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2363A - 형광투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형광투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2363A
KR20140032363A KR1020137017677A KR20137017677A KR20140032363A KR 20140032363 A KR20140032363 A KR 20140032363A KR 1020137017677 A KR1020137017677 A KR 1020137017677A KR 20137017677 A KR20137017677 A KR 20137017677A KR 20140032363 A KR20140032363 A KR 20140032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ing system
control
range
fluoroscopy
step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5090B1 (ko
Inventor
로맹 자비에 아레스트
비벡 와림베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2/986,673 external-priority patent/US8681942B2/en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40032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2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1Displaying means of special intere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8Diagnostic techniques
    • A61B6/486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 A61B6/487Diagnostic techniques involving generating temporal series of image data involving fluorosco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X선 발생기, 검출기, 및 상기 검출기에 커플링된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회로는 형광투시 이미징 동작 중에 검출기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신호를 프로세스하고, 프로세스된 디지털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모니터로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은 형광투시 이미징 동작 중에 디지털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 또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디폴트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세팅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형광투시 시스템 및 방법{FLUOROSCOPY SYSTEMS AND METHODS}
본원에 개시된 청구 대상은 X선 이미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은 이미징 동작 중에 비디오로서 보여질 수 있는 환자의 해부학적 조직(또는 움직이거나 또는 움직이지 않는(inanimate) 피검자의 내부 피처(feature))의 X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한 형광투시 시스템은, 혈관 조영술(angiographic) 시술, 위장 내의(gastrointestinal) 시술, 심장(cardiology) 시술 등과 같은, 매우 다양한 의료적인 시술 중에 환자의 해부학적 조직을 관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적용예에서 이용된다. 임상적인(clinical) 적용예에 따라서, 전형적으로 방사선 기사(radiologist)가 이미징 시스템의 셋업과 관련되는 복수의 시스템 매개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선택된 모드는 환자에게 노출되는 X선 선량(dose), 디스플레이 상에서 얻어지는 이미지 품질 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러한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시술이 다양하기 때문에, 고정된 값으로 시스템에 의해서 미리 세팅된 이미징 매개변수는 실시되는 이미징 동작에 대해서 최적이 되지 못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미징 동작의 일부에 대해서 적합한 이미징 매개변수 값이 동일한 동작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전통적인 시스템은, 시스템의 제어 패널 상에 배치된 제어부의 각각에 대해서 주어진 고정된 범위 및 스텝(step) 크기를 제공함으로써, 이미징 동작 중에 조작자가 조정할 수 있게 허용한다. 그러나, 모든 조작자 및 시술에 대해서 동일하게 유지되는 미리 세팅된 범위 및 스텝 크기는, 이미징 동작 중에 이미징 매개변수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자의 능력을 여전히 제한한다. 따라서, 그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개선된 형광투시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은 피검자의 제 1 측부(side)에 배치되고, X선을 발생시켜 X선을 피검자를 향해서 투사하도록 구성된 X선 발생기를 포함한다. 이미징 시스템은 또한 피검자의 제 1 측부에 반대되는 피검자의 제 2 측부 상에 배치되고, 피검자에 의해서 감쇠된(attenuated) 후의 X선 발생기로부터의 X선을 수신하고 감쇠된 X선을 피검자 피처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기를 포함한다. 또한, 이미징 시스템은 검출기에 커플링되며, 또한 검출기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신호를 프로세스하고, 프로세스된 디지털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모니터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이미징 시스템은 디지털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 또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디폴트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세팅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은 피검자의 제 1 측부 상에 배치되고, X선을 생성하는 X선 공급원, 및 피검자의 제 1 측부에 반대되는 피검자의 제 2 측부 상에 배치되고, 피검자에 의해서 감쇠된 후의 X선을 수신하고 수신된 X선을 피검자 피처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X선 검출기를 포함한다. 