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0887A -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0887A
KR20140030887A KR20120097614A KR20120097614A KR20140030887A KR 20140030887 A KR20140030887 A KR 20140030887A KR 20120097614 A KR20120097614 A KR 20120097614A KR 20120097614 A KR20120097614 A KR 20120097614A KR 20140030887 A KR20140030887 A KR 2014003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lectro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97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2037B1 (ko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97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037B1/ko
Priority to PCT/KR2013/004965 priority patent/WO2014038776A1/en
Priority to EP20203861.8A priority patent/EP3789992B1/en
Priority to EP13835617.5A priority patent/EP2893773B1/en
Priority to US14/425,587 priority patent/US9711692B2/en
Publication of KR2014003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 passive matri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7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 H01L25/075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33/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004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 H01L33/002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having heterojunctions or graded gap
    • H01L33/0025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operation having heterojunctions or graded gap comprising only AIIIBV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26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 H01L33/30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 H01L33/32Materials of the light emitting region containing only elements of Group III and Group V of the Periodic Table containing nitroge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3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 H01L33/3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s with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6Passive matrix structure, i.e. with direct application of both column and row voltages to the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ther than LCD or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2LA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0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 H01L33/501Wavelength convers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e.g. binder
    • H01L33/502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01L33/504Elements with two or more wavelength conversion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개별 화소를 이루고,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자체 휘도값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및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따라서, PM 방식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력 손실로 인한 휘도 편차를 줄일 수 있어 PM 방식의 문제점인 로드 효과(load effect)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는 전류를 빛으로 변환시키는 잘 알려진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1962년 GaAsP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적색 LED가 상품화된 것을 시작으로 GaP:N 계열의 녹색 LED와 함께 정보 통신기기를 비롯한 전자장치의 표시 화상용 광원으로 이용되어 왔다.
질화 갈륨(GaN)으로 대표되는 질화물계 화합물 반도체(Nitride Compound Semiconductor)는 높은 열적 안정성과 폭넓은 밴드갭(0.8 ~ 6.2 eV)을 가지고 있어, LED를 포함한 고출력 전자부품 소자 개발 분야에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이에 대한 이유 중 하나는 GaN이 타 원소들(인듐(In), 알루미늄(Al) 등)과 조합되어 녹색, 청색 및 백색광을 방출하는 반도체 층들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방출 파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장치 특성에 맞추어 재료의 특징들을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GaN를 이용하여 광 기록에 유익한 청색 LED와 백열등을 대치할 수 있는 백색 LED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질화물계 반도체는 청색/녹색 레이저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LED)의 제작에 기본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평면형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주요 디스플레이는 LCD(Liguid Crystal Display)와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대표되고 있다. 구동 방법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AM) 방식과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으로 구분되며, 특히 AM 방식과 달리 PM 방식의 OLED의 경우 전류 구동을 하는 소자로 전극의 전력 손실(power loss)에 매우 민감하다.
이는 전기적 손실과 유기물의 특성 변형으로 인한 제품화 구현이 실질적으로 쉽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으로 PM 시장의 경우 TFT 대비 휘도가 상대적으로 열세여서 공정 프로세스, 비용 등 그 장점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이 AM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여기에 OLED의 경우 PM이 가지고 있는 전력 손실 특성까지 발생하여 PM OLED를 제품화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마이크로 픽셀화시켜 배치시에 발생되는 전력 손실의 문제점을 보완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개별 화소를 이루고,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자체 휘도값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발광 소자들의 자체 휘도값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의 첫번째 위치하는 발광 소자의 자체 휘도값과 두번째 위치하는 발광 소자의 자체 휘도값의 차이는 상기 선형으로 증가하는 값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n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위치하는 p형 반도체층, 상기 p형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p형 전극 및 상기 n형 반도체층의 노출된 표면에 위치하는 n형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n형 전극과 상기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전극의 전류주입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전극의 전류주입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의 첫번째 위치하는 발광 소자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와 두번째 위치하는 발광 소자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선형으로 감소되는 값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 소자들의 p형 반도체층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개별 화소를 이루는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연결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전극들의 두께 또는 폭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상기 연결 전극들의 길이는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다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열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전극의 두께 또는 폭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은 투명한 플렉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청색 발광 소자이고, 상기 형광체층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 및 녹색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청색 발광 소자이고, 상기 형광체층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황색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광체층은 각각의 형광체 사이에 위치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이루거나, 적색, 녹색, 청색 및 흰색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단위 화소로 구현하고, PM 방식의 구조에서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발광 소자들을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전력 손실로 인한 휘도 편차를 줄일 수 있어, PM 방식의 문제점인 로드 효과(load effect)를 줄일 수 있다.
