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990A -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 Google Patents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990A
KR20140035990A KR1020147000052A KR20147000052A KR20140035990A KR 20140035990 A KR20140035990 A KR 20140035990A KR 1020147000052 A KR1020147000052 A KR 1020147000052A KR 20147000052 A KR20147000052 A KR 20147000052A KR 20140035990 A KR20140035990 A KR 20140035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protective film
light guide
peeling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요히로 하마마츠
Original Assignee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수미토모 케미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5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9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은,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도광판과,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에 접합된 보호 필름을 구비한다. 40℃로 가열된 도광판에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도광판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는 0.1∼0.8N/25mm이다. 70℃로 가열된 도광판에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도광판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는 0.1∼0.8N/25mm이다.

Description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LIGHT GUIDE PLATE EQUIPPED WITH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및 그것에 이용되는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광판으로서 이용되는 아크릴 수지판의 표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이 아크릴 수지판의 표면은 평탄하다.
일본 특허공개 평8-170056호 공보
최근,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도광판(이른바 형상 도광판)이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자는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에 보호 필름을 접합하는 것을 검토했다. 그러나, 보호 필름의 특성에 따라서는, 보호 필름이 도광판에 접합된 후, 소정의 크기로 절단될 때에, 보호 필름의 단부(端部)가 도광판으로부터 박리되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보호 필름의 특성에 따라서는, 보호 필름이 도광판으로부터 박리될 때에, 과대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 한번에 박리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것도 판명되었다. 이들 문제는 도광판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에는 생기지 않고, 도광판의 표면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생기는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과 보호 필름 사이의 점착 특성 및 박리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및 그것에 이용되는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은,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 상기 표면에 접합된 보호 필름을 구비하며, 40℃로 가열된 상기 도광판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이고, 70℃로 가열된 상기 도광판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이다.
도광판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N/25mm 미만인 보호 필름에서는, 보호 필름 및 도광판이 절단될 때에, 보호 필름의 단부가 도광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박리 강도가 0.1N/25mm 이상인 보호 필름을 구비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에서는, 보호 필름이 접합된 도광판이 절단되어도 보호 필름의 단부가 도광판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과 보호 필름 사이의 점착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얻어진다.
도광판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8N/25mm를 초과하는 보호 필름에서는, 보호 필름이 도광판으로부터 박리될 때에, 과대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 한번에 박리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박리 강도가 0.8N/25mm 이하인 보호 필름을 구비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에서는, 보호 필름이 도광판으로부터 박리될 때에, 과대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 한번에 보호 필름이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얻어진다.
40℃로 가열된 상기 도광판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70℃에서 40분간의 열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이고, 70℃로 가열된 상기 도광판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70℃에서 40분간의 열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이어도 좋다.
이 경우, 후공정에 있어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70℃에서 40분간 열처리되어도,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과 보호 필름 사이의 점착 특성 및 박리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보호 필름은 상기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에 이용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과 보호 필름 사이의 점착 특성 및 박리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및 그것에 이용되는 보호 필름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광판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사 형(型)에 형성된 오목부 및 도광판에 형성된 볼록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동등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가 이용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장치)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장치(100)는 본 실시형태의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에 사용 가능한 장치이다.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장치(100)는 도광판의 제조 장치(50), 보호 필름의 접합 장치(70), 및 절단 장치(80)를 구비한다.
