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4745A - 조 전지 - Google Patents

조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4745A
KR20140034745A KR1020137020450A KR20137020450A KR20140034745A KR 20140034745 A KR20140034745 A KR 20140034745A KR 1020137020450 A KR1020137020450 A KR 1020137020450A KR 20137020450 A KR20137020450 A KR 20137020450A KR 20140034745 A KR20140034745 A KR 20140034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unit cell
wall portion
assembled batter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0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7278B1 (ko
Inventor
야스타카 미야와키
요시노리 이시모토
아쓰시 니시다
히로카즈 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70568A external-priority patent/JP507745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70550A external-priority patent/JP507745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 유아사
Publication of KR2014003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8Modular batteries; Casings provided with means for assemb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Connection only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조(組) 전지(1)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單) 전지(2)는, 상단측에 외부 단자(7A, 7B)를 구비한다. 상부 캡(21)이 단 전지(2)의 상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하부 캡(22)이 단 전지(2)의 하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의 사이에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을 통하여 복수의 단 전지(2)를 끼워넣어 유지하고 있다.

Description

조 전지{BATTERY}
본 발명은, 복수의 단(單) 전지(전지 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모듈화한 조(組) 전지(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에는, 일렬로 배열한 복수의 단 전지를 배열 방향의 전후로부터 한 쌍의 측판에 의해 끼워넣어 고정시킨 구성의 조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2에는, 상단이 개구된 상자형의 케이스 내에 복수의 단 전지를 배치하고, 케이스의 개구를 커버체로 폐쇄한 구성의 조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구성의 경우, 배열 방향의 단 전지 수의 증감이면 비교적 간단한 설계 변경에 의해 가능하지만, 그 이외의 단 전지의 배치의 변경에는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필요로 한다. 특허 문헌 2의 구성의 경우, 단 전지의 배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케이스와 커버체 양쪽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다. 케이스와 커버체는 일반적으로 수지제이며, 설계 변경에 따라 고가의 성형용의 금형을 새롭게 제작할 필요가 생긴다. 이와 같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기재된 조 전지는, 비용 상의 제약도 포함한 단 전지의 배치의 자유도가 낮아, 소량 다품종 생산을 염가로 실현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 문헌 3에는, 각형(角型)의 단 전지의 양측에 돌기를 형성하는 동시에, 복수의 단 전지를 측방으로부터 끼워넣은 한 쌍의 외장판(外裝板)에 관통공을 형성한 조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돌기를 관통공에 끼워맞춤으로써, 내진성과 내충격성의 향상이 도모되어 있다.
특허 문헌 3의 조 전지를 조립할 때는, 복수의 단 전지를 배열한 후에, 관통공이 각각의 단 전지의 양측에 형성된 돌기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 결정한 상태로 한 쌍의 외장판에 의해 단 전지를 측방으로부터 끼워넣을 필요가 있다. 이 점에서 특허 문헌 3의 조 전지는, 조립 작업이 번잡하여 조립성이 뒤떨어진다.
일본공개특허 제2003-346745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0-1576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평 8-264170호 공보
본 발명은, 조 전지에 있어서, 단 전지의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한쪽의 단부측에 외부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 전지와, 각각의 상기 단 전지의 상기 한쪽의 단부측에 장착된 제1 캡과, 복수의 상기 단 전지에 장착되어 각각의 상기 제1 캡과 맞닿는 제1 유지부를 구비하는 조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유지부는, 각각의 상기 제1 캡과 맞닿아, 복수의 단 전지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 전지를 구성하는 단 전지의 개수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라도, 제1 캡에 제1 유지부를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각각의 단 전지를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 전지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각각의 상기 단 전지의 상기 한쪽의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의 단부에 장착된 제2 캡과, 복수의 상기 단 전지에 장착되어 각각의 상기 제2 캡과 맞닿는 제2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각각 통하여, 복수의 단 전지를 끼워넣어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캡을 장착한 단 전지를 제2 유지부에 배치하고, 단 전지에 제1 캡을 장착한 후, 제1 유지부를 배치하는 것만으로 조 전지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립성이 우수하다.
제1 캡뿐 아니라, 제2 캡을 구비하고, 양 캡에 의해 복수의 단 전지를 끼워넣어 유지하고 있으므로, 조 전지를 구성하는 단 전지의 개수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라도, 단 전지를 끼워넣는 것이 가능한 한, 제1 및 제2 유지부의 형상이나 치수는 대폭 변경할 필요가 없어, 단 전지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다
각각의 상기 단 전지는, 복수의 제1 캡을 장착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조 전지에서는, 상기 제1 캡에 형성되는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1 유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제1 걸어맞춤 받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상기 제1 걸어맞춤 받이부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제1 캡은 제1 유지부에 대하여 견고하게 유지되므로, 높은 내진성과 내충격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1 걸어맞춤부는 볼록부이며, 상기 제1 걸어맞춤 받이부는 상기 볼록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는 오목부 또는 관통공이면 된다.
또한, 상기 제2 캡에 형성되는 제2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유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제2 걸어맞춤 받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볼록부이며, 상기 제2 걸어맞춤 받이부는 상기 돌출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는 오목부 또는 관통공이면 된다.
