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6373A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Google Patents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46373A KR20140046373A KR1020130117739A KR20130117739A KR20140046373A KR 20140046373 A KR20140046373 A KR 20140046373A KR 1020130117739 A KR1020130117739 A KR 1020130117739A KR 20130117739 A KR20130117739 A KR 20130117739A KR 20140046373 A KR20140046373 A KR 201400463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plate
- segment
- circumferential direction
- rehabili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0—Tunnels or galleries specially adapted to house conduits, e.g. oil pipe-lines, sewer pipes ; Making conduits in situ, e.g. of concrete ; Casings, i.e. manhole shafts, access or inspection chambers or coverings of boreholes or narrow we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cleaning or refurbishing water cond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material being introduced inside the pipe by means of a tool moving in the pipe
- F16L55/1645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material being introduced inside the pipe by means of a tool moving in the pipe a part of the tool defining, together with the inner wall of the pipe, an enclosed space into which sealing material is injec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6/00—Restoring or reconditioning objec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Sewag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과제) 충전재의 충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이 세그먼트를 이용한 관 갱생 공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을 플라스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를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을 갱생한다. 끝판(104, 105)에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105a, 105b)과는 별도로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104d, 105d)가 형성되고, 또한 측판의 상측 가장자리와 내부판의 상측 가장자리에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102c, 103c, 106b)가 복수 형성된다.
(해결수단)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을 플라스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를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을 갱생한다. 끝판(104, 105)에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105a, 105b)과는 별도로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104d, 105d)가 형성되고, 또한 측판의 상측 가장자리와 내부판의 상측 가장자리에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102c, 103c, 106b)가 복수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이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서 기설관(旣設管)을 갱생(更生)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이 세그먼트를 사용한 관 갱생 공법에 관한 것이다.
땅 속에 매설된 하수관 등의 관로가 노후화되었을 경우, 그 관로를 땅 속에서 파내지 않고 그 내주면에 라이닝을 실시하여 상기 관로를 보수하는 관 라이닝 공법이 제안되고, 이미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상기 관 라이닝 공법은, 예를 들면 관형상 수지 흡수재에 미경화의 열경화성 수지를 함침시켜서 구성되는 관 라이닝재를 유체압에 의해서 관로 내에 반전시키면서 삽입하고, 상기 관 라이닝재를 유체압에 의해서 관로의 내주벽에 압박한 채 관 라이닝재를 임의의 방법에 의해서 가열하여 이것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를 경화시킴으로써, 관로 내에 플라스틱 파이프를 형성하여 관로를 보수하는 공법이다.
또한,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을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세그먼트를 둘레 방향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을 조립하고, 그 관 유닛을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이용하여 관로를 갱생하는 공법도 알려져 있으며(특허문헌 1), 대구경의 관로에 대해서는 이 관 갱생 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공법에서는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조립한 후,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의 공간에 그라우트 등의 충전재를 충전하여 경화시켜서 복합관을 형성한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갱생관에서는, 세그먼트의 측판, 내부판의 일부에는 관 길이방향의 접속 볼트 등의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는 삽입 구멍이나 노치 가 형성되 있고, 이 노치가 충전재의 통과 길로서도 기능하고 있다. 또한, 세그먼트의 끝판에도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할 때에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충전재는 이 삽입 구멍을 통과해서 둘레방향으로 유입 내지 유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삽입 구멍이나 노치에 연결 부재가 삽입되면 충전재가 통과하는 단면적이 적어져서 충전재의 충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없어 충전 작업이 효율적이지 않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충전재의 충전을 원활하게, 균일하게, 또한 고속으로 행할 수 있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이 세그먼트를 이용한 관 갱생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1, 6)은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이 플라스틱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서 기설관을 갱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이 세그먼트를 이용한 관 갱생 공법으로서, 상기 끝판에 세그먼트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둘레방향으로 연결할 때에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 그 삽입 구멍과는 별도로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부설했을 때에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청구항 5, 10)은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 설치된 측판 및 끝판과, 양 측판 사이에 측판과 평행하게 세워서 설치된 내부판이 플리스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서 기설관을 갱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이 세그먼트를 이용한 관 갱생 공법으로서, 상기 측판과 내부판의 각 상측 가장자리에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부설했을 때에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를 각각 복수 형성하고, 측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내부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와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이하면, 세그먼트의 끝판에 세그먼트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둘레방향으로 연결할 때에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는 별도로 충전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므로, 충전재는 끝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하여 둘레방향으로 유입 내지 유출되므로 충전을 균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세그먼트의 측판과 내부판의 각 상측 가장자리에 충전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를 각각 복수 형성하고, 측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내부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와 다르도록 하고 있으므로, 충전재는 이들 노치를 통해서 관 길이방향으로 흐름과 아울러 세그먼트를 상측(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각 노치가 둘레방향으로 사행하고 있으므로, 충전재의 흐름이 전체에 고루 미치어 충전을 균일하고 또한 고속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갱생관의 조립에 사용되는 세그먼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의 (a)부분은 세그먼트의 측판의 설명도, (b)부분은 (a)부분의 절단선 B-B에 있어서의 단면도, (c)부분은 (a)부분의 A-A선 방향으로부터 본 세그먼트의 끝판의 상세도이다.
