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2190A -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2190A
KR20140052190A KR1020120117505A KR20120117505A KR20140052190A KR 20140052190 A KR20140052190 A KR 20140052190A KR 1020120117505 A KR1020120117505 A KR 1020120117505A KR 20120117505 A KR20120117505 A KR 20120117505A KR 20140052190 A KR20140052190 A KR 20140052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frame
subframe
adjacent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민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엠이씨
Priority to KR102012011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2190A/ko
Publication of KR2014005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2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03D11/143Mounting frames for toilets and urinals

Abstract

본 발명은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는, 양변기를 복수 개 지지하는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있어서, 건물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상기 양변기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에 급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로부터의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양변기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이 지지하는 양변기와 인접한 다른 양변기를 지지하는 인접서브프레임과, 양단부에 각각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가이드되어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에 지지된 양변기와 상기 인접서브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인접한 양변기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Modularized Assembly for supporting toilet bowl seat}
본 발명은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에 매립되는 프레임에 복수의 양변기를 함께 설치할 수 있으며, 각 양변기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양변기의 설치 높이가 조절 가능한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또는 사무용 건물의 화장실의 양변기는 바닥에 고정설치되는 방식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양변기는 양변기에 급수를 제공하는 저수조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양변기로부터 연장되는 배수관은 바닥면을 경유하므로 급수시의 급수소음과 배수시의 배수소음이 아래층에 전달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벽체에 양변기 지지 구조체를 매립 시공하고, 그 구조체에 양변기를 지지시키며, 배수관은 벽체 내부를 경유하도록 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도1은 종래 양변기 지지 구조체에 개략적인 단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양변기 지지 구조체는 프레임(5), 저수조(6), 공급관(7), 배수관(8)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은 마감벽체(3)에 매립되어 볼트(5a)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저수조(6)는 양변기(1)에 급수를 제공하며, 프레임(5)에 고정설치되고, 그 프레임(5)과 함께 마감벽체(3) 내부에 수용되어 시공된다.
상기 공급관(7)은 상기 저수조(6)로부터 양변기(1)로 급수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며, 상기 배수관(8)은 양변기(1)로부터의 오수가 배출되도록 벽체(2) 내부의 메인배출관(9)과 양변기(1)에 연결된다.
한편, 양변기(1)는 볼트(8)에 의해 상기 프레임(5)에 결합되어 마감벽체(3)로부터 돌출되며, 바닥면(4)으로부터 이격되어 시공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 양변기 지지 구조체는 양변기(1)를 개별적으로 지지한다. 즉, 하나의 양변기는 하나의 양변기 지지 구조체에 지지되어 설치되므로, 복수의 양변기를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양변기 지지 구조체를 복수 개 마련하고, 복수 개의 양변기가 설치되는 화장실의 공간에 상기 양변기 지지 구조체를 개별적으로 이격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양변기 지지구조체는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양변기의 높이가 규격화되어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양변기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어린이용 양변기는 그 높이가 성인용 양변기보다 낮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양변기를 함께 설치할 수 있으며, 각 양변기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양변기의 설치 높이가 조절 가능한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는, 양변기를 복수 개 지지하는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있어서, 건물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상기 양변기들을 지지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에 급수를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로부터의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양변기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이 지지하는 양변기와 인접한 다른 양변기를 지지하는 인접서브프레임과, 양단부에 각각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에 가이드되어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에 지지된 양변기와 상기 인접서브프레임에 지지된 상기 인접한 양변기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된 제1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제1 리브에 U-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에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된 제2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은 상기 제2 리브에 U-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제1,2 결합공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 끼움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이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도록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수평부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서포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는, 복수의 양변기를 함께 설치할 수 있으며, 각 양변기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높이조절서포트에 의해 양변기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양변기 지지용 구조체의 단면도,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의 사시도,
도3은 도2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다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의 시공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은 도4의 단면도,
도6 및 도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건축 공정의 건식화에 따라 화장실의 배관 공사를 건식화하고, 복수의 양변기를 한꺼번에 시공할 수 있으며, 서로 인접되어 배치되는 양변기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양변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다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의 시공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도4의 단면도이다.
먼저,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100)는, 프레임(10), 공급관(20), 배출관(30)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건물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양변기(1)들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은 벽체(2)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에서 마감벽체(3)를 시공함으로써 매립된다.
