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3360A -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표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표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3360A
KR20140033360A KR1020137028518A KR20137028518A KR20140033360A KR 20140033360 A KR20140033360 A KR 20140033360A KR 1020137028518 A KR1020137028518 A KR 1020137028518A KR 20137028518 A KR20137028518 A KR 20137028518A KR 20140033360 A KR20140033360 A KR 20140033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titanium dioxide
weight
aluminum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250B1 (ko
Inventor
야니네 지크만
폴커 위르겐스
지크프리트 블뤼멜
알렉산더 브라이더
폴커 슈미트
Original Assignee
크로노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로노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크로노스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33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2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6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09C1/3653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09C1/3661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09C1/3653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75Oxides, hydroxides or carbonat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2Structures being applied on the surface by special manufacturing processes, e.g. in presses
    • D21H27/26Structures being applied on the surface by special manufacturing processes, e.g. in presses characterised by the overlay sheet or the top layers of the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01P2004/82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 C01P2004/84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two phases having the same anion, e.g. both oxidic phases one phase coated with the other
    • C01P2004/86Thin layer coatings, i.e. the coating thickness being less than 0.1 time the particle radiu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2L* (lightness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9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modified, e.g. by association with other compositions prior to incorporation in the pulp or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28Colorants ; Pigments or opacifying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 Y10T428/2991Co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및 수성 산화알루미늄을 가진 이산화티타늄의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기 방법은 개선된 그레잉 안정성과 동시에 양호한 휘도 및 불투명도를 가진 안료를 야기한다. 상기 방법은 적어도 8의 pH 값을 가진 TiO2 현탁액에 먼저 인산이 첨가되며, 상기 pH 값이 3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속해서, 알칼리성 알루미늄 화합물이 첨가되며, pH 값은 적어도 5로 상승하고, 후속해서 산성 알루미늄 화합물이 첨가되며 pH 값은 4.5 내지 7로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안료는 장식지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Description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표면 처리 방법{METHOD FOR SURFACE TREATMENT OF A TITANIUM DIOXIDE PIGMENT}
본 발명은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표면 처리 방법, 높은 내광성(그레잉 안정성)을 가진 이산화티타늄 안료 및 장식지의 제조시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장식지는 바람직하게는 가구 표면을 개선하기 위해 그리고 강화 마루에 사용되는 장식의, 열 경화성 코팅 재료의 구성 부분이다. 라미네이트는 예컨대 다수의 함침된, 적층된 종이 또는 종이 및 경질 섬유 판 또는 합판이 서로 가압되는 라미네이트 재료를 말한다. 특별한 수지의 사용에 의해, 라미네이트의 매우 높은 내스크래치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달성된다.
특수지(장식지)의 사용은 장식 표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장식지는 예컨대 보기에 좋지 않은 나무 재료 표면용 커버지 뿐만 아니라 수지용 지지체로서도 사용된다. 장식지에 주어지는 요구들에는 특히 불투명도(커버력), 내광성(그레잉 안정성), 염색 견뢰도, 습윤 강도, 함침 가능성 및 인쇄 가능성이 포함된다.
장식지의 필요한 불투명도를 달성하기 위해, 이산화티타늄 기반의 안료가 특히 적합하다. 종이의 제조시, 일반적으로 이산화티타늄 안료 또는 이산화티타늄 안료 현탁액이 셀룰로오스 현탁액과 혼합된다. 재료, 즉 안료 및 셀룰로오스와 더불어, 일반적으로 보조제, 예컨대 습윤 강도 증강제 및 경우에 따라 다른 첨가제, 예컨대 특정 충전제가 사용된다. 개별 성분들(셀룰로오스, 안료, 보조제, 첨가제, 물)의 상호 작용이 종이 형성에 기여하고 안료의 리텐션을 결정한다. 리텐션은 제조시 종이 내에 모든 무기 재료의 보유력을 의미한다.
