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0629A - 조전지 - Google Patents

조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0629A
KR20140040629A KR1020130099065A KR20130099065A KR20140040629A KR 20140040629 A KR20140040629 A KR 20140040629A KR 1020130099065 A KR1020130099065 A KR 1020130099065A KR 20130099065 A KR20130099065 A KR 20130099065A KR 20140040629 A KR20140040629 A KR 201400406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ntact member
protrusion
rib
unit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912B1 (ko
Inventor
미노루 와타나베
요시히로 마스다
요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에너지 재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에너지 재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에너지 재팬
Publication of KR2014004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8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 H01M50/291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spacing elements or positioning means within frames, racks or pack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having means for adapting to batteries or cells of different types or different siz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전지의 케이스에 대한 접촉 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조전지(1)는 복수의 단전지(2)가 수용된 케이스(2)와, 접촉 부재(7)를 구비한다. 접촉 부재(7)는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조립되고, 케이스(4) 내에 수용된 단전지(2)와 맞닿아 케이스(4)에 대하여 위치결정한다. 접촉 부재(7)는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돌기(11, 14)를 구비한다. 돌기(11, 14)가 단전지(2)와 케이스(4) 사이의 간극에 삽입됨으로써, 접촉 부재(7)가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대하여 위치맞춤된다.

Description

조전지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복수의 단전지(單電池)(전지 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모듈화한 조전지(組電池)(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조전지는, 복수의 단전지가 수용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상단 개구에 조립된 접촉 부재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전지는 접촉 부재의 아래쪽과 맞닿음으로써 케이스에 대하여 높이 방향으로 위치결정된다.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여, 종래의 이 종류의 조전지에서는, 접촉 부재를 조립하는 경우, 케이스 및 케이스 내에 수용된 단전지에 대하여 접촉 부재를 정확하게 위치맞춤할 필요가 있다. 정확한 위치맞춤이 요구되는 것은 접촉 부재의 조립 작업의 작업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접촉 부재의 조립 작업을 자동 조립 장치에서 실행하는 경우, 자동 조립 장치에는 접촉 부재의 위치맞춤에 대하여 고정밀도화가 요구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여, 종래의 이 종류의 조전지에서는 접촉 부재의 조립성에 대하여 특별한 고려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28982호(도 9 및 도 10)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4638528호(도 1 및 도 10)
본 발명은, 복수의 단전지가 수용된 조전지가 구비하는 접촉 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전지가 수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단전지와 맞닿아 상기 단전지를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접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접촉 부재가 위치맞춤되도록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전지 및 상기 케이스에 의해 획정(劃定)되는 제1 간극에 삽입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조전지를 제공한다.
제1 돌기가 단전지 및 케이스에 의해 획정되는 제1 간극에 삽입됨으로써, 접촉 부재가 위치맞춤되므로, 엄밀하게 위치맞춤하지 않고, 접촉 부재를 조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돌기가 접촉 부재를 위치맞춤된 위치에 안내하므로, 접촉 부재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1 돌기는 기단(基端) 측에서 선단(先端) 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돌기는 제1 간극에 대하여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접촉 부재의 조립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단전지와 맞닿는 본체에서 돌출되어 케이스 내에 꽂혀지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제1 돌기의 선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리브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리브의 선단보다 제1 돌기의 선단이 돌출된 위치가 되므로, 접촉 부재의 조립 시에 제1 돌기가 확실하게 제1 간극에 삽입된다.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리브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부재의 조립 시에 케이스나 단전지의 간섭에 의해 상기 제1 돌기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한 경우, 간극이 존재하므로 제1 돌기 자체가 리브와는 단독으로 어느 정도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제1 돌기에 작용하는 외력이 리브를 통하여 접촉 부재의 다른 부분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단전지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단전지와 상기 측벽 사이에 삽입되는 주리브(main ri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주리브의 선단에 돌출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돌기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전지의 배열 방향의 간격이 상기 기단 측에서 상기 선단 측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포함한다.
접촉 부재를 케이스의 개구에 접근시킴에 따라, 한 쌍의 제1 경사면이 각각 단전지와 접촉한다. 이 제1 경사면과 대응하는 단전지와의 접촉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접촉 부재는 개구에 대하여 위치맞춤된다.
