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718A -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718A
KR20140035718A KR1020120102331A KR20120102331A KR20140035718A KR 20140035718 A KR20140035718 A KR 20140035718A KR 1020120102331 A KR1020120102331 A KR 1020120102331A KR 20120102331 A KR20120102331 A KR 20120102331A KR 20140035718 A KR20140035718 A KR 2014003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oss
portable terminal
front housing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256B1 (ko
Inventor
정태두
이창열
문정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256B1/ko
Priority to US14/016,449 priority patent/US9474173B2/en
Priority to EP13183989.6A priority patent/EP2709342B1/en
Priority to CN201310421696.0A priority patent/CN103687381B/zh
Publication of KR2014003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과,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결속되며,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 캔 및 상기 쉴드 캔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 캔과 결속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은 상기 쉴드 캔을 통해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HOUSING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모바일폰, 개인 복합 단말기, 디지털 TV 등의 휴대용 단말기가 현대 사회의 필수품이 되어가면서,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전달의 중요한 수단이 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는 프론트 하우징(front housing)(110), 리어 하우징(rear housing)(120) 및 리어 커버(130)를 포함한다.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은 결합하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리어 커버(130)는 리어 하우징(120)을 덮는다. 프론트 하우징(110)은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면을 나타내고, 리어 커버(13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후면을 나타낸다.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은 결합하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면 방향으로 개방된 용기 형태를 형성한다. 윈도우(140), 디스플레이(150), 메인 보드(160) 및 쉴드 캔(170)은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의 결합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에 순차적으로 실장된다. 배터리(180)는 리어 하우징(120)과 리어 커버(130)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에 수용된다.
윈도우(140)는 투명하고,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디스플레이(150)의 영상은 윈도우(140)를 통해서 내비친다. 메인 보드(160)는 기본 회로와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기판으로, 단말기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고 휴대용 단말기가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해주며, 단말기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한다. 쉴드 캔(170)은 전자파 차폐를 위하여 메인 보드(160)의 회로 및 전자 부품들을 커버링하도록 메인 보드(160) 상에 장착된다.
프론트 하우징(110)은 리어 하우징(120)과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111)를 형성한다. 보스(111)는 나사와 체결되는 나사홀이 형성된 나사체결부(1111)를 구비한다. 이러한 나사체결부(1111)는 금속이고, 인서트 사출 성형시 프론트 보스(111) 내에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120)은 프론트 하우징(110)의 보스(111)와 나사 결합되는 보스 체결 홀(121)을 형성한다. 나사(180)는 리어 하우징(120)의 보스 체결 홀(121)을 관통하고, 프론트 하우징(110)의 보스(111)에 체결되고,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은 결합된다.
리어 하우징(120)의 보스 체결 홀(121)은 소정의 너비(W)와 두께(T)를 가져야만, 나사(190)에 의한 체결시 파단되지 않는다.
프론트 하우징(110)의 보스(111)와 리어 하우징(120)의 보스 체결 홀(121)은 휴대용 단말기의 측부에 배치되는데, 보스 체결 홀(121)의 너비와 두께를 점차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그 이유는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와 폭을 줄이는 방편으로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의 두께와 폭을 점차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터치 스크린을 적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더 큰 터치 스크린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고, 휴대용 단말기를 소형화하면서도 더 큰 터치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프론트 하우징(110)과 리어 하우징(120)의 두께 및 폭을 줄이는 방법을 대안으로 삼고 있다. 또한, 디자인의 유려함을 살리기 위하여, 측면(부) 디자인 곡률도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결국,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 또는 폭을 줄일 수 있고,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여주며, 강성(rigidity)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강성(rigidity)을 높일 수 있는 하우징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 또는 폭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나사에 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의 폭을 줄이면서도 더 큰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1견지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과, 프론트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고, 프론트 하우징과 결속되며,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 캔 및 쉴드 캔의 아래에 배치되고, 쉴드 캔과 결속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은 쉴드 캔을 통해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과 쉴드 캔은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는 쉴드 캔 위에 배치되는 메인 보드와, 메인 보드 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구성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는 프론트 하우징은 테두리 하면에 보스를 형성하고, 쉴드 캔은 보스 체결용 홀을 형성하며, 나사는 쉴드 캔의 보스 체결용 홀을 관통하고,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에 체결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와 쉴드 캔의 보스 체결용 홀은 디스플레이 옆에 배치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은 테두리 내측면에 계단 모양으로 단차를 형성하고, 보스는 단차에 구성되며, 윈도우는 보스 위에 배치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와 쉴드 캔의 보스 체결용 홀은 휴대용 단말기의 서로 대향하는 두 테두리들의 가운데에 각각 설치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쉴드 캔은 보스를 형성하고, 리어 하우징은 보스 체결용 홀을 형성하며, 나사는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홈을 관통하고, 쉴드 캔의 보스에 체결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쉴드 캔의 보스와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홀은 메인 보드 아래에 배치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쉴드 캔의 보스와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홀은 휴대용 단말기의 서로 대향하는 두 테두리들의 가운데에 각각 설치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는 리어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고, 리어 하우징과 리어 커버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리어 커버는 프론트 하우징 또는 리어 하우징과 스냅 핏을 이용하여 결속된다.
