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6792B1 -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6792B1
KR100836792B1 KR1020070069593A KR20070069593A KR100836792B1 KR 100836792 B1 KR100836792 B1 KR 100836792B1 KR 1020070069593 A KR1020070069593 A KR 1020070069593A KR 20070069593 A KR20070069593 A KR 20070069593A KR 100836792 B1 KR100836792 B1 KR 100836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knuckle
knuckle bracket
bracke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명화
송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7006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6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6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6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3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5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axle or suspension arm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쇽업소버의 타단에 상기 차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라켓 및 너클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너클 브라켓과 상기 너클 아암의 각각에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클 브라켓에는 키이 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클 아암에는 상기 키이 홈에 삽입되는 키이가 형성되되, 상기 키이가 상기 키이 홈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너클 브라켓의 체결공과 상기 너클 아암의 체결공이 일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너클 브라켓, 너클 아암, 키이 홈, 키이

Description

쇽업소버의 연결부재{CONNECTING MEMBER OF SHOCK ABSORB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연결부재의 너클 브라켓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너클 브라켓 20 : 너클 아암
11 : 본체부 12 : 플랜지부
13 : 연결부 12a, 21 : 체결공
13a : 키이 홈 22 : 키이
본 발명은 쇽업소버의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쇽업소버를 차륜 측에 연결하는 데에 사용되는 너클 브라켓 및 너클 아암을 포함하는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코일스프링과 쇽업소버를 이용하여 차체와 차륜의 상하 방향 운동을 조절하여 편안한 승차감을 확보하고 상하 이외의 방향으 로는 적절한 강성에 의해 조정안정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쇽업소버는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완충한다. 맥퍼슨식 쇽업소버의 경우, 상단이 차체와 연결된 쇽업소버의 하단에는 차륜과의 결합을 위한 너클 브라켓이 설치되며, 너클 브라켓은 차륜에 연결된 너클 아암에 결합된다.
너클 브라켓과 너클 아암의 각각에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조립시 너클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공과 너클 아암에 형성된 체결공을 맞추기가 어려워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너클 브라켓과 너클 아암의 조립시 너클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공과 너클 아암에 형성된 체결공을 간단한 지그에 의해 용이하게 맞추도록 구성된 쇽업소버의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쇽업소버의 타단에 상기 차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라켓 및 너클 아암을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너클 브라켓과 상기 너클 아암의 각각에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클 브라켓에는 키이 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클 아암에는 상기 키이 홈에 삽입되는 키이가 형성되되, 상기 키이가 상기 키이 홈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너클 브라켓의 체결공과 상기 너클 아암의 체결공이 일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연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쇽업소버의 연결부재는,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쇽업소버(1)의 타단에 차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너클 브라켓(10)과 너클 아암(20)을 포함한다.
너클 브라켓(10)은 본체부(11)와 플랜지부(12)와 보강편(13)을 포함한다.
본체부(11)는 쇽업소버(1)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일부분에 맞대어져서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11)는 쇽업소버(1)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일부분에 맞대어지는 호형 단면을 가지며, 본체부(11)의 가장자리가 용접에 의해 쇽업소버(1)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된다.
플랜지부(12)는 본체부(11)의 양측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좌우 한쌍이 돌출된 형태이다. 플랜지부(12)에는 너클 아암(20)과 볼트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12a)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강편(13)은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12)의 각각의 상단부에 좌우 한쌍이 내측으로 대면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형태이다. 보강편(13)에는 키이 홈(1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너클 아암(20)에도 너클 브라켓(10)과 볼트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21) 이 2개 형성되어 있다. 너클 아암(20)의 상단부에는 너클 브라켓(10)의 키이 홈(13a)에 삽입되는 키이(22)가 형성되어 있다.
너클 브라켓(10)의 키이 홈(13a)과 너클 아암(20)의 키이(22)는, 너클 아암(20)의 키이(22)가 너클 브라켓(10)의 키이 홈(13a) 내에 삽입되었을 때 너클 브라켓(10)의 체결공(12a)과 너클 아암(20)의 체결공(21)이 일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너클 브라켓(10)과 너클 아암(20)의 조립시 너클 아암(20)의 키이(22)를 너클 브라켓(10)의 키이 홈(13a)에 삽입하기만 하면, 너클 브라켓(10)의 체결공(12a)과 너클 아암(20)의 체결공(21)이 일치하게 된다.
너클 브라켓(10)의 본체부(11)는 그 가장자리가 쇽업소버(1)의 외통의 외면에 용접됨으로써 쇽업소버(1)에 고정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클 브라켓(10)의 본체부(11)에서 외통의 외면과 대면하는 부분에 프로젝션 용접용 돌기(14)를 복수개 형성하여 프로젝션 용접을 추가로 실시함으로써 너클 브라켓(10)의 쇽업소버(1)에 대한 고정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너클 브라켓(10)의 본체부(11)의 중간에 용접용 절개부(15)를 형성하여 용접용 절개부(15)의 가장자리를 쇽업소버(1)에 대하여 용접함으로써 너클 브라켓(10)의 쇽업소버(1)에 대한 고정 강도를 보강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변경 또는 수정이 당해 기술분야에서 있을 수 있으며,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쇽업소버의 연결부재에 의하면, 너클 브라켓과 너클 아암의 조립시 너클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공과 너클 아암에 형성된 체결공을 간단한 지그에 의해 용이하게 맞추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일단이 차체와 연결되며 타단이 차륜과 연결되는 쇽업소버의 타단에 상기 차륜과의 결합을 위해 설치되는 너클 브라켓 및 너클 아암을 포함하는 쇽업소버의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너클 브라켓과 상기 너클 아암의 각각에는 볼트에 의해 서로 결합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너클 브라켓에는 키이 홈이 형성되고 상기 너클 아암에는 상기 키이 홈에 삽입되는 키이가 형성되되, 상기 키이가 상기 키이 홈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너클 브라켓의 체결공과 상기 너클 아암의 체결공이 일치되도록 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클 브라켓은, 상기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일부분에 맞대어져서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서 직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돌출된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좌우 한쌍의 플랜지부의 각각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대면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좌우 한쌍의 보강편을 포함하고,
    상기 너클 브라켓의 상기 체결공은 상기 플랜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너클 브라켓의 키이 홈은 상기 한 쌍의 보강편에 형성되고,
    상기 너클 아암의 키이는 그 상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 의 연결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의 원주방향으로 일부분에 맞대어지는 호형 단면을 가지며, 그 가장자리가 용접에 의해 상기 쇽업소버의 외통의 하단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너클 브라켓의 본체부에서 상기 쇽업소버의 외통의 외면과 대면하는 부분에는 프로젝션 용접용 돌기가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너클 브라켓의 상기 본체부의 중간에는 용접용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KR1020070069593A 2007-07-11 2007-07-11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KR100836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93A KR100836792B1 (ko) 2007-07-11 2007-07-11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9593A KR100836792B1 (ko) 2007-07-11 2007-07-11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6792B1 true KR100836792B1 (ko) 2008-06-11