상기 단전지는, 상기 제1 돌기가 꽂혀지는 방향에서 본 모서리부(隅部)에, 상기 측벽 측의 호형부와, 상기 호형부와 연결되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극에 삽입된 상기 제1 돌기의 기단 측은, 상기 호형부와 상기 직선형부의 접속 부분보다 상기 측벽 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돌기의 최대 폭, 즉 기단에서의 제1 경사면 사이의 간격을 넓게 설정함으로써, 제1 돌기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돌기의 최대 폭의 부분을 호형부와 직선형부보다 측벽 측에 설정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 사이의 간격을 과도하게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상기 접촉 부재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전지 사이에 삽입되는 칸막이 리브(partition rib)를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주리브의 상기 칸막이 리브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칸막이 리브의 연장선상에 설치되고, 상단 측에서 하단 측을 향해 주리브에 점차 가까워지는 제2 경사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칸막이 리브가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 사이에, 더욱 원활하게 삽입된다. 그 결과, 제1 돌기가 제1 간극에 더욱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접촉 부재를 케이스의 개구에 대하여, 더욱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2개의 측벽의 접속 부분에 형성된 코너부(角部)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위치맞춤되도록 상기 코너부와 상기 단전지에 의해 획정되는 제2 간극 사이에 삽입되는, 기단 측에서 선단 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제2 돌기를 포함해도 된다.
접촉 부재에 설치한 돌기(제1 돌기)를 단전지 및 케이스에 의해 획정되는 간극(제1 간극)에 삽입함으로써, 접촉 부재가 위치맞춤되므로, 엄밀하게 위치맞춤하지 않고, 접촉 부재를 조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돌기가 접촉 부재를 위치맞춤된 위치에 안내하므로, 접촉 부재의 조립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전지의 사시도(커버의 도시를 생략함)이다.
도 3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첩촉 부재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접촉 부재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돌기(받침대부 있음)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제1 돌기(받침대부 있음)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제1 돌기(받침대부 없음)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돌기(받침대부 없음)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제2 돌기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돌기(받침대부 없음)가 삽입되는 제1 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2 돌기가 삽입되는 제2 간극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3a는 제1 돌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b는 제1 돌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c는 제1 돌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전지(전지 모듈)(1)를 나타낸다. 이 조전지(1)는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인 8개의 각형(角型)의 단전지(전지 셀)(2)를 구비한다. 단전지(2)는 전극체 등이 수용된 본체(2a)(본 실시예에서는 편평한 직육면체형)과, 본체(2a)의 상단 개구를 닫는 커버체(2b)를 구비한다. 커버체(2b)의 양단 부근에서 한 쌍의 단자(2c)가 돌출되어 있다. 각각의 단전지(2)의 단자(2c)는 인접하는 단전지(2)의 단자(2c)에 버스바(bus bar)(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우단(右端) 및 좌단(左端)에 위치하는 단전지(2)의, 각각의 한쪽의 단자(2c)가 조전지(1) 전체의 양극 및 음극으로서 기능한다.
단전지(2)는,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제인 케이스(4)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케이스(4)는 전체로서 직육면체형이고 상단 개구(4a)를 구비하는 상자형이다. 케이스(4) 내에 수용된 단전지(2)는, 평면에서 볼 때의 장변(長邊)이 서로 대향하도록 일렬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단전지(2)가 탑재되는 케이스(4)의 바닥벽(4b)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2개의 단전지(2)의 바닥부 부근에 삽입되는 칸막이벽(4c)이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7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한 쌍의 단전지(2)에 대해서만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2) 사이에는 스페이서(5)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4)는 바닥벽(4b)에서 상승하는 장변 방향의 측벽(4d, 4e)을 구비한다. 측벽(4d, 4e)은 정렬 배치된 단전지(2)의 평면에서 볼 때의 한 쌍의 단변(短邊)과 대향한다. 또한, 케이스(4)는 바닥벽(4b)에서 상승하는 단변 방향의 측벽(4f, 4g)을 구비한다. 측벽(4f, 4g)은 정렬 배치된 단전지(2) 중 양단의 단전지(2)[도 1에 있어서 좌우 양단에 배치된 단전지(2)]의 평면에서 볼 때의 장변과 대향한다. 측벽(4d, 4e)과 측벽(4f, 4g)의 상단에 의해 상단 개구(4a)가 획정되어 있다.
