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428A -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 Google Patents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6428A
KR20140046428A KR1020140029289A KR20140029289A KR20140046428A KR 20140046428 A KR20140046428 A KR 20140046428A KR 1020140029289 A KR1020140029289 A KR 1020140029289A KR 20140029289 A KR20140029289 A KR 20140029289A KR 20140046428 A KR20140046428 A KR 2014004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ir vent
cover structure
water blocking
impr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238B1 (ko
Inventor
이수호
배재류
김성수
김진강
박형범
정광선
김민우
구정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238B1/ko
Publication of KR2014004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8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wel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며, 실외와 실내를 잇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웨브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판을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COVER STRUCTURE FOR AIR VENTILATION DUCT}
본 발명은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물의 중량을 낮춤과 아울러 용접 및 제작 공수를 줄이고, 재료비 및 제작비용을 절감시키며,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루버를 갖는 창호는 온실이나 재래시장 등과 같은 건축물에 설치되어 환기, 차광, 차양 및 방풍, 방수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시설물이다.
이는 사각형의 틀 내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다수개의 루버(Louver)를 설치하여 상술한 효과들을 이룰 수 있다.
종래의 루버는 흡배기관의 단부에서 벽체의 외부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방을 향해 경사진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형상을 갖는 루버는 기본적으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는 있으나, 공기의 원활한 유동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루버 전제가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을 저해하여 소음 및 진동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루버는 단순한 경사진 형상으로 프레임에 고정되는 형태로, 구조적 강성이 낮은 문제점도 있다.
또한, 루버가 벽체 외부로 돌출되기 때문에 해양플랜트와 같이 공간제약이 심한 경우에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버 구조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에는, 커버 구조물의 프레임을 형성하는 경우, 4개의 부재(11)를 사각 형상으로 배치하고, 이들을 평판 부재(10)에 용접하여 형성하거나, 형강재를 1차 직선으로 절단한 후 다시 플랜지의 끝단 일부를 추가 절단한 다음 용접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4개의 부재(11)를 용접함에 따르는 용접 개소(W)가 증가하여, 용접 공수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결국 공기의 증가와 아울러, 제작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외장용 루버 패널(특허출원 제10-2008-0060210호)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중량을 저감시켜 부유식 해양 플랜트 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하도록 할 수 있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접 공수를 줄여 제조비를 절감시킬 수 있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풍 기능을 강화함과 아울러 소음을 줄이고, 우수 및 침입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며, 실외와 실내를 잇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웨브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판을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키고 중량을 줄여 제작비용을 절감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의 웨브 상단은 상기 프레임의 웨브 하단 보다 실외측을 향해 더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의 실외측 전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의 웨브 상단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웨브 하단의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날개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경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지하다.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깊이를 기준으로, 상방에서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얕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벽체에 설치되며, 실외와 실내를 잇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웨브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판을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을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기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 사이의 양 끝단에 고정 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와의 접촉면을 용접하여 형성한다.
상기 고정 부재의 양단에는, 용접 시공을 위한 용접 개선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의 웨브 하단 위치는, 상기 덕트의 하단 위치 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날개판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웨브 상단 또는 상단 및 하단은,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깊이 보다 얕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깊이의 90% 이하의 깊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낼개판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판의 제 1면 또는 제 2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날개판의 일단 또는 양단 또는 상기 날개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품의 중량을 저감시켜 특히 구조물의 중량제한이 엄격한 부유식 해양 플랜트 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및 제작 공수를 줄이고, 재료비 및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갇는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의 유입을 차단함과 아울러 통풍면적의 감소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판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커버 구조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의 제 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날개판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날개판 및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의 평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도 6의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의 단면(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날개판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도 11b,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을 벽체에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에 설치한 볼트공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을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의 제 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은, 크게 덕트(200)와, 커버 조립체(300)로 구성된다.
덕트(200)는 일단이 실외에 노출되도록 벽체(100)의 내부에 설치되고, 실외와 실내를 잇는 공기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 조립체(300)는 상기 덕트(200)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설치되는 웨브를 갖는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판(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날개판(320)은 실내측에서 실외측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프레임(310)의 웨브 상단(311)은 상기 프레임의 웨브 하단(312) 보다 실외측을 향해 더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310)의 실외측 전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의 웨브 상단(311)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웨브 하단(312)의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날개판(320)은, 상기 프레임(310)의 상기 경사를 따라 배치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다수의 날개판(320)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310)의 깊이를 기준으로, 상방에서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얕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날개판(320)의 길이는 프레임(31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짧아지는 길이를 형성한다.
그리고, 프레임의 웨브 하단(312)은 덕트(20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날개판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을 참조 하면, 다수의 날개판(330)은 프레임(31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서로 동일한 길이 또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웨브 하단(312)은 덕트(20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를 참조 하면, 프레임의 웨브 상단(312)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 경사는 다수의 날개판(32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웨브 하단(312)은 덕트(20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날개판(320)의 길이는 프레임(31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점진적으로 짧아 지는 길이를 형성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날개판 및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5를 참조 하면, 프레임의 웨브 상단(311)은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이 경사는 다수의 날개판(33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의 웨브 하단(312)은 덕트(20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된다.
