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874A -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874A
KR20140041874A KR1020147004582A KR20147004582A KR20140041874A KR 20140041874 A KR20140041874 A KR 20140041874A KR 1020147004582 A KR1020147004582 A KR 1020147004582A KR 20147004582 A KR20147004582 A KR 20147004582A KR 20140041874 A KR20140041874 A KR 2014004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ion
cblb601
mice
peptide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4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799B1 (ko
Inventor
알렉산더 엔. 샤코프
안드레이 구드코프
Original Assignee
클리브랜드 바이오랩스, 아이엔씨.
클리블랜드 클리닉 파운데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리브랜드 바이오랩스, 아이엔씨., 클리블랜드 클리닉 파운데이션 filed Critical 클리브랜드 바이오랩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4004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4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42Carboxylic acids, e.g. a fatty acid or an 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4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 A61K47/55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compound the modifying agent being also a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i.e. the entire conjugate being a codrug, i.e. a dimer, oligomer or polymer of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6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04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C07K7/08Linear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Epidem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여기에서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건 또는 치료로부터 포유류를 보호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포유류는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양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투여될 수 있다.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에서 R1은 H 또는 -CO-R4를 나타내고,
R2,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H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된 C8-C16 지방족을 나타낸다.
X는 펩티드이고,
Z는 S 또는 CH2이다.
펩티드는 SEQ ID NOs: 1-52에서 주어진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펩티드의 첫번째 다섯개의 아미노산은 표 2에 언급된 위치에서 아미노산으로부터 선택된다. 그 화합물은 RR 또는 RS 스테레오아이소머(stereoisomer), 또는 그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 화합물은 또한 다음의 화학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11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는 조건은 방사선, 상처, 중독, 감염 또는 온도 충격일 수 있다.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는 치료는 암 치료일 수 있다. 암치료는 화학치료요법 또는 방사선 치료법일 수 있다. 아폽토시스가 유발되는 조직은 비장, 흉선, GI 트랙트, 폐, 신장, 간, 심혈관계, 혈관 내피, 중추 및 말초신경계, 조혈 전구세포(골수), 면역계, 모낭 또는 생식계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은 방사선 방호물(radioprotectant)와 결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방사선 방호물은 아미포스틴 또는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제 일 수 있다. 상기 방사선 방호물은 줄기세포 인자와 같은 사이토카인일 수 있다. 상기 방사선 방호물은 플라젤린, 잠복 TGFβ 또는 TLR 활성제일 수 있다.

Description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Methods of protecting against apoptosis using lipopeptides}
본 발명은 아폽토시스의 영향으로부터 포유류를 보호하기 위한 NF-kB의 유도인자(inducers)의 사용과 관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방사선(radiation)과 암치료와 같은 스트레스에 노출로부터 포유류를 보호하기 위한 NF-kB의 유도물질(inducers)의 사용과 관련된다.
일반세포에서 종양세포로의 진화는 성장억제 자극에 대한 저항과 성장인자 및 호르몬에 대한 의존성의 결핍을 포함하여, 성장조절의 음성적 메커니즘의 손실과 관련되어 있다. 방사선(radiation) 또는 세포독성약물(cytotoxic drug)에 근거한 전통적인 암 치료법은 정상 및 악성 세포의 성장제어에서의 차이점에 의존한다. 전통적인 암치료는 세포에 심각한 유전독성 스트레스를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정상 세포들의 대다수는 저지되므로 구조되고, 반면, 종양세포는 계속해서 분할되고 사멸한다.
그러나, 전통적인 암 치료 전략의 본질은 정상적인 급속 분화 또는 아폽토시스에 취약한(apoptosis-prone) 조직이 위험에 처하게 하는 것과 같다. 이러한 정상적인 급속 분화 세포에 대한 손상은 잘 알려진 암치료의 부작용을 야기한다(민감한 조직, 조혈(hematopoiesis), 소장, 모낭). 그러한 조직의 자연적인 민감도는 암세포가 종종 자살(아폽토틱;apoptotic) 기구(machinery)에서 결점을 가지고, 정상 민감 조직에서 사멸을 야기하는 치료적 과정이 암세포에는 효과가 없을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하여 복잡해진다. 암 치료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종래의 시도는 (a)종양세포를 치료에 더욱 민감하게 만드는 것, (b) 암치료가 종양세포에 대하여 더 특이적으로 만드는것, 또는 (c) 치료(예를 들면, 에리트로포에틴, GM-CSF, 및 KGF)후에 정상 조직의 재생을 증진시키는 것에 근거한다. 그러나, 이들 각각은 효과가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암치료에 있어서 화학치료요법과 방사선 치료법과 관련된 부작용을 완화하는 치료 약물이 계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고 다른 관련된 유익함을 제공한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아폽토시스로부터 정상 세포와 조직들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아폽토시스는 상처받거나 또는 유전적으로 손상받은 세포로부터 조직을 "청결히(clean)"하는 기능을 하는 반면에, 사이토카인(cytokines)은 스트레스로부터 생물 방어 체계를 결집시킨다. 그러나, 심각한 손상의 조건하에서 두 스트레스 반응 메커니즘은 스스로 사멸을 야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사선으로부터의 치사율은 헤마토포에틱(hematopoietic), 면역 및 소화계에서 발생하는 대량의 아폽토시스에서 기인한다.
세포에는 아폽토시스를 제어하는 두 가지 주요한 메커니즘이 있다; p53(프로-아폽토틱(pro-apoptotic)) 및 NF-κB 경로이다(안티-아폽토틱(anti-apoptotic)). 두 경로는 종종 종양에서 규제될 수 없다; p53이 손실될 수 있고, 반면에 NF-κB는 본질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정상 세포에서 p53의 저해 및/또는 NF-κB의 활성은 스트레스로부터 야기되는 사멸로부터 그들을 보호할 수 있다. 암치료에 있어서 그러한 접근은 종양 세포를 치료에 대하여 더욱 저항하도록 만들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들은 이미 이러한 제어 메커니즘이 규제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각각 활성과 억제(repression)를 위한 타겟으로 여겨지는 p53 및 NF-κB에 대한 종래의 관점과는 모순된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것으로서, NF-κB활성은 아폽토시스로부터 일반 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포유류에서 NF-κB활성을 유도함으로써, 일반 세포들은 세포적 스트레스(cellular stress)의 원인이 되는 아폽토시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단 일반 세포들이 스트레스로부터 회복되면, NF-κB활성은 정상 수치로 회복될 수 있다. 일시적으로 NF-κB활성을 유도함으로써, 세포들은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것은 손상된 조직 및 기관으로부터의 염증반응 및 세포의 생존-사멸의 결정 모두에 대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NF-κB 보호적인 역할은 다음의 멀티플 유전자 코딩의 전사적 활성에 의하여 매개될 수 있다. a)모든 주요 아폽토틱 경로를 차단하는 안티-아폽토틱 단백질, b) 헤마토포에틱 및 다른 줄기세포들의 생존 및 증식을 유도하기 위한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 c) MnSOD (SOD-2)와 같은 포이턴트(potent) ROS-제거 항산화 단백질. 따라서, 예를 들면, 방사선 방호에 대한 NF-κB의 일시적인 활성에 의해서, 동시 면역자극 효과 때문에 암 환자의 아폽토시스의 억제 뿐만 아니라, 2차 암 발생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능력이 성취될 수 있다. 그리고 동시면역자극 효과는 NF-κB의 활성이 톨(Toll)-같은 리셉터에 의해서 매개된다면 성취될 수 있다.
타겟으로써 NF-κB 경로의 다른 흥미로운 특성은 많은 자연적인 인자에 의한 그것의 활성이다. 이들 사이에 멀티플 병원균-관련 분자 패턴(PAMPs)이 있다. PAMPs는 오직 미생물에만 존재하고, 숙주 생물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대형 병원균 그룹에 대하여 특징화되며, 쉽게 변이될 수 없다. 그들은 톨-같은 리셉터(TLRs), 선천적인 면역의 키 센서 요소에 의하여 인식된다. TLRs은 사이토카인 방출을 통하여 또는 직접적으로 면역 세포의 이동 및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면역체계의 최초로 경고하는 메커니즘으로서 역할을 한다. TLRs은 호모(homo)- 및 헤테로다이머(heterodiamer)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타입 I 막단백질이다. 리간드 바인딩하면서, TLRs은 MyD88 단백질, 대부분의 TLRs의 필수적인 시그널링 어뎁터(signaling adaptor)를 동원한다. 뒤따르는 시그널링 캐스캐이드(cascade)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생시킨다. (i) NF-κB 경로의 활성 및 (ii) Jun N-말단 카이네이즈(JNK)를 포함한 MAPKs의 활성. 사이토카인과 달리 많은 PAMPs는 TLRs를 활성화시키는 것 외에는 거의 효과가 없다. 따라서, 부작용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는다. 게다가, 수많은 TLTs (TLRl-TLRlO) 는 인간에 존재한다. 이뮤노사이트(imniunocyte) 활성의 기능과 일치하도록 다른 림포이드(lymphoid) 기관 및 백혈구 아집단의 더 많은 TLR-특이적 발현 패턴과 함께 모든 TLRs는 비장과 말초 혈액 백혈구에서 발현된다. 모든 TLRs는 또한 피부의 내피 및 점막상피세포, 호흡기, 장, 및 비뇨생식관에서 발현된다.
1. 정의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실시예만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고, 이를 제한할 의도는 아니다. 명세서와 첨부된 청구항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단수 형태인 "하나(a, an)" 및 "그(the)" 는 만일 본문에 명확하게 지정되지 않았다면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하는 사실은 주지되어야 한다.
NF-κB 활성을 유도하는 약물의 복용량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때, "투여하다"라는 용어는, 약물의 일회 복용량 또는 복수의 복용량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지방족(aliphatic)"이라는 용어는 잔기가 없는, 잔기가 있는, 또는 싸이클릭(cyclic) 탄화수소그룹을 의미하고, 그것은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것 일수 있고, 포화된 또는 포화되지 않은 것일 수 있으나, 방향족은 아니다. 또한, 지방족이라는 용어는 지방족 그룹을 포함하고, 그것은 산소, 질소, 황 또는 인산원자들이 탄화수소 골격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소를 치환한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독 또는 결합되어 사용된 "알킬(alkyl)"이라는 용어는 잔기가 있는 또는 잔기가 없는, 포화된 지방족 그룹을 의미한다. 알킬그룹의 대표적인 예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tert-부틸, 옥틸, 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에이코실, 테트라코실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독 또는 결합되어 사용된 "알케닐(alkenyl)"이라는 용어는 잔기가 있는 또는 잔기가 없는, 체인을 따라 어떤 안정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된 지방족 그룹을 의미한다. 알케닐 그룹의 대표적인 예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에테닐, E- 및 Z-펜테닐, 데세닐 등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단독 또는 결합되어 사용된 "알키닐(aklynyl)"이라는 용어는 잔기가 있는 또는 잔기가 없는, 체인을 따라 어떤 안정점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탄소 삼중결합을 포함하는 불포화된 지방족 그룹을 의미한다. 알키닐 그룹의 대표적인 예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에티닐, 프로피닐, 프로파길(propargyl), 부티닐, 헥시닐, 데시닐 등을 포함한다.
"아날로그(analog)"라는 용어가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문맥에서 사용된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표준 아미노산 또는 아미노산의 컨벤셔널 세트로부터의 다른 구조적 변화를 포함하는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항체"라는 용어는 IgG, IgM, IgA, IgD 또는 IgE 클래스들 또는 Fab, F(ab')2, Fd 및 단일사슬 항체, 디아바디(diabodies), 이중특이성(bispecific)의 항체들, 이중기능의 항체 및 그들의 유도체를 포함한 단편 또는 그들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상기 항체는 모노크로널 항체, 폴리클로널 항체, 친화도 정제된(affinity purified) 항체 또는 그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그들은 바람직한 에피토프(epitope) 또는 그들로부터 유래한 서열에 대하여 충분한 바인딩 특이성을 나타낸다. 상기 항체는 또한 키메릭 항체일 수 있다. 항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학물질,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모이어티(moiety)의 부착에 의해서 유도된다. 항체는 화학적 모이어티로 접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아폽토시스(apoptosis)"라는 용어는 세포질 기관의 온전함의 보존과 관련된 세포 부피의 점진적 수축; 전자 현미경 또는 빛에 의한 관찰로서 크로마틴의 응축(예를 들면, 핵의 응축); 및/또는 원심분리 침강 분석법에 의해 결정된 뉴클레오좀-크기의 단편으로 DNA절단을 포함하는 세포사멸의 형태를 의미한다. 세포사멸은 식세포에 의해서 온전한 세포 단편("아폽토틱 바디")의 포식으로 세포의 막 통합(integrity)이 상실될 때( 예를 들면, 막의 수포형성) 발생된다.
여기에서 사용된 "암"이라는 용어는 아폽토틱 자극에 대한 저항에 의해서 특징지어지는 어떠한 상태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암치료"라는 용어는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당업계에 알려진 어떠한 암치료방법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 ~와의 결합"이라는 용어는 NF-κB 활성 유도하는 약물의 투여 및 추가적인 치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때 그 약물이 추가적인 치료 전에, 함께 또는 후에 또는 그것들의 결합하여 투여될 수 있는 약물을 의미한다.
"유도체"라는 용어는 펩티드 또는 펩티드의 문맥에서 사용될 때, 일차 구조(아미노산 및 아미노산 아날로그들)이외에 다른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를 의미한다. 예시로서, 유도체들은 번역 후 변이(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의 하나의 형태로 글리코실레이티드(glycosylated) 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이종유래(heterologous) 시스템에서의 발현에 기인하여 글리코실레이션 패턴(glycosylation pattern)을 나타낸다. 적어도 하나의 생물학적 활성이 유지된다면 이들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체이다. 다른 유도체들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공유적으로 변경된 N- 또는 C-말단을 가진 퓨전 폴리펩티드 또는 퓨전 펩티드, 페길레이티드(PEGylated)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지질 모이어티과 관련된 폴리펩티드 또는 펩티드, 알킬레이티드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다른 펩티드와 아미노산 사이드 사슬 작용기를 통하여 링크된 폴리펩티드 또는 펩티드, 폴리펩티드 또는 화학물질, 그리고 당업계에 이해될 수 있는 추가적인 변형체들을 포함한다.
"단편"이라는 용어는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문맥에서 사용될 때, 길이로 약 6에서 약 10 아미노산의 펩티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단편은 길이로 6, 7, 8, 9 또는 10 아미노산일 수 있다.