장식지에 사용을 위해, 일련의 이산화티타늄 안료가 있다. 중요한 특성에는은 양호한 휘도 및 불투명도와 더불어 내광성이 포함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산화티타늄은 광화학적으로 활성이다. 이산화티타늄 안료를 포함하는 장식지는 UV 선의 작용 하에서 습기 및 산소의 존재시 증가한 그레잉을 갖는다. 내광성은 특히 UV 선의 작용 하에 그레잉에 대한 라미네이트의 내성을 의미한다.
장식지의 내광성(그레잉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이산화티타늄 안료는 통상 알루미늄 화합물로, 특히 알루미늄 포스페이트로 코팅된다.
예컨대, US 5,114,486은 그레잉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아연/알루미늄 포스페이트에 의한 코팅을 개시한다.
US 5,785,748은 알루미늄 포스페이트로 이산화티타늄의 균일한 코팅을 위한 방법을 개시하고, 이 방법에서는 농축된 인산 및 알루미늄 화합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이산화티타늄 현탁액에 첨가되고, 알루미늄 포스페이트는 3.5 이상의 pH 값에서 침전된다.
WO 2004/061013 A2는 장식지에 사용하기 위한 양호한 그레잉 안정성을 갖는 이산화티타늄 안료를 개시하며, 상기 안료는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코팅을 갖고 등전점 및 제타 전위와 관련해서 특히 바람직한 표면 특성을 갖는다. 알루미늄 포스페이트 층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7의 pH 값에서 침전된다.
DE 10 2006 045 244 A1에 따른 상기 방법의 개선 형태에서, 상기 코팅된 안료는 최종적으로 열처리된다.
DE 103 32 650 A1에 따라 높은 그레잉 안정성 및 동시에 개선된 리텐션 및 불투명도를 가진 이산화티타늄 안료가 제조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알루미늄 성분 및 인 성분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적어도 10의 pH 값에서 이산화티타늄 현탁액 내로 첨가된 다음, 알루미늄 포스페이트의 침전을 위해 pH 값이 9 미만으로 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장식지에 사용하기 위해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된 그레잉 안정성 및 변함없이 높은 휘도 및 불투명도를 가진 이산화티타늄 안료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후처리된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적어도 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의 pH 값을 가진, 처리되지 않은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수성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인산 첨가 단계,
c) 알칼리성 알루미늄 화합물 첨가 단계, 및
d) 산성 알루미늄 화합물 첨가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다른 바람직한 방법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제시된다.
본 발명의 대상은 또한 개선된 그레잉 안정성 및 변함없이 높은 휘도 및 불투명도를 가진 안료를 야기하는 이산화티타늄 안료용 후처리 방법, 상기 특성들을 갖는 안료, 및 장식지 제조시 상기 안료의 사용이다.
여기서 그리고 이하에서 "산화물"은 적합한 수성 산화물 또는 수화물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중량% 또는 부피% 등으로 나타낸 pH 값, 온도, 농도에 대한 모든 표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각각의 측정 정확도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값이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특허의 범주에서 "유의 량" 이라는 표현은 측정 정확도의 범주에서 혼합물의 특성이 영향을 받기 시작하는, 성분의 최소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염화물 방법 또는 황산염 방법에 따라 제조된, 미처리된 이산화티타늄 입자들(이산화티타늄-베이스 바디)을 기반으로 한다. 이산화티타늄 입자들은 바람직하게 알루미늄 도핑된다. 염화물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알루미늄 도핑된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특히 적합하다. 알루미늄 도핑의 크기는 바람직하게 Al2O3 로 계산해서 0.5 내지 2.0 중량%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이산화티타늄 입자 표면 상에 경우에 따라 알루미늄옥사이드하이드레이트와 혼합된 알루미늄-인산 화합물로 이루어진 층이 증착된다. 조성은 알루미늄 성분 및 인 성분의 사용량 및 경우에 따라 존재하는 도핑된 Al2O3 의 양에 의존한다. 이하에서, 상기 층은 간단히 알루미늄옥사이드포스페이트 층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미처리된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수성 현탁액을 기반으로 하고, pH 값은 적어도 8,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로 조절된다(단계 a).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현탁액은 미리 교반기 볼 밀에서 습식 그라인딩되며, 이 경우 모래 또는 산화지르코늄과 같은 실제로 공지된 연삭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80℃ 미만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65℃에서, 특히 55 내지 65℃에서 실시된다.