여기서, 다수의 날개판(330)은 프레임(310)의 상단에서 하단을 따라 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서로 동일한 길이 또는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되는 다수의 날개판(320,330)에는 도 8에 도시되는 돌출부(350,35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날개판(320)의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위치에 돌출부(350,35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350,351)는, 상기 날개판(320)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판(320)의 제 1면 또는 제 2면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50,351)는, 상기 날개판(320)의 일단 또는 양단 또는 상기 날개판(320)의 일단과 타단 사이 위치에 형성된다.
제 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의 제 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의 평면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은 덕트(200)와, 커버 조립체(300)로 구성된다.
상기 덕트(200)는 제 1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구성이 동일하다.
상기 커버 조립체(300)는 덕트(200)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100)에 설치되는 웨브를 갖는 프레임(310)과, 상기 프레임(310)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판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310)은 한 쌍의 기준 부재(310a)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310a) 사이의 양 끝단에 고정 부재(310b)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 부재(310b)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310a)와의 접촉면을 용접라인(W)을 따라 용접이음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는 프레임과 웨브의 길이가 같도록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 부재(310b)의 양단에는, 용접 시공을 위한 용접 개선홈(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날개판(340)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8은 도 6의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의 단면(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프레임의 웨브 하단(312) 위치는, 상기 덕트(200)의 하단 위치 보다 높게 배치된다.
따라서, 우수 및 칩입수가 프레임(310)의 하단을 통해 덕트(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날개판(340)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310)의 깊이 보다 얕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날개판(340)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310)의 깊이의 90% 이하의 깊이를 형성한다.
도 9는 도 8의 프레임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프레임의 웨브 상단(313)과 웨브 하단(314)은 다수의 날개판(34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더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프레임의 웨브 상단(313) 만이 날개판(340)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날개판에 형성되는 돌출부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5와 도 8 내지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다수의 날개판(340)의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위치에 돌출부(350,3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날개판(340)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판(340)의 제 1면 또는 제 2면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50,351)는, 상기 날개판(340)의 일단 또는 양단 또는 상기 날개판(340)의 일단과 타단 사이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돌출부(350,351)는 삼각 돌기부(350)로 형성될 수도 있고, 직각으로 벤딩되는 직각 돌기부(351)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삼각 돌기부(350) 및 직각 돌기부(351)는 하나의 날개판(340)의 양단에 복합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직각 돌기부(351)는 날개판(340)의 실외측 전단에서 하방으로 벤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 형성으로 인해, 우수가 날개판으로 들이치는 경우, 날개판을 타고 실외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일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도 11a, 도 11b,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르는 에어 벤트 커버 조립체(300)을 벽체(100)에 고정하기 위해 프레임(310)에 시공한 볼트공(410, 420)의 다양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볼트공은 개구부 일측면이 개방된 볼트공(410)과 개구부 주변이 폐쇄된 볼트공(420)으로 구분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볼트공(410, 420)은 프레임(310)의 좌우 또는 상하 어느 한 측면 이상의 개소에 위치한 기준 부재(310a) 또는 고정 부재(310b)의 프레임 상에 개구부 일측면이 개방된 볼트공(42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4개면의 프레임(410) 모두에 개구부 주변이 폐쇄된 볼트공(420)을 시공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 일측면이 개방된 볼트공(410)과 개구부 주변이 폐쇄된 볼트공(420)이 하나의 프레임(410) 상에서 혼재되어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구부 주변이 폐쇄된 볼트공(420)은 높이에 비해 길이가 길고 양단이 원호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 일측면이 개방된 볼트공(420)을 설치할 경우 상기 에어 벤트 커버 조립체(300)를 덕트(200)에 연결된 벽체(100)에 설치할 때 볼트공의 위치 선정 및 체결이 간편해져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프레임의 폭을 줄일 수 있어 중량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1실시예와 상기 2실시예, 상기 3실시예의 구성과 형상은 상호 선택적으로 교차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프레임 웨브 와 날개판의 깊이를 축소하고, 날개판에 돌출부 설치로 안해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날개판의 두께를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중량을 저감시켜 부유식 해양 플랜트 설비에 용이하게 적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용접 및 제작 공수를 줄여 재료비 및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프레임 웨브 상단이 하단보다 깊이 깊게 형성하여 처마 효과를 이루고, 프레임 웨브 하단과 덕트 하단을 단차지게 형성하여 빗물 방지턱 효과를 이루며, 프레임 웨브와 날개판 깊이를 차이나게 하여 낙수가 덕트 내부로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우수 및 침입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통풍 기능을 강화함과 아울러 돌출부 설치로 인해 소음을 줄이고, 우수 및 침입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벽체
200 : 덕트
300 : 커버 조립체
310 : 프레임
310a : 기준 부재