"호몰로그(homolog)"라는 용어는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문맥에서 사용될 때, 공통적인 진화 조상을 공유한 폴리펩티드 또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포화된"이라는 용어는 골격원자의 모든 이용가능한 원자가 결합이 다른 원자에 부착된 그룹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치환된"이라는 용어는 탄소로부터 제거되고 추가적인 그룹으로 교체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소 또는 다른 원자들을 가지는 그룹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치환된 그룹은 1 내지 5 또는 1 내지 3 치환체로 치환될 수 있다. 이러한 치환체의 대표적인 예는 제한되지는 않으나, 지방족 그룹, 방향족 그룹, 알킬, 알케닐, 알키닐, 알릴, 알콕시, 할로, 알릴옥시, 카보닐, 아크릴, 시아노, 아미노, 니트로, 인-함유 그룹, 황-함유 그룹, 하이드록실, 알킬카르보닐옥시, 알릴카르보닐옥시, 알콕시카르보닐옥시, 알릴옥시카르보닐옥시, 알킬카르보닐, 알릴카르보닐, 알콕시카르보닐, 아미노카르보닐, 알킬아미노카르보닐, 디알킬아미노카르보닐, 알킬티오카르보닐, 아실아미노, 아미디노, 이미노, 알킬티오, 알릴티오, 티오카르복실레이트, 알킬설피닐, 트리플루오로메틸, 아지도, 헤테로사이크릴, 알킬알릴, 헤테로알릴, 세미카르바지도, 티오세미카르바지도, 마레이미도, 옥시이미노, 이미데이트,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 디알킬아미노, 알릴사이클로알킬, 알릴카르보닐, 알릴알킬카르보닐, 알릴사이클로알킬카르보닐, 알릴포스피닐, 알릴알킬포스피닐, 알릴사이클로알킬포스피닐, 알릴포스포닐, 알릴알킬포스포닐, 알릴사이클로알킬포스포닐, 알릴슬포닐, 알릴알킬슬포닐, 알릴사이클로알킬슬포닐, 그들의 결합 및 그들에 치환체를 포함한다.
"치료" 또는 "치료하는 것"이라는 용어는 어떤 상태로부터 포유류의 보호를 언급할 때 그 상태를 예방, 억제, 진압, 또는 제거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 상태를 예방하는 것은 그 상태의 개시 이전에 포유류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상태를 억제(supressing)하는 것은 그 상태의 유도 후이나 그것의 임상적인 발현 이전에 포유류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상태을 진압(repressing)하는 것은 그 상태의 임상적인 발현 후에 포유류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그 상태가 감소 또는 유지되는 것을 포함한다. 그 상태의 제거(Elimination)는 그 상태의 임상적인 발현 이후에 포유류에게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그 포유류가 더 이상 그 상태로 고통받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종양세포"라는 용어는 아폽토틱 자극에 저항함으로써 특징화되는 어떠한 세포를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불포화"라는 용어는 두 개의 인접한 골격 원자의 적어도 하나의 이용가능한 원자가 결합이 다른 원자에 부착되지 않은 그룹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치환되지 않은"이라는 용어는 거기에 추가적인 그룹이 부착되지 않았거나 또는 치환되지 않은 그룹을 의미한다.
"다른(variant)"이라는 용어가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의 문맥에서 사용될 때, 아미노산의 삽입, 제거, 또는 보존적 치환에 의해 아미노산 서열이 달라졌으나, 적어도 하나의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펩티드 또는 폴리펩티드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생물학적 활성"은 제한되지는 않으나, 특정 항체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아미노산의 보존적 치환은, 즉 아미노산을 유사한 특성의 다른 아미노산(예를 들면, 친수성, 대전된 부분의 정도나 분포)으로 대체하는 것은 전형적인 작은 변화를 포함하는 것으로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작은 변화는 당업계에 이해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아미노산의 하이드로파틱 인덱스(hydropathic index)를 고려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식별될 수 있다(Kyte et al., J. MoI. Biol. 157:105-132, 1982). 아미노산의 하이드로파틱 인덱스는 그것의 소수성과 전하의 고려에 근거한다. 유사한 하이드로파틱 인덱스의 아미노산은 치환되거나 단백질 기능을 여전히 보유한다는 것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2 의 하이드로파틱 인덱스를 가진 아미노산은 치환된다. 아미노산의 친수성은 생물학적 기능을 보유하는 단백질을 야기하는 치환을 밝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펩티드의 문맥에서 아미노산의 친수성의 고려는 항원성 및 면역원성과 잘 연관된 것으로 보고된 유용한 척도인 그 펩티드의 가장 큰 국부적 평균 친수성의 계산을 가능하게 한다. 미국특허 번호 4,554,101호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되었다. 유사한 친수성 수치를 가진 아미노산의 치환은, 예를 들면 당업자에게 알려진 면역원성과 같은 생물학적 활성을 보유하는 펩티드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하나의 측면에서, 치환은 서로 ±2 이내의 친수성 수치를 가진 아미노산으로 수행되었다. 아미노산의 소수성 인덱스와 친수성 수치 모두 아미노산의 특정한 사이드 체인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그 관찰과 일관되게 생물학적 기능과 양립할 수 있는 아미노산 치환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및 다른 특성에 의하여 밝혀진 바와 같이, 특히 그들 아미노산의 사이드 체인과 그들 아미노산의 상대적 유사성에 의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 리포펩티드(Lipopeptides)
리포펩티드는 NF-kB 활성을 유도하는 약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리포펩티드는 그람 음성균(Gram-negative bacteria), 그람 양성균(Gram-positive bacteria) 및 마이코플라즈마(mycoplasma)의 외막(outer membrane)의 일부이다. 박테리아의 리포펩티드는 공유된 시퀀스 상동(homology)이 없지만, 2개 혹은 3개의 지방산(fatty acid)에 의해 아실레이트된 색다른 N-말단 아미노산(S-(2,3-디하이드록시프로필)-L-시스테인)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박테리아의 리포펩티드는, TLR2-TLR1 혹은 RLR2-TLR6 이형이합체(heterodimer)를 통해 신호표시하여 NF-kB 및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의 활성을 인도함으로써 감염 후 초기 숙주 반응(host response)을 활성화하는 강한 면역 조절체이다. 천연 리포펩티드의 N-말단 리포펩티드의 합성 유사체(analogues)는, 생체 내 및 생체 외 면역보조제(immunoadjuvant) 뿐만 아니라, TLRs 및 NF-kB의 강력한 활성체이다.
리포펩티드는 다음 식의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에서 R1은 H 또는 -CO-R4를 나타내고,
R2, R3 및 R4은 독립적으로 H이거나 선택적으로 치환된 지방족 화합물이고,
X는 H 혹은 펩티드이고,
Z는 S 혹은 CH2이다.
리포펩티드는 2개 혹은 3개의 지방산을 포함하여도 좋다. R2, R3 및 R4의 지방족의 치환기는 6 내지 20 카본 원자를 포함하여도 좋다. R2, R3 및 R4는 C6-C20알킬(alkyl), C6-C20 알케닐(alkenyl) 또는 C6-C20 알키닐(alkynyl)이어도 괜찮다. R2, R3 및 R4에서의 알킬 치환기의 대표적인 예는 C6, C8, C9, C10, C12, C14 및 C16을 포함한다. R2, R3 및 R4에서의 알케닐 치환기의 대표적인 예는 C10:1 D1Trans, C18:1 D9 및 C18:2 D9, 12를 포함한다.
펩티드는 적어도 4 또는 5의 아미노산과 단지 20, 30 혹은 40 아미노산의 사이를 포함하여도 좋다. 펩티드 모이어티는 활성에 필수 불가결하고 리포펩티드의 활성은 아미노산 시퀀스에 의해 조절되어도 좋지만, 생물학적 활성은 대부분의 펩티드 시퀀스(Spohn et al., Vaccine, 22(19):2494-9, 2004)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펩티드는 다음의 표1에 설정된 시퀀스, 적어도 80%, 85%, 90% 또는 95%의 그와 동일한 시퀀스, 또는 그들의 임의의 아날로그, 유도체(derivative), 단편(fragment), 동족체(homolog), 변형(variant) 또는 치환체를 포함한다. 상기 펩티드는 네트 음전하(net negative charge)를 운반할 수 있다.
[표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리포펩티드의 펩티드 모이어티의 처음 4 내지 5 아미노산은 표 2에서 각 위치에 리스트된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 표는 Spoho et al., Vaccine, 22(19):2494-9, 2004 및 Reutter et al., J. Peptide Res., 65, 375-382, 2005에 근거한다.
[표 2]
Figure pat00004
상기 리포펩티드는 N-말단 리포아미노산의 스테레오케미스트리(stereochemistry)와 관련하여 RR- 또는 RS-스테레오이소머(stereoisomer), 혹은 그것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상기 리포펩티드는 물에 용해되는 것이어도 좋다.
3. 스트레스의 치료
NF-kB 활성을 유도하는 약물은 세포적 스트레스(cellular stress), 그것에 의해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는 조건 혹은 치료로부터 정상 세포를 보호하도록 사용되어도 좋다. 조건 혹은 치료의 대표적인 예는 방사선 치료 혹은 화학요법과 같은 암(cancer) 치료; 열충격(temperature shock); 해로운 양의 방사선에 노출, 예를 들면, 원자력 공장, 방위 산업 혹은 방사선 의약품의 생산에서의 노동자, 군인; 세포 노화; 부상; 중독 및 감염을 포함한다.
상기 약물은 다른 치료와 동시에 혹은 규칙적으로 투여되어도 좋다. 여기서 사용된 "동시의(simultaneous)" 혹은 "동시에(simultaneously)"의 용어는, 상기 약물 및 다른 치료의 각각이 48시간 이내, 바람직하게는 24시간, 좀더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6시간,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3시간 이하로 관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된 "규칙적으로(metromomically)"의 용어는 다른 치료와는 다른 시간 및 반복적 투여와 관련하여 특정 빈도로 약물의 투여를 의미한다.
상기 약물은 스트레스에 노출되기 전 약 48hr, 46hr, 44hr, 42hr, 40hr, 40hr, 38hr, 36hr, 34hr, 32hr, 30hr, 28hr, 26hr, 24hr, 22hr, 20hr, 18hr, 16hr, 14hr, 12hr, 10hr, 8hr, 6hr, 4hr, 3hr, 2hr, 또는 1hr을 포함하는 어느 시점에서 투여되어도 좋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물은 스트레스에 노출 후 약 1hr, 2hr, 3hr, 4hr, 6hr, 8hr, 10hr, 12hr, 14hr, 16hr, 18hr, 20hr, 22hr, 24hr, 26hr, 28hr, 30hr, 32hr, 34hr, 36hr, 38hr, 40hr, 42hr, 44hr, 46hr, 또는 48hr을 포함하는 어느 시점에서 투여되어도 좋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 구조적으로 활성인 NF-kB 암
조건(condition)은 구조적으로 활성인 NF-kB 암이어도 좋다. NF-kB 활성을 일으키는 약물은 화학요법 혹은 방사선 치료와 같은 암 치료와 결합하여 투여되어도 좋다.
암 치료는 세포독성(cytotoxic) 약물 혹은 시토스테틱(cytostatic) 약물, 또는 이들의 조합의 투여를 포함하여도 좋다. 세포독성 약물은 (1)DNA를 복제하는 세포의 능력을 간섭하고 (2) 암 세포에서 세포 죽음 및/또는 아폽토시스를 유도함으로써 암 세포가 증식하는 것을 방지한다. 시토스테틱(cytostatic) 약물은 세포 증식을 조절하는 셀룰러 신호 변환(transduction)의 처리를 조절, 간섭 또는 방해를 통해서 작용한다.
세포독성 약물로 사용될 수 있는 화합물의 부류는, 다음과 같이, 알킬레이팅 약물(alkylating agent)(니트로젠 머스타드, 에틸렌이민 유도체(ethylenimine derivative), 알킬 설포네이트(alkyl sulfonate), 니트로소우레아(nitrosoureas) 및 트리아젠(triazenes)을 제한 없이 포함); 우라실(uracil) 머스타드, 클로르메틴(cholrmethine),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Cytoxanⓡ), 이포스파미드(ifosfamide), 멜파란(melphalan), 클로람부실(chlorambucil), 피포브로만(pipobroman), 트리에틸렌-멜라민(triethylene-melamine), 트리에틸렌에티오포스포라민(triethylenethiophosphoramine), 부술판(busulfan), 카머스틴(carmustine), 로머스틴(lomustine), 스트렙토조신(streptozocin), 다카바진(dacabazine) 및 테모졸로미드(temozolomede); 안티메타볼리트(antimetabolites)(폴산 안타고니스트(folic acid antagonists), 피리미딘 아날라그(pyrimidine analogs), 푸린 아날로그(purine analogs) 및 아데노신 디아미나아제 억제제(adenosine deaminase inhibitors)을 제한 없이 포함);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5-플루오로우라실(5-fluorouracil), 시타라빈(cytarabine), 6-멀캡토푸린(6-mercaptopurine), 6-티오구아닌(6-thioguanine), 플루다라빈 인산염(fludarabine phosphate), 펜토스테틴(pentostatine) 및 젬시타빈(gemcitabine); 자연 생성물 및 그들의 유도체(예를 들면, 빈카 알칼로이드(vinca alkaloids), 항 종양성의 항생물질(antitumor antibiotic), 효소(enzymes), 림포카인(lymphokines) 및 에피포도필로톡신(epipodophyllotoxins)); 빈블라스틴(vinblast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데신(vindesine),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아라-c(ara-c), 파클리탁셀(paclitaxel)(파클리탁셀은 상업적으로 탁솔(Taxolⓡ)로서 이용가능함), 미트라마이신(mithramycin), 데옥시코-포마이신(deoxyco-formycin), 미토마이신-c(mitomycin-c), 1-아스파라기나아제(1-asparaginase), 인터페론(interferons)(바람직하게는 IFN-α), 에토포사이드(etoposide) 및 테니포사이드(teniposide)를 포함한다.
다른 증식의 세포독성 약물은 나벨빈(navelbene), CPT-11, 아나스트라졸(anastrazole), 레트라졸(letrazole), 카페시타빈(capecitabine), 렐록사파인(reloxafine), 시클로포스포미드(cyclophosphamide), 이포사미드(ifosamide) 및 드롤록스파인(droloxfine)이다.
