의 외륜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는 톱니바퀴(134)가 맞물리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3개의 톱니바퀴(132, 133, 134)를 전부 생략하여, 모터(123)의 출력 샤프트가 토크 리미터(131)의 외륜 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7은 프론트 패널이 개방되어 호퍼가 노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약제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해 보면, 프론트 패널(114)은 힌지(141)에 의해 본체에 부착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114)이 자중(自重)에 의해 폐쇄되어 버리는 일이 없도록, 힌지(141)의 회동축은 연직 방향으로 된다.
프론트 패널(114)이 개방되면 약제 취출 장치(100) 내의 호퍼(119) 및 자석(118)이 노출된다. 자석(118)은 프론트 패널(114)을 자력에 의해 끌어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셔터(125)가 호퍼(119)의 하측에 위치하고, 개구(125c)가 호퍼(119)의 개구측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8은 약제를 안내하는 호퍼와, 호퍼 유지 부재가 떨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해 보면, 호퍼(119)에는 피그립부(119a)를 마련된다. 피그립부(119a)를 인출함으로써, 호퍼(119)를 약제 취출 장치(100)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호퍼(119)는, 호퍼 유지 부재(171)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호퍼 유지 부재(171)의 개구(172)는 슈트(121)에 연통되어 있다. 호퍼 검출 센서(173)가 호퍼 유지 부재(171)에 마련되어 있고, 호퍼(119)의 피검출 부재(119b)가 호퍼 검출 센서(173)에 검출됨으로써, 호퍼(119)가 정상적인 위치에 위치 결정된 것을 인식한다. 또한, 호퍼(119)가 정상적인 위치에 위치 결정되었다고 인식되지 않는 경우에는, 약제의 카운트를 시작하지 않는 것이 가능하다.
호퍼(119)는, 일부 또는 전부를 투명하게 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프론트 패널(114)을 개방하는 것만으로, 호퍼(119) 내에 약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호퍼(119)를 약제 취출 장치(100)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다.
다른 예로서는, 또한, 호퍼(119)의 상측에 조명을 마련하고, 셔터(125)를 투명하게 하며, 베이스(116)의 상면에 거울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에 의해 조작자는, 프론트 패널(114)을 개방하는 일없이, 호퍼(119) 내에 약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호퍼가 제거된 약제 취출 장치 내에 있어서의 셔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 중의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에서 본 셔터 및 약제 취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해 보면, 셔터(125)는, 상판(125a)과 하판(125b)을 갖는다. 상판(125a) 및 하판(125b)에는 개구(125c)가 마련되어 있다.
하판(125b)에는 긴 구멍(148)이 마련되어 있고, 긴 구멍(148)을 피검출 부재(128)(도 3)가 관통하고 있다.
셔터(125)의 상판(125a)은 코일 스프링(149)에 의해 압박되어 있으며, 피압박부(127)가 조작자에 의해 손으로 압박되면, 코일 스프링(149)이 신장된다. 압박이 멈추면, 코일 스프링(149)이 수축하는 힘에 의해, 상판(125a)은 도 9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하판(125b)의 하측에는 카세트 가이드(126)가 마련되어 있다. 상판(125a)에는 피압박부(125e)가 마련되어 있다. 카세트로 피압박부(125e)를 압박함으로써 개구(125c)가 개방되어 약제를 낙하시킬 수 있다.
또한 카세트 가이드(126)에는 삽입 구멍(126a)이 마련되고, 피압박부(127)에는 관통 구멍(127a)이 마련된다. 관통 구멍(127a)과 삽입 구멍(126a)이 일치한 상태에서 관통 구멍(127a)을 통해 삽입 구멍(126a)에 핀을 삽입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셔터(125)의 개구(125c)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은 셔터의 조립 순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상판, 하판, 셔터 가이드 및 카세트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해 보면, 셔터를 구성하는 상판(125a), 하판(125b), 셔터 가이드(192) 및 카세트 가이드(126)는 볼트(191)에 의해 체결된다. 셔터 가이드(192)는 상판(125a)의 측면측으로부터 상판(125a)에 감합(嵌合)된다.
도 12는 셔터의 조립 순서에 있어서의 최종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하판에 나사 결합하는 나사와, 상판에 결합되는 코일 스프링의 접속 부분을 나타내는, 도 12 중의 ⅩⅢ로 둘러싼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조립된 셔터의 바닥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해 보면, 최종 공정에 있어서는, 카세트 가이드(126)를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카세트 가이드(126)를 위치 결정한다. 도 13을 참조해 보면, 상판(125a)의 단부에 코일 스프링(149)을 걸어 맞추며, 나사(193)에 코일 스프링(149)을 결합한다. 이에 의해, 코일 스프링(149)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해 보면, 피압박부(125e)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피압박부(125e)를 안쪽 방향으로 압박함으로써, 개구(125c)가 개방된다.
