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6554A -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6554A
KR20140036554A KR1020120102794A KR20120102794A KR20140036554A KR 20140036554 A KR20140036554 A KR 20140036554A KR 1020120102794 A KR1020120102794 A KR 1020120102794A KR 20120102794 A KR20120102794 A KR 20120102794A KR 20140036554 A KR20140036554 A KR 20140036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tor
hole
plate
horizont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2550B1 (ko
Inventor
박철민
Original Assignee
박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민 filed Critical 박철민
Priority to KR102012010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2550B1/ko
Publication of KR2014003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2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2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회전체(300)가 회전자(110)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축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감속 유압모터(100)의 고속회전을 요구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감속 유압모터(100)와 회전체(300) 상호간의 회전비의 일치로서 회전력의 극대화에 따른 작업효율의 향상 나아가 고장율 저하 더 나아가 연료소비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ROTARY BUCKET FOR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 건축물로부터 골재와 토사를 분리시키기 위한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장비는 포크레인, 굴삭기 또는 굴착기 등을 일컫고, 이러한 중장비는 암반을 뚫고 파쇄하며 나아가 골재를 파내는 것에서부터 폐 건축물로부터 골재와 토사를 분리하는 작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폐 건축물(일반적인 돌이나 흙이 섞인 자연물도 포함)로부터 입자크기가 다른 예를 들면, 골재와 토사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진동이나 회전에 의해 토사를 배출시킴으로써 골재를 남게 하는 체 또는 회전체 등이 중장비의 붐에 조립되어 활용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1(10-2000-0002668; 굴삭기용 체 장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1)는 유압식 백호(backhoe)이고, 선회대(旋回臺; 2)의 위에 운전실(3) 및 붐(boom; 4)이 설치된다. 붐(4)의 선단부에는 암(arm; 5)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붐(4) 및 암(5)은 각각 유압식 붐 실린더(6), 암 실린더(7)에 의하여 회전동작이 조작된다. 그리고, 암(5)의 선단부에 체 장치(11)가 장착된다. 체 장치(11)의 설치베이스(12)는 원판형상을 한 철제의 베이스판(12a)과, 이 베이스판(12a)의 배면에 설치된 2개의 철제 설치판(12b, 12b)을 가지고 있으며, 설치판(12b, 12b)이 설치부(10)를 통하여 암(5)의 선단부에 회동이 가능하게 장착됨과 동시에 설치부(13)를 통해서 바스켓 링크(9)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베이스판(12a)의 배면에 있어서의 외부 둘레부 쪽의 부위에는 회전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유압모터(14)가 장착된다. 베이스판(12a)의 전면측(도 2에 있어서 우측면)에는 회전 전달기구(16)를 통해서 바스켓(1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 전달기구(16)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12a)보다도 작은 링 형상을 한 아우터 링(18)과, 이 아우터 링(18)의 내부 둘레부에 다수 개의 볼(19; 도 3 참조)을 끼워서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 둘레부에 다수 개의 톱니부(20a)가 형성된 링 형상을 한 내부기어(20)와, 이 내부기어(20)의 내부측에 있으며, 이 내부기어(20)의 회전중심(O; 도 4 참조)으로부터 편심한 부위에 배치됨과 동시에 외부둘레부의 톱니부(21a)가 내부기어(20)의 톱니부(20a)에 맞물리도록 설치된 피니언(21)으로 구성되며, 피니언(21)이 상기 유압모터(14)의 회전축(14a)에 장착된다. 그리고, 아우터 링(18)이 설치베이스(12)의 베이스판(12a)에 나사(22)에 의하여 고정되며, 또 바스켓(17)의 개구부(17a)와는 반대측의 끝부를 구성하는 철제의 끝판(23)이 내부기어(20)에 나사(24)에 의하여 고정된다. 아우터 링(18) 및 내부기어(20)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사이의 간극을 덮도록 실(seal)부재(25)가 설치된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1에 따른 굴삭기용 체 장치는 폐 건축물로부터 골재와 토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지만, 체 장치(11)가 베이스판(12a)에 편심 장착된 유압모터(14)의 회전축(14a)에 연결되는 피니언(21)의 회전에 의존되어 아우터 링(18)이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피니언(21)과 아우터 링(18)의 회전비의 차이에 따른 유압모터(14)의 고속회전이 요구되고, 이로 인한 유압모터(14)의 무리한 회전으로 고장이 잦으며, 나아가 피니언(21)의 회전력을 아우터 링(18)이 충분히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연료 소비도 많고, 작업 효율도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제안된 것이 선행기술문헌 2의 굴삭기용 회전식 버켓이다. 