미세소관(microtubule)에 영향을 주는 약물은 세포질의 유사분열을 방해하고 그들의 세포독성 활성에 대해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사용될 수 있는 미세소관에 영향을 주는 약물은 알로콜치신(allocolchicine)(NSC 406042), 할리콘드린 B(halichondrin B)(NSC 609395), 콜치신(colchicine)(NSC 757), 콜치신 유도체(예를 들면, NSC 33410), 돌라스테틴 10(dolastatin 10)(NSC 376128), 마이탄신(maytansine)(NSC 153858), 리족신(rhizoxin)(NSC 332598), 파클리탁셀(paclitaxel)(Taxolⓡ, NSC 125973), Taxolⓡ 유도체(예를 들면, 유도체(예를 들면, NSC 608832), 티오콜치신(thiocolchicine) NSC 361792), 트리틸 시스테인(trityl cysteine(NSC 83265), 빈블라스틴 설페이트(vinblastine sulfate)(NSC 49842), 빈크리스틴 설페이트(vincristine sulfate)(NSC 67574), 에포틸론 A(epothilone A), 에포틸론 B 및 디스코더몰리드(discodermolide)(Service, (1996) Science, 274:2009 참조) 에스트라머스틴(estramustine), 노코다졸(nocodazole), MAP4 등을 포함하지만 제한되지 않는 천연 또는 합성 에포틸론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약물의 예는, 또한, Bulinski(1997)J. Cell Sci.110:3055 3064; Panda(1997) Proc.Natl. Acad.Sci. USA 94:10560-10564; Muhlardt(1997) Cancer Res. 57:3344-3346; Nicolaou(1997) Nature 387:268-272; Vasquez(1997) Mol. Biol. Cell. 8:973-985 및 Panda(1996) J. Biol. Chem 271:29807-29812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에피도필로톡신; 안티네오플라스틱 효소; 토포아이소머라아제(topoisomerase) 억제제; 프로카바진(procarbazine); 미톡산트론(mitoxantrone); 시스-플라틴 및 카보플라틴과 같은 백금 배위 복합체; 생물학적 반응 변경체(modifier); 성장 억제제; 안티호르몬의 치료 약물; 레우코보린(leucovorin); 테가푸(tegafur); 및 해마토포이에틱(haematopoietic) 성장 인자와 같은 세포독성 약물이 적합하다.
사용될 수 있는 시토스테틱 약물은 호르몬과 스테로이드(합성 아날로그 포함): 17α-에티닐에스트라디올(ethinylestradiol), 디에틸스틸베스트롤(diethylstilbestrol),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플록시메스테론(fluoxymesterone), 드로모스타노론 프로피오네이트(dromostanolone propoinate), 테스토락톤(testolactone), 메게스트로라세테이트(megestrolacetate),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 메틸-테스토스테론(methyl-testosterone), 프레드니솔론(prednisolone),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 흐로로트리아니센(hlorotrianisene), 히드록시프로게스테론(hydroxyprogesterone), 아미노글루테티미드(aminoglutethimide), 에스트라머스틴(estramustine), 메드록시프로게스테론아세테이트(medroxyprogesteroneacetate), 레오프롤리드(leuprolide), 플루타미드, 토레미펜(toremifene) 및 졸라덱스(zoladex)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른 시토스테틱 약물은 매트릭스 메탈로프티나아제(metalloproteinase) 억제제와 같은 안티엔지오제닉스(antiangiogenics)이고, 안티-VEGF 항체와 같은 다른 VEGF 억제제와 ZD6474 및 SU6668과 같은 작은 분자도 포함된다. Genentech로부터 안티-Her2 항체도 활용된다. 적절한 EGFR 억제제는 EKB-569(역행할 수 없는 억제제)이다. 또한, EGFR에 대하여 면역특이적인 임클론 항체 C225 와 src 억제제가 포함된다.
또한, 시토스테틱 약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것은 안드로겐-의존적인 악성종양을 증식하지 않도록 하는 카소덱스(Casodexⓡ)(bicalutamide, Astra Zeneca)이다. 시토스테틱 약물의 다른 예는 에스트로겐 의존적 유방암의 증식 또는 성장을 방해하는 안티에스트로겐 Tamoxifenⓡ이다. 세포의 증식의 신호의 변환(transduction)의 억제제는 시토스테틱 약물이다. 대표적인 예는 표피의 성장 인자 억제제, Her-2 억제제, MEK-1 키나아제 억제제, MAPK 키나아제 억제제, PI3 억제제, Src 키나아제 억제제 및 PDGF 억제제를 포함한다.
암 치료는 방사선 치료를 포함한다. 방사선 치료는 외부 빔 방사, 내부 방사선 치료, 또는 컴퓨터가 종양의 형태와 매치하도록 방사선의 빔을 구체화하도록 사용되는, 투영 방사선 치료일 수 있다. 방사선 치료에 사용된 방사선는 X-선, 전자 빔, 또는 감마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나올 수 있다. 방사선 치료 동안의 방사선의 투여의 양 및 타이밍은 암의 위치 및 크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NF-kB 활성을 일으키는 약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 치료와 조합하여 방사선 방호의 약물(섹션 3d 참조)이 투여되어도 좋다.
처리되어질 수 있는 암은, 다음과 같이, 방광의 악성종양(가속화되고 전이된 방광 암 포함), 가슴, 대장(결장암 포함), 신장, 간, 폐(작거나 작지 않은 세포 폐암 및 폐 선암종 포함), 난소, 전립선, 고환, 비뇨생식관, 림프 시스템, 후두, 췌장(외분비선의 췌장 암 포함), 구강, 인두,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담낭 방광(gall bladder), 자궁 경부, 갑상선 및 피부(편평상피 암 포함)의 악성종양; 백혈병, 급성 림프시틱(lymphocytic) 백혈병, 급성 림프블라스틱(lymphoblastic) 백혈병, B-세포 림프종, T-세포 림프종, 호지킨스(Hodgkins) 림프종, 비-호지킨스(non-Hodgkins) 림프종, 헤어리(hairy) 세포 림프종, 히스티오시틱(histiocytic) 림프종 및 버킷(Burketts) 림프종을 포함하는 림프구 계통의 헤마토포에틱(hematopoietic) 종양; 급성 및 만성의 미엘로제노스(myelogenous) 림프종, 미엘로디스플라스틱 신드롬(myelodysplastic syndrome), 미엘로이드(myeloid) 림프종 및 프로미엘로시틱 림프종을 포함하는 미엘로이드 계통의 헤마토포에틱 종양; 아스트로시토마(astrocytoma), 신경아 종(neuroblastoma), 신경교종 및 슈와노마스(schwannomas)를 포함하는 중심 및 주위 신경시스템의 종양; 피브로사르코마(fibrosarcoma), 라브도미오스카코마(rhabdomyoscarcoma) 및 오스테오사르코마(osteosarcoma)를 포함하는 메센치말 오리진(mesenchymal origin)의 종양; 및 멜라노마(melanoma), 제노더마 피그멘토섬(xenoderma pigmentosum), 케라토악탄토마(keratoactanthoma), 세미노마(seminoma), 티로이드 폴리큘라 암(thyroid follicular cancer) 및 테라토카시노마(teratocarcinoma)를 포함하는 다른 종양을 포함하지만,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b. 암 치료로부터 부작용의 치료
상기 조건은 또한 구조적으로 활성인 NF-kB 암의 치료로부터 기인하는 정상 세포에 손상이 될 수도 있다. NF-kB 활성을 일으키는 약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암 치료와 공동하여 투여되어도 좋다.
c. 세포 노화의 조절
상기 조건은 또한 세포 노화이어도 좋다.
d. 방사선
상기 조건은 또한 방사선에 노출이어도 좋다. 이온화 방사선(IR)에 대한 노출은, 신체 전체 혹은 국부적으로, 짧거나 긴 기간이어도 괜찮고, 1회에 혹은 다수 회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원자력의 사고 혹은 군사 공격이 몸 전체 조사(irradiation)의 한 번의 높은 양의 노출을 포함할 수 있다(때때로 방사성 동위원소로 오랜 기간 중독되는 것이 뒤따른다). 마찬가지로, 호스트 혈액 선구 세포로부터 그들을 "클리닝"함으로써 도너의 뼈 골수에 대한 호스트의 헤마토포에틱 기관을 준비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방사선의 한 번의 양이 뼈 골수 이식 환자의 사전치료(pretreatment)를 위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분자 및 세포 레벨에서, 방사선 입자는 DNA 및 DNA 사이의 크로스-링킹(cross-linking), 단백질, 세포막 및 다른 고분자 구조의 파손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이온화 방사선은 또한, 자유 라디칼 및 반응성 산소 종류(ROS)의 증가를 가져옴으로써 세포 성분에 대해 제 2의 위험을 일으킬 수도 있다. 다중 회복 시스템은, DNA의 온전함 및 적합성을 회복하는 몇몇 DNA 회복 경로, 및 자유 라디칼 및 ROS를 제거하고 산화된 단백질 및 지질을 감소시키는 항산화 화학약품 및 효소와 같이, 이 위험을 중화시킨다. 세포 체크포인트 시스템(cellular checkpoint system)은 상기 손상이 복구되거나 세포가 성장을 억제하도록 하는 결정 또는 프로그램된 세포 사멸(cell death)에 도달할 때까지 세포주기 진행(cell cycle progression)을 지연시키고 DNA 결함(defect)을 검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유기체 레벨(organism level)에서, 낮고 절제된(low and moderate) 레벨의 방사선(radiation)의 즉각적 영향은 대개 세포 죽음에 의해 발생되고, 이것은 방사선 유도 염증(radiation-induced inflammation)로 이어진다. 더 높은 방사선 레벨에서는, 소위 헤마토포에틱(hematopoietic) 및 위장관 증후군(gastrointestinal syndrom)이 단기 방사선 유도 죽음(short-term radiation-induced death)으로 이어진다. 헤마토포에틱 신드롬은 헤마토포에틱 셀과 그 원종(progenitor)의 손실에 의하여 특징지어지며, 그것에 의해 혈액 및 림프계의 재생(regenerate)을 불가능하게 한다. 죽음은 일반적으로 감염(면역억제(immunosuppression)로 인한), 출혈(hemorrhage) 및/또는 빈혈(anemia)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위장관증후군은 소장(small intestine)에서 현저한, 장벽(intestinal wall)의 붕괴(disintegration)로 이어지는 장 상피세포(intestinal epithelium)에서의 대량의 세포 사멸(massive cell death) 및 균혈증(bacteriemia) 및 패혈증(sepsis)으로 인한 사멸로 특징된다. 헤마토포에틱 신드롬은 낮은 방사선의 선량(dose)에서 자신을 드러내고 위장관증후군보다 더 지연된 죽음으로 이어진다. 매우 높은 방사선의 선량은 신경 퇴화(neuronal degeneration)를 유도함으로써 거의 즉각적인 죽음을 일으킬 수 있다.
방사선의 심각한 독성의 기간을 생존한 유기체는 방사선 유도 발암(radiation-induced carcinogenesis)을 포함하는 장기 영향(long-term consequence) 및 조사 후 몇 달 및 몇 년간 노출된 기관(exposed organ)(예를 들면, 신장(kidney), 간(liver), 폐(lungs))에서 발달하는 섬유형성(fibrosis)을 겪을 수 있다.
NF-κB의 유도물질(inducer)은 세포 레벨에서 강한 친-생존활성(pro-survival activity)을 가지며 자연 방사선 사건(natural radiation event), 낮은 방사선량에 노출, 암 치료(cancer therapy)의 일부로서의 투여된 방사선(radiation administer), 또는 핵 사고(nuclear accident)의 영향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NF-κB의 유도물질은 현재 알려진 모든 방사선 방호물(radioprotectant)과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하므로, 다른 방사선 방호물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이온화 방사선(ionizing radiation)으로부터의 보호범위(scale of protection)를 극적으로 증가시킨다.
역사적으로, 방사선 방호물은 통상 항산화제(antioxidant) 및 합성 및 천연의 자유 라디칼(free radical) 스캐빈저였다. 보다 최근에는, 사이토카인(cytikine) 및 성장인자(growth factor)가 방사선 방호물 리스트에 추가되었고; 그들의 방사선 방호 메커니즘은 그들의 민감한 조직(sensitive tissue)의 재생(regeneration)에 대한 촉진효과(facilitating effect)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두 방사선 방호물 그룹 사이의 명확한 기능적 구분은 없으나, 일부 사이토카인은 MnSOD(manganese superoxide dismutase) 및 메탈로티오닌(metallothionein)과 같은 세포 항산화 단백질(cellular antioxidant protein)의 발현을 유도하므로, 그들의 사용이 유리할 수 있다.
방사선 방호물은 항산화제, 자유 라디칼 스캐빈저, 사이토카인, 플라젤린(flagellin) 및 잠복(latent) TGFβ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방사선 노출의 영향을 치료하는 임의의 약품(agent)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항산화제 및 자유 라디칼 스캐빈저는, 시스테인(cystein), 글루타티온(glutathione) 및 빌리루빈(bilirubin)과 같은, 티올(thiol); 아미포스틴(amifostine)(WR-2721);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및 인디안 홀리 바실(Indian holy basil)(Ocimum sanctum), 오리엔틴(orientin) 및 비세닌(vicenin)과 같은 플라보노이드(flavonoid)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는 방사선에 민감한 줄기세포(stem cell) 개체수를 보충(replenishing) 및/또는 보호(protecting)함으로써 방사선 방호를 제공한다. 사용될 수 있는 사이토카인은 줄기세포 인자(SCF, c-kit ligand), Flt-3 리간드(ligand), 인터루킨(interleukin)-1 단편(fragment) IL-1b-rd 및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성장인자(KGF)를 포함한다. 원래는 사이토카인이 아닌, 몇몇 다른 인자는, 면역세포(immunocyte)의 증식(proliferation)을 자극하므로(stimulate),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자극하는 스테로이드인 5-AED(5-androstenediol) 및 암모니움(ammonium) 트리클로로(디옥소에틸렌-O, O'-) 텔루레이트(AS-101)와 같은 합성 화합물(synthetic compound)을 포함한다. 잠복 TGFβ, 플라젤린(flagellin) 및 플라젤린 유도체(flagellin derivatives)는, 그 내용이 여기에 참조로 포함된 국제특허출원 번호 PCT/US2004/040656호 및 PCT/US2004/040753호 및 미국특허출원 번호. 60/693.826호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NF-κB 작용의 강한 유도물질이다.