도 3의 (a)부분은 세그먼트의 내부판의 상세도, (b)부분은 (a)부분의 절단선 C-C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세그먼트의 다른 내부판의 상세도이다.
도 5의 (a), (b), (c)부분은 세그먼트의 둘레방향으로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해서 관 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관 유닛의 세그먼트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관 유닛을 조립하여 갱생관을 기설관 내에 부설하는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9는 관 유닛을 조립하여 갱생관을 기설관 내에 부설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부분은 세그먼트의 측판의 설명도, (b)부분은 (a)부분의 절단선 B-B에 있어서의 단면도, (c)부분은 (a)부분의 A-A선 방향으로부터 본 세그먼트의 끝판의 상세도이다.
도 3의 (a)부분은 세그먼트의 내부판의 상세도, (b)부분은 (a)부분의 절단선 C-C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세그먼트의 다른 내부판의 상세도이다.
도 5의 (a), (b), (c)부분은 세그먼트의 둘레방향으로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해서 관 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관 유닛의 세그먼트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관 유닛을 조립하여 갱생관을 기설관 내에 부설하는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9는 관 유닛을 조립하여 갱생관을 기설관 내에 부설했을 때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 상수관, 터널, 또는 농업용 수로 등의 대구경의 기설관을 갱생 또는 수복하는데 적합하고, 각 실시예에서는 갱생관은 관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서 설명되지만, 직사각형 등 원형 이외의 형상의 갱생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단면 형상이 관으로서 폐쇄된 형상이 아니라, 예를 들면 말굽형이나 반원형, 凹자형 등 한쪽이 개방된 형상인 경우에도 관으로 간주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관 길이방향이란 도 6에서 관 유닛(10)의 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을, 지름방향이란 관 유닛(10)의 중심축을 향하는 방사상의 화살표 R로 나타낸 방향을, 둘레방향이란 관 유닛(10)의 원의 둘레방향을 말한다.
[실시예]
도 1에는 기설관을 갱생하는 갱생관의 조립 단위부재로 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1)(이하, 단지 세그먼트라 함)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세그먼트(1)는 갱생관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101)과, 그 내면판(101)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된 측판(102, 103)과, 내면판(101)의 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에 수직으로 세워서 설치된 끝판(104, 105)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일체 성형의 블록 형상의 부재이다.
세그먼트(1)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를 복수 등분하는 소정 각도, 예를 들면 6등분하는 60도의 원호상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세그먼트는 원호형 내지 부채꼴에 한정되지 않고, 기설관의 단면 형상, 또는 그 크기, 또는 기설관의 보수 개소에 따라서 직육면체 또는 직각에 둥금을 만들어서 절곡한 형태 등으로 할 수도 있다.
내면판(101)의 상면에는 세그먼트(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측판(102, 103)의 내측에 측판과 같은 형상의 복수, 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내부판(106, 107)이 측판(102, 103)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세워서 설치된다. 세그먼트(1)의 강도가 충분한 경우에는 내부판(106, 107)의 한쪽 또는 양쪽을 생략할 수도 있다.
내면판(101), 측판(102, 103), 끝판(104, 105), 내부판(106, 107)은 모두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고, 공지의 성형 기술을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된다.
도 2(a)는 측판(102, 103)의 상세도, 도 2(b)는 도 2(a)의 절단선 B-B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측판(102)에 대해서 행하지만, 측판(103)도 측판(102)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측판(102)은 원호상의 박판 부재이고, 그 상부(102d)는 하부(102e)보다 판두께가 얇게 되어 있다. 이것은 관 길이방향의 옆의 세그먼트와 접속했을 때에 2매의 측판(102, 103)의 상부에 간극을 형성하고, 여기에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토사 등을 유도, 수납하기 위해서이다.