이미징 시스템은 또한 X선 공급원 및 X선 검출기에 커플링되며, 검출기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피검자 피처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디지털 신호를 프로세스하고, 그리고 X선 공급원, X선 검출기, 및/또는 디지털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이미징 시스템은 X선 공급원, X선 검출기, 또는 디지털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가능한 제어부의 범위는 설정가능하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이미징 동작을 위한 현재 이미징 동작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선택된 현재의 이미징 모드에 기초하여 이미징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하는 단계,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를 사용자가 세팅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그리고 다른 특징, 양태,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할 때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도면 전체를 통해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이미징 동작을 통한 환자의 해부학적 조직을 연속적으로 이미징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형광투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동작될 수 있는 형광투시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형광투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도 2의 제어 회로에 의해서 채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사용자 선택 모드에 기초하여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하기 위해서 제어부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설정가능한 조정부를 포함하는 제어 패널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높은 순간적인(temporal) 해상도로 이미징 시술 중에 환자의 해부학적 조직과 같은 관심 피검자의 내부 피처를 관찰하기 위한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는 조작자가 설정가능한 조정부를 통해서 형광투시 동작 중에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피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러한 설정가능한 조정부는 형광투시 시스템의 제어 패널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 또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디폴트값 중 하나 이상이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조작자가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 또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디폴트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세팅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를 약 10%까지 그리고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를 0% 내지 100% 까지 자동적으로 세팅할 수도 있다. 즉, 범위, 스텝 크기, 및 디폴트값이 조작자의 입력이 없이 미리 규정되고 고정된 전통적인 시스템에 대비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동작이 실시되는 동안에 주어진 동작에 대해서 적절한 적합한 값을 자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한편,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주어진 동작에 대해서 적절하게 그러한 값을 변경할 수 있는 능력을 조작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전통적인 적용예에서, 방사선 기사가, 상이한 범위, 스텝 크기, 및/또는 디폴트값이 요구될 수 있는 상이한 시술 사이에서 전환(transition)할 수도 있다. 그러한 적용예에서, 형광투시 동작 중에 그러한 매개변수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것 및/또는 형광투시 동작 중에 방사선 기사가 그러한 매개변수를 동적으로(dynamically) 변경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조작자에게 증가된 탄력성(flexibility)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조작자가 획득 이미지를 보다 최적화할 수 있게 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는 일반적인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내용으로 설명되며, 여기에서 환자는 이미징 시술 중에 X선으로 이미지화되어 조작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징 시퀀스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플로우(예를 들어, 초당 30 프레임)를 생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바륨 삼킴(barium swallow) 검사를 위한 기록형(recorded) 형광투시 시스템, 위치결정(positioning) 시술(예를 들어, 혈관 조영술 시술 중에 카테터의 진행)을 위한 미기록형 형광투시 시스템, 조합된 기록형 및 미기록형 형광투시 시스템(예를 들어, 진단을 위한 미기록형 형광투시를 이용한 위장 형광투시 및 문서화(ducumentation)를 위한 기록형 형광투시) 등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형광투시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사실상, 설정가능한 조정부 및 설정가능한 조정부를 제어하는 방법의 실시예가 임의의 적합한 방사선 사진 또는 형광투시 시스템에서 적용될 수 있으며, 미기록형 형광투시로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이미징 동작을 통해서, 의료적인 또는 스크리닝 콘텍스트(screening context)에서 인간 피검자 또는 환자(12)의 해부학적 조직과 같은, 피검자의 내부적인 피처를 연속적으로 이미지화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형광투시 시스템(10)을 도시한다. 도시된 형광투시 시스템(10)은 콜리메이터(16), 포트(17) 및 필터(미도시)를 가지는 X선 튜브(14), 환자가 위치되는 테이블(18), 이미징 콘솔(console)(20), 이미지 증강장치(intensifier)(22), 카메라(24), 및 모니터(26)를 포함한다. 이미징 콘솔(20)은 제 1 제어 패널(30) 및 제 2 제어 패널(32)을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8)를 포함한다. 제 1 제어 패널(30)은 디스플레이(34) 및 복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36)를 포함한다. 제 2 제어 패널(32)은 디스플레이(38) 및 설정가능한 조정부(40 및 42)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 각각은 매개변수 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모니터(26)는 또한 이미징 동작 중에 이미지의 시퀀스를 조작자에게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44)를 포함한다.