후속해서, 단계 b)에서 인산(H3PO4)이 첨가되고, pH-값이 바람직하게 3 이하, 특히 약 2 이하로 떨어진다. 인산은 바람직하게 약 75%의 농도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인산 첨가 전에 또는 동안 알칼리성 또는 산성 알루미늄 성분, 예컨대 나트륨알루미네이트 또는 알루미늄 설페이트가 현탁액 내로 첨가될 수 있고, 단계 b)의 종료시 pH 값은 바람직하게 3 이하, 특히 약 2 이하이다.
단계 b)의 종료시 미처리된 알루미늄 도핑된 이산화티타늄 입자 중, 알루미늄의 일부가 용해된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약 2의 pH 값에서) 단계 b)의 종료시 베이스 바디의 Al2O3-함량이 1.4 중량%이면, Al2O3 로서 계산해서 약 0.2 중량% 알루미늄의 양이 용해된다.
후속해서, 단계 c)에서 알칼리성 알루미늄 성분,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알루미네이트가 현탁액에 첨가된다. 단계 c)의 종료시 pH-값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5, 특히 적어도 7이다.
후속해서, 단계 d)에서 산성 알루미늄 성분이 첨가되고, pH 값이 4.5 내지 7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의 범위로 조절된다.
방법의 특별한 실시예에서, 단계 e)에서 추가 산화알루미늄 층이 이산화티타늄 입자에, 예컨대 약 5의 고정 pH 값에서 나트륨알루미네이트 및 알루미늄설페이트의 동시 첨가에 의해 제공된다(소위, "고정 pH"-방법).
필요에 따라 최종적으로 단계 f)에서 pH 값이 약 6 내지 7로 조절된다.
단계 b)에서 사용된 인산의 양은 P2O5 로 계산해서 그리고 TiO2 에 대해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이다.
단계 c) 및 d)에서 첨가된 알루미늄 화합물의 총량은 Al2O3 로 계산해서 그리고 TiO2 에 대해 바람직하게 2.5 내지 4.0 중량%이다. 상기 값에는 선택적으로 단계 b) 전에 또는 동안 첨가된 알칼리성 또는 산성 알루미늄 화합물이 산입된다.
단계 b) 내지 단계 e)에서 첨가된 알루미늄 화합물의 총량은 Al2O3 로 계산해서 그리고 TiO2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중량%, 특히 4.0 내지 6.0 중량%이다.
후처리된 TiO2 안료는 당업자게 공지된 여과의 방법에 의해 현탁액으로부터 분리되고, 생긴 필터 케이크는 가용성 염의 제거를 위해 세척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필터 케이크의 잔류 습기가 약 10% 정도 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필터 케이크는 공지된 후처리 방법(예컨대 DE 103 32 650 A1)에서 적어도 58 중량%의 잔류 습기(무어(moore) 여과)를 갖는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52 중량% 이하의 잔류 습기가 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후속 건조 단계에서 물이 더 적게 증발되면 되기 때문에, 큰 경제적인 장점이 얻어진다.