선행기술문헌 2(20-2005-0002519; 굴삭기용 회전식 버켓)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굴삭기용 회전식 버켓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켓(1)의 프레임부(11)에 회전체(12)를 안착시키고, 회전체(12)는 그 후면의 유압모터(14)와 연결되게 하고, 회전체(12) 내부에는 폐 건축물의 뒤섞임을 보조하는 회전판(123)이 형성되며, 회전체(12) 내측으로 걸름망(124)을 볼트 체결하고, 회전체(12)의 원활한 회전동작을 보조하는 로울러(13)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 내측으로는 회전체(12)가 위치하는데, 회전체(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1) 후면의 유압모터(14)와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2)의 인입부 하측으로는 회전체(12)의 원활한 회전을 돕기 위해 좌, 우 양측으로 로울러(13)가 위치되는데, 로울러(13)는 그 하부의 고정틀(131)을 관통하는 이송스크류(132)에 장착되고 이송스크류(132)는 선단의 조절부(133) 회전에 따라 로울러(1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장비의 오랜 사용으로 회전체(12)가 한쪽으로 기울거나, 한쪽이 이격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럴 경우 작업자에 의해 도 7의 원내 확대 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별도의 기구를 이용하여 조절부(133) 선단을 화살표 "P"와 같은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고정틀(131)체가 이송스크류(132)상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로울러(13)는 화살표 "R"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회전체(12)의 인입부와 완전 밀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굴삭기용 회전식 버켓 역시 폐 건축물로부터 골재와 토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지만, 회전체(12)와 버켓(1)이 별도의 구성이면서, 회전체(12)가 버켓(1) 속으로 내장되어 고정틀(131)을 관통하는 이송스크류(132)에 장착된 로울러(13)에 의해 버켓(1)에 지지되면서 회전체(12)가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로울러(13)의 파손으로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며, 생산성 또한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원 출원인은 선행기술문헌 1 및 2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도록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자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회전체가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감속 유압모터의 고속회전을 요구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감속 유압모터와 회전체 상호간의 회전비의 일치로서 회전력의 극대화에 따른 작업효율의 향상 나아가 고장율 저하 더 나아가 연료소비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체가 회전자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축방향 결합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일측 수직회전판과 수평지지판이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 링형프레임이 함께 직립되고, 더불어 수평지지바가 등간격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틀로서 견고함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간단 간소하면서도 더욱 견고하여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율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도 고효율의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일측 수직회전판과 타측 링형프레임 상호간의 선분(線分) 고정에 의해 회전체의 축방향으로의 결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측 링형프레임이 회전자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부를 가지도록 하여 경사부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용이하게 폐 건축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반면 회전체의 회전시 폐 건축물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경사부에 의해 전체적인 구조의 견고함이 더욱 강화되어 뒤틀림에 의한 변형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 수직회전판과 회전자의 회전날개판이 서로 면 접촉되면서 결합되고, 나아가 브래킷과 회전자의 고정날개판이 서로 면 접촉되면서 결합되도록 하여, 상호간의 면 접촉에 의한 결합력의 극대화로서 감속 유압모터 하나로서 회전체가 브래킷에 조립되면서 지지되더라도 충분한 강도와 견고함으로 조립상태 및 작업실행을 보장토록 할 수 있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정역회전되는 