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145A -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 - Google Patents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145A
KR20140054145A KR1020147005183A KR20147005183A KR20140054145A KR 20140054145 A KR20140054145 A KR 20140054145A KR 1020147005183 A KR1020147005183 A KR 1020147005183A KR 20147005183 A KR20147005183 A KR 20147005183A KR 20140054145 A KR20140054145 A KR 2014005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regeneration
skin
inhibito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5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8168B1 (ko
Inventor
시게루 무기쿠라
도시이 이이다
다카유키 오노
마사루 스에츠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169751A external-priority patent/JP540010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4005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과제)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각전의 재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의 제공.
(해결 수단) (a) 특정 산 (예를 들어,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등) 혹은 그들의 염과, (b) 특정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지방산 비누,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폴리옥시알킬렌피토스테롤 등) 와, (c) 특정 피부 거칠음 방지 개선제 (예를 들어, POE·POP 디메틸에테르, 트라넥삼산, 판토테닐에틸에테르, 트리메틸글리신, 글리실글리신 등) 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 POE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료를 피부에 적용한 후에, 특정 산 (예를 들어,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등) 혹은 그들의 염을 함유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를 피부에 적용하는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상기 피부 세정료와 각전 재생 억제제로 이루어지는 각전 재생 억제 키트.

Description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KERATOTIC PLUG REGROWTH INHIBITION AGENT, KERATOTIC PLUG REGROWTH INHIBITION METHOD, AND KERATOTIC PLUG REGROWTH INHIBITION KIT}
본 발명은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각전의 재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에 관한 것이다.
각전의 고민은 여성의 피부 고민 중에서도 상위에 거론되는 항목이다. 각전은 피지나 박리된 각질층 등의 혼합물이 모공 (털구멍) 을 메운 것이며 (비특허문헌 1 참조), 이것이 성장하면 모공이 하얗게 메워진 뾰루지상이 되거나, 혹은 솜털이나 오염물을 더욱 포함하면 모공이 검게 메워진 뾰루지상이 되어, 모두 피부가 울퉁불퉁한 상태가 되어 눈에 띄고, 겉으로 보기에도 또 촉감으로서도 까슬까슬거려 바람직하지 않다. 또, 이것을 방치하면 피부 트러블로도 이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이미 형성되어 버린 각전에 대한 대응책으로는 세정료나 팩 등으로 제거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매우 많은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 각전제거에 관한 종래 기술 문헌도 다수 있고, 예를 들어 N-아실아미노산염을 함유하는 것 (특허문헌 1) 이나, 라우로일사르코신 등을 함유하는 것 (특허문헌 2), 상온 액상 유분과 N,N,N',N'-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논이온 계면활성제 등의 조합 (특허문헌 3), 다이머산의 디에스테르와 모노 지방산 폴리글리세릴의 조합 (특허문헌 4), 다이머산의 디에스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글리세릴의 조합 (특허문헌 5), 탄소 원자수 6 ∼ 20 의 이염기산 디에스테르 (특허문헌 6)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그 제거 효율은 그다지 높은 것은 아니며, 제거해도 또 1 주간 정도면 재생해 버리는 경우도 있고, 팩으로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피부가 거칠어져 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그러나, 그 제거 효율은 그다지 높은 것은 아니며, 제거해도 또 1 주간 정도면 재생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또, 팩으로의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피부가 거칠어져 버리는 경우도 많았다.
지금까지 각전의 재생 억제에 관해서는, 탄닌산, 락트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글루탐산 등의 유기산류 및 그 염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7 ∼ 8 참조). 그러나, 그 효과는 꽤 실감하기 어려운 것이 실정으로, 시장에 있어서도 수렴 화장수 등 모공의 조임을 강조하는 상품은 있지만, 각전을 재생하기 어렵게 하는 것을 주장한 상품은 존재하고 있지 않았다. 또, 유기산 단독으로는 피부 거칠음이나 감각 자극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어, 화장품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어려웠다.
일본 특허공보 제3857182호 일본 특허공보 제4058399호 일본 특허공보 제42856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1939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1193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23092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3608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360830호
토치오 타쿠미, 프레그런스 저널, 2008년 8월호, 28-32 페이지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각전의 재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유기산과 특정 계면활성제와 특정 피부 거칠음 방지성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각전의 재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제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또, 특정 피부 세정료와 특정 각전 재생 억제제를 사용함으로써,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지 않고 각전의 재생 억제 효과가 매우 높아짐을 알아내어,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말산, 살리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글리콜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b) 지방산 비누,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N-아실글루탐산염, N-아실 저급 알킬타우린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피토스테롤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와, (c)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 트라넥삼산, 판토테닐에틸에테르, 고추나물, 세린, 트리메틸글리신, 알라닌, 글리실글리신,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료를 피부에 적용한 후에,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말산, 살리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글리콜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를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전 재생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전 재생 억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전 재생 억제제 중에 추가로 지방산 비누,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N-아실글루탐산염, N-아실 저급 알킬타우린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피토스테롤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추가로 피부 거칠음 방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 본 발명은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료와,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말산, 살리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글리콜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로 이루어지는 각전 재생 억제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각전의 재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가 제공된다.
도 1 은 실시예 2 에 있어서의 제제 3 의 연용 (連用) 도포에 의한 각질층 수분량에 대한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POE 는 폴리옥시에틸렌을, POP 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을, PEG 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각각 나타낸다.
A. 각전 재생 억제제 :
본 발명의 일 양태인 각전 재생 억제제는 하기 (a) ∼ (c) 성분을 함유한다.
[(a) 성분]
본 발명에 사용되는 (a) 성분은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말산, 살리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글리콜산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산, 혹은 그들의 염이다. 염으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염 (나트륨염, 칼륨염, 리튬염 등), 알칼리 토금속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등), 암모늄염, 유기 아민염 (모노에탄올아민염, 디에탄올아민염, 트리에탄올아민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락트산, 숙신산, 살리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염이 바람직하다. (a)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a)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제 중에 0.0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이다. 0.001 질량% 미만에서는 (a)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한편 2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상응한 효과의 증대는 바랄 수 없다.
[(b) 성분]
(b) 성분은 지방산 비누,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N-아실글루탐산염, N-아실 저급 알킬타우린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피토스테롤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이다.