도광판의 제조 장치(50)는 가열 용융 상태의 수지를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연속 수지 시트(60)를 얻는 다이(51)와, 다이(51)로부터 압출된 연속 수지 시트(60)를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가압하는 제 1 가압 롤(52A) 및 제 2 가압 롤(52B)을 구비하고 있다. 도광판의 제조 장치(50)는 제 1 가압 롤(52A)의 전단에, 필요에 따라 예비가압 롤(52D)을 구비해도 좋다. 예비가압 롤(52D)은 제 1 가압 롤(52A)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예비가압 롤(52D)은 예비가압 롤(52D)과 제 1 가압 롤(52A) 사이에 연속 수지 시트(60)를 끼워넣고 가압한다. 도광판의 제조 장치(50)는 원료가 되는 수지를 투입하기 위한 수지 투입구(57)와, 수지 투입구(57)로부터 투입된 수지를 압출하기 위한 압출기(58)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가압 롤(52A) 및 제 2 가압 롤(52B)은 서로 평행한 회전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 가압 롤(52A) 및 제 2 가압 롤(52B)은 연속 수지 시트(60)의 두께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고, 서로의 주면(周面)끼리의 간격은 연속 수지 시트(60)의 두께에 따라 설정되어 있다. 제 2 가압 롤(52B)의 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수지 시트(60)에 전사되는 요철 형상에 대응하는 전사 형(53)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한 것은 후술된다. 제 2 가압 롤(52B)은 형상 롤에 상당한다. 전사 형(53)을 구비한 제 2 가압 롤(52B)은 전사 롤이라고도 불린다. 이렇게 하여 도광판(30)이 제조된다.
보호 필름의 접합 장치(70)는, 도광판의 제조 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도광판(30) 및 그의 양면에 접합되는 보호 필름(40 및 42)을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가압하는 제 1 가압 롤(72A) 및 제 2 가압 롤(72B)과, 보호 필름(40 및 42)이 각각 권회(卷回)된 보호 필름 롤(72C 및 7D)을 구비한다. 보호 필름(40)은 보호 필름 롤(72C)로부터 제 1 가압 롤(72A)로 공급된다. 보호 필름(42)은 보호 필름 롤(72D)로부터 제 2 가압 롤(72B)로 공급된다. 보호 필름은 마스킹 필름이라고도 불린다. 보호 필름(42)은 도광판(30)에 접합되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 보호 필름 롤(72D)은 불필요하게 된다.
절단 장치(80)는, 보호 필름의 접합 장치(70)로부터 공급되는 보호 필름(40, 42)이 접합된 도광판(30)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렇게 하여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이 제조된다.
(도광판)
도 2는 도광판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는 도광판(3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광판(30)은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예컨대 액정 디스플레이)에 탑재되는 면광원 장치(예컨대 백라이트)의 도광판으로서 사용 가능하다. 면광원 장치로서는, 도광판(30)의 측면(33)에 배치되는 LED 등의 광원을 갖고, 도광판(30)의 측면(33)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정면측으로 출사하는 에지라이트형 면광원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통상, 도광판(30)의 배면(32)(표면(31)과 반대측의 면)에는, 측면(33)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난반사시키는 반사 가공이 실시된다. 반사 가공으로서 행해지는 인쇄로서는, 실크 인쇄 외에 잉크젯 인쇄를 들 수 있다. 또는 반사 가공을 실시하는 것으로서는, 인쇄가 아니라, 레이저 조사에 의해 도트 형상의 요철을 부여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도광판(30)의 표면(31)에는, 제 1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됨과 더불어, 이 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Y축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볼록부(35)가 형성되어 있다. 표면(31)에 형성된 볼록부(35)를 갖는 요철 형상은 후술되는 전사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도광판(30)은 예컨대 투광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투광성 수지의 굴절률은 통상 1.49∼1.59이다. 도광판(30)에 사용되는 투광성 수지로서, 가열되는 것에 의해 용융 상태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이용되어도 좋다. 예컨대, 메타크릴 수지(아크릴 수지), 스타이렌 수지, 카보네이트 수지, 환상 올레핀 수지, MS 수지(아크릴과 스타이렌의 공중합체) 등이 사용 가능하다. 메타크릴 수지로서는, 예컨대 메타크릴산메틸과 아크릴산메틸의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도광판(30)에 사용되는 투광성 수지로서, 가열되는 것에 의해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가 이용되어도 좋다. 도광판(30)에 사용되는 투광성 수지 중에는, 광 확산제, 자외선 흡수제, 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등의 첨가제가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전사 형)
도 3은 전사 형에 형성된 오목부 및 도광판에 형성된 볼록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는 전사 형(53) 및 도광판(3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전사 형(53)에는, 제 2 가압 롤(52B)(형상 롤)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오목부(53a)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오목부(53a)는 복수의 볼록부(35)에 대응하고 있다. 예컨대, 오목부(53a)는 제 2 가압 롤(52B)(형상 롤)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홈이다. 복수의 오목부(53a) 사이의 피치(P)는 통상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다. 피치(P)는 예컨대 30㎛∼800㎛이다. 오목부(53a)의 깊이(D)는 예컨대 30㎛∼500㎛이다. 피치(P)란, 인접하는 오목부(53a)의 Y축 방향에서의 중심 사이(저부끼리)의 거리를 말한다. 오목부(53a)의 깊이(D)란, 오목부(53a)의 개구면으로부터 오목부(53a)의 저부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전사 형(53)의 오목부(53a)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반원 형상, 반타원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오목부(53a)의 단면 형상은, 프리즘 형상에 대응한 예각부를 갖는 V자형 형상이어도 좋다.