상기 걸어맞춤부는 오목부 또는 관통공이며, 상기 걸어맞춤 받이부는 상기 오목부 또는 관통공에 걸리거나 분리되는 볼록부라도 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의 형상, 치수, 및 개수는 오목부 또는 관통공에 걸어맞춤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볼록부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단면적(斷面績)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테이퍼형부가 접촉함으로써 볼록부를 오목부에 대하여 원활하게 끼워맞출 수 있으므로,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1 유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어맞춤 받이부의 조합은 복수 조(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캡은 유지부에 대하여 더욱 확실하게 위치 결정한 상태로,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단 전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정상면(頂面)과 정상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단편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단면과, 정상면의 폭 방향의 양단의 장변(長邊)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캡은, 상기 정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정상벽부와, 정상벽부로부터 상기 단면의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단벽부와, 상기 정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단벽부와, 상기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및 제2 측벽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제1 캡은 정상벽부에 상기 제1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제1 캡은 정상벽부에 상기 제1 유지부가 맞닿도록 하면 된다.
상기 제1 캡의 제1 걸어맞춤부는 검사용 관통공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해, 검사용 관통공을 통하여 테스터의 전극 등을 꽂음으로써, 테스터의 전극 등을 단 전지의 외부 단자에 접촉시킬 수 있어, 걸어맞춤부를, 단 전지의 위치 결정뿐 아니라, 검사용로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단 전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정상면과, 정상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단편(短片)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단면과, 정상면의 폭 방향의 양단의 장변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캡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저벽부와, 저벽부의 4변으로부터 상기 단 전지의 양 단면 및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캡은, 상기 저벽부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제2 캡은 저벽부에 상기 제2 유지부가 맞닿도록 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 전지를 구성하는 단 전지의 개수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 제1 캡에 제1 유지부를 접촉시키는 것만으로, 각각의 단 전지를 위치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단 전지의 배치의 자유도가 높아, 소량 다품종 생산을 염가로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에서의 단 전지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4b는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에서의 단 전지의 배치를 변경한 경우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4c는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에서의 단 전지의 배치를 변경한 경우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단 전지, 상부 캡, 및 하부 캡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단 전지에 장착된 상부 캡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단 전지에 장착된 하부 캡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a는 상부 캡을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b는 상부 캡을 도 8a와 다른 각도로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8c는 하부 캡을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a는 하부 캡을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b는 하부 캡을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의 조 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의 조 전지를 위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조 전지를 아래쪽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13a는 제2 실시형태의 조 전지에서의 단 전지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3b는 제2 실시형태의 조 전지에서의 단 전지의 배치를 변경한 경우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3c는 제2 실시형태의 조 전지에서의 단 전지의 배치를 변경한 경우의 접속 경로를 나타낸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의 조 전지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의 변형예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조 전지의 변형예의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17a는 상부 캡의 상측 볼록부의 제1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7b는 상부 캡의 상측 볼록부의 제2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7c는 상부 캡의 상측 볼록부의 제3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7d는 상부 캡의 상측 볼록부의 제4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7e는 상부 캡의 상측 볼록부의 제5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7f는 상부 캡의 보호부의 제6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부 캡의 상측 볼록부가 상부 유지부의 바닥이 있는 구멍에 끼워맞추어지는 변형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부 유지부의 볼록부가 상부 캡의 관통공에 끼워맞추어지는 변형예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4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조 전지(전지 모듈)(1)를 나타낸다. 이 조 전지(1)는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인 7개의 각형의 단 전지(전지 셀)(2)를 구비한다.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각각의 단 전지(2)는, 전지 용기(3) 내에 전해액과 함께 발전 요소(要素)(4)(도 6 및 도 7에 모식적으로 나타냄)를 수용하고, 전지 용기(3)의 상단측의 개구를 커버체(5)로 봉지(封止)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전지 용기(3)는, 직사각형상의 저벽(3a)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는 측벽(3b~3e)을 구비한다. 측벽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장측벽(3b, 3c)와, 이들 장측벽(3b, 3c)보다 적은 면적이며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단측벽(3d, 3e)을 구비한다. 전지 용기(3)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저벽(3a)이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4변 중, 한 쌍의 장변으로부터 장측벽(3b, 3c)이 연장되고, 한 쌍의 단변(短邊)으로부터 단측벽(3d, 3e)이 연장되어 있다. 커버체(5)도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전지 용기(3)와 커버체(5)에 의해 대략 편평한 직육면체형의 외장체가 구성되어 있다. 단 전지(2)의 커버체(5)의 양단 부근에는, 플러스 마이너스의 외부 단자(7A, 7B)가 배치되어 있다. 전지 용기(3)의 측벽(3b~3e)의 외주는, 도시하지 않은 절연 시트에 의해 덮혀져 있다.
도 4a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조 전지(1)를 구성하는 7개의 단 전지(2)는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커버체(5) 측[외부 단자(7A, 7B)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단 전지(2)의 전지 용기(3)의 길이 방향(L)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되는 배치(평행 배치)로 7개의 단 전지(2)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7개의 단 전지(2)는, 인접하는 다른 단 전지(2)와 장측벽(3b, 3c)끼리가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A, 7B)는, 버스 바(bus bar)(도전 부재)(8)에 의해 인접하는 다른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A, 7B)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7개의 단 전지(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도 4a에 있어서 좌측단의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A)가 조 전지(1)의 플러스극을 구성하고, 우측단의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B)가 조 전지(1)의 마이너스극을 구성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체(5)의 상면에 장착된 패킹(9A, 9B)에는, 외부 단자(7A, 7B)의 헤드부(도시하지 않음)와 접속 로드(10A, 10B)가 수용되어 있다. 수나사가 형성된 외부 단자(7A, 7B)의 축부(7a)는, 헤드부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접속 로드(10A, 10B)를 관통하고 있다. 외부 단자(7A, 7B)의 축부(7a)에는 버스 바(8)의 일단의 관통공(8a)이 삽통(揷通)되고, 너트(11)에 의해 버스 바(8)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다. 접속 로드(10A, 10B)는 리벳(12)에 의해 전지 용기(3) 내의 집전체(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집전체가 발전 요소(4)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 로드(10A, 10B)는, 일단[외부 단자(7A, 7B)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세폭(細幅)의 직사각형의 검사용 단자부(10a)를 구비한다. 도 5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검사용 단자부(10a)는 패킹(9A, 9B)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돌출되고, 커버체(5) 상면의 위쪽으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다. 검사용 단자부(10a)의 선단 부근에는,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나사결합하는 나사공(10b)이 형성되어 있다.