세척된 필터 케이크에는 라미네이트 내의 안료의 내광성을 개선하기 위해 후속하는 건조 전에 또는 중에 니트레이트 함유 화합물, 예컨대 KNO3, NaNO3, Al(NO3)3 가 NO3 로 계산해서 그리고 안료에 대해 0.05 중량% 내지 0.5 중량%의 양으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안료에는 흐름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세스 단계들 중 하나에서, TiO2-안료의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당업자에게 공지된 일련의 유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예컨대 폴리알코올(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네오펜틸글리콜)과 같은 유기 화합물이 첨가된다. 건조 전에 또는 중에 니트레이트 함유 화합물의 첨가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러한 물질의 첨가가 그라인딩 동안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방법의 선택적 실시예에서, 처리된 안료는 약 60 내지 180분 동안 200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에서 열처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안료는 바람직하게 Al2O3 로서 계산해서 3.0 내지 7.0 중량%의 알루미늄 함량 및 P2O5 로 계산해서 1.0 내지 5.0 중량%의 포스페이트 함량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안료는 비교 안료에 비해 개선된 그레잉 안정성 및 변함없이 양호한 휘도 및 불투명도를 가지며 장식지에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또한, 안료 필터 케이크는 DE 103 32 650 A1에 비해 더 낮은 잔류 습기를 갖기 때문에, 더 경제적인 장점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 의해, 장식지에 사용하기 위해 선행 기술에 비해 개선된 그레잉 안정성 및 변함없이 높은 휘도 및 불투명도를 가진 이산화티타늄 안료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이 실시예로 설명되지만, 이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75% H3PO4 형태의 2.5 중량% P2O5가 450 g/l의 TiO2-농도, 1.5 중량% Al2O3 에 따른 알루미늄 도핑 및 10의 pH 값을 가진 염화물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진 습식 그라인딩된 TiO2 현탁액에 공급된다. 이 경우, 약 2의 pH 값이 조절된다. 후속해서, 2.0 중량% Al2O3 가 나트륨알루미네이트로서 공급된다. 이 경우, 약 10의 pH 값이 조절된다. 그 후에, 현탁액은 다음 단계에서 알루미늄설페이트의 첨가에 의해(1.1 내지 1.2 중량% Al2O3) 5의 pH 값으로 조절된다. 후속해서, 2.2 중량% Al2O3 가 알루미늄설페이트 및 나트륨알루미네이트 용액의 동시 첨가의 형태로 혼합됨으로써, pH 값이 유지된다(고정 pH 방법). 후속해서, 현탁액이 알칼리성 나트륨알루미네이트 용액에 의해 5.5 내지 7의 pH 값으로 조절된다.
후처리된 TiO2 현탁액이 여과되고, 세척에 의해 현탁액으로부터 수용성 염이 제거된다. 세척된 필터 페이스트는 NaNO3 로서 약 0.18 중량% NO3 의 첨가 후에 분무 건조기에서 건조된 다음 제트 밀에서 그라인딩된다.
제조된 안료는 산화물의 형태로 표시된 하기 후처리 원소들을 포함한다: 각각 TiO2-베이스 바디에 대해 2.2 중량% P2O5 및 5.8 중량% Al2O3 및 0.18 중량% NO3.
실시예 2
"고정된 pH 방법"의 단계에서 2.2 중량% Al2O3 대신 1.0 중량% Al2O3 가 알루미늄 설페이트 및 나트륨알루미네이트 용액의 동시 첨가의 형태로 혼합된다는 차이점을 가지고,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처리된다.
제조된 안료는 산화물의 형태로 표시된 하기 후처리 원소들을 포함한다: 각각 TiO2-베이스 바디에 대해 2.3 중량% P2O5 및 4.9 중량% Al2O3 및 0.18 중량% NO3.
비교 실시예
나트륨 알루미네이트로서 2.0 중량% Al2O3 가 450 g/l의 TiO2-농도, 1.5 중량% Al2O3 에 따른 알루미늄 도핑 및 10의 pH 값을 가진 염화물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진 습식 그라인딩된 TiO2 현탁액에 공급된다. 이 경우, pH 값 > 12 이 조절된다. 후속해서, 2.5 중량% P2O5 가 디나트륨하이드로겐포스페이트 용액으로서 공급된다. 현탁액의 pH 값은 >12 이다. 현탁액은 다음 단계에서 알루미늄설페이트의 첨가에 의해(2.4 중량% Al2O3) 5의 pH 값으로 조절된다. 후속해서, 0.9 중량% Al2O3 가 알루미늄설페이트 및 나트륨알루미네이트 용액의 동시 첨가의 형태로 혼합됨으로써, pH 값이 5로 유지된다. 후속해서, 현탁액이 알칼리성 나트륨알루미네이트 용액에 의해 6.8의 pH 값으로 조절된다. 후처리된 TiO2 현탁액이 여과되고, 세척에 의해 현탁액으로부터 수용성 염이 제거된다. 세척된 필터 페이스트는 NaNO3 로서 약 0.18 중량% NO3 의 첨가 후에 분무 건조기에서 건조된 다음 제트 밀에서 그라인딩된다.