제1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은 플라스틱 주물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2견지로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과, 프론트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고, 프론트 하우징과 결합하는 리어 하우징 및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의 공간에 수용되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윈도우, 디스플레이, 메인 보드 및 쉴드 캔을 포함하되, 프론트 하우징은 테두리 내측면에 계단 모양으로 단차를 형성하고, 디스플레이는 단차에 배치되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결합하는 부분은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제2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결합하는 부분은 메인 보드의 옆에 배치된다.
제2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은 테두리 하면에 보스를 형성하고, 리어 하우징은 보스 체결용 홀을 형성하며, 나사는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홀을 관통하고,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에 체결된다.
제2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와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홀은 휴대용 단말기의 서로 대향하는 두 테두리들의 가운데에 각각 설치된다.
제2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은 내측면에 단차에 연속하는 두 번째 단차를 더 형성하고, 윈도우는 두 번째 단차에 고정된다.
제2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는 리어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고, 리어 하우징과 리어 커버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리어 커버는 프론트 하우징 또는 리어 하우징과 스냅 핏을 이용하여 결속된다.
제2견지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에서,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은 플라스틱 주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는, 강성(rigidity)을 높일 수 있고, 휴대용 단말기의 두께 또는 폭을 줄이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장치(201)와, 스피커 장치(201)의 하부에 위치하며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3), 디스플레이 장치(203) 하부에 위치하며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 장치(205) 및 입력 버튼들이 배치된 키패드 장치(207)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3)는 수백만 화소를 갖는 엘씨디(LCD, Liquid Crystal Display)일 수 있고, 터치 패널이 추가가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휴대용 단말기(200)는 전술한 요소들을 수용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210)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강성(rigidity)을 높일 수 있는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두께 또는 폭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나사에 의한 체결력을 확보할 수 있는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하우징의 폭을 줄이면서도 더 큰 화면을 구성할 수 있게 하는 하우징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결합 구조는 하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프론트 하우징(front housing)(210), 리어 하우징(rear housing)(220) 및 리어 커버(230)를 포함한다.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은 결합하고, 리어 커버(230)는 리어 하우징(220)을 덮는다. 프론트 하우징(210)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을 나타내고, 리어 커버(23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을 나타낸다.
프론트 하우징(210)은 개구된 형상으로 휴대용 단말기(200)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은 결합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 방향으로 개방된 용기 형태를 형성한다.
윈도우(240), 디스플레이(250), 메인 보드(260) 및 쉴드 캔(270)은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에 배치된다.
윈도우(240)는 프론트 하우징(210)의 개구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250)는 윈도우(240) 아래에 배치되며, 메인 보드(260)는 디스플레이(250) 아래에 배치되고, 쉴드 캔(270)은 메인 보드(260) 아래에 배치된다.
배터리(280)는 리어 하우징(220)과 리어 커버(130)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223)에 수용된다.