즉, 상기 양변기(1)는 상기 마감벽체(3)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프레임(10)은 매립되며, 상기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상기 공급관(20) 및 배출관(30) 역시 마감벽체(3) 내부에 매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0)은 서브프레임(11), 인접서브프레임(12), 및 연결프레임(1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특징 중의 하나는, 복수의 양변기(1)를 동시에 설치하면서도 상기 양변기(1)들의 사이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서브프레임(11), 인접서브프레임(12), 및 연결프레임(13)이 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서브프레임(11)은 복수 개의 양변기(1)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인접서브프레임(12)은 상기 서브프레임(11)이 지지하는 양변기(1)와 인접한 다른 양변기(1)를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상기 연결프레임(13)은 상기 서브프레임(11)과 인접서브프레임(12)을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양단부에 각각 서브프레임(11)과 인접서브프레임(12)이 연결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11) 또는 인접서브프레임(12)은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 어느 하나의 양변기(1)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서브프레임(11)이라 할 때, 상기 서브프레임(11)에 인접하는 프레임을 인접서브프레임(12)으로 지칭한다. 따라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2를 참조하면, 프레임(10)은 하나의 서브프레임(11)과, 하나의 인접서브프레임(12)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양변기(1)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서브프레임(11)의 양측으로 배치되는 프레임이 모두 인접서브프레임(12)이 되는 것이다.
상기 서브프레임(11)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12)은 상기 연결프레임(13)에 가이드되어 그 상호간의 거리가 조절된다.
즉, 상기 서브프레임(11)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12)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브프레임(11)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12) 사이의 거리가 조절되면 상기 서브프레임(11)에 지지된 양변기(1)와 상기 인접서브프레임(12)에 지지된 양변기(1)의 거리가 조절된다.
상기 공급관(20)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1)에 급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제1 결합공(16)이 형성된 제1 리브(14)가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20)은 상기 제1 리브(14)에 U-볼트(50)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공(1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 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관(20)이 제1 리브(14)에 체결될 때, 상기 공급관(20)의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관(20)의 위치에 대응하여 U-볼트(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리브(14)에 형성된 제1 결합공(16)을 장공 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공급관(2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그 위치가 다소 변경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하나의 모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관(20)은 외부에서 공급된 물이 대략 수평 방향으로 유동시키는 메인공급관(21)과, 양변기(1)에 사용될 급수를 저장하는 저수조(70)로 분기되는 분기공급관(22)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1)로부터의 오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제2 결합공(17)이 형성된 제2 리브(15)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제2 리브(15)테 U-볼트(50)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본 실시예에, 상기 제2 결합공(17)은 상기 제1 결합공(16)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 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관(30) 역시 상기 공급관(20)과 마찬가지로 그 위치가 상하 방향으로 변경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배출관(30)의 상하 위치에 대응하여 U-볼트(50)의 위치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리브(15)에 형성된 제2 결합공(17)을 장공 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출관(30)의 위치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다소 변경되는 경우라 하더라도 하나의 모듈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관(30)은 각 양변기(1)로부터의 오수가 흐르는 분기배출관(32)과, 각 양변기(1)마다 마련되는 상기 분기배출관(32)으로부터의 오수가 합쳐져 건물의 벽체(2) 내에 마련된 배수관(40)으로 유도하는 메인배출관(31)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배출관(31)은 오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배수관(40) 측으로 갈수로 하향 경사지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르면, 양변기(1)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서포트(60)가 구비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높이조절서포트(60)는 상기 프레임(10)에 끼움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높이조절서포트(60)는 상기 프레임(10)의 하측에서 끼움결합되며, 수직부(61)와 수평부(6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부(61)는 상기 프레임(10)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양변기(1)를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611)을 구비한다. 상기 장공(611) 내의 임의지점을 선택하여 수직부(61)와 프레임(10)의 하단부를 볼트로 결합한다.
상기 수평부(62)은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부분으로, 볼트체결공(621)이 형성되며, 볼트에 의하여 바닥면에 고정된다.
상기 높이조절서포트(60)를 이용하여 프레임(10)의 상하 높이가 조절되므로, 프레임(10)에 결합되는 양변기(1)의 높이가 조절된다.
한편,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6 및 도7에 따른 실시예는 도2와 달리 저수조(70)가 생략되고, 공급관(20)으로부터의 급수가 급수버튼(80)에 의해 버튼 방식으로 양변기에 제공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있어서,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도2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100)는, 건식공법으로 화장실의 배관 및 양변기(1)를 설치하되,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100)를 이용하여 복수의 양변기(1)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100)는,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들을 사전에 제작하여 시공 현장에 조립식으로 설치 가능하므로, 시공 기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때, 각 양변기(1)의 거리를 서브프레임(11)과 인접서브프레임(12)의 간격을 조절하여 간편하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시공될 화장실의 공간이 확정된 상태에서 공간 구성을 자유롭게 하여 시공할 수 있다.
또한, 건식공법에 의해 프레임(10)이 마감벽체(3)에 매립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사후에 양변기(1)의 위치를 다시 조절하여 재시공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마감벽체(3)를 제거한 후에 양변기(1)의 간격을 재조정한 후 재시공할 수 있으므로 추후 설계 변경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높이조절서포트(60)에 의해 양변기(1)의 설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관(30) 또는 공급관(20)의 상하 높이가 설계 상 다소 변경되더라도 제1,2 리브(14,15)에 형성된 장공에 U볼트를 상기 배출관(30) 또는 공급관(20)의 대응 위치로 변경하여 결합함으로써, 배출관(30) 또는 공급관(20)의 상하 높이 변경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 양변기 2... 벽체
3... 마감벽체 10... 프레임
11... 서브프레임 12... 인접서브프레임
13... 연결프레임 14... 제1 리브
15... 제2 리브 16... 제1 결합공
17... 제2 결합공 20... 공급관
21... 메인공급관 22... 분기공급관
30... 배출관 31... 메인배출관
32... 분기배출관 40... 배수관
50... U-볼트 60... 높이조절서포트
61... 수직부 611... 장공
62... 수평부 621... 볼트체결공
70... 저수조 80... 급수버튼
100...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Claims (3)

