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4683A -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4683A
KR20140044683A KR1020120110941A KR20120110941A KR20140044683A KR 20140044683 A KR20140044683 A KR 20140044683A KR 1020120110941 A KR1020120110941 A KR 1020120110941A KR 20120110941 A KR20120110941 A KR 20120110941A KR 20140044683 A KR20140044683 A KR 20140044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coupling unit
mounting bracket
bar link
ball st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0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동
황철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0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44683A/ko
Publication of KR20140044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46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은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쇽 업소버를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에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장착 구멍에 볼 조인트의 볼 스터드 선단이 결합되며, 볼 스터드의 선단에 너트가 체결되고,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에는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가 안착되는 좌면이 형성되며, 좌면에는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JOINT UNIT STABILIZER BAR LINK}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용 서스펜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쇽 업소버를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스태빌라이저 바는 선회 또는 거친 노면의 주행시 차체의 롤링 모션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좌우 휠이 동시에 상하 운동을 할 때에는 작용하지 않으나, 좌우 휠이 서로 다르게 상하 운동을 할 때에는 스태빌라이저 바 양단의 역 위상으로 인하여 비틀림이 생기고 비틀림에 의한 복원력으로 차체의 롤링 모션을 억제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의 서스펜션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02)는 서브 프레임(101) 상에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의 양단이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3)를 통해 쇽 업소버(105)에 연결된다.
상기에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3)는 스태빌라이저 바(102)와 쇽 업소버(105)를 연결하는 서스펜션 부재로서 이의 상단 및 하단은 상,하측의 볼 조인트(BJ)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102)와 쇽 업소버(105)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측 볼 조인트(BJ)는 스태빌라이저 바(102)의 양단에 너트를 통해 체결되며, 상측 볼 조인트(BJ)는 쇽 업소버(105)의 장착 브라켓(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너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볼 조인트(BJ)는 스태빌라이저 바(102)의 양단 및 장착 브라켓에 구비된 장착 구멍에 볼 스터드를 끼우고, 그 볼 스터드에 구비된 공구 돌기를 스패너와 같은 공구로 잡은 상태에서, 너트 런너를 이용하여 볼 스터드의 선단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조립 라인에서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볼 조인트(BJ)의 조립 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도록 볼 스터드의 회전 토크를 스펙 상한치로 관리하기 때문에, 서스펜션 프릭션이 높게 나타나는 바 이러한 서스펜션 프릭션은 차량의 승차감과 조타감 악화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서스펜션 프릭션 저감을 위해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3)의 회전 토크를 저감하면서 조립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성 개선까지 감안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3)의 결합 구조를 필요로 하는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회전 토크를 저감시키며 서스펜션 프릭션을 저감할 수 있고, 조립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은,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쇽 업소버를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에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구멍에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스터드 선단이 결합되며, 상기 볼 스터드의 선단에 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에는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가 안착되는 좌면이 형성되며, 상기 좌면에는 상기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공구 돌기에는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면은 상기 공구 돌기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에는 상기 볼 조인트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에는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스터드가 결합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 측에는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은,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쇽 업소버를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볼 조인트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이 상기 쇽 업소버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의 장착 구멍에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스터드 선단이 결합되며, 상기 볼 스터드의 선단에 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에는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장착 구멍의 일정 가장자리 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된 걸림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 부분이 상기 장착 구멍 측으로 접혀지며 상기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접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에 별개로 용접 설치되며, 상기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은,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쇽 업소버를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볼 조인트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쇽 업소버의 장착 브라켓에 결합되는 볼 스터드가 구비되고, 상기 볼 스터드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 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에 형성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에 구비된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는 다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다각부가 끼워지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볼 스터드에 구비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에 구비된 장착 구멍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세레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를 잡지 않고서도 너트 런너를 통해 볼 스터드에 너트를 체결할 수 있으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높은 회전 토크에 의해 조립성을 유지시킬 필요 없이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회전 토크를 저감시키며 조립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서스펜션 프릭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승차감 및 조타감의 향상으로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에 대한 볼 조인트의 결합 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 조인트의 분해 조립에 따른 정비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서스펜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적용되는 볼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적용되는 볼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 