회전자 및 이 회전자를 지지 보호하는 고정하우징을 지닌 감속 유압모터와, 상기 감속 유압모터의 고정하우징에 결합되면서 중장비의 붐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래킷과, 상기 회전자에 고정되면서 상기 감속 유압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폐 건축물을 골재 및 토사로 분리하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자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축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회전자를 중앙으로 받아들여 고정되는 일측 수직회전판과,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의 외측에 일측이 고정되면서 상기 회전자의 반대방향으로 펼쳐진 수평지지판과,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수평지지판의 타측에 고정되는 타측 링형프레임과,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 및 타측 링형프레임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고정된 수평지지바와,
상기 수평지지바 사이에 각각 조립된 호형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자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회전체가 축방향으로 결합되어 감속 유압모터의 고속회전을 요구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감속 유압모터와 회전체 상호간의 회전비의 일치로서 회전력의 극대화에 따른 작업효율의 향상 나아가 고장율 저하 더 나아가 연료소비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회전체가 회전자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축방향 결합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일측 수직회전판과 수평지지판이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 링형프레임이 함께 직립되고, 더불어 수평지지바가 등간격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틀로서 견고함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간단 간소하면서도 더욱 견고하여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율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도 고효율의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일측 수직회전판과 타측 링형프레임 상호간의 선분(線分) 고정에 의해 회전체의 축방향으로의 결합을 가능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지지판의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보강편이 더 고정되어 무거운 폐 건축물의 회전시 전체적인 뒤틀림을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지지바의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걸림보강바가 더 고정되어 전체적인 구조를 강화시키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폐 건축물이 회전될 때 걸려지면서 골재와 토사로서 분리되는 작용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타측 링형프레임이 회전자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부를 가지도록 하여 경사부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용이하게 폐 건축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반면 회전체의 회전시 폐 건축물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경사부에 의해 전체적인 구조의 견고함이 더욱 강화되어 뒤틀림에 의한 변형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측 수직회전판과 회전자의 회전날개판이 서로 면 접촉되면서 결합되고, 나아가 브래킷과 회전자의 고정날개판이 서로 면 접촉되면서 결합됨으로써, 상호간의 면 접촉에 의한 결합력의 극대화로서 감속 유압모터 하나로서 회전체가 브래킷에 조립되면서 지지되더라도 충분한 강도와 견고함으로 조립상태 및 작업실행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폐 건축물을 담은 후 골재와 토사로 분리하고자 할 때 감속 유압모터의 하우징이 외부로 노출상태가 되면 부딪힘과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하우징 주변에 보호편으로서 보호토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작업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파단 측면도.
도 3은 선행기술문헌 1의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2의 파단 정면도.