도 15는 톱니바퀴 및 피걸림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카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해 보면, 카세트(250)는 톱니바퀴(259)를 갖는다. 톱니바퀴(259)가 회전함으로써, 카세트(250) 내의 로터도 회전한다. 피걸림부(252)는, 도 5에서 나타내는 걸림 후크(211)와 결합된다.
도 16은 카세트 가이드와 카세트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는 약제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대응하는 약제 취출 장치 및 카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해 보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카세트 가이드(126)보다, 피압박부(125e)의 하측으로의 돌출량이 작다. 이 때문에, 도 16 및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카세트 가이드(126) 사이에 카세트(250)가 감합된 경우에만 카세트(250)가 피압박부(125e)를 압박하여 셔터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카세트 가이드(126)의 하측으로의 돌출량보다 피압박부(125e)의 하방으로의 돌출량이 큰 경우에는, 2개의 카세트 가이드(126) 사이에 빈틈없이 카세트(250)가 감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카세트(250)가 피압박부(125e)를 압박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카세트(250)가 틀어진 상태로 셔터를 개방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지만,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100)에서는 상기 위험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8은 커버 부재가 부착된 카세트에 약제를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약제 취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대응하는 약제 취출 장치 및 카세트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해 보면, 카세트(250)를 셔터에 압박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는, 카세트(250) 상에 커버 부재(300)를 마련한다. 이 경우, 카세트(250)를 베이스(116)의 상면에 배치하고, 카세트(25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도 18 및 도 19에서 나타낸 위치에 카세트(250)를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300)를 마련함으로써, 약제가 튀어오르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커버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해 보면, 커버 부재(300)는 개구(301)를 갖는다. 개구(310)가 셔터와 대면하여, 셔터로부터 배출된 약제가 개구(301)를 경유하여 카세트(250)에 보내진다.
도 21은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1을 참조해 보면, 약제 취출 장치(100)는, 기판(124)과, 기판(124)에 접속되는 퓨즈(311)를 갖는다. 퓨즈(311)는, 과전류가 흐르면 용단(溶斷)되어 기판(124)을 보호한다. 퓨즈(311)는 본체에 조립되고,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댑터 수용부(312)에 접속되어 있다. 기판(124)에 전원(314)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AC 어댑터(313)가 고장난 경우나, 잘못해서 다른 AC 어댑터를 접속한 경우라도 퓨즈(311)가 용단됨으로써 기판(124)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 회로를 갖는 AC 어댑터(313)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퓨즈(311)를 마련할 필요가 없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퓨즈(311)가 조립되어 있으면, AC 어댑터의 사양에 불구하고, 즉 보호 회로가 없는 AC 어댑터가 잘못 이용되어도 기판(124)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2는 실시형태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약제 취출 장치(100)는, 낙하하는 약제를 검출하는 약제 검출 센서(212)와, 셔터가 개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셔터 검출 센서(129)와, 호퍼가 정확하게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호퍼 검출 센서(173)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12)와, 로터를 구동시켜 약제를 배출하기 위한 모터(123)와, 어떠한 운전이 행해지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표시부(111)와, 소정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로서의 USB 단자(115)와, 약제 검출 센서(212), 셔터 검출 센서(129), 호퍼 검출 센서(173) 및 입력부(112)로부터 정보가 입력되고, 이들에 기초하여 모터(123), 표시부(111) 및 USB 단자(115)를 제어하는 제어부(800)를 갖는다.
셔터 검출 센서(129) 및 호퍼 검출 센서(173)는 셔터의 개폐 및 호퍼의 장착, 비장착을 검출한다. 셔터가 개방되어 있을 때, 또는 호퍼가 비장착일 때는, 스타트 키를 눌러도 동작을 시작하지 않도록 제어부(800)가 제어한다. 설정에 따라서는, 셔터의 개폐에 상관없이 약제의 카운트를 시작하여도 좋다.
