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2799A -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2799A
KR20140042799A KR1020137028876A KR20137028876A KR20140042799A KR 20140042799 A KR20140042799 A KR 20140042799A KR 1020137028876 A KR1020137028876 A KR 1020137028876A KR 20137028876 A KR20137028876 A KR 20137028876A KR 20140042799 A KR20140042799 A KR 2014004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mferential direction
tire
segment
trea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936B1 (ko
Inventor
다쓰미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후지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쇼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heating or coo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0Mounting, exchanging or centering
    • B29C33/306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moul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601Vulcanising tyres; Vulcanising presses for tyres
    • B29D30/0606Vulcanising moulds not integral with vulcanising presses
    • B29D2030/0607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moulds
    • B29D2030/0613Means, e.g. sipes or blade-like elements, for forming narrow recesses in the tyres, e.g. cuts or incisions for winter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Heating, Cooling, Or Curing Plastics Or The Like In General (AREA)

Abstract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복수 종류의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기 위한 세그먼트 블록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함으로써, 다종류의 트레드 패턴을 성형 가능한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11A∼11H)은,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또한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블레이드(14)를 상이한 배열로 배치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 블록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여 타이어 일 주위 부분에 상당하는 링형의 금형을 구성하도록 했다.

Description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TIRE VULCANIZATION MOLDING DI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IRES USING SAME}
본 발명은,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tread pattern)을 성형하기 위한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가류(加硫)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를 성형할 때는, 성형된 생(生)타이어의 내측에 압력을 거는 동시에 생타이어의 외표면을 가열된 금형의 내벽에 압착(壓着)시켜, 생 타이어를 열과 압력으로 가류하기 위한 금형이 사용된다. 이러한 금형의 내면측(타이어의 트레드 측)에는,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기 위한 복수의 돌조(突條)나 블레이드(blade)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금형은, 원주 상 복수(예를 들면, 8분할)로 분할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타이어의 주위 방향을 소정 길이로 구획하고, 복수 종류의 트레드 패턴 유닛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함으로써, 타이어 소음을 저감하도록 한 것이,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주위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패턴 유닛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여 타이어 트레드를 구성한 것이다.
일본특허 제2618198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은, 주위 방향의 길이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패턴 유닛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한 것이므로, 복수 종류의 트레드 패턴 유닛을 주위 방향으로 배치한 후에, 그 조합 중에서 트레드 패턴 유닛의 배치 위치를 서로 변경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예를 들면, 주위 방향의 길이가 A의 패턴 유닛 대신에, 주위 방향의 길이가 B 또는 C의 패턴 유닛을 배치하는 것은, 주위 방향의 길이가 상이하므로, 사실상 가능하지 않아, 패턴 유닛을 배치하는데 더하여 제약이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해진 것이며,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복수 종류의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기 위한 세그먼트 블록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함으로써, 다종류의 트레드 패턴을 성형 가능한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항에 관한 발명의 특징은,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으로서, 상기 세그먼트 블록은,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또한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블레이드를 상이한 배열로 배치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세그먼트 블록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여 타이어 일 주위 부분(一周分)에 상당하는 링형의 금형을 구성하도록 한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이다.
제2항에 관한 발명의 특징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블록은, 폭 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된 복수의 블록편으로 구성되며, 이들 블록편이 볼트에 의해 착탈(着脫)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이다.
제3항에 관한 발명의 특징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블록은, 상기 블레이드의 주위 방향의 피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이다.
제4항에 관한 발명의 특징은,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을 구비하고, 이들 세그먼트 블록은,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또한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블레이드를 상이한 배열로 배치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고, 이들 트레드 성형 패턴이 상이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을 타이어 가류 성형 장치 내에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 내에 미가류(未加流) 타이어를 반입하여, 상기 미가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의 제조 방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제1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이,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또한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블레이드를 상이한 배열로 배치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 블록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여 타이어 일 주위 부분에 상당하는 링형의 금형을 구성하도록 했다.
이 구성에 의해, 동일 직경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기 위한 금형으로서, 종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세그먼트 블록을, 각각 복수씩 준비하여 둠으로써, 종류가 상이한 세그먼트 블록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여, 타이어를 가류 성형할 수 있고, 또한 그 후, 종류가 상이한 세그먼트 블록을 자유롭게 치환하여 상이한 트레드 패턴을 가지는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소수의 세그먼트 블록에서, 트레드 패턴이 상이한 다종류의 타이어를 자유롭고 또한 용이하게 가류 성형할 수 있어, 금형의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금형(세그먼트 블록)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스페이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2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세그먼트 블록은, 폭 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된 복수의 블록편으로 구성되며, 이들 블록편이 체결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블록편이 손상되는 등의 경우에도, 체결 볼트를 느슨하게 하여, 손상된 블록편만 교환하면 되므로, 세그먼트 블록 단위로 교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금형의 러닝 비용(running cost)을 저감할 수 있다.