전사 형(53)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우선, 스테인레스강, 철강 등으로 이루어지는 금속제 롤의 표면에, 예컨대 크로뮴 도금, 구리 도금, 니켈 도금, 니켈-인 도금 등의 도금 처리가 실시된다. 그 후, 그 도금면에 대해 다이아몬드 바이트 또는 금속 숫돌 등을 이용한 제거 가공, 레이저 가공 또는 커미컬 에칭을 행하는 것에 의해 형상을 가공한다. 단, 전사 형(53)의 제작 방법은 이들 수법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사 롤의 표면에는, 전사 형(53)을 형성한 후에, 예컨대 표면 형상의 정밀도를 손상시키지 않는 수준으로 크로뮴 도금, 구리 도금, 니켈 도금, 니켈-인 도금 등의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도 좋다.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에는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은, 볼록부(35)가 형성된 표면(31)을 갖는 도광판(30)과, 볼록부(35)가 형성된 표면(31)에 접합된 보호 필름(40)을 구비한다.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에서는, 보호 필름(40)과 도광판(30) 사이에서, 인접하는 볼록부(35)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다.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은 도광판(30)의 배면(32)에 접합된 보호 필름(42)을 추가로 구비해도 좋다.
보호 필름(40 및 42)은, 예컨대 기재와 기재 상에 형성된 점착층을 구비하며, 점착층이 기재와 도광판(30) 사이에 배치된다. 보호 필름(40)은 도광판(30)의 표면(31)을 보호하고, 도광판(30)이 사용될 때에는 박리된다. 보호 필름(42)은 도광판(30)의 배면(32)을 보호하고, 도광판(30)이 사용될 때에는 박리된다. 보호 필름(40)의 기재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머로 이루어진다. 보호 필름(42)은 보호 필름(40)과 동일한 구성을 가져도 좋고, 상이한 구성을 가져도 좋다.
40℃로 가열된 도광판(30)에 보호 필름(40)을 접합한 후에 도광판(30)과 보호 필름(40) 사이의 박리 강도는 0.1∼0.8N/25mm이다. 마찬가지로, 70℃로 가열된 도광판(30)에 보호 필름(40)을 접합한 후에 도광판(30)과 보호 필름(40) 사이의 박리 강도는 0.1∼0.8N/25mm이다.
박리 강도는, JISZ0237에 준거하여, 폭 25mm의 시료를 준비하고, 오토그래프를 이용하여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보호 필름을 180° 방향으로 박리하여 측정된 값이다.
도광판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N/25mm 미만인 보호 필름에서는, 보호 필름 및 도광판이 절단될 때에, 보호 필름의 단부가 도광판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박리 강도가 0.1N/25mm 이상인 보호 필름(40)을 구비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에서는, 보호 필름(40) 및 도광판(30)을 절단해도 보호 필름(40)의 단부가 도광판(30)으로부터 박리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도광판(30)의 볼록부(35)가 형성된 표면(31)과 보호 필름(40) 사이의 점착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이 얻어진다.
