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652A -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652A
KR20140035652A KR1020120102157A KR20120102157A KR20140035652A KR 20140035652 A KR20140035652 A KR 20140035652A KR 1020120102157 A KR1020120102157 A KR 1020120102157A KR 20120102157 A KR20120102157 A KR 20120102157A KR 20140035652 A KR20140035652 A KR 20140035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interface
printed circuit
via portion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재
김진수
남효승
서수정
곽준호
박태석
류창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5652A/ko
Publication of KR20140035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0Forming 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3/4038Through-connections; Vertical interconnect access [VI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5Conductive through-holes or vias
    • H05K2201/09563Metal filled vi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827Tapered, e.g. tapered hole, via or gro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아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아부와 상기 도전층의 계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도전층의 하면까지의 최단 길이는 상기 제1 도전층의 높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 회로 기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rinted circuit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품의 소형화, 박판화, 고밀도화, 패키지(package)화 추세에 따라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역시 미세패턴(fine pattern)화, 소형화 및 패키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인쇄회로기판의 미세패턴 형성, 신뢰성 및 설계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원자재의 변경과 함께 회로의 층 구성을 복합화하는 구조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요구에 대응하여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에서 블라인드 비아가 사용되고 있다.
이 때, 블라인드 비아와 패드 사이의 계면에는 일반적으로 물리적, 열적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그리고 상기 스트레스는 블라인드 비아와 패드 사이의 계면에 크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크랙은 전기 저항의 증가 또는 오픈 서킷(open circuit)과 같은 고장을 초래하므로 인쇄 회로 기판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본공개특허 제2006-351902호
따라서, 본 명세서는 비아와 패드 사이 계면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명세서는 비아와 패드 사이 계면의 크랙 전파를 억제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은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아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아부와 상기 도전층의 계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도전층의 하면까지의 최단 길이는 상기 제1 도전층의 높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비아부와 상기 도전층의 계면은 곡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비아부와 상기 도전층의 계면은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일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비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은 오목부를 구비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비아부, 상기 제1 비아부와 일체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제2 비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아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2 비아부의 최소 폭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단면은 곡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일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상기 비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은 절연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에 테이퍼 형상의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오목부에 제1 비아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아홀에 제2 비아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비아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2 비아부의 최소 폭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은 상기 비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해, 비아와 패드 사이 계면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시에 의해, 비아와 패드 사이 계면의 크랙 전파를 억제하는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전층과 비아의 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전층과 비아와의 계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절연층(110)을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110)은 인쇄 회로 기판 제조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재료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절연층(110)은 수지층 내부에 강화재가 함침된 구조일 수 있다. 수지층은 절연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 강화재로는 유리 섬유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층(110)의 일 면에 제1 도전층(12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도전층(120)은 구리 등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도전층(120)은 3um, 6um, 9um, 12um, 18um, 35um 등의 동박(Copper foil)일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절연층(110)에 인쇄회로기판의 층간 연결을 위한 비아 홀(h1)을 형성할 수 있다.
비아 홀(h1)의 형성은 기계적 드릴링 또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는 YAG 레이저 또는 CO2 레이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비아 홀(h1)의 단면 형상은 테이퍼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절연층(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에 이를때까지 상기 비아 홀(h1)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도 1(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도전층(120)에 인쇄회로기판의 층간 연결을 위한 오목부(h2)를 형성할 수 있다.
오목부(h2)의 형성은 화학적 에칭(chemical etching)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도전층(120)에 화학적 에칭을 이용하여 등방성 식각을 하면 도 1(c)와 같은 오목부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h2)의 형상은 제1 도전층(120)이 오목하게 파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오목부의 단면 형상은 곡면 형상, 사각형상,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오목부(h2)의 최대 폭(w2)은 상기 비아 홀(h1)의 최소 폭(w1)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오목부(h2) 및 비아 홀(h1)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아부가 후크(hook) 형상을 띨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상기 오목부(h2)를 충진하여 제1 도전성 비아(150-1)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오목부(h2) 내부를 모두 채우는 필 도금(fill plating)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오목부(h2) 내부가 플러깅 잉크, 도전성 페이스트, 유전 물질 등으로 채워질 수 있다.
또, 상기 비아 홀(h1)을 충진하여 제2 도전성 비아(15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성 비아(150-1)와 상기 제2 도전성 비아(150-2)는 동일한 재료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도전성 비아(150-1)와 제2 도전성 비아(150-2)의 형성 과정을 각각 설명하였지만, 상기 제1 도전성 비아(150-1)와 상기 제2 도전성 비아(150-2)는 일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체화된 상기 제1 도전성 비아(150-1) 및 상기 제2 도전성 비아(150-2)를 비아부(150)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상기 비아부(1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층(16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하여, 제1 도전층(120)과 제2 도전층(16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비아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전층과 비아부의 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은 직선 형태를 띤다. 즉, 상기 비아부(150)의 일 단면과 상기 도전층(120)의 일 단면은 평행하게 접속한다.
기본적으로 도전층(120)과 비아부(150)가 접하는 경우, 그 계면에 열적, 물리적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특히, 상기 도전층(120)과 상기 비아부(150)가 평행한 상태에서 접하는 계면(10)은 열적, 물리적 스트레스가 심하게 가해지는 지점이다. 따라서 상기 계면(10)에는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또, 계면(10)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크랙은 계면(10)에 연속되는 방향(A1, A2)으로 전파되기 쉽다. 즉, 도전층과 비아의 계면이 직선 형태를 띠는 경우, 크랙이 용이하게 전파될 수 있다.
도 2(b)는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이 직선 형태를 띠는 경우에 발생하는 크랙(A)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전층과 비아부와의 계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1)은 곡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120)의 오목부가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1)이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1)으로부터 상기 도전층의 하면까지의 최단 길이(C1)는 상기 도전층의 높이(C)보다 짧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1)이 도 2에 도시된 기존의 계면(10)보다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물리적, 열적 스트레스를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위치에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계면에서의 크랙 생성이 억제될 수 있다.
또,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1)이 곡면 형태이기 때문에 크랙의 전파가 억제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전층과 비아의 계면이 직선 형태를 띠는 경우, 크랙이 도전층(120)을 따라 용이하게 전파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크랙이 도전층(120)을 따라 전파되기에 용이하지 않다.
한편, 상기 제1 비아부(150-1)의 최대 폭(w2)은 상기 제2 비아부(150-2)의 최소 폭(w1)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1 비아부(150-1) 및 상기 제2 비아부(150-2)에 의하여 형성되는 비아부가 후크(hook) 형상을 띨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비아부(15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비아부(150)와 절연부(110) 간에는 기존의 화학적인 결합 이외에 물리적 결합이 추가적으로 발생한다. 왜냐하면, 상기 비아부(150)와 상기 절연부(110) 간에 앵커리지 효과(anchorage effect)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면(10-1)에서의 크랙 발생이 더욱 억제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2)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120)의 오목부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2)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2)으로부터 상기 도전층의 하면까지의 최단 길이(C1)는 상기 도전층의 높이(C)보다 짧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비아부(150-1)의 최대 폭(w2)은 상기 제2 비아부(150-2)의 최소 폭(w1)보다 길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3)은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층(120)의 오목부가 각뿔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3)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도전층(120)과 비아부(150)의 계면(10-3)으로부터 상기 도전층의 하면까지의 최단 길이(C1)는 상기 도전층의 높이(C)보다 짧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비아부(150-1)의 최대 폭(w2)은 상기 제2 비아부(150-2)의 최소 폭(w1)보다 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할 때, 비아부(150)와 도전층(120) 간 계면의 크랙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비아부(150)와 도전층(120) 간 계면에 발생하는 크랙의 전파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할 때, 신뢰성 있는 인쇄 회로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10 : 절연층 120 : 제1 도전층
150 : 비아부 160 : 제2 도전층