제조된 안료는 산화물의 형태로 표시된 하기 후처리 원소들을 포함한다: 각각 O2-베이스 바디에 대해 2.1 중량% P2O5 및 6.0 중량% Al2O3 및 0.18 중량% NO3.
테스트 방법 및 테스트 결과
라미네이트 제조(실험실 스케일)
실시예 1 및 2 및 비교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이산화티타늄-안료가 장식지 내로 포함된 다음, 그 광학 특성 및 내광성과 관련해서 가압된 라미네이트에서 분석되었다. 이를 위해, 테스트될 이산화티타늄 안료가 셀룰로오스 내로 포함되었고 약 80 g/㎡ 의 면적 질량 및 약 30 g/㎡의 TiO2-질량 분율을 가진 시트가 제조되었다.
장식지의 광학 특성 및 그에 따라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품질을 판단하기 위해, 동일한 회분 함량의 장식지를 비교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시트 형성에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양을 리텐션에 따라 종이 중의 소정 TiO2-질량 분율, 여기서는 30 g/㎡±1, 또는 소정 면적 중량, 여기서는 80 g/㎡±1에 맞추는 것이 필요하다. 시트의 형성을 위해 이 시험에서는 1.65 g 셀룰로오스(오븐 건조)가 기초가 되었다. 조치들 및 사용된 보조제들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그 다음에, 시트의 이산화티타늄 함량(회분 [%])이 측정되었다. 이산화티타늄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제조된 종이의 규정된 중량이 소각로에서 900℃로 소각되었다. 잔류물의 결과 중량에 대해 TiO2 의 질량 분율(회분 [%])이 계산된다. 회분 함량의 계산을 위해 하기식이 기초가 된다:
회분 함량[g/㎡]= (회분([%]x 면적 중량[g/㎡])/100[%].
종이의 후속 처리는 함침 및 가압에 의한 라미네이트의 형성을 포함한다. 레진 코팅될 시트는 멜라민 수지 용액 내로 완전히 침지된 후에, 특정 수지 도포를 보장하기 위해 2개의 닥터 블레이드 사이로 당겨지고, 공기 순환 캐비넷 건조기에서 130℃로 예비 축합되었다. 수지 도포는 시트 중량의 110 내지 140% 였다. 시트는 5.7 내지 6.2 중량%의 잔류 습기를 가졌다. 축합된 시트는 페놀 수지로 함침된 중심 종이 및 흰색 또는 검은 색 밑깔개 종이와 함께 놓여 프레스 패킷을 형성한다.
광학 특성의 측정을 위해, 프레스 패킷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장식지, 흰색 또는 검은 색 밑깔개 종이, 6 시트 중심 종이, 흰색 또는 검은 색 밑깔개 종이, 장식 종이.
그레잉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해, 프레스 패킷이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장식 종이, 5 시트 중심 종이, 흰색 밑깔개 종이.
패킷의 가압은 Wickert Laminat-Press 타입 2742에 의해 140℃의 온도 및 90 바아의 압력에서 300 초의 프레스 시간 동안 이루어진다.
테스팅
라미네이트의 광학 특성 및 그레잉 안정성의 측정은 통상적인 장치(분광 광도계, Xeno 테스트 장치)에 의해 이루어졌다. 라미네이트 재료의 광학 특성을 판단하기 위해, DIN 6174에 따른 색가(CIELAB L*, -a*, -b*)가 흰색 또는 검은 색 밑깔개 종이 위에서 ELREPHO® 3300-색 측정 장치에 의해 결정된다.