4. 조성(Composition)
NF-κB의 유도물질의 치료적으로 효과적인 양을 포함하는 조성이 또한 여기에서 제공된다. 상기 조성은 약학적 조성(pharmaceutical composition)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에 당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NF-κB의 유도물질을 포함하는 조성은 방사선에의 노출, 암 치료의 부작용, 스트레스 및 세포노화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아폽토시스(apoptosis)와 관련된 상태 치료를 위해 포유동물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은 방사선 방호물 또는 화학적 치료약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부가적인 약품을 포함할 수도 있다.
a. 투여(Administration)
여기에 제공된 조성은 경구(oral), 비경구(parenterally), 설하(sublingually), 경피(transdermally), 직장(rectally), 트랜스무코설(transmucosally), 국소(topically), 흡입(via inhalation), 구강투여(via buccal administration)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정맥주사(intravenous), 동맥주사(intraarterial), 동맥내 주사(intraperitoneal), 피하주사(subcutaneous), 근육주사(intramuscular), 포막내(intrathecal) 및 관절주사(intraarticular)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의학적 사용(veterinary use)을 위해서는, 상기 조성은 일반적인 수의학적 관습(practice)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 가능한 형식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수의사는 개별의 동물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투여방법과 투여경로를 즉시 결정할 수 있다.
b. 제제(Formulation)
여기에 제공되는 조성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제된 정제(tablet)이거나 알약(lozenges)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 및 캡슐은, 결합제(binding agent), 필러(filler), 윤활제(lubricants), 붕괴제(disintegrant) 및 웨팅제(wetting agent)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종래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제는 시럽(syrup), 아카시아(accacia), 젤라틴(gelatin), 솔비톨(sorbitol), 트래거캔스(tragacanth), 녹말풀(mucilage of starch)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러는 락토즈(lactose), 설탕(sugar),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셀룰로오즈(microcrystalline cellulose), 옥수수 녹말(maizestarch), 칼슘 포스페이트(calcium phosphate) 및 솔비톨(sorbitol)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윤활제는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스테아릭산(stearic acid), 활석(talc),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및 실리카(silica)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붕괴제는 감자 녹말(potato starch) 및 소디움 스타크 글리콜레이트(sodium starch glycollate)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웨팅제는 소디움 로릴 설파이트(sodium lauryl sulfate)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정제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코팅될 수 있다.
여기에 제공된 조성은 수성(aqueous) 또는 기름 현탁액(oily suspensions), 용액(solutions), 에멀젼(emulsions), 시럽(syrups) 및 엘릭서(elixirs)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액체 제제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조성은 또한 사용 전에 물이나 다른 적합한 매체와 함께 구성되는 건조물(dry product)로서 제제될 수도 있다. 그러한 액체 조제(liquid preparation)는, 멈춤제(suspending agent), 유화제(emulsifying agent), 비수성 매체(nonaqueous vehicle) 및 보존제(preservaties)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첨가제(additive)를 포함한다. 멈춤제는 솔비톨 시럽, 메틸 셀룰로즈, 글루코스/설탕 시럽, 젤라틴,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hydroxyethylcellulos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arboxymethylcellulose), 알루미늄 스테레이트 겔(aluminum stearate gel) 및 수소화 식용지방(hydrogenated edible fat)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화제는 레시틴(lecithin), 솔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및 마카시아(acacia)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수성 매체는 식용 기름(edible oil), 아몬드 기름(almond oil), 분별 코코넛 오일(fractionated coconut oil), 유성 에스테르(oily esters),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및 에틸알콜(ethyl alchol)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존제는 메틸(methyl) 또는 프로필(propyl)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hydroxybenzonate) 및 소르빅산(sorbic acid)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 제공되는 조성은 또한 좌약으로서 제제될 수 있고, 이는 코코아 버터(cocoa butter)나 글리세리드(glyceride)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좌약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제공되는 조성은 또한 흡입을 위하여 제제될 수도 있고, 이는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dichlorodifluoromethane)이나 트라이클로로플루오르메탄(trichlorofluoromethane)과 같은, 프로펠런트(propellant)를 사용하는 에어졸(aerosol)의 형태나 건조 분말(dry powder)로 투여될 수 있는 에멀전(emulsion), 용액(solution), 또는 서스펜션(suspension)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여기에 제공되는 조성은 또한, 크림(cream), 연고(ointment), 로션(lotion), 고약(pastes), 반창고(medicated plaster), 패치(patch) 또는 막(membrane)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수성 또는 비수성 매체를 포함하는 경피 제제(transdermal formulation)로서 제제될 수도 있다.
여기에 제공되는 조성은 또한 주사(injection) 또는 연속 주입(continuous infusion)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비경구 투여를 위해 제제될 수도 있다. 주사를 위한 제제은 유성 또는 수성 매체에서의 서스펜션, 솔루션, 또는 에멀전의 형태일 수 있고, 멈춤제(suspending), 안정제(stabilizing) 및 분산제(dispersing agent)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제제 약물(formulation agen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은 또한 무균(sterile), 무열수(pyrogen-free water)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적합한 매체(vehicle)와 함께 재구성(reconstitution)을 위한 분말 형태(powder form)로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에 제공되는 조성은 또한 저장 조제(depot preparation)로서 제제될 수도 있고, 이는 이식(implantation) 또는 근육주사(intramuscular injection)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조성은 적합한 중합체(polymeric) 또는 소수성 물질(hydrophobic material)(예를 들면, 허용 가능한 오일에 에멀전으로서), 이온교환수지(ion exchange resin), 또는 스파링리 솔루블(sparingly soluble) 유도체(derivative)로서(예를 들면, 스페어링리 솔루블 염(sparingly soluble salt))제제될 수 있다.
c. 투여량(Dosage)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약물의 치료적으로 유효한 양은 치료받는 조건의 성질, NF-κB 활성의 유도에 요구되는 기간, 환자의 나이와 상태에 따라 변화하며, 궁극적으로는 담당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성인의 치료에 대하여 전형적으로 채용되는 투여량은 하루에 0.001mg/kg에서 약 200mg/kg의 범위이다. 투여량은 하루에 약 1㎍/kg에서 약 100㎍/kg일 수 있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편리하게 한 번의 투여로 투여되거나, 예를 들면, 하루에 2회, 3회, 4회 또는 그 이상의 투여로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여러 번 투여될 수 있다. 일단 약물이 더 이상 투여되지 않으면 정상 세포 내에서 NF-κB 활성이 감소하므로, 다중투여가 바람직하거나 요구된다.
NF-κB 유도물질의 투여량은 약 1㎍/kg, 25㎍/kg, 50㎍/kg, 75㎍/kg, 100㎍/kg, 125㎍/kg, 150㎍/kg, 175㎍/kg, 200㎍/kg, 225㎍/kg, 250㎍/kg, 275㎍/kg, 300㎍/kg, 325㎍/kg, 350㎍/kg, 375㎍/kg, 400㎍/kg, 425㎍/kg, 450㎍/kg, 475㎍/kg, 500㎍/kg, 525㎍/kg, 550㎍/kg, 575㎍/kg, 600㎍/kg, 625㎍/kg, 650㎍/kg, 675㎍/kg, 700㎍/kg, 725㎍/kg, 750㎍/kg, 775㎍/kg, 800㎍/kg, 825㎍/kg, 850㎍/kg, 875㎍/kg, 900㎍/kg, 925㎍/kg, 950㎍/kg, 975㎍/kg 또는 1mg/kg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투여량이 될 수 있다.
5. 스크린 방법(screening method)
여기에 제공되는 방법은 또한 NF-κB 활성 유도하는 약물을 식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NF-κB 활성을 유도하는 약물은, 의심되는 NF-κB 활성의 유도물질을 NF-κB 활성화된 발현 시스템에 더하고, 대조와 NF-κB 활성화된 발현 수치를 비교하고, 그것에 의해 NF-κB 활성의 유도물질이 NF-κB 활성화된 발현 시스템의 레벨을 증가시키는 능력에 의해 식별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후보 약물(candidate agent)이 라이브러리(예를 들면, 화합물(compound)의 모음(collection)) 내에 존재할 수 있다. 그러한 약물은, 예를 들면, 발현 라이브러리 내의 DNA 분자(molecule)에 의해 암호화된다. 후보 약물은 조정된 매ㅊ체(conditioned media) 또는 세포추출물(cell extract)로 존재할 수 있다. 다른 그러한 약물은 당업계에서 “작은 분자(small molecule)"로 알려진 화합물을 포함하고, 이는 105 dalton보다 적은, 바람직하게는 104 dalton보다 적은, 더 바람직하게는 103 dalton보다 적은 분자량을 가진다. 그러한 후보 약물은 결합 라이브러리의 멤버로서 제공될 수 있고, 다수의 소정의 화학반응에 따라 제조된 합성 약물(예를 들면, 펩티드(peptides))을 포함한다. 당업자라면 그러한 라이브러리의 다양한 유형이 공지된 절차에 따라 제조될 수 있고, 후보 약물의 라이브러리의 멤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여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려진다는(screened)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스크린법은 생체 외(in vitro), 세포 기반(cell-based), 생체 내(in vivo) 분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임의의 세포가 세포기반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세포, 더 바람직하게는 인간 또는 비인간 영장류 세포가 사용될 수 있다. 셀 기반 스크리닝(cell-based screening)은 NF-κB의 활성에 대하여 대리 표지(surrogate marker)를 발현하는 유전적으로 변형된 종양세포(tumor cell)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표지는 박테리얼 β-갈락토시다제(bacterial β-galactosidase), 루시페라아제(luciferase) 및 강화된 녹색 형광 단백질(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EGFP))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리 표지의 발현량은 색도법(colorimetry), 광도법(luminometry) 및 형광법(fluorimetry)을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당업계에서의 표준 기술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의심되는 조절체(modulator)가 혼합 등에 의해 세포에 부가되는 조건은, 본질적으로 아폽토시스 또는 시그널링을 막을 다른 어떤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세포가 아폽토시스 또는 시그널링을 행할 수 있는 조건이다. 유효 조건은, 적절한 매개체(medium), 온도, pH 및 세포 성장을 허용하는 산소 조건을 포함하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매개체는 일반적으로 성장인자 및 동화 카본(assimilable carbon), 질소(nitrogen) 및 인산염(phosphate) 소스뿐만 아니라, 적합한 염(salt), 미네랄(mineral), 금속 및 비타민과 같은 다른 영양소(neutrient)를 포함하는 고체 또는 액체 매개체이고, 세포가 아폽토시스 또는 시그널링을 나타낼 수 있도록 배양될 수 있는 유효 매개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포유류 세포에 대하여, 매개체(media)는 10% 송아지 태아 혈청(fetal calf serum)을 함유하는 둘베코(Dulbecco)의 변형된된 이글 매개체(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를 포함할 수 있다.
세포는, 조직배양 플라스크, 테스트 튜브, 마이크로티터 접시(microtiter dish) 및 페트리 플레이트(petri plate)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 다양한 용기에서 배양될 수 있다. 배양은 세포에 적합한 온도, pH 및 이산화탄소 함유량에서 수행된다. 그러한 배양조건 또한 당업계 기술의 범위 내이다.
의심되는 조절체를 세포에 부가하는 방법은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 마이크로인젝션(microinjection), 세포 발현(cellular expression)(즉, 노출된 핵산 분자(naked nucleic acid molecule), 재조합형 바이러스(recombinant virus), 레트로바이러스 발현벡터(retrovirus expression vector) 및 아데노바이러스 발현(adenovirus expression)를 포함하는 발현시스템을 사용), 이온결합제(ion pairing agent)의 사용 및 세포 퍼미어빌리제이션(cell permeabilization)을 위한 세제의 사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방사선(radiation)과 암치료와 같은 스트레스에 노출로부터 포유류를 보호하기 위한 NF-kB의 유도물질(inducers)의 사용과 관련된다. NF-κB 활성은 아폽토시스로부터 일반 세포를 보호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포유류에서 NF-κB 활성을 유도함으로써, 정상 세포들은 아폽토시스가 세포적 스트레스(cellular stress)를 주는 것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일단 일반 세포들이 스트레스로부터 회복되면, NF-κB 활성은 정상 수치로 회복될 수 있다. 일시적으로 NF-κB활성을 유도함으로써, 세포들은 다양한 스트레스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것은 손상된 조직 및 기관으로부터의 염증반응 및 세포의 생존-사멸의 결정 모두에 대한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NF-κB 보호적인 역할은 다음의 멀티플 유전자 코딩의 전사적 활성에 의하여 매개될 수 있다. a)모든 주요 아폽토틱 경로를 차단하는 안티-아폽토틱 단백질 b) 헤마토포에틱 및 다른 줄기세포들의 생존 및 증식을 유도하기 위한 사이토카인 및 성장인자, c) MnSOD (SOD-2)와 같은 강력한 ROS-제거 항산화 단백질이다. 또한, 예를 들면, 방사선 방호에 대한 NF-κB의 일시적인 활성에 의해서, 동시 면역자극 효과 때문에 암 환자의 아폽토시스의 억제 뿐만 아니라, 2차 암 발생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능력이 성취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NF-κB의 활성이 톨(Toll)-같은 리셉터에 의해서 매개된다면 성취될 수 있다.
도 1은, p53 결핍은 쥐내에서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위장 증후군 발생을 가속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패널 A는, p53의 억제제와 피피스린-알파(pifithrin-alpha)(PFTα) 또는 DMSO(대조)로 처리한 후에 9, 12.5, 25 또는 5 x 2.5 Gy의 몸 전체에 대한 감마선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이다. p53이 없는 쥐도 12.5 Gy(5 x 2.5 Gy)의 분획된 누적 방사선량에 노출되었다. 패널 B는, 몸 전체에 대한 감마 방사선의 낮은 선량(10 Gy) 또는 높은 선량(15 Gy)에 노출된 후의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의 생존률 그래프이다. 패널 C는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로부터 골수(BM)를 가지고 재복원을 한 후에, 몸 전체에 대한 감마 방사선 15 Gy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이다. 패널 D는 15 Gy의 감마선(gamma) 조사 후에 지시된 시간대에서 p53이 없는 쥐와 야생형의 쥐로부터 헤머톡실린-이오신으로 염색된 파라핀 내장 부분들을 도시하고 있다. 24시간에서의 그림은 소낭 부분의 TUNEL 염색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의 소장 내에서 세포 증식과 생존의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패널 A(좌측)는 15 Gy의 감마 방사선으로 처리되거나 또는 처리되지 않은 14C 티미딘이 투여된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의 전체 몸의 자동 방사능 그래프(autoradiograph)를 도시하고 있다. 화살표들은 내장을 가리킨다. 패널 A(우측)는 15 Gy의 감마선 조사 후에 다른 시점에서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의 소장 내에서의 BrdU 결합 현미경 사진이다. 96 시간 이미지들이 더 큰 확대 비율로 도시되어 있다. 패널 B는 15 Gy의 감마선 조사 후에 다른 시점에서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의 소장내에서 BrdU 포지티브 세포/소낭들의 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패널 C는 15 Gy의 감마선 조사 후에 다른 시점에서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의 소장 내에서 BrdU 표시된 세포들의 현미경 사진이다. BrdU는 방사선 조사 30 분 전에 투여되었으며, 표시된 시점에서 쥐들이 희생되었다.