도 5는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굴삭기용 회전식 버켓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굴삭기용 회전식 버켓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선행기술문헌 2에 따른 회전체를 나타내는 상세 구성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나타내는 확대 사용상태도.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나타내는 분해 확대 사용상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나타내는 확대 사용상태도이며,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나타내는 분해 확대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은 포크레인, 굴삭기 또는 굴착기 등과 같은 중장비의 붐(1)에 장착되어 폐 건축물(일반적인 돌이나 흙이 섞인 자연물도 포함)로부터 입자크기가 다른 예를 들면 골재와 토사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제안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은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회전(한쪽 방향의 회전도 가능)되는 회전자(110) 및 이 회전자(110)를 지지 보호하는 고정하우징(120)을 지닌 감속 유압모터(100)와, 이 감속 유압모터(100)의 고정하우징(120)에 결합되면서 중장비의 붐(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래킷(200)과, 회전자(110)에 고정되면서 감속 유압모터(100)의 정역회전에 따라 폐 건축물을 골재 및 토사로 분리하는 회전체(300)를 포함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에 적용된 회전체(300)는 선행기술문헌 1과 같이 피니언(21)과 아우터 링(18)의 회전비의 차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 8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자(110)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축방향으로 결합됨으로써 감속 유압모터(100)의 고속회전을 요구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감속 유압모터(100)와 회전체(300) 상호간의 회전비의 일치로서 회전력의 극대화에 따른 작업효율의 향상 나아가 고장율 저하 더 나아가 연료소비의 최소화를 기할 수 있도록 제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회전체(300)가 회전자(110)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될 수 있도록 축방향 결합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회전자(110)를 중앙으로 받아들여 고정되는 일측 수직회전판(310)과, 이 일측 수직회전판(310)의 외측에 일측이 고정되면서 회전자(110)의 반대방향으로 펼쳐진 수평지지판(320)과, 일측 수직회전판(310)과 평행이 되도록 수평지지판(320)의 타측에 고정되는 타측 링형프레임(330)과, 일측 수직회전판(310) 및 타측 링형프레임(330)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고정된 수평지지바(340)와, 이들 수평지지바(340) 사이에 각각 조립(볼트 조립)된 호형스크린(35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회전체(300)가 회전자(110)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축방향 결합을 가능케 하기 위하여 일측 수직회전판(310)과 수평지지판(320)이 결합됨과 동시에 타측 링형프레임(330)이 함께 직립되고, 더불어 수평지지바(340)가 등간격으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틀로서 견고함 및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선행기술문헌 2와 같이 회전체(12)를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버켓(1)이 필요없고, 나아가 고정틀(131)을 관통하는 이송스크류(132)에 장착된 로울러(13) 등이 필요없어, 간단 간소하면서도 더욱 견고하여 생산성은 물론이거니와 작업성 또한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장율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어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도 고효율의 제품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수평지지판(320)은 일측면이 일측 수직회전판(310)의 외측에 선분(線分) 고정되고 그 타측면이 타측 링형프레임(330)의 외측에 선분(線分) 고정되어, 감속 유압모터(100) 하나로서 브래킷(200)에 지지되면서 회전체(300)가 회전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자칫 결합구조가 약해지는 현상을 미연에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즉, 수평지지판(320)을 사이에 두고 일측 수직회전판(310)과 타측 링형프레임(330) 상호간의 선분(線分) 고정에 의해 회전체(300)의 축방향으로의 결합을 가능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을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수평지지판(32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보강편(321)이 더 고정되어 무거운 폐 건축물의 회전시 전체적인 뒤틀림을 미연에 방지토록 한다.
나아가, 수평지지바(340)의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걸림보강바(360)가 더 고정되어 전체적인 구조를 강화시키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폐 건축물이 회전될 때 걸려지면서 골재와 토사로서 분리되는 작용을 더욱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타측 링형프레임(330)은 회전자(110)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부(331)를 가지도록 하여 경사부(331)에 의해 미끄러지면서 용이하게 폐 건축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반면 회전체(300)의 회전시 폐 건축물의 낙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경사부(331)에 의해 전체적인 구조의 견고함이 더욱 강화되어 뒤틀림에 의한 변형현상을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다.