측판(102)의 하부(102e)에는 세그먼트(1)를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금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102a)이 원주 상에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측판(102)의 구멍(102a)과 측판(103)의 구멍(103a)은 둘레방향의 위치가 일치하고 있다.
측판(102)의 둘레방향의 양단부의 끝판(104, 105) 부근에는 세그먼트(1)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하는 작업에 이용하기 위한 개구부(102b)가 1개씩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02b)는 우각부를 모따기한 직사각형 형상이고, 그 하단은 측판(102)의 하단과 거의 일치하며, 상단은 측판(102)의 상단으로부터 약간 내려간 위치로 되어 있다.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접속할 때에는 개구부(102b)를 통해서 볼트·너트 등의 연결 부재를 세팅하거나 체결하거나 한다(도 5(c)도 참조).
또한, 개구부(102b)는 기설관과 세그먼트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되는 충전재가 이 개구부에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충전시에는 충전재가 이 개구부(102b)를 원활하게, 또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개구부(102b, 103b)는 끝판(104) 부근 또는 끝판(105) 부근의 한쪽에만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측판(102)의 상부에는 충전재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고,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102c)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02c)의 형상은 상단이 비어 있는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노치(102c)의 둘레방향의 위치는 구멍(102a)의 둘레방향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장 끝판(104, 105)으로부터의 구멍(102a)과 다음의 구멍(102a) 사이에 형성되고, 그곳으로부터 구멍(102a)의 2개 간격으로 전부 7개가 형성되어 있다.
도 2(c)는 도 2(a)의 A-A선으로부터 본 끝판(105)의 상세도이다. 이하의 설명은 끝판(105)에 대해서 행하지만 끝판(104)도 끝판(105)과 마찬가지의 구조로 되어 있다.
끝판(105)은 측판(102)과 측판(103) 사이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박판 부재이고, 내면판(101)의 외면으로부터의 높이는 측판(102, 103)보다 약간 낮게 되어 있다. 끝판(105)에 있어서 측판(102)과 내부판(106) 사이, 내부판(106)과 내부판(107) 사이, 2개의 내부판(107) 사이, 내부판(107)과 내부판(106) 사이, 및 내부판(106)과 측판(103) 사이에는 세그먼트(1)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하는 볼트 등의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기 위한 원형의 삽입 구멍(105a)이 각각 1개 형성되어 있다.
내면판(101)의 관 길이방향의 한쪽 단부(도 2(c)에서는 우단)에는 오목부(101a)와 볼록부(101b)가 둘레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고, 타단에는 이것과 요철이 반대로 되도록 볼록부(101c)와 오목부(101d)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세그먼트를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때에 관 길이방향에 이웃한 세그먼트의 오목부와 볼록부가 맞물려서 가이드 또는 위치결정의 역할을 하여 세그먼트의 관 길이방향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끝판(105)의 하단부인 측판(102, 103)의 내측, 내부판(106)의 양측, 내부판(107)의 양측에는 충전재를 유입 내지 유출시키고 통과시키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부(105d)가 형성되어 있다.
끝판(105)의 내부판(107)과 연결되는 위치의 외측에는 볼록부(105c)가 형성되고, 둘레방향에 인접하는 세그먼트의 끝판(104)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104c)와는 끼워맞춰진다(도 5(b)도 참조).
도 3(a)은 내부판(106)의 상세도, 도 3(b)는 도 3(a)의 절단선 C-C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내부판(106)은 측판(102, 103)과 외형이 거의 동일한 박판 부재이고, 그 하부에는 세그먼트(1)를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구멍(106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멍(106a)의 둘레방향의 위치는 측판(102)의 구멍(102a)의 둘레방향의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구멍(106a)은 내부판(106)의 판두께의 중심 부근으로부터 외측(측판의 측)을 향해서 확경되어 있다.