휘도에 대한 척도로서 흰색 밑깔개 종이(L*weiss) 위의 CIELAB 색가 L*이 사용되었다.
불투명도는 종이의 광 투과성에 대한 척도이다. 라미네이트의 불투명도에 대한 척도로서 하기 값이 선택되었다: 검은 색 밑깔개 종이 위에서 측정된 라미네이트의 휘도 CIELAB L*schwarz, 및 검은 색 밑깔개 종이(Yschwarz) 위에서 측정된 Y-값 및 흰색 밑깔개 종이(Yweiss) 위에서 측정된 Y-값으로부터 결정된 불투명도 값 L[%] = Yschwarz/Yweiss x 100. 2개의 값, 즉 CIELAB L*schwarz 및 L[%] 은 30.0 g/㎡의 회분 함량에 대해 정규화된다. 이산화티타늄-안료 또는 이산화티타늄 안료 혼합물의 그레잉 안정성(내광성)을 판단하기 위해, 상응하는 라미네이트 패턴이 XENOTEST® 알파에서 노광된다. DIN 6174에 따른 색가 CIELAB L*, a* 및 b*가 XENOTEST® 알파에서 96 시간 노광의 지속 시간 전 및 후에 측정되었다. 광원은 70 W/㎡의 방사선 강도를 가진 크세논 램프이다. 장치의 시연실에서의 온도는 45℃이고, 상대 습도는 30%이다. 시편은 "Wendelauf"에서 노광된다. 그레잉 안정성에 대한 척도로서 ΔL* = L*vorher - L*nacher 및 ΔE=((ΔL*)2 + (Δa*)2+(Δb*)2)1/2 이 제시되었다.
테이트 결과
표는 본 발명에 따른 안료(실시예 1 및 2) 및 비교 안료(비교 실시예)로 제조된 라미네이트의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로 제조된 라미네이트는 선행 기술에 따라 제조된 안료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에 비해 훨씬 더 높은 그레잉 안정성 및 동일한 휘도 및 불투명도를 갖는다.
Figure pct00001

Claims (13)

  1. 후처리된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제조 방법으로서,
    a) 적어도 8의 pH 값을 가진, 처리되지 않은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수성 현탁액을 준비하는 단계,
    b) 인산 첨가 단계,
    c) 알칼리성 알루미늄 화합물 첨가 단계, 및
    d) 산성 알루미늄 화합물 첨가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 상기 현탁액의 pH 값이 적어도 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단계 b)의 종료시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pH 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
    단계 c)의 종료시 적어도 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의 pH 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
    단계 d)의 종료시 4.5 내지 7,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의 pH 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
    단계 b)의 전에 또는 동안에 알칼리성 또는 산성 알루미늄 화합물이 첨가되고, 단계 b)의 종료시 3 이하, 바람직하게는 2 이하의 pH 값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
    단계 e)에서 산화알루미늄 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층이 약 5의 고정 pH 값에서 나트륨알루미네이트 및 알루미늄설페이트의 동시 첨가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
    단계 b) 내지 단계 e)에서 첨가된 알루미늄 화합물의 합이 Al2O3 로 계산해서 3.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
    첨가된 인산의 양이 P2O5 로 계산해서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 특히 2.0 내지 3.0 중량%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상기 라미네이트 내의 내광성을 개선하기 위해 니트레이트로 처리됨으로써, 완성된 안료가 0.5 중량% 까지 NO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12. 이산화티타늄 안료로서,
    a) 적어도 8의,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의 pH 값을 가진, 처리되지 않은 이산화티타늄 입자의 수성 현탁액의 준비,
    b) 인산의 첨가,
    c) 알칼리성 알루미늄 화합물의 첨가, 및
    d) 산성 알루미늄 화합물의 첨가에 따라 후처리되고,
    알루미늄 함량이 Al2O3 로 계산해서 3.0 내지 7.0 중량%이고, 포스페이트 함량이 P2O5 로 계산해서 1.0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티타늄 안료.