단전지(2)가 수용된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수지제인 접촉 부재(속 커버)(7)가 조립되고, 접촉 부재(7)의 위로부터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제인 커버(바깥 커버)(8)가 조립된다. 커버(8)의 장변 측의 측벽에는 복수의 결합편(8a)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조립된 접촉 부재(7)에 커버(8)를 씌우면, 결합편(8a)이 접촉 부재(7)에 설치된 결합 구멍(7a)에 내측으로부터 맞물림으로써, 접촉 부재(7)와 커버(8)가 서로 고정된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접촉 부재(7)는 전체로서 대략 직사각형 판형의 본체(7b)를 구비한다. 본체(7b)는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접촉 부재(7)가 조립된 상태에서,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8개)의 단전지(2)의 정상부와 맞닿는다. 본체(7b)에는, 각각의 단전지(2)의 단자(2c)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7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7b)에는 전술한 조전지(1) 전체의 양극 및 음극으로서 기능하는 단자(2c)를 노출시키기 위한 절결(切缺)(7d, 7e)이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접촉 부재(7)는, 본체(7b)의 사이드 에지(side edge)에서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는 평판형의 두 쌍의 주리브(7f∼7i)를 구비한다. 장변 방향의 한 쌍의 주리브(7f, 7g)는, 케이스(4)의 측벽(4d, 4e)과, 일렬로 정렬 배치된 각각의 단전지(2)의 평면에서 볼 때의 한 쌍의 단변과의 사이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된다. 한편, 단변 방향의 한 쌍의 주리브(7h, 7i)는, 케이스(4)의 측벽(4f, 4g)과, 정렬 배치된 단전지(2) 중 양단의 단전지(2)의 평면에서 볼 때의 장변과의 사이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된다. 주리브(7f∼7i)에는, 복수의 결합 돌기(7j)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커버(8)를 조립할 때, 케이스(4)와 단전지(2) 사이에 주리브(7f∼7i)를 삽입하면, 결합 돌기(7j)가 케이스(4)의 측벽(4d∼4g)에 설치된 결합 구멍(4h)에 내측으로부터 끼워지고, 그에 따라 케이스(4)에 대하여 접촉 부재(7)가 고정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부재(7)의 하면에는 주리브(7f)로부터 주리브(7g)에 도달하는 가늘고 긴 평판형의 칸막이 리브(7k)가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7개)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칸막이 리브(7k)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단전지(2) 사이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된다. 각각의 칸막이 리브(7k)의 양면에는, 칸막이 리브(7k)를 단전지(2) 사이에 꽂았을 때 단전지(2)의 상단 부근의 측부에 맞닿는 고정 리브(7m)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부재(7)의 주리브(7f, 7g)의 하단에는 복수 개의 제1 돌기(11)를 설치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7개의 칸막이 리브(7k) 중 도 5에 있어서 좌우 양단의 2개의 칸막이 리브(7k)의 일단이 주리브(7g)에 접속하는 위치에 제1 돌기(11)가 설치되고, 나머지 5개의 칸막이 리브(7k)의 양단이 주리브(7f, 7g)에 접속하는 위치에도 제1 돌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제1 돌기(11)는, 주리브(7f, 7g)의 칸막이 리브(7k)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돌기(11)는 주리브(7f, 7g)의 하단에서 더욱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접촉 부재(7)의 본체(7b)에서 제1 돌기(11)의 선단까지의 길이는, 본체(7b)에서 주리브(7f, 7g) 및 칸막이 리브(7k)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길다. 제1 돌기(11)는 주리브(7f, 7g)와 접속된 상단 측(기단 측)에서 하단 측(선단 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2)의 상단 부근과 케이스(4)의 측벽(4d, 4e)에 의해 획정되는 제1 간극(12)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된다.