도광판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8N/25mm를 초과하는 보호 필름에서는, 보호 필름이 도광판으로부터 박리될 때에, 과대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 한번에 박리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상기 박리 강도가 0.8N/25mm 이하인 보호 필름(40)을 구비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에서는, 보호 필름(40)이 도광판(30)으로부터 박리될 때에, 과대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 한번에 보호 필름(40)이 박리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판(30)의 볼록부(35)가 형성된 표면(31)과 보호 필름(40) 사이의 박리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이 얻어진다.
40℃로 가열된 도광판(30)에 보호 필름(40)을 접합한 후, 70℃에서 40분간의 열처리를 행한 후에 도광판(30)과 보호 필름(40)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이어도 좋다. 70℃로 가열된 도광판(30)에 보호 필름(40)을 접합한 후, 70℃에서 40분간의 열처리를 행한 후에 도광판(30)과 보호 필름(40)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이어도 좋다. 이 경우, 후공정에 있어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이 70℃에서 40분간 열처리되어도 접착 앙진(昻進)이 억제되어, 도광판(30)의 볼록부(35)가 형성된 표면(31)과 보호 필름(40) 사이의 점착 특성 및 박리 특성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이 얻어진다. 후공정의 열처리로서는, 예컨대 도광판(30)의 배면(32)에 반사 가공으로서 인쇄가 행해지는 경우에, 인쇄되는 잉크에 포함되는 용제를 제거하기 위한 열처리를 들 수 있다.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방법)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방법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장치(100)를 이용하여 실시 가능하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방법은, 가열 용융 상태의 수지를 다이(51)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연속 수지 시트(60)를 성형하는 시트 제조 공정(S1)과, 전사 형(53)이 형성된 주면을 갖는 제 2 가압 롤(52B)(형상 롤)을 이용하여 연속 수지 시트(60)의 표면에 전사 형(53)을 전사하는 전사 공정(S2)과, 전사 공정(S2)에 의해 얻어진 도광판(30)의 볼록부(35)가 형성된 표면(31)에 보호 필름(40)을 접합하는 접합 공정(S3)과, 보호 필름(40)이 접합된 도광판(30)을 절단하는 절단 공정(S4)을 구비한다.
(시트 제조 공정)
시트 제조 공정에서는, 수지를 가열 용융 상태에서 다이(51)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연속 수지 시트(60)가 제조된다. 수지로서는, 가열되는 것에 의해 용융 상태가 되는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수지를 가열 용융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다이(51)로서는, 예컨대 통상의 압출 성형법에 이용되는 것과 마찬가지의 금속제 T 다이 등이 이용된다. 다이(51)로부터 수지를 가열 용융 상태에서 압출하기 위해서는, 통상의 압출 성형법과 마찬가지로 압출기(58)가 이용된다. 압출기(58)는 일축 압출기이어도 좋고, 이축 압출기이어도 좋다. 수지는 압출기(58) 내에서 가열되고, 용융된 상태에서 다이(51)로 보내져, 압출된다. 다이(51)로부터 압출된 수지는 연속적으로 시트상이 되어서 압출되어 연속 수지 시트(60)가 된다. 연속 수지 시트(60)의 두께는 예컨대 1.0mm 이상 4.5mm 이하이다.
(전사 공정)
전사 공정(S2)은, 시트 제조 공정(S1)에 의해 제조된 연속 수지 시트(60)를 제 1 가압 롤(52A)(가압 롤)과 제 2 가압 롤(52B)(형상 롤)에 끼워넣음으로써 가압하는 가압 공정과, 가압 공정에서 가압된 연속 수지 시트(60)를 제 2 가압 롤(52B)의 주면에 밀착시킨 채로 반송하는 반송 공정과, 반송 공정에서 반송된 연속 수지 시트(60)를 제 2 가압 롤(52B)의 주면(전사 형(53))으로부터 박리하는 박리 공정을 포함한다.