조 전지(1)는, 7개의 단 전지(2)를 전술한 배치로 유지하기 위해 유지 구조(20)를 구비한다. 유지 구조(20)는, 각각의 단 전지(2)에 장착되는 상부 캡(제1 캡)(21)과 하부 캡(제2 캡)(22)을 구비한다. 이들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제이다. 또한, 유지 구조(20)는,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을 장착한 단 전지(2)를 도면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끼워넣어 유지하는 상부 유지부(제1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제2 유지부)(24)를 구비한다. 또한, 유지 구조(20)는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를 연결하는 한 쌍의 측부(25, 26)를 구비한다. 한쪽의 측부(25)에는 감시 장치(37)가 장착되어 있다.
도 5, 도 6,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부 캡(21)을 설명한다. 한 쌍의 외부 단자(7A, 7B)를 각각 덮도록, 단 전지(2)의 상단측에 2개 상부 캡(21)이 장착되어 있다. 상부 캡(21)은, 직사각형의 정상벽부(21a)와, 정상벽부(21a)의 전후의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전벽부(21b) 및 후벽부(21c)와, 정상벽부(21a)의 좌우의 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부(21d, 21e)를 구비한다. 정상벽부(21a)의 하면에는 리브 구조(21f)가 형성되어 있다.
전벽부(21b)의 하단과 리브 구조(21f)의 후벽부(21c) 부근의 하단이 전지 용기(3)의 상단에 탑재됨으로써, 상부 캡(21)은 단 전지(2)에 장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단 전지(2)에 장착한 상부 캡(21)은, 외부 단자(7A, 7B) 및 그 주변을 에워싸는. 구체적으로는, 단 전지(2)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는 외부 단자(7A, 7B), 상부 패킹(9A, 9B), 및 접속 로드(10A, 10B)의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후벽부(21c)는 전지 용기(3)의 단측벽(3d, 3e)의 상단부[커버체(5) 부근]을 따라 연장된다. 또한, 측벽부(21d, 21e)는 각각 전지 용기(3)의 한 쌍의 장측벽(3b, 3c)의 상단부[커버체(5) 부근]를 따라 연장된다. 또한, 후벽부(21c)와 측벽부(21d, 21e)가 구성하는 각 코너부(21g, 21h)는, 전지 용기(3)의 단측벽(3d, 3e)과 장측벽(3b, 3c)이 구성하는 각 코너부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의 상면(외면)에는, 1개 상부 볼록부(제1 볼록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부 볼록부(27)는, 전체로서 대략 편평한 원기둥이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형태의 상부 볼록부(27)는, 정상벽부(21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정 직경의 원기둥형부(27a)와, 원기둥형부(27a)의 선단(상단)에 형성된 최첨단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부(27b)를 구비한다. 또한, 상부 볼록부(27)의 선단면(27c)은 대략 평탄하다.
도 6에 가장 명료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볼록부(27)의 바로 아래에 외부 단자(7A, 7B)가 위치하고 있다. 상부 볼록부(27)의 선단면(27c)으로부터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의 하면까지 관통하는 검사용 관통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즉, 검사용 관통공(28)은, 상부 캡(21)의 외부로부터 상부 캡(21)으로 에워싸인 외부 단자(7A, 7B)까지 달하고 있다.
상부 캡(21)의 후벽부(21c)와 측벽부(21d, 21e)에는, 버스 바 개구부(29A, 29B, 29C)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버스 바 개구부(29A~29C)는, 외부 단자(7A, 7B)에 접속된 버스 바(8)를 삽통하여 상부 캡(21)으로부터 돌출시키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는, 외부 단자(7A, 7B)에 일단이 접속된 버스 바(8)가 상부 캡(21)의 버스 바 개구부(29B)에 삽통되고, 상부 캡(21)으로부터 돌출되어 다른 단 전지의 외부 단자(도 5로 도시하지 않음)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버스 바 개구부(29A)는 후벽부(21c)의 하단으로부터 정상벽부(21a)를 향해 연장되는 절입(切入) 즉 커트인(cut-in)이며, 버스 바 개구부(29B, 29C)는 측벽부(21d, 21e)의 하단으로부터 정상벽부(21a)를 향해 연장되는 절입이다. 단, 버스 바(8)의 삽통이 가능하면, 버스 바 개구부(29A~29C)는 후벽부(21c)나 측벽부(21d, 21e)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어도 된다.
상부 캡(21)의 전벽부(21b)에는, 접속 로드(10A, 10B)의 검사용 단자부(10a)가 삽통되기 위한 단자 개구부(31)가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속 로드(10A, 10B)의 대부분은 상부 패킹(9A, 9B) 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접속 로드(10A, 10B)의 일부인 검사용 단자부(10a)는, 단자 개구부(31)를 통하여 상부 패킹(9)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개구부(31)는 전벽부(21b)의 하단으로부터 정상벽부(21a)를 향해 연장되는 절입이다. 단, 검사용 단자부(10a)의 삽통이 가능하다면, 단자 개구부(31)는 전벽부(21b)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이어도 된다.
