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395A - 휴지걸이 - Google Patents
휴지걸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52395A KR20140052395A KR1020120118461A KR20120118461A KR20140052395A KR 20140052395 A KR20140052395 A KR 20140052395A KR 1020120118461 A KR1020120118461 A KR 1020120118461A KR 20120118461 A KR20120118461 A KR 20120118461A KR 20140052395 A KR20140052395 A KR 201400523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ger
- rest
- shaft
- state
- hoo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루말이 휴지를 거치할 수 있는 원통형의 휴지 걸이봉, 상기 휴지 걸이봉에 결합되는 하부축, 몸체 고리부를 포함하는 상부축, 및 상기 하부축과 상기 상부축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휴지가 수납되는 공간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 고리부와 일측이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타측이 연결되는 집게 고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파지부 일측면에 자석부가 형성된 집게부를 포함하는 휴지걸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지걸이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휴지걸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휴지걸이는 일반적으로 못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화장실이나 주방의 벽에 고정하고, 두루말이 휴지를 원하는 양을 끌어 당겨 절단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휴지걸이는 이동시 못이나 접착제부분을 제거하기 어려워 미관상 좋지 않고, 시멘트 벽에는 못질을 하기 어려워 고정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한 휴지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두루말이 휴지를 거치할 수 있는 원통형의 휴지 걸이봉, 상기 휴지 걸이봉에 결합되는 하부축, 몸체 고리부를 포함하는 상부축, 및 상기 하부축과 상기 상부축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휴지가 수납되는 공간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 고리부와 일측이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타측이 연결되는 집게 고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파지부 일측면에 자석부가 형성된 집게부를 포함하는 휴지걸이를 제공한다.
상기 하부축은 휴지 걸이봉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축 및 제2 삽입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휴지걸이는 상기 상부축을 회전축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부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휴지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회전억제추가 형성된 회전억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고리는 고리형상으로 상기 상부축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고리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상부축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휴지걸이는 상기 하부축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일측은 휴지통 걸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휴지봉투가 부착되는 휴지봉투 걸이부가 형성된 휴지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지통 걸이부는 고리형상으로 상기 하부축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휴지통 걸이부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상기 하부축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집게부는 파지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인 선상의 소성을 가진 와이어부재가 말려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휴지걸이는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지걸이에서 휴지 걸이봉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리부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휴지걸이의 변형예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휴지걸이가 와이어부재로 고정와이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지걸이에서 휴지 걸이봉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리부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휴지걸이의 변형예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휴지걸이가 와이어부재로 고정와이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지걸이에서 휴지 걸이봉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리부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1)는, 몸체부(10), 휴지 걸이봉(11), 집게부(20), 및 고리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부(10)는 두루말이 휴지(70)가 수납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가지며, 휴지 걸이봉(11)에 결합되는 하부축(12), 몸체 고리부(14)를 포함하는 상부축(13), 및 상기 하부축(12)과 상기 상부축(13)을 연결하는 몸체 연결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0)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예를 들어, 철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휴지 걸이봉(11)은 두루말이 휴지(70)를 거치할 수 있으며, 원통형으로 중앙에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휴지 걸이봉(11)은 하부축(12)에 연결하여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일 예로 하부축(12)은 관통홀(111)의 일측에 삽입되는 제1 삽입축(121), 및 관통홀(111)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삽입축(1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의 탄성으로 양측의 몸체 연결부(15)를 벌려 휴지 걸이봉(11)을 분리하여, 두루말이 휴지(도 3의 70참조)가 휴지 걸이봉(11)에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부축(13)은 중심부에 몸체 고리부(14)가 형성되며, 양 측면으로 경사면을 형성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 고리부(14)는 연결부재에 의해 상부축과 이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고리부(30)는 일측이 몸체 고리부(14)와 연결되고 타측이 집게 고리부(22)와 연결되며, 못이나 돌기부(62)와 결합할 수 있는 고리홈(31)을 형성한다. (도 4 참조)
고리부(30)는 링 형상으로, 몸체부(10)와 집게부(20)가 자유로운 각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집게부(20)는 집게부재(23), 자석부(21), 집게 고리부(22) 및 탄성부재(25)를 포함한다.
집게부(20)는 서로 마주하는 1쌍으로 이루어진 각각의 집게부재(23)를 중간부분에서 연결시켜 탄성부재(25)의 탄성력에 의하여 집게부재(23)의 하단부분인 파지부(231)를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상단의 끝부분은 서로 접촉하며 내부로 고정홈(27)을 형성한 고정부(232)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상기 집게부재(23)와 탄성부재(25)는 공지의 탄성부재가 적용된 집게일 수 있다.