도 3은, 화합물 CBLB601의 방사선 방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CBLB601 또는 PBS로 전처리 후 9, 12.5, 25 또는 5 x 2.5 Gy의 몸 전체에 대한 감마선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CBLB601 또는 PBS로 전처리 후에 13 Gy의 몸 전체에 대한 감마선에 노출된 비장 크기의 변경을 나타내고 있다. 좌측에는, PSB와 CBLB601로 처리된 쥐의 비장 무게를 나타내며, 우측에는 대조군 쥐 또는 처리된 쥐의 비장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CBLB601의 복막 내부 투여에 대한 최적 시간 결정을 도시하고 있다. 패널 A는 조사의 24, 6, 1 또는 0.5시간 이전에, CBLB601 또는 PBS의 복막 내부 투여 후, 10 Gy의 몸 전체에 대한 조사(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패널 B는 조사의 96, 72, 48, 24 또는 1시간 이전에, CBLB601 또는 PBS의 복막 내부 투여 후, 10 Gy의 몸 전체에 대한 조사(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CBLB601의 최적 투여량의 결정을 도시하고 있다. 패널 A는 조사의 24시간 이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1, 3, 10, 20, 30μg 또는 PBS의 복막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패널 B는 조사의 24시간 이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0.1, 0.3, 1, 3, 10, 15μg 또는 PBS의 복막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CBLB601에 의해 보호되는 방사선 투여량의 결정을 도시하고 있다. 패널 A는 조사의 24시간 이전에, PBS의 복막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11, 12, 13, 14 또는 15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패널 B는 조사의 24시간 이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3μg의 복막 내부 투여가 이루어자고, 10, 11, 12, 13, 14 또는 15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CBLB601의 근육 내부 투여의 방사선 방호 효과를 도시하고 있다. 조사의 24시간 이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1, 3, 또는 10μg의 근육 내부 투여 또는 PBS의 복막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9는, CBLB601의 다른 투여량과 다른 방사선 투여량 후의 생존을 나타내고 있다. 조사의 24시간 이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0.3, 1, 3, 10 또는 30μg의 근육 내부 투여 또는 PBS의 복막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11 또는 12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은, CBLB601의 다른 투여량이 다른 투여 경로를 통해 투여된 후에 생존률을 비교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조사의 24시간 이전에, CBLB601의 다른 투여량의 복막 내부 또는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막대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은, μg/kg로 표시된 CBLB601의 다른 투여량이 다른 투여 경로를 통해 투여된 후에 생존률을 비교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조사의 24시간 이전에, CBLB601의 다른 투여량의 복막 내부 또는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2는, CBLB601의 근육 내부 투여에 대한 최적 시간 결정을 도시하고 있다. 패널 A는 조사의 1 또는 3시간 후에, 또는 방사의 24, 6, 3 또는 1시간 이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3μg 또는 PBS의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패널 B는 조사의 48, 36, 24, 12, 또는 6시간 이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3μg 또는 PBS의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패널 C는 조사의 1시간 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1, 3, 10 또는 30μg 또는 PBS의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은, 생존률을 CBLB601의 투여 경로와 투여 시간과의 함수로서 비교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조사 전의 여러 시간대에서 쥐 한 마리당 CBLB601 3μg의 근육 내부 또는 복근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는, 최적의 방사선 방호 조건하에서 CBLB601에 대한 30일째(CMF30)에서의 투여량 수정 인자의 결정을 나타내고 있다. 방사선 조사 24 시간 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3μg 또는 PBS의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방사선의 여러 투여량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는, 조사된 대조군 쥐와 CBLB601로 처리된 쥐의 비장의 평균 무게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조사 24시간 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3μg 또는 PBS의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0, 6 또는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체중에 대한 비장 무게의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조사 후에 8, 18, 또는 20 주에서 플라젤린으로 면역된 CBLB601로 처리된 쥐의 면역 응답성을 도시하고 있다. 패널 A는 초기 면역후 한 달만에 다른 그룹들의 면역 응답성을 나타내고 있다. 패널 B는 초기 출혈 후 한 달만에 다른 그룹들의 면역 응답성을 나타내고 있다. 패널 C는 3차 면역 후 10일에 다른 그룹들의 플라젤린에 대한 2차 면역 반응을 보여준다.
도 17은, TLR2/TLR6 헤테로다이머를 나타내는 293개의 세포들내에서 CBLB613과 CBLB601의 여러가지 투여량에 의한 NF-kB 리포터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TLR2/TLR6 헤테로다이머를 나타내는 293개의 세포들 내에서 여러가지 CBLB 화합물들에 의한 NF-kB 리포터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패널 A는 CBLB601, CBLB612, CBLB614 또는 CBLB615의 여러 가지 투여량에 의한 NF-kB 리포터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패널 B는 CBLB601, CBLB612, CBLB614 또는 CBLB615의 여러 가지 투여량에 의한 NF-kB 활성화와, 대응하는 유리 펩티드에 의한 무활성화(no activation)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TLR2/TLR6 헤테로다이머를 나타내는 293개의 세포들 내에서 CBLB617과 CBLB601의 여러 가지 투여량에 의한 NF-kB 리포터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CBLB613의 방사선 방호 기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조사 24시간 전에 쥐 한 마리당 CBLB601의 0.3, 1, 3, 10, 30 또는 82.5μg 또는 PBS의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1은, CBLB612, CBLB614와 CBLB615의 방사선 방호 활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조사 24시간 전에 CBLB612, CBLB614와 CBLB615의 여러 투여량 또는 PBS의 근육 내부 투여가 이루어지고, 10 Gy의 TBI에 노출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는, CBLB612의 완화활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8.5, 9 또는 10 Gy의 TBI에 노출된 후에 쥐 한 마리당 CBLB612의 50μg 또는 PBS로 처리된 쥐의 생존률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p53 결핍은 쥐에서 GI 신드롬 발생을 가속화한다
포유류의 이온화 방사선(ionizing radiation; IR)으로 인한 죽음의 주된 원인은 방사선 양에 의존한다. 9-10Gy까지의 방사선량에서, 쥐는 12-20일 후에 죽었고, 근본적으로 치명적인 골수 고갈, 즉, 헤마토포에틱 신드롬이 원인이었다. 이 방사선량에서, 조사된 쥐는 골수 이식에 의해 치명상으로부터 구조될 수 있었다. 13-15Gy 초과량을 받은 동물은 치료 후(헤마토포에틱 신드롬으로 죽기 전에) 7-12일 사이에 소장의 손상의 합병증, 즉, 위장관증후군(GI)으로 죽었다. 소장의 상피세포의 세포증식은 줄기세포와 조기 증식 원종이 위치하는 소낭(crypts)으로 제한된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몇 번의 세포분할 후, 소낭 줄기세포의 이미 분화된 후손은 융모로 이동하여 융모 끝(villar tip)에서 떨어진다. 쥐의 소장에서는, 세포의 전체 “여정(trip)”(즉, 분열하는 구역에서 융모의 끝까지)은 일반적으로 3일에서 5일 걸린다. 감마선 조사에 대한 소장의 반응이 병리형태학적 레벨(pathomorphological level)에서 잘 검진되어 있었으나, GI 치사성의 정확한 원인은, 주요한 이벤트를 포함하여, 아직 불명으로 남아있다. 상피 소낭 세포의 손상의 직접적인 결과로서 죽음이 발생하는데 유동체(fluid) 및 전해질 불균형(electrolyte imbalance), 균혈증(bacteremia) 및 균체내 독소(endotoxemia)로 연결되는 융모의 노출이 뒤따른다. 염증(inflammation) 및 스트로말 응답(stromal response)에 더하여, 내피종 기능장애(endothelial dysfunctions)가 치명성에 기여하는 중요한 인자로 나타난다.
HP와 GI 증후군의 모두에서는, 치명적인 조직 손상이 대량의 p53 의존 아폽토시스로부터 발생된다. 게다가, p53 의존 모발 손상(알로페시아)은 실험적인 화학요법 또는 방사선의 결과로서 발생된다. 그러므로, p53은 유전독성 스트레스(genotoxic stress)에 세포들을 민감하게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방사선에 의한 사망에 있어서 p53의 역할을 검사하기 위해서, 쥐에 p53의 작은 분자 반응 억제제와 감마선 조사가 이루어지기 직전에 피피트린-알파(pifithrin-alpha)(PFTα)(Komarov et al., Science 285:1733-7, 1999)로 처리되었다. C57B1/6J(별다른 지시가 없는 한, 6-8주가 된 늙은 수컷이 여기에서 그리고 아래에 사용되었다.)에 PFTα의 10mg/kg가 내복막에 투여되었으며, 분당 4Gy의 투여량으로 셰퍼드(Shepherd) 4000 Ci137 세슘 소스를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PFTα는 감마선 조사의 한 번의 9Gy 투여량 또는 12.5 Gy(5*2.5 Gy)의 작은 부분이 누적된 방사선 투여량으로부터 쥐를 보호한다. 반대로, PFTα는 단일한 높은 투여량, 즉 IR의 12.5 또는 25Gy로 처리된 쥐의 생존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GI 증후군에서 p53의 역할을 더 검사하기 위해, 야생형과 p53 결핍 쥐가 감마 방사선의 낮은 투여량(10 Gy)과 높은 투여량(15 Gy)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53 결핍 쥐(deficient mice)는 HP 증후군을 통해 사망을 가져오는 낮은 방사선 투여량에는 저항성을 나타내지만, GI 증후군을 통해 사망을 가져오는 더 높은 방사선 투여량에는 더욱 더 민감하게 나타났다. 15 Gy의 감마선 조사 투여량 이후에 0, 24, 48, 72와 96 시간 때에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의 소장(small intestinal)의 헤머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된 파라핀 부분들이 도 1d에 도시되어 있다. p53 결핍 쥐는 가속화된 상피 세포 손상을 나타내었다. 소낭내에서 TUNEL 염색을 통해 야생형에서는 아폽토시스가 분명하기 나타났지만, p53 결핍 쥐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을 더 검사하기 위해, 야생형의 쥐들을 몸 전체 조사 11 Gy에 노출시켰으며, 그 후에 야생형 또는 p53이 없는 동계ㅇ으의(syngeneic) C57B1/6J로부터 추출한 1.5x107 개의 골수 세포를 투여시켰다.(이러한 방사선량은 재복원되지(nonreconstituted) 않는 대조군 쥐에서는 100% 치명상을 입히게 된다. ) 두 달 후에, 헤마토포에시스의 완전한 회복 후에, 두 그룹들의 동물들이 15 Gy의 몸 전체 감마선 조사로 처리되었다.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수의 p53 상태에서 서로 다른 두 그룹의 쥐들간의 사망율에는 차이가 없었다(두 그룹들은 야생형의 내장 세포를 가지고 있다.).
세포 증식과 세포 생존의 원리들은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의 소장내에서 더욱 검사되었다. 4주가 된 야생형(wild type)과 p53이 없는 쥐들에게 14C-티미딘이 복막 내부로 투여되었다(동물마다 10μCi). 그리고 각 그룹의 반을 15 Gy의 감마선에 노출시켰다. 전체 몸의 방사선 사진들은 24 시간 후에, p53 결핍 쥐의 내장 소낭 내의 세포들이 증식을 계속하고, 반면에 야생형의 쥐의 세포들은 그대로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도 2a, 좌측). 4주가 된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들을 15 Gy의 감마선에 노출시켰다. 그리고, 그들이 희생되기 2시간 전에, 그들에게 BrdU(50mg/kg)를 투여하였으며, 내장들은 면역 착색되었다. 조사 후 24시간 후에, p53이 없는 쥐들에서는 증식하는 세포가 많았지만, 야생형의 쥐에서는 거의 없었다. 반대로, 96시간 후에는, p53이 없는 쥐들에서는 미미한 세포 증식이 있었지만, 야생형의 쥐에서는 좀 더 많은 표시된 세포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것을 더욱 특징화하기 위해, BrdU 포지티브 세포의 수가 15 Gy의 감마선의 조사 후에 서로 다른 시점에서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들의 소장 내에서 카운트되었다. 이러한 동물들은 각각의 시간 때에서 분석되었으며, 5개의 장골(ilial)의 단면부들이 각 동물들로부터 준비되었으며, 소낭(crypt)과 융모(villi)의 수를 계산하기 위해 현미경으로 분석되었다. 소낭 내에서 BrdU 포지티브 세포의 수는 200배의 증배(100-300 소낭)를 통해 5개의 무작위 필드내에서 카운트 되었으며, BrdU 포지티브 세포의 평균 수가 도시되어 있다(도 2b). p53이 없는 쥐에서 BrdU 포지티브 세포의 수는 10시간 때에 가장 많았으며, 그 후에는 감소되었다. 반면에, 야생형의 쥐에서는 BrdU 포지티브 세포의 수가 최초의 20 시간 동안에는 감소되었으며, 그 후에는 증가되었다. BrdU로 표시된 세포들의 위치는, 15 Gy의 감마선의 조사 후에 서로 다른 시간 위치에서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들의 소장 내에서 추적되었다. 방사선 조사하기 전 30 분에 BrdU가 30분 투여되었으며, 쥐들은 0, 48, 72와 96시간에서 희생되었다. p53이 없는 쥐에서는, 소낭에서 융모까지 BrdU로 표시된 세포들의 가속화된 이동이 있었으며(48시간에서 야생형과 p53이 없는 쥐들과 비교하자), 그 후에는 p53이 없는 쥐들에서 표시된 세포들의 급속한 제거가 뒤따랐다(도 2c).
그러므로, 조사된 p53 결핍 상피의 소낭내에서의 연속적인 세포 증식은 소낭의 손상된 세포들의 가속화된 사망과 융모의 급속한 파괴와 상관 관계가 있다. 그러나, 야생형의 쥐에서는, 소장의 소낭내에서 성장을 억제시킴으로써, p53이 더욱 오래 생존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내장을 그대로 보존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p53의 프로아폽토틱(proapoptotic) 기능은 헤마토포에틱(hematopoietic) 증후군을 증진시키며, 반면에 성장 억제 기능은 위장 증후군의 발달을 지연시킨다. 그러므로, p53의 약리학적인 억제는 GI 증후군에 대해 (유해하지는 않다면) 쓸모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NF-kB의 활성 그리고 후속적인 세포 사망의 억제와 같은 다른 메커니즘에 의존하는, 소장의 상피를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개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실시예 2
리포펩티드는 몸 전체 감마선에 의해 유발된 쥐의 사망을 지연시킨다
리포펩티드는 NF-kB의 강력한 활성인자이며, 그 자체로 아폽토틱 사망의 억제제로 작용한다. 리포펩티드가 방사선 방호물로 기능한지를 판단하기 위해, 초기에는 여러가지 리포펩티드가 최대 허용 선량(MTD)을 결정하기 위해 시험되었다. 여러가지 리포펩티드는 각각 10 Gy 또는 13-15 Gy의 몸 전체 감마선에 노출된 후에 치명적인 헤마토포에틱 또는 nd 위장 증후군에 대한 NIH 스위스 쥐에서의 보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시험되었다. 리포펩티드(0.3-10μg/한 마리의 쥐)는 조사 30분 이전에 피하 조직으로 투여되었다. 방사선 방호 기능을 제공하는 시험된 리포펩티드는 표 3과 같이 표시된다.