지방산 비누로는, 라우르산나트륨, 라우르산칼륨, 팔미트산나트륨, 팔미트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으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라우릴황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N-아실글루탐산염으로는, N-라우로일글루탐산나트륨, N-라우로일글루탐산칼륨, N-코코일글루탐산디나트륨, N-코코일글루탐산디칼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나트륨, N-미리스토일-L-글루탐산모노칼륨 등을 들 수 있다.
N-아실 저급 알킬타우린염으로는, 특히 N-아실메틸타우린염이 바람직하고, 구체예로서 N-야자유 지방산-N-메틸타우린나트륨, N-야자유 지방산-N-메틸타우린트리에탄올아민, N-야자유 지방산-N-메틸타우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베타인계 계면활성제로는, 2-헵타데실-N-카르복시메틸-N-하이드록시에틸이미다졸리늄베타인, 라우릴디메틸아미노부티르산베타인, 알킬베타인 (예를 들어, 라우릴베타인 등), 아미드베타인, 술포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또 그들의 염을 들 수 있다. 염으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폴리옥시알킬렌피토스테롤로는,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5 ∼ 5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50 몰의 옥시에틸렌이 부가된 폴리옥시에틸렌피토스테롤이다. 구체적으로는, POE (5) 피토스테롤, POE (10) 피토스테롤, POE (20) 피토스테롤, POE (30) 피토스테롤 등을 들 수 있고, 시판품으로는 NIKKOL BPS-5, NIKKOL BPS-10, NIKKOL BPS-20, NIKKOL BPS-30 (이상, 모두 니혼 서팩턴트 공업 (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b) 성분으로는, 특히 POE 피토스테롤, 라우르산칼륨, 라우릴베타인 등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제 중에 0.0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이다. 0.001 질량% 미만에서는 (b)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한편 2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상응한 효과의 증대는 바랄 수 없다.
[(c) 성분]
(c)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제에 사용될 수 있는 피부 거칠음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성분이며, 예를 들어, 트라넥삼산, 트라넥삼산메틸아미드 등의 트라넥삼산 유도체,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비타민 E 아세테이트나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등의 비타민 E 유도체, 에리트리톨,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 (= POE·POP 디메틸에테르), 판토테닐에틸에테르, 세린, 트리메틸글리신, 알라닌, 글리실글리신 등이 예시된다. (c) 성분은 염 (나트륨염, 칼륨염 등) 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이외에도 고추나물, 카밀레, 고삼, 작약 등의 식물 엑기스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중에서도, POE·POP 디메틸에테르, 트라넥삼산, 판토테닐에틸에테르, 고추나물, 세린, 트리메틸글리신, 알라닌, 글리실글리신,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및 그들의 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POE·POP 디메틸에테르는 POE 와 POP 의 몰비가 각각 1 : 2 ∼ 5 : 1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 옥시에틸렌 부가 몰수가 1 ∼ 7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옥시프로필렌 부가 몰수가 1 ∼ 7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성분은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c)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제 중에 0.0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이다. 0.001 질량% 미만에서는 (c)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한편 2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상응한 효과의 증대는 바랄 수 없다.
상기 (a) ∼ (c) 성분을 배합한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제는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지 않고 각전의 재생 억제 효과 및 효과 실감이 우수하다. 또한 「각전의 재생 억제」란, 모공으로부터 1 번 각전을 제거한 후, 당해 모공에 각전이 다시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제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다른 임의 첨가 성분, 예를 들어, 유지, 납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수용성 고분자, 킬레이트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분말 성분,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액상 제제, 겔상 제제, 크림, 시트 함침 제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액상 제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제는 pH 3.0 ∼ 8.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 :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인 각전 재생 억제 방법은 하기에 나타내는 특정 피부 세정료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과, 그 공정 후, 하기에 나타내는 특정 각전 재생 억제제를 피부에 적용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인 각전 재생 억제 키트는 하기에 나타내는 특정 피부 세정료와, 하기에 나타내는 특정 각전 재생 억제제로 이루어진다.
<피부 세정료>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 방법에 사용되는 피부 세정료는 유효 성분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한다. POE 지방산 에스테르로는, 올레산 잔기, 이소스테아르산 잔기, 라우르산 잔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지방산 잔기를 갖는, POE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POE 지방산 에스테르, POE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POE 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POE 경화 피마자유계 계면활성제, 소르비탄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POE 지방산 에스테르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피부 세정료 중에 있어서의 POE 지방산 에스테르의 배합량은 1 ∼ 6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40 질량% 이다. 상기 배합량 범위로 함으로써, 각전 재생 억제제와의 병용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각전 재생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배합량이 1 질량% 미만에서는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한편 6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상응한 효과의 증대는 바랄 수 없다.
피부 세정료는 오일 타입, 폼 타입, 액상 타입 등의 어느 기제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오일 타입의 액상 제제 (클렌징 오일 등) 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오일 타입의 세정료 (유성 세정료) 의 경우, 상기 필수 성분 외에, 상온에서 액상인 유분이 주성분으로서 배합된다. 이와 같은 액상 유분으로는,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미네랄 오일), 스쿠알란, 올레핀 올리고머, 경질 이소파라핀 등의 탄화수소유 ; 2-에틸헥산산트리글리세리드, 2-에틸헥산산세틸,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팔미트산2-에틸헥실, 이소노난산이소세틸,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등의 에스테르유 ; 호호바유, 올리브유, 마카다미아너트유, 면실유, 다실유, 새플라워유, 미강유 등의 천연계 식물유 ; 데카메틸펜타시클로실록산, 옥타메틸테트라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실록산 등의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액상 유분을 배합하는 경우, 피부 세정료 중에 50 ∼ 95 질량% 의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 80 질량% 이다. 배합량이 50 질량% 에서는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한편 95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상응한 효과의 증대는 바랄 수 없다.
또 이들 액상 유분 외에 배합될 수 있는 성분으로서, 통상, 화장료나 의약품의 분야에서 배합되고 있는 각종 성분을 본 발명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류,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1,3-부탄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류,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N-알킬-N,N-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알킬디메틸아민옥사이드 등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카티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살균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향료, 물 등을 들 수 있다.
