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216A -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216A
KR20140035216A KR1020120101828A KR20120101828A KR20140035216A KR 20140035216 A KR20140035216 A KR 20140035216A KR 1020120101828 A KR1020120101828 A KR 1020120101828A KR 20120101828 A KR20120101828 A KR 20120101828A KR 20140035216 A KR20140035216 A KR 20140035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able frame
skateboard
movable
tr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8904B1 (ko
Inventor
김민석
Original Assignee
김민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석 filed Critical 김민석
Priority to KR102012010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9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35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2Wheels for roller skat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전,후방 발판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전,후방발판(61,62)을 시소운동시켜서 가동프레임을 폈다 오무렸다 함으로써 방향성캐스터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켜 보드를 전진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트라이 스케이트보드는 일측 저면 경사면에 방향성캐스트가 부착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과는 회전 가능하게 핀결속되고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져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폈다 오무렸다를 대칭적으로 동작하고, 끝단 하부 경사면에는 방향성캐스트(50)가 형성되는 가동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20) 과 핀 결속되어져 상하 시소운동을 할수있도록 운전자가 발을 얹을수 있도록 한쌍의 평평한 발판으로 구성되는 전,후발판(61,62)과: 상기 전,후 발판(61.62)의 상,하 시소운동을 수평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링크절(42)에 의해 상기 가동프레임(30)을 오므렸다 폈다 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40): 지지프레임(20) 및 가동프레임(30) 하부 경사면에 각각 한세트씩 총3세트가 형성되는 방향성캐스터(50): 로 구성되어져 전,후 발판(61,62)의 시소운동만으로 후방의 양쪽 가동프레임(30)을 폈다 오무렸다를 반복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라이 스케이트보드{tri skate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의 전,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전,후방 발판에 발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체중을 교대로 옮겨 시소운동 반복하여 후방발판 저면부에 위치하는 한쌍의 가동프레임을 폈다 오무렸다 함으로써 추진력을 발생시켜 보드를 전진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3세트의 방향성캐스터로 구성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스케이트보드는 가늘고 긴 널빤지의 저면 전후에 4개의 휠을 달아 달릴 수 있도록 한 놀이기구로, 한 발은 널빤지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땅을 차거나 두 발을 널빤지에 올려놓고 그 중 한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여 추진력을 얻어 달리는 놀이기구이다.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종래의 스케이트보드(10)는 상면에 사용자가 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되 양단이 상향으로 절곡된 판상의 발판부재(12)와, 판부재(120)의 저면 전후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부재(14)와, 중앙부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샤프트(16)와, 상기 샤프트(16)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휠(18f, 18r)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4륜스케이트보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스케이트보드(10)는, 사용자가 발판부재(12)의 상 면에 한 발을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차서 추진력을 얻은 후, 어느 정도 속도가 붙으면 두 발을 모두 발판부재(12)에 올려놓고 주행을 하게된다.