또한, PM 방식의 구조에서 각각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에 대한 배선 저항 성분을 조절하여 휘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트랜드에 맞게 칩 설계 조정이 용이하여 휘도 얼룩 부분의 방지 설계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PM 방식의 발광 소자 어레이의 등가 회로이다.
도 3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에 대한 전극 길이방향으로 발생되는 저항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내부저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은 발광 소자 어레이의 전력 손실에 대한 보정 전, 후의 휘도 편차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그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들로 예시되어 나타내어지며,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개시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오히려 본 발명은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과 합치되는 모든 수정, 균등 및 대용을 포함한다.
층,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on)"에 존재하는 것으로 언급될 때, 이것은 직접적으로 다른 요소 상에 존재하거나 또는 그 사이에 중간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제1, 제2 등의 용어가 여러 가지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요소들, 성분들, 영역들, 층들 및/또는 지역들은 이러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준다.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제1 전극(200),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300)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제2 전극(400) 및 형광체층(60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경우에 따라 제1 전극(200)이 배치되는 배선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은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따라서, 기판(100)은 플렉시블(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유리 또는 폴리이미드(PI)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절연성이 있고, 유연성 있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사용 가능할 것이다.
제1 전극(200)은 기판(100) 상에 위치한다. 경우에 따라, 제1 전극(200)은 기판(100) 상에 직접 또는 이격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1 전극(200)이 기판(10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200)은 바(bar) 형태의 전극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200)은 PM 구조에서 스캔 또는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며, 제1 전극(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00)은 다수 개일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은 예컨대 수 열로 배치되며, 각 열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은 하나의 제1 전극(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광 소자들(300)은 예컨대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의 자체 휘도값은 상기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 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전력손실에 따른 휘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분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의 자체 휘도값은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반도체 발광 소자(300)에 대한 전극의 저항성분이 선형으로 증가하므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의 자체 휘도값도 이와 대응되게 선형으로 증가시킴으로써, 휘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의 첫번째 위치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300)와 두번째 위치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자체 휘도값의 차이는 상술한 선형으로 증가하는 값(증가분)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전류가 주입되는 전극의 일측에 첫번째 위치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경우, 배선 저항이 상대적으로 더 작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좀 더 고려하여 첫번째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자체 휘도값이 좀 더 낮은 칩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을 이용하는 것과 함께 제1 전극(200)의 두께 또는 폭을 함께 조절하여 휘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소자들(300)의 자체 휘도값을 조절하는 것과 함께 제1 전극(200)의 두께 또는 폭을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시켜 각 반도체 발광 소자(300)에 대한 밝기를 균일하게 보정할 수 있다.
제2 전극(400)은 제1 전극(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반도체 발광 소자(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전극(400)은 PM 구조에서 스캔 또는 데이터 전극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전극(400)은 반도체 발광 소자(300) 상에 위치하거나,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반도체 발광 소자(300)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400)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충분히 크게 되어 제2 전극(600)을 반도체 발광 소자들(400)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한편, 제1 전극(200)과 제2 전극(400)은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개별 화소를 이루는 반도체 발광 소자(300)를 격리시키기 위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 사이에는 격벽(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격벽(500)은 개별 단위 화소를 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 격벽(500)은 반사성 격벽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격벽(500)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목적에 따라 블랙(Black) 또는 화이트(White)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이트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고 반사성 효과가 있을 수 있고, 블랙 절연체의 격벽을 이용할 경우, 반사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대비비(contrast)를 증가시킬 수 있다.