  1. 양변기(1)를 복수 개 지지하는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에 있어서,
    건물에 매립되어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상기 양변기(1)들을 지지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1)에 급수를 공급하는 공급관(20);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1)로부터의 오수를 배출하는 배출관(30);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복수 개의 양변기(1)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서브프레임(11)과, 상기 서브프레임(11)이 지지하는 양변기(1)와 인접한 다른 양변기(1)를 지지하는 인접서브프레임(12)과, 양단부에 각각 상기 서브프레임(11)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12)이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3)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프레임(13)에 가이드되어 상기 서브프레임(11)과 상기 인접서브프레임(12)은 서로 근접하는 방향 또는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서브프레임(11)에 지지된 양변기(1)와 상기 인접서브프레임(12)에 지지된 상기 인접한 양변기(1)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는 제1 결합공(16)이 형성된 제1 리브(14)가 구비되고, 상기 공급관(20)은 상기 제1 리브(14)에 U-볼트(50)로 체결되며,
    상기 프레임(10)에는 제2 결합공(17)이 형성된 제2 리브(15)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관(30)은 상기 제2 리브(15)에 U-볼트(50)로 체결되며,
    상기 제1,2 결합공(16,17)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장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에 끼움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611)이 형성된 수직부(61)와, 상기 수직부(61)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도록 볼트체결공(621)이 형성된 수평부(62)를 구비하는 높이조절서포트(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KR1020120117505A 2012-10-22 2012-10-22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KR20140052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05A KR20140052190A (ko) 2012-10-22 2012-10-22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7505A KR20140052190A (ko) 2012-10-22 2012-10-22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2190A true KR20140052190A (ko) 2014-05-07

Family

ID=5088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7505A KR20140052190A (ko) 2012-10-22 2012-10-22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219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3203A (ja) * 2015-12-23 2017-06-29 株式会社Lixil 壁取付ライニング用フレーム
KR102038273B1 (ko) 2019-03-28 2019-10-30 홍진우 양변기 배수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3203A (ja) * 2015-12-23 2017-06-29 株式会社Lixil 壁取付ライニング用フレーム
KR102038273B1 (ko) 2019-03-28 2019-10-30 홍진우 양변기 배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2190A (ko) 모듈화된 양변기 지지용 조립체
JP2015536392A (ja) オーバーフロー防止トイレとその製造方法
JP6506613B2 (ja) 建築物構造
KR100909489B1 (ko) 양변기 지지용 구조체
JP6158074B2 (ja) 水洗式大便器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01021084A (zh) 壁挂式翻转蓄能节水座便器
JP6732073B2 (ja) 建築物構造
JP2009235790A (ja) 水洗トイレユニット
AU2015266275B2 (en) Mounting device
JP3203572U (ja) 脱着式トイレコンテナ
KR20090091637A (ko) 배관 구조
JP2013209868A (ja) 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ユニット、サイフォン排水システム施工方法
JP6427469B2 (ja) 簡易水洗式の仮設トイレのボックス内に設置されるロータンク及び同ロータンクを設置した仮設トイレ
JP5412802B2 (ja) 水洗便器の排水ソケット、及び、水洗便器
JP7373281B2 (ja) 壁掛け便器
NL2002397C2 (nl) Draagstructuur voor een toiletpot en werkwijze voor het plaatsen van een dergelijke draagstructuur.
JP4979032B2 (ja) 水洗大便器
JP2016144622A (ja) 入浴設備及びこれに用いる組立浴槽体
JP2012229612A (ja) 水洗大便器
JP2022041175A (ja) トイレ装置
KR200464491Y1 (ko) 절수 및 소음방지 성능이 향상된 양변기
CN102174834A (zh) 防位移可调节同层排水坐便器支架
CZ2010574A3 (cs) Prefabrikovaná funkcní bunka
CN217975594U (zh) 厕间单元及模块化卫生间
JP4398849B2 (ja) 水洗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