및 외력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차량용 서스펜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은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의 서스펜션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02)와 쇽 업소버(105)를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와 같은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102: 도 1 참조)와 쇽 업소버(105: 도 1 참조)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는 볼 조인트(20)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쇽 업소버(105: 도 1 참조)에 구비된 장착 브라켓(2)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기와 같은 볼 조인트(20)는 스틸 케이스(21)의 내부에 볼 스터드(23)의 볼(26)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볼 스터드(23)에 공구 돌기(25)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볼 조인트(20)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서스펜션 부품 결합용 볼 조인트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100)은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의 회전 토크를 저감시키며 서스펜션 프릭션을 저감할 수 있고, 조립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비성을 개선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에는 볼 조인트(20)의 볼 스터드(23)가 끼워지는 장착 구멍(3)이 형성되고, 그 장착 구멍(3)에 끼워진 볼 스터드(23)의 선단에는 너트(N)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에는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가 안착되는 좌면(31)이 형성되는 바, 그 좌면(31)에는 공구 돌기(25)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구 돌기(25)에는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평면부(27)가 형성되어 있고, 스태빌라이저 바(1) 단부에서의 좌면(31)은 공구 돌기(25)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는 그 볼 스터드(23)가 스태빌라이저 바(1) 단부의 장착 구멍(3)에 끼워지는 때, 좌면(31)에 요입되며 그 좌면(31)의 걸림턱(33)과 걸림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의 단부를 볼 조인트(20)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에 결합할 때, 볼 스터드(23)를 스태빌라이저 바(1) 단부의 장착 구멍(3)에 끼우게 되면,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가 스태빌라이저 바(1) 단부의 좌면(31)에 결합되면서 그 좌면(31)의 걸림턱(33)과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를 잡지 않고서도 너트 런너를 통해 볼 스터드(23)에 너트(N)를 체결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의 높은 회전 토크에 의해 조립성을 유지시킬 필요 없이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10)의 회전 토크를 저감시키며 조립성을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궁극적으로는 서스펜션 프릭션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승차감 및 조타감의 향상으로 상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에 대한 볼 조인트(20)의 결합 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조립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볼 조인트(20)의 분해 조립에 따른 정비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200)은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장착 브라켓(2)에 볼 조인트(20)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 구멍(4)이 형성되고, 그 장착 브라켓(2)에서 장착 구멍(4)의 가장자리 측에는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5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수단(50)은 장착 브라켓(2)에서 장착 구멍(4)의 일정 가장자리 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된 걸림 돌기(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걸림 돌기(51)는 장착 구멍(4)의 내주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폭 및 길이로 절개된 부분이 장착 브라켓(2)의 평면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단부를 볼 조인트(20)를 통해 쇽 업소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장착 브라켓(2)에 결합할 때, 볼 스터드(23)를 장착 브라켓(2)의 장착 구멍(4)에 끼우게 되면,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가 걸림 돌기(51)와 걸림이 이루어지므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를 잡지 않고서도 너트 런너를 통해 볼 스터드(23)에 너트(N)를 체결하며 볼 조인트(20)를 장착 브라켓(2)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200)의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예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200)에 있어 제1 및 제2 변형예에 따른 걸림수단(50)은 장착 브라켓(2)의 적어도 일 부분이 장착 구멍(4) 측으로 접혀지며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접힘부(53)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변형예에서 접힘부(53)는 도 5에서와 같이 장착 브라켓(2)의 끝단부 일 부분이 장착 구멍(4) 측으로 접혀지며 형성될 수 있고, 제2 변형예에서 접힘부(53)는 도 6에서와 같이 장착 브라켓(2)의 끝단부 전체가 장착 구멍(4) 측으로 접혀지며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200)에 있어 제3 변형예에 따른 걸림수단(50)은 장착 브라켓(2)에 별개로 용접 설치되며,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기체(55)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변형예에서 돌기체(55)는 장착 브라켓(2)의 장착 구멍(4) 가장자리 측에서 공구 돌기(25)의 어느 한 쪽 평면부(27)에 대응하는 위치에 별도로 용접 설치되며, 그 공구 돌기(25)의 평면부(27)와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300)은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쇽 업소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장착 브라켓(2)에 구비된 장착 구멍(5)에 볼 조인트(20)의 볼 스터드(23)가 결합되고, 그 볼 스터드(23)에는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70)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수단(70)은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 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71)는 단일의 개수로서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에 대응하여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에는 결합 돌기(71)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홀(72)이 장착 구멍(5)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양단부를 볼 조인트(20)를 통해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쇽 업소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장착 브라켓(2)에 결합할 때, 볼 스터드(23)를 스태빌라이저 바(1)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의 장착 구멍(5)에 끼우게 되면, 공구 돌기(25)의 결합 돌기(71)가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의 결합홀(72)에 끼워지게 되므로, 스패너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를 잡지 않고서도 너트 런너를 통해 볼 스터드(23)에 너트(N)를 체결하며 볼 조인트(20)를 장착 브라켓(2)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300)의 작용 효과는 전기 실시예들에서와 같으므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300)에 있어 제1 변형예에 따른 걸림수단(70)은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에 대응하여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에 다수 개로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 돌기들(71)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에는 결합 돌기들(71)이 끼워질 수 있는 다수 개의 결합홀들(72)이 장착 구멍(5)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300)에 있어 제2 변형예에 따른 걸림수단(70)은 볼 스터드(23)의 공구 돌기(25)에 형성되며,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의 장착 구멍(5)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는 다각부(73)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형예에서 다각부(73)는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에 대응하여 공구 돌기(25)의 측면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6각 형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의 장착 구멍(5) 가장자리 부분에는 공구 돌기(25)의 다각부(73)에 대응하여 그 다각부(73)가 끼워질 수 있는 결합부(74)가 형성된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300)에 있어 제3 변형예에 따른 걸림수단(70)은 볼 스터드(23)에 구비되며,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의 장착 구멍(5) 내주면에 결합되는 세레이션(77)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변형예에서 세레이션(77)은 공구 돌기(25)에 대응하여 볼 스터드(23)의 로드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레이션(77)은 스태빌라이저 바(1)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2)의 장착 구멍(5) 내주면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스태빌라이저 바 2... 장착 브라켓