한편, 일측 수직회전판(310)은 회전자(110)를 중앙으로 받아들이는 센터홀(311)과, 센터홀(311) 주변으로 뚫려진 일측 위성구멍(311a)을 구비하고, 브래킷(200)은 고정하우징(120)을 받아들이는 조립홀(210)과, 이 조립홀(210) 주변으로 뚫려진 조임공(211)을 구비하며, 회전자(110)는 센터홀(311)로 끼워지는 센터축(111)과, 일측 위성구멍(311a)에 일치하는 타측 위성구멍(112a)을 가지면서 일측 수직회전판(310)에 면 접촉되는 회전날개판(112)을 구비하고, 일측 위성구멍(311a) 및 타측 위성구멍(112a)은 볼트(B)가 끼워져 너트(N)로 체결되며, 고정하우징(120)은 조립홀(210)에 끼워지는 하우징(121)과, 조임공(211)에 일치하는 나사홈(122a)을 가지면서 브래킷(200)에 면 접촉되는 고정날개판(122)을 구비하며, 나사홈(122a)은 조임공(211)을 경유하여 끼워지는 스크류(S)로 체결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일측 수직회전판(310)과 회전자(110)의 회전날개판(112)이 서로 면 접촉되면서 결합되고, 나아가 브래킷(200)과 회전자(110)의 고정날개판(122)이 서로 면 접촉되면서 결합됨으로써, 상호간의 면 접촉에 의한 결합력의 극대화로서 감속 유압모터(100) 하나로서 회전체(300)가 브래킷(200)에 조립되면서 지지되더라도 충분한 강도와 견고함으로 조립상태 및 작업실행을 보장할 수 있게 되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나아가, 브래킷(200)은 하우징(121)을 보호할 수 있도록 조립홀(210) 주변의 브래킷(200)에 돌출 고정된 보호편(220)과, 보호편(220)의 상측 및 브래킷(200)의 상측에 고정되어 붐(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어퍼핀(231) 및 언더핀(232)을 장착한 마운트(230)를 포함한다.
폐 건축물을 담은 후 골재와 토사로 분리하고자 할 때 감속 유압모터(100)의 하우징(121)이 외부로 노출상태가 되면 부딪힘과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될 우려가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하우징(121) 주변에 보호편(220)으로서 보호토록 하여 보다 안전하고 견고하게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폐 건축물(일반적인 돌이나 흙이 섞인 자연물도 포함)로부터 입자크기가 다른 예를 들면, 골재와 토사를 분리시키기 위한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 : 붐
100 : 감속 유압모터 110 : 회전자
111 : 센터축 112 : 회전날개판
112a : 타측 위성구멍 120 : 고정하우징
121 : 하우징 122 : 고정날개판
122a : 나사홈
200 : 브래킷 210 : 조립홀
211 : 조임공 220 : 보호편
230 : 마운트 231 : 어퍼핀
232 : 언더핀
300 : 회전체 310 : 일측 수직회전판
311 : 센터홀 311a : 일측 위성구멍
320 : 수평지지판 321 : 보강편
330 : 타측 링형프레임 331 : 경사부
340 : 수평지지바 350 : 호형스크린
360 : 걸림보강바
B : 볼트
N : 너트 S : 스크류

Claims (7)

  1. 정역회전되는 회전자(110) 및 이 회전자(110)를 지지 보호하는 고정하우징(120)을 지닌 감속 유압모터(100)와, 상기 감속 유압모터(100)의 고정하우징(120)에 결합되면서 중장비의 붐(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브래킷(200)과, 상기 회전자(110)에 고정되면서 상기 감속 유압모터(100)의 정역회전에 따라 폐 건축물을 골재 및 토사로 분리하는 회전체(300)를 포함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300)는 상기 회전자(110)의 정역회전을 직접 받아 연동되도록 축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회전자(110)를 중앙으로 받아들여 고정되는 일측 수직회전판(310)과,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310)의 외측에 일측이 고정되면서 상기 회전자(110)의 반대방향으로 펼쳐진 수평지지판(320)과,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310)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수평지지판(320)의 타측에 고정되는 타측 링형프레임(330)과,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310) 및 타측 링형프레임(330)의 외측에 등간격으로 고정된 수평지지바(340)와,
    상기 수평지지바(340) 사이에 각각 조립된 호형스크린(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판(320)은 일측면이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310)의 외측에 선분(線分) 고정되고 타측면이 상기 타측 링형프레임(330)의 외측에 선분(線分)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판(320)은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보강편(321)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바(340)의 안쪽에 길이방향으로 걸림보강바(360)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측 링형프레임(330)은 상기 회전자(110)의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좁아지는 경사부(33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에 있어서,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310)은 상기 회전자(110)를 중앙으로 받아들이는 센터홀(311)과, 상기 센터홀(311) 주변으로 뚫려진 일측 위성구멍(311a)을 구비하고,