제3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세그먼트 블록은, 블레이드의 주위 방향의 피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 피치가 상이한 세그먼트 블록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4항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이,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또한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블레이드를 상이한 배열로 배치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고, 이들 트레드 성형 패턴이 상이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을 타이어 가류 성형 장치 내에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 내에 미가류 타이어를 반입(搬入)하여, 미가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도록 했으므로, 소수의 세그먼트 블록을 사용하여, 트레드 패턴이 상이한 다종류의 타이어를 자유롭고 또한 용이하게 가류 성형할 수 있는 타이어의 제조 방법을 구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라 절단한 세그먼트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세그먼트 블록의 트레드 성형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4-4선을 따라 절단한 세그먼트 블록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세그먼트 블록에 형성된 3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을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6은 3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을 랜덤으로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트레드 성형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트레드 성형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트레드 성형 패턴을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세그먼트 블록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가류 성형에 의해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기 위한 가류 성형용 금형(10)을 나타내고, 상기 금형(10)은, 주위 방향으로 복수(실시형태에 있어서는 8개)로 분할된 세그먼트 블록(11)[11A∼11H]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세그먼트 블록(11A∼11H)은, 동일한 분할 각도, 바꾸어 말하면 동일한 주위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각 세그먼트 블록(1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타이어의 폭 방향)으로도 복수의 블록편(11A1∼11A9)으로 분할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블록편(11A1∼11A9)이 체결 볼트(12)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즉,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각 세그먼트 블록(11)은, 타이어의 양단 벽부를 성형하는 양단 블록편(11A1∼11A9)과, 타이어의 외주에 원주홈을 성형하는 3개의 원주홈 성형용 블록편(11A3, 11A5, 11A7)과, 타이어의 외주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4개의 트레드 성형용 블록편(11A2, 11A4, 11A6, 11A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양단 블록편(11A1∼11A9)의 사이에는, 원주홈 성형용 블록편(11A3, 11A5, 11A7)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이들 블록편(11A3, 11A5, 11A7)의 각각의 내면에, 타이어의 외주에 복렬(複列)의 원주홈을 성형하는 복수의 돌조(13)가 형성되어 있다. 원주홈 성형용 블록편(11A3, 11A5, 11A7)과 양단 블록편(11A1∼11A9)과의 각각의 사이에는, 각각 트레드 성형용 블록편(11A2, 11A4, 11A6, 11A8)이 배치되고, 이들 블록편(11A2, 11A4, 11A6, 11A8)의 각각의 내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4)(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트레드 성형용 블록편(11A4, 11A6)에, 돌조(13)에 교차하는 제1 블레이드(14A)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14A)는, 폭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져 주위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 간격 P1으로 배열되어 있다. 또한, 폭 방향의 양단 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트레드 성형용 블록편(11A2, 11A8)에, 돌조(13)에 교차하는 제2 블레이드(14B)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블레이드(14B)는, 제1 블레이드(14A)보다 완만한 경사 각도로, 제1 블레이드(14A)와 동일한 피치 간격 P1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블레이드(14A)와 제2 블레이드(14B)를 상이한 피치 간격으로 배열해도 된다.
세그먼트 블록(11)을 구성하는 복수의 블록편(11A1∼11A9)은, 이들을 관통하는 한 쌍의 노크 핀(15)과, 복수의 체결 볼트(12)에 의해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블록편(11A1∼11A9)을 고정시키는 체결 볼트(12)는, 가류 성형 시의 높은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인접하는 2개 또는 3개의 블록편을 복수의 체결 볼트(12A)에 의해 각각 결합하고, 이들 결합된 블록편군끼리를 또 다른 복수의 체결 볼트(12B)에 의해 서로 결합하고, 마지막으로 모든 블록편(11A1∼11A9)을 관통하는 복수의 체결 볼트(12C)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블록편(11A1∼11A9)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그먼트 블록(11A∼11H)의 각각의 내면은, 타이어에 성형해야 할 트레드 패턴의 암형(雌型)을 이루는 트레드 성형면(20)(도 1, 도 2 참조)을 이룬다.