[표 3]
Figure pat00005
0.1 TMD 미만에서 R-PAM2C-SKKKK(SEQ ID NO:8)(이 후에는 이러한 화합물을 CBLB601이라고 부른다.)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실험의 결과들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기대한 바와 같이, 10 Gy가 조사된 대조군 쥐들은 처리 후 11일과 15일 사이에 사망하였으며, CBLB601을 투여한 모든 동물들은 처리 후 35일 이상 살아남았다. 이와 같이,13 Gy가 조사된 대조군 쥐들은 처리 후 6일과 10일 사이에 사망하였으며, CBLB601을 투여한 하나를 제외한 모든 동물들은 처리 후 35일 이상 살아남았다. CBLB601의 방사선 방호 기능은 비장의 크기에 대한 방사선의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더욱 심도있게 분석되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BLB601로 처리된 쥐들은 비장의 크기가 줄어드는 것이 거의 없었다. CBLB601은 또한 흉선(thymus)을 방사선으로부터 보호한다(데이터는 표시 안됨). 스플리노사이트(splenocyte)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흉선의 신속한 회복을 지원하며, GI 트랙트(tract)를 방사선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CBLB601의 기능은 리포펩티드가 방사선 방호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실시예 3
전체 몸에 방사된 감마선에 대한 CBLB601의 단일 투여의 방사선 방호 효능
CBLB601은 C-SKKKK(SEQ ID NO: 8)로 구성된 펩티드 일부분을 가지는 R-Pam2-리포펩티드가, 더욱 상세한 특징을 위해, NF-kB를 활성화시키는 기능과, NIH-SWISS 쥐에서의 방사선 방호 기능에 대한 생체 예비 데이터에 근거하여 방사선 방호물로서 선택되었다(실시예 2 참조).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적절한 투여량과, 투여 경로 및 보호제로 작용하는 CBLB601의 투여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10-15주가 된 ICR 암컷 쥐가 사용되었으며, 그룹 또는 조건마다 10-15 개의 동물들이 사용되었다.
NOAEL(No Obvious Adverse Effects Level)의 투여량은 ICR 쥐에 CBLB601을 증가시키면서(0.3, 1, 3, 10, 30, 60, 100μg/한 마리 쥐) 복막 내부에 투여(i.p)함으로써 결정되었다. 대조군 쥐는 PBS가 투여되었다. 쥐들은 2주 동안 관찰되었다. 최초의 1주 동안에는, 쥐들의 무게가 날마다 측정되었다. CBLB601로 처리된 쥐와 대조군 쥐들 사이에는 무게 차이가 없었다. CBLB601/쥐 100 μg에서 처리 후 1-2 일 사망률을 관찰하였으나 더 낮은 투여량에서는 관찰하지 않았다. 그러나, 60μg의 투여량에서는, 처리 후 3-4일 정도에, 쥐들이 늦은 행동과 더러운 털의 발생과 같은 병적 상태를 나타내고 있었다. 30μg의 투여량에서는, 처리된 쥐와 대조군 쥐 사이에서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CBLB601에 대한 NOAEL은 30μg/한 마리 쥐로 결정되었다.
CBLB601에 대한 최적 복막 내부 투여 스케쥴은 방사선 조사 전에 다른 시간 때에서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결정되었다. 이전에, CBLB601은 10 Gy에 대해서는 보호적인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나, 더 많은 방사선 투여량에 대해서는 그러한 기능을 나타내지 않았다(실시예 2 참조). 그러므로, 모든 최적화 실험들은 전체 몸 조사(TBI)의 10 Gy에 의해 실행되었다. CBLB601/한 마리 쥐의 3μg의 투여량(1/10 NOAEL)은 개시 투여량으로 선택되었다. 그러므로,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이) CBLB601의 3μg의 투여량은, 10 Gy의 TBI 이전에 0.5h, 1h, 6h와 24h 또는 1h, 24h, 48, 72h, 96h에서 ICR 쥐에 복막 내부로 투여되었다. 조사 후에는, 쥐들이 30일간 관찰되었다. 그리고, 그들의 생존이 기록되었다. 이러한 실함들의 결과들은 도 5에 요약되어 있다. 조사(irradiation) 24 시간 이전에, CBLB601의 투여는 가장 우수한 방사선 방호 기능을 명확하게 나타내었다(90-100%가 30일 생존). 화합물이 조사 48시간 이전에 투여되었을 때, 방사선 방호는 30%가 되었다. 조사 1시간 전에 CBLB601의 투여는, 한 실험에서의 80% 방호로부터 다른 실험의 방호 기능 거의 없음(20%)까지 일관적이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도 5a). 방사선 방호가 없다는 것은 TBI이전에 0.5h(10%), 6h(20%), 72h와 96h에서 약이 투여되었을 때에 관찰되었다.
CBLB601의 최적 방사선 방호 투여량을 결정하기 위해서, 투여 시간과 조사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며, CBLB601의 투여량은 변화되었다. ICR 쥐에게는 1, 3, 10, 20 또는 30μg의 CBLB601이 쥐마다 복막 내부로 투여되거나, 0.1, 0.3, 1, 3, 10, 또는 15의 CBLB601이 쥐마다 조사 24시간 이전에 투여되었다(TBI의 10 Gy). 그리고, 그들의 생존이 30일 동안 감시되었다. 가장 우수한 보호 투여량은 한 마리의 쥐에 대해서 3μg가 되었으며, 100%의 생존률을 지원하였다(도 6a와 도 6b). 거의 유사한 효능이 한 마리당 1과 10μg 투여량에서도 나타났으며, (한 실험에서) 쥐의 90%를 구하게 되었다. 반대로, PBS가 투여된 대조군 쥐와 비교하면, 조사와 함께 투여될 때에는, CBLB601의 더 높은 투여량(한 마리당 20과 30μg)에 의해 사망이 가속화되었다. 이러한 결합된 유독성의 몇 가지 신호들이 이미 쥐 한 마리당 10μg 투여량에서 검출될 수 있었다. 그러므로, CBLB601의 최적 보호 투여량은 쥐마다 3μg로 결정되었다. 그러므로, CBLB601 NOAEL보다 10-30배 낮은 투여량에서는 방사선 방호 기능을 제공하며, 조사와 함께 CBLB601이 투여되면 CBLB601의 안전성 한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CBLB601에 의해 보호되는 방사선 레벨을 결정하기 위해, 방사선 방호물로 처리된 쥐와 대조군 쥐가 증가하는 TBL 레벨에 노출되었다. ICR 쥐의 그룹들은 3μg CBLB601 또는 PBS이 복막 내부로 주입되었으며, 24시간 후에, 10, 11, 12, 13, 14와 15 Gy의 TBl 투여량을 받아들였다. 30일 이상 생존이 기록되었다. 도 7a는 PBS로 투여된 쥐가 방사선 조사에 의해 사망하는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10-11 Gy TBI로 조사된 모든 쥐들은 조사 후 12-14일 사이에 사망하였으며, 이것은 헤마토포에틱에 의한 사망과 관련된 대표적인 현상이었다. 14-15 Gy의 TRI를 받은 모든 쥐들은 조사 후 7-9일 사이에 사망하였으며, 이것은 방사선으로 인한 내장 손상을 통해 사망하는 대표적인 현상이었다. 12-13 Gy의 TBI로 조사된 쥐들은 중간 시점에서 사망하였으며, 이것은 방사선에 의한 사망과 관련된 복잡한 병인학(etiology)의 대표적인 것이다. 도 7b는 CBLB601로 미리 처리된 쥐의 방사선 투여량에 의존하는 사망률을 나타내고 있다. 조사(irradiation) 24시간 이전에 CBLB601 3μg가 투여된 쥐들은, 기대한 바와 같이, 완전히 10 Gy의 TBI로부터 보호되었다. 대조군 쥐와 처리된 쥐의 생존률의 명백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CBLB601의 보호 효과들은 이러한 환경하에서 통계학적인 중요성에 도달하지는 않았다. 대조군 쥐와 CBLB601로 처리된 쥐 사이에서 통계학적으로 중요한 10%의 차이를 달성하기 위해, 적어도 50개의 쥐들의 실험 그룹들이 이용되어야만 한다. CBLB601이 10 Gy의 TBI로부터 쥐를 100% 구했지만, 11 Gy의 TBI에서의 보호 기능은 단지 20%가 되었다. 11 Gy보다 더 높은 레벨에서 조사로부터 보호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은, CBLB601이 위장의 방사선 유해 성분으로부터 동물들을 구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게다가, 11, 12와 13 Gy의 방사선 투여량에서는, CBLB601로 처리된 쥐들이 가속화된 역학 즉, PBS가 투여된 대조군 쥐와 비교할 때에, 14-15 Gy의 투여량을 받은 쥐와 같이 사망하였다. 이것은 약물과 조사의 결합된 유해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므로, 더욱 높은 조사 레벨에서는, CBLB601이 보호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며, 더욱 독성을 가지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인간에 대해서는 바람직한 투여 경로가 되므로) CBLB601은 이러한 화합물의 최적의 투여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근육 내부로 투여되었다. 도 8은 방사선 조사 24 시간 전에, 쥐 한 마리당 1, 3, 또는 10μg의 CBLB601을 근육 내부로(i.m.) 투여한 쥐의 생존률을 나타내고 있다. CBLB601의 세 가지 모든 투여량은 방사선 방호 기능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10μg/쥐의 복막 내부 투여의 경우(도 6)와 같이, 10μg/쥐의 근육 내부투여에서는 결합된 유해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른 실험에서는, 근육 내부로 CBLB601을 증가시키면서 투여하여 10, 11과 13 Gy의 HBI에 대하여 실험을 행하였다(도 9). 10 Gy의 TBI에 노출시키기 전에 CBLB601의 더 높은 투여량(10, 30μg)으로 투여된 쥐의 사망율이 증가하는 상태로 이동한다는 중요한 통계학적인 현상은 없었다. 10 Gy의 TBI 이전 24 시간에 근육 내부 또는 복막 내부로 투여된 CBLB601이 가지는 약물에 대한 방사선 방호의 투여량-의존에 대한 요약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근육 내부의 투여 경로는 복막 내부의 투여 경로와 같이 효과적이며 최적의 투여량(쥐마다 3μg)은 두 가지의 투여 경로에 대해서도 동일하였다. 게다가, 근육 내부로의 전달은 더 높은 치유 인덱스(유해 투여량/효과 투여량)를 가지므로, 즉, 복막 내부 투여에 대한 10-30(도 6 : 10μg/쥐/1-3μg/쥐)에 대해 근육 내부 투여에 대해서는 10-30(도 8과 도 9: 30μg/쥐/1-2μg/쥐)을 가지고 있으므로, 더욱 안전하다. 게다가, 몸의 무게마다 효과적인 투여량의 재계산은 근육 내부 전달에 비해 복막 내부 전달에 대해서 더욱 작은 윈도우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복막 내부 전달에 대해서는 90-110μg/kg, 그리고 근육 내부 전달에 대해서는 60-115μg/kg를 나타내고 있다(도 11).
CBLB601의 근육 내부 투여의 최적 스케쥴은 약물 전달과 조사 사이의 시간을 변화시킴으로써 결정되었다. ICR 쥐에는, TBI 투여의 48h, 36h, 24h, 12h 및 6h 이전 뿐만 아니라, TBI 투여의 24h, 6h, 3h, 1h 이전과, TBI 투여 후 +1h, +3h에 CBLB601의 3μg가 근육 내부로 투여되었다(도 12b). 이러한 실험들은 복막 내부의 전달 경로와 같이, CBLB601의 근육 내부 전달에 대한 최적 시간이 10 Gy의 TBI 투여의 24시간 이전이 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0Gy의 TBI 투여 1h와 3h 에 CBLB601의 3μg를 근육 내부로 투여하는 것은 보호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도 12a). 또한, TBI의 10Gy 1h 이후에 근육 내부로 주입된 더 높은 투여량의 CBLB601(10 및 30 μg/쥐)은 결합독성(도 13c)의 레벨을 증가시킨다. 이들 데이터는 도 13에 요약되어 있다.
DMF(복용량 변경요소)을 결정하기 위해, CBLB601/쥐의 3μg는 조사에 24시간 앞서 근육 내부로 주입되었고, 대조실험쥐는 PBS가 주입되었다. 약물이 주입된 그룹과 대조그룹은 선택된 시간 간격(위장증후군 치사율에 대한 7일과 헤마토포에틱 증후군 치사율에 대한 30일)내에서 10-90%의 치사율을 이끄는 투여 범위를 커버하는 TBI의 단일 투여량을 투여받았다. 퍼센트 치사율 - 방사선량 그래프가 만들어졌고 LD50/7 과 LD50/30( 7일과 30일 각각에서 LD50)은, 프로빗 또는 로지트 통계분석(logit statistical analysis)을 이용하여 산출되었다. DMF(투여량 감소 요소로서 또한, DRF로 알려져있다.)는 CBLB601 처리 그룹에 대한 방사선 LD50 및 선택된 생존시간점, 7일 또는 30일에 대한 실험쥐의 매개체(vehicle)-처리 그룹에 대한 방사선 LD50 의 비율로서 산출된다. 방사 후 30일에서 DMF인 DMF30을 산출하기 위해, PBS 또는 CBLB601의 3μg에 의해 처리된 실험쥐에 대한 방사선 LD50/30 값이 결정된다. 이를 위해, PBS 주입 그룹은 TBI의 6, 6.5, 7 및 7.7Gy의 투여량으로 조사되었고, CBLB601 주입 그룹은 TBI의 10, 10.5, 11, 11.5 및 12Gy의 투여량으로 조사되었고, CBLB601에 대한 LD50/30는 프로빗 분석을 이용하여 산출되었고, 평균 ~11.32Gy (도 14참조)로, 11.07-11.61Gy의 범위내인 것으로 산정되었다. 그러나, 대조실험쥐에서 일부 방사선량(6.5Gy가 30일에서 60%의 치사율을 야기하는 반면 7Gy는 비독성으로 나타난다)에 대한 반응상의 불일치는 CBLB601에 대한 DMF30의 정확한 산출을 불가능하게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ICR 쥐에 대한 LD50/30는 7Gy[다수의 실험쥐 스트레인(strain)의 평균; Monobe et al., Radiother Oncology 73 Suppl 2: S12709, 2004)] 부근이라고 예상된다. 이와 같이, CBLB601에 대한 DMF30의 값은 대략 ~ 1.6으로 추정된다.