형광체층(600)은 반도체 발광 소자(300)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층(6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형광체층(60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601) 및 녹색 형광체(602)일 수 있다.
즉, 하나의 단위 픽셀을 이루는 위치에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300) 상에는 청색 광을 적색(R)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적색 형광체(701)가 구비될 수 있고, 다른 단위 픽셀을 이루는 위치에서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300) 상에 청색 광을 녹색(G) 광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녹색 형광체(70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청색 단위 화소를 이루는 부분에는 청색 발광 소자만 단독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300) 상에 적색 및 녹색 형광체를 적용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풀 칼라 디스플레이를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300) 상에 적색 형광체(701), 녹색 형광체(702) 및 황색 형광체(미도시)를 적용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 및 흰색(W)의 단위 화소를 하나의 화소로 하는 풀 칼라 디스플레이를 설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풀 화이트(Full White)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와 황색 형광체의 높은 효율을 극대화하여 저 전력을 추구할 수 있다.
이때,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6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610)는 명암의 대조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한편, 경우에 따라,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황색 형광체층이 개별 소자마다 구비된 백색 발광 소자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단위 픽셀을 이루기 위하여, 각각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청색 형광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백색 발광 소자 상에 형광체층 대신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이 반복되는 컬러 필터를 이용하여 픽셀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각각 단위 화소(sub-pixel)를 이루기 위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인 경우, 형광체층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가 교대로 배치되고, 적색, 녹색 및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에 의하여 3색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pixel)를 이루는 풀 칼라 디스플레이를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의 자체 휘도값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각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의 내부 저항값을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이하, 각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의 내부 저항값을 조절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PM 방식의 발광 소자 어레이의 등가 회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극 배선에도 저항 성분(Rx)은 존재하지만, 발광 소자 내부에도 저항 성분(Ry)존재함을 알 수 있다. 즉, 각 반도체 발광 소자들에 대한 저항은 배선 저항 및 반도체 발광 소자의 내부 저항을 합한 합계 저항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도체 발광 소자 내부의 저항 성분(Ry)을 조절하여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자체 휘도값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반도체 발광 소자들에 대한 전극 길이방향으로 발생되는 저항 성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제1 전극과 제1 전극에 연결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만 나타냈다.
도 3을 참조하면, n개의 반도체 발광 소자(300)가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제1 전극(200)이 n개의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제1 전극(200)에 전류를 주입하게 되면 전극 길이방향으로 저항 성분이 발생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반도체 발광 소자에 대한 배선 저항(Rx1)은 ρ×d/A이다. 이 때, ρ 는 제1 전극 물질의 비저항값, d는 제1 전극의 일측과 발광 소자 사이의 거리, A는 제1 전극의 두께(t)와 폭(W)의 곱이다. 그리고, 제n 발광 소자에 대한 배선 저항(Rxn)은 ρ×nd/A이다. 따라서, 주입 전류(input current)를 I라고 할 때, 제1 반도체 발광 소자와 제n 반도체 발광 소자 간에는 n배 만큼의 저항이 증가하여 전압 강하(drop)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력손실에 의해 각 반도체 발광 소자들에 대한 합계 저항이 불균일해져 휘도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도 4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내부저항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투명유전체기판(미도시) 상에 위치하는 n형 반도체층(310), n형 반도체층(310) 상에 위치하는 활성층(320), 활성층(320) 상에 위치하는 p형 반도체층(330), p형 반도체층(330) 상에 위치하는 p형 전극(340) 및 n형 반도체층(310)의 노출된 표면에 위치하는 n형 전극(350)을 포함한다. 따라서, n형 전극(350)은 제1 전극(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p형 전극(340)은 제2 전극(4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 발광 소자는 수평형 구조이다. 수평형 구조의 경우, 이등방성 e-필드(e-field)를 형성하기 때문에 수직과 수평 필드를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n형 전극(350)과 p형 전극(340) 사이의 수평 거리가 길어질 경우 전자의 경로(path)가 늘어나기 때문에 저항 성분(Ry)의 상대적 증가를 유발할 수 있고, 따라서 전력 손실의 영향인자가 될 수 있다.