단자 개구부(31)를 통하여 상부 캡(2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검사용 단자부(10a)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부 캡(21)의 전벽부(21b)에 보호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호부(32)는, 전벽부(21b)의 단자 개구부(31)의 양측의 부분으로부터 검사용 단자부(10a)의 양 측부를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판형의 리브(33A, 33B)를 구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브(33A, 33B)의 상단은 검사용 단자부(10a)보다 위쪽[단 전지(2)의 커버체(5)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도 5, 도 7,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하부 캡(22)을 설명한다. 하부 캡(22)은 상단이 개구된 가늘고 긴 상자형이며, 단 전지(2)의 전지 용기(3)의 하단측에 장착된다. 상세하게는, 하부 캡(22)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저벽부(22a)와, 이 저벽부(22a)의 4변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부(22b, 22c, 22d, 22e)를 구비한다. 하부 캡(22)을 단 전지(2)의 하단측에 장착하면, 저벽부(22a)에 전지 용기(3)의 저벽(3a)이 탑재되고, 측벽부(22b, 22c)는 전지 용기(3)의 장측벽(3b, 3c)을 따라 연장되고, 측벽부(22d, 22e)는 전지 용기(3)의 단측벽(3d, 3e)을 따라 연장된다.
하부 캡(22)의 저벽부(22a)의 하면(외면)에는, 한 쌍의 하부 볼록부(35, 35)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하부 볼록부(35)는 전체로서 대략 편평한 원기둥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부 유지부(23)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 등으로 직사각형으로 성형한 일체의 구조이며, 상부 캡(21)의 상부 볼록부(27)가 끼워맞추어지는 원형의 상부 관통공(제1 오목부)(23a)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7개의 단 전지(2) 중 도면에 있어서 좌우 양단의 2개를 제외한 5개의 단 전지(2)에는, 각각 한 쌍의 상부 캡(2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외부 단자(7A)가 조 전지(1)의 플러스극으로 되는 도면에 있어서 좌측단의 단 전지(2)와, 외부 단자(7B)가 조 전지(1)의 마이너스극으로 되는 도면에 있어서 우측단의 단 전지(2)에는, 각각 1개 상부 캡(21)이 장착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조 전지(1)는 합계 12개 상부 캡(21)을 포함하고, 각 상부 캡(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1개 상부 볼록부(27)를 구비한다. 상부 유지부(23)에는, 합계 12개의 상부 관통공(23a)이 상부 캡(21)의 상부 볼록부(27)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유지부(23) 중,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좌측단의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A)[조 전지(1)의 플러스극]와 대응하는 코너부, 우측단의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B)[조 전지(1)의 마이너스극]에 대응하는 코너부에는, 이들 외부 단자(7A, 7B)를 노출시키기 위해 커팅형의 모듈 개구부(23b, 23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모듈 개구부(23b, 23c)에는 단자 보호 커버(36A, 36B)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하부 유지부(24)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 등으로 성형한 대략 일체의 구조이다. 하부 유지부(24)는,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상으로서 중앙에 대면적의 직사각형상의 통기 개구(24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체로서 직사각형 프레임형을 이루고 있다. 하부 유지부(24)에는 하부 캡(22)의 하부 볼록부(35)가 끼워맞추어지는 원형의 하부 관통공(제2 오목부)(24b)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7개의 단 전지(2)의 모두에 하부 캡(22)이 장착되고, 각 하부 캡(22)은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하부 볼록부(35)를 구비한다. 하부 유지부(24)에는, 합계 14개의 하부 관통공(24b)이 하부 볼록부(35)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단 전지(2)의 상단측에 장착된 상부 캡(21)은, 상부 볼록부(27)가 상부 관통공(23a)에 끼워맞추어지고, 정상벽부(21a)가 상부 유지부(23)의 하면과 맞닿아 있다. 한편, 단 전지(2)의 하단측에 장착된 하부 캡(22)은, 하부 볼록부(35)가 하부 관통공(24b)에 끼워맞추어지고, 저벽부(22a)가 하부 유지부(24)의 상면과 맞닿아 있다.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는,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을 통하여 7개의 단 전지(2)를 끼워넣어 유지한 상태로, 측부(25, 2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감시 장치(37)가 장착된 한쪽의 측부(25)는 도면에 있어서 좌측단의 단 전지(2)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다른 쪽의 측부(26)는 도면에 있어서 우측단의 단 전지(2)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측부(25, 26)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 등으로 직사각형으로 성형한 대략 일체의 구조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부(25, 26)의 상단측과 하단측은 각각 나사고정으로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에 연결되어 있다. 상부 캡(21)의 상부 볼록부(27)가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에 끼워맞추어지고, 하부 캡(22)의 하부 볼록부(35)가 하부 유지부(24)의 하부 관통공(24b)에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에 대한 단 전지(2)의 연결 강도가 향상되어, 내진성과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 전지(2) 사이에서 길이 방향(L)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되는 평행 배치로, 7개의 단 전지(2)가 배치되어 있다. 인접하는 단 전지(2) 사이의 간격을 도 4a로부터 균일하게 확대한 배치(도 4b)에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단 전지(2)의 배치의 변경에는,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의 위치 변경과 하부 유지부(24)의 하부 관통공(24b)의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 즉, 단 전지(2) 사이의 간격의 확대에 대응하여, 도 1에 있어서 좌우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부 관통공(23a) 사이의 간격과 인접하는 하부 관통공(24b) 사이의 간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각각의 단 전지(2)에 장착되는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의 형상에 대하여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수지제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의 형상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성형용 금형의 새로운 제작이 필요하지만,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 등으로 성형한 것이므로, 상부 관통공(23a)나 하부 관통공(24b)의 간격의 변경을 위해 금형을 새롭게 제작할 필요는 없다.