<각전 재생 억제제>
[유기산류]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 방법에 사용되는 각전 재생 억제제는 유기산류를 함유하는데, 이들 유기산류는 상기 「A. 각전 재생 억제제」에 있어서의 (a) 성분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적합예도 동일하다. 이들 유기산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류의 배합량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 중에 0.0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이다. 0.001 질량% 미만에서는 (a)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한편 2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상응한 효과의 증대는 바랄 수 없다.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 방법에서 사용되는 각전 재생 억제제에는, 상기 유기산류 외에, 지방산 비누,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N-아실글루탐산염, N-아실 저급 알킬타우린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피토스테롤 중에서 선택되는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구체예, 적합예는 상기 「A. 각전 재생 억제제」에 있어서의 (b) 성분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의 배합량은 각전 재생 억제제 중에 0.0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이다. 0.001 질량% 미만에서는 배합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한편 2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상응한 효과의 증대는 바랄 수 없다.
[피부 거칠음 방지제]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 방법에 사용되는 각전 재생 억제제에는, 추가로 피부 거칠음 방지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피부 거칠음 방지제의 구체예, 적합예는 상기 「A. 각전 재생 억제제」에 있어서의 (c) 성분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피부 거칠음 방지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피부 거칠음 방지제의 배합량은 각전 재생 억제제 중에 0.001 ∼ 20 질량%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 5 질량% 이다. 0.001 질량% 미만에서는 피부 거칠음 방지 성분으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고, 한편 20 질량% 를 초과하여 배합해도 배합량에 상응한 효과의 증대는 바랄 수 없다.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 방법에 사용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 외용제에 사용되는 다른 임의 첨가 성분, 예를 들어, 유지, 납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코올, 합성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수용성 고분자, 킬레이트제, 저급 알코올, 다가 알코올, pH 조정제, 산화 방지제, 분말 성분, 향료, 물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단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 방법에 사용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의 제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액상 제제, 겔상 제제, 크림, 시트 함침 제제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액상 제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각전 재생 억제제는 pH 3.0 ∼ 8.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키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부 세정료를 사용하여 피부를 세정한 후, 상기 각전 재생 억제제를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효과적으로 각전 재생을 억제할 수 있다. 피부에 대한 적용 방법은 코튼 등에 함침시켜 도포하거나, 스프레이 등으로 분무하거나 하는 등, 제형에 따라 적절히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세정료와 각전 재생 억제제를 세트로 한 화장료 키트로서 판매함으로써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모두 질량% 이다.
A. 각전 재생 억제제 :
(실시예 1 : 인간 시험에 의한 각전 재생 억제 효과 비교)
1. 시료
하기에 나타내는 제제 1, 2 를 사용하였다. 제제 1 은 (a) 성분, (c) 성분을 배합한 비교품 제제이다. 제제 2 는 제제 1 에 POE (30) 피토스테롤을 첨가한 시료이고, (a) 성분, (b) 성분, (c) 성분을 배합한 본 발명품 제제이다.
(제제 1 : 비교품 제제. pH 4.1)
숙신산 0.5 (질량%)
락트산 1
트라넥삼산 1
에탄올 5
글리세린 5
디프로필렌글리콜 5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 1
수산화칼륨 0.135
글리신 0.1
이온 교환수 잔여
(제제 2 : 본 발명품 제제. pH 4.1)
숙신산 0.5 (질량%)
락트산 1
트라넥삼산 1
에탄올 5
글리세린 5
디프로필렌글리콜 5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 1
수산화칼륨 0.135
글리신 0.1
POE (30) 피토스테롤 2
이온 교환수 잔여
2. 평가 시험 방법
30 대 ∼ 50 대의 비교적 각전이 눈에 띄는 남성 4 명에 의해 각전의 재생 억제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전의 관찰은 비정부 (鼻頂部) 의 적당한 에어리어에 프레임 종이를 붙이고,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 (VMS. 「키엔스 VHX-100」) 관찰로 실시하였다. 상기 영역에 대해, 슬라이드 글래스 (마츠나미 APS 코트 부착, s8444) 에 접착제 (「아론알파 A」; 산쿄) 를 수 방울 떨어뜨린 후, 그 접착제 도포면측을 밀착시켰다. 10 분간 경과 후에 천천히 슬라이드 글래스를 박리하고 각전을 제거하였다. 다시 VMS 관찰에 의해 완전하게 각전을 제거할 수 있었던 모공을 특정하고, 이들 특정한 모공에 대해 이후 각전이 재생되는 경과를 관찰하였다. 여기서, 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재생의 경과와 제제 (제제 1, 2) 를 연용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재생의 경과를 비교하였다.
제제 1 : 1 일 2 회, 2 ㎖ 씩 코튼 (시세이도 뷰티업 코튼) 에 덜어 VMS 관찰 부위인 비정부를 포함하는 콧방울 및 뺨을 중심으로 한 얼굴 전체에 도포하고, 3 주간 연용하였다.
제제 2 : 상기 제제 1 의 경우와 동일하게 도포하는 실험을 동일한 피험자 4 명에 의해 실시하였다. 단, 제제 2 에서는 VMS 관찰 부위인 비정부를 포함하는 얼굴 반쪽에 적용하는 것으로 하고, 3 주간 연용하였다.
시간 경과적으로 동일 모공의 각전의 성장을 비교하여, 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성장에 비해 제제를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성장 (= 모공이 막힘) 이 느렸던 것을 「승」, 컨트롤과 제제 도포시에서 각전 성장이 거의 동일 정도인 것을 「무」, 제제를 도포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성장에 비해 제제를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성장 (= 모공이 막힘) 이 빨랐던 것을 「패」로 하여 4 명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또한, 최초로 완전하게 각전을 제거할 수 있었던 모공의 수 (= 시험 평가의 대상이 되는 모공의 수) 가 각 평가 시험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제제 1 과 제제 2 에서 평가한 각 모공의 수는 상이하다. 피험자 4 명 합계로, 제제 1 을 사용한 시험에서는 12 승 8 패 9 무인 것이, 제제 2 를 사용한 시험에서는 16 승 2 패 7 무였다. 하기 표 2 에 「승」만의 비율을 산출한 결과를 나타내는데, 제제 2 를 사용한 시험에서는 「승」률이 분명하게 상승되어 있었다. 즉, (a) 성분과 (c) 성분을 함유하는 제제 1 에 비해, 제제 1 에 (b) 성분을 첨가한 제제 2 가 각전 재생 억제 효과가 높음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2 : 각전 재생 억제제에 의한 피부 상태에 대한 영향)
1. 시료
하기에 나타내는 제제 3 (= 상기 제제 2 에 판토테닐에틸에테르를 첨가한 제제. 본 발명품 제제) 을 사용하였다.