상기 집게부재(23)의 일측에 집게 고리부(22)가 형성되고 파지부(231)의 일 측면에는 자석부(21)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석부(21)는 파지부(231) 일측면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되어 설치되고, 철과 같이 자력에 의해 부착이 가능한 피부착부(도 3의 61참조)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착제나 못 등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설치장소에 설치 및 이동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가 다양한 설치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휴지걸이(1)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철벽과 같은 피부착부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철과 같이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한 피부착부(61)에 자석부(21)의 자력에 의해 휴지걸이(1)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루말이 휴지(70)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몸체 연결부(15)가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때 몸체 고리부(14)에 의해 몸체부가 회전 가능하므로, 집게부와 상기 집게부에 형성된 자석부(21)가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용이하게 휴지만을 풀어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휴지걸이(1)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리부를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부(62)가 고리부(30)에 걸려 휴지걸이(1)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두루말이 휴지(70)를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몸체 연결부(15)가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때 몸체 고리부(14)에 의해 몸체부(10)가 회전 가능하므로, 고리부(30)가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용이하게 휴지만을 풀어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휴지걸이(1)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를 이용하여 봉(64)이나 돌출부(63)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봉(64)이나 돌출부(63)에 고정부(232)로 휴지걸이(1)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으로 표현된 집게부(20)는 몸체부와 평행하게 봉(64)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점선의 집게부(20)는 집게 고리부(22)를 중심으로 몸체부가 자중에 의하여 회전하여 휴지 걸이봉(11)과 두루말이 휴지(7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어 휴지를 용이하게 풀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6의 휴지걸이의 변형예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6 내지 도 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2, 2')는 몸체부(10), 휴지 걸이봉(11), 집게부(20), 및 고리부(30) 외에 회전억제부(40, 40')를 포함한다.
도 6에서와 같이, 회전억제부(40)는 상부축(13)을 회전축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부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고리(41)가 형성되고, 타측은 두루말이 휴지(70)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회전억제추(4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고리(41)는 상기 회전억제추(43)로부터 연장된 회전몸체(4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회전고리(41)는 고리형상으로 상기 상부축(13)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고리(41)의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상부축(13)에 탈착이 가능할 수 있다.
회전 몸체(42)는 회전고리(41)와 회전억제추(43)를 연결하는 것으로 "Y"자, "U"자, "I"자 등의 형상일 수 있다.
회전억제추(43)는 자중에 의해 회전 몸체(42)를 상기 상부축(13)을 중심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두루말이 휴지(70)의 회전력을 억제하여 원하는 양의 휴지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몸체부(10), 휴지 걸이봉(11), 집게부(20), 및 고리부(30)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제2 실시예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철벽과 같은 피부착부에 제2 실시예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철과 같이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한 피부착부(61)에 자석부(21)의 자력에 의해 휴지걸이(2)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축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억제부(40)의 회전억제추(43)가 두루말이 휴지(70)의 일측을 눌러 마찰력으로 휴지의 회전력을 억제하여 원하는 양의 휴지만을 풀어 사용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2실시예의 변형예는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64)이나 돌출부(63)에 휴지걸이(2')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64)이나 돌출부(63)에 고정부(232)로 고정되어 휴지걸이(2')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억제부(40')의 회전 몸체(42')를 "U"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면부호 41'은 회전고리를 지칭하고, 43'은 회전몸체를 지칭한다.
제2 실시예에서 설명한 상황과 중복되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나,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한 내용이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적용된다.
이 밖에 몸체부(10)와 집게부(20) 등이 결합, 사용 되는 원리는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자석을 이용하여 벽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휴지걸이를 휴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집게부를 이용하여 봉이나 돌기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3)는, 몸체부(10), 휴지 걸이봉(11), 집게부(20), 고리부(30), 및 회전억제부(40)외에 휴지통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휴지통부(50)는 하부축(12)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일측은 휴지통 걸이부(51)가 형성되고 타측은 휴지봉투(54)가 부착되는 휴지봉투 걸이부(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휴지통 걸이부(51)는 상기 하부축 (12)을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휴지통 걸이부(51)는 휴지봉투(54)가 부착되는 휴지봉투 걸이부(53)와 휴지통 연결부(5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휴지통 걸이부(51)는 고리형상으로 상기 하부축(1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휴지통 걸이부(51)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상으로, 상기 하부축(12)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휴지봉투 걸이부(53)는 링의 형상으로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휴지봉투 고정부(55)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휴지 투입구(56)가 형성되어 있다.