입력부(112)에는, 수치 키, 스타트 키, 스톱 키, 클리어 키 및 모드 키가 마련되고, 수치 키를 누르면 수치가 입력되며, 스타트 키를 누르면 동작이 시작되고, 스톱 키를 누르면 동작이 일시 정지하며, 클리어 키를 누르면 동작의 취소 및 에러 해제가 이루어지고, 모드 키를 누르면 모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드의 전환으로서, 전수(全數) 취출 모드와 지정수 취출 모드가 있으며, 전수 취출 모드에서는, 카세트 내의 모든 약제를 계수하고, 지정수 취출 모드에서는, 카세트로부터 약제를 지정수만큼 불출(拂出)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표시부(액정 표시부)(111)에서는, 약제수, 카세트 번호, 메시지 및 로터의 회전 속도가 표시된다. 전수 취출 모드 시는 약제수는 0부터 카운트 업한다. 지정수 취출 모드 시는 약제수는 지정수부터 카운트 다운한다. 회전 속도의 표시는 H(고속), M(중속) 및 L(저속)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USB 단자(115)에서는, 데이터 출력 일시와 카세트 번호와 약제수를 관련지은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800)는, 로터의 회전 속도의 설정을 변경 가능하다. 로터의 회전 속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11)에 표시된다. 로터의 회전 속도는, 로터의 정회전 속도이다. 로터의 회전 속도는, 로터의 정회전 속도에 한정되지 않고, 로터의 역회전 속도를 포함하여도 좋다. 어느 경우든, 제어부(800)는, 로터의 역회전 속도를, 로터의 정회전 속도보다 느리게 한다.
도 23은 실시예 1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의 약제 취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도 23의 단계 S11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제어를 시작한다. 그리고 단계 S12에 있어서 타이머 세팅이 이루어진다. 단계 S13에 있어서, 약제가 낙하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약제가 낙하하면(단계 S13에 있어서 「YES」), 단계 S12로 되돌아간다. 단계 S13에 있어서 약제가 낙하하지 않으면(단계 S13에 있어서 「NO」), 단계 S14에 있어서 T1 시간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T1 시간은 예컨대 20초로 된다. T1 시간 경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4에 있어서 「NO」) 단계 S1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14에 있어서 T1 시간 경과되어 있으면(단계 S14에 있어서 「YES」) 단계 S15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제어를 종료한다.
도 24는 카세트의 로터를 정회전 및 역회전을 시키는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의 흐름은, 모터 구동 제어를 상세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도 23에 있어서의 단계 S11에 있어서 모터 구동 제어가 시작되면, 단계 S21에 있어서 정회전이 시작된다. 그리고 단계 S22에 있어서 타이머의 세팅이 이루어진다. 단계 S23에 있어서 T2 시간 경과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23에 있어서 T2 시간 경과되어 있지 않으면(단계 S23에 있어서 「NO」), 재차 단계 S2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23에 있어서 T2 시간 경과되어 있으면(단계 S23에 있어서 「YES」), 단계 S23에 있어서 정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단계 S23에 있어서 역회전이 시작된다. 단계 S26에 있어서 타이머가 세팅된다. 단계 S23에 있어서의 T2 시간은, 예컨대 10초로 한다.
단계 S27에 있어서 T3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T3 시간은 예컨대 5초로 한다. 단계 S27에 있어서 T3 시간 경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27에 있어서 「NO」) 재차 단계 S27로 되돌아간다. 단계 S27에 있어서 T3 시간 경과되어 있으면(단계 S27에 있어서 「YES」) 단계 S28에 있어서 역회전이 정지된다.
도 25는 실시예 2에 따른 약제 취출 장치의 약제 취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해 보면, 실시예 2에서는, 우선 단계 S31에 있어서 정회전 동작이 시작된다. 그리고 단계 S32에 있어서 타이머의 세팅이 이루어진다. 단계 S33에 있어서, 카세트로부터 약제가 낙하한 것이라면(단계 S33에 있어서 「YES」), 단계 S34에 있어서 역회전 횟수를 0으로 리셋한다. 단계 S33에 있어서, 약제가 낙하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33에 있어서 「NO」), T11 시간 경과되었는지의 여부가 단계 S35에서 판단된다. 한편 T11 시간에 관하여, 로터의 회전수가 빠른 경우 또는 중간의 경우(H 또는 M의 경우) T11 시간은 3초이며, 로터의 회전 속도가 느린 경우(L) T11 시간은 5초로 된다. T11 시간 경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35에 있어서 「NO」) 재차 단계 S33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35에 있어서, T11 시간 경과되어 있는 경우(단계 S35에 있어서 「YES」) 단계 S36에 있어서 정회전이 정지된다. 단계 S34에 있어서 역회전 횟수가 초과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36에 있어서 역회전 횟수가 초과되어 있다고 판단되면(단계 S37에 있어서 「YES」), 처리가 종료된다. 단계 S37에 있어서 역회전 횟수가 초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37에 있어서 「NO」), 단계 S38에 있어서 역회전이 시작된다. 그리고, 단계 S39에 있어서 타이머가 세팅된다. 단계 S40에 있어서 약제가 낙하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40에 있어서 약제가 낙하하고 있는 경우에는(단계 S40에 있어서 「YES」), 단계 S41에 있어서 역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단계 S42에 있어서 역회전 횟수를 0으로 리셋한다. 그리고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단계 S40에 있어서, 약제가 낙하하고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0에 있어서 「NO」), 단계 S43에 있어서 T12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43에 있어서의 T12 시간은 예컨대 3초로 한다. 단계 S43에 있어서 T12 시간 경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43에 있어서 「NO」), 단계 S40으로 되돌아간다. 단계 S43에 있어서 T12 시간 경과되어 있는 경우(단계 S43에 있어서 「YES」), 단계 S44에 있어서 역회전이 정지된다. 그리고 단계 S45에 있어서 역회전 횟수를 증분한다. 즉, 역회전 횟수를 1회 증가시킨다. 그리고 단계 S31로 되돌아간다.