각 세그먼트 블록(11)[11A∼11H]은, 트레드 성형면(20)에 3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을 형성한 타입 A, 타입 B, 타입 C로 되어 있다. 도 5는, 세그먼트 블록(11)에 형성한 3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을 나타낸 것이며, (a)는 타입 A의 패턴을 나타내고, (b)는 타입 B의 패턴을, (c)은 타입 C의 패턴을 나타낸다. 이들 타입 A∼C의 세그먼트 블록(11)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모두 같은 치수 S1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타입 A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 블록(11)은, 제1 및 제2 블레이드(14A, 14B)의 원주 방향의 피치 Pa가 가장 작고,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은, 제1 및 제2 블레이드(14A, 14B)의 원주 방향의 피치 Pc가 가장 크고, 타입 B의 세그먼트 블록(11)은, 제1 및 제2 블레이드(14A, 14B)의 원주 방향의 피치 Pb가, 타입 A의 것보다 크고, 타입 C의 것보다 작게 되어 있다(Pa< Pb< Pc). 일반적으로, 블레이드 피치가 작은 세그먼트 블록(11)에 의해 트레드 패턴을 성형한 타이어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블레이드 피치가 큰 세그먼트 블록에 의해 트레드 패턴을 성형한 타이어는, 그립력을 높일 수 있다.
이들 타입 A, B, C의 3종류의 세그먼트 블록(11)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함으로써, 타이어 일 주위 부분에 상당하는 링형의 금형(10)이 구성된다. 그리고, 타입이 상이한 것을 조합함으로써, 소음을 저감하면서 그립력을 높이고 각종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타이어의 요구 품질에 따라, 8개의 세그먼트 블록(11)을,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을 3개, 타입 B의 세그먼트 블록(11)을 3개,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을 2개 사용하여, AAABBBCC의 조합으로 배열함으로써, 타이어 일 주위 부분에 상당하는 링형의 금형(10)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일하게 타입 A을 3개, 타입 B을 3개, 타입 C을 2개 사용하여, BCCBAABA의 조합으로 배열함으로써, 종류가 상이한 금형(1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세그먼트 블록(11)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모두 같으므로, 타입 A∼C를 몇 개씩 사용해도, 금형의 주위 방향의 길이는 일정하므로, 동일 직경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할 수 있다.
또한, 타입 A∼C의 3종류의 세그먼트 블록(11)을 8개 사용하여,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경우, 트레드 패턴이 각각 상이한 216종류의 타이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216=3*3*3*2*2*2*1*1).
그리고, 타입의 같은 세그먼트 블록(11)끼리, 또는 타입이 상이한 세그먼트 블록(11)끼리를 주위 방향으로 배치했을 때, 인접하는 세그먼트 블록(11)에 형성된 블레이드(14A)[14B]가 분단되지 않고,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정확하게 연속되도록, 모든 타입의 세그먼트 블록(11)의 주위 방향의 양면의 형상이 통일되어 있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한쪽의 세그먼트 블록(11)의 한쪽의 단면(端面)에 형성된 블레이드(14)와, 다른 쪽의 세그먼트 블록(11)의 한쪽의 단면에 형성된 블레이드(14)가, 서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세그먼트 블록(11)의 접속부에 있어서 블레이드 형상이 급변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복수 개로 분할된 세그먼트 블록(11A∼11H)를 사용하여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11A∼11H)이, 타이어 가류 성형 장치에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가류 성형해야 할 미가류 타이어(그린 타이어)가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11A∼11H) 내에 반입된다. 미가류 타이어가 반입되면 블래더(bladder)가 팽창되고, 이어서, 세그먼트 블록(11A∼11H)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형 폐쇄 위치까지 전진하여 가류 공간이 밀폐된다. 세그먼트 블록(11A∼11H)이 형 폐쇄 위치까지 전진하면, 블래더에 증기가 공급되고, 미가류 타이어의 외주면이 세그먼트 블록(11A∼11H)의 내주면에 가압되어, 세그먼트 블록(11A∼11H)의 내주면에 형성된 트레드 성형면(20)이 전사(轉寫)되어, 소정의 트레드 패턴을 형성한 타이어가 가류 성형된다.