동작 중에, X선 공급원(14)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음극 및 양극 X선 생성 시스템을 통해서 X선 비임을 생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콜리메이터(16)에 도달하기 전에 X선 비임을 필터링하여 희망하는 에너지 스펙트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일부 실시예는, 에너지 기반의 필터(예를 들어, 알루미늄), 균등화(equalization) 필터(예를 들어, 트로프(trough) 필터, 바우-타이(bow-tie) 필터, ?지(wedge) 필터 등)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희망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X선 비임의 크기 및 형상은, 포트(17)로부터 빠져나가기에 앞서서, 콜리메이터(16)에 의해서 조정된다. 포트(17)로부터 빠져나간 후에, X선 비임은 테이블(18) 및 상기 테이블 상에 위치된 환자(12)를 통과한다.
X선 비임은 환자의 해부학적 조직에 의해서 감쇠되고, 감쇠된 비임의 적어도 일부가 이미징 콘솔(20)에 장착된 이미지 증강장치(22)의 고민감성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된다. 이미지 증강장치(22)는 적은 수의 X선 광자로부터 수용가능한 품질의 투사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피처는 형광투시 시스템에서 유리할 수 있는데, 이는 이미징 동작을 통한 연속적인 이미징이 환자를 상당한 양의 X선 에너지에 대해서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 증강장치(22)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비디오 카메라(24)를 통해서 모니터(26)로 연속적으로 전달되어, 이미징 동작 중에 디스플레이(44) 상에서 관찰할 수 있게 한다.
본원의 개시 내용이 의료용 진단 콘텍스트에서의 형광투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지만, 그러한 시스템은 다른 콘텍스트에서도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인간 피검자에서, 시스템이 스크리닝 및 그와 유사한 적용예를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다른 환경에서, 시스템이 소화물, 수화물, 운반 차량 등 내의 물품을 검출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그러한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이 파이프 또는 풍력 블레이드와 같은 산업적인 부품의 검사를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사용 중에, 형광투시 이미징 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조작자는 이미징 동작의 하나 이상의 매개변수를 동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설정가능한 조정부(36, 40 및 42)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는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고 및/또는 조작자가 형광투시 동작을 통해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각각의 범위, 스텝 크기 및 디폴트값 중 하나 이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설정가능한 조정부(36)는, 조작자가 노이즈 감소 레벨,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에서의 콘트라스트 레벨,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의 휘도,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의 에지(edge) 증강 등을 제어할 수 있게 허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콘트라스트 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조작자에게 제공된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는 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및/또는 해당 설정가능한 조정부과 연관된 범위, 스텝 크기 및 디폴트값을 결정하기 위해서 조작자에 의해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이미징 시술 중에, 콘트라스트 레벨 조정의 범위, 스텝 크기 및 디폴트값을 시스템이 자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및/또는 조작자가 변경할 수도 있다. 그러한 피처(특징)는, 그러한 값이 시스템 셋업 중에 미리 결정되고 그리고 이미징 동작을 통해서 고정적으로 유지되는 시스템에 대비하여, 분명한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정부의 자동적인 및/또는 수동적인 설정가능성을 허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미징 동작 중에 모니터(26) 상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비디오의 다이나믹한 조정 및 최적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설정가능한 조정부(36, 40 및 42)의 기능은 이미징 동작에 앞서서 및/또는 이미징 동작 중에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조정부의 기능은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동작 중에 자동적으로 및/또는 조작자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변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이미징 동작의 제 1 부분 동안 이미지 콘트라스트를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조정부(40 및 42)를 이용할 수 있고 및/또는 이미징 동작의 제 2 부분 동안 이미지 휘도를 증가 및/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조정부(40 및 42)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정가능한 조정부(40 및 42)가 이미징 동작 중의 임의의 주어진 시간에 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38)가 맞춰질 수 있다.