휴지봉투 고정부(55)는 돌기형상으로 휴지봉투 걸이부(53)의 내측이나 외측을 감싸고 거치하는 휴지봉투(54)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휴지봉투(54)는 고정집게(도 10의 57 참조)등으로 상기 휴지봉투 걸이부(53)에 고정할 수 도 있다.
상기 고정집게(57)는 공지의 집게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사용한 두루말이 휴지(70)를 바로 편리하게 버릴 수 있고, 휴지봉투(54)가 가득 차면 새로운 봉투로 편리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 몸체부(10), 휴지 걸이봉(11), 고리부(30), 및 회전억제부(40) 등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3 실시예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철벽과 같은 피부착부에 제3 실시예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철과 같이 자력에 의해 부착 가능한 피부착부(61)에 자석부(21)의 자력에 의해 휴지걸이(3)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지봉투(54)는 고정집게(57)로 휴지봉투 걸이부(53)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봉(64)이나 돌출부(63)에 집게부의 고정부(232)로 휴지걸이(3)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지통부가 하부축(12)에 휴지통 걸이부(51)로 연결된 상태로, 휴지봉투(54) 가 휴지봉투 걸이부(53)에 고정될 수 있다.
확대도는 휴지봉투(54)가 휴지봉투 걸이부(53)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감싼 상태로 거치되며, 휴지봉투 고정부(55)가 휴지봉투(54) 일부를 뚫고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절단 확대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휴지걸이가 와이어부재로 고정와이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휴지걸이(4)는, 몸체부(10), 휴지 걸이봉(11), 집게부(20), 고리부(30), 회전억제부(40), 및 휴지통부(50) 외에 와이어부재(80)를 포함한다.
와이어 부재(80)는 선상으로, 소성을 가지고 있어 사용시 끝부분을 고리형상으로 구부려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부재는 소성을 갖는 구리선 등일 수 있다.
상기 집게부(20)는 파지부(231)에 관통공(233)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 부재(80)의 일측이 관통공(233)에 고정되고, 타측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의 자유단으로 집게부(20)에 말려 있어 사용시 용이하게 풀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소성을 가진 와이어 부재(80)의 끝부분을 고리형태로 구부리고 나머지를 일직선으로 만들어, 높은 곳의 고정 와이어(82)에 손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 밖에 몸체부(10), 휴지 걸이봉(11), 집게부(20), 고리부(30), 회전억제부(40), 및 휴지통부(50) 등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제4 실시예의 설치 및 사용상태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높은 곳에 설치된 고정 와이어(82)에 소성을 가진 와이어 부재(80)의 끝부분을 고리형상으로 구부린 와이어 고리부(81)를 걸어 휴지걸이(4)를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231)에 형성된 관통공(233)에 일측이 연결되고, 손으로 쉽게 구부릴 수 있는 소성을 가진 와이어 부재(80)의 끝부분을 원하는 크기의 와이어 고리부(81)를 만들어 높은 곳의 고정 와이어(82)의 일측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의 변형예,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은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만 한다.
