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612A - 파이프 취부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취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612A
KR20140032612A KR1020120099048A KR20120099048A KR20140032612A KR 20140032612 A KR20140032612 A KR 20140032612A KR 1020120099048 A KR1020120099048 A KR 1020120099048A KR 20120099048 A KR20120099048 A KR 20120099048A KR 20140032612 A KR20140032612 A KR 20140032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in
pipe
pipes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603B1 (ko
Inventor
강병주
박성국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603B1/ko
Publication of KR20140032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23K37/053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external pipe alignment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25B5/147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for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04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3K2101/10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파이프 취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주면에 복수개의 가이드 체결홈을 구비하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환형 플랜지부; 및 일측에는 가이드 체결홈으로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끼움결합부가 다단지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취부되는 제 1, 2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취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취부 장치 {PIPE FIT-UP DEVICE}
본 발명은 파이프 취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 용접시 파이프의 정렬 상태를 확인 및 정정하기 위한 파이프 취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이프를 용접 이음하는데 있어서 우수한 용접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는 두 파이프 간의 위치나 갭을 맞추는 작업이 요구되며,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이 용접 전 파이프의 위치나 갭을 맞추는 작업을 취부(fit-up) 작업이라고 일컫는다. 파이프 취부 작업시에는 용접되는 두 파이프의 중심을 맞추거나 용접에 필요한 갭을 일정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지그장비나 정렬기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일 예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9416호에서는 상기와 같은 파이프 취부 작업에 사용되는 파이프 취부 장치를 개시하고 있는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파이프 취부용 지그장비 등은 복잡한 구조로 단가가 높고 사용이 어려울뿐더러, 중량물로서 운반이나 보관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일정한 규격의 파이프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각 파이프의 규격마다 각각의 지그장비를 갖춰야 하였으며, 이로 인해, 취부 작업에 다수의 지그장비가 필요하게 되고,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9416호 (2009년 04월 22일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에 호환 가능하며, 간소화된 구조로 사용이 간편한 파이프 취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주면에 복수개의 가이드 체결홈을 구비하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환형 플랜지부; 및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체결홈으로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끼움결합부가 다단지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취부되는 제 1, 2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취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체결홈은, 상기 환형 플랜지부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 플랜지부는, 제 1, 2 플랜지부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2 플랜지부는 각각 양단에 볼팅결합부를 구비하고 상호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핀체결홀이 가로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체결홀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 1, 2 파이프 간의 갭을 측정 또는 형성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핀체결홀은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핀체결홀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끼움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는 일측이 다단지게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통하여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 취부 작업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는 제작이 용이하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며, 가이드핀을 통해 취부되는 파이프 간의 갭 또한 간편하게 측정, 검사 등이 가능하여, 파이프 취부 작업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취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취부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취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환형 플랜지부(110) 및 복수개의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환형 플랜지부(110)는 전체적으로 원형 고리 또는 링(ring) 형태를 이루며, 적어도 일측이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환형 플랜지부(110)가 제 1 플랜지부(111) 및 제 2 플랜지부(112)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제 1, 2 플랜지부(111, 112)는 각각 양단에 볼팅결합부(113)를 구비하고, 상호 볼팅 결합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환형 플랜지부(110)는 셋 이상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2 플랜지부(111, 112)는 볼팅 결합 이외에 핀 결합, 힌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환형 플랜지부(110)가 제 1, 2 플랜지부(111, 112)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환형 플랜지부(11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체결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2 플랜지부(111, 112)의 내주면에는 각각 복수개의 가이드 체결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 체결홈(114)에 후술할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체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가이드 체결홈(114)에는 가이드 플레이트(120)에 마련된 끼움결합부(121)가 삽입 체결되게 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체결홈(114)의 폭은 가이드 플레이트(120) 또는 끼움결합부(121)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체결홈(114)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후술할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셋 