이 때, n형 전극(350)과 p형 전극(340) 사이의 수평거리는 n형 전극(350)과 p형 반도체층(330) 사이의 거리(m)와 p형 반도체층(330)의 길이(L)의 합에 해당한다.
따라서, n형 전극(350)과 p형 반도체층(330) 사이의 거리(m)는 발광 소자(300)의 내부저항값의 영향인자로서, m을 조절하여 발광 소자(300)의 내부저항값을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을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을 이용하여 휘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발광 소자 어레이를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의 n형 전극(350)과 p형 반도체층(330) 사이의 거리를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시켜 내부저항값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극(200)의 배선 저항이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증가하므로, 적어도 일부분의 발광 소자들(300)의 n형 전극(350)과 p형 반도체층(330) 사이의 거리는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의 첫번째 위치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n형 전극(350)과 p형 반도체층(330) 사이의 거리와 두번째 위치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의 n형 전극(350)과 p형 반도체층(330) 사이의 거리의 차이값은 상술한 선형으로 감소되는 값보다 더 큰 것으로 설계할 수 있다.
한편, p형 반도체층(330)의 길이(L)는 전자, 정공의 재결합(recombination) 영역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각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L을 동일하게 설정하고, d만 조절하는 것이 칩 설계상 바람직하다. 즉, 각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p형 반도체층의 영역의 크기를 동일하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제조 방법으로 예를 들면, n형 반도체층(310) 상에 먼저 활성층(320) 및 p형 반도체층(330)을 위치시킨다. 그 다음에, L은 동일하고, m만 조절되도록 설계된 마스크를 이용하여 활성층(320) 및 p형 반도체층(330)의 일부를 에칭함으로써,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크기는 한 변의 길이가 100㎛ 이하인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소자로 구성할 수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전류 구동으로 구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개별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크기를 한 변의 길이가 100㎛ 이하인 소자로 설계할 경우, 재결합 영역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p형 반도체층의 길이를 함부로 줄일 수는 없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n형 전극(350)과 p형 반도체층(330) 사이의 거리는 10㎛ 이하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발광 소자 어레이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5에서는 하나의 열에 배치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이 하나의 제1 전극(200)과 하나의 제2 전극(400)에 연결된 구조가 표시되었으나, 이는 PM 방식의 구조를 편의상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를 참조하면,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 예컨대, 내부 저항값이 상이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이 제1 전극(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각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에 대한 저항은 제1 전극(200)의 배선 저항 및 발광 소자(300)의 내부 저항을 합한 합계 저항이다. 그리고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제1 전극(200)에 연결된 각각의 발광 소자(300)에 대한 배선 저항 성분은 증가한다. 즉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따라서, 발광 소자들(300)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를 제1 전극(200)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시켜 각각의 발광 소자(300)에 대한 합계 저항을 균일하게 조절한 것이다. 따라서, PM 방식의 구조가 가지고 있는 전력 손실(Power loss)의 문제를 보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력 손실에 따른 휘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각 반도체 발광 소자의 내부저항값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반도체 발광 소자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 이 외에도 각 반도체 발광 소자의 에피 두께를 조절, 각 반도체 발광 소자의 칩 크기를 조절, n형 전극 또는 p형 전극의 두께나 면적을 조절 등의 방법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보정 전 발광 소자 어레이와 보정 후 발광 소자 어레이의 휘도 편차를 측정하였다.