도시된 설정가능한 조정부는 노브(36) 및 버튼(40 및 42)을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설정가능한 조정부가 노브, 버튼, 스위치,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사실상, 설정가능한 조정부는, 기능, 스텝 크기, 범위 및 디폴트값 중 적어도 하나가 이미징 동작에 앞서서 또는 그 도중에 조작자에 의해서 세팅될 수 있는 형광투시 시스템의 임의 부분에 대해서 커플링되는 임의의 적합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설정가능한 조정부는 디스플레이(예를 들어, 34 또는 38)와 연관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콘솔(20)의 제어 패널 상에 위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의 형광투시 시스템은, 예를 들어 약 0.5 내지 약 5 mA 사이의, X선 비임을 연속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된 연속적인 형광투시 시스템으로서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되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한 시스템에서, 비디오 카메라(24)는 임의의 적절한 레이트(rate)(예를 들어, 약 30 프레임/초)로 생성된 투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형광투시 시스템은, 고 선량 레이트 형광투시 시스템(예를 들어, 특별하게 활성화된 형광투시), 펄스형 형광투시(예를 들어, 가변 프레임 레이트 펄스형 형광투시) 등과 같은 임의의 희망하는 타입의 형광투시 시스템일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사실상, 도 1의 형광투시 시스템의 설정가능한 조정부가 임의의 적합한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될 수 있는 형광투시 시스템(46)의 예시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형광투시 시스템(46)은 X선 튜브(14), X선(48), 환자(12), 이미지 증강장치(22), 광학적 회로(50), 콘솔(20), 사용자 인터페이스(28) 및 모니터(26)를 포함한다. 콘솔(20)은 프로세싱 및 제어 회로(52) 그리고 메모리(54)를 포함한다. 동작 중에, X선 튜브(14)는 환자(12)를 향해서 지향된 X선(48)을 생성한다. 환자를 통과한 후에, 감쇠된 X선의 적어도 일부가 이미지 증강장치(22)에 의해서 검출되고, 그러한 이미지 증강장치는 연속적인 또는 반(semi)-연속적인 동작을 위해서 구성된다. 검출 후에, 이미지 신호가 광학적 회로(50) 및 프로세싱 및 제어 회로(52)로 전달된다.
프로세싱 회로(52)는 유입 신호를 수신하고, 모니터(26) 상에서의 디스플레이를 위해서 및/또는 메모리(54) 내의 저장을 위해서 그러한 신호를 프로세스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싱 회로(52)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조작자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입력에 따라서 유입 신호를 프로세스할 수도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조작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28) 상에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 디폴트값, 범위 및/또는 스텝 크기를 세팅할 수 있고, 그리고 후속하여 희망하는 매개변수(예를 들어, 콘트라스트 또는 휘도 레벨)를 프로세싱 회로(52)로 통신하기 위해서 설정가능한 조정부를 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프로세싱 회로(52)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하나 이상의 희망하는 피처와 관련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28)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도록 그리고 수신된 입력에 따라서 그 회로에 배치된 조정부를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싱 회로(52)는,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모니터(26) 상에서 디스플레이하기에 앞서서 그러한 신호를 프로세스하기 위해서, 상기 구성된 조정부로부터 수신된 입력을 이용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 또한, 현재의 동작 모드에 따라서, 제어 회로(52)는 하나 이상의 수신된 신호를 메모리(54)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혈관 조영술 시술에서, 환자(12) 내에 카테터를 위치시키는 동안에, 수신된 이미지 신호를 모니터(26) 상에서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세싱 회로(52)가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카테터의 적절한 배치가 이루진 후에, 방사선 사진 콘트라스트 이미지가 관심의 대상이 되는 관(vessel) 또는 신체 공동(cavity) 내로 주입될 때, 펄스형 방사선 사진 이미지를 기록 및 저장하도록 프로세싱 회로(52)가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방식에서, 프로세싱 회로(52)는, 주어진 동작에서 요구되는 경우에, 기록형 그리고 미기록형 형광투시 사이에서 변화되도록 이미징 시스템(46)을 동작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형광투시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서 도 2의 제어 회로에 의해서 채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56)을 도시한다. 그러한 방법(56)은, 예를 들어, 형광투시 시스템이 조작자에 의해서 파워 온(ON) 될 때, 이미징 시스템의 활성화를 검출하는 단계(블록 58)를 포함한다. 