실시예 4
CBLB601에 의한 TBI의 치사량으로부터 구제된 실험쥐의 면역상태
CBLB601의 투여에 의해 TBI의 10Gy로부터 구제된 실험쥐는 손상된 면역체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이들의 면역체계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ICR실험쥐는 CBLB601/쥐의 3μg 또는 PBS를 근육 내부로 주사하고 24시간 후 TBI의 치사량(10Gy) 또는 비치사량(6Gy)에 노출되었다. 각각의 조건으로부터 5 마리의 실험쥐는 바로 3일에 희생되었고, 그들의 비장과 흉선을 제거하여 무게가 달았다. 비장의 무게는 대응하는 동물의 몸무게로 정규화되었고, 그 결과는 도 15에 도시된다. 6Gy 조사에 노출된 PBS 처리 실험쥐는 그들의 비장이 정상무게로 회복하는 데 13-14정도 걸렸다. 반면에, 6Gy 조사에 노출된 CBLB601 처리 실험쥐는 8일까지 정상 비장무게를 가졌다. PBS 주입 동물은 TBI의 10Gy에서 생존하지 못했다. 반면에, CBLB601 주입 실험쥐는 방사선의 치사량에서도 생존했을 뿐만 아니라 조사 후 13-14일까지 그들의 비장무게를 완전히 회복하였다. 흉선이 정상 무게(미도시)로 회복하는데 더 긴 시간(~30일)이 걸렸다.
대조 및 CBLB601 주입 실험쥐에서의 비장과 흉선은 조사 3, 10 및 30일 후에 형태학상의 변화가 현미경으로 검사되었다. 조사 후 3일에서, 10Gy 몸 전체에 조사된 대조 및 CBLB601 처리 실험쥐의 비장과 흉선은 중간 또는 심각한 림프의 결핍 및 비장의 심각한 레드 펄프 위축(red pulp atrophy)을 포함하는 방사선 유발 손상이 나타났다. 조사 후 10일에서, CBLB601 처리 동물은 비장의 심각한 레드 펄프 위축으로부터 회복에 있어서 대조동물보다 개선되어 보였다: 모든 CBLB601 처리 동물은 가볍게 내지 적절하게 멀티포컬 엑스트라메듈러리 헤메토포이에시스(multifocal extramedullary hematopoiesis)(EMH)을 보인 반면 대조군은 어느 것도 EMH를 보이지 않았다. 10일에 어느 그룹에서도 비장의 화이트 펄프 결핍의 회복에 대한 증거는 없었다. 흉선에서 재생 림프의 이상증식은 CBLB601 처리 실험쥐에서보다 대조군에서 재생이 약간 더 앞서면서도 10일에 2개의 그룹에서 명백하게 나타났다. 조사 30일 후까지, 모든 동물이 정상 비장 레드 펄프를 가졌으며, 대부분의 동물들은 림프요소가 완전히 또는거의 회복하였음을 보여주었고, 모든 동물들이 실질적으로 정상적이 흉선을 갖게 되었다.
CBLB601에 의한 감마선(TBI의 10Gy)의 치사량에서 구제된 실험쥐의 면역반응을 실험하기 위해, 그러한 쥐의 몇몇 그룹이 강한 항원인 살모넬라 플라젤린(Salmonella flagellin)으로 면역처리되었다. 이 실험쥐는 각각 18, 25 및 33주의 연령인 조사 후 8, 18 또는 20 주에 최초로 면역처리되었다. 29주의 연령인 비조사 비투약 실험쥐는 면역반응을 위해 양성대조군으로서 이용되었다. 이 실험쥐는 최초로 면역처리 일주일 후 플라젤린(flagellin)의 증대(boost)을 받았다. 또 다른 증대는 2번째 증대 3주 후에 증대 받았다; 안티 플라젤린 항체 농도는 쥐 혈청에서 측정되었다. 제 2면역반응을 실험하기 위해, 항체농도의 감소를 확인하기 위해 한 달 후에 다시 실험쥐를 채혈하였다. 이후 항원 주입의 3번째 증대 및 10일 후의 안티 플라젤린 항체 농도의 측정이 뒤따랐다. 3번째 증대 시점에서, 조사 실험쥐는 38, 30 및 23주의 연령이었고, 대조실험쥐는 34주 연령이었다.
최초의 면역처리(최초의 증대 3주 후)한 달 후의 면역반응은 도 16a에 도시된다. CBLN601 처리 조사 실험쥐는 비투약 대조 실험쥐의 그것과 구별할 수 없는 플라젤린에 대한 강한 체액면역 반응이 부여되었다. 면역 반응의 레벨은 모든 군들이 좋은 반응을 나타냈기 때문에 조사 후 경과된 시간에 의존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후 20주의 그룹에서 일부 개별적인 변이가 있는 한편, 면역반응은 더 연령이 높은 동물들에서 충분히 기능할 수 없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항체농도는 최초의 채혈 한 달 후에 다시 검사하였다. 면역처리 7주 후 항체농도는 여전히 높았다.(도 16b참조) 제 2차 면역반응은 최초의 반응보다 더 강하였다.(도 16a참조) 이들 데이터는 CBLB601이 치명적인 TBI로부터 실험쥐를 구제할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면역체계를 완전히 회복하도록 하는 것을 강하게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5
다른 리포펩티드에 의해 제공되는 방사선 방호 및 NF-κB의 활성
부가적인 리포펩티드는 NF-κB의 활성 및 방사선의 치사량으로부터 실험쥐를 보호하기 위한 그들의 능력을 위해서 합성되고 테스트되었다.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합물의 이름과 그들의 주요 성분들은 표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화합물들의 일부에 대하여 대응하는 프리 펩티드가 또한 합성되고 테스트되었다.
[표 4]
Figure pat00006
NF-κB 의존 리포터 활성은 TLR2/YLR6 헤테로다이머(hetrodimer)를 발현하는 293셀에서 측정되었다. CBLB613에 의한 NF-κB의 생체 내 활성은 CBLN601의 NF-κB의 생체 내 활성과 비교할 수 있다. (도 17) CBLB614와 CBLB615의 화합물은 연속적으로 더 짧은 CBLB612 펩티드의 유도체를 가진다.(표 4참고) 3개의 화합물 모두는 NF-κB 리포터를 활성화시켰고, 모두 CBLB601보다 더 좋은 활성인자였다.(도 18a, b) CBLB617의 펩티드 성분은 (-4) 전하를 가지며, 음으로 대전된 세포 표면 마커와 그것이 상호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CBLB617의 NF-κB활성은 CBLB601의 NF-κB활성과 비교할 수 있다.(도 19) 표 5는 모든 화합물의 용해도 및 생체 내 활성을 요약한다.
[표 5]
Figure pat00007
일부 화합물의 생체 내 방사선 방호 활동도 시험되었다. ICR실험쥐는 실험화합물의 다양한 투여량을 가지고 근육 내로 주입되었다. 그리고 나서, 24시간 뒤에 실험쥐는 TBI의 10Gy에 노출되었다. 생존은 30일 동안 관측되었다. 도 20은 CBLB613의 방호활동을 나타낸다. CBLB601/쥐의 10, 30 및 82.5μg의 투여량은 100% 방호를 제공하였고, 방사선과 결합하여 비독성이었다. CBLB601과 반대로 관련된 화합물, CBLB612, CBLB614 및 CBLB615는 TBI의 10Gy에 대한 방사선 방호 활동을 위해 실험되었다. 1, 3, 10 및 30μg/쥐(CBLB612는 60μg/쥐에서 또한 시험되었다)의 투여량은 근육 내부로 조사 24시간 전에 ICR 실험쥐로 주입되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화합물 모두는 가장 높은 투여량에서 투여될 때 90-100% 방사선 방호를 제공하였다. 방사선 방호는 방사선과 결합하여 독성이 없고, 명백히 투여량 의존적이었다. 화합물의 효능은 CBLB612> CBLB614> CBLB615이다. CBLB617의 방사선 방호 활동은 최근에 표준절차를 이용하여 평가 중에 있다. 13일 후, 가장 높은 투여량(87.5μg/쥐)에서 눈에 보이는 독성은 없었고, 한편, 10-87.5μg/쥐의 투여량에서 각각 7-90% 생존율을 보였다. 요약하면, CBLB612와 CBLB613은 CBLB601보다 현저하게 좋은 방사선 방호물이며, 높은 치료적 인덱스(CBLB612와 CBLB613 대한 ~20 vs CBLB601에 대한 3)를 가지고 있다.
낮은 방사선량 손상의 완화제로서 작용하는 CBLB612의 능력도 또한 측정되었다. 이를 위해, CBLB612/쥐의 50μg이 TBI의 8.5, 9 또는 10Gy에 노출 1시간후 근육 내로 주입되었다. CBLB612의 처리는 방사선의 모든 투여량에서 생존률을 증가시켰다.(도 22). 예를 들면, 8.5Gy에서 CBLB612 처리 실험쥐의 90% 및 PBS 처리 실험쥐의 50%가 27일(p=0.03)까지 생존하였고, 9Gy에서 CBLB612 처리 실험쥐의 70% 및 PBS 처리 실험쥐의 50%가 27일(p=0.0006)까지 생존하였다. 낮은 대조군 실험쥐의 생존률 때문에 더 낮은 방사선 투여량에서는 CBLB612 처리 실험쥐 및 대조군 사이의 차이가 관측되지 않았다(도시되지 않음). 이 데이터들은 CBLB612가 방사선 방호물인 동시에 방사선 완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SEQUENCE LISTING <110> Cleveland Biolabs, Inc. Shakhov, Alexander N. Gudkov, Andrei <120> Methods of Protecting Against Apoptosis Using Lipopeptides <130> 050991.0400.02KRPC <150> PCT/US06/022865 <151> 2006-06-13 <150> US 60/689,810 <151> 2005-06-13 <160> 52 <170> PatentIn version 3.3 <210> 1 <211> 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 Ser Asn Asn Ala 1 <210> 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 Gly Ser Ser His His 1 5 <210> 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 Lys Gln Asn Val Ser 1 5 <210> 4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 Asn Asn Ser Gly Lys 1 5 <210> 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 Gln Pro Asp Arg Tyr 1 5 <210> 6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6 Arg Pro Asp Arg Tyr 1 5 <210> 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7 Ser Glu Glu Glu Glu 1 5 <210> 8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8 Ser Lys Lys Lys Lys 1 5 <210> 9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9 Ser Asn Asn Asn Ala 1 5 <210> 10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0 Ser Pro Pro Pro Pro 1 5 <210> 11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1 Gly Gln His His Met 1 5 <210> 12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2 Gly Gln His His His 1 5 <210> 13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3 Ser Ser His His Met 1 5 <210> 14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4 Gly Ser His His Met 1 5 <210> 15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5 Ser Gln Met His His 1 5 <210> 16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6 Gly Glu Thr Asp Lys 1 5 <210> 17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7 Gly Glu Glu Ser Asn 1 5 <210> 18 <211> 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ETHIC PEPTIDE <400> 18 Gly Glu Glu Asp Asp 1 5 <210> 19 <211> 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19 Thr Glu Asn Val Lys Glu 1 5 <210> 20 <211> 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0 Gln Gly Glu Glu Ser Asn Asp Lys 1 5 <210> 2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1 Val Gln Gly Glu Glu Ser Asn Asp Lys 1 5 <210> 22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2 Phe Glu Pro Pro Pro Ala Thr Thr Thr 1 5 <210> 23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3 Gly Asp Lys Tyr Phe Lys Glu Thr Glu 1 5 <210> 24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4 Gly Asp Pro Lys His Pro Lys Ser Phe 1 5 <210> 25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5 Gly Gly Gln Glu Lys Ser Ala Ala Gly 1 5 <210> 26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THETIC PEPTIDE <400> 26 Gly Pro Cys Pro Gly Cys Pro Pro Cys 1 5 <210> 27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7 Pro Pro Cys Pro Gly Cys Pro Pro Cys 1 5 <210> 28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8 Asp Asn Glu Glu Lys Pro Thr Pro Glu Gln Asp 1 5 10 <210> 29 <211> 1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29 Gly Asn Gly Gly Ala Pro Ala Gln Pro Lys Gly 1 5 10 <210> 30 <211> 1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0 Phe Glu Pro Pro Pro Ala Thr Thr Thr Lys Ser Lys 1 5 10 <210> 31 <211> 13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1 Gly Asn Asn Asp Glu Ser Asn Ile Ser Phe Lys Glu Lys 1 5 10 <210> 32 <211> 14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2 Gly Asp Pro Lys His Pro Lys Ser Phe Thr Gly Trp Val Ala 1 5 10 <210> 33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3 Ala Gln Asn Pro Asn Lys Thr Asn Ser Asn Leu Asp Ser Ser Lys 1 5 10 15 <210> 34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4 Asn Lys Asp Asn Glu Ala Glu Pro Val Thr Glu Gly Asn Ala Thr 1 5 10 15 <210> 35 <211> 15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5 Ser Lys Glu Gly Asn Gly Pro Asp Pro Asp Asn Ala Ala Lys Ser 1 5 10 15 <210> 36 <211> 16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6 Gly Asp Lys Thr Pro Ser Thr Lys Ser Ala Gly Lys Val Glu Asn Lys 1 5 10 15 <210> 37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7 Gly Glu Thr Asp Lys Glu Gly Lys Ile Ile Arg Ile Phe Asp Asn Ser 1 5 10 15 Phe <210> 38 <211> 17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8 Ser Ser Thr Ser Glu Asn Asn Gly Asn Gly Asn Gly Asn Gly Gly Thr 1 5 10 15 Asp <210> 39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39 Gly Asn Asn Asp Glu Ser Asn Ile Ser Phe Lys Glu Lys Ser Glu Glu 1 5 10 15 Glu Glu <210> 40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0 Gly Asn Asn Asp Glu Ser Asn Ile Ser Phe Lys Glu Lys Ser Lys Lys 1 5 10 15 Lys Lys <210> 41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1 Gly Asn Asn Asp Glu Ser Asn Ile Ser Phe Lys Glu Lys Ser Pro Pro 1 5 10 15 Pro Pro <210> 42 <211> 18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2 Ser Ser Asn Lys Ser Thr Thr Gly Ser Gly Glu Thr Thr Thr Ala Ala 1 5 10 15 Gly Thr <210> 43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3 Cys Gly Asn Asn Asp Glu Ser Asn Ile Ser Phe Lys Glu Lys Ser Lys 1 5 10 15 Lys Lys Lys <210> 44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4 Gly Ser Pro Leu Ser Phe Glu Ser Ser Val Gln Leu Ile Val Ser Asp 1 5 10 15 Asn Ser Ser <210> 45 <211> 19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5 Ser Asn Tyr Ala Lys Lys Val Val Lys Gln Lys Asn His Val Tyr Thr 1 5 10 15 Pro Val Tyr <210> 46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6 Ala Asp Val Ile Ala Lys Ile Val Glu Ile Val Lys Gly Leu Ile Asp 1 5 10 15 Gln Phe Thr Gln Lys 20 <210> 47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7 Gly Ala Ala Ser Ser Leu Thr Tyr Glu Ser Ser Val Gln Leu Val Val 1 5 10 15 Ser Asp Asn Ser Ser 20 <210> 48 <211> 21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8 Gly Gly Glu Pro Ala Ala Gln Ala Pro Ala Glu Thr Pro Ala Ala Ala 1 5 10 15 Ala Glu Ala Ala Ser 20 <210> 49 <211> 20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49 Gly Gln Thr Asp Asn Asn Ser Ser Gln Ser Gln Gln Pro Gly Ser Gly 1 5 10 15 Thr Thr Asn Thr 20 <210> 50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0 Ser Gly Ala Leu Ala Ala Thr Ser Asp Asp Asp Val Lys Lys Ala Ala 1 5 10 15 Thr Val Ala Ile Val Ala 20 <210> 51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1 Ser Ile Val Ser Thr Ile Ile Glu Val Val Lys Thr Ile Val Asp Ile 1 5 10 15 Val Lys Lys Phe Lys Lys 20 <210> 52 <211> 22 <212> PRT <213> Artificial <220> <223> SYNTHETIC PEPTIDE <400> 52 Ser Ser Gly Gly Gly Gly Val Ala Ala Asp Ile Gly Ala Gly Leu Ala 1 5 10 15 Asp Ala Leu Thr Ala Pro 20

Claims (9)

  1. 하기의 화학식의 화합물로서,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에서, R 1 는 H 또는 -CO-R4를 나타내고,
    R2 와 R3 및 R4 는, 각각 H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가능한 C8-C16 지방족이며;