또한, 내부판(106)의 상부에는 충전재를 유입 내지 유출시키고,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106b)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06b)의 형상은 상단이 비어 있는 반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노치(106b)의 둘레방향 위치는 구멍(102a, 106a)의 둘레방향 위치와는 다른 위치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서는, 가장 끝판(104, 105) 부근의 구멍(106a)보다 더욱 끝판 부근에 형성되고, 거기에서 구멍(106a)의 2개 간격으로 전부 8개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노치(106b)의 둘레방향의 위치는 측판(102)의 노치(102c) 둘레방향의 위치와는 구멍(106a)의 둘레방향의 간격만큼 어긋나 있고, 노치(106b)와 노치(102c)는 세그먼트를 위에서 보았을 때 사행한 배치로 되어 있다. 이것은 측판(103)에 형성한 충전재 통과용 노치(103c)와, 측판(103)에 인접하는 내부판(106)에 형서된 동 노치(106b)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도 4는 내부판(107)의 상세도이다. 내부판(107)은 측판(102, 103)과 외형이 거의 일치하는 박판 부재이고, 그 하단 부근으로부터 상단에 걸쳐서 복수의 노치(107a)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107a)의 하부 반원형의 부분의 둘레방향 위치가 측판(102)의 구멍(102a) 및 내부판(106)의 구멍(106a)의 둘레방향 위치와 일치하고 있다. 또한, 노치(107a) 중 세그먼트(1)의 둘레방향 중앙 부분에 배된 것의 방향은 내면판(101)에 수직으로 되어 있고, 그 이외의 노치(107a)의 방향은 중앙의 것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노치(107a)의 방향을 이렇게 함으로써 세그먼트를 일체 성형할 때 그 금형으로부터 빼내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5의 (a), (b), (c)부분은 세그먼트(1)의 둘레방향의 연결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2개의 세그먼트(1, 1)를 한쪽의 세그먼트의 끝판(105)과 다른쪽의 세그먼트의 끝판(104)이 접촉하도록 유지하고, 세그먼트의 측판(102)의 개구부(102b)로부터 스패너 등의 공구나 작업자의 손가락을 넣어서 볼트(6)를 삽입 구멍(104a, 105a)에 삽입하여 너트(7)를 나사결합하고, 양 끝판(104, 105)을 조임으로써 2개의 세그먼트(1, 1)는 둘레방향으로 연결된다. 끝판(104)에는 오목부(104c)가, 끝판(105)에는 오목부(104c)에 맞물리는 볼록부(105c)가 각각 관 길이방향의 내부판(107)의 위치에 2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끝판(104)의 하단부에는 오목부(104e)와 볼록부(104f)가, 끝판(105)의 하부에는 오목부(104e)와 볼록부(104f)에 맞물리는 볼록부(105f)와 오목부(105e)가 관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할 때 양 세그먼트(1)를 위치결정하여 밀착시키는 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맞물림부에 도시하지 않은 시일재를 도포하여 둠으로써 연결부의 수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볼트 고정은 측판(102)과 이것과 인접하는 내부판(106) 사이, 및 측판(103)과 이것과 인접하는 내부판(106) 사이의 2개소에서 행해진다. 이 2개소에서의 연결로는 연결 강도가 불충분한 경우에는 내부판(106, 107) 사이에서 세그먼트의 상방으로부터 연결 부재를 다른 삽입 구멍(104a, 105a)에 세팅하여 둘레방향의 연결을 강화한다.
또한, 도 5(a)에서는 1개소당 1세트의 볼트와 너트가 사용되고 있지만, 대경의 기설관에 사용되는 세그먼트이고 끝판(104, 105)의 높이가 큰 경우에는 1개소당 2세트 이상의 볼트와 너트로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해도 좋다.
이와 같이, 세그먼트의 둘레방향의 연결을 측판(102, 103)에 형성한 개구부(102b, 103b)를 통해서 행하도록 하면, 갱생관의 부설 후에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재를 충전할 때에는 양 세그먼트의 측판(102과 103)이 밀접하여 각 개구부(102b, 103b)가 하나의 일체 개구부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충전재는 이 일체로 된 개구부(102b, 103b)를 유입 내지 유출하고, 갱생관 내를 향해서 하방부로 누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개구부(102b, 103b)를 폐쇄할 필요가 없고, 내부판(101)에 개구부를 형성한 경우에 비하여 둘레방향의 연결을 간소화할 수 있다.