리어 커버(130)는 프론트 하우징(210) 또는 리어 하우징(220)에 소정 체결 수단(미도시), 예컨대, 공지된 나사 체결, 스냅 핏 체결 등을 이용하여 결속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10)의 내측면에는 계단 모양으로 단차(212)가 형성되고, 윈도우(240)의 테두리는 프론트 하우징(210)의 단차(212)에 놓여져 고정된다. 프론트 하우징(210)의 단차(212)는 보스(211)로 구성되고, 윈도우(240)는 이러한 보스(211) 위에 배치된다.
윈도우(240)는 투명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디스플레이(250)의 영상은 윈도우(240)를 통해서 내비친다.
윈도우(240)는 프론트 하우징(210)의 단차(212)를 가릴 수 있는 인쇄부(241)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메인 보드(260)는 기본 회로와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기판으로, 단말기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고 휴대용 단말기가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해주며, 단말기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한다.
쉴드 캔(270)은 금속이고, 전자파 차폐를 위하여 메인 보드(260)의 회로 및 전자 부품들을 커버링한다.
쉴드 캔(270)은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 사이에 배치되고, 나사(291)를 통해 프론트 하우징(210)과 결속되며, 나사(292)를 통해 리어 하우징(220)과 결속된다.
프론트 하우징(210)은 쉴드 캔(270)과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211)를 형성한다. 프론트 하우징(210)의 보스(211)는 나사(291)와 체결되는 나사홀이 형성된 나사체결부(2111)를 구비한다. 이러한 나사체결부(2111)는 금속이고,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보스(211) 내에 형성된다.
쉴드 캔(270)은 프론트 하우징(210)의 보스(211)와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 체결 홀(271)을 형성한다.
나사(291)는 쉴드 캔(270)의 보스 체결 홀(271)을 관통하고, 프론트 하우징(210)의 보스(211)에 체결되며, 프론트 하우징(210)과 쉴드 캔(270)은 결속된다.
이러한 프론트 하우징(210)의 보스(211)와 쉴드 캔(270)의 보스 체결용 홀(271)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테두리들의 가운데(도 2의 208, 209)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쉴드 캔(270)은 리어 하우징(220)과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272)를 형성한다.
리어 하우징(220)은 쉴드 캔(270)의 보스(272)와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 체결 홀(222)을 형성한다.
나사(292)는 리어 하우징(220)의 보스 체결 홀(222)을 관통하고, 쉴드 캔(270)의 보스(272)에 체결되며, 쉴드 캔(270)과 리어 하우징(220)은 결속된다.
결국, 쉴드 캔(270)은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과 결속되고, 프론트 하우징(210), 리어 하우징(220) 및 쉴드 캔(270)은 일체가 된다.
이러한 리어 하우징(220)의 보스 체결 홀(222)와 쉴드 캔(270)의 보스(272)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서로 대향하는 두 테두리들의 가운데(도 2의 208, 209)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은 금속일 수 있으나, 대체적으로 플라스틱 주물이 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이 플라스틱 주물인 경우, 쉴드 캔(270)은 금속이기 때문에 강성(rigidity)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쉴드 캔(270)을 통해 프론트 하우징(210)과 리어 하우징(220) 간의 결합에 대한 강성은 확보될 수 있다.
프론트 하우징(210)의 보스(211)와 쉴드 캔(270)의 보스 체결 홀(271)은 디스플레이(250)의 옆에 위치한다.
또한, 쉴드 캔(270)의 보스(272)와 리어 하우징(220)의 보스 체결 홀(222)은 메인 보드(260)의 아래에 위치한다.
쉴드 캔(270)은 메인 보드(260)의 아래에 배치되고, 쉴드 캔(270)의 보스 체결 홀(271)은 프론트 하우징(210)의 보스(211)까지 연장된다.
윈도우(240), 디스플레이(250) 및 메인 보드(260)는 쉴드 캔(270)과 프론트 하우징(210)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301)에 수용된다.
