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7852A -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7852A
KR20100037852A KR1020080097172A KR20080097172A KR20100037852A KR 20100037852 A KR20100037852 A KR 20100037852A KR 1020080097172 A KR1020080097172 A KR 1020080097172A KR 20080097172 A KR20080097172 A KR 20080097172A KR 20100037852 A KR20100037852 A KR 20100037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lower case
battery cover
case
portable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7852A/ko
Publication of KR2010003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커버의 체결장치를 일체형의 후크 구조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후크 구조를 통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킴은 물론 배터리 커버를 하부 케이스에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을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장착 고정 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를 개시하며, 이로 인해, 하나의 체결장치로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커버를 모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며, 하나의 체결장치를 통해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커버를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휴대용 전자 장치,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배터리 커버, 체결장치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COUPLING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전자 장치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커버의 체결장치를 일체형의 후크 구조를 통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후크 구조를 통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킴은 물론 배터리 커버를 하부 케이스에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엠피 쓰리 플레이어(mp3 player), 피엠피(PMP)등의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하도록 하는 장치이며,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그 기능을 다기능화되가고 있으며, 그 크기를 소형화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자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등이 설치되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케 이스(11)와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2)와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15)을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13)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체결시키는 케이스 체결부재(14)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상기 배터리 커버(13)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13)를 상기 하부 케이스(12)에서 착탈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 커버 체결부재(16)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구조는 스크류등의 체결장치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과, 후크 구조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방식 및 스크류 등과 후크 구조를 동시에 이용한 방식등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등의 체결장치를 이용한 체결구조는 상기 상부 케이스(11)나 상기 하부 케이스(12) 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측으로 상기 스크류 등의 체결장치(14a)를 체결하기 위한 보스(미도시)들을 설치하고, 상기 보스와 대면되도록 다른 하나의 케이스 측으로 체결 홀(14b)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스에는 상기 체결홀(14b)과 맞물려 스크류등의 체결장치(14a)를 결합시키도록 중앙으로 체결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맞물리게 결합시켜 상기 보스의 상기 체결홈과 상기 체결홀(14b)을 서로 대면되게 맞물리게 한다. 상기 체결홀(14b)을 통해 상기 체결홈으로 상기 스크류등의 체결장치(14a)를 삽입하여 결합 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13)를 착탈시키기 위한 배터리 커버 체결부재(16)가 구비된다.
그 형태는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13)와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양측면으로는 각각 가이드 레일(미도시) 및 가이드 홈(미도시)의 구조를 갖도록 구비하고 그 일단에 각각 후크(16a) 및 상기 후크(16a)에 걸리는 걸림고리(16b)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과 상기 가이드 홈을 맞물려 상기 배터리 커버(13)를 상기 하부 케이스(12)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상기 후크부와 상기 걸림부의 착탈 구조를 통해 착탈 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맞물리게 한다. 상기 보스의 체결홈과 상기 체결 홀(14b)을 통해 상기 체결장치(14a)를 체결시켜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결합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12) 후면으로 배터리 팩(15)을 구비시킨 후, 상기 배터리 커버(13)를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배터리 케이스 체결부재(16)에 맞물리게 장착하면 완성이 된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전자 장치의 조립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기 배터리 커버를 각각 장착해야 하므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조립 공정이 복잡함은 물론 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상기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배터리 커버를 각각 체결하기 위한 각각의 체결구조를 구비해야 하므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조립 공정은 더욱 복잡해 질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한 제조공정이 추가되므로 제조비용 또한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휴대용 전자 장치의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그 두께를 줄여 슬림화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슬림화된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는 하나의 본체를 구성하기 위한 케이스들을 결합시키는 수단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스크류를 이용하여 케이스들을 결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서 상기 스크류를 체결시키도록 구비된 상기 보스의 간격을 넓게 할 경우 케이스와 케이스들 사이에 벌어짐 현상이 나타나거나, 간격을 좁게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체결된 두께를 일정두께 이하로 하는 체결구조의 형성이 불가능하므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슬림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크 구조를 이용한 체결구조를 살펴보면, 기 출원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1-27308(출원일자1999.09.13)호의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후크 구조에 의한 억지 끼움 방식의 체결은 스크류 고정에 의한 체결보다 그 체결력이 약하므로, 외부 충격시 스크류 고정에 의한 체결보다 쉽게 파손되거나 체결이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 내부의 구성물의 파손에 따른 케이스 분리시, 억지 끼움된 후크 구조를 재분리해야 하므로 분리시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분리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구조나, 후크를 이용한 구조에서 그 체결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구조일뿐이며 상기 하부 케이스의 후면에 구비되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착탈 시키기 위한 배터리 착탈 구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써, 조립 공정의 증가는 물론 이로 인한 생산성 저하의 문제점이 있으며, 재료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스크류에 