시스템 활성화 후에, 제어 회로는 희망하는 시술 및/또는 모드와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한다(블록 60). 예를 들면, 조작자는 소아(pediatric) 모드, 성인 모드, 콘트라스트 재료 타입(예를 들어, 바륨, 요오드 등), 이용되는 수술 도구의 타입(예를 들어, 주사기, 금속 기구 등), 이미징 프레임 레이트 등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선택된 모드 또는 시술 타입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56)은 이미징 매개변수와 연관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를 선택된 시술 및/또는 모드에 대한 디폴트 범위로 세팅하는 단계(블록 6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상기 방법(56)은 이미징 매개변수와 연관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를 선택된 시술 또는 모드에 대한 디폴트 스텝 크기로 세팅하는 단계(블록 64)를 포함한다. 범위 및 스텝 크기에 대한 디폴트 세팅이 조작자 입력에 무관하게 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결정될 수 있고 또는 선택된 특별한 모드 또는 시술에 대한 조작자의 지시에 기초하여 제어부에 의해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한 방식에서, 설정가능한 조정부에 대한 디폴트 세팅은 자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고 및/또는 주어진 적용예에 대해서 요구되는 경우에 조작자 입력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일단 개시되면, 제어 회로는 설정가능한 조정부 제어의 이미징 매개변수에 관한 디폴트 범위에 대한 희망하는 변화에 대해 조작자를 재촉하도록(블록 66) 그리고 조작자에 의해서 요구되는 범위를 실행하도록(블록 68)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소아 환자가 이미지화되는 실시예에서, 조작자는 이미징 매개변수에 대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를, 성인 환자에 적합한 보다 높은 범위(예를 들어, 0-9 범위)가 아니라, 낮은 범위(예를 들어, 0-2 범위)로 제한할 수도 있다. 그 대신에,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 회로는, 현재의 검사 타입 및 유입되는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설정가능한 조정부 제어의 이미징 매개변수에 대한 적합한 범위를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피처는, 시술 타입에만 기초하여 범위를 자동적으로 결정하고 세팅하는 시스템에 대비하여 장점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는 일부 경우에서, 동일한 시술 타입에 대해서도, 환자의 크기에 기초하여, 다양한 상이한 범위가 요구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56)은 또한 셋업에서 설정가능한 조정부에 대해서 개시된 디폴트 스텝 크기에 대한 희망하는 변화에 대해 조작자를 재촉하는 단계(블록 70) 및 조작자에 의해서 요구되는 스텝 크기를 실행하는 단계(블록 7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이미징 매개변수와 연관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를 특정 범위의 미세 튜닝을 위한 적절한 희망 스텝 크기로 조정할 수도 있다. 그러한 방식에서, 제어부는, 조작자에 의해서 요구되는 바에 따라서, 제 1 이미징 매개변수에 대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 및 스텝 크기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로직(logic)을 이용하여, 부가적인 이미징 매개변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부가적인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 및 스텝 크기를 세팅할 수 있고(블록 74), 그리고 이미징 시술이 가능해질 수 있다(블록 76). 비록, 도시된 방법(56)이 형광투시 시스템의 셋업의 콘텍스트에서 설명되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희망에 따라서 범위 및 스텝 크기를 조정하기 위해서 그러한 로직이 이미징 동작의 전체를 통해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기초하여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하기 위해서 제어부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방법(78)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78)은 형광투시 이미징 동작의 개시를 검출하는 단계(블록 80) 및 제 1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블록 8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 회로는 소아 모드, 성인 모드, 콘트라스트 재료 모드 등의 선택에 대해서 체크할 수도 있다. 만약 제 1 모드가 선택된다면, 제어부는 제 1 매개변수 세트에 따라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하도록 구성된다(블록 84). 즉, 제어부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각각에 대한 매개변수를 선택된 모드에 기초한 제어부로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설정가능한 조정부가 콘트라스트 레벨과 연관될 수 있고, 제 2 설정가능한 조정부가 휘도 레벨과 연관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설정가능한 조정부가 다른 레벨 등과 연관될 수도 있다.