(제제 3 : 본 발명품 제제. pH 4.1)
숙신산 0.5 (질량%)
락트산 1
트라넥삼산 1
에탄올 5
글리세린 5
디프로필렌글리콜 5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 1
수산화칼륨 0.135
글리신 0.1
POE (30) 피토스테롤 2
판토테닐에틸에테르 0.05
이온 교환수 잔여
2. 평가 시험 방법
남성 피험자 5 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제 3 을 콧방울 및 뺨에 3 주간 얼굴 반쪽에 연용 도포하고, 무도포측의 피부 상태 변화와 비교를 실시하였다. 도포측과 무도포측의 콧방울에 대해, 연용 전 및 연용 3 주간 후의 피지량과 각질층 수분량을 멀티프로브 미터 MP5 (Courage+khazaka 사) 에 의해 측정, 비교하였다. 표 3 에 피지량의 결과를, 도 1 에 각질층 수분량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 중 세로축은 Corneometer 측정치 (단위 : AU) 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표 3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피지량은 도포측에서도 증가 경향이 있기는 하지만, 무도포측에 비해 그 증가는 억제 경향이 있고, 개인별로도 5 명 중 4 명에서 그 경향이 인정되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각질층 수분량도 도포측에서 평균치로서 증가하는 폭이 크고, 개인별로도 5 명 중 3 명에서 도포측이 양호해져 있었다. 이와 같이, 제제 3 을 연용 도포함으로써 피부 상태가 양호해진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 인간 시험에 의한 각전 재생 억제 효과 비교)
1. 시료
실시예 1 에 기재된 제제 2 (= 본 발명품 제제), 및 하기 제제 4, 5 를 사용하였다.
제제 4 는 제제 2 로부터 트라넥삼산 및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를 빼고, 글리세린, 수산화칼륨을 증량하고, 자일리톨을 첨가한 제제로, (a) 성분, (b) 성분을 배합한 비교품 제제이다.
제제 5 는 제제 2 로부터 트라넥삼산을 빼고, 수산화칼륨을 증량하고, L-세린, 트리메틸글리신, 고추나물 엑기스를 첨가한 제제로, (a) 성분, (b) 성분, (c) 성분을 배합한 본 발명품 제제이다.
(제제 4 : 비교품 제제. pH 4.2)
숙신산 0.5 (질량%)
락트산 1
에탄올 5
글리세린 9
자일리톨 3
디프로필렌글리콜 5
수산화칼륨 0.5
글리신 0.1
POE (30) 피토스테롤 2
이온 교환수 잔여
(제제 5 : 본 발명품 제제. pH 4.2)
숙신산 0.5 (질량%)
락트산 1
에탄올 5
글리세린 5
L-세린 0.1
트리메틸글리신 2.9
고추나물 엑기스 0.1
디프로필렌글리콜 5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 1
수산화칼륨 0.5
글리신 0.1
POE (30) 피토스테롤 2
이온 교환수 잔여
2. 평가 시험 방법
30 대 ∼ 50 대의 비교적 각전이 눈에 띄는 남성 4 명에 의해 각전의 재생 억제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 4 명 중 3 명은 실시예 1 과 공통의 피험자였다 (피험자 No.1, 3, 4. 실시예 1 과 동일한 번호를 붙였다). 나머지 1 명 (피험자 No.5) 은 금회 평가 시험을 처음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실시예 4 의 평가 시험은 실시예 1 의 평가 시험과는 다른 날에 실시하였다.
각전의 관찰은 실시예 1 과 동일한 요령으로 실시하였다. 즉, 비정부의 적당한 에어리어에 프레임 종이를 붙이고, VMS 관찰로 실시하였다. 상기 영역에 대해, 슬라이드 글래스 (마츠나미 APS 코트 부착, s8444) 에 접착제 (「아론알파 A」; 산쿄) 를 수 방울 떨어뜨린 후, 그 접착제 도포면측을 밀착시켰다. 10 분간 경과 후에 천천히 슬라이드 글래스를 박리하고 각전을 제거하였다. 다시 VMS 관찰에 의해 완전하게 각전을 제거할 수 있었던 모공을 특정하고, 이들 특정한 모공에 대해 이후 각전이 재생되는 경과를 관찰하였다. 여기서, 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재생의 경과와 제제 (제제 2, 4, 5. 한 가지 시험에서의 제제는 1 종류만) 를 연용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재생의 경과를 비교하였다. 각 제제를 1 일 2 회, 2 ㎖ 씩 코튼에 덜어 VMS 관찰 부위인 비정부를 포함하는 콧방울 및 뺨을 중심으로 한 얼굴 전체에 도포하고, 3 주간 연용하였다. 모두 동일한 피험자 4 명으로 실시하였다.
시간 경과적으로 동일 모공의 각전의 성장을 비교하여, 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성장에 비해 제제를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성장 (= 모공이 막힘) 이 느렸던 것을 「승」, 컨트롤과 제제 도포시에서 각전 성장이 거의 동일 정도인 것을 「무」, 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성장에 비해 제제를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성장 (= 모공이 막힘) 이 빨랐던 것을 「패」로 하여 4 명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또한, 최초로 완전하게 각전을 제거할 수 있었던 모공의 수 (= 시험 평가의 대상이 되는 모공의 수) 가 각 평가 시험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제제 2, 4, 5 에서 평가한 각 모공의 수는 상이하다. 하기 표 5 에 「승」만의 비율을 산출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표 5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피험자 No.3 에서는, 제제 2 와 5 에 비해 제제 4 의 각전 재생 억제 효과가 높은 결과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표 4 의 결과를 함께 보면, 시험 평가 대상 모공수에 대한 「패」의 비율이, 제제 2 에서는 0 %, 제제 5 에서는 8.7 % 인 데에 반해, 제제 4 에서의「패」의 비율은 28.6 % 까지 오른다. 표 5 에 있어서, 다른 피험자 (3 명) 에서는 제제 4 에 비해 제제 2 와 5 의 각전 재생 억제 효과가 높다. 피험자 4 명 합계로 보아도, 제제 2 와 비교하여 제제 4 의 도포에서는 「승」의 비율이 감소하고, 제제 5 의 시험에서는 제제 2 와 거의 동등하다. 즉, (a) 성분과 (b) 성분만을 함유하는 제제 4 에 비해, (a) 성분, (b) 성분, (c) 성분 모두를 배합한 제제 2 및 5 가 각전 재생 억제 효과가 높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6 : 각전 재생 억제제의 스크리닝)
실시예 1 에서 기재된 방법에 준해 얻어진 각전을 사용하여, 이하의 표 6 에 나타내는 평가 약제를 사용하여 각전 재생 억제 효과에 대해 스크리닝을 실시하였다.