도 6은 발광 소자 어레이의 전력 손실에 대한 보정 전, 후의 휘도 편차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M 방식의 발광 소자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전극과 발광 부분만 표시하였다. 발광 부분은 반도체 발광 소자의 p형 반도체층의 영역에 해당할 것이다. 각 전극의 일 단에 두 줄로 표시된 측에서 전류가 주입된다.
보정 전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동일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일렬로 위치시킨 구조이다. 이 때의 반도체 발광 소자는 수평형 반도체 발광 소자로서, 각 반도체 발광 소자의 내부저항값은 균일하다. 예컨대,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다.
보정 후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일렬로 위치시킨 구조이다. 이 경우, 각 발광 소자들의 내부저항값은 제1 전극의 전류 주입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설계하였다. 즉,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는 제1 전극의 전류 주입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이러한 보정 전 발광 소자 어레이와 보정 후 발광 소자 어레이의 휘도 편차를 측정한 결과, 보정 전 발광 소자 어레이보다 보정 후 발광 소자 어레이의 휘도 편차가 더 작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여 PM 방식의 발광 소자 어레이의 휘도 편차를 보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동일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하고,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저항성분을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상술한 구조와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휘도 편차를 최소화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전극,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개별 화소를 이루는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반도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형광체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과 반도체 발광 소자는 제2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연결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 전극들의 두께 또는 폭은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연결 전극들의 길이는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일한 제1 전극에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이 연결된 경우, 이러한 제1 전극의 두께 또는 폭은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에 대한 전극 배선의 저항성분을 변화시켜 입력 전류 변경에 따라 균일한 밝기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시브 매트릭스(Passive Matrix, PM) 방식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준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는 플립 칩 타입(flip chip type)의 발광 소자이다.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제1 전극(200), 층간절연막(700), 이방성 전도성 필름층(800), 제2 전극(400),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300)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및 형광체층(600)을 포함한다.
기판(100)은 플렉시블 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100)은 투명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제1 전극(200)은 기판(100) 상에 위치한다. 또한, 층간절연막(700)은 제1 전극(200)이 위치한 기판(100) 상에 위치한다.
보조 전극(220)은 제1 전극(200)과 반도체 발광 소자(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극으로서, 층간 절연막(700) 상에 위치하고, 제1 전극(2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다. 예를 들어, 보조 전극(220)은 닷(dot)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전극(220)은 층간 절연막(700)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210)에 의하여 제1 전극(2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전극(400)은 보조 전극(220)과 이격하여 층간절연막(700) 상에 위치한다.
이방성 전도성 필름층(800)은 보조 전극(220) 및 제2 전극(400)이 위치하는 층간절연막(700) 상에 위치한다. 이방성 전도성 필름(anistropy conductive film, ACF)은 전도성 물질의 코어가 절연막에 의하여 피복된 다수의 입자로 이루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이방성 전도성 필름은 압력 또는 열이 가해지면 가해진 부분만 절연막이 파괴되면서 코어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 때, 코어의 형태는 변형되어 서로 접촉하는 층을 이룰 수 있다.
예컨대, 층간절연막(700) 상에 보조 전극(220)과 제2 전극(400)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이방성 전도성 필름층(800)을 위치시킨 후에, 반도체 발광 소자(300)를 열 또는 압력을 가하여 플립 칩 형태로 접속시키면, 이러한 열 또는 압력이 가해진 부분인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p형 전극과 보조 전극(220) 사이 및 반도체 발광 소자(300)의 n형 전극과 제2 전극(400) 사이의 부분만 전도성을 갖는 이방성 전도성 필름(801)이 되고, 열 또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부분의 이방성 전도성 필름(802)은 전도성을 갖지 않는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 소자(300)와 보조전극(220) 사이 및 반도체 발광 소자(300)와 제2 전극(400) 사이를 상호 결합시켜줄 뿐만 아니라 전기적 연결까지 이루어질 수 있다.