이 가류 성형 처리에 있어서, 타이어의 외주면과 세그먼트 블록(11A∼11H)의 내주면 사이에 발생한 가스는, 세그먼트 블록(11A∼11H)의 접합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하여 금형(10) 밖으로 방출된다. 소정의 가류 시간이 경과하면, 세그먼트 블록(11A∼11H)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후퇴되고, 그 후, 블래더 내의 압력이 감압되어 수축된다. 이러한 상태로, 금형(10) 내로부터 가류가 끝난 타이어가 반출된다.
이와 같이,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되는 복수(8개)의 세그먼트 블록(11)은, 주위 방향의 길이를 동일하게 되고, 또한 인접하는 세그먼트 블록(11)의 각각의 블레이드(14)가 분단되지 않고, 주위 방향으로 연속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트레드 성형 패턴이 상이한 타입 A∼C의 세그먼트 블록(11)을, 원주 방향으로 어떻게 조합시켜도, 동일 직경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할 수 있는 다종류의 금형(10)을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가류 성형 후의 타이어의 테스트 등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원주 상의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을, 타입 B 또는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으로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동일 직경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기 위한 금형(10)으로서, 타입 A∼C의 세그먼트 블록(11)을, 각각 소수씩 준비하여 둠으로써, 트레드 패턴이 상이한 다종류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할 수 있다. 이로써, 금형(10)의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금형(10)[세그먼트 블록(11)]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스페이스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세그먼트 블록(11)은, 타입 A∼C의 3종류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4종류라, 또는 5종류 이상이라도 된다. 또한, 가류 성형용 금형(10)을 구성하는 세그먼트 블록(11)의 분할 수도, 원주 상 8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10개 이상이라도, 또는 짝수 개에 한정되지 않고 홀수 개라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11)[11A∼11H]이, 주위 방향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고, 또한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블레이드(14)를 상이한 배열로 배치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세그먼트 블록(11)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여 타이어 일 주위 부분에 상당하는 링형의 금형을 구성하도록 했으므로, 동일 직경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기 위한 금형(10)으로서, 타입 A∼C의 세그먼트 블록(11)을, 각각 소수씩 준비하여 두는 것만으로, 트레드 패턴이 상이한 다종류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주위 방향의 길이를 동일하게 하는 세그먼트 블록(11)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가류 성형한 타이어를 테스트 등 한 후에, 예를 들면,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을, 타입 B 또는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으로 치환해도, 동일 직경의 타이어를 가류 성형할 수 있고, 그 결과, 소수의 세그먼트 블록(11)으로, 트레드 패턴이 상이한 다종류의 타이어를 자유롭고 또한 용이하게 가류 성형할 수 있다. 이로써, 금형의 제작에 요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금형(세그먼트 블록)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 스페이스를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11A∼11H)이, 복수의 블록편(11A1∼11A9)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일부의 블록편(11A1∼11A9)의 블레이드(14) 등이 손상된 등의 경우에도, 체결 볼트(12)를 느슨하게 하여, 손상된 일부의 블록편만을 교환하면 되므로, 세그먼트 블록(11)단위로 교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가류 성형용 금형(10)의 러닝 비용을 저감할 수 있도록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세그먼트 블록(11)을 구성하는 트레드 성형용 블록편(11A2, 11A4, 11A6, 11A8)에 형성한 블레이드(14)의 피치를 각각 같은 피치 간격로 하였으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블레이드(14)의 피치가 상이한 블록편을 폭 방향으로 조합한 것이다.
즉,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세그먼트 블록(11)의 폭 방향에 있어서도, 타입이 상이한 블록편(11A2, 11A4, 11A6, 11A8)을, 랜덤으로 배치한 것이며, 도 7에 있어서는, 일례로서, 폭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타입 C의 블록편, 타입 A의 블록편, 타입 B의 블록편, 타입 B의 블록편을 순차로 배치한 예로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타입이 상이한 블록편을 폭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열함으로써, 상기한 제1 실시형태와 서로 작용하여, 타이어에 성형할 수 있는 트레드 패턴의 조합을 대폭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제1 실시형태와 상위한 점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 대신에,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으로 하고,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 대신에,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으로 한 것이며, 그 외의 점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같다.