세그먼트(1)를 순차 둘레방향으로 1둘레분 연결시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링 형상의 닫혀진 소정의 짧은 길이의 단관체(10)(이하, 관 유닛이라 함)를 조립할 수 있다. 관 유닛(10)은 원관을 관 길이방향(X)에 수직으로 소정 폭(D)으로 원통형으로 둥글게 절단했을 때에 얻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외경은 갱생해야 할 기설관의 내경보다 조금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세그먼트는 이 관 유닛(10)을 지름방향(R)을 따르는 절단면으로 둘레방향에 복수개로 분할(바람직하게는 등분)했을 때에 얻어지는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세그먼트(1)의 주요한 구조 부재인 내면판(101), 측판(102, 103), 끝판(104, 105)이 도시되어 있고, 내부판(106, 107) 등의 보강 구조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서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관 유닛(10)의 각 세그먼트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부재(체결 부재)(11)와 너트(12)를 이용하여 다른 관 유닛의 세그먼트와 연결되어 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너트(12)를 한쪽의 세그먼트(1a)의 측판(102) 구멍(102a)을 통과시키고, 최초의, 즉 측판(102)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내부판(106)에 접촉시키고, 볼트(13)를 너트(12)에 결합하고 너트(12)를 내부판(106)에 체결하여 내부판(106)에 고정한다.
너트(12)의 관 길이방향의 길이는 측판(102)과 내부판(106)의 간극보다 약간 길고, 상술과 같이 세팅했을 때에 세그먼트(1a)의 측판(102)을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길이이며, 그 돌출량은 다른 세그먼트(1b)의 측판(103)의 두께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다른쪽의 세그먼트(1b)의 측판(103) 구멍(103a)에 너트(12)를 통과시켜 양 세그먼트(1a, 1b)를 맞댄다.
이 상태에서, 연결 부재(11)를 세그먼트(1b)의 측판(102)의 구멍(102a), 내부판(106)의 구멍(106a), 내부판(107)의 노치(107a)에 통과시키고, 나사부(11b)를 세그먼트(1a)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12)에 비틀어 넣는다. 이것에 의해, 연결 부재(11)와 너트(12)가 연결된다. 그 후, 머리부(14)의 플랜지(14a)가 세그먼트(1b)의 최좌단의 내부판(106)에 압박 접촉될 때까지 연결 부재(11)를 너트(12)에 비틀어 넣고 양 세그먼트(1a, 1b)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너트(12)는 하나의 세그먼트에 둘레방향으로 복수개 고정되고, 예를 들면 요구되는 강도에 따라서 측판(102)에 형성된 구멍(102a)의 하나 간격으로, 또는 복수개 간격으로 고정된다. 각 세그먼트는 세그먼트에 있어서의 너트 위치를 그 세그먼트와 인접하는 세그먼트의 너트 위치와 둘레방향으로 보아서 어긋나게 해서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예에서는 중앙에 위치하는 세그먼트(1a)에 있어서의 너트(12)의 위치는 이 세그먼트의 우측에 인접하는 세그먼트(1c)에 있어서의 너트(12)의 위치와, 둘레방향으로 보아서 측판(102)의 구멍(102a)의 간극만큼 어긋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관 유닛의 세그먼트를 다른 관 유닛의 세그먼트와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관 유닛을 관 길이방향으로 임의의 길이로 연결할 수 있고, 관 유닛 내지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구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그먼트(1)를 이용하여 기설관을 갱생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맨홀(20)을 통해서 기설관(21)에 세그먼트(1)를 반입하고,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그먼트(1)를 둘레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관 유닛(10)을 조립한다.
계속해서, 관 유닛(10)을 도 7에 나타내는 방법으로 연결 부재(11)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고, 도 8,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설관(21) 내에 갱생관(40)을 부설한다. 또한, 도 8, 도 9에 있어서는 연결 부재(11) 등은 생략되어 있고, 세그먼트가 간략화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갱생관의 지름이 큰 경우에는 반입된 세그먼트(1)를 실제로 설치되는 위치까지 운반하고, 그곳에서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의 연결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둘레방향의 연결을 할 때에는 세그먼트의 외측과 기설관의 간극이 좁아 세그먼트의 외측으로부터 볼트·너트 세트의 장착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어, 측판에 둘레방향 연결용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의 유용성이 특히 높다.