발광 소자 어레이는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며, 제1 전극(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전극(200)은 다수 개일 수 있고,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은 예컨대 수 열로 배치되며, 각 열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은 하나의 제1 전극(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이 플립 칩 형태로 접속되므로, 투명 유전체 기판(360)에 성장시킨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반도체 발광 소자들(300)은 예컨대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일 수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휘도가 우수하므로, 작은 크기로도 개별 단위 픽셀을 구성할 수 있다.
반도체 발광 소자(300) 사이에 격벽(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형광체층(600)은 반도체 발광 소자(300)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반도체 발광 소자(300)는 청색(B) 광을 발광하는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이고, 이러한 청색(B) 광을 단위 화소의 색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형광체층(6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형광체층(600)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601) 및 녹색 형광체(602) 일 수 있다.
이때, 대비비(contrast) 향상을 위하여 각각의 형광체 사이에는 블랙 매트릭스(61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블랙 매트릭스(610)는 명암의 대조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청색 반도체 발광 소자(300) 상에 적색 및 녹색 형광체를 적용하여 적색(R), 녹색(G) 및 청색(B)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풀 칼라 디스플레이를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기판 200: 제1 전극
210: 관통 전극 220: 보조 전극
300: 반도체 발광 소자 310: n형 반도체층
320: 활성층 330: p형 반도체층
340: p형 전극 350: n형 전극
360: 투명 유전체 기판 400: 제2 전극
410: 연결 전극 500: 격벽
600: 형광체층 601: 적색 형광체
602: 녹색 형광체 610: 블랙 매트릭스
700: 층간 절연막 800, 801, 802: 이방성 전도성 필름층

Claims (18)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개별 화소를 이루고, 자체 휘도값이 상이한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자체 휘도값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은 상호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발광 소자들의 자체 휘도값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의 첫번째 위치하는 발광 소자의 자체 휘도값과 두번째 위치하는 발광 소자의 자체 휘도값의 차이는 상기 선형으로 증가하는 값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n형 반도체층;
    상기 n형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위치하는 p형 반도체층;
    상기 p형 반도체층 상에 위치하는 p형 전극; 및
    상기 n형 반도체층의 노출된 표면에 위치하는 n형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n형 전극과 상기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전극의 전류주입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일부분의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전극의 전류주입 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선형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의 첫번째 위치하는 발광 소자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와 두번째 위치하는 발광 소자의 n형 전극과 p형 반도체층 사이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선형으로 감소되는 값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들의 p형 반도체층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0.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개별 화소를 이루는 다수의 반도체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어레이;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수의 제2 전극; 및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 상에 위치하는 형광체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상기 제2 전극으로부터 돌출된 연결 전극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 전극들의 두께 또는 폭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거나, 상기 연결 전극들의 길이는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은 다수의 열로 배치되고,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들의 열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의 두께 또는 폭은 상기 제1 전극의 전류 주입방향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투명한 플렉시블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질화물 반도체 발광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청색 발광 소자이고,
    상기 형광체층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 및 녹색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발광 소자는 청색 발광 소자이고,
    상기 형광체층은 개별 화소를 구성하는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황색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각각의 형광체 사이에 위치하는 블랙 매트릭스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이루거나, 적색, 녹색, 청색 및 흰색의 단위 화소가 하나의 화소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20097614A 2012-09-04 2012-09-04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22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7614A KR101422037B1 (ko) 2012-09-04 2012-09-04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3/004965 WO2014038776A1 (en) 2012-09-04 2013-06-05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EP20203861.8A EP3789992B1 (en) 2012-09-04 2013-06-05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EP13835617.5A EP2893773B1 (en) 2012-09-04 2013-06-05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US14/425,587 US9711692B2 (en) 2012-09-04 2013-06-05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different stru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97614A KR101422037B1 (ko) 2012-09-04 2012-09-04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887A true KR20140030887A (ko) 2014-03-12