(가압 공정)
상기 시트 제조 공정(S1)에서 얻어진 연속 수지 시트(60)는, 가압 공정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압 롤(52A)과 제 2 가압 롤(52B)에 의해 시트의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동시에 끼워넣어져 가압된다.
이때, 제 2 가압 롤(52B)에 접하기 직전의 연속 수지 시트(60)의 표면 온도는 예컨대 180℃∼250℃ 범위 내의 온도이다. 표면 온도는 예컨대 압출기(58)의 설정 온도의 변경, 다이(51)의 설정 온도의 변경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연속 수지 시트(60)의 표면 온도는 예컨대 적외선 온도계를 이용하여 계측 가능하다.
이 가압 공정에 있어서, 연속 수지 시트(60)에는, 제 2 가압 롤(52B)(형상 롤)의 표면에 형성된 전사 형(53)의 형상이 전사된다. 상기 전사 롤 표면에 구비된 전사 형(53)은 연속 수지 시트(60)의 표면에 밀어부쳐진다. 그 결과, 전사 형(53)의 표면 형상의 반대 형이 연속 수지 시트(60)에 전사된다.
제 1 및 제 2 가압 롤(52A, 52B)로서 통상은 스테인레스강, 철강 등의 금속으로 구성된 금속제 롤이 이용되고, 그의 직경은 통상 100mm∼500mm이다. 이들 제 1 및 제 2 가압 롤(52A, 52B)로서 금속제 롤이 이용되는 경우, 그의 표면에는 예컨대 크로뮴 도금, 구리 도금, 니켈 도금, 니켈-인 도금 등의 도금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가압 롤(52A)의 표면(주면)은 경면이어도 좋고, 엠보싱 등의 요철이 실시된 전사면이어도 좋다.
가압 공정의 전에, 미리 가압하는 예비가압 공정이 실시되어도 좋다. 예비가압 공정에서는, 시트 제조 공정(S1)에 의해 제조된 연속 수지 시트(60)를 예비가압 롤(52D)과 제 1 가압 롤(52A)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연속 수지 시트(60)가 미리 가압된다. 가압된 연속 수지 시트(60)는 제 1 가압 롤(52A)의 주면에 밀착된 채로 반송된다. 그 후, 제 1 및 제 2 가압 롤(52A, 52B)에 의해 가압 공정이 실행된다.
(반송 공정)
반송 공정은, 연속 수지 시트(60)가 제 2 가압 롤(52B)의 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연속 수지 시트(60)를 제 2 가압 롤(52B)의 회전에 따라 반송하는 공정이다.
(박리 공정)
박리 공정은 연속 수지 시트(60)를 제 2 가압 롤(52B)의 주면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이다.
전술한 공정을 경유하는 것에 의해 도광판(30)이 제조된다. 박리 공정 직후의 도광판(30)의 온도는 예컨대 90℃ 이상이다.
(접합 공정)
접합 공정(S3)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의 접합 장치(70)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40, 42)이 도광판(30)에 접합된다. 도광판(30) 및 보호 필름(40, 42)은, 제 1 가압 롤(72A)과 제 2 가압 롤(72B)에 의해, 도광판(30)의 두께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동시에 끼워넣어져 가압된다. 제 1 가압 롤(72A) 및 제 2 가압 롤(72B)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도광판(30)의 표면(31)에 보호 필름(40)이 접합되고, 도광판(30)의 배면(32)에 보호 필름(42)이 접합된다. 보호 필름(40)은, 보호 필름 롤(72C)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가압 롤(72A)에 공급되고, 제 1 가압 롤(72A)의 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도광판(30)에 접합된다. 보호 필름(42)은, 보호 필름 롤(72D)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2 가압 롤(72B)에 공급되고, 제 2 가압 롤(72B)의 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도광판(30)에 접합된다.
접합 시의 도광판(30)의 온도는, 박리 공정 직후의 도광판(30)의 온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제어 가능하며, 40∼70℃이어도 좋고, 50∼60℃이어도 좋다. 접합 시의 도광판(30)의 온도는, 예컨대 도광판의 제조 장치(50)와 보호 필름의 접합 장치(70) 사이의 거리에 의해 조정 가능하다.