리어 하우징(220)은 쉴드 캔(270)의 보스 체결 홀(271)까지 연장된 부분(303)을 구성하는데, 휴대용 단말기(200)를 슬림하게 형성하는 경우 이 부분(303)은 생략될 수 있다. 이 부분(303)이 생략된다고 해서, 리어 하우징(220)의 보스 체결 홀(222)의 나사 체결을 위한 두께를 확보하기 어렵지 않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200)는 프론트 하우징(front housing)(310), 리어 하우징(rear housing)(320) 및 리어 커버(330)를 포함한다.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은 결합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는 공간(401)을 형성한다.
리어 커버(330)는 리어 하우징(320)을 덮는다. 프론트 하우징(310)은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을 나타내고, 리어 커버(330)는 휴대용 단말기(200)의 후면을 나타낸다.
프론트 하우징(310)은 개구된 형상으로 휴대용 단말기(200)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은 결합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 방향으로 개방된 용기 형태를 형성한다.
윈도우(340), 디스플레이(350), 메인 보드(360) 및 쉴드 캔(370)은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0)의 결합으로 형성된 공간(312)에 배치된다.
윈도우(340)는 프론트 하우징(310)의 개구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350)는 윈도우(340) 아래에 배치되며, 메인 보드(360)는 디스플레이(350) 아래에 배치되고, 쉴드 캔(370)은 메인 보드(360) 아래에 배치된다.
배터리(380)는 리어 하우징(320)과 리어 커버(330)의 결합으로 형성된 수용 공간(323)에 배치된다.
프론트 하우징(310)의 내측면에는 계단 모양으로 단차(312)가 형성되고, 윈도우(340)의 테두리는 프론트 하우징(310)의 단차(312)에 놓여져 고정된다.
윈도우(340)는 투명하고, 휴대용 단말기(200)의 전면으로 노출되고, 디스플레이(350)의 영상은 윈도우(340)를 통해서 내비친다.
메인 보드(360)는 기본 회로와 다수의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기판으로, 단말기의 실행 환경을 설정하고 그 정보를 유지해 주고 휴대용 단말기가 안정적으로 구동되게 해주며, 단말기의 모든 장치들의 데이터 입출력 교환을 원활하게 한다.
쉴드 캔(370)은 전자파 차폐를 위하여 메인 보드(360)의 회로 및 전자 부품들을 커버링하는 금속체로, 메인 보드(360)에 고정된다.
프론트 하우징(310)은 리어 하우징(320)과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311)를 형성한다. 프론트 하우징(310)의 보스(311)는 나사(390)와 체결되는 나사홀이 형성된 나사체결부(3111)를 구비한다. 이러한 나사체결부(3111)는 금속이고,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해 보스(311) 내에 형성된다.
리어 하우징(320)은 프론트 하우징(310)의 보스(311)와 나사 체결을 위한 보스 체결 홀(321)을 형성한다.
나사(390)는 리어 하우징(320)의 보스 체결 홀(321)을 관통하고, 프론트 하우징(310)의 보스(311)에 체결되며, 프론트 하우징(310)과 리어 하우징(32)은 결속된다.
프론트 하우징(310)의 보스(311)와 리어 하우징(320)의 보스 체결 홀(321)은 디스플레이(350)의 아래 및 메인 보드(360)의 옆에 위치한다.
프론트 하우징(310)의 내측면에는 계단 모양으로 단차(313)가 형성되고, 디스플레이(350)의 테두리는 프론트 하우징(310)의 단차(313)에 놓여져 고정된다. 프론트 하우징(310)의 단차(313)는 보스(311)로 구성되고, 디스플레이(350)는 이러한 보스(311) 위에 배치된다.
프론트 하우징(310)은 내측면에 계단 모양으로 연속하는 단차들(312,313)을 형성하고, 윈도우(340)는 프론트 하우징(310)의 단차들(312,313)를 가릴 수 있는 인쇄부(341)를 더 구성할 수 있다.