약제 취출 장치(100)는, 회전 동력원으로서의 모터(123)와, 모터(12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소정의 값을 넘으면 회전력의 전달을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131)와, 토크 리미터(131)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취출 가능한 로터(251)를 구비하여, 로터(251)를 제1 회전 방향 및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약제 취출 장치(100)는, 모터(123)와, 모터(123)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소정의 값을 넘으면 회전력의 전달을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131)를 구비하며, 토크 리미터(131)는,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취출 가능한 로터(251)에 접속되어, 로터(251)를 제1 회전 방향 및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약제 취출 장치(100)에 있어서는, 토크 리미터(131)가 마련되므로, 약제(정제)가 막혀 로터(251)의 회전 저항이 커졌을 때에는 로터(251)가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약제가 심하게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막힌 경우에는 로터(25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약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로터(251)의 제1 및 제2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적절한 회전 속도를 선택할 수 있다. 막히기 어려운 약제의 정회전 속도(제1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막히기 쉬운 약제의 정회전 속도를 느리게 함으로써, 막히는 횟수를 저감하여 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는, 제2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보다 빨라도 좋다. 바꾸어 말하면, 역회전 속도는, 정회전 속도보다 느리다. 이 경우, 막힌 약제에의 충격을 작게 하여 약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1에서는, 로터(251)를 제1 회전 방향으로 제1 시간 회전시킨 후, 제2 회전 방향으로 제2 시간 회전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800)는, 로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시간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간단한 제어로, 약제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2에서는, 로터(251)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약제가 취출되지 않으면 제2 회전 방향으로 로터(251)를 회전시킨다. 바꾸어 말하면, 제어부(800)는, 로터를 정회전시켜도 카세트로부터 약제가 취출되지 않으면, 로터를 역회전시킨다. 약제가 막히지 않으면 역회전시키지 않기 때문에 취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토크 리미터(131)는 카세트(25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 및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되어 있다.
100 : 약제 취출 장치 111 : 표시부
112 : 입력부 113 : 키
114 : 프론트 패널 115 : 단자
116 : 베이스 117 : 전원 스위치
118 : 자석 119 : 호퍼
119a : 피그립부 119b : 피검출 부재
121 : 슈트 122 : 슈트 유지부
123 : 모터 124 : 기판
125 : 셔터 125a : 상판
125b : 하판 125c : 개구
126 : 카세트 가이드 126a : 삽입 구멍
127a : 관통 구멍 128 : 피검출부
129 : 셔터 검출 센서 131 : 토크 리미터
132, 133, 134, 221, 259 : 톱니바퀴 141 : 힌지
148, 225 : 긴 구멍 171 : 호퍼 유지 부재
173 : 호퍼 검출 센서 191 : 볼트
192 : 셔터 가이드 193 : 나사
210 : 카세트 베이스 211 : 걸림 후크
212 : 약제 검출 센서 222 : 안내부
223 : 카세트 유지부 224 : 영구 자석
250 : 카세트 251 : 로터
252 : 피걸림부 300 : 커버
311 : 퓨즈 313 : 어댑터
314 : 전원 800 : 제어부

Claims (6)

  1. 회전 동력원(123)과,
    상기 회전 동력원에 접속되어 상기 회전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정해진 값을 넘으면 회전력의 전달을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131)와,
    상기 토크 리미터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며,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취출 가능한 로터(251)
    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를 제1 회전 방향 및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인 약제 취출 장치.