즉, 슬라이드 글래스에 접착제 (「아론알파 A」; 산쿄) 를 수 방울 떨어뜨린 후, 그 접착제 도포면측을 피험자의 비정부의 일부 영역에 밀착시켰다. 10 분간 경과 후에 천천히 슬라이드 글래스를 박리하고 각전을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슬라이드 글래스 상의 각전을 커터 등으로 접착면으로부터 잘라내어, 커버 글래스 상에 펴놓은 양면 테이프 상에 접착시켰다. 그것을 5 ㎖ 샬레에 넣고, 표 4 에 나타내는 평가 약제를 함유하는 수용액 (1 % 수용액) 을 첨가하였다. 실체 현미경, SEM 에 의해 각전의 시간 경과적 변화를 관찰하고, 각전의 붕괴 정도에 따라 그 형태를 이하의 4 단계로 평가하였다. 또한 평가는 실체 현미경법, SEM 법에 의한 평가를 종합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랭크 0 : 변화 없음 (각전의 표면에 전혀 변화가 인정되지 않는다)
랭크 1 : 약간 변화가 인정된다 (각전의 표면이 약간 불선명해지는 등 약간의 변화가 인정된다)
랭크 2 : 변화 있음 (각전의 표면에 분명한 변화가 인정된다)
랭크 3 : 상당히 변화 있음 (각전의 표면이 무너지는 등, 요철 변화가 현저하다)
(평가액)
평가액은 표 6 에 나타내는 평가 약제 함유하는 수용액 (1 질량% 함유 수용액) 을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06
이하에, 추가로 본 발명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처방예 1 : 유액)
(배합 성분) (질량%)
(1) 스테아르산 2.0
(2) 라우르산 0.5
(3) 세틸알코올 1.5
(4) 바셀린 5.0
(5) 유동 파라핀 10.0
(6) POE (10) 모노올레산에스테르 2.0
(7)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3.0
(8) 트리에탄올아민 1.0
(9) 수산화칼륨 0.05
(10)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05
(11)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12) 방부제 적당량
(13) 향료 적당량
(14) 시트르산 0.05
(15)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0.05
(16)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16) 의 일부에 (10) 을 용해시킨다 (A 상). 나머지 (16) 에 (7), (8), (9), (11), (14), (15) 를 첨가하고, 가열 용해시킨 70 ℃ 로 유지한다 (수상). 한편, (1) ∼ (6), (12), (13) 을 혼합하고 가열 융해시켜 70 ℃ 로 유지한다 (유상). 수상에 유상을 첨가하여 예비 유화를 실시하고, A 상을 첨가하여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하고, 유화 후 잘 섞으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유액을 얻는다.
(처방예 2 : 유액)
(배합 성분) (질량%)
(1)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1.0
(2) 밀랍 2.0
(3) 라놀린 20.0
(4) 유동 파라핀 10.0
(5) 스쿠알란 5.0
(6) 소르비탄세스퀴올레산에스테르 4.0
(7) POE (20) 소르비탄모노올레산에스테르 1.0
(8) 라우릴베타인 0.1
(9) 프로필렌글리콜 7.0
(10) L-아르기닌염산염 5.0
(11) L-알라닌 1.0
(12) 글리세린 3.0
(13) 글리콜산 0.05
(14) 아황산수소나트륨 0.01
(15) 방부제 적당량
(16) 향료 적당량
(17)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17) 에 (8) ∼ (14) 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70 ℃ 로 유지한다 (수상). 한편 (1) ∼ (7), (15), (16) 을 혼합하고 가열 융해시켜 70 ℃ 로 유지한다 (유상). 유상을 섞으면서 수상을 서서히 첨가하고,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후, 잘 섞으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유액을 얻는다.
(처방예 3 : 유액 (W/O 유화 타입))
(배합 성분) (질량%)
(1) 이소프로필알코올 10.0
(2) 디이소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0.5
(3) POE 변성 디메틸폴리실록산 1.0
(4) POE (30) 피토스테롤 0.5
(5)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25.0
(6)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5.0
(7) 트리메틸실록시규산 5.0
(8) 유칼리유 3.0
(9) 향료 0.05
(10) 디프로필렌글리콜 2.0
(11) 페녹시에탄올 0.3
(12) 에데트산삼나트륨 0.1
(13) 이온 교환수 잔여
(14) 염화칼륨 0.5
(15) 트라넥삼산 0.5
(16) 락트산 0.05
(제법)
(1) ∼ (9) 를 가열 용해시키고 (유상), (10) ∼ (16) 을 용해시키고 (수상), 유상에 수상을 첨가하여 유화하여 유액을 얻는다.
(처방예 4 : 젤리)
(배합 성분) (질량%)
(A 상)
95 % 에틸알코올 10.0
POE (20) 옥틸도데칸올 1.0
판토테닐에틸에테르 0.1
라우릴베타인 0.05
비타민 E-아세테이트 0.05
방부제 적당량
(B 상)
수산화칼륨 0.1
(C 상)
글리세린 5.0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아황산수소나트륨 0.03
시트르산 0.05
L-아르기닌마그네슘염 0.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2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A 상, C 상을 각각 균일하게 용해시키고, C 상에 A 상을 첨가하여 가용화한다. 이어서 B 상을 첨가한 후 충전을 실시하여 젤리를 얻는다.