  13. 장식지의 제조시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 항에 따른 표면 처리된 이산화티타늄-안료의 용도.
KR1020137028518A 2011-04-01 2012-03-21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표면 처리 방법 KR1019002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15856.1 2011-04-01
DE102011015856A DE102011015856A1 (de) 2011-04-01 2011-04-01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eines Titandioxid-Pigments
PCT/EP2012/001229 WO2012130408A1 (de) 2011-04-01 2012-03-21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eines titandioxid-pig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360A true KR20140033360A (ko) 2014-03-18
KR101900250B1 KR101900250B1 (ko) 2018-09-20

Family

ID=4593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518A KR101900250B1 (ko) 2011-04-01 2012-03-21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표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8641870B2 (ko)
EP (1) EP2694599B1 (ko)
JP (1) JP5931172B2 (ko)
KR (1) KR101900250B1 (ko)
CN (1) CN103476877B (ko)
AU (1) AU2012237486B2 (ko)
BR (1) BR112013025092B1 (ko)
DE (1) DE102011015856A1 (ko)
ES (1) ES2633855T3 (ko)
MX (1) MX2013011383A (ko)
MY (1) MY162885A (ko)
PL (1) PL2694599T3 (ko)
RU (1) RU2586563C2 (ko)
SA (1) SA112330411B1 (ko)
SI (1) SI2694599T1 (ko)
TW (1) TWI608058B (ko)
UA (1) UA113054C2 (ko)
WO (1) WO20121304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13261B (zh) 2012-06-29 2018-02-01 克洛諾斯國際有限公司 將無機色素粒子作表面處理的方法
US10094069B2 (en) 2013-01-09 2018-10-09 The Chemours Company Fc, Llc Process for making a décor paper having improved optical performance
JP6240219B2 (ja) * 2013-01-09 2017-11-29 ザ ケマーズ カンパニー ティーティ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処理済無機粒子を含む、光学性能を改善した装飾紙
CN105504885A (zh) * 2014-09-26 2016-04-20 河南佰利联化学股份有限公司 一种金红石型造纸专用钛白粉的制备方法
EP3199595A1 (de) 2016-01-27 2017-08-02 Kronos International, Inc. Herstellung von titandioxidpigment nach dem sulfatverfahren mit enger partikelgrössenverteilung
DE102016003526A1 (de) 2016-03-22 2017-09-28 Janet Arras Straßenfahrbahnmarkierung mit großer Performance und Verfahren zur Anwendung
DE102017006843A1 (de) 2017-07-19 2019-01-24 Janet Arras Multifunktionale Straßenfahrbahnmarkierung mit großer Performanz und Verfahren zur Anwendung
DE102017006842A1 (de) 2017-07-19 2019-01-24 Janet Arras Ausstattungen zur Sicherheit im Straßenverkehr mit großer Performanz und Verfahren zur Anwendung
WO2019016274A1 (de) 2017-07-19 2019-01-24 Arras Janet Oberflächen-funktionalisierter luminophor, zusammensetzung und gehärtete zusammensetzung umfassend dergleichen und verwendung dergleich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umineszenz-markierten artikels
MX2020013967A (es) * 2018-06-19 2021-06-15 Tronox Llc Pigmento de dioxido de titanio tratado, proceso para hacerlo y uso del mismo en la fabricacion de papel.