도 4a에 나타낸 배치로부터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단으로부터 4개째와 5개째의 단 전지(2) 사이의 간격만을 펼친 배치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의 위치와 하부 유지부(24)의 하부 관통공(24b)의 위치를 변경하면 되고,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의 형상에 대하여는 아무런 변경 도 필요가 없다.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1)에 있어서 단 전지(2)의 수를 증감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의 위치와 하부 유지부(24)의 하부 관통공(24b)을 증감하면 되고,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의 형상에 대하여는 아무런 변경도 필요가 없다.
본 실시형태의 조 전지(1)는 특히 이하에 열거하는 특징을 가진다.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A, 7B)를 설치한 상단측에 장착한 상부 캡(21)은, 상부 볼록부(27)와 상부 관통공(23a)의 끼워맞춤에 의해 상부 유지부(23)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볼록부(27)로 상부 관통공(23a)의 쌍이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부 캡(21)은 상부 협지부(挾持部)(23)에 대하여 더욱 확실하게 위치결정된 상태로 보다 견고하게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단 전지(2)의 하단측에 장착한 하부 캡(22)은, 하부 볼록부(35)와 하부 관통공(24b)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하부 협지부(24)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 볼록부(35)와 하부 관통공(24b)의 쌍이 복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부 캡(22)은 하부 협지부(24)에 대하여 더욱 확실하게 위치결정된 상태로 보다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이 조 전지(1)에서는 높으면 내진성과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부 캡(21)의 상부 볼록부(27)를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에 끼워맞추지만, 하부 캡(22)에는 하부 볼록부(35)를 설치하지 않고 단지 하부 캡(22)의 저벽부(22a)를 하부 협지부(24) 상에 탑재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 구성이라도, 상부 캡(21)이 상부 유지부(23)에 대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는 것에 의해, 내진성과 내충격성의 향상시킬 수 있다.
하부 협지부(24)에 대하여 하부 캡(22)을 장착이 완료된 단 전지(2)를 배치하고, 또한 단 전지(2)에 상부 캡(21)을 장착한 후에 그 위로부터 상부 유지부(23)를 배치함으로써 조 전지(1)의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성이 양호하다.
상부 볼록부(27)의 선단측에 테이퍼형부(27b)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단 전지(2)에 장착한 상부 캡(21)에 다시 상부 유지부(23)를 배치할 때, 상부 볼록부(27)를 원활하게 상부 관통공(23a)에 끼워맞출수 있다. 즉, 상부 볼록부(27)와 상부 관통공(23a)과의 사이에 위치 어긋남이 있어도, 상부 유지부(23)를 단 전지(2)를 향해 하강시키면 상부 관통공(23a)의 구멍 에지가 테이퍼형부(27b)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상부 볼록부(27)는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상부 관통공(23a)에 끼워맞추어진다.
상부 캡(21)은, 외부 단자(7A, 7B)를 덮도록 단 전지(2)의 상단측에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상부 캡(21)을 상부 볼록부(27)의 부분에서 관통하여 외부 단자(7A, 7B)까지 도달하는 검사용 관통공(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볼록부(27)는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 유지부(23)를 분리하지 않고 각각의 단 전지(2)의 전압 등의 검사가 가능해진다. 즉, 조 전지(1)로부터 상부 유지부(23)를 떼어내지 않아도, 테스터의 전극 등을 검사용 관통공(28)에 꽂아서 외부 단자(7A, 7B)에 접촉시켜 검사를 행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10 내지 도 1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조 전지(1)를 나타낸다. 이 조 전지(1)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같은 각형의 단 전지(2)를 8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단 전지(2)가 4개씩 2열로 배치되어 있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하부 코너의 단 전지(2)로부터 좌측 상부 코너의 단 전지(2)까지, 각각의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A, 7B)가 버스 바(8)에 의해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열의 인접하는 다른 단 전지(2)의 외부 단자(7A, 7B)에 접속되어 있고, 8개의 단 전지(2)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8개의 단 전지(2)의 배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이들 단 전지(2)는 평행 배치[서로 인접하는 2개의 단 전지(2)의 전지 용기(3)의 길이 방향(L)이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되는 배치]로 4개씩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이한 열에 속하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단 전지(2)[도 13a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단 전지(2)]는, 커버체(5) 측[외부 단자(7A, 7B)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전지 용기(3)의 길이 방향(L)이 실질적으로 직선형으로 배치되는 배치(직선 배치)로 배치되어 있다.
도 13a에 나타낸 배치를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단 전지(2)의 사이의 간격을 균일하게 확대한 배치로 변경하는 경우,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의 위치 변경과 하부 유지부(24)의 하부 관통공(24b)의 위치 변경이 필요하다. 즉, 단 전지(2)의 사이에 있어서 상하 좌우의 방향의 간격의 확대에 대응하여,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과 하부 유지부(24)의 하부 관통공(24b)에 대하여 상하 좌우의 방향의 간격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각각의 단 전지(2)에 장착되는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의 형상에 대하여는 변경할 필요가 없다.