310b : 고정 부재
311,313 : 프레임 웨브 상단
312,314 : 프레임 웨브 하단
320, 330, 340 : 날개판
350, 351 : 돌출부
410 개구부 일측면이 개방된 볼트공
420 개구부 주변이 폐쇄된 볼트공
W : 용접선

Claims (16)

  1. 벽체에 설치되며, 실외와 실내를 잇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웨브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판을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의 웨브 상단은 상기 프레임의 웨브 하단 보다 실외측을 향해 더 돌출되고, 상기 프레임의 실외측 전면은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판은,
    상기 프레임의 상기 경사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깊이를 기준으로, 상방에서 하방을 따라 점진적으로 얕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4. 벽체에 설치되며, 실외와 실내를 잇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웨브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판을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기준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 사이의 양 끝단에 고정 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는 프레임과 웨브의 길이가 같고,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기준 부재와의 접촉면을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의 양단에는, 용접 시공을 위한 용접 개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웨브 상단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웨브 하단의 깊이 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7. 제 1항과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웨브 하단 위치는,
    상기 덕트의 하단 위치 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8. 제 1항과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판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웨브 상단 또는 상단 및 하단은,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9. 제 1항과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깊이 보다 얕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깊이는,
    상기 프레임의 깊이의 90% 이하의 깊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11.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개판의 적어도 한 곳 이상의 위치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낼개판이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날개판의 제 1면 또는 제 2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날개판의 일단 또는 양단 또는 상기 날개판의 일단과 타단 사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14. 벽체에 설치되며, 실외와 실내를 잇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전단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에 설치되는 웨브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간격을 이루어 설치되는 다수의 날개판을 갖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은, 좌우 또는 상하 어느 한 측면 이상의 개소에 위치한 기준 부재 또는 고정 부재에 있어서 개구부 일측면이 개방된 볼트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일측면이 개방된 볼트공과 개구부 주변이 폐쇄된 볼트공이 하나의 프레임 상에서 혼재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 주변이 폐쇄된 볼트공은 높이에 비해 길이가 길고 양단이 원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KR1020140029289A 2014-03-12 2014-03-12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KR101541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89A KR101541238B1 (ko) 2014-03-12 2014-03-12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289A KR101541238B1 (ko) 2014-03-12 2014-03-12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428A true KR20140046428A (ko) 2014-04-18
KR101541238B1 KR101541238B1 (ko) 2015-07-31

Family

ID=5065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289A KR101541238B1 (ko) 2014-03-12 2014-03-12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23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413A1 (ko) * 2015-04-29 2016-11-03 주식회사 리더스인 루버기능형 외장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46492A (ko) * 2017-10-26 2019-05-07 김성진 건축용 환기 장치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165A (ja) * 1992-07-31 1994-02-22 Suzuki Motor Corp 自動車用エアコンのコンデンサ装置
JPH08247502A (ja) * 1995-03-13 1996-09-27 Daikin Ind Ltd 冷凍装置の室外機
JP2000097487A (ja) * 1998-09-25 2000-04-04 Arutekku:Kk 通気口用ガラリ
KR20100018774A (ko) * 2008-08-07 2010-02-18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특수차량의 방탄 그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413A1 (ko) * 2015-04-29 2016-11-03 주식회사 리더스인 루버기능형 외장마감재 및 그 시공방법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190046492A (ko) * 2017-10-26 2019-05-07 김성진 건축용 환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238B1 (ko) 2015-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3335B2 (ja) 外装構造
JP6208795B2 (ja) 笠木通気部品
JP6261172B2 (ja) 軒天換気材
KR20140046428A (ko) 침입수 차단 및 통풍 성능을 향상시킨 에어 벤트 커버 구조물
JP2012225005A (ja) 住宅用防雨パネル
JP6960327B2 (ja) 室外機、空気調和機、ファンガード、及びファンガード製造方法
AU2022100068A4 (en) An acoustic louvre assembly
JP7219970B2 (ja) 屋根用断熱材
JP2016050405A (ja) 道路用吸音板
KR20150003345U (ko) 선박 및 해양플랜트용 흡배기관의 루버 구조물
JP6270419B2 (ja) 外壁の排水通気構造
JP2008267029A (ja) 通気材及びそれを用いた棟換気部材
JP4651572B2 (ja) 勾配対応型換気棟
CN105756259A (zh) 一种插接式吊顶结构
KR20150003359U (ko) 흡배기 덕트 삽입형 루버 구조물
TWM542063U (zh) 百葉窗
KR20140040787A (ko) 경사단면 구조를 갖는 흡배기관 루버 구조물
JP3187101U (ja) 道路遮音壁の吸音板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US8267759B2 (en) Sub-duct and method of exhausting into a generally vertical main shaft
JP2005194715A (ja) 防水型換気ルーバ
JP2012233340A (ja) 外壁構造
JP3141032U (ja) ダクト一体型換気ルーバ
TWM556320U (zh) 屋頂通風罩結構(三)
TWM566234U (zh) Ventilation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