제1 돌기(11)는 주리브(7f, 7g)와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는 이등변 삼각 형상의 제1 삼각판부(11a)를 구비한다. 제1 삼각판부(11a)의 양 측면은,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2)의 배열 방향(도 11의 화살표 B1, B2 참조)의 간격이 상단 측에서 하단 측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한 쌍의 제1 경사면(11b, 11c)을 구성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삼각판부(11a)는 제1 간극(12) 중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2)와 케이스(4)의 측벽(4d, 4e) 사이에 삽입된다.
제1 돌기(11)는, 제1 삼각판부(11a)의 내면 측에 직각 삼각 형상의 제2 삼각판부(11d)를 구비한다. 이 제2 삼각판부(11d)의 직각을 이루는 한 변이 제1 삼각판부(11a)의 대칭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삼각판부(11d)의 경사변은 칸막이 리브(7k)의 연장선상에 설치되고, 상단 측에서 하단 측을 향해 주리브(7f, 7g)에 점차 가까워지는 제2 경사면(11e)를 구성하고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삼각판부(11d)는 제1 간극(12) 중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2) 사이에 삽입된다.
도 7 및 도 9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돌기(11)는 제1 삼각판부(11a)와 칸막이 리브(7k) 사이에 간극(G)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주리브(7g)의 제1 돌기(11)는 최기단부에 대략 사다리꼴 기둥형의 받침대부(11f)를 구비하지만, 주리브(7f)의 제1 돌기(11)에는 이 받침대부를 설치하지 않다.
도 5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부재(7)의 주리브(7g)의 양단(兩端)과 주리브(7h, 7i)의 일단(一端)의 접속 부분에 형성된 코너부(7n, 7p)와, 주리브(7f)의 양단과 칸막이 리브(7k)의 접속 부분에 형성된 코너부에는, 제2 돌기(14)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돌기(14)는 주리브(7h, 7i)의 하단에서 더욱 아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2 돌기(14)는 단전지(2)와 코너부(7n, 7p)에 의해 획정되는 제2 간극(15)에 위쪽으로부터 삽입된다.
제2 돌기(14)는 코너부(7n, 7p)를 구성하는 2개 벽부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상에 있는 직각 삼각 형상의 제1 및 제2 삼각판부(14a, 14b)를 구비한다. 이들의 제1 및 제2 삼각판부(14a, 14b)는 모두, 경사면(14c, 14d)을 가지고 있고, 상단 측에서 하단 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다.
다음에,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에의 조립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조립 작업은 수작업으로 실행되어도 되고, 자동 조립 장치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의 조립 작업은, 케이스(4)에 모든 단전지(2)(본 실시예에서는 8개)를 수용하고, 또한 인접하는 단전지(2)의 단자(2c)를 버스바(3)로 접속한 후에 실행된다. 접촉 부재(7)를 위쪽으로부터 케이스(4) 내의 단전지(2)의 위쪽으로부터 씌워, 접촉 부재(7)의 주리브(7f∼7i)를 단전지(2)와 케이스(4)의 측벽(4d∼4g)과의 사이에 삽입한다. 접촉 부재(7)의 결합 돌기(7j)가 케이스(4)의 결합 구멍(4h)에 끼워지면, 접촉 부재(7)가 케이스(4)에 고정되어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 완료 상태에서는, 접촉 부재(7)의 본체(7b)가 케이스(4)에 수용된 단전지(2)의 정상부와 맞닿고, 그에 따라 단전지(2)의 상하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각각의 단전지(2)의 단자(2c)는 관통 구멍(7c)을 통하여 본체(7b)로부터 위쪽으로 노출된다(도 2 참조).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어긋난 상태로, 접촉 부재(7)가 상단 개구(4a)에 대하여 하강한 경우라도, 제1 및 제2 돌기(11, 14)가 제1 및 제2 간극(12, 15)에 삽입되므로, 접촉 부재(7)는 상단 개구(4a)에 대하여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위치맞춤된다. 그 결과, 접촉 부재(7)의 주리브(7f∼7i)는 케이스(4)와 단전지(2) 사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제1 및 제2 돌기(11, 14)의 길이[접촉 부재(7b)로부터의 돌출량]는 주리브(7f∼7i) 및 칸막이 리브(7k)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돌기(11, 14)는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이들에 의해, 제1 및 제2 돌기(11, 14)를 제1 및 제2 간극(12, 15)에 확실하고도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1 돌기(11)와 칸막이 리브(7k) 사이에 간극(G)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접촉 부재(7)의 조립 시에 케이스(4)나 단전지(2)와의 간섭에 의해 제1 돌기(11)에 대하여 외력이 작용한 경우, 간극(G)이 존재하므로 제1 돌기(11) 자체가 칸막이 리브(7k)와는 단독으로 어느 정도 변형 가능하다. 