제 1의 선택된 모드에 따라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한 후에, 제어부는 시스템 제어부로부터 자동적으로 또는 조작자로부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각각에 대한 희망 범위 및 스텝 크기를 수신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된다(블록 86). 즉, 이전과 같이, 사용자는 이미징 모드, 환자 크기 등에 기초하여 희망하는 범위 및 스텝 크기를 규정할 수 있다. 이미징 시스템의 후속 동작을 통해서, 제어부는 선택된 이미징 모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블록 88), 이미징 모드에서의 변화가 발생된다면, 제어부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 중 하나 이상을 리셋할 수 있다.
제 1 이미징 모드가 선택되지 않을 때, 제어부는 제 2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블록 90), 만약 제 2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체크되었다면, 제어부는 제 2 매개변수 세트에 따라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한다(블록 92). 예를 들어, 제 2 모드가 성인 이미징 모드일 수 있고, 제어부는 그에 따라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할 수도 있다. 이전과 같이, 이어서 제어부는, 적절한 이미징 매개변수를 세팅하도록 구성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각각에 대해서 희망하는 범위 및 스텝 크기를 수신하고(블록 94), 선택된 모드로의 변화에 대해서 이미징 동작을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블록 88).
만약 제 2 모드가 선택되지 않는다면, 제어부는 주어진 이미징 시스템(블록 96)과 연관된 임의의 추가적인 모드의 선택에 대해서 체크하고, 선택된 모드 및 조작자 입력에 기초하여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각각에 대한 기능, 스텝 크기 및 범위를 실행한다(블록 98). 즉, 비록 단지 2개의 모드 체크만이 설명되었지만, 부가적인 실시예에서, 임의의 희망하는 수의 모드 체크 및 기능적인 매개변수 세트가 제어 로직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한 방식에서, 본원에서 개시된 제어 회로의 특정 실시예가 선택된 이미징 모드에 기초하여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하나 이상의 예시적인 설정가능한 조정부를 포함하는 제어 패널(10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어 패널(100)은 제 1 설정가능한 조정부 패널(102), 제 2 설정가능한 조정부 패널(104) 및 제 3 설정가능한 조정부 패널(106)을 포함한다. 제 1 패널(102)은, 하나 이상의 증분 마커(increment marker)(112, 114, 116, 118 및 120)를 향해서 지향될 수 있는 표시부(110)를 가지는 노브(108)를 포함한다. 제 2 패널(104)은, 하나 이상의 증분 마커(126, 128, 130, 132, 및 134)를 향해서 지향될 수 있는 제 2 표시부(124)를 가지는 제 2 노브를 포함한다. 또한, 제 3 패널(106)은 디스플레이(136), 증가 버튼(138) 및 감소 버튼(140)을 포함한다.
동작 중에, 기능이, 예를 들어, 조작자에 의해서 특정된 바에 따라서 직접적으로 또는 조작자 선택 모드에 기초한 제어부에 의한 결정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제 1 노브(108) 및 제 2 노브(122)에 대해서 할당된다. 유사하게, 제 3 패널(106)의 기능이 결정될 수 있고, 그리고 버튼(138 및 140)이 조정하도록 구성된 매개변수가 디스플레이(136) 상에서 보여질 수 있다. 스텝 크기가 또한 노브(108 및 122)의 각각에 대해서 할당될 수 있다. 즉, 노브가 증감 마커 사이에서(예를 들어, 마커(112)와 마커(114) 사이 또는 마커(130)와 마커(132) 사이에서) 회전될 때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이미징 매개변수의 양이 조작자에 의해서 세팅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범위가 노브(108 및 122)의 각각에 대해서 할당될 수 있다. 즉, 노브가 극단적인 좌측 위치(예를 들어, 마커(112) 또는 마커(126))로부터 극단적인 우측 위치(예를 들어, 마커(120) 또는 마커(134))로 이동될 때 주어진 이미징 매개변수에 대해서 허용된 변화의 양이 조작자에 의해서 또한 세팅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 3 패널(106)에 대한 범위 및 스텝 크기가 조작자 유닛에 기초하여 제어부에 의해서 세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138 및 140)이 각각의 누름시에 이미징 매개변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게 될 양(즉, 스텝 크기)이 조작자에 의해서 세팅될 수도 있다. 또한, 일단 세팅되면, 패널(102, 104, 및 106) 상에 배치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 및 스텝 크기가 이미징 동작을 통해서 조작자에 의해서 재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시된 제어 패널(100) 상에서 보여지는 설정가능한 조정부는 적절한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실시예이며, 그리고 본 발명을 그러한 노브 및 버튼으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디폴트값, 범위, 스텝 크기, 또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조정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이용될 수도 있다.