KR101422037B1 KR101422037B1 (ko) 2014-07-23

Family

ID=5023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97614A KR101422037B1 (ko) 2012-09-04 2012-09-04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11692B2 (ko)
EP (2) EP3789992B1 (ko)
KR (1) KR101422037B1 (ko)
WO (1) WO2014038776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9934B1 (ko) * 2014-07-01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9276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60092399A (ko) * 2015-01-27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84139A (ko) * 2014-11-18 2017-07-19 아큘러스 브이알, 엘엘씨 통합된 컬러 l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KR20180135335A (ko) * 2017-06-12 2018-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478547A (zh) * 2016-08-11 2019-03-15 亿光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WO2019135421A1 (ko) * 2018-01-03 2019-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WO2021006450A1 (ko) * 2018-07-11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107676A (ja) * 2016-02-04 2022-07-22 晶元光電股▲ふん▼有限公司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0350B2 (en) * 2014-05-24 2021-02-02 Hiphoton Co., Ltd. Structure of a semiconductor array
TWI572025B (zh) * 2015-01-15 2017-02-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半導體發光元件及其製作方法
US9721931B2 (en) 2015-01-15 2017-08-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688163B1 (ko) * 2015-03-30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77794B1 (ko) * 2015-07-06 2022-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6612565B2 (ja) * 2015-09-11 2019-11-27 アルパッド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471687B1 (ko) * 2016-02-26 2022-11-28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모듈 및 표시장치
WO2017146477A1 (ko) * 2016-02-26 2017-08-31 서울반도체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9829710B1 (en) * 2016-03-02 2017-11-28 Valve Corporation Display with stacked emission and control logic layers
US10332949B2 (en) 2016-07-06 2019-06-25 Seoul Semiconductor Co., Ltd. Display apparatus
CN106024844B (zh) * 2016-07-27 2019-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KR102553630B1 (ko) 2016-08-11 202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09792817B (zh) * 2016-09-22 2021-08-06 Lg电子株式会社 使用半导体发光器件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WO2018097667A1 (ko) * 2016-11-24 2018-05-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9262B1 (ko) * 2016-11-29 2019-11-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 소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55383B1 (ko) * 2016-12-07 2023-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6003A (ko) * 2017-01-20 2018-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5483B1 (ko) * 2017-06-30 202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Led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BR112020009088B1 (pt) 2017-11-08 2023-12-12 Seoul Viosys Co., Ltd Unidade de led para exibição e aparelho de exibição utilizando a mesma
KR102421729B1 (ko) 2017-12-14 2022-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110112123A (zh) * 2018-02-01 2019-08-09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装置及其制造方法
FR3078442B1 (fr) 2018-02-26 2023-02-10 Valeo Vision Source lumineuse electroluminescente destinee a etre alimentee par une source de tension
KR20210043236A (ko) 2019-10-11 2021-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530301B (zh) 2020-12-02 2023-04-21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0560A (ja) * 1998-03-06 1999-09-24 Denso Corp El素子
US20060152150A1 (en) 2002-10-01 2006-07-13 Herbert Boerner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improved light outcoupling
KR20040060337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672962B1 (en) * 2003-09-19 2012-06-20 Sony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JP2005158369A (ja) * 2003-11-21 2005-06-16 Toyota Industries Corp 光学部材及び照明装置
TWI251188B (en) 2004-03-31 2006-03-11 Fuji Photo Film Co Ltd Passive matrix light emitting device
US7408203B2 (en) * 2004-04-17 2008-08-05 Lg Electronics Inc. Light emitting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light emitting system using the same
US7868856B2 (en) * 2004-08-20 2011-01-1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signal driver for light emitting display