(절단 공정)
절단 공정(S4)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장치(80)를 이용하여 보호 필름(40, 42)이 접합된 도광판(30)이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다. 이렇게 하여, 도 4에 도시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90)이 얻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도 1에 도시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의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40℃로 예열된 도광판에 보호 필름이 접합되었다. 도광판으로서는,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형상 도광판이 이용되었다.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에 보호 필름이 접합되었다. 보호 필름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상품명: L7330, 히타치화성사제)이 이용되었다. 그 후, 보호 필름 및 도광판이 폭 25mm × 길이 300mm의 크기로 절단되어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제작되었다.
40℃ 대신에 70℃로 예열된 도광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도광판에 보호 필름이 접합되고, 보호 필름 및 도광판이 폭 25mm × 길이 300mm의 크기로 절단되어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제작되었다.
얻어진 2종류의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에 대해, JISZ0237에 준거하여 오토그래프에 의해 인장 속도 300mm/분으로 길이 방향으로 보호 필름을 180° 방향으로 박리하여 박리 강도(N/25mm)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얻어진 2종류의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70℃의 오븐 내에 40분간 놓인 후에 취출되고, 실온까지 냉각되고, 마찬가지로 박리 강도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점착 특성 평가)
40℃ 대신에 50∼60℃로 예열된 도광판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도광판에 보호 필름이 접합되고, 보호 필름 및 도광판이 A4 사이즈로 절단되어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제작되었다. 얻어진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에 대해, 보호 필름이 단부로부터 길이 5mm 이상 벗겨져 있는지 여부가 평가되었다. 단부로부터의 보호 필름 박리가 5mm 이상인 경우가 벗겨짐 있음이라고 여겨졌다. 단부로부터의 보호 필름 박리가 5mm 미만인 경우가 벗겨짐 없음이라고 여겨졌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박리 특성 평가)
상기 A4 사이즈로 절단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에 대해, 보호 필름의 박리 용이성(작업성)이 평가되었다. 과대한 힘을 가하지 않고서 한번에 보호 필름을 벗길 수 있었던 경우의 박리 용이성은 ○로 표시된다. 보호 필름을 한번에 벗길 수 없었던 경우의 박리 용이성은 ×로 표시된다. ○와 × 사이의 박리 용이성은 △로 표시된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A4 사이즈로 절단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70℃의 오븐 내에 40분간 놓인 후에 취출되고, 실온까지 냉각되고, 마찬가지로 박리 용이성이 평가되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상품명: FM-470, 다이오가공지사제)이 이용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제작되고, 평가가 행해졌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상품명: FM-382, 다이오가공지사제)이 이용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제작되고, 평가가 행해졌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 필름(상품명: ML2020, 히타치화성사제)이 이용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제작되고, 박리 강도가 측정되고, 점착 특성 평가가 행해졌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보호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 필름(상품명: XML-K171, 히타치화성사제)이 이용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제작되고, 평가가 행해졌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참고예 1)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형상 도광판 대신에 평탄한 표면을 갖는 도광판(평면 도광판)이 이용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제작되고, 박리 강도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3에서는, 점착 특성 및 박리 특성의 양쪽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얻어졌다. 한편, 비교예 1∼2에서는, 점착 특성 및 박리 특성 중 적어도 한쪽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형상 도광판에 있어서는,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과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를 특정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해, 점착 특성 및 박리 특성의 양쪽이 우수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이 얻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0: 도광판, 31: 표면, 35: 볼록부, 40, 42: 보호 필름, 51: 다이, 52A: 제 1 가압 롤, 52B: 제 2 가압 롤(형상 롤), 52D: 예비가압 롤, 53: 전사 형, 57: 수지 투입구, 58: 압출기, 60: 연속 수지 시트, 90: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Claims (3)

  1. 볼록부가 형성된 표면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볼록부가 형성된 상기 표면에 접합된 보호 필름
    을 구비하며,
    40℃로 가열된 상기 도광판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이고,
    70℃로 가열된 상기 도광판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에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40℃로 가열된 상기 도광판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70℃에서 40분간의 열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이고,
    70℃로 가열된 상기 도광판에 상기 보호 필름을 접합한 후, 70℃에서 40분간의 열처리를 행한 후에 상기 도광판과 상기 보호 필름 사이의 박리 강도가 0.1∼0.8N/25mm인,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에 이용되는 보호 필름.