이렇게 기술된 설명은, 최적의 모드를 포함하여, 본 발명을 개시하기 위해서, 그리고 임의의 당업자가,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시스템을 제조 및 이용하는 것 그리고 임의의 포함된 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포함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예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특허받을 수 있는 범위는 청구항에 의해서 규정될 것이고, 그리고 당업자가 안출할 수 있는 다른 예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른 예가 청구항의 문헌적인 언어와 상이하지 않은 구성요소를 가진다면, 또는 그러한 다른 예가 청구항의 문헌적인 언어와 비실질적으로(insubstantial) 상이한 균등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그러한 다른 예는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25)

  1.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에 있어서,
    피검자의 제 1 측부 상에 배치되고, X선을 발생시켜 X선을 상기 피검자를 향해서 투사하도록 구성된 X선 발생기;
    상기 피검자의 제 1 측부에 반대되는 상기 피검자의 제 2 측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자에 의해서 감쇠된 후의 X선 발생기로부터의 X선을 수신하고 감쇠된 X선을 피검자 피처를 나타내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기에 커플링되며, 형광투시 이미징 동작 중에 상기 검출기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신호를 프로세스하고, 프로세스된 디지털 신호를 디스플레이용 모니터로 통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 및
    형광투시 이미징 동작 중에 디지털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를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 또는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디폴트값 중 적어도 하나를 세팅하도록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는 노이즈 레벨, 이미지 콘트라스트 레벨, 약물(agent) 증강 레벨 및 휘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모드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는 노브, 누름가능한 버튼 및 전자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인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를 세팅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범위의 일부에 대해서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를 결정하여 세팅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타입, 범위, 스텝 크기 또는 디폴트값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및 상기 제어 회로의 자동적인 결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세팅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타입, 범위 및 스텝 크기 중 하나 이상이 디폴트값으로부터 변경될 때,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모드는 소아 모드, 콘트라스트 약물 모드 및 수술 기구 모드 중 하나 이상인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0.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에 있어서,
    피검자의 제 1 측부 상에 배치되고, X선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X선 공급원;
    상기 피검자의 제 1 측부에 반대되는 상기 피검자의 제 2 측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피검자에 의해서 감쇠된 후의 X선을 수신하고 수신된 X선을 피검자 피처를 나타내는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도록 구성되는 X선 검출기;
    상기 X선 공급원 및 X선 검출기에 커플링되며, 상기 X선 검출기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피검자 피처의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프로세스하고, 상기 X선 공급원, 상기 X선 검출기, 및/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회로; 및
    형광투시 이미징 동작 중에 상기 X선 공급원, 상기 X선 검출기, 또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 중 적어도 하나의 레벨을 조정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조정가능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가능한 제어부의 범위는 설정가능한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미징 매개변수는 노이즈 레벨, 이미지 콘트라스트 레벨, 약물 증강 레벨, X선 세기 레벨, 검출기 민감도 레벨 및 휘도 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제어부의 스텝 크기는 조작자에 의해서 세팅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회로로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제어부의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조작자에 의해서 지시된 시술 또는 이미징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서 결정되도록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제어부의 범위는 조작자에 의해서 세팅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회로로 통신되도록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조정가능한 제어부의 범위가 조정됨에 따라 상기 이미징 동작 중에 상기 범위의 미리 세팅된 부분에 대해서 상기 조정가능한 제어부의 스텝 크기를 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가능한 제어부는 노브, 누름가능 버튼 및 전자적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인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또는 상기 제어 회로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타입, 범위 및 스텝 크기 중 하나 이상이 디폴트값으로부터 변경될 때, 사용자에게 경고하도록 구성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
  18.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이미징 동작을 위한 현재 이미징 동작 모드의 선택을 검출하는 단계;