10...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 20... 볼 조인트
23... 볼 스터드 25... 공구 돌기
27... 평면부 31... 좌면
33... 걸림턱 50, 70... 걸림수단
51... 걸림 돌기 53... 접힘부
55... 돌기체 71... 결합 돌기
72... 결합홀 73... 다각부
74... 결합부 77... 세레이션
N...너트

Claims (11)

  1.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쇽 업소버를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으로서,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에 장착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 구멍에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스터드 선단이 결합되며, 상기 볼 스터드의 선단에 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에는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가 안착되는 좌면이 형성되며, 상기 좌면에는 상기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 돌기에는 상호 대응하는 한 쌍의 평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면은 상기 공구 돌기의 외주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쇽 업소버에는 상기 볼 조인트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에는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스터드가 결합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 측에는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4.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쇽 업소버를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으로서,
    상기 볼 조인트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이 상기 쇽 업소버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의 장착 구멍에 상기 볼 조인트의 볼 스터드 선단이 결합되며, 상기 볼 스터드의 선단에 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장착 브라켓에는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5.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장착 구멍의 일정 가장자리 부분이 절개되어 절곡된 걸림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6.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일 부분이 상기 장착 구멍 측으로 접혀지며 상기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접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7.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장착 브라켓에 별개로 용접 설치되며, 상기 공구 돌기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돌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8.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와 쇽 업소버를 볼 조인트를 통해 연결하기 위한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으로서,
    상기 볼 조인트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쇽 업소버의 장착 브라켓에 결합되는 볼 스터드가 구비되고,
    상기 볼 스터드에는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과 걸림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 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끼워지는 결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볼 스터드의 공구 돌기에 형성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에 구비된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 부분에 끼워지는 다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구멍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다각부가 끼워지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볼 스터드에 구비되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의 단부 및 장착 브라켓에 구비된 장착 구멍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세레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KR1020120110941A 2012-10-05 2012-10-05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KR20140044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41A KR20140044683A (ko) 2012-10-05 2012-10-05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0941A KR20140044683A (ko) 2012-10-05 2012-10-05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4683A true KR20140044683A (ko) 2014-04-15

Family

ID=50652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0941A KR20140044683A (ko) 2012-10-05 2012-10-05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446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693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 클램핑 방식 스탭바 링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693A (ko) * 2018-12-10 2020-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볼 클램핑 방식 스탭바 링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73126A1 (en) Suspension apparatus for a vehicle and vehicle including same
US20120112427A1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JP2008195296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9849743B2 (en) Swing arm
US20120091681A1 (en) Transverse Link On A Motor Vehicle
US9216778B1 (en) Cab suspension
JP2001206032A (ja) サスペンション用vロッドの取付構造
JP5403781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アクスルのスピンドルブラケット
JP2007182116A (ja) 車両のスタビライザ取付構造
KR20140044683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US6070892A (en) Suspension system with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between torsion bar and suspension arm
US10421327B2 (en) Suspension system
KR20070063844A (ko) 커플드 토션빔 타입 현가장치의 보강구조
KR100643963B1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바의 설치구조
JP5452683B1 (ja) スタビライザブラケット
JP2008149789A (ja) 連結手段
KR100629330B1 (ko) 커플드 토션빔
KR100836792B1 (ko)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JP5193002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締結構造
KR100980979B1 (ko) 차량용 현가장치
WO2017082275A1 (ja) ブレーキチャンバーブラケットの取付構造
KR20120121237A (ko) 쇼크 업소버용 브래킷
KR20100056710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용 체결유닛
JP2009067315A (ja) サスペンション用vロッドの取付構造
KR101461921B1 (ko) 커플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