특히, 제1 돌기(11)는 단전지(2)의 배열 방향과 직교하는, 즉 도 7 및 도 9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는 비교적 변형되기 쉽다. 따라서, 간극(G)을 설치함으로써, 제1 돌기(11)에 작용하는 외력이 칸막이 리브(7k)를 통하여 접촉 부재(7)의 다른 부분에 전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단전지(2)는 바닥면 측[제1 돌기(12)가 꽂혀지는 방향]에서 본 모서리부에, 측벽(7f, 7g) 측의 원호형부(2e)와, 이 원호형부(2e)와 연결되는, 측벽(7f, 7g)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부(2f)를 구비한다. 제1 간극(12)에 삽입된 제1 돌기(11)의 기단 측은, 원호형부(2e)와 직선형부(2f)의 접속 부분보다 (측벽 측에) 위치한다. 제1 돌기(11)의 기단 측과 단전지(2)와의 위치 관계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제1 돌기(11)의 최대 폭, 즉 기단에서의 제1 경사면 사이(11b, 11c)의 간격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돌기(1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의 돌기(11)의 최대 폭의 부분을 원호형부(2e)와 직선형부(2f)의 접속부보다 측벽(7f, 7g) 측에 설정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2) 사이의 간격을 과도하게 크게 설정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원호형부(2e)는, 원호의 범주에는 포함되지 않은 호형으로 해도 되고, 곡선과 직선으로 구성된 형상으로 해도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의 내측으로 어긋난 경우, 전지 본체(7b)와 전지 커버(8)의 접속 부분으로 구성되는 에지부(2d)(도 3도 함께 참조)에 제1 돌기(11)의 제1 삼각판부(11a)의 제1 경사면(11b, 11c)이 맞닿는다(도 6도 함께 참조). 접촉 부재(7)가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를 향해 하강함에 따라, 제1 돌기(11)의 제1 경사면(11b, 11c)이 단전지(2)의 에지부(2d)에 안내됨으로써, 화살표 A의 방향의 위치의 어긋남이 해소되도록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 접촉 부재(7)의 가로 방향의 이동에 의하여, 제1 돌기(11)가 제1 간극(12)에 삽입되고, 접촉 부재(7)는 케이스(4)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위치맞춤되어, 접촉 부재(7)의 주리브(7f∼7i)는 단전지(2)나 케이스(4)의 측벽(4d∼4g)과 간섭하지 않고, 케이스(4)와 단전지(2) 사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또, 접촉 부재(7)의 칸막이 리브(7k)는 인접하는 단전지(2) 사이의 간극에 삽입된다.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도 11에 있어서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의 어긋남에 더하여, 화살표 B1, B2로 나타낸 단전지(2)의 배열 방향과도 어긋난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돌기(11)의 제1 삼각판부(11a)의 제1 경사면(11b, 11c)뿐 아니라, 제2 삼각판부(11d)의 제2 경사면(11e)이 단전지(2)의 에지부(2d)와 맞닿는다. 제1 경사면(11b, 11c)과 제2 경사면(11e)이 단전지(2)의 에지부(2d)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화살표 A, B1, B2의 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해소되도록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 이동에 따라, 접촉 부재(7)의 주리브(7f∼7i)는 단전지(2)나 케이스(4)의 측벽(4d, 4e) 및 측벽(4f, 4g)과 간섭하지 않고, 케이스(4)와 단전지(2) 사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또한, 접촉 부재(7)의 칸막이 리브(7k)는 인접하는 단전지(2) 사이의 간극에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경사면(11e)이 설치된 제2 삼각판부(11d)는 칸막이 리브(7k)의 연장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삼각판부(11a)의 제1 경사면(11b, 11c)에 더하여, 제2 경사면(11e)을 설치함으로써, 칸막이 리브(7k)는 서로 인접하는 단전지(2) 사이에 더욱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상과 같이, 제1 돌기(11)를 설치했으므로,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대한 조립 시에,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에 어긋남이 있는 경우도, 접촉 부재(7)가 케이스(4)에 대하여 위치맞춤되도록 제1 돌기(11)가 제1 간극(12)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접촉 부재(7)를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대하여 엄밀하게 위치맞춤할 필요가 없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돌기(11)가 단전지(2)의 에지부(2d)에 안내됨으로써, 접촉 부재(7)를 케이스(4)에 대하여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스(4)에 대한 접촉 부재(7)의 조립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스(4)에 대한 접촉 부재(7)의 조립 작업을 자동 조립 장치에서 실행하는 경우, 자동 조립 장치에는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에 대한 위치맞춤에 대해 과도한 고정밀도는 요구되지 않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 제2 돌기(14)의 제1 삼각판부(14a)의 경사면(14c)이 단전지(2)의 에지부(2d)와 맞닿는다. 