의한 체결없이 하나의 후크 구조만으로 간단하게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를 체결할 수 있게 함은 물론 배터리 커버까지도 상기 하부 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지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 상부 케이스에 구비되는 후크부를 하부 케이스에서 관통 결합되게 함은 물론 돌출되게 구비하여 하부 케이스에서 돌출된 후크부를 배터리 케이스와 착탈결합되게 제공시키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을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장착 고정 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체결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체결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의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부를 관통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배터리 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를 관통한 상기 체결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구속되거나 이탈되어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서 착탈시키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결합부를 관통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와 결합 가능하게 후크 형상의 체결고리로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체결돌기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를 관통한 상기 체결돌기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체결시 클릭감을 제공하는 돌기를 형성하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체결돌기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체결돌기에 의해 결합되는 관통홀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통신 장치의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체결고리에 걸려 구속되거나 걸림을 해제하여 이탈되게 걸림고리로 이루어지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면,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체결고리는 상기 하부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체결고리 상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의 제2결합부를 맞물리게 하여 결합시키면,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돌기에 맞물리면서 클릭감이 제공됨과 아 울러 상기 하부 케이스에 장착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를 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 따르면,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도록 구비되는 체결부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제1결합부와 결합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제1결합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게 하여 배터리 커버의 제2결합부와도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체결장치로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커버를 모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체결장치를 통해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커버를 체결할 수 있게 구성하여 조립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스크류 등의 체결장치를 사용하지 않게 됨은 물론 하나의 체결 장치를 통해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커버를 체결할 수 있게 되어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상 부 케이스(11)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2) 및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15)을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13) 및 체결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장치(100)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장착 고정 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커버(13)를 상기 하부 케이스(12)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장치(100)는 체결부(110)와 제1결합부(120) 및 제2결합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110)는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1)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체결부(110)와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부(110)를 관통시키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110)의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기 제1결합부(120)를 관통한 상기 체결부(110)의 일단과 결합되어 구속되거나 이탈되어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커버(13)를 상기 하부 케이스(12)에서 착탈시키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13)에 구비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110)는 체결돌기(111)와 체결고리(1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돌기(111)는 상기 제1결합부(120)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결합부(120)를 관통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11)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12) 및 상기 배터리 커버(13)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고리(112)는 상기 배터리 커버(13)와 결합 가능하게 후크 형상을 갖도록 상기 체결돌기(111)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돌기(111)의 소정의 위치에는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113)는 상기 배터리 커버(13)의 체결시 클릭감을 제공하도록 는 상기 제1결합부(120)를 관통한 상기 체결돌기(111)의 일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체결돌기(111)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체결돌기(111)에 의해 결합되는 관통홀(12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기 체결고리(112)에 걸려 구속되거나 걸림을 해제하여 이탈되도록 걸림고리(130)로 이루어져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결합시키면, 상기 체결돌기(111)는 상기 관통홀(120)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체결고리(112)는 상기 하부 케이스(12)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또한, 돌출된 상기 체결고리(112) 상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13)의 제2결합부(130)를 맞물리게 하여 결합시키면, 상기 배터리 커버(13)는 상기 돌기(113)에 맞물리면서 클릭감이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장착되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 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통신 장치의 상기 상부 케이스(11)에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를 동시에 체결 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체결돌기(111)가 돌출된다. 상기 체결돌기(111)는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양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2)에는 상기 체결돌기(111)와 맞물리는 위치로 상기 체결돌기(111)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외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1결합부(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결합부(120)는 상기 체결돌기(111)를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관통홀(120)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120)은 상기 체결돌기(111)와 맞물려 결합된다.
상기 체결돌기(111)의 일단에는 후크 형상의 상기 체결고리(112)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고리(112)는 후술하는 상기 배터리 커버(13)의 상기 제2결합부(130)에 걸려 구속된다.