그러나 종래의 4륜 스케이트보드(10)는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한 발로 땅을 차거나 한 발을 지그재그로 움직여야 하므로 동작이 매우 어렵고 힘이 많이 들며, 중심을 잡기도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초보자의 경우에는 더욱더 스케이트보드(10)를 손쉽게 즐길 수 없어 쉽게 싫증을 내게 되는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전,후 각각 2개씩 4개의 휠로 구성되어져 주행시 바닥상태 또는 동작상태에 따라 3개의 휠이 바닥에 닿고 나머지 한개는 바닥에서 이격되어 주행하다가 바닥에 때때로 닿기 때문에 많은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휠의 각각에서 발생하는 지면과의 접촉저항이 휠의 수량만큼 증가하게 되어 속도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전,후발판의 저면에 각각 한개씩의 방향성캐스트를 경사면에 형성하고, 운전자는 전,후보드에 각각 한쪽발을 올려서 비틀림을 주는 동작에 의해 지그재그 형상으로 동작시켜 추진력을 발생시켜 앞으로 나아가는 2륜스케이트보드(일명"에스보드")가 개발되어 많은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보드는 앞뒤로 각각 한세트씩 2세트의 방향성캐스터에 의해 운전하게 되므로 안전성이 없어서 탑승상태에서는 정지하여 있을수 없게 되어 계속적으로 비틀림 운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쉽게 피로하게 될뿐 아니라, 중심을 잡기가 힘이 들어 쉽게 싫증이 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 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두개의 발판을 교대로 누르는 시소운동만으로 출발 및 전진을 할 수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보드를 사행운동없이 직진으로 전진할수 있도록 함으로써 좁은공간에서도 보드를 즐길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3개의 방향성캐스트로 구성되어져 있어 소음 및 지면과의 접촉저항을 줄일수 있고, 보드의 중심을 잡기가 쉬워 누구나 쉽게 즐길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라이 스케이트보드는
일측 저면 경사면에 방향성캐스트가 부착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30) 과는 회전 가능하게 핀결속되고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져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폈다 오무렸다를 대칭으로 동작하고, 끝단 하부 경사면에는 방향성캐스트(50)가 형성되는 가동프레임(30): 상기 지지프레임(20) 과는 핀(64)에 의해 핀 결속되어져 상하 시소운동을 할수있도록 구성되고, 운전자가 발을 얹을수 있도록 한쌍의 평평한 발판으로 구성되는 전,후발판(61,62)과: 상기 전,후 발판(61,62)의 상,하 시소운동을 수평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링크절(42)에 의해 상기 가동프레임(30)을 오므렸다 폈다 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40): 으로 구성되어져 전,후 발판(61,62 시소운동만으로 후방의 양쪽 가동프레임(30)을 폈다 오무렸다를 반복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살펴본 본 발명의 트라이 스케이트보드는 사용자가 전,후 발판에 한쪽발을 각각 올려서 상하로 시소운동을 함으로써 정지상태에서의 출발 및 전진을 할수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평행으로 설치되는 한쌍의 가동프레임(30)을 대칭적으로 오무렸다 폈다를 반복하여 후륜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여 직진하기 때문에 사행운동이 필요없어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할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3개의 바퀴에 의해 안정적으로 가동되게 되므로, 남녀노소 구별없이 누구나 쉽게 동작상태를 익힐수 있을뿐 아니라 안전하게 스케이트 보드를 즐길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4륜스케이트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트라이스케이트보드를 일부 단면 상태에서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트라이스케이트보드를 일부 단면 상태에서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2의 A-A 에서 본 단면 상세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도.
도 6 은 전방발판을 눌렀을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로서,
좌도면은 정면상태를, 우도면은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전,후방 발판이 중립에 있을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로서, 좌 도면은 정면상태를, 우도면은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 한 것이다.
도 8 은 후방발판을 눌렀을때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로서,
좌도면은 정면상태를, 우도면은 저면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동작설명도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20)은 진행방향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으로써, 일측 저면의 경사면에는 방향성캐스터(50)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지지브라켓트(21)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전,후발판(61,62)을 지지할수 있는 지지축(22)이 수평으로 설치되게 된다.
상기 지지브라켓트(21)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는 가동프레임(30)이 수직으로 형성되는 힌지핀(64)에 의해 결속 되어져 좌우 회동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써, 상하로 나란하게 이격되어 형성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되며,
전,후발판(61,62)을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축(22)은 상기 가동프레임(20)의 상부에 수평되게 고정설치되고, 지지축(22) 중앙에는 힌지핀(64)이 결속될수 있도록 구멍이 관통 형성되게 되며, 전,후발판(61,62)이 상하시소운동을 할때 방해을 받지 않도록 상기 지지브라켓트(21)의 폭보다 약간 더크게 형성된다.