계속해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의 간극(S)에 그라우트재 등의 충전재(30)를 충전하고, 충전재를 고화시킨다. 간극(S)의 양단부는 수지 퍼티, 모르타르 등의 시일제로 폐쇄해 둔다. 충전재(30)는 예를 들면 내면판(101)에 구멍을 뚫고 그 개구부로부터 주입을 행하고, 갱생관의 전체에 퍼져 관 길이방향의 양단의 세그먼트의 측판으로부터 유출되기 시작할 때까지 행한다. 측판(102, 103)에 형성한 세그먼트의 둘레방향 연결용 개구부(102b, 103b)에는 충전시에는 충전재(30)가 관 길이방향으로 유입 내지 유출되므로 충전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이 때, 세그먼트(1)의 측판(102, 103), 내부판(106)에는 각각 노치(102c, 103c, 106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간극(S)이 작은 경우나 간극(S) 내에 장해물이 있는 경우에도 충전재는 원활하게 관 길이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또한, 측판(102 또는 103)에 형성된 노치(102c, 103c)과 그것에 인접하는 내부판(106)에 형성된 노치(106b)는 세그먼트를 상방(외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둘레방향으로 사행하고 있으므로, 충전재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충전되어 충전재를 균일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끝판(104, 105)의 높이는 측판(102, 103), 내부판(106, 107)의 높이보다 작게 되어 있어서 끝판(104, 105)의 상단과 기설관(21) 사이의 간극이 커져 있기 때문에 충전재는 둘레방향으로도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끝판(104, 105)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104d, 105d)은 충전재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고, 통과시킴과 아울러 충전재의 충전에 따라서 압출되는 기설관(21)과 내면판(101) 사이의 공기의 통과구로서도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층 충전재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다.
이 충전을 행함으로써 기설관(21)과 생생관(40)이 충전재(30)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되고, 기설관, 충전재 및 갱생관으로 이루어지는 복합관을 구축할 수 있다.
1, 1a, 1b, 1c : 세그먼트 6 : 볼트
7 : 너트 10 : 관 유닛
11 : 연결 부재 12 : 너트
13 : 볼트 14 : 너트
14a : 플랜지 20 : 맨홀
21 : 기설관 30 : 충전재
40 : 갱생관 101 : 내면판
102, 103 : 측판 102a, 103a : 구멍
102b, 103b : 개구부 102c, 103c : 노치
102d, 103d : 상부 102e, 103e : 하부
104, 105 : 끝판 104a, 105a : 삽입 구멍
104b : 오목부 105c : 볼록부
104d, 105d : 개구부 104e, 105e : 오목부
104f, 105f : 볼록부 106, 107 : 내부판
106a : 구멍 106b : 노치
107a : 노치
7 : 너트 10 : 관 유닛
11 : 연결 부재 12 : 너트
13 : 볼트 14 : 너트
14a : 플랜지 20 : 맨홀
21 : 기설관 30 : 충전재
40 : 갱생관 101 : 내면판
102, 103 : 측판 102a, 103a : 구멍
102b, 103b : 개구부 102c, 103c : 노치
102d, 103d : 상부 102e, 103e : 하부
104, 105 : 끝판 104a, 105a : 삽입 구멍
104b : 오목부 105c : 볼록부
104d, 105d : 개구부 104e, 105e : 오목부
104f, 105f : 볼록부 106, 107 : 내부판
106a : 구멍 106b : 노치
107a : 노치
Claims (10)
-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이 플라스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서 기설관을 갱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로서,
상기 끝판에 세그먼트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둘레방향으로 연결할 때에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 그 삽입 구멍과는 별도로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부설했을 때에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끝판은 측판보다 낮게 되어 있고, 충전재가 낮아진 끝판의 상부를 둘레방향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측 가장자리에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를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 제 3 항에 있어서,
상측 가장자리에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를 복수 형성한 내부판을 양 측판 사이에 측판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측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내부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와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 및 끝판과, 양 측판 사이에 측판과 평행하게 세워서 설치된 내부판이 플라스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서 기설관을 갱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로서,
상기 측판과 내부판의 각 상측 가장자리에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부설했을 때에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를 각각 복수 형성하고, 측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내부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와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 및 끝판이 플라스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를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상기 끝판에 세그먼트를 연결 부재를 이용하여 둘레방향으로 연결할 때에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과, 그 삽입 구멍과는 별도로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부설했을 때에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세그먼트의 끝판을 접촉시키고, 끝판에 형성된 삽입 구멍에 연결 부재를 삽입하여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둘레방향으로 연결함으로써 관 유닛을 구성하고,
구성된 관 유닛을 순차적으로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 내에 갱생관을 부설하며,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기설관을 갱생하고, 그 때에 상기 끝판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충전재를 유입 내지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끝판은 측판보다 낮게 되어 있고, 충전재가 낮아진 끝판의 상부를 둘레방향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측 가장자리에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를 복수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 제 8 항에 있어서,