마찬가지로, 접촉 부재(7)의,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어긋난 경우, 제2 돌기(14)의 제2 삼각판부(14b)의 경사면(14d)이 단전지(2)의 에지부(2d)와 맞닿는다. 제1 및 제2 삼각판부(14a, 14b)의 경사면(14c, 14d)이 단전지(2)의 에지부(2d)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접촉 부재(7)가 하강함에 따라, 접촉 부재(7)는 위치 어긋남이 해소되는 방향으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이동한다. 이 접촉 부재(7)의 가로 방향의 이동에 따라, 제2 돌기(14)가 제2 간극(15)에 삽입되고, 접촉 부재(7)는 케이스(4)에 대한 평면에서 볼 때의 위치가 위치맞춤된다. 그러므로, 접촉 부재(7)의 주리브(7f∼7i)는 단전지(2)나 케이스(4)의 측벽(4d∼4g)과 간섭하지 않고, 케이스(4)와 단전지(2)의 사이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또한, 접촉 부재(7)의 칸막이 리브(7k)는 인접하는 단전지(2) 사이의 간극에 원활하게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1 돌기(11)에 더하여 제2 돌기(14)를 설치함으로써, 접촉 부재(7)를 케이스(4)의 상단 개구(4a)에 대해, 더욱 용이하고도 원활하게 조립할 수가 있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제1 돌기(11)의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3a의 변형예에서는, 제1 돌기(11)는 주리브(7g, 7f)에 돌출된 원기둥형이다. 이와 같이 제1 돌기(11)는 제1 간극(12)(도 11 참조)에 삽입 가능하면, 반드시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일 필요는 없다. 도 13b의 변형예에서는, 제1 돌기(11)는 주리브(7g, 7f)에 돌출된 가늘고 긴 원뿔대형이다. 도 13c의 변형예에서는, 제1 돌기(11)는 가늘고 긴 원뿔대형이며, 주리브(7g, 7f)가 아니라 접촉 부재(7)의 본체(7b)의 하면에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돌기(11)는 제1 간극(12)(도 11 참조)에 삽입 가능하면, 반드시 주리브(7g, 7f)에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13a 내지 도 13c와 같은 구성은, 제2 돌기(15)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예에서는, 케이스(4) 내의 각각의 단전지(2)의 위치는, 케이스(4)의 칸막이 벽(4c), 단전지(2)에 배치된 스페이서(5), 및 고정 리브(7m)가 부가된 칸막이 리브(7k)에 의해 유지된다. 그러나, 케이스 내에서의 단전지(2)의 위치를 확실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한, 이들 칸막이벽(4c), 스페이서(5), 및 고정 리브(7m)가 부가된 칸막이 리브(7k) 중 어느 하나 또는 2개를 없앤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1: 조전지
2: 단전지
2a: 본체
2b: 커버체
2c: 단자
2d: 에지부
2e: 원호형부
2f: 직선형부
3: 버스바
4: 케이스
4a: 상단 개구
4b: 바닥벽
4c: 칸막이벽
4d, 4e: 측벽
4f, 4g: 측벽
4h: 결합 구멍
5: 스페이서
7: 접촉 부재
7a: 결합 구멍
7b: 본체
7c 관통 구멍
7d, 7e: 절결
7f, 7g, 7h, 7i: 주리브
7j: 결합 돌기
7k: 칸막이 리브
7m: 고정 리브
7n, 7p: 코너부
8: 커버
8a: 결합편
11: 제1 돌기
11a: 제1 삼각판부
11b, 11c: 제1 경사면
11d: 제2 삼각판부
11e: 제2 경사면
11f: 받침대부
12: 제1 간극
14: 제2 돌기
14a: 제1 삼각판부
14b: 제2 삼각판부
14c, 14d: 경사면
15: 제2 간극

Claims (10)

  1. 복수의 단전지가 수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수용된 단전지와 맞닿아 상기 단전지를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위치결정하는 접촉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접촉 부재가 위치맞춤되도록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전지 및 상기 케이스에 의해 획정(劃定)되는 제1 간극에 삽입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는,
    조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기단 측에서 선단 측을 향해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조전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단전지와 맞닿는 본체에서 돌출되어 케이스 내에 꽂혀지는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에서 상기 제1 돌기의 선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본체에서 상기 리브의 선단까지의 길이보다 긴, 조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와 상기 리브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조전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단전지를 둘러싸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단전지와 상기 측벽 