이상의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구비된 경우 원활하게 파이프 정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바, 가이드 체결홈(114)은 셋 이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각각의 가이드 체결홈(114)에 모두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체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 바, 가이드 체결홈(114)의 개수는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개수보다 많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체결홈(114)은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개수보다 많은 수가 환형 플랜지부(110) 또는 제 1, 2 플랜지부(111, 112)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취부되는 파이프의 형태나 외경, 체결되는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개수 등에 따라 작업자가 다수의 가이드 체결홈(114) 중 일부 가이드 체결홈(114)에 선택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체결시킬 수 있어, 작업상황에 따른 폭넓은 활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일측이 가이드 체결홈(114)에 끼움 결합되고, 타측이 취부되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파이프 정렬을 수행하게 된다.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다방향에서 파이프를 지지 및 정렬할 수 있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세 방향에서 파이프를 지지 및 정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셋 이상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120)는 각각 상이한 위치의 가이드 체결홈(114)에 체결되어 파이프를 지지 및 정렬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 1 내지 4 가이드 플레이트(120a, 120b, 120c, 120d)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였는 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하면, 제 1 가이드 플레이트(120a)는 제 1 플랜지부(111)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체결홈(114a)으로 체결되고, 제 2 가이드 플레이트(120b)는 제 1 가이드 체결홈(114a)과 소정간격 이격된 제 2 가이드 체결홈(114b)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 3, 4 가이드 플레이트(120c, 120d)는 각각 제 2 플랜지부(112)에 형성된 제 3, 4 가이드 체결홈(114c, 114d)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내지 4 가이드 플레이트(120a, 120b, 120c, 120d)는 취부되는 파이프의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파이프를 지지 및 정렬시키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120)에 대해 부연 설명하면,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제 1 내지 3 끼움결합부(121a, 121b, 121c)가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각 끼움결합부(121)는 제 1, 2 플랜지부(111, 112)에 형성된 가이드 체결홈(114)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끼움결합부(121)는 다단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일측은 다단 형태 또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복수개의 끼움결합부(121)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각 끼움결합부(121)의 일측단에서 파이프에 접촉되는 타측단까지의 가로방향 길이(L1, L2, L3)는 각각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취부되는 파이프의 규격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제 1, 2 플랜지부(111, 112)에 끼움 결합되는 위치를 달리하여,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에 호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한 설명에서 부연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끼움결합부(121)가 형성된 반대측에는 파이프에 접촉되는 접촉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부(122)는 정렬되는 제 1, 2 파이프의 외주면에 모두 밀착될 수 있도록 세로 방향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파이프에 접촉시 긁힘 등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패드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으로 파이프가 원통형으로 형성됨을 감안하여, 접촉부(122)는 파이프의 외주면에 대응되도록 소정정도의 곡률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취부되는 제 1, 2 파이프 간의 갭(gap)을 측정 및 검사하기 위한 가이드핀(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핀(13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또는 핀(pin)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일측에서 반대측으로 가로방향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최대 가로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가이드핀(130)의 체결을 위하여, 각 가이드 플레이트(120)에는 가로방향으로 핀체결홀(1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핀체결홀(123)은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핀체결홀(123)은 각각 복수개의 끼움결합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핀체결홀(123a)은 제 1 끼움결합부(121a)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제 2 핀체결홀(123b)은 제 2 끼움결합부(121b)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제 3 핀체결홀(123c)은 제 3 끼움결합부(121c)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로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끼움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가이드핀(130)이 각 핀체결홀(123)로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취부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3 및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제 1 파이프(P1)와 제 2 파이프(P2)를 맞대기 용접(butt welding)시키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작업자는 먼저 제 1, 2 플랜지부(111, 112)에 형성된 가이드 체결홈(114)에 각각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끼움 결합시킨다.
이때, 취부되는 제 1, 2 파이프(P1, P2)의 외경 크기에 따라, 작업자는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끼움 결합되는 부위를 달리 할 수 있다. 즉, 제 1, 2 파이프(P1, P2)의 외경이 큰 경우, 작업자는 가이드 플레이트(120) 하단의 제 1 끼움결합부(121)를 가이드 체결홈(114)에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제 1, 2 파이프(P1, P2)의 외경이 작은 경우, 정도에 따라 작업자는 제 2 끼움결합부(121) 또는 제 3 끼움결합부(121)를 가이드 체결홈(114)에 체결시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보다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 취부 작업에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장착되면, 작업자는 가이드 플레이트(120)가 장착된 제 1, 2 플랜지부(111, 112)을 볼팅결합부(113)를 통해 제 1, 2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체결시킨다. 이때, 각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접촉부(122)는 제 1, 2 파이프(P1, P2)의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제 1, 2 파이프(P1, P2)의 위치가 정렬되게 된다.