리어 하우징(320)의 보스 체결 홀(121)은 소정의 너비(W)와 두께(T)를 가져야하지만, 나사(190)에 의한 체결에서 파단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하우징(320)의 보스 체결 홀(321)은 디스플레이(350)의 옆에 배치되지 않고 디스플레이(250)의 아래에 배치된다. 리어 하우징(320)의 보스 체결 홀(321)을 디스플레이(350) 옆에 배치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의 일환으로 리어 하우징(320)의 폭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라 리어 하우징(320)의 보스 체결 홀(321)을 디스플레이(350)의 아래에 배치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기의 슬림화의 일환으로 리어 하우징(320)의 폭을 줄이더라도, 보스 체결 홀(121)의 너비(W)와 두께(T)는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10 : 프론트 하우징 211 : 보스
21111 : 나사체결부 220 : 리어 하우징
222 : 보스 체결 홀 230 : 리어 커버
240 : 윈도우 250 : 디스플레이
260 : 메인 보드 270 : 쉴드 캔
271 : 보스 체결 홀 272 : 보스
280 : 배터리 291, 292 : 나사
310 : 프론트 하우징 311 : 보스
31111 : 나사체결부 320 : 리어 하우징
321 : 보스 체결 홀 330 : 리어 커버
340 : 윈도우 350 : 디스플레이
360 : 메인 보드 370 : 쉴드 캔
380 : 배터리 390 : 나사

Claims (21)

  1.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결속되며, 전자파를 차폐하는 쉴드 캔; 및
    상기 쉴드 캔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쉴드 캔과 결속되는 리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은,
    상기 쉴드 캔을 통해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쉴드 캔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 요소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 위에 배치되는 메인 보드;
    상기 메인 보드 위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테두리 하면에 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쉴드 캔은 보스 체결용 홀을 형성하며,
    나사는 상기 쉴드 캔의 보스 체결용 홀을 관통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에 체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와 상기 쉴드 캔의 보스 체결용 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옆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테두리 내측면에 계단 모양으로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단차에 구성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보스 위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와 상기 쉴드 캔의 보스 체결용 홀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서로 대향하는 두 테두리들의 가운데에 각각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은 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보스 체결용 홀을 형성하며,
    나사는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홈을 관통하고, 상기 쉴드 캔의 보스에 체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의 보스와 상기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홀은,
    상기 메인 보드 아래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 캔의 보스와 상기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홀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서로 대향하는 두 테두리들의 가운데에 각각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과 리어 커버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 또는 리어 하우징과 스냅 핏을 이용하여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은,
    플라스틱 주물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4. 휴대용 단말기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론트 하우징;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결합하는 리어 하우징; 및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의 공간에 수용되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윈도우, 디스플레이, 메인 보드 및 쉴드 캔을 포함하되,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테두리 내측면에 계단 모양으로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단차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결합하는 부분은 상기 디스플레이 아래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을 결합하는 부분은,
    상기 메인 보드의 옆에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테두리 하면에 보스를 형성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은 보스 체결용 홀을 형성하며,
    나사는 상기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홀을 관통하고,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에 체결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의 보스와 상기 리어 하우징의 보스 체결용 홀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서로 대향하는 두 테두리들의 가운데에 각각 설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은 내측면에 상기 단차에 연속하는 두 번째 단차를 더 형성하고,
    상기 윈도우는 상기 두 번째 단차에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되는 리어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하우징과 리어 커버는 배터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커버는,
    상기 프론트 하우징 또는 리어 하우징과 스냅 핏을 이용하여 결속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21.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하우징과 리어 하우징은,
    플라스틱 주물인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KR1020120102331A 2012-09-14 2012-09-14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KR10196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31A KR101966256B1 (ko) 2012-09-14 2012-09-14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US14/016,449 US9474173B2 (en) 2012-09-14 2013-09-03 Portable terminal
