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692A -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692A
KR20140033692A KR1020120099828A KR20120099828A KR20140033692A KR 20140033692 A KR20140033692 A KR 20140033692A KR 1020120099828 A KR1020120099828 A KR 1020120099828A KR 20120099828 A KR20120099828 A KR 20120099828A KR 20140033692 A KR20140033692 A KR 20140033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ecular weight
fucoidan
high molecular
kda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만
주은희
김수연
김평강
최은석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99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3692A/ko
Publication of KR2014003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fucoidan of high molecular weight}
본 발명의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효성분으로서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고령화와 삶의 질 향상 추구와 함께 인간의 미(美)에 대한 욕구와 관심은 날로 높아져 가고 있는 추세에서, 특히 피부색은 미(美)를 판단하는 한 가지 기준으로 생각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성 화장품이 출시되고 그 중 하나인 미백 관련 제품의 개발이 늘고 있다. 기능성 미백 화장품이란 피부에 과도한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방지하거나, 기존에 침착된 멜라닌 색소의 색을 옅게 하여 기미나 주근깨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가진 화장품을 의미한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melanin), 카로틴(carotene), 각질층의 두께 및 헤모글로빈(hemoglobin)의 양에 따라 결정되는데 피부의 색소 침착은 당사자에게 미관상의 문제뿐 아니라, 자신감 저하, 스트레스, 열등감 등 정신적으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사회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색소 침착의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미백 화장품이 사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미백 제품은 인공 합성 물질로 만들어진 제품으로 유기용매에 의한 피부 자극뿐 아니라 심한 경우 발진을 일으키는 등 부작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회피하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물 유래의 미백활성 소재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만족스러운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험관 내(in vitro)에서는 타이로시나아제 효소 저해활성이 매우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생체 내(in vivo)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가 매우 많다. 따라서, 미백화장품 소재 개발 연구를 위해서는 멜라노좀(Melanosome)까지의 침투능력, 케라틴세포(Keratinocyte)와의 상호관계, 표피 세포의 분화 재생 능력 등 다각적인 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합성 약물의 부작용을 회피할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미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천연물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시험관 내 시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브라피쉬(zebrafish)로부터 수정된 배아를 사용하여, 다양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소재를 검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고분자량 즉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fucoidan)이 멜라닌 생합성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분자량 즉,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분자량 즉,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유효성분으로서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유효성분으로서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푸코이단은 20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고분자량의 푸코이단 즉,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이 우수한 멜라닌 합성 억제를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은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혹은 식품 조성물(즉,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분자량의 푸코이단 처리에 따른 제브라피쉬의 배아에 생기는 점의 수, 크기, 색상의 짙음 정도를 평가한 결과이다.
도 2는 고분자량의 푸코이단 처리에 따른 제브라피쉬의 배아로부터 멜라닌 생합성 양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환산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푸코이단(fucoidan)"은 식용으로 이용하고 있는 미역, 다시마 등의 갈조류에서 발견되는 수용성 식이섬유의 일종으로서, 건조 갈조류당 약 4-5% 함유되어 있으며, 항혈전생성, 항암, 항염증, 항알러지, 항치매, 항바이러스, 항당뇨, 항비만 활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상기 푸코이단은 이를 함유하는 갈조류로부터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일본특허공개 평04-91027 등에 따라 얻을 수 있다. 상기 푸코이단은 황산화된 푸코오즈-함유 다당류(sulfated fucose-containing polysaccharides)로서, 하기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로 L-푸코오즈가 α-1,2 또는 α-1,3 결합으로 된 골격을 갖고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 푸코이단은 글루쿠론산, 갈락토오스, 우론산, 만노스, 자일로스 등과 결합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상기 "푸코이단(fucoidan)"은 상기 형태의 푸코이단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및/또는 식품 조성물은 고분자량 즉, 16 kDa 이상,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0 kDa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팩, 로션, 에센스, 화장수, 파운데이션 및 메이크업 베이스 등의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와 함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으로서 1일 50 내지 1000 mg/kg의 용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일 75 내지 300 mg/kg의 용량으로 적용되기에 적합하도록 제제화될 수 있다. 따라서, 단위 화장료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상기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의 함량은 예를 들어 단위 화장료 당 1 ㎍/ml ∼ 5 g/ml, 바람직하게는 10 ㎍/ml ∼ 1 g/ml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즉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정청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상기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은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 또는 피부 미백을 목적으로, 1일 50 내지 1000 mg/kg의 용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일 75 내지 300 mg/kg의 용량으로 섭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의 미백 활성을 제브라피쉬(zebrafish)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멜라닌 형성이 시작되는 시점의 배아를 얻기 위하여, 제브라피쉬의 성체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를 짝짓기시켜 얻은 수정된 배아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정 후 24시간이 지난 제브라피쉬 양막을 찢어 배아를 얻었다. 수정된 배아를 물에 넣고 배양하였다. 각각의 수정된 배아-함유 배양액을 5개의 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음성 대조군, 제2군은 양성 대조군, 제3군 내지 제5군은 처리군으로 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아무 처리를 하지 않았으며, 양성 대조군은 미백제로 사용되는 알부틴을 20 m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제3군 내지 제5군은 각각 분자량 약 30 kDa의 푸코이단(HMF)을 100 ㎍/ml, 150 ㎍/ml, 및 180 ㎍/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 후, 약 52 시간이 경과한 때에, 제브라피쉬의 등에 나타나는 점의 정도와 크기 및 색상의 짙은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과 같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음성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은 점의 정도나 크기 및 색상에서 미백의 활성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처리한 시험군에서도 음성 대조군에 비해 현저한 미백 활성이 나타났다.