상기 가동프레임(30)은 진행방향의 후방에 위치하여 전,후발판(61,62)의 시소동작과 연동하여 오무렸다 펼쳤다를 반복하여 추진력을 발생하는 장치로서,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20) 타측에 형성되는 지지브라켓트(21)의 지지판내에 삽입되어져 수직으로 형성되는 힌지핀(64)에 의해 축결속 되고, 타측은 저면 경사면에 각각 방향성캐스터(50)가 장착되게 된다.
상기 전,후발판(61,62)은 스케이트보드의 전,후방에 위치하여 운전자가 발을 얹고 체중을 지지하는 한편 전,후발판(61,62)으로 체중을 옮기는 동작에 의해 시소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전.후 발판(61,62)은 발을 얹을수 있도록 평평한 판으로 각각 구성되고, 측부에 형성되는 브라켓트(63)에 의해 전.후발판(61,62)은 하나의 발판으로 연결 구성되며, 브라켓트(63)는 하부로 길게 돌출되게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전.후발판(61.62)은 측부에 형성되는 브라켓트(63)와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축(22)과는 힌지핀(64)에 의해 핀 결속되어 제한된 범위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부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진 브라켓트(63)의 돌출부는 아래에서 별도 설명되는 동력전달수단(40)의 가동축(41)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40)은 상기 전.후 발판(61,62)의 시소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가동프레임(20)을 제한된 범위내에서 대칭적으로 벌렸다 오무렸다 할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첨부도면 도2 내지 도3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한쌍의 가동프레임(30) 내측에는 각각 링크절(4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각각의 링크절(42)은 일측이 고정프레임(20)내에 삽입되어져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안내축(43)의 타측과 연결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안내축(43)은 가동축(41)의 일측과 연결되고, 가동축(41)의 타측은 전,후방발판(61,62)의 브라켓트(63) 돌출부와 연결 구성되어져 발판을 밟게되면 가동축(41)을 움직이게 되고 가동축(41)은 안내축(43)을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링크절(42)을 움직여서 가동프레임(30)을 폈다 오무렸다를 할수 있도록 구성된다.
첨부도면 5는 동력전달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상기 가동프레임(30)의 회전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동프레임기어부(31)와:
양측면으로는 래크용 기어(45)가 형성되어져 상기 가동프레임기어부(31)와 치결속되고, 일측은 지지프레임(20)에 내에 삽입되어져 피스톤 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가동축(30)과 연결 구성되는 래크(44)와: 일측은 상기 래크(44)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트(63) 하부 돌출부와 연결되는 가동축(41):으로 구성되어져 전후발판(61,62)이 상하 시소운동을 할때 래크부(44)를 전후 이동시켜 가동프레임(30)을 폈다 오무렸다 할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상기 방향성 캐스터(50)는 지지프레임(20) 및 가동프레임(30)의 하부 경사면에 각각 한개씩 취부되어 총 3개가 부착되게 되며, 경사면은 후부가 상방향으로 경사되게 형성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트라이 스케이트 보드의 동작상태를 첨부도면 도7내지 도9 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별첨도면은 도면상 좌측이 전방, 우측이 후방으로 표시되어 있다.
먼저 운전자가 도7에서와 같이 전,후발판(61,62)에 발을 얹고 전방발판(61)에 화살표와 같이 체중을 가하게 되면, 발판은 힌지핀(6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전방발판(61)은 아래로 내려오고, 후방발판(62)은 상부로 올라가게 된다.
이때, 아래로 길게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트(63)의 하부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브라켓트(63) 하부 끝단에 연결 구성되는 가동축(41)을 우방향으로 밀게 되므로, 가동축(41)과 연결 구성되는 안내축(43), 안내축(43)과 연결 구성되는 링크절(42)도 동일하게 우방향으로 후퇴시키게 되어 가동프레임(30)은 오무져 지게 한다.
만약 이와는 반대로 별첨도면 9와 같이 후방발판(62)을 화살표와 같이 누르게 되면 상기와는 반대로 브라켓트(63)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축(41)을 당기게 되어 링크절(42)도 당기게 되므로 가동프레임(30)은 벌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7 내지 도9 과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가동프레임(30)을 버렸다 오무렸다 를 반복할수 있게 되는데, 이때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성 캐스트(50)에 의해 추진력을 발생시켜 앞으로 전진할수 있게 된다.