사이에 삽입되는 주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주리브의 선단에 돌출되어 있는, 조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전지의 배열 방향의 간격이 상기 기단 측에서 상기 선단 측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한 쌍의 제1 경사면을 포함하는, 조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전지는, 상기 제1 돌기가 꽂혀지는 방향에서 본 모서리부에, 상기 측벽 측의 호형부와, 상기 호형부와 연결되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간극에 삽입된 상기 제1 돌기의 기단 측은, 상기 호형부와 상기 직선형부의 접속 부분보다 상기 측벽 측에 위치하는, 조전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서로 인접하는 상기 단전지 사이에 삽입되는 칸막이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주리브의, 상기 칸막이 리브의 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는, 상기 칸막이 리브의 연장선상에 설치되고, 상기 기단 측에서 상기 선단 측을 향해 상기 주리브에 점차 가까워지는 제2 경사면을 포함하는, 조전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2개의 측벽의 접속 부분에 형성된 코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는,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에 대하여 위치맞춤되도록 상기 코너부와 상기 단전지에 의해 획정되는 제2 간극 사이에 삽입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조전지.
KR1020130099065A 2012-09-26 2013-08-21 조전지 KR1020969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3277 2012-09-26
JP2012213277A JP6036095B2 (ja) 2012-09-26 2012-09-26 組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0629A true KR20140040629A (ko) 2014-04-03
KR102096912B1 KR102096912B1 (ko) 2020-04-03

Family

ID=49230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065A KR102096912B1 (ko) 2012-09-26 2013-08-21 조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25446B2 (ko)
EP (1) EP2713417B1 (ko)
JP (1) JP6036095B2 (ko)
KR (1) KR102096912B1 (ko)
CN (1) CN103682201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911A1 (ko) * 2014-06-05 2015-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WO2017052051A1 (ko) * 2015-09-25 2017-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74918B2 (ja) * 2013-02-01 2016-08-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
US10103367B2 (en) 2014-09-26 2018-10-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module with free floating prismatic battery cells
US10020534B2 (en) 2014-09-26 2018-07-10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Free floating battery cell assembly techniques for lithium ion battery module
JP6685760B2 (ja) * 2016-02-19 2020-04-2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2018056093A (ja) * 2016-09-30 2018-04-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蓄電装置
CN106784509A (zh) * 2017-03-10 2017-05-31 江苏索尔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纵向排布的电池组件
JP2019145459A (ja) * 2018-02-23 2019-08-29 株式会社東芝 組電池
CN111868959A (zh) 2018-03-16 2020-10-30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蓄电装置
CN109659463A (zh) * 2019-01-02 2019-04-19 南京创源天地动力科技有限公司 一种方形动力电池组成组结构
US11342620B2 (en) * 2019-03-04 2022-05-24 Chongqing Jinkang Powertrain New Energy Co., Ltd. Battery module scalable in three dimensions
CN110224090A (zh) * 2019-04-24 2019-09-10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一种导热式方形电池组
CN210743992U (zh) * 2019-10-21 2020-06-12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电池组及使用电池单体作为电源的装置
KR20210122592A (ko) * 2020-04-01 2021-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0055A (ja) * 2003-11-20 2005-06-09 Sony Corp 電池用トレイ