각 시험군에서 얻어진 제브라피쉬를 조직분쇄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1N 수산화나트륨(NaOH)과 다이메틸설폭사이드(dimethylsulfoxide: DMSO)를 첨가하여 멜라닌을 추출하였다. 각 군으로부터 추출된 멜라닌의 농도를 490 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계산하였으며, 음성 대조군 대비 백분율로 환산한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처리한 경우 멜라닌 생성이 약 40% 이하로 감소되었다. 따라서,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은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유효성분으로서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20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3. 유효성분으로서 16 kDa 이상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20 내지 100 kDa의 분자량을 갖는 푸코이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소침착, 주근깨, 기미의 개선용 또는 피부 미백용 식품 조성물.
KR1020120099828A 2012-09-10 2012-09-10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40033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28A KR20140033692A (ko) 2012-09-10 2012-09-10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828A KR20140033692A (ko) 2012-09-10 2012-09-10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692A true KR20140033692A (ko) 2014-03-19

Family

ID=5064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828A KR20140033692A (ko) 2012-09-10 2012-09-10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36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3165A (zh) * 2018-07-27 2021-03-16 Arc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用于治疗纤维性粘连和其他疾病和病症的高分子量褐藻糖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3165A (zh) * 2018-07-27 2021-03-16 Arc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用于治疗纤维性粘连和其他疾病和病症的高分子量褐藻糖胶
CN112513165B (zh) * 2018-07-27 2023-04-25 Arc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用于治疗纤维性粘连和其他疾病和病症的高分子量褐藻糖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6469B1 (ko) 철피석곡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894558A1 (en) Agent for external application to the skin
FR2994387A1 (fr) Ingredient hydratant cosmetique ou pharmaceutique
JPH1121247A (ja) 皮膚賦活剤及びアレルギー抑制剤
JP6246578B2 (ja) 皮膚化粧料
JPH07101871A (ja) 生体ヒアルロン酸合成促進剤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166506B2 (ja) 皮膚外用剤
WO2018083344A1 (fr) Procede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a partir de derives de c-glycosides acides, esters ou amides, et la composition cosmetique les contenant
KR101590965B1 (ko) 옥시레스베라트롤과 디오스신을 포함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716428B1 (ko) 해마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298752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EP3535250A1 (fr) Procede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a partir de derives de c-glycosides amides, et la composition cosmetique les contenant
KR102011654B1 (ko) 굴, 멍게, 해삼, 군소 및 코고동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25559B1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40033692A (ko) 고분자량의 푸코이단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JP2015134737A (ja) 皮膚外用剤
JP2007131602A (ja) 美白用外用剤
KR101993575B1 (ko) 테트라데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피부보습 개선 또는 탄력 증진용 조성물
JP6375087B2 (ja) 化粧料
KR100542446B1 (ko)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0836A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1909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반하수용성분획추출물및이를함유하는기미,주근깨개선및피부미백용조성물
EP1009378A1 (fr) Utilisations d'extraits de la plante rhoeo discolor dans le domaine de la cosmetique et de la pharmacie, notamment de la dermatologie
KR102326086B1 (ko)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