도 13a에 나타낸 배치로부터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열의 도면에 있어서 위로부터 2개째와 3개째의 단 전지(2) 사이의 간격을 펼친 배치로 변경하는 경우에도,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의 위치와 하부 유지부(24)의 하부 관통공(24b)의 위치를 변경하면 되므로,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의 형상에 대하여는 아무런 변경도 필요가 없다.
제2 실시형태의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제3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조 전지(1)를 나타낸다. 이 조 전지(1)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같은 각형의 단 전지(2)를 3개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 전지(1)의 도 14에 도시하지 않은 다른 구조에 대하여는, 제1 실시형태와 같다. 3개의 단 전지(2) 중 도면에 있어서 중앙의 단 전지(2)와 좌측의 단 전지(2)는, 커버체(5)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 전지 용기(3)의 길이 방향(L)이 서로 교차(이 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배치(교차 배치)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중앙의 단 전지(2)와 우측의 단 전지(2)도 교차 배치로 배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그 외의 구성 및 작용은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는, 제1 실시형태의 조 전지(1)의 변형예이며, 도면에 있어서 우측단의 2개의 단 전지(2)를 평행 배치로부터 교차 배치로 변경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 16은 제2 실시형태의 조 전지(1)의 변형예이며, 도면에 있어서 하측의 2개의 단 전지(2)를 직선 배치로부터 교차 배치로 변경하고 있다. 이와 같은 평행 배치 또는 직선 배치로부터 교차 배치로의 변경도, 상부 유지부(23)의 상부 관통공(23a)의 위치와 하부 유지부(24)의 하부 관통공(24b)의 위치 설정으로 실현할 수 있고, 각각의 단 전지(2)에 장착되는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는 없다.
조 전지(1)는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에 의해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을 통하여 7개의 단 전지(2)를 끼워넣어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단 전지(2)의 개수나 배치(평행 배치, 직선 배치, 교차 배치)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한 것으로서 비교적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의 상부 관통공(23a)과 하부 관통공(24b)의 위치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 전지(2)의 개수나 배치를 변경하는 경우라도, 고가의 수지 성형을 위한 금형의 새로운 제작이 필요로 하는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의 형상은 변경은 필요가 없다. 이들 점에서, 조 전지(1)는 단 전지의 배치에 대하여 높은 자유도를 얻을 수 있어, 소량 다품종 생산을 염가로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가 일체의 구조이지만,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을 통하여 단 전지(2)를 끼워넣어 확실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한,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측부(25, 26)도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를 단 전지(2)를 끼워넣어 유지한 상태로 유지하게 할 수 있는 한, 복수의 부재로 구성해도 되고, 나사고정 이외의 수단에 의해 상부 유지부(23)와 하부 유지부(24)에 연결해도 된다. 또한, 측부(25, 26)의 한쪽 또는 양쪽을 상부 유지부(23)나 하부 유지부(24)와 일체의 구조로 해도 된다. 요컨대, 상부 캡(21)과 하부 캡(22)을 통하여 단 전지(2)를 끼워넣어 확실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는 한, 상부 유지부(23), 하부 유지부(24), 및 측부(25, 26)의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7a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상부 볼록부(27)에 관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변형예는 하부 볼록부(35)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7a의 변형예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상부 볼록부(27)에 더하여,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의 전벽부(21b) 측의 양 코너 부근에도 추가의 상부 볼록부(101)를 설치하고 있다. 이들 상부 볼록부(101)를 끼워맞추기 위한 원형의 상부 관통공이 상부 협지부(23)에 형성된다.
도 17b의 변형예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상부 볼록부(27) 대신에,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의 4코너 부근에 상부 볼록부(101)를 설치하고 있다. 검사용 관통공(28)은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를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부 협지부(23)에는 4개 상부 볼록부(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의 상부 관통공이 형성된다.
도 17a 및 도 17b의 변형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부 볼록부(27)의 개수와 위치는 제1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7c의 변형예의 상부 볼록부(102)는, 전체로서 대략 편평한 사각기둥형이다. 상세하게는, 이 상부 볼록부(102)는,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편평한 각기둥형부(102a)와, 각기둥형부(102a)의 선단에 형성되어 최첨단을 향해 점차 축소되는 테이퍼형부(102b)와, 대략 평탄한 선단면(102c)을 구비한다. 상부 협지부(23)에는, 상부 볼록부(102)와 대응하는 위치에 직사각형의 상부 관통공이 형성된다.
도 17d의 변형예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상부 볼록부(27) 대신에,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에 측벽부(21d, 21e)와 평행하게 배치된 가늘고 긴 직선형의 상부 볼록부(103)를 설치하고 있다. 즉, 이 변형예의 상부 볼록부(103)는 돌기는 아니고 돌조(突條)의 범주에 속하는 것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부 협지부(23)에는, 돌조인 상부 볼록부(102)와 대응하는 위치에 직선홈형의 상부 관통공이 형성된다.
도 17e의 변형예의 상부 볼록부(104)는, 도 17c와 마찬가지로 편평한 각기둥형이지만,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의 상면을 큰 면적으로 상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즉, 이 변형예의 상부 볼록부(104)는 돌기는 아니고 팽출부(膨出部)의 범주에 속하는 것 같은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7f의 변형예의 상부 볼록부(105)는, 상부 캡(21)의 정상벽부(21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비교적 소경의 원기둥형부(105a)와, 원기둥형부(105a)의 선단에 형성되어 원기둥형부(105a)보다 큰 직경으로부터 최첨단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의 걸림부(105b)를 구비한다. 이 상부 볼록부(105)를 상부 협지부(23)에 형성된 상부 관통공에 끼워맞추면 걸림부(105b)가 상부 관통공을 통과하고, 상부 협지부(23)는 정상벽부(21a)와 걸림부(105b)의 사이에 끼워넣어진다.