    Z는 S 또는 CH2이며,
    X는 펩티드이고,
    상기 펩티드는 SEQ ID NO: 21로 구성되는 아미노산 서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2.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의 약학적 유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있어서,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에서, R 1 는 H 또는 -CO-R4를 나타내고,
    R2 와 R3 및 R4 는, 각각 H 또는 선택적으로 치환가능한 C8-C16 지방족이며;
    Z는 S 또는 CH2이며,
    X는 펩티드이고,
    상기 펩티드는 SEQ ID NO: 21로 구성되는 아미노산 서열이 되며,
    아폽토시스를 유발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료 또는 조건의 영향으로부터 포유류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방사선(radiation), 상처, 중독, 감염, 열충격(temperature shock)을 포함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은 방사선(radiatio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는 암치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치료는 화학 치료요법(chemotherapy) 또는 방사선 치료(radiation therap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방사선 방호물(radioprotectant)과 함께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방호물은, 아미포스틴(amifostine), 시스테인(cysteine), 시스테아민(cysteamine), 글루타티온(glutathione), 빌리루빈(bilirubin),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인디언 홀이 바실(Indian holy basil), 오리엔틴(orientin), 비세닌(vicenin), 줄기 세포 인자, Flt-3 리간드, 인터루킨-1, 프래그먼트 IL-1b-rd,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성장 인자, 5-AED, 암모니움 트리-클로로(tri-chloro)(다이옥소에틸렌(dioxoethylene)-O,O'-) 텔루레이트(tellurate), 플라젤린(flagellin), 잠복(latent) TGFβ 및 TLR의 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폽토시스는 비장, 흉선, 위장관(GI 트랙트), 폐, 신장, 간, 심혈관계, 혈관 내피, 중추 및 말초신경계, 조혈 전구세포(골수), 면역계, 모낭 및 생식계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조직에서 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147004582A 2005-06-13 2006-06-13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 KR101604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8981005P 2005-06-13 2005-06-13
US60/689,810 2005-06-13
PCT/US2006/022865 WO2006138238A2 (en) 2005-06-13 2006-06-13 Methods of protecting against apoptosis using lipopeptid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227A Division KR20080030566A (ko) 2005-06-13 2006-06-13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874A true KR20140041874A (ko) 2014-04-04
KR101604799B1 KR101604799B1 (ko) 2016-03-28

Family

ID=375710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4582A KR101604799B1 (ko) 2005-06-13 2006-06-13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
KR1020077029227A KR20080030566A (ko) 2005-06-13 2006-06-13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227A KR20080030566A (ko) 2005-06-13 2006-06-13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4) US8008260B2 (ko)
EP (2) EP2554181B1 (ko)
JP (1) JP5000644B2 (ko)
KR (2) KR101604799B1 (ko)
CN (1) CN101242852B (ko)
AU (1) AU2006259630B2 (ko)
BR (1) BRPI0611586A2 (ko)
CA (1) CA2612102C (ko)
EA (1) EA014644B1 (ko)
ES (2) ES2539490T3 (ko)
HK (2) HK1123495A1 (ko)
IL (1) IL188091A (ko)
MX (1) MX2007015834A (ko)
NZ (1) NZ565063A (ko)
PT (1) PT1904084E (ko)
WO (1) WO2006138238A2 (ko)
ZA (1) ZA2008001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54446C (en) 2005-06-07 2014-02-2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Inhibitors of serine protease activity and their use i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graft rejection and promotion of graft survival
US9457070B2 (en) 2005-06-07 2016-10-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olorado, A Body Corporate Compositions, methods and uses of alpha 1-antitrypsin for early intervention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 and treatment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EA014644B1 (ru) 2005-06-13 2010-12-30 Кливлэнд Биолабс Инк. Способы защиты от апоптоза с применением липопептидов
EP2032701B1 (en) * 2006-06-23 2013-11-27 Alethia Biotherapeutics Inc. Polynucleotides and polypeptides involved in cancer
EP2115124B1 (en) * 2007-01-09 2016-03-16 Cleveland Biolabs, Inc. Methods for increasing and mobilizing hematopoietic stem cells
WO2009074569A1 (en) * 2007-12-11 2009-06-18 Bracco International Bv Targeting and therapeutic compounds with a polyproline-comprising spacer and gas-filled microvesicles comprising said compounds
WO2010022462A2 (en) * 2008-08-28 2010-03-04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Mutant bacterial glycoproteins and uses thereof
CN102216260B (zh) * 2008-09-18 2015-07-15 日本脏器制药株式会社 氨基酸衍生物
AU2009321508B2 (en) 2008-11-03 2015-03-12 Adc Therapeutics Sa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lock the biological activity of a tumor antigen
US8404444B2 (en) * 2009-02-25 2013-03-26 Diacarta Llc Method for predicting the level of damage to cells by measuring free circulating Alu nucleic acid
JP5210405B2 (ja) * 2010-03-17 2013-06-12 日本臓器製薬株式会社 アミノ酸誘導体を含有する医薬及び該誘導体の製造方法
EP2490021A1 (en) 2011-02-18 2012-08-22 Biotempt B.V. Modulators of PRR and GPCR signalling
US8980574B2 (en) 2011-03-11 2015-03-17 James D. Crapo Method for ameliorating radiation exposure effects with alpha-1 antitrypsin
CN103492418B (zh) 2011-03-31 2016-06-29 阿莱斯亚生物疗法股份有限公司 针对肾相关抗原1的抗体及其抗原结合片段
DE102011018499A1 (de) * 2011-04-23 2012-10-25 Emc Microcollections Gmbh Topische Nanopartikel-Vakzine zur Immunstimulation der dendritischen Zellen in der Haut
BR112014016723A2 (pt) 2012-01-09 2018-07-24 Alethia Biotherapeutics Inc. método para o tratamento de câncer de mama
JP5686841B2 (ja) * 2013-04-26 2015-03-18 フレゼニウス メディカル ケア ドイッチェランド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損傷しまたは傷害を受けた組織または臓器の内皮/上皮再生用医薬の製造のための、幹細胞由来微小胞(mv)の使用ならびにインビトロおよびインビボでの関連した方法
EP3071234A1 (en) 2013-11-22 2016-09-28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Translation inhibitors in high-dose chemo- and/or high-dose radiotherapy
WO2016073733A1 (en) * 2014-11-06 2016-05-12 Cleveland Biolabs, Inc. Methods of treating cancer using lipopeptides
CN112851755B (zh) * 2021-01-13 2023-09-01 中国人民解放军军事科学院军事医学研究院 一种线性脂肽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60893D1 (en) 1977-06-20 1981-11-05 Ciba Geigy Ag Lipopeptid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4554101A (en) 1981-01-09 1985-11-19 New York Blood Center, Inc. Identification and preparation of epitopes on antigens and allergens on the basis of hydrophilicity
US6024964A (en) 1985-06-24 2000-02-15 Hoechst Aktiengesellschaft Membrane anchor/active compound conjugate, its preparation and its uses
US5192553A (en) 1987-11-12 1993-03-09 Biocyte Corporation Isolation and preservation of fetal and neonatal hematopoietic stem and progenitor cells of the blood and methods of therapeutic use
AU666789B2 (en) * 1992-12-28 1996-02-22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2-amino-6,7-dihydroxy-4-thiaheptanoic acid derivatives, production and use thereof
EP0604945A1 (en) 1992-12-28 1994-07-06 Takeda Chemical Industries, Ltd. TAN-1511, its derivatives, production and use thereof
US5449761A (en) * 1993-09-28 1995-09-12 Cytogen Corporation Metal-binding targeted polypeptide constructs
WO1995012675A1 (en) 1993-11-04 1995-05-11 Cytoclonal Pharmaceutics, Inc. A fusion protein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same
WO1999035162A1 (en) * 1998-01-07 1999-07-15 Jenner Biotherapies, Inc. Therapeutic liposome-encapsulated immunomodulators
US6239119B1 (en) * 1998-04-27 2001-05-29 Medimmune Oncology, Inc. Topical administration of amifostine and related compounds
DE19822820A1 (de) 1998-05-20 1999-11-25 Biotechnolog Forschung Gmbh Pharmazeutisches Präparat zur Wundbehandlung
US20030170249A1 (en) 1999-02-19 2003-09-11 Hakomori Sen-Itiroh Vaccines directed to cancer-associated carbohydrate antigens
CA2370600A1 (en) * 1999-04-26 2000-11-02 Center For Molecular Medicine And Immunology Use of antioxidants to mitigate radioimmunotherapy-induced radiation toxicity
EP1223958A4 (en) * 1999-10-27 2004-07-21 Cel Sci Corp PREPARATION METHODS AND COMPOUNDS OF PEPTIDE CONSTRUCTIONS CONCERNING THE TREATMENT OF AUTOIMMUNE AND. TRANSPLANTATION-RELATED "HOST VERSUS GRAFT" PATHOGENESE PROPERTIES
DE10048840A1 (de) * 2000-10-02 2002-04-11 Biotechnolog Forschung Gmbh Verwendung von Lipopeptiden oder Lipoproteinen zur Behandlung von Lungeninfektionen und -tumoren
AU2002318927B2 (en) 2001-07-31 2007-01-04 Genzyme Corporation Methods to mobilize progenitor/stem cells
DE50309916D1 (de) 2002-04-04 2008-07-10 Helmholtz Infektionsforschung Verwendung eines lipopeptids oder lipoproteins als adjuvans bei therapeutischer oder prophylaktischer vakzinierung
US20030224422A1 (en) * 2002-04-08 2003-12-04 St. Jude Children's Research Hospital, Inc. Pre-and post therapy gene expression profiling to identify drug targets
US20040259790A1 (en) * 2003-01-30 2004-12-23 Bali Pulendran Methods for identifying and administering agents that bias the immune response via dendritic cells
US20050163764A1 (en) * 2003-09-22 2005-07-28 Yale University Treatment with agonists of toll-like receptors
SG148215A1 (en) * 2003-12-02 2008-12-31 Cleveland Clinic Foundation Methods of protecting against radiation using flagellin
WO2005056041A2 (en) 2003-12-02 2005-06-23 Cleveland Clinic Foundation METHODS OF INHIBITING APOPTOSIS USING LATENT TGFβ
US20060039895A1 (en) * 2004-02-28 2006-02-23 Large Scale Biology Corporation Ex-vivo rescue of hematopoietic stem cells after lethal irradiation
EA014644B1 (ru) 2005-06-13 2010-12-30 Кливлэнд Биолабс Инк. Способы защиты от апоптоза с применением липопептидов
EP2115124B1 (en) 2007-01-09 2016-03-16 Cleveland Biolabs, Inc. Methods for increasing and mobilizing hematopoietic stem cell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Peptide Research, Vol. 65, pages 375-383 (2005.03)* *
Journal of Immunology, Vol 169, pages 10-14 (2002)* *
Vaccine, Vol. 22, pages 2494-2499 (200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81225B2 (en) 2016-07-05
EP2554181A3 (en) 2013-03-13
WO2006138238A3 (en) 2007-07-19
ES2421447T3 (es) 2013-09-02
HK1123495A1 (en) 2009-06-19
US20110237507A1 (en) 2011-09-29
IL188091A0 (en) 2008-03-20
CN101242852B (zh) 2012-10-10
US20150306168A1 (en) 2015-10-29
MX2007015834A (es) 2008-09-15
KR101604799B1 (ko) 2016-03-28
AU2006259630B2 (en) 2011-10-27
KR20080030566A (ko) 2008-04-04
ES2539490T3 (es) 2015-07-01
EP2554181B1 (en) 2015-03-18
EP2554181A2 (en) 2013-02-06
EA200702510A1 (ru) 2008-06-30
WO2006138238A2 (en) 2006-12-28
BRPI0611586A2 (pt) 2010-09-21
US20140045750A1 (en) 2014-02-13
CA2612102A1 (en) 2006-12-28
US8524668B2 (en) 2013-09-03
EP1904084A2 (en) 2008-04-02
JP5000644B2 (ja) 2012-08-15
US8008260B2 (en) 2011-08-30
US20090214467A1 (en) 2009-08-27
EA014644B1 (ru) 2010-12-30
PT1904084E (pt) 2013-07-22
JP2008543847A (ja) 2008-12-04
IL188091A (en) 2014-06-30
NZ565063A (en) 2011-04-29
EP1904084A4 (en) 2012-03-21
ZA200800126B (en) 2009-10-28
CA2612102C (en) 2016-02-09
AU2006259630A1 (en) 2006-12-28
CN101242852A (zh) 2008-08-13
US9006183B2 (en) 2015-04-14
EP1904084B1 (en) 2013-04-24
HK1181684A1 (en) 201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799B1 (ko) 리포펩티드를 사용하여 아폽토시스에 대항하는 보호방법
US8784840B2 (en) Method for screening modulators of apoptosis
JP5285278B2 (ja) フラゲリン関連ポリペプチドおよびその使用
JP4750716B2 (ja) フラジェリンを使用して放射線から保護する方法
US20070202551A1 (en) TGFBe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