(처방예 5 : O/W 크림)
(배합 성분) (질량%)
A. 유상
세타놀 4.0
바셀린 7.0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8.0
스쿠알란 15.0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린에스테르 2.2
POE (20)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2.8
라우릴베타인 0.05
5-에톡시살리실산 0.01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2.0
향료 0.3
산화 방지제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B. 수상
글리세린 10.0
히알루론산나트륨 0.02
자일리톨 1.0
디프로필렌글리콜 4.0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 1.0
L-알라닌 3.0
에데트산이나트륨 0.01
시트르산 1.0
정제수 잔량
(제법)
A (유상) 와 B (수상) 를 각각 70 ℃ 로 가열하여 완전 용해시켰다. 이어서, A 를 B 에 첨가하고, 유화기로 유화하였다. 또한, 유화물을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냉각시켜 크림을 얻는다.
(처방예 6 : W/O 크림)
(배합 성분) (질량%)
(1) 염화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 처리 헥토라이트 2.0
(2) 폴리옥시에틸렌·메틸폴리실록산 중합체 0.1
(3) 라우릴베타인 0.5
(4) 유동 파라핀 10.0
(5) 바셀린 5.0
(6) 옥탄산세틸 20.0
(7) L-글루탐산소다 0.01
(8) 디프로필렌글리콜 5.0
(9) 메틸파라벤 0.2
(10) 살리실산 1.0
(11) 자일리톨 2.0
(12) 글리실글리신 0.5
(13) 이온 교환수 잔량
(제법)
(2), (3), (4), (6) 을 50 ℃ 로 승온한 후, (5) 를 첨가하여 완전하게 용해시킨 유상 파트에 (1)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을 실시한 것에, (13) 에 (7) ∼ (12) 를 용해시킨 수상 파트를 50 ℃ 로 가온하여 첨가를 실시하고, HM 으로 균일 분산한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W/O 크림을 얻는다.
(처방예 7 : 백탁 화장수)
(배합 성분) (질량%)
(1)α-올레핀 올리고머 2.0
(2) 이소스테아릴알코올 0.5
(3) 이소스테아르산 0.8
(4) 세스퀴이소스테아르산소르비탄 0.1
(5)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 1.0
(6) POE (30) 피토스테롤 1.0
(7) 아세트산 DL-α-토코페롤 0.05
(8) 향료 적당량
(9) 1,3-부틸렌글리콜 5.0
(10) 에탄올 5.0
(11) 잔탄검 0.1
(12) 숙신산 0.5
(13)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4) 트라넥삼산 1.0
(15) 히알루론산나트륨 0.01
(16) 피로아황산나트륨 0.005
(17) 페녹시에탄올 0.5
(18) 메타인산나트륨 0.05
(19)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0.2
(20) 수산화칼륨 0.2
(21) 락트산 1.0
(22) 진한 글리세린 5.0
(23) 정제수 잔량
(제법)
(1) ∼ (8) 을 70 ℃ 로 가열 용해시켜 교반 혼합하고, 온도를 70 ℃ 로 유지하고 교반을 실시하면서 (23) 을 서서히 첨가하여 유화를 실시하여,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얻는다. 얻어진 수중 유형 유화 조성물을, 추가로 (9) ∼ (22) 를 함유하는 수성 처방 중에 첨가하고, 교반에 의해 균일 분산시켜 백탁 화장수를 얻는다.
(처방예 8 : 화장수)
(배합 성분) (질량%)
(1) 숙신산 0.5
(2) 락트산 1.0
(3) 에탄올 5.0
(4) 비타민 E 아세테이트 0.05
(5) 글리세린 5.0
(6) 고추나물 엑기스 0.1
(7) 고삼 엑기스 0.1
(8) 디프로필렌글리콜 5.0
(9)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 1.0
(10) 수산화칼륨 0.5
(11) 글리신 0.1
(12) POE (30) 피토스테롤 1.0
(13) 이온 교환수 잔여
(제법)
(3) 에 (4) 와 가열 용해시킨 (12) 를 용해시킨다. 또 (13) 에 (1), (2), (5) ∼ (11) 을 용해시키고, 양자를 혼합하여 화장수를 얻는다.
B.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 :
(실시예 7 : 인간 시험에 의한, 피부 세정료와 각전 재생 억제제의 상승 효과)
1. 시료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피부 세정료, 각전 재생 억제제는 이하와 같다.
≪피부 세정료 (세정 오일)≫
(질량%)
미네랄 오일 67.54
디페닐실록시페닐트리메티콘 2
에탄올 1
이소스테아릴알코올 1
이소옥탄산세틸 20
POE (12) 디이소스테아레이트 5
POE (8) 디이소스테아레이트 1
POE (10) 이소스테아레이트 2
테트라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0.01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0.05
이온 교환수 0.4
≪각전 재생 억제제 (「제제 6」). pH 4.1≫
(질량%)
숙신산 0.5
락트산 1
트라넥삼산 1
에탄올 5
글리세린 5
디프로필렌글리콜 5
POE (14)·POP (7) 디메틸에테르 1
수산화칼륨 0.135
POE (30) 피토스테롤 2
글리신 0.1
이온 교환수 잔여
2. 평가 시험 방법
[시험 (1) : 제제 6 만 사용]
30 대 ∼ 40 대의 비교적 각전이 눈에 띄는 남성 4 명에 의해 각전의 재생 억제 시험을 실시하였다. 각전의 관찰은 비정부의 적당한 에어리어에 프레임 종이를 붙이고, 비디오 마이크로스코프 (VMS. 「키엔스 VHX-100」) 관찰로 실시하였다. 상기 영역에 대해, 슬라이드 글래스 (마츠나미 APS 코트 부착, s8444) 에 접착제 (「아론알파 A」; 산쿄) 를 수 방울 떨어뜨린 후, 그 접착제 도포면측을 밀착시켰다. 10 분간 경과 후에 천천히 슬라이드 글래스를 박리하고 각전을 제거하였다. 다시 VMS 관찰에 의해 완전하게 각전을 제거할 수 있었던 모공을 특정하고, 이들 특정한 모공에 대해 이후 각전이 재생되는 경과를 관찰하였다. 여기서, 제제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재생의 경과와 제제를 연용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재생의 경과를 비교하였다.
제제 6 : 1 일 2 회, 2 ㎖ 씩 코튼 (시세이도 뷰티업 코튼) 에 덜어, VMS 관찰 부위인 비정부를 포함하는 콧방울 및 뺨을 중심으로 한 얼굴 반쪽에 도포하고, 3 주간 연용하였다.