Family

ID=39770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9593A KR100836792B1 (ko) 2007-07-11 2007-07-11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67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2351A (zh) * 2021-08-18 2021-11-0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转向节装配限位结构及减震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6609U (ja) 1981-09-25 1983-03-2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トラツト式懸架装置
JPH0952504A (ja) * 1995-08-14 1997-02-25 Nissan Motor Co Ltd ストラットアッセンブリとナックルスピンドルとの結合構造
JPH11257411A (ja) 1998-03-16 1999-09-21 Unisia Jecs Corp 液圧緩衝器のフィキシングブラケット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6609U (ja) 1981-09-25 1983-03-29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ストラツト式懸架装置
JPH0952504A (ja) * 1995-08-14 1997-02-25 Nissan Motor Co Ltd ストラットアッセンブリとナックルスピンドルとの結合構造
JPH11257411A (ja) 1998-03-16 1999-09-21 Unisia Jecs Corp 液圧緩衝器のフィキシングブラケット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02351A (zh) * 2021-08-18 2021-11-05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一种转向节装配限位结构及减震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80449A (ko) 하이브리드 현가암
JP5606163B2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KR1024535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KR20110063173A (ko) 서스펜션 암
KR100530031B1 (ko) 토션 빔 액슬 서스펜션
KR20170075804A (ko) 완충기
KR101479594B1 (ko)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KR100836792B1 (ko) 쇽업소버의 연결부재
KR20170099712A (ko) 트레일링암 부시
KR20170077958A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장치
KR10132871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태빌라이저 바 마운팅 장치
KR100880167B1 (ko) 너클 브라켓
KR100844756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의 마운팅 구조
KR100953318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100889000B1 (ko) 너클 브라켓의 용접 방법
JP200526510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4695458B2 (ja) ストラット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5621484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取付構造
JPH09210113A (ja) サスペンションの取付ブラケット
KR100471825B1 (ko) 자동차의 프런트서스펜션구조
KR101724457B1 (ko)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170099713A (ko) 스토퍼 조립구조를 가지는 트레일링암 부시
JP2007045282A (ja) ストラット型ショックアブソーバ
JP2008223947A (ja) ブッシュ
KR20140044683A (ko) 스태빌라이저 바 링크의 결합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