추진력 발생원리는 첨부도면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앞서 설명한바와 같이 전,후방발판(61,62)을 교대로 반복해서 누르게 되면 가동프레임(30)이 오무렸다 펴졌다를 반복하게 된다.
이때 가동프레임(30) 하부 경사면에 고정 취부되어 있는 방향성캐스터(50)는 경사면에 의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나아가게 되는데 그것은 좌 또는 우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힘과 직진 할려는 힘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어 방향성캐스터(50)는 두개의 힘이 합성되는 방향 즉,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일 실시예를 들어 가동프레임(30)을 오무리게 될경우를 살펴보면,
우방향에 있는 방향성캐스터(50)는 중심으로 이동할려는 힘과 전방으로 직진할려는 힘이 동시에 발생하게 되어 중심쪽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진행하게 되며, 좌방향에 있는 방향성캐스터(50)는 상기와는 좌우 대칭되게 경사지게 진행하게 된다.
이와같이 추진 방향은 동일하고 좌우로는 방향이 반대로 동작하는 방향성캐스터(50)는 힘의 분력에 의해 방향이 반대인 힘은 상쇄되어 사라지고,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만이 남아 합쳐져서 도9 에서 보는바와 같이 좌,우 대칭으로 사행궤적 (90) 을 그리면서 추진력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방향전환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좌측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될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전,후발판(61,62)에 발을 각각 얹고 후방발판(62)에 체중을 실은채로 전방발판(61)을 좌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프레임(20) 저면에 있는 방향성캐스트(50)는 좌로 이동하려는 힘과 앞으로 나아가려는 힘이 합쳐져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진행하게 되므로 좌로 이동하려는 힘의 크기에 따라 비례하여 방향전환을 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즉, 회전반경을 작게하여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때는 큰힘으로 전방발판(61)을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주면 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와는 반대로 우측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때는 상기와는 반대로 후방발판(12)에 체중을 실은채로 전방발판(61)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방향전환을 할수가 있게 된다.
20: 지지프레임 21: 지지브라켓트 22: 지지축
30: 가동프레임 31:가동프레임기어부
40: 동력전달수단 41: 가동축
42 : 링크절 43: 안내축
44: 래크 45:래크용기어
50: 방향성캐스트
61 : 전방발판 62: 후방발판
63 :브라켓트 64: 힌지축
90 : 사행 궤적

Claims (3)

  1. 추진방향의 전방에 위치하여 운전자의 무게를 지지할수 있도록 구성되고, 하부경사면에는 방향성캐스트(50)가 부착되는 하부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과는 회전 가능하게 핀 결속 되고, 하부 경사면에 방향성 캐스트(50)가 부착되며,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는 가동프레임 (30):
    상기 지지프레임(20) 과는 핀(64)에 의해 핀 결속되어져 운전자가 발을 얹고 상하 시소운동을 할수있도록 구성되는 전,후발판(61,62)과:
    상기 전,후 발판(61,62)의 브라켓트(63) 돌출부와 상기 가동프레임(30)을 가동 축(41)에 의해 연결 구성되어져 발판의 상,하 시소운동을 수평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가동프레임(30)을 오므렸다 폈다 할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력전달수단(40): 지지프레임(20) 및 가동프레임(30) 하부 경사면에 각각 형성되는 방향성캐스터(50): 로 구성되어져 전,후 발판(61,62)의 시소운동만으로 후방의 양쪽 가동프레임(30)을 폈다 오무렸다를 반복하여 추진력을 발생시킬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 스케이트 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
    동력전달수단(40)은 상기 가동프레임(3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형성되는 링크절(42), 일측은 상기 링크절(42)과 연결되고 타측은 전,후발판(61,62)의 브라켓트 하부 돌출부와 연결 구성되는 가동축(42):으로 구성되어져 브라켓트(63)의 왕복 회전운동에 의해 가동축(42)을 전,후로 이동시켜 링크절(42)에 의해 가동프레임(30)을 폈다 오무폈다 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 스케이트 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동력전달수단(40)은 상기 가동프레임(30)의 회전연결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가동프레임기어부(31):과, 일측은 지지프레임(20)에 삽입되어져 피스톤 운동을 할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측은 양측면으로 래크용기어(45)가 형성되어져 가동프레임(30)에 형성되는 가동프레임기어부(31)와 치결속되는 래크(44): 일측은 상기 래크용기어(44)와 결속되고 타측은 상기 브라켓트 하부 돌출부와 연결되는 가동축(42):으로 구성되어져 전,후발판(61,62)이 상하 시소운동을 할때 래크(44)를 전후 이동시켜 가동프레임(30)을 폈다 오무렸다 할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라이 스케이트 보드.