즉,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은, 블레이드(14A, 14B)의 피치가, 타입 B의 세그먼트 블록(11)에서의 피치 Pb보다 큰 피치 Pc′의 블레이드(14A, 14B)와, 작은 피치 Pa′의 블레이드(14A, 14B)를 원주 방향의 일방향을 따라 병설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은, 타입 B의 세그먼트 블록(11)에서의 피치 Pb보다 작은 피치 Pa′의 블레이드(14A, 14B)와, 큰 피치 Pc′의 블레이드(14A, 14B)를 원주 방향의 일방향을 따라 병설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과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을 인접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세그먼트 블록(11) 사이에서 블레이드 피치가 작은(좁은) 트레드 성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과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을 인접하도록 배열함으로써, 세그먼트 블록(11) 사이에서 블레이드 피치가 큰(넓은) 트레드 성형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하는 세그먼트 블록(11)에 형성된 블레이드(14A)[14B]가 분단되지 않고, 원주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정확하게 연속되도록, 모든 타입의 세그먼트 블록(11)의 주위 방향의 양면의 형상이 통일되어 있는 점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것과 같다.
또한,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입 A′의 세그먼트 블록(11)을 3개, 타입 B의 세그먼트 블록(11)을 3개, 타입 C′의 세그먼트 블록(11)을 2개 사용하여, 예를 들면, A′A′A′BBBC′C′의 조합으로 배열함으로써, 트레드 성형 패턴의 배리에이션 컨트롤(variation control)을 대폭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며, 각 세그먼트 블록(11)이 폭 방향으로 복수의 블록편(11A1∼11A9)으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폭 치수가 상이한 타이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원주홈 성형용 블록편(11A5)의 양측에 위치하는 폭 치수 α의 한 쌍의 트레드 성형용 블록편(11A4, 11A6)을, 폭 치수 α+5의 트레드 성형용 블록편(11A4′, 11A6′)으로 바꾸는 것에 의해, 타이어 사이즈가 「215」로부터 「225」의 가류 성형용 금형(10)으로 용이하게 변경 가능해진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11A∼11H)을, 폭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블록편(11A1∼11A9)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일부의 블록편(11A1∼11A9)이 손상된 등의 경우에, 손상된 블록편(11A1∼11A9)만 교환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세그먼트 블록(11)의 내주에, 폭 방향(타이어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원주홈을 형성하고, 이들 원주홈에 원호형의 블록편을 착탈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체결 볼트에 의해 고정하도록 해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세그먼트 블록(11)을 폭 방향으로 분할한 복수의 블록편(11A1∼11A9)에 의해 구성한 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 세그먼트 블록(11)을 복수의 블록편으로 분할하는 것은 필수적인 요건이 아니고, 각 세그먼트 블록(11)을 주조(鑄造) 또는 깎아 내는 것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세그먼트 블록(11)을, 원주홈 성형용 블록편 단위 및 트레드 성형용 블록편 단위로 폭 방향으로 소정수로 분할하거나, 세그먼트 블록(11)을 어떻게 분할했거나, 또는 몇개로 분할할 것인지는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며, 실시형태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에 입각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주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종 형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이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은,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에 의해,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것에 사용하는 데 적합하다.
10…가류 성형용 금형, 11[11A∼11H]…세그먼트 블록, 11A1∼11A9…블록편, 12…체결 볼트, 13…돌조, 14…블레이드, 20…트레드 성형면.

Claims (4)

  1.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가류(加硫) 성형용 금형으로서,
    상기 세그먼트 블록은,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또한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tread pattern)을 성형하는 블레이드(blade)를 상이한 배열로 배치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세그먼트 블록을,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여 타이어 일 주위 부분(一周分)에 상당하는 링형의 금형을 구성하는,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블록은, 폭 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된 복수의 블록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블록편이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 블록은, 상기 블레이드의 주위 방향의 피치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으로 되어 있는,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4. 주위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세그먼트 블록은, 주위 방향의 길이가 같으며, 또한 타이어에 트레드 패턴을 성형하는 블레이드를 상이한 배열로 배치한 복수 종류의 트레드 성형 패턴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트레드 성형 패턴이 상이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을 타이어 가류 성형 장치 내에 주위 방향으로 랜덤으로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 블록 내에 미가류 타이어를 반입(搬入)하여, 상기 미가류(未加硫) 타이어를 가류 성형하는,
    타이어의 제조 방법.