상기 제2결합부(130)는 상기 체결고리(112)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 커버(13)에 구비되고, 상기 제2결합부(130)는 후크 형상의 상기 체결고리(112)에 맞물려 걸리거나 이탈되어 걸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체결고리(112)의 역 후크 형상의 걸림고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고리(112)가 상기 걸림고리(130)에 맞물릴때, 상기 체결고리(112)는 상기 체결돌기(111)에 돌출 형성된 상기 돌기(113) 사이로 걸리게 되면서 상기 배터리 커버(13)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 후면으로 상기 하부 케이스(12)를 맞물리게 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상기 체결돌기(111)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상기 관통홀(120)을 통해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1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하부 케이스(12)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고정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팩(15)을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장착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13)로 커버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111)는 상기 배터리 커버(13)의 상기 걸림고리(130)와 체결 가능하게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배터리 커버(13)를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장착하면, 상기 걸림고리(130)는 상기 체결고리(112)에 걸린다. 이때, 아울러 상기 체결돌기(111)의 일측으로 돌출형성된 상기 돌기(113)는 상기 체결고리(112)에서 소정 길이 이격되게 위치되므로, 상기 걸림고리(130)가 상기 체결고리(112)에 걸릴때, 상기 체결고리(112)와 상기 돌기(113) 사이에 걸리게 되면서 장착체결됨과 아울러 체결되는 클릭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하우징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부(110)를 통해 상기 하부 케이스(12)와 상기 배터리 케이스 각각의 상기 제1결합부(120) 및 상기 제2결합부(130)로 체결되게 하므로써, 하나의 체결장치(100)를 통해 상부 케이스(11)에 하부 케이스(12) 및 배터리 커버(13)까지 장착 및 착탈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13)를 상기 하부 케이스(12)에 장착시, 상기 체결고리(112)에 상기 걸림고리(130)가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 및 배터리 커버(13)의 유기적인 체결구조를 통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함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에서는 배터리 팩(15)을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배터리 팩(15)과 배터리 커버(13)를 일체형으로 구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체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를 체결시키는 체결 구조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맞물렸을 때 체결부재가 제1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및 배터리 커버가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와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의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Claims (7)

  1.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되는 배터리 팩을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장착 고정 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서 착탈 가능하게 하는 체결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장치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케이스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체결부;
    상기 하부 케이스에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체결부의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체결부와 체결되거나 상기 체결부를 관통시키는 제1결합부; 및
    상기 배터리 커버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를 관통한 상기 체결부의 일단과 결합되어 구속되거나 이탈되어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배터리 커버를 상기 하부 케이스에서 착탈시키는 제2결합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체결됨과 아울러 상기 제1결합부를 관통하는 체결돌기와,
    상기 체결돌기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배터리 커버와 결합 가능하게 후크 형상의 체결고리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에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부를 관통한 상기 체결돌기의 일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체결시 클릭감을 제공하는 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상기 체결돌기를 관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체결돌기에 의해 결합되는 관통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체결고리에 걸려 구속되거나 걸림을 해제하여 이탈되게 걸림고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키면,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체결고리(112)는 상기 하부 케이스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체결고리 상으로 상기 배터리 커버의 제2결합부를 맞물리게 하여 결합시키면, 상기 배터리 커버는 상기 돌기에 맞물리면서 클릭감이 제공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 케이스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장치.
KR1020080097172A 2008-10-02 2008-10-02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KR20100037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172A KR20100037852A (ko) 2008-10-02 2008-10-02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172A KR20100037852A (ko) 2008-10-02 2008-10-02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852A true KR20100037852A (ko) 2010-04-12

Family

ID=4221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172A KR20100037852A (ko) 2008-10-02 2008-10-02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378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718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WO2021162247A1 (ko) * 2020-02-13 2021-08-19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자 제어 장치
WO2023286996A1 (ko) * 2021-07-14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커버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5718A (ko) * 2012-09-14 201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하우징 결합 구조
WO2021162247A1 (ko) * 2020-02-13 2021-08-19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자 제어 장치
KR20210103153A (ko) * 2020-02-13 2021-08-23 엘에스일렉트릭(주) 전자 제어 장치
US11895784B2 (en) 2020-02-13 2024-02-06 Ls Electric Co., Ltd.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WO2023286996A1 (ko) * 2021-07-14 2023-0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커버 체결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9914B2 (ja) 電子制御装置
EP1631081A2 (en) Liquid crystal television including locking means for cover member
JP2007312352A (ja) バッテリカバーロック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移動通信端末機
MXPA05001809A (es) Un dispositivo electronico, provisto con un soporte de correa oculto.
KR20100037852A (ko) 휴대용 전자 장치의 체결 장치
JP4722235B2 (ja) 樹脂部品固定構造
JP2006210191A (ja) 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子機器
US809518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keypad module
CN109643774B (zh) 无人机及其电池组件、电池外壳
JP2009042537A (ja) 薄型表示装置
EP2120424B1 (en) Strap attaching section of folding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trap attaching section
US8488821B2 (en) Snap-on fastening device for hearing device
CN220423311U (zh) 可穿戴设备及其连接带
JP2011097414A (ja) 筐体の補強構造、及び電子機器
CN215014133U (zh) 穿戴设备
CN215255326U (zh) 一种机械模块与电子模块分离的智能锁
CN216930073U (zh) 防脱落保护壳
JPH07245088A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の着脱機構
CN215729533U (zh) 显示设备
JP2001332873A (ja) 筐体嵌合構造
KR100617191B1 (ko) 은폐형 슬라이드 결합 구조를 갖는 캐비넷 및 백커버일체형 모니터 케이스
US20140376198A1 (en) Readily detachable panel device
KR100595245B1 (ko) 무나사 체결 구조를 갖는 캐비넷 및 백커버 일체형 모니터케이스
JP2004199892A (ja) コネクタ用カバーの着脱構造
KR20140005745U (ko) 휴대폰 보호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