KR1020120101828A 2012-09-13 2012-09-13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KR101438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828A KR101438904B1 (ko) 2012-09-13 2012-09-13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828A KR101438904B1 (ko) 2012-09-13 2012-09-13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216A true KR20140035216A (ko) 2014-03-21
KR101438904B1 KR101438904B1 (ko) 2014-09-15

Family

ID=5064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828A KR101438904B1 (ko) 2012-09-13 2012-09-13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9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270A (zh) * 2017-03-16 2018-10-09 深圳乐行天下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四轮滑板
CN109568921A (zh) * 2018-11-28 2019-04-05 徐州蓝湖信息科技有限公司 摇摆板
US20210171132A1 (en) * 2019-12-06 2021-06-10 James Matthew Underwood Stand up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88A (ko) 2016-11-30 2018-06-08 박철민 트라이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7383B2 (ja) 2001-03-01 2005-05-11 ジェイディジャパン株式会社 三輪スケータ
JP2012013809A (ja) 2010-06-29 2012-01-19 Sharp Corp カメラ装置およびそのcaf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可読記憶媒体、電子情報機器
KR20120069049A (ko) * 2010-12-20 2012-06-28 이용재 소각식 이동 화장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22270A (zh) * 2017-03-16 2018-10-09 深圳乐行天下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四轮滑板
CN109568921A (zh) * 2018-11-28 2019-04-05 徐州蓝湖信息科技有限公司 摇摆板
CN109568921B (zh) * 2018-11-28 2024-04-16 徐州蓝湖信息科技有限公司 摇摆板
US20210171132A1 (en) * 2019-12-06 2021-06-10 James Matthew Underwood Stand up vehicle
US11970223B2 (en) * 2019-12-06 2024-04-30 James Matthew Underwood Stand up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8904B1 (ko) 201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288432B2 (en) Foot-propelled wheeled hobby and/or sport device
US4020916A (en) Self-propelled shopping cart
KR101438904B1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JP2011001052A (ja) 手動走行機構
KR100999191B1 (ko) 개량 자전거
KR20070000084A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KR20060136054A (ko)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KR200446184Y1 (ko) 개량된 수동식 스쿠터
CN105015674B (zh) 一种多用途运动型助力交通工具
CN103482002B (zh) 手驱动式燕尾形踏板车
CN202609012U (zh) 两杆自驱动滑板车
KR100942442B1 (ko) 시소 구동식 킥보드
JP6223834B2 (ja) 歩行器
KR100981801B1 (ko) 피쉬 보드
KR20160125002A (ko) 보행 훈련 기구
KR101532475B1 (ko) 트라이크
KR101123472B1 (ko)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KR101336367B1 (ko) 자체구동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CN218949378U (zh) 摇摆童车
CN212047729U (zh) 自力式儿滑车
CN216861709U (zh) 一种新型娱乐车
JP2004010037A (ja) 駆動輪
CN216232768U (zh) 电助力和滑步两用童车
CN214436457U (zh) 一种骑行玩具
CN202608987U (zh) 折叠式人力、电动休闲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