KR1020137028876A 2011-07-27 2012-06-11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 KR101907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3846 2011-07-27
JP2011163846 2011-07-27
PCT/JP2012/064943 WO2013015030A1 (ja) 2011-07-27 2012-06-11 タイヤ加硫成形用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799A true KR20140042799A (ko) 2014-04-07
KR101907936B1 KR101907936B1 (ko) 2018-10-15

Family

ID=47600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876A KR101907936B1 (ko) 2011-07-27 2012-06-11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92645B2 (ko)
JP (1) JP6076251B2 (ko)
KR (1) KR101907936B1 (ko)
CN (1) CN103547422B (ko)
DE (1) DE112012003122T5 (ko)
WO (1) WO2013015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39285B (zh) * 2014-06-26 2016-05-11 青岛元通机械有限公司 组片式轮胎活络模具花纹圈制造方法
US10596774B2 (en) * 2014-09-01 2020-03-24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Dual mold replace center rib
CN104708741B (zh) * 2015-03-25 2017-10-03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轮胎模具
CN104760168B (zh) * 2015-03-25 2017-05-10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轮胎模具的设计方法
CN104889758B (zh) * 2015-06-09 2018-02-09 山东豪迈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扇形工件组合加工通用夹具装置及方法
WO2018182686A1 (en) * 2017-03-31 2018-10-04 Compagnie Generale Des Etablissements Michelin Tire mold with interchangeable having removably attachable lamelle
JP7144310B2 (ja) * 2018-12-19 2022-09-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加硫成形用金型
DE102022100504A1 (de) 2022-01-11 2023-07-13 Arntz Beteiligung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wenigstens eines Antriebsriemen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921A (ja) * 2005-03-09 2006-09-21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そのタイヤ成形用金型により製造した空気入りタイヤ
JP2010005284A (ja) * 2008-06-30 2010-01-1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WO2010047162A1 (ja) * 2008-10-23 2010-04-29 不二精工 株式会社 タイヤ加硫成形用金型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40295B (it) 1990-04-13 1993-12-07 Pirelli Stampo e metodo per la vulcanizzazione di pneumatici e metodo per fabbricare stampi
JP3004776B2 (ja) * 1991-07-19 2000-01-3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2618198B2 (ja) 1994-04-14 1997-06-11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955186B2 (ja) 1994-06-21 1999-10-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加硫、成形用金型
JPH09309114A (ja) 1996-05-22 1997-12-02 Yokohama Rubber Co Ltd:The セクショナル型のタイヤ成形用金型
JP4316360B2 (ja) 2003-12-01 2009-08-19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加硫用金型
JP4880422B2 (ja) 2006-10-26 2012-02-22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成形用金型におけるピース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7921A (ja) * 2005-03-09 2006-09-21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そのタイヤ成形用金型により製造した空気入りタイヤ
JP2010005284A (ja) * 2008-06-30 2010-01-14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WO2010047162A1 (ja) * 2008-10-23 2010-04-29 不二精工 株式会社 タイヤ加硫成形用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76251B2 (ja) 2017-02-08
DE112012003122T5 (de) 2014-06-26
JPWO2013015030A1 (ja) 2015-02-23
US20140084512A1 (en) 2014-03-27
CN103547422A (zh) 2014-01-29
US9592645B2 (en) 2017-03-14
WO2013015030A1 (ja) 2013-01-31
KR101907936B1 (ko) 2018-10-15
CN103547422B (zh) 201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2799A (ko) 타이어 가류 성형용 금형 및 이것을 사용한 타이어의 제조 방법
US8215939B2 (en) Tire vulcanization forming mold
CN108698344B (zh) 复合层轮胎
US3934968A (en) Mold for making double-toothed belts
JP2008006805A (ja) タイヤ加硫用成形金型
US11904561B2 (en) Tire with shaped tread
KR101395490B1 (ko) 맨드렐 조립체
US20110073228A1 (en) Self-pumping vent holes for cooling solid rubber ti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5681685B2 (ja) 剛性中子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5492149B2 (ja) 剛性中子、及びそれを用いたタイヤの製造方法
JP4636925B2 (ja) 弾性クローラの加硫成形金型とこの金型を使用した弾性クローラの製造方法
JP6212413B2 (ja) タイヤ形成用の剛性中子
JP5667606B2 (ja) タイヤ形成用の剛性中子
JP6052311B2 (ja)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空気入りタイヤ
JP5066220B2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12907B1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JP6122686B2 (ja) 農業機械用のタイヤの製造方法
JP4759969B2 (ja)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
JP7363363B2 (ja) タイヤの加硫金型及びタイヤの製造方法
KR102272150B1 (ko) 교체 가능한 비드링
US1386514A (en) Tire-mold
JP5152961B2 (ja) タイヤ加硫用金型鋳造用のマスターモデルの製作方法及びその製作装置
JP2023092896A (ja) タイヤのトレッドモールド
JP5567434B2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