상측 가장자리에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노치를 복수 형성한 내부판을 양 측판 사이에 측판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측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내부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와 다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과, 그 내면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세워서 설치된 측판 및 끝판과, 양 측판 사이에 측판과 평행하게 세워서 설치된 내부판이 플라스틱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를 둘레방향 및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을 갱생하는 관 갱생 공법으로서,
상기 측판과 내부판의 각 상측 가장자리에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부설했을 때에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킬 수 있는 노치를 각각 보수 형성하고, 측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가 내부판에 형성한 각 노치의 둘레방향의 위치와 다르도록 하고,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둘레방향과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여 기설관 내에 세그먼트로 이루어지는 갱생관을 부설하며,
기설관과 갱생관의 간극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기설관을 갱생하고, 그 때에 상기 측판과 내부판에 형성된 각 노치를 통해서 상기 충전재를 유입 내지 유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갱생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224677 | 2012-10-10 | ||
JP2012224677A JP6017254B2 (ja) | 2012-10-10 | 2012-10-10 | 更生管用セグメントおよび管更生工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0704A Division KR101922945B1 (ko) | 2012-10-10 | 2016-12-28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KR1020160180706A Division KR101922942B1 (ko) | 2012-10-10 | 2016-12-28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46373A true KR20140046373A (ko) | 2014-04-18 |
KR101697159B1 KR101697159B1 (ko) | 2017-02-01 |
Family
ID=5043179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17739A KR101697159B1 (ko) | 2012-10-10 | 2013-10-02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KR1020160180704A KR101922945B1 (ko) | 2012-10-10 | 2016-12-28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KR1020160180706A KR101922942B1 (ko) | 2012-10-10 | 2016-12-28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80704A KR101922945B1 (ko) | 2012-10-10 | 2016-12-28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KR1020160180706A KR101922942B1 (ko) | 2012-10-10 | 2016-12-28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052052B2 (ko) |
JP (1) | JP6017254B2 (ko) |
KR (3) | KR101697159B1 (ko) |
CN (2) | CN103727350B (ko) |
EA (1) | EA025942B1 (ko) |
RU (1) | RU2618023C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755545B2 (ja) * | 2016-06-22 | 2020-09-16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管更生工法 |
KR101710872B1 (ko) * | 2016-07-08 | 2017-02-28 | 주식회사 에스씨플러스 | 관 라이닝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RU2732906C2 (ru) * | 2018-09-18 | 2020-09-24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Промжилстрой" | Пластиковый тюбинг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внутреннего футляра для ремонта линейного сооружения,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футляра и футляр, изготовленный таким способом |
RU201881U1 (ru) * | 2020-07-24 | 2021-01-19 |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Группа Компаний «Пластик» | Модуль внутренней трубы трубопровода, реставрированного бестраншейным методом |
IT202100032564A1 (it) * | 2021-12-23 | 2023-06-23 | Vammi S R L | Un metodo di ripristino di un assieme tubola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1387A (ja) * | 2000-05-01 | 2001-11-09 | Ashimori Ind Co Ltd |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
JP2005264635A (ja) | 2004-03-22 | 2005-09-29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用セグメント部材 |
JP2005265070A (ja) * | 2004-03-19 | 2005-09-29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00752A (en) * | 1982-10-01 | 1987-10-20 | Fawley Norman | Clock spring crack arrestor |
RU2156397C1 (ru) * | 1999-06-30 | 2000-09-20 |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Авангард" |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а (варианты) |
TW490386B (en) * | 2000-05-01 | 2002-06-11 | Ashimori Ind Co Ltd | Duct repairing material, repairing structure, and repairing method |
JP3890059B2 (ja) * | 2002-01-23 | 2007-03-07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流路施設修復用ブロック体 |