또한, 용접시 제 1, 2 파이프(P1, P2) 간의 갭이 요구되는 경우, 작업자는 각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핀체결홀(123)로 가이드핀(130)을 삽입하여 제 1, 2 파이프(P1, P2) 간의 갭을 측정 및 검사하거나, 제 1, 2 파이프(P1, P2) 간에 갭을 형성할 수 있다. 핀체결홀(123)로 삽입된 가이드핀(130)은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단부가 제 1, 2 파이프(P1, P2) 사이로 노출되게 된다. 한편, 제 1, 2 플랜지부(111, 112)를 제 1, 2 파이프(P1, P2)에 체결 및 고정시킬 때에는, 상기와 같이 가이드핀(130)의 단부가 제 1, 2 파이프(P1, P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적절히 높이를 조절하여 체결 및 고정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이드핀(130)이 삽입되는 위치를 작업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20)의 외면에는 각 핀체결홀(123)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시선(S, 도 2 참고)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 1, 2 파이프(P1, P2)의 위치나 갭이 정렬되면, 작업자는 각 가이드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을 통해 가용접(tack welding)을 수행하고, 파이프 취부 장치(100)를 제거한 후, 본용접(regular welding)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일측이 다단지게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120)를 통하여 다양한 규격의 파이프 취부 작업에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제작이 용이하고,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취부 장치(100)는 가이드핀(130)을 통해 취부되는 파이프 간의 갭 또한 간편하게 측정, 검사 등이 가능하여, 파이프 취부 작업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파이프 취부 장치 110: 환형 플랜지부
120: 가이드 플레이트 130: 가이드핀

Claims (5)

  1. 내주면에 복수개의 가이드 체결홈을 구비하며,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환형 플랜지부; 및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체결홈으로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끼움결합부가 다단지게 형성되고, 타측에는 취부되는 제 1, 2 파이프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파이프 취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체결홈은, 상기 환형 플랜지부의 내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된 파이프 취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형 플랜지부는, 제 1, 2 플랜지부로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2 플랜지부는 각각 양단에 볼팅결합부를 구비하고 상호 볼팅 결합되는 파이프 취부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핀체결홀이 가로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핀체결홀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 1, 2 파이프 간의 갭을 측정 또는 형성하는 가이드핀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취부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핀체결홀은 복수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핀체결홀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끼움결합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파이프 취부 장치.
KR1020120099048A 2012-09-07 2012-09-07 파이프 취부 장치 KR101399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48A KR101399603B1 (ko) 2012-09-07 2012-09-07 파이프 취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048A KR101399603B1 (ko) 2012-09-07 2012-09-07 파이프 취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612A true KR20140032612A (ko) 2014-03-17
KR101399603B1 KR101399603B1 (ko) 2014-05-27

Family

ID=50644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048A KR101399603B1 (ko) 2012-09-07 2012-09-07 파이프 취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6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4555A (zh) * 2016-12-22 2017-05-10 安徽伟宏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栓钉焊接辅助定位工装
CN109623187A (zh) * 2019-01-02 2019-04-16 江苏新天宝机械有限公司 一种筒体合拢缝组对焊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104B1 (ko) 2006-12-20 2007-07-12 웰텍 주식회사 현장공사의 티그(tig) 자동 용접 장치 및 방법
KR100898720B1 (ko) 2007-08-10 2009-05-25 웰텍 주식회사 포터블 타입 티그(tig) 자동용접장비를 포함한 강관연결시공방법
KR101055347B1 (ko) * 2011-01-17 2011-08-08 (주)대우건설 모듈러 충전 강관 조립을 위한 용접용 가이드웨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24555A (zh) * 2016-12-22 2017-05-10 安徽伟宏钢结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栓钉焊接辅助定位工装
CN109623187A (zh) * 2019-01-02 2019-04-16 江苏新天宝机械有限公司 一种筒体合拢缝组对焊接装置
CN109623187B (zh) * 2019-01-02 2020-09-04 江苏新天宝机械有限公司 一种筒体合拢缝组对焊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603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85577A1 (en) Cable fixing member
KR101399603B1 (ko) 파이프 취부 장치
JP2014535015A (ja) 建設機械の油圧配管固定装置
WO2012022606A3 (de) Kupplungsbohrungs-bearbeitungsvorrichtung
JP2020185603A (ja) 鋼管位置合わせ治具
JP2010525253A5 (ko)
US9091384B2 (en) Pipe jack
US20130142569A1 (en) Anti-rotation cable restraint for connecting flexible ducts
KR101661999B1 (ko) 파이프 플렌지 용접 변형 방지 장치
JP2012161224A (ja) 仮連結機能を有するスライド式バーニヤ金具とその長さ調節方法
JP5131922B2 (ja) 部品供給テープのスプライシング装置
KR20130003082U (ko) 파이프 커플링 지그
JP2013234021A (ja) エレベータのガイドレール
KR101868690B1 (ko) 용접용 지그
JP2010209972A (ja) ヘッダー固定具、及び、ヘッダー固定構造
JP2012122979A (ja) 計測治具および配管の断面形状計測方法
KR101792752B1 (ko) 잭업 레그 결합용 보조장치
KR20150000447U (ko) 선박용 파이프의 임시 용접 장치
KR20110019611A (ko) 흡기 매니폴드와 egr 파이프의 연결 장치
JP5291498B2 (ja) ヘッダー固定具、及び、ヘッダー固定構造
KR20150004588U (ko) 파이프 설치 작업용 지그
JP6855345B2 (ja) サドル
WO2013080423A1 (ja) 取付具
CN207415283U (zh) 利乐包加工设备用横封拆卸扳手
JP2010156423A (ja) 配管用レ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