도 17c 내지 도 17f의 변형예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상부 볼록부(27)의 형상은 제1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의 변형예에서는, 상부 관통공(23a) 대신에 상부 협지부(23)에 바닥이 있는 구멍(106)을 형성하고 있다. 이 바닥이 있는 구멍(106)에 상부 볼록부(27)가 끼워맞추어진다. 바닥이 있는 구멍(106)의 저벽에는 상부 캡(21)의 검사용 관통공(28)과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검사용 관통공(107)을 형성하고 있다. 이들 검사용 관통공(28, 107)을 통하여 테스터의 전극 등을 외부 단자(7A, 7B)에 접촉시킬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의 변형예의 경우에도, 상부 협지부(23)에 상부 관통공 대신에 바닥이 있는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도 19의 변형에서는, 상부 협지부(23)에 도면에 있어서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부 볼록부(108)를 설치하는 한편, 상부 캡(21)에 정상벽부(21a)를 관통하는 상부 관통공(109)을 형성하고, 상부 볼록부(108)를 상부 관통공(109)에 끼워맞추고 있다. 또한, 상부 협지부(23)에는 상부 볼록부(108)의 부분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검사용 관통공(110)을 형성하고, 상부 캡(21)을 분리하지 않고 외부 단자(7A, 7B)에 테스터의 전극 등을 접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0a 내지 도 10f의 변형예에 대해서도, 상부 협지부(23)에 상부 볼록부를 설치하여 상부 캡(21)에 상부 관통공을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1: 조 전지
2: 단 전지
3: 전지 용기
3a: 저벽
3b, 3c: 장측벽
3d, 3e: 단측벽
4: 발전 요소
5: 커버체
7A, 7B: 외부 단자
7a: 축부
8: 버스 바
8a: 관통공
9A, 9B: 패킹
10A, 10B: 접속 로드
10a: 검사용 단자부
10b: 나사공
11: 너트
12: 리벳
20: 유지 구조
21: 상부 캡
21a: 정상벽부
21b: 전벽부
21c: 후벽부
21d, 21e: 측벽부
21f: 리브 구조
21g, 21h: 각 코너부
22: 하부 캡
22a: 저벽부
22b, 22c, 22d, 22e: 측벽부
23: 상부 유지부
23a: 상부 관통공
23b, 23c: 모듈 개구부
24: 하부 유지부
24a: 통기 개구
24b: 하부 관통공
25, 26: 측부
27: 상부 볼록부
27a: 원기둥형부
27b: 테이퍼형부
27c: 선단면
28: 검사용 관통공
29A, 29B, 29C: 버스 바 개구부
31: 단자 개구부
32: 보호부
33A, 33B: 리브
35: 하부 볼록부
36A, 36B: 단자 보호 커버
37: 감시 장치
101, 102, 103, 104, 105, 108: 상부 볼록부
106: 바닥이 있는 구멍
109: 상부 관통공
110: 검사용 관통공
L: 길이 방향

Claims (15)

  1. 한쪽의 단부측에 외부 단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單) 전지;
    각각의 상기 단 전지의 상기 한쪽의 단부측에 장착된 제1 캡;
    복수의 상기 단 전지에 장착되어 각각의 상기 제1 캡과 맞닿는 제1 유지부;
    를 포함하는, 조(組)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 전지의 상기 한쪽의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다른 쪽의 단부에 장착된 제2 캡; 및
    복수의 상기 단 전지에 장착되어 각각의 상기 제2 캡과 맞닿는 제2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지부와 상기 제2 유지부 사이에,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2 캡을 각각 통하여, 복수의 단 전지를 끼워넣어 유지한, 조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 전지는, 복수의 제1 캡을 장착하고 있는, 조 전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에 형성되는 제1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1 유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제1 걸어맞춤 받이부를 구비하는, 조 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어맞춤부는 볼록부이며, 상기 제1 걸어맞춤 받이부는 상기 볼록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는 오목부 또는 관통공인, 조 전지.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에 형성되는 제2 걸어맞춤부와, 상기 제2 유지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걸어맞춤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는 것이 가능한 제2 걸어맞춤 받이부를 구비하는, 조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어맞춤부는 볼록부이며, 상기 제2 걸어맞춤 받이부는 상기 돌출부가 걸리거나 분리되는 오목부 또는 관통공인, 조 전지.
  8. 제5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서서히 단면적(斷面績)이 작아지는, 조 전지.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과 상기 제1 유지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걸어맞춤 받이부의 조합은 복수 조인, 조 전지.
  10. 제4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 전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정상면(頂面)과, 상기 정상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단편(短片)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단면(端面)과, 상기 정상면의 폭 방향의 양단의 장변(長邊)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1 캡은, 상기 정상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정상벽부와, 상기 정상벽부로부터 상기 단면의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단벽부(端壁部)와, 상기 정상면을 향해 연장되는 제2 단벽부와, 상기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벽부 및 제2 측벽부를 구비하는, 조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은 정상벽부에 상기 제1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조 전지.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은 상기 정상벽부에 상기 제1 유지부가 맞닿는, 조 전지.