  2. 회전 동력원(123)과,
    상기 회전 동력원에 접속되어 상기 회전 동력원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이 정해진 값을 넘으면 회전력의 전달을 제한하는 토크 리미터(131)
    를 구비하며,
    상기 토크 리미터는, 회전함으로써 약제를 취출 가능한 로터(251)에 접속되고,
    상기 로터를 제1 회전 방향 및 상기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인 약제 취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제1 또는 제2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 약제 취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2 회전 방향의 회전 속도보다 빠른 것인 약제 취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를 제1 회전 방향으로 제1 시간 회전시킨 후, 제2 회전 방향으로 제2 시간 회전시키는 것인 약제 취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를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약제가 취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2 회전 방향으로 로터를 회전시키는 것인 약제 취출 장치.
KR20147007788A 2011-09-05 2012-08-22 약제 취출 장치 KR20140057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2798A JP6082964B2 (ja) 2011-09-05 2011-09-05 薬剤取出装置
JPJP-P-2011-192798 2011-09-05
PCT/JP2012/071169 WO2013035530A1 (ja) 2011-09-05 2012-08-22 薬剤取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7623A true KR20140057623A (ko) 2014-05-13

Family

ID=4783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7007788A KR20140057623A (ko) 2011-09-05 2012-08-22 약제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40190986A1 (ko)
EP (1) EP2754431A4 (ko)
JP (1) JP6082964B2 (ko)
KR (1) KR20140057623A (ko)
CN (1) CN103764097A (ko)
AU (1) AU2012305570C1 (ko)
CA (1) CA2846803A1 (ko)
HK (1) HK1197014A1 (ko)
WO (1) WO20130355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59916B2 (ja) * 2016-09-16 2020-09-23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カセット
WO2019120512A1 (en) * 2017-12-20 2019-06-27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Sensing device, adapter, combination thereof, and dispenser
JP7424629B2 (ja) * 2020-09-15 2024-01-30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カセット
US11554050B2 (en) 2021-01-08 2023-01-17 Moldex-Metric, Inc. Contactless earplug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8936A (en) * 1940-10-11 1944-05-16 Brandt Automatic Cashier Co Coin sorting and counting machine
ES2111181T3 (es) * 1992-09-26 1998-03-01 Robin Hamilton Metodos y aparatos de compactacion.
US5988348A (en) * 1996-06-28 1999-11-23 Coinstar, Inc. Coin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70088822A (ko) * 2000-02-16 2007-08-29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약제 공급장치
KR20030040039A (ko) * 2001-11-14 2003-05-2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피이더
JP4351016B2 (ja) * 2003-10-01 2009-10-2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カセット
JP4956422B2 (ja) * 2004-04-27 2012-06-20 エマーソン エレクトリック カンパニー 食品廃棄物ディスポーザの詰り排除装置および方法
JP2006230763A (ja) * 2005-02-25 2006-09-07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JP4574749B1 (ja) * 2009-04-17 2010-11-0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フィーダ及び薬剤払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52132A (ja) 2013-03-21
EP2754431A1 (en) 2014-07-16
JP6082964B2 (ja) 2017-02-22
US20140190986A1 (en) 2014-07-10
CN103764097A (zh) 2014-04-30
WO2013035530A1 (ja) 2013-03-14
EP2754431A4 (en) 2015-05-20
AU2012305570C1 (en) 2017-07-27
AU2012305570B2 (en) 2017-02-23
AU2012305570A1 (en) 2014-04-24
CA2846803A1 (en) 2013-03-14
HK1197014A1 (en) 2015-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7623A (ko) 약제 취출 장치
JP5051194B2 (ja) 薬剤払出装置
JP4521064B2 (ja) 錠剤払出装置
WO2006068176A1 (ja) 自動販売機
EP1477941B1 (en) Coin dispensing machine
JP2016172007A (ja) 薬剤取出装置
JP3778743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2014013861A (ja) 部品供給装置、部品実装装置、部品の供給方法、及び基板の製造方法
JP2001129059A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3778744B2 (ja) 固形製剤充填装置
JP5009245B2 (ja) 遊技機
EP0800690A1 (en) Medal counter for counting medals used in game machine
JP6224034B2 (ja) 遊技機
JP4970413B2 (ja) 遊技機
JP2022056363A (ja) 薬剤払出装置
JP5031114B2 (ja) 遊技機
JP4843005B2 (ja) 遊技機
JP4843007B2 (ja) 遊技機
CN112689599A (zh) 小粒子药剂排出匣
JP2013063355A (ja) 遊技機
JPH1043392A (ja) 弾球遊技機
JPH1043404A (ja) 弾球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26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125

Effective date: 202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