EP13183989.6A EP2709342B1 (en) 2012-09-14 2013-09-11 Shielding layer used to fix housings parts together
CN201310421696.0A CN103687381B (zh) 2012-09-14 2013-09-16 电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331A KR101966256B1 (ko) 2012-09-14 2012-09-14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718A true KR20140035718A (ko) 2014-03-24
KR101966256B1 KR101966256B1 (ko) 2019-04-05

Family

ID=4918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331A KR101966256B1 (ko) 2012-09-14 2012-09-14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74173B2 (ko)
EP (1) EP2709342B1 (ko)
KR (1) KR101966256B1 (ko)
CN (1) CN1036873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79226A (zh) * 2017-01-20 2017-06-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壳体温度的装置和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336A1 (ja) * 2002-12-27 2004-07-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電磁波シールド板、電磁波シールド構造、電子機器
KR20100037852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US7966785B2 (en) * 2007-08-22 2011-06-28 Apple Inc. Laminated display window and device incorpor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4230B (en) * 1996-06-12 2000-04-26 Nec Technologies Mobile phone hand set
JPH10307641A (ja) * 1997-05-07 1998-11-17 Toshiba Corp 電子機器
US6058024A (en) 1997-07-17 2000-05-02 Tektronix, Inc. Electronic instrument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20020085709A1 (en) * 2001-01-02 2002-07-04 Gimmy Hsu Cover for portable phone
KR100742734B1 (ko) 2006-06-26 2007-07-25 엠피티 주식회사 소형 전자기기의 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브라켓의 제조방법및 그에 따른 브라켓
US7834853B2 (en) * 2006-07-24 2010-11-16 Motorola, Inc. Handset keypad
CN101518168B (zh) * 2006-09-22 2011-12-0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外罩壳体和该外罩壳体的制造方法及所使用的玻璃嵌入成形用模具
US8023260B2 (en) * 2007-09-04 2011-09-20 Apple Inc. Assembly of an electronic device
US7558054B1 (en) * 2008-01-03 2009-07-07 Apple Inc. Display window securing system
TW200950691A (en) 2008-04-17 2009-12-01 Laird Technologies Inc EMI shielding slide assemblies for slidably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for providing EMI shielding for board-mounted electronic components
KR101030408B1 (ko) * 2008-08-21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스 보강 장치
JP2010193218A (ja) 2009-02-18 2010-09-02 Kyocera Corp 携帯電子機器
KR20100112390A (ko) * 2009-04-09 2010-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회로 기판의 노이즈 차폐 구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456586B2 (en) * 2009-06-11 2013-06-04 Apple Inc. Portable computer display structures
KR20110011196A (ko) * 2009-07-28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보스 체결 장치
KR101658821B1 (ko) 2009-12-24 201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쉴드 캔
CN102196686A (zh) * 2010-03-12 2011-09-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及其制作方法
CN102202477B (zh) * 2010-03-26 2015-02-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壳体
US8442593B1 (en) * 2012-03-16 2013-05-14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62336A1 (ja) * 2002-12-27 2004-07-2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電磁波シールド板、電磁波シールド構造、電子機器
US7966785B2 (en) * 2007-08-22 2011-06-28 Apple Inc. Laminated display window and device incorporating same
KR20100037852A (ko) * 2008-10-02 2010-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687381B (zh) 2016-08-17
EP2709342B1 (en) 2016-12-14
CN103687381A (zh) 2014-03-26
EP2709342A1 (en) 2014-03-19
US9474173B2 (en) 2016-10-18
KR101966256B1 (ko) 2019-04-05
US20140078710A1 (en) 201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9363B1 (en) Mobile terminal
JP5000243B2 (ja) 電子機器
JP646063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を含む電子装置
US10156866B2 (en)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40294217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aterproofing mobile electronic device
JP5146286B2 (ja) 装置筐体及び携帯端末装置
EP2541311A1 (en) Display device
KR101919795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US9363459B2 (en) Electronic apparatus
JPWO2012115168A1 (ja) 情報端末
US8107259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813692B1 (ko) 휴대 단말기
KR1019662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JP2011109289A (ja) 携帯端末装置
JP5364914B2 (ja) 携帯電子機器
JP4873063B2 (ja) 筐体の補強構造、及び電子機器
JP5057085B2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KR101695989B1 (ko) 휴대용 단말기
JP5686245B2 (ja) 携帯機器
JP5477882B2 (ja) 携帯電子機器
JP3145023U (ja) 携帯端末装置
JP4694518B2 (ja) 携帯電子機器
JP2012164824A (ja) 携帯型電子機器及び内装ユニット
JP5556848B2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KR20110054715A (ko) 모바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