KR100656496B1 (ko) * 2004-09-21 2006-12-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 칼라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518305B2 (en) * 2004-11-01 2009-04-1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Interdigitated multi-pixel arrays for the fabrication of light-emitting devices with very low series-resistances and improved heat-sinking
KR100773939B1 (ko) * 2005-02-16 2007-11-0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유기 전계 발광 소자
TWI268739B (en) 2005-06-21 2006-12-11 Au Optronics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0759561B1 (ko) * 2005-11-30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84015B1 (ko) * 2006-12-13 2007-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4718504B2 (ja) * 2007-03-07 2011-07-06 株式会社沖データ 表示装置
JP5167723B2 (ja) * 2007-08-21 2013-03-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0986359B1 (ko) * 2008-03-14 2010-10-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TWI464921B (zh) * 2009-02-25 2014-12-11 Epistar Corp 主波長分佈收斂之發光元件及其製造方法
KR101649224B1 (ko) * 2008-12-16 2016-08-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전면발광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2010267481A (ja) * 2009-05-14 2010-11-25 Hitachi Displays Ltd 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表示装置
US20110012147A1 (en) * 2009-07-15 2011-01-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Wavelength-converte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a filter and a scattering structure
JP2011216668A (ja) * 2010-03-31 2011-10-27 Sony Corp 発光装置
WO2012032661A1 (ja) 2010-09-11 2012-03-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
JP5858367B2 (ja) 2010-12-28 2016-02-10 シャープ株式会社 有機el表示ユニット、有機el表示装置、及び有機el表示ユニットの製造方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7482B2 (en) 2014-07-01 2016-02-0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101529934B1 (ko) * 2014-07-01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0862010B2 (en) 2014-11-18 2020-12-08 Facebook Technologies, Llc Integrated colour LED micro-display
KR20170084139A (ko) * 2014-11-18 2017-07-19 아큘러스 브이알, 엘엘씨 통합된 컬러 le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US10367122B2 (en) 2014-11-18 2019-07-30 Facebook Technologies, Llc Integrated colour LED micro-display
KR20160079276A (ko) * 2014-12-26 2016-07-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20160092399A (ko) * 2015-01-27 2016-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842764B2 (en) 2015-01-27 2017-12-12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2107676A (ja) * 2016-02-04 2022-07-22 晶元光電股▲ふん▼有限公司 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478547A (zh) * 2016-08-11 2019-03-15 亿光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180135335A (ko) * 2017-06-12 2018-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35421A1 (ko) * 2018-01-03 2019-07-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KR20200096625A (ko) * 2018-01-03 2020-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US11402075B2 (en) 2018-01-03 2022-08-02 Lg Electronics Inc. Vehicle lamp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evice
WO2021006450A1 (ko) * 2018-07-11 202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55091A (zh) * 2018-07-11 2021-04-13 Lg电子株式会社 使用半导体发光元件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CN112655091B (zh) * 2018-07-11 2023-07-21 Lg电子株式会社 使用半导体发光元件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28865A1 (en) 2015-08-13
EP2893773A4 (en) 2016-05-11
EP3789992A1 (en) 2021-03-10
EP2893773B1 (en) 2020-12-09
EP3789992B1 (en) 2023-05-10
KR101422037B1 (ko) 2014-07-23
US9711692B2 (en) 2017-07-18
WO2014038776A1 (en) 2014-03-13
EP2893773A1 (en)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037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1985856B2 (en) Display apparatus
US11024786B2 (en)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52768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1575067B2 (en) Display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substrate
KR102503578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76686B1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16647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necting method of light emitting part thereof
US20160190105A1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KR20130137985A (ko) 반도체 발광 소자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678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220415977A1 (en) Display apparatus using light-emitting device
US10276632B2 (en) Display device using semiconductor light-emitting diod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7808601B (zh) 一种微型发光二极管显示器结构及制作方法
KR20220043742A (ko) 마이크로 led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모듈
KR101776917B1 (ko) 샌드위치형 미세패턴 복합 발광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