[시험 (2) : 피부 세정료와 제제 6 의 병용]
상기 제제 6 에 피부 세정료를 배합한 시험 (2) 를, 상기 시험 (1) 과 동일하게 도포하는 실험을 동일한 피험자 4 명으로 실시하였다. 피부 세정료는 충분히 성분을 닦아낸 후에 제제 (1) 을 적용하였다.
또한, 4 명 중 1 명에 대해서는 VMS 로의 관찰을 실시하지 않고, 연용 도포만을 실시하였다.
<평가>
시간 경과적으로 동일 모공의 각전의 성장을 비교하여, 제제 6 (시험 (2) 에서는 피부 세정료 병용. 이하 동일) 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성장에 비해 제제 6 을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성장 (= 모공이 막힘) 이 느렸던 것을 승, 컨트롤과 제제 6 도포시에서 각전 성장이 거의 동일 정도인 것을 무, 제제 6 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 (컨트롤) 에서의 각전 성장에 비해 제제 6 을 도포하였을 때의 각전 성장 (= 모공이 막힘) 이 빨랐던 것을 패로 하여 4 명분의 비교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또한, 최초로 각전을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 비교할 수 있는 모공의 수가 시험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시험 (1) 과 시험 (2) 에서 평가한 모공의 수는 상이하다. 피험자 4 명 합계로, 시험 (1) 에서는 22 승 3 패 8 무인 것이, 시험 (2) 에 있어서 세정 오일과 배합함으로써 43 승 4 패 8 무가 되었다. 표 8 에 승만의 비율을 산출한 결과를 나타내는데, 그 비율이 66.7 % 에서 78.2 % 로 상승하였고, 특히 젊은 피험자, 예를 들어 No.7 과 No.8 에서 효과가 높아져 있었다.
Figure pct00008
또, 각전의 VMS 관찰을 실시하지 않았던 피험자 1 명을 추가한 문진 (합계 5 명) 결과에서는, 3 주간 후에 각전이 메워지는 것이 느려졌다고 실감할 수 있었던 인원수는 제제 6 의 도포만에서는 5 명 중 1 명뿐이었다. 한편, 세정료와 조합함으로써 각전이 메워지는 것이 늦어졌다고 실감할 수 있었던 것은 5 명 중 1 주간 후에 2 명, 2 주간 후에 3 명, 3 주간 후에는 4 명이 되어, 실효감이 꽤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피부 상태에 대해서도 콧방울 및 뺨에 대해 도포측에서 매끈매끈하거나, 윤기가 있다는 의견이 있었고, 피부 상태에 대해서도 양호해져 있었다.
(실시예 8 : 각전 재생 억제제의 스크리닝)
「B.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의 양태의 발명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6 에서 기재된 방법에 준해 얻어진 각전을 사용하여, 상기 표 6 에 나타내는 평가 약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6 과 동일한 방법 및 평가 기준으로 각전 재생 억제 효과에 대해 스크리닝을 실시한 결과, 표 6 에 나타내는 평가 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하에, 추가로 본 발명의 처방예를 나타낸다.
<피부 세정료 (처방예 9 ∼ 10)>
(처방예 9 : 피부 세정료)
(배합 성분) (질량%)
(1) 유동 파라핀 62.0
(2) 2-에틸헥산산펜타에리트리톨 10.0
(3) POE (8) 올레에이트 10.0
(4) POE (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10.0
(5) N,N,N',N'-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3.0
(6) 정제수 5.0
(처방예 10 : 피부 세정료)
(배합 성분) (질량%)
(1) 스쿠알란 잔여
(2) 2-에틸헥산산트리메틸올프로판 10.0
(3) POE (12) 올레에이트 2.0
(4) POE (20) 글리세릴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8.0
(5) POE (50) 경화 피마자유 모노이소스테아레이트 3.0
(6) N,N,N',N'-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0.1
(7) 비타민 E 0.05
(8) BHT 0.05
(9) 정제수 2
(제법)
실온에서 상온 액상 유분과 계면활성제를 혼합·교반하여 균일하게 한 후, 수성 성분을 첨가하고 혼합·교반하여 균일하게 해서 샘플을 조제한다.
<각전 재생 억제제 (처방예 11 ∼ 19)>
(처방예 11 : 화장수)
(배합 성분) (질량%)
A.
에탄올 5.0
POE (30) 피토스테롤 2.0
PPG-13데실테트라데세스-24 0.2
2-에틸헥실-P-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0.18
향료 0.05
B.
1,3-부틸렌글리콜 9.5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0.5
자일리톨 0.5
니코틴산아미드 0.3
글리세린 5.0
트리메틸글리신 5.0
트라넥삼산 1.0
리신 0.05
숙신산 0.5
정제수 잔여
(제법)
A 의 알코올상을 B 의 수상에 첨가하고, 가용화하여 화장수를 얻는다.
(처방예 12 : 유액)
(배합 성분) (질량%)
A. 유상
디메틸폴리실록산 0.5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
호호바유 0.5
POE (30) 피토스테롤 0.2
B. 수상
트라넥삼산 1
당근 엑기스 0.5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05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0.3
아라비아검 0.05
에틸알코올 8
에데트산삼나트륨 0.1
메틸파라벤 0.1
페녹시에탄올 0.2
시트르산 0.05
이온 교환수 잔여
C. 중화
수산화칼륨 0.15
(제법)
용해시킨 (B) 상에 용해시킨 (A) 상을 첨가하여 유화 후, (C) 상으로 중화하여 유액을 얻는다.
(처방예 13) ∼ (처방예 19)
상기 「A. 각전 재생 억제제」의 항에 기재한 처방예 1 ∼ 7 과 동일한 처방예를 들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해, 피부 거칠음을 일으키지 않고 효과적으로 각전의 재생을 억제할 수 있는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가 제공된다.