CN108997789B (zh) * 2018-09-05 2020-11-17 攀枝花大互通钛业有限公司 一种复合改性钛白粉及其制备方法
EP3626885A1 (en) * 2018-09-21 2020-03-25 Kronos International, Inc. Laminate pigment with spacing properties and high uv-greying stability
CN113999545A (zh) * 2021-12-02 2022-02-01 攀钢集团重庆钛业有限公司 一种高耐光性装饰纸用钛白粉及其制备方法
EP4190969A1 (en) 2021-12-06 2023-06-07 Kronos International, Inc. Composite material comprised of undried, coated titanium dioxide particles and nanocellulo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2650A1 (de) * 2003-07-18 2005-02-10 Kronos International, Inc.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eines Titandioxid-Pigments
US20070068423A1 (en) * 2005-09-27 2007-03-29 Thiele Erik S Titanium dioxide pigment useful in paper laminat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0749B2 (ja) * 1976-03-12 1984-07-28 石原産業株式会社 二酸化チタン顔料組成物及びその製法
JPS6248775A (ja) * 1985-08-26 1987-03-03 Ishihara Sangyo Kaisha Ltd グラビアインキ組成物
GB9007602D0 (en) 1990-04-04 1990-05-30 Tioxide Group Plc Pigments
FR2727125B1 (fr) * 1994-11-23 1999-01-29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traitement de pigments de dioxyde de titane, nouveau pigment de dioxyde de titane et son utilisation dans la fabrication du papier
GB9514388D0 (en) 1995-07-13 1995-09-13 Tioxide Group Services Ltd Titanium dioxide pigments
JP3894597B2 (ja) * 1996-09-04 2007-03-22 石原産業株式会社 超微粒子酸化チタ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36366A1 (de) * 2002-08-08 2004-02-19 Kronos International, Inc.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eines Titandioxid-Pigments
JP2006512461A (ja) * 2002-12-30 2006-04-13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ペーパーラミネートで有用な水分散性二酸化チタン顔料の製造方法
DE102006045244A1 (de) 2005-09-27 2007-05-2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 Wilmington Titandioxid-Pigment und dieses enthaltende Papierschichtstoffe
US7842131B2 (en) * 2006-01-30 2010-11-30 Kronos International Inc High opacity TiO2 pigment and production method
DE102006004344B4 (de) * 2006-01-30 2008-11-13 Kronos International, Inc. Titandioxid-Pigment mit hoher Opazit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06012564B4 (de) * 2006-03-16 2008-11-06 Kronos International, Inc. Mit Mikrohohlkugeln beschichtetes Titandioxid-Pig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32650A1 (de) * 2003-07-18 2005-02-10 Kronos International, Inc.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eines Titandioxid-Pigments
JP2006528249A (ja) * 2003-07-18 2006-12-14 クローノス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酸化チタン顔料を表面処理するための方法
US20070068423A1 (en) * 2005-09-27 2007-03-29 Thiele Erik S Titanium dioxide pigment useful in paper laminat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6-528249호(2006.12.1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3025092A2 (pt) 2017-10-17
ES2633855T3 (es) 2017-09-25
JP2014514391A (ja) 2014-06-19
EP2694599A1 (de) 2014-02-12
RU2013148886A (ru) 2015-05-10
RU2586563C2 (ru) 2016-06-10
US8641870B2 (en) 2014-02-04
PL2694599T3 (pl) 2017-10-31
WO2012130408A1 (de) 2012-10-04
SA112330411B1 (ar) 2015-07-09
JP5931172B2 (ja) 2016-06-08
SI2694599T1 (sl) 2017-09-29
AU2012237486B2 (en) 2015-11-12
UA113054C2 (xx) 2016-12-12
US20120247702A1 (en) 2012-10-04
TW201247790A (en) 2012-12-01
CN103476877A (zh) 2013-12-25
CN103476877B (zh) 2016-05-18
KR101900250B1 (ko) 2018-09-20
MX2013011383A (es) 2014-04-30
AU2012237486A1 (en) 2013-09-19
MY162885A (en) 2017-07-31
EP2694599B1 (de) 2017-05-17
BR112013025092B1 (pt) 2021-03-23
DE102011015856A1 (de) 2012-10-04
TWI608058B (zh) 201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250B1 (ko) 이산화티타늄 안료의 표면 처리 방법
JP4638733B2 (ja) 二酸化チタン顔料の表面処理方法
TWI417349B (zh) 具高不透明度的二氧化鈦色素及其製造方法
JP5090735B2 (ja) 二酸化チタン顔料を表面処理するための方法
KR102016900B1 (ko) 무기 입자의 표면 처리 방법
AU2019341503B2 (en) Laminate pigment with spacing properties and high UV-greying 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