KR1020147000052A 2011-06-03 2012-05-30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KR201400359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25402 2011-06-03
JP2011125402A JP2012252209A (ja) 2011-06-03 2011-06-03 保護フィルム付き導光板
PCT/JP2012/063930 WO2012165479A1 (ja) 2011-06-03 2012-05-30 保護フィルム付き導光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990A true KR20140035990A (ko) 2014-03-24

Family

ID=4725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0052A KR20140035990A (ko) 2011-06-03 2012-05-30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2252209A (ko)
KR (1) KR20140035990A (ko)
CN (1) CN103562617A (ko)
TW (1) TW201302351A (ko)
WO (1) WO20121654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483A (ko) * 2015-07-27 2017-02-07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도광판의 압출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5895B2 (ja) * 2013-02-20 2015-04-22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面光源装置の製造方法
CN104503017B (zh) * 2014-12-26 2018-01-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导光板、背光模组以及液晶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056A (ja) * 1994-12-20 1996-07-02 Sumitomo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該フィルムで表面保護されたアクリル樹脂板
JP5125090B2 (ja) * 2006-12-18 2013-01-23 東ソー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JP4985181B2 (ja) * 2007-07-26 2012-07-25 東ソー株式会社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
CN101526641A (zh) * 2008-03-07 2009-09-09 洪文修 导光板的生产线
CN201348663Y (zh) * 2008-12-19 2009-11-18 东莞市奕东电子有限公司 一种导光板
KR101159538B1 (ko) * 2009-06-17 2012-06-25 케이와 인코포레이티드 반투과성 반사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백라이트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3483A (ko) * 2015-07-27 2017-02-07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도광판의 압출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52209A (ja) 2012-12-20
CN103562617A (zh) 2014-02-05
WO2012165479A1 (ja) 2012-12-06
TW201302351A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654B2 (ja) 保護フィルム付き導光板の製造方法
KR101708926B1 (ko) 광학 시트 제조 방법 및 광학 시트
US20110242847A1 (en) Laminated double-sided light guide plate
WO2008050444A1 (fr) Feuille à prismes et feuille optique
US20120051091A1 (en) Optical sheet manufactured with patterned rollers
US20110242851A1 (en) Double-sided light guide plate manufactured with patterned rollers
KR20140035990A (ko) 보호 필름 부착 도광판
US20120050875A1 (en) Optical sheet manufactured with micro-patterned carrier
US20110242848A1 (en) Printed double-sided light guide plate
JP5598202B2 (ja) 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1221532A (ja) 両面導光板
JP2008080727A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US20110242850A1 (en) Double-sided light guide plate manufactured with micro-patterned carrier
KR20130007984A (ko) 마스킹 필름 부착 도광판의 원판
US20120051704A1 (en) Optical sheet having thin double-sided light guide
JP5610770B2 (ja) 金型部材、その製造方法
KR20130089201A (ko) 형상 전사 수지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수지 시트
JP4130492B2 (ja) 異種ポリマー配列板の製造方法
KR20050013497A (ko) 열가소성 수지시트의 제조방법
KR20110094803A (ko) 세레이션부를 포함하는 도광판의 제조방법
JP2006264071A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2102273A1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形状ロール
WO2017030102A1 (ja) 導光体、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液晶表示装置、スティッキング防止シート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導光体の製造方法
JP2013022813A (ja) 樹脂シートの製造方法
KR20110104895A (ko) 프리즘 필름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