Claims (11)

  1. 제1 도전층; 및
    상기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비아부;를 포함하며,
    상기 비아부와 상기 도전층의 계면으로부터 상기 제1 도전층의 하면까지의 최단 길이는 상기 제1 도전층의 높이보다 짧은 인쇄 회로 기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부와 상기 도전층의 계면은 곡면 형태인 인쇄 회로 기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부와 상기 도전층의 계면은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인쇄 회로 기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층을 더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5. 오목부를 구비한 제1 도전층;
    상기 제1 도전층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오목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제1 비아부; 및
    상기 제1 비아부와 일체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의 제2 비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비아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2 비아부의 최소 폭보다 긴 인쇄 회로 기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은 곡면 형태인 인쇄 회로 기판.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단면은 사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인쇄 회로 기판.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층을 더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
  9. 절연층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 상에 제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에 테이퍼 형상의 비아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도전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오목부에 제1 비아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아홀에 제2 비아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아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2 비아부의 최소 폭보다 긴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제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120102157A 2012-09-14 2012-09-14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35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157A KR20140035652A (ko) 2012-09-14 2012-09-14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157A KR20140035652A (ko) 2012-09-14 2012-09-14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652A true KR20140035652A (ko) 2014-03-24

Family

ID=50645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157A KR20140035652A (ko) 2012-09-14 2012-09-14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6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1485B2 (en) 2018-09-13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1485B2 (en) 2018-09-13 2021-05-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US11476215B2 (en) 2018-09-13 2022-10-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435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2098616A1 (ja) 部品内蔵配線基板
JP2016219478A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216506B1 (ko) 방열부재 및 이를 구비한 인쇄회로기판
JP2009147165A (ja) 半導体装置
KR102281459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5202579B2 (ja) 電子素子内蔵型印刷回路基板の製造方法
JP6721143B2 (ja) プリント回路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454681B2 (ja) モジュール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65237B2 (ja) 配線基板内蔵用コンデンサ及び配線基板
JP2014120771A (ja) 電子部品組込み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1277591B (zh) 内嵌式电路板及其制造方法
US20110042131A1 (en) Ceramic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05403B1 (ko) 전자소자 내장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5835282B2 (ja) 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プローブカードの製造方法並びに多層配線基板およびプローブカード
KR20090030139A (ko) 다층 인쇄회로기판
KR20140035652A (ko) 인쇄 회로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83874B1 (ko) 인쇄회로기판
WO2014181509A1 (ja) 多層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電子装置の製造方法
JP6011472B2 (ja) 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2007173627A (ja) 配線基板内蔵用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及び配線基板内蔵用コンデンサ
KR102149797B1 (ko)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2017076763A (ja)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54966B1 (ko) 인쇄회로기판 제조 방법
KR20210054215A (ko) 하이브리드 다층 배선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프로브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