JP2003286742A (ja) * | 2002-01-23 | 2003-10-10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流路施設修復用ブロック体及び流路施設修復工法 |
JP4542808B2 (ja) * | 2004-04-07 | 2010-09-15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更生管用セグメント部材 |
JP2005299711A (ja) * | 2004-04-07 | 2005-10-27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及びその敷設方法 |
JP2005308010A (ja) * | 2004-04-19 | 2005-11-04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用セグメント部材 |
JP2005308100A (ja) * | 2004-04-22 | 2005-11-04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の敷設方法 |
US7451783B2 (en) * | 2004-04-23 | 2008-11-18 |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
JP4482373B2 (ja) * | 2004-05-14 | 2010-06-16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既設管更生用セグメント部材及びそのセグメント部材を用いた更生管 |
US7819435B2 (en) * | 2004-09-10 | 2010-10-26 | Shonan Gosei-Jushi Seisakusho K.K. | Rehabilitating pipe for repairing existing pipe and method for repairing existing pipe |
RU2374551C2 (ru) * | 2007-06-05 | 2009-11-27 | Дочерняя Компания "Укртрансгаз" |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дефектных участков трубопроводов |
JP5463077B2 (ja) * | 2008-07-17 | 2014-04-09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更生管用セグメント |
KR20100064333A (ko) * | 2008-12-04 | 2010-06-14 |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 기설관 갱생 공법 및 그 공법에 사용되는 갱생관용 세그먼트 |
RU2009119151A (ru) * | 2009-05-21 | 2010-11-27 |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СТРОИТЕЛЬ" (RU) | Конструкция ремонтной трубы и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большого диаметра |
CN201401604Y (zh) * | 2009-05-22 | 2010-02-10 | 管丽环境技术(上海)有限公司 | 拼装式地下管道修复用材料及其内衬管 |
JP5457130B2 (ja) * | 2009-06-03 | 2014-04-02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既設管の更生工法 |
JP5794845B2 (ja) * | 2011-07-08 | 2015-10-14 |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更生工法 |
-
2012
- 2012-10-10 JP JP2012224677A patent/JP601725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01-30 RU RU2013104078A patent/RU2618023C2/ru active
- 2013-01-30 US US13/753,927 patent/US9052052B2/en active Active
- 2013-10-02 KR KR1020130117739A patent/KR10169715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0-09 CN CN201310467302.5A patent/CN10372735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0-09 EA EA201301013A patent/EA025942B1/ru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3-10-09 CN CN201710384452.8A patent/CN107270023B/zh active Active
-
2016
- 2016-12-28 KR KR1020160180704A patent/KR10192294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28 KR KR1020160180706A patent/KR1019229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311387A (ja) * | 2000-05-01 | 2001-11-09 | Ashimori Ind Co Ltd |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
JP2005265070A (ja) * | 2004-03-19 | 2005-09-29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
JP2005264635A (ja) | 2004-03-22 | 2005-09-29 | Shonan Plastic Mfg Co Ltd | 更生管用セグメント部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727350A (zh) | 2014-04-16 |
CN107270023A (zh) | 2017-10-20 |
KR101697159B1 (ko) | 2017-02-01 |
KR101922945B1 (ko) | 2018-11-28 |
JP6017254B2 (ja) | 2016-10-26 |
EA201301013A1 (ru) | 2014-04-30 |
CN103727350B (zh) | 2017-08-22 |
KR101922942B1 (ko) | 2018-11-28 |
CN107270023B (zh) | 2019-04-16 |
EA025942B1 (ru) | 2017-02-28 |
US9052052B2 (en) | 2015-06-09 |
KR20170003893A (ko) | 2017-01-10 |
RU2618023C2 (ru) | 2017-05-02 |
KR20170005369A (ko) | 2017-01-12 |
RU2013104078A (ru) | 2014-08-10 |
US20140096855A1 (en) | 2014-04-10 |
JP2014077473A (ja) | 2014-05-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40044271A (ko)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
KR101922942B1 (ko) | 갱생관용 세그먼트 및 관 갱생 공법 | |
KR20030064276A (ko) | 유로시설 수복용 블록체 및 유로시설 수복공법 | |
KR20060046606A (ko) | 갱생관 및 갱생관 부설방법 | |
JP5794845B2 (ja) |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更生工法 | |
JP4482373B2 (ja) | 既設管更生用セグメント部材及びそのセグメント部材を用いた更生管 | |
US20160238183A1 (en) |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 |
US9518692B2 (en) | Pipe rehabilitation method | |
JP6067312B2 (ja) | 更生管および管更生工法 | |
JP6144072B2 (ja) | 管更生工法 | |
JP2009014092A (ja) | 管路の内張り構造 | |
JP5770341B2 (ja) | 更生管用セグメント | |
JP2004353446A (ja) | 流路施設修復用ブロック体並びにこれを用いた流路施設修復工法 | |
JP2016191470A (ja) | 更生管用セグメントおよび管更生工法 | |
JP2017062046A (ja) | 更生管用セグメントおよび管更生工法 | |
KR20090011777A (ko) | 갱생관 및 그 갱생관을 이용한 관로시설 수복공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