    상기 브래킷(200)은 상기 고정하우징(120)을 받아들이는 조립홀(210)과, 이 조립홀(210) 주변으로 뚫려진 조임공(211)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자(110)는 상기 센터홀(311)로 끼워지는 센터축(111)과, 상기 일측 위성구멍(311a)에 일치하는 타측 위성구멍(112a)을 가지면서 상기 일측 수직회전판(310)에 면 접촉되는 회전날개판(112)을 구비하고,
    상기 일측 위성구멍(311a) 및 타측 위성구멍(112a)은 볼트(B)가 끼워져 너트(N)로 체결되고,
    상기 고정하우징(120)은 상기 조립홀(210)에 끼워지는 하우징(121)과, 상기 조임공(211)에 일치하는 나사홈(122a)을 가지면서 상기 브래킷(200)에 면 접촉되는 고정날개판(122)을 구비하고,
    상기 나사홈(122a)은 상기 조임공(211)을 경유하여 끼워지는 스크류(S)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00)은
    상기 하우징(121)을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립홀(210) 주변의 상기 브래킷(200)에 돌출 고정된 보호편(220)과,
    상기 보호편(220)의 상측 및 상기 브래킷(200)의 상측에 고정되어 상기 붐(1)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는 어퍼핀(231) 및 언더핀(232)을 장착한 마운트(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KR1020120102794A 2012-09-17 2012-09-17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KR101432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794A KR101432550B1 (ko) 2012-09-17 2012-09-17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794A KR101432550B1 (ko) 2012-09-17 2012-09-17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6554A true KR20140036554A (ko) 2014-03-26
KR101432550B1 KR101432550B1 (ko) 2014-08-21

Family

ID=50645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794A KR101432550B1 (ko) 2012-09-17 2012-09-17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25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57659B2 (ja) * 2000-01-31 2002-12-16 八木産業株式会社 掘削機用ふるい装置
JP3357647B2 (ja) 2000-04-03 2002-12-16 八木産業株式会社 掘削機用ふるい装置
IT1315483B1 (it) * 2000-07-26 2003-02-18 Luca Vaccaro Benna vagliatrice - miscelatrice
JP2004169495A (ja) 2002-11-22 2004-06-17 Okada Aiyon Corp トロンメルバ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2550B1 (ko) 201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1980B2 (ja) 破砕機の破砕蓋付バケット
KR100930959B1 (ko) 중장비용 퀵 커플러
KR101582957B1 (ko) 굴삭기용 버킷의 틸팅 로테이터
JP2010222969A (ja) 破砕バケット
CN101768984A (zh) 筛分、粉碎或搅拌铲斗
JPH10196284A (ja) 岩石切削ヘッド
KR101432550B1 (ko) 중장비용 회전식 버킷
JP2007278039A (ja) 建設機械
JPH0988354A (ja) ドラムクラッシャ
KR20130070744A (ko) 자유회전되는 아암을 가지는 소형 굴삭기
JP5163546B2 (ja) 作業機械
KR101984477B1 (ko) 작업 기계용 회전링크
JP5781053B2 (ja) バケット型ジョークラッシャ
JP2006175371A (ja) 破砕装置
JP3668043B2 (ja) 旋回式建設機械
KR20220003413A (ko) 집게 유닛을 구비하는 중장비용 회전 장치
JP4292542B2 (ja) 破砕バケット
JP2006233695A (ja) 土質改良機、そのパドル及びそれらを用いた土質改良方法
KR20120072806A (ko) 건설기계용 스크린 버켓
FI125504B (fi) Murskauskauha siirrettävää työkonetta varten
WO2018199596A2 (ko) 작업 기계용 회전링크
KR20240034711A (ko) 롤러를 이용한 스크린 버켓
CN204238289U (zh) 大型挖掘机用回转支承防护机构
JPH07216927A (ja) アタッチメントの取付装置
JP5368157B2 (ja) 溝掘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