JP2010015760A (ja) * 2008-07-02 2010-01-21 Gs Yuasa Corporation 組電池及び組電池の組立方法
WO2012009090A1 (en) * 2010-07-12 2012-01-19 Coda Automotive, Inc. Battery assembly
JP2012128982A (ja) 2010-12-13 2012-07-05 Lithium Energy Japan:Kk 電池モジュール
JP5056155B2 (ja) * 2007-05-16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483B1 (ko) * 2004-05-04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5115696B2 (ja) * 2007-05-16 2013-01-09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5155772B2 (ja) * 2008-08-19 2013-03-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構造
US20110059365A1 (en) * 2009-09-09 2011-03-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rocess for manufacture and assembly of battery modules and sections
JP5644086B2 (ja) * 2009-10-29 2014-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電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車両
US9263713B2 (en) 2010-05-26 2016-02-16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0055A (ja) * 2003-11-20 2005-06-09 Sony Corp 電池用トレイ
JP5056155B2 (ja) * 2007-05-16 2012-10-24 ソニー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
JP2010015760A (ja) * 2008-07-02 2010-01-21 Gs Yuasa Corporation 組電池及び組電池の組立方法
JP4638528B2 (ja) 2008-07-02 2011-02-23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及び組電池の組立方法
WO2012009090A1 (en) * 2010-07-12 2012-01-19 Coda Automotive, Inc. Battery assembly
JP2012128982A (ja) 2010-12-13 2012-07-05 Lithium Energy Japan:Kk 電池モジュー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86911A1 (ko) * 2014-06-05 2015-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US10243193B2 (en) 2014-06-05 2019-03-26 Lg Chem, Ltd. Battery pack
WO2017052051A1 (ko) * 2015-09-25 2017-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20170037126A (ko) *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036095B2 (ja) 2016-11-30
EP2713417A1 (en) 2014-04-02
JP2014067648A (ja) 2014-04-17
US9425446B2 (en) 2016-08-23
EP2713417B1 (en) 2023-11-22
US20140087229A1 (en) 2014-03-27
CN103682201A (zh) 2014-03-26
KR102096912B1 (ko) 2020-04-03
CN103682201B (zh) 2018-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40629A (ko) 조전지
KR101867666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및 커넥터
US8105112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8604748B (zh) 浮动连接器装置
US9196984B2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using substrate connector
EP2903092A1 (en) Connector
US20140315441A1 (en) Battery wiring module
US10243288B2 (en) Fe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US11532419B2 (en) Coil component
JP5226739B2 (ja) コネクタ装置
US20160359276A1 (en) Plug connector, jack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JP4162142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接続構造
JP2015220005A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JP6805705B2 (ja) 蓄電装置
US11211659B2 (en) Battery module comprising housing with connector
TWI237423B (en) Electrical connector
CN215343194U (zh) 浮动通讯接头
KR101681943B1 (ko) 기판접속 커넥터
CN220065608U (zh) 用于车辆的保险盒组件及车辆
CN210489939U (zh) 一种具有usb模块校正限位功能的插座
EP3940736B1 (en) Terminal block
CN213025970U (zh) 断路器组件及断路器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KR20240001484A (ko) 리셉터클 피팅 네일,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조립체
JP2008218036A (ja) モジュー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