Claims (7)

  1. (a)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말산, 살리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글리콜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과, (b) 지방산 비누,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N-아실글루탐산염, N-아실 저급 알킬타우린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피토스테롤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계면활성제와, (c)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 트라넥삼산, 판토테닐에틸에테르, 고추나물, 세린, 트리메틸글리신, 알라닌, 글리실글리신,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a) 성분을 0.001 ∼ 20 질량%, (b) 성분을 0.001 ∼ 20 질량%, (c) 성분을 0.001 ∼ 20 질량% 함유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
  3.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료를 피부에 적용한 후에,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말산, 살리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글리콜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를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전 재생 억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각전 억제제 중에 추가로 지방산 비누, 고급 알킬황산에스테르염, N-아실글루탐산염, N-아실 저급 알킬타우린염, 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알킬렌피토스테롤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각전 재생 억제 방법.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각전 억제제 중에 추가로 피부 거칠음 방지제를 함유하는 각전 재생 억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피부 거칠음 방지제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디메틸에테르, 트라넥삼산, 판토테닐에틸에테르, 고추나물, 세린, 트리메틸글리신, 알라닌, 글리실글리신,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비타민 E 니코티네이트, 1-피페리딘프로피온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인 각전 재생 억제 방법.
  7.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피부 세정료와, 락트산, 숙신산, 시트르산, 말산, 살리실산, 피롤리돈카르복실산, 글리콜산, 및 그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함유하는 각전 재생 억제제로 이루어지는 각전 재생 억제 키트.
KR1020147005183A 2011-08-03 2012-08-03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 KR1015081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69751A JP5400105B2 (ja) 2011-08-03 2011-08-03 角栓再生抑制方法および角栓再生抑制キット
JP2011169750 2011-08-03
JPJP-P-2011-169750 2011-08-03
JPJP-P-2011-169751 2011-08-03
PCT/JP2012/069823 WO2013018884A1 (ja) 2011-08-03 2012-08-03 角栓再生抑制剤、角栓再生抑制方法、および角栓再生抑制キ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145A true KR20140054145A (ko) 2014-05-08
KR101508168B1 KR101508168B1 (ko) 2015-04-07

Family

ID=4762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5183A KR101508168B1 (ko) 2011-08-03 2012-08-03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101508168B1 (ko)
CN (1) CN103857378B (ko)
HK (1) HK1197582A1 (ko)
TW (1) TWI481417B (ko)
WO (1) WO2013018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27158A8 (pt) * 2013-05-02 2018-08-14 Next Science Llc Composição antimicrobiana de alta osmolaridade contendo um ou mais solventes orgânicos
JP6183849B2 (ja) * 2013-12-12 2017-08-23 クラシエホームプロダクツ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CN106031844B (zh) * 2015-03-20 2020-01-07 江西永丰博源实业有限公司 一种脱硫脱硝剂
EP3610849A4 (en) 2017-04-10 2021-01-13 Kao Corporation PROCEDURE FOR REMOVING KERATIN PLUGS
WO2018190266A1 (ja) * 2017-04-10 2018-10-18 花王株式会社 皮膚洗浄剤組成物
EP4018996A4 (en) 2019-08-21 2023-09-2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SMETIC COMPOSITION WITH EUTECTIC MIXTURE
JP7024004B2 (ja) * 2020-03-30 2022-02-22 株式会社ナリス化粧品 角栓形成予防・改善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FR3124383A1 (fr) * 2021-06-25 2022-12-30 L'oreal Utilisation d’une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prévenir et/ou traiter les points noirs cutané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4086B2 (ja) * 1991-06-10 2000-09-04 花王株式会社 角栓再生抑制剤
CN1198581C (zh) * 1998-04-24 2005-04-27 宝洁公司 用于清洁皮肤和/或毛发并将护肤活性物沉积在皮肤和/或毛发上的清洁制品
JP2002241260A (ja) 2001-02-19 2002-08-28 Shiseido Co Ltd 角栓除去用化粧料
JP3660656B2 (ja) * 2001-09-28 2005-06-15 株式会社資生堂 皮膚外用剤
US20050019356A1 (en) * 2003-07-25 2005-01-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gulation of mammalian keratinous tissue using N-acyl amino acid compositions
JP4285699B2 (ja) * 2005-02-15 2009-06-24 株式会社資生堂 角栓除去用組成物
JP2006298866A (ja) * 2005-04-25 2006-11-02 Pola Chem Ind Inc クレンジング用の皮膚外用剤
JP5465831B2 (ja) * 2007-12-18 2014-04-09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角栓除去用の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8884A1 (ja) 2013-02-07
CN103857378A (zh) 2014-06-11
TWI481417B (zh) 2015-04-21
KR101508168B1 (ko) 2015-04-07
CN103857378B (zh) 2016-05-04
TW201311286A (zh) 2013-03-16
HK1197582A1 (zh) 2015-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168B1 (ko) 각전 재생 억제제, 각전 재생 억제 방법, 및 각전 재생 억제 키트
JP5093998B2 (ja) 色素沈着予防又は改善剤
EP0937453A2 (en) Cosmetic and tissue cleansing and moisturizing composition
JP5773783B2 (ja) 保湿化粧料
JP5766258B2 (ja) 色素沈着予防又は改善剤
JP5400105B2 (ja) 角栓再生抑制方法および角栓再生抑制キット
KR20170081219A (ko) 클렌징 조성물
JP2002193755A (ja) フケ・カユミ防止頭髪用および洗髪用化粧料
US20030095991A1 (en) Treatment for skin
JP2004002289A (ja) 不全角化抑制剤
JP2002161027A (ja) 炎症および紅斑の減少方法および組成物
JP5400196B2 (ja) 角栓再生抑制剤
JP2021088523A (ja) 皮膚化粧料
US20010014315A1 (en) Bar soap composition
JP2017193506A (ja) 皮膚化粧料
AU7733401A (en) Method for promoting clear skin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JP5945566B2 (ja) かゆみ軽減剤及びそれを用いたかゆみ軽減組成物並びに外部刺激により生じるかゆみを軽減する方法
JP7343885B2 (ja) 皮膚化粧料
WO2016110872A1 (en) Foot care compositions
JP2008169196A (ja) 皮膚外用剤
JP2002212045A (ja) 非アレルギー性肌荒れ改善・予防用皮膚外用剤およびニキビ改善・予防用皮膚外用剤
JPS62267214A (ja) 皮膚外用剤
KR101656427B1 (ko) 두피 자극을 감소시키고 상쾌함을 개선하는 모발용 조성물
JP4854830B2 (ja) しっとり感を有する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