  13.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캡의 제1 걸어맞춤부는 검사용 관통공을 가지는, 조 전지.
  14.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 전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며,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정상면과, 상기 정상면의 길이 방향의 양단의 단편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단면과, 상기 정상면의 폭 방향의 양단의 장변으로부터 각각 대략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측면을 가지고,
    상기 제2 캡은,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저벽부와, 상기 저벽부(底壁部)의 4변으로부터 상기 단 전지의 양 단면 및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캡은, 상기 저벽부에 상기 걸어맞춤부를 구비하는, 조 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캡은 저벽부에 상기 제2 유지부가 맞닿는, 조 전지.
KR1020137020450A 2011-03-28 2012-03-23 조 전지 KR101937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0550 2011-03-28
JP2011070568A JP5077457B2 (ja) 2011-03-28 2011-03-28 組電池
JPJP-P-2011-070568 2011-03-28
JP2011070550A JP5077456B2 (ja) 2011-03-28 2011-03-28 組電池
PCT/JP2012/057500 WO2012133179A1 (ja) 2011-03-28 2012-03-23 組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4745A true KR20140034745A (ko) 2014-03-20
KR101937278B1 KR101937278B1 (ko) 2019-01-10

Family

ID=4693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0450A KR101937278B1 (ko) 2011-03-28 2012-03-23 조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257687B2 (ko)
KR (1) KR101937278B1 (ko)
CN (1) CN103415943B (ko)
AU (1) AU2012234099B2 (ko)
WO (1) WO20121331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839812U (zh) * 2012-08-28 2013-03-27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一种动力连接及信号采集的集成组件
JP6135246B2 (ja) 2013-03-29 2017-05-31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257951B2 (ja) * 2013-08-09 2018-01-10 株式会社東芝 電池モジュール
JP6436841B2 (ja) * 2015-04-09 2018-12-12 株式会社クボタ 電動作業車両
CN107093687A (zh) * 2017-05-26 2017-08-25 江苏银基烯碳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模组结构
KR102397774B1 (ko) * 2017-11-14 2022-05-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CN207818678U (zh) * 2017-12-28 2018-09-04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壳体、电池模组及电池包
TWI658631B (zh) * 2018-01-08 2019-05-01 車王電子股份有限公司 Battery pack
CN110112344B (zh) * 2019-05-22 2022-03-11 先进储能材料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责任公司 电池包箱体及电池包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170A (ja) 1995-03-27 1996-10-11 Yuasa Corp 集合電池装置
JP2000228177A (ja) 1999-02-04 2000-08-1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
JP2001307784A (ja) 2000-04-20 2001-11-02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
JP2003346745A (ja) 2002-05-30 2003-12-05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組電池及びこの組電池用の側板
KR100895203B1 (ko) 2006-05-15 2009-05-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중대형 전지모듈
JP4974734B2 (ja) * 2006-10-10 2012-07-11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2008226744A (ja) 2007-03-15 2008-09-25 Gs Yuasa Corporation:Kk 組電池
JP4638528B2 (ja) 2008-07-02 2011-02-23 株式会社Gsユアサ 組電池及び組電池の組立方法
JP5155772B2 (ja) * 2008-08-19 2013-03-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パック構造
JP4858726B2 (ja) 2009-01-07 2012-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の保持構造
JP5449814B2 (ja) * 2009-03-25 2014-03-19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
JP2010282811A (ja) 2009-06-04 2010-12-16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KR101065926B1 (ko) * 2009-07-09 2011-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수의 단위 셀을 구비하는 배터리 팩
CN201528018U (zh) * 2009-11-10 2010-07-14 东莞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动汽车用锂离子电池包
JP5271890B2 (ja) 2009-12-24 2013-08-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組電池
JP5222335B2 (ja) 2010-09-22 2013-06-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電池システム
JP2012204296A (ja) 2011-03-28 2012-10-22 Gs Yuasa Corp 組電池、単電池、及びキャップ
JP5413394B2 (ja) 2011-03-28 2014-02-12 株式会社Gsユアサ 単電池及び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2234099A1 (en) 2013-09-26
US20140017540A1 (en) 2014-01-16
KR101937278B1 (ko) 2019-01-10
CN103415943B (zh) 2016-05-04
US9257687B2 (en) 2016-02-09
CN103415943A (zh) 2013-11-27
WO2012133179A1 (ja) 2012-10-04
AU2012234099B2 (en)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278B1 (ko) 조 전지
US8956744B2 (en) Battery assembly and electric cell
JP5413394B2 (ja) 単電池及び組電池
KR100872954B1 (ko) 전원 장치
JP6199369B2 (ja) 電池モジュール
JP5741230B2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4868889B2 (ja) 組電池
US20160036022A1 (en) Power source pack
WO2016098607A1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US10615394B2 (en) Energy storage apparatus
KR20140118734A (ko) 배터리 모듈
JP5779513B2 (ja) 電池配線モジュール
JP6613773B2 (ja) 蓄電装置
JP2014112546A (ja) 組電池、単電池、及びキャップ
JP5500364B2 (ja) 電池接続アセンブリ
JP5077457B2 (ja) 組電池
JP5077456B2 (ja) 組電池
KR102093942B1 (ko) 전지팩의 와이어 조립 구조 및 그 조립 방법
CN217158579U (zh) 一种绝缘支架及电池模组
JP6128197B2 (ja) 組電池、単電池、及びキャップ
JP5527374B2 (ja) 組電池
JP6728614B2 (ja) 蓄電装置
CN112928377A (zh) 集成盖板及动力电池模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