1, 2, 2', 3, 4:휴지걸이 10:몸체부
11:휴지 걸이봉 111:관통홀
12:하부축 13:상부축
121:제1 삽입축 122:제2 삽입축
14:몸체 고리부 15:몸체 연결부
20:집게부 21:자석부
22:집게 고리부 23:집게부재
231:파지부 232:고정부
25:탄성부재 27:고정홈
30:고리부
31:고리홈 40,40':회전억제부
41,41':회전고리 42,42':회전 몸체
43,43':회전억제추 50:휴지통부
51:휴지통 걸이부 52:휴지통 연결부
53:휴지봉투 걸이부 54:휴지봉투
55:휴지봉투 고정부 56:휴지 투입구
57:고정집게 61:피부착부
62:돌기부 63:돌출부
64:봉 70:두루말이 휴지
80:와이어 부재 233:관통공
81:와이어 고리부 82:고정 와이어
11:휴지 걸이봉 111:관통홀
12:하부축 13:상부축
121:제1 삽입축 122:제2 삽입축
14:몸체 고리부 15:몸체 연결부
20:집게부 21:자석부
22:집게 고리부 23:집게부재
231:파지부 232:고정부
25:탄성부재 27:고정홈
30:고리부
31:고리홈 40,40':회전억제부
41,41':회전고리 42,42':회전 몸체
43,43':회전억제추 50:휴지통부
51:휴지통 걸이부 52:휴지통 연결부
53:휴지봉투 걸이부 54:휴지봉투
55:휴지봉투 고정부 56:휴지 투입구
57:고정집게 61:피부착부
62:돌기부 63:돌출부
64:봉 70:두루말이 휴지
80:와이어 부재 233:관통공
81:와이어 고리부 82:고정 와이어
Claims (5)
- 두루말이 휴지를 거치할 수 있는 원통형의 휴지 걸이봉;
상기 휴지 걸이봉에 결합되는 하부축, 몸체 고리부를 포함하는 상부축, 및 상기 하부축과 상기 상부축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휴지가 수납되는 공간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 고리부와 일측이 연결되는 고리부; 및
상기 고리부의 타측이 연결되는 집게 고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파지부 일측면에 자석부가 형성된 집게부를 포함하는 휴지걸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은 휴지 걸이봉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축 및 제2 삽입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휴지걸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축을 회전축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일측은 상부축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회전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은 휴지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회전억제추가 형성된 회전억제부를 포함하는 휴지걸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축에 결합이 가능하도록 일측은 휴지통 걸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휴지봉투가 부착되는 휴지봉투 걸이부가 형성된 휴지통부를 포함하는 휴지걸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는 파지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자유단인 선상의 소성을 가진 와이어부재가 말려 있는 휴지걸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8461A KR101448542B1 (ko) | 2012-10-24 | 2012-10-24 | 휴지걸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18461A KR101448542B1 (ko) | 2012-10-24 | 2012-10-24 | 휴지걸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52395A true KR20140052395A (ko) | 2014-05-07 |
KR101448542B1 KR101448542B1 (ko) | 2014-10-15 |
Family
ID=5088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18461A KR101448542B1 (ko) | 2012-10-24 | 2012-10-24 | 휴지걸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485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95530A (ja) * | 2018-05-10 | 2019-11-14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トイレットロール支持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0512Y1 (ko) * | 2001-05-11 | 2001-10-15 | (주) 세올디자인 | 잡지꽂이 겸용 휴지걸이 |
JP2005103235A (ja) * | 2003-10-01 | 2005-04-21 | Kuniyuki Kagawa | クリップ式のティッシュボックス吊るし具 |
JP3157132U (ja) * | 2009-11-17 | 2010-01-28 | 善巳 山田 | ペーパーホルダー |
-
2012
- 2012-10-24 KR KR1020120118461A patent/KR1014485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9195530A (ja) * | 2018-05-10 | 2019-11-14 | 積水ハウス株式会社 | トイレットロール支持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48542B1 (ko) | 2014-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7816Y1 (ko) | 우산 자동포장기 | |
KR101448542B1 (ko) | 휴지걸이 | |
KR101248178B1 (ko) | 가방 걸이대 | |
KR101701821B1 (ko) | 보조 빨래 건조대 | |
JP2010110831A (ja) | 電動工具用吊り下げ具 | |
JP2007325654A (ja) | 衣料用ハンガー | |
JP6441752B2 (ja) | 環体、吊り具、及び吊り装置 | |
KR101635952B1 (ko) | 빨래 건조대용 세탁물 고정집게 | |
CN206729936U (zh) | 一种多功能手术钳 | |
JPH0121674Y2 (ko) | ||
JP2007007235A5 (ko) | ||
JP4630966B2 (ja) | 容器等の吊り下げ具 | |
JP7217697B2 (ja) | 係止装置及びその鉤受け部材 | |
JP6745517B1 (ja) | 物干しハンガーのピンチ取付け体取付け機構 | |
JP2010274087A (ja) | 物干しハンガークリップ | |
JP2006218278A (ja) | 開閉式ハンガー | |
JPH10294A (ja) | 物干し具 | |
KR200368642Y1 (ko) | 접이식 행거 | |
JP3112155U (ja) | ハンガー用洗濯バサミ | |
JP3159457U (ja) | 布固定具 | |
JP2016501801A (ja) | ゴミ袋の吊り装置 | |
JP3072078U (ja) | 洗濯物干しハンガー | |
JP3142555U (ja) | 自重でフックを固定する物干し用のハンガー | |
KR200454512Y1 (ko) | 옷걸이 보조구 | |
JP2006239779A (ja) | 工具ホルダ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