    선택된 현재의 이미징 모드에 기초하여 이미징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세팅하는 단계; 및
    형광투시 이미징 동작 중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를 사용자가 세팅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를 사용자가 세팅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선택된 범위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를 자동적으로 결정하여 세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이미징 동작 중에 현재의 이미징 동작 모드의 변화를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의 이미징 동작 모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을 리셋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이 리셋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범위를 사용자가 리셋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기능 및 범위가 리셋된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스텝 크기를 사용자가 리셋할 수 있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
  24. 제 18 항에 있어서,
    이미징 동작 중에 획득된 이미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적절한 범위 및 적절한 스텝 크기 중 하나 이상을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또는 자동적인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가능한 조정부의 타입, 범위 및 스텝 크기 중 하나 이상이 디폴트값으로부터 변경될 때, 사용자에게 경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형광투시 이미징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37017677A 2011-01-07 2011-12-09 형광투시 시스템 및 방법 KR101895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13986673A 2011-01-07 2011-01-07
US12/986,673 2011-01-07
US12/986,673 US8681942B2 (en) 2011-01-07 2011-01-07 Fluoroscopy systems and methods
PCT/US2011/064053 WO2012094097A1 (en) 2011-01-07 2011-12-09 Fluoroscopy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2363A true KR20140032363A (ko) 2014-03-14
KR101895090B1 KR101895090B1 (ko) 2018-09-04

Family

ID=5064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677A KR101895090B1 (ko) 2011-01-07 2011-12-09 형광투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0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9687A (ja) * 2003-10-29 2007-04-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X線装置のイメージングパラメータを調整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8212644A (ja) * 2007-02-06 2008-09-18 Canon Inc 放射線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放射線撮像システム
US20080319275A1 (en) * 2007-06-20 2008-12-25 Surgmatix, Inc. Surgical data monitoring and display system
US20100061507A1 (en) * 2007-03-01 2010-03-11 Hideki Fujii X-ray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9687A (ja) * 2003-10-29 2007-04-19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X線装置のイメージングパラメータを調整する装置及び方法
JP2008212644A (ja) * 2007-02-06 2008-09-18 Canon Inc 放射線撮像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放射線撮像システム
US20100061507A1 (en) * 2007-03-01 2010-03-11 Hideki Fujii X-ray apparatus
US20080319275A1 (en) * 2007-06-20 2008-12-25 Surgmatix, Inc. Surgical data monitoring and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090B1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5528B2 (en) X-ray diagnostic apparatus
KR20170015992A (ko) X-선 촬영에서 자동화된 선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5742970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4601446B2 (ja) X線撮影装置
WO2002078546A1 (fr) Appareil de diagnostic radiographique
JP6125257B2 (ja) 医用診断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H0866389A (ja) X線診断装置
JP5573688B2 (ja) 放射線撮影装置
JP2010273834A (ja) X線画像診断装置
US8681942B2 (en) Fluoroscopy systems and methods
JP2011019712A (ja) X線透視撮影装置
JP7354059B2 (ja) 画像処理装置、放射線透視撮影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8326009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X-ray image during a mammography
JP2011239804A (ja) X線検査装置
JP2011080971A (ja) Ct装置
KR101895090B1 (ko) 형광투시 시스템 및 방법
JP7341950B2 (ja) 画像処理装置、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18068747A (ja) 放射線断層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044457B2 (ja) 放射線画像撮影装置及び撮影条件設定方法
JP2007244484A (ja) X線診断装置
JP2019187814A (ja) 医用画像処理装置、x線診断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213979A (ja) X線診断装置
JP5498016B2 (ja) X線診断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20150025461A (ko) 엑스선 영상장치